KR0168856B1 - 육묘용 집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묘용 집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56B1
KR0168856B1 KR1019910008860A KR910008860A KR0168856B1 KR 0168856 B1 KR0168856 B1 KR 0168856B1 KR 1019910008860 A KR1019910008860 A KR 1019910008860A KR 910008860 A KR910008860 A KR 910008860A KR 0168856 B1 KR0168856 B1 KR 016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viding line
edges
glu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495A (ko
Inventor
마사시 다니무라
Original Assignee
바바 고오다로오
닛뽕 덴사이 세이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바 고오다로오, 닛뽕 덴사이 세이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바바 고오다로오
Publication of KR91001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육묘용 유저집합포트의 낱낱의 포트의 밑판을 형성함에 원료인 일정폭을 지닌 종이에 평면적인 특정의 구성을 하여, 그 부착 및 조합하는 부착 또한 절단가공을 함에 따라 여러개의 포트가 나란한 열을 다수렬 집합하여 되는 집합포트를 형성하게 되는 밴드를 얻고 또한 그 밴드의 전개 공정에 따라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을 지녔고 밑판이 통체의 측벽 하변으로 부터의 연장부품이고 각기 인접하는 연장부품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안쪽으로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하여 통체저부의 한쌍의 대각선의 한쪽 위에서 인접하는 연장부품을 붙임과 동시에 다른 쪽의 대각선상의 연장부품은 중첩되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 및 그 제조방법
제1도∼제4도는 본 발명의 육묘용 유저(有底)집합포트 본체를 구성하는 포트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유저집합포트 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포트 본체의 1개(P)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사시방향에서 본 포트 본체의 좌측부의 저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우측부의 저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포트 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최소단위로 하는 단위종이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포트 본체(P)를 포함하는 6개로 되는 1열의 포트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5도의 소재를 6장 겹친 밴드 본체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포트 6개를 1열로 하는 4열로 되는 집합포트 본체를 형서하기 위한 제6도의 밴드 본체를 1개씩 번갈아 공지의 방법으로 등과 등을 마주댄 조합으로 부착하여 중첩밴드 본체로 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밴드 본체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5도의 단위종이를 연속적으로 일렬로 나란히 계속되는 분할선이 달린 밴드 본체로 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분할선이 달린 밴드 본체를 주어진 조건에서 기왓장 겹침으로 부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것을 겹치는 방향으로 최소단위폭으로 절단하여 제6도의 밴드 본체를 얻는다.
제10도는 제8도의 분할선이 달린 밴드 본체를 대량으로 얻기 위한 큰 종이에 밴드 본체를 나란히 세워서 가공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 포트 11,12,13,14 : 측벽(정방향통체의)
15,16,22 : 부착부 17,18,19,20 : 연장부품
23,24,25 : 절단선 26 : 연장선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개함에 따라 밑부분을 형성하는 포트 본체의 다수가 집합화된 식물의 육묘이식용 포트 본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종래로부터, 식물의 육묘와 이식에 사용되는 포트 본체로서,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으로 만들어진(이하, 간단히 종이라고 함), 각종 구조의 포트 본체가 공지되어 있으나, 그 대부분은 덮개부분과 밑부분이 없는 통형상구조의 것으로, 예컨대 미국특허 제3,164,507호나 영국특허 제992,856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덮개 없고, 밑이 없는 포트 본체의 다수가 서로의 측벽을 수용성 풀로 부착되어서 집합화되어 있는 구조의 포트 본체, 혹은 미국특허 제4,132,337호나 영국특허 제1,559,343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하나의 포트가 파단(破斷)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선이 달린 연결부에 의하여 행열형상으로 끌어낼 수 있는 구조로 된 연속집합 포트 본체가 있다.
이것들은 종래로부터 사용되어온 통형상구조의 포트 본체에 의한 식물의 육묘, 이식은 포트형상으로 전개한 집합포트의 각각에 흙을 채운다음, 종자를 뿌리고, 물을 줌에 따라서 일정기간 육묘조건하에 두어서 모를 육성한 다음, 포트를 부착한 상태의 모를 이것들 모의 이식에 적합한 선택된 이앙기에 재치하여 1개 1개의 포트묘로 분리하여 밭에 이식한다.
이 경우, 사용하는 포트 본체의 단면구경이 비교적 작을 경우에는 포트에 채운 흙은 포트안에 충분히 지지되어서 포트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으나, 포트 본체의 단면구멍이 50mm 이상으로 커지면, 포크의 지지력이 불완전하게 되어 포트로부터 흙이 떨어지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포트 본체로부터의 흙의 빠짐을 방지함에 적합한 포트의 집합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박막으로 만들어진 밑부분이 달린 포트는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일본특허공보 제73-1126호는 직사각형의 종이의 풀 붙임과 절곡함에 따라 단위상자 본체를 형성하고, 이 단위상자 본체의 다수를 그 외측벽을 서로 중합시켜서 병렬하며, 수용성 풀로 접착 집합한 육묘용지 상자집합체를 기재하였으며, 또, 미국특허 제4,021,966호는 단면이 4각이며, 서로 나란한 4면의 평탄한 측벽을 갖고 있어 상대하는 한쌍의 측벽만의 하부에 연속하는 밑부분이 있는(다른 한쌍의 측벽의 하부와는 접속으로 되어 있지 않다) 단위 컵의 다수가 나란한 다수열로 배열되어서, 각 단위 컵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인접컵 사이에서 서로 접속하는 플랜트 컵(plant cup) 원소를 기재하였으며, 미국특허 제3,739,522호는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시이트 소재를 2층이 되도록 2개로 접어서 2층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풀붙임하여 띠형상부를 마련하여 서로 이웃하는 밴드형상부 사이를 단면이 계란형상이 되도록 개방하여 작은 실(cell)을 형성하는 원예세포체계(Horticultural cell system)와 제조방법을 계재하고 있다.
상기 일본특허공보 제73-1126호에서 설명한 육묘용지 상자집합체는 집합체의 구성에 필요한 각 단위 상자본체의 각각을 직사각형으로 본을 뜬 한장의 종이에 풀붙임과 절곡을 하여 형성하였고, 집합화함에는 그 단위 상자본체의 편평한 절첩본체의 다수를 서로의 가로 폭을 소정폭당 중합하여 풀붙임하는 귀찮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각 단위 상자본체를 따로 따로 형성한다고 하는 것은 대량생산을 고려할 때 생산효율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되어 실용화를 곤란하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정으로부터 간단히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밑부분이 달린 육묘용 포트집합체의 완성이 요망되어 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밑판을 지닌 다수의 정사각형으로 된 육묘용 포트 본체로서, 상기 밑판이 통체의 측벽 하변에서의 연장부품이고, 각각 인접하는 연장부품에서 분리된 것을 내방을 향해서 직각으로 절곡하고, 통체 밑부분의 한쌍의 대각선의 한편상에서 인접하는 연장편을 점착함과 동시에 다른 편의 대각선상의 연장편을 중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집합포트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직사각형 통체의 높이를 H, 사각형의 변의 길이를 N으로 하여 폭이(H+1/2N), 길이가(2N)의 치수를 지닌 직사각형의 종이의 1/2N 부분의 중앙부에 상기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와 평행으로 분할선을 넣는 공정과, 상기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와 상기 1/2N 부분의 양단을 상기 양단 가장자리에 연속하는 45°에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에 내수성 풀(아크릴 에멀젼)을 도포하여 동일치수의 종이를 중합하여 붙이고, 또 상기 끝 가장자리와 풀을 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 사이에 분할선을 새겨넣어 단위종이로 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종이의 여러장과, 양단 가장자리의 한편을 상기 분할선과 그 연장선에 가지런히 중합하여 상기 1/2N 부분 이외의 중첩부를 수용액(폴리비닐 알코올)에서 붙이고, 이것을 순차 반복하여 기와형상으로 겹친 밴드본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밴드본체에 대하여 다른 밴드 본체를 등과 등을 마주 대어 겹쳐서, 각각 대향하는 상기 1/2N 부분 이외의 통체 측벽을 수용성 풀로 붙이고,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밴드 본체로 돈 중첩밴드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첩밴드 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밴드 본체의 각 단위종이를 상기 분할선의 연장선에서 떼어놓음으로서, 각 단위종이의 한변을 N으로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1/2N 부분이 통체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각 정사각형 통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1/2N 치수는 가장 낮은 치수를 표시하고, 본 발명의 취지에서 1/2N 이하의 치수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육묘용 유저집합 포트 본체의 각기의 포트 본체의 밑판을 형성하는데 원료인 일정한 폭을 지닌 종이에 평면적인 특정한 구성을 실행하고, 그것의 붙임 및 조합 붙임 또한 절단가공을 실행함으로써, 다수개의 포트 본체가 나열된 열을 다수열 집합하여된 집합포트 본체를 형성한 것으로 된 밴드 본체를 얻을 수 있고, 또, 그 밴드 본체의 전개공정에 따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저집합 포트 본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구성으로 된 밑판을 구비한 집합포트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부가 있는 포트집합체 및 그 제조에 사용하는 종이는 적당한 정도의 부패내성을 지닌 것이면 좋고, 종래로부터 알려진 육묘이식용 포트 본체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종이라면 무엇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컨대 침엽수 광엽수의 수목으로 제조된 목재펄프를 비롯하여 넝마펄프, 헌종이 펄프, 버개스(bagasse) 펄프 등 통상의 제지용 천연펄프의 단독, 혹은 이것들 천연펄프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섬유의 단독 혹은 2종이상의 혼합물, 혹은 또 저융점 합성수지성분과 고융접 합성수지 성분의 여러개의 합성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형 섬유의 단독 혹은 상기와 같은 단섬유의 혼합물 등의 합성섬유를 혼합한 종이재료로 떠서 만든 천연펄프종이나 합성지, 혹은 이것들 천연종이나 합성지를 셀룰로오스 가교반응성 약제로 처리하여 습윤강도를 강화한 종이, 나아가서는 천연 펄프종이에 합성섬유의 박막을 적당한 수단으로 여러층으로 한 복합종이, 혹은 또 천연펄프종이, 합성지를 적당히 선택한 부패내성 약제로 부식내성 처리한 종이, 나아가서는 상기에 열거한 바와 같은 각종의 합성섬유에 따라 떠서 만든 종이 상당의 강성을 지닌 합성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그 특징의 첫째가 포트 본체의 밑판의 구성에 있고 그 구성 및 형성방법은 이 포트 본체의 집합체의 제조방법이 기본으로 되어 있으므로 우선 포트 1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방형 타입 육모용의 유저(有底) 집합포트 본체의 사시도이며, 기호(10)은 각 포트 본체를 뜻하고, 인접하는 포트 본체의 측벽은 내수성 풀로 서로 붙여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포트(P)를 1개 추출한 것으로 (11), (12), (13) 및 (14)는 각기 정방형 통체의 측벽이며, 이것들 측벽으로 형성되는 정사각형 통체의 일변의 길이 치수를 N이라 하고, 통체의 높이치수를 H라 하여 설명한다.
(15), (16)은 부착부를 뜻하고 일체인 측벽(11), (12)의 양단과 이것도 일체인 측벽(13), (14)의 양단을 폭(t)으로 내수성 풀에 따라 부착하고 있다. (17), (20)은 각기 측벽(11), (12)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부품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의 안쪽으로 90도 절곡되고, 또한 부착부(21)로 맞붙여져서 밑판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 상태는 또한 제3도에 나타내었다.
(18), (19)는 각기 마찬가지로 측벽(12), (14)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부품이고, 역시 90도로 절곡되어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판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22)는 연장부품(18), (19)의 부착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사각형 포트 본체의 밑판은 포트 본체를 구성하는 측벽에서 90도로 절곡된 연장부품의 인접끼리를 한쌍으로 하여 2쌍으로 되는 연장부품을 저부의 한편의 대각선에 따라서 부착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5도는 제2도의 포트 본체를 전개함에 따라 형성하기 전의 소재인 단위 종이를 뜻한다.
정방형통체의 정사각형의 한변의 치수를 N이라 하고, 통체의 높이치수를 H라 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지는 포트 본체의 저부를 형성하는 전술한 바 연장부품(17), (20)은 원료로 되는 종이의 폭을 2N이라 하였을 때, 종이의 길이방향의 한 옆가장자리를 1/2N만큼 연장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 종이를 두장 중합하여 이것들을 폭방향의 양측면에 폭(t)의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15), (16)로 부착하고, 또한 연장부품의 양단구성 부분을 45도에서 가로지르는 같은 폭(t)의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21), (22)으로 부착한다.
이 경우 연장부분(17), (20)은 미리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선)(21), (22)에 따라서 커트하여 그 가장자리 부분을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으로 하여도 좋고,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으로 구획되는 삼각 형상부 전체를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두는 부분으로 하여도 좋다. 또 중합하는 종이는 한장의 종이를 2개로 접어도 좋다.
(23)은 연장부품의 중앙에 연장방향으로 따라서 넣은 분할선, 또 (24), (25)는 각기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15), (22)의 접합부 및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16), (22)의 접합부에 넣은 분할선을 뜻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종이의 분할선(23)의 연장선(26)에 따라서 도면상 2장 겹친 종이를 상하로 열면 제2도의 포트 본체(10)가 형성된다. 또 완성된 포트 본체(10)의 정사각형의 일변의 길이는 실제상 N-t의 치수로 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바꾸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제5도에 나타낸 단위종이를 사용하여 제1도에 나타낸 집합포트 본체의 6개를 이은 1열의 포트 본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단위종이를 새로이 5장을 준비하여, 제2소재의 옆 가장자리를 제5도의 연장선(26)에 맞춰서 겹치고 또한 대응하는 측벽부분만을 내수성 풀(27)로 붙친다.
연장부품 부분을 붙이지 않는 것은 이것들을 전개하였을 때에 도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처리를 차례로 겹치면 제6도에 나타낸 측면도와 같은 밴드 본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단위종이의 연장선(26) 및 위쪽의 연장선(26)에 따라서 도면 상하방향으로 인장하면 정사각형 포트 본체(10)가 세로로 6개 이어진 집합포트 본체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제2도에 나타낸 밑판이 각기 형성된다.
이렇게 여러개로 이어지는 포트 본체를 구성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고, 제1도와 같은 여러개의 포트 본체를 다수의 열로 늘어놓아서 통체를 형성하는 방법도 제7도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제7도에서 실제에는 예컨대 면 a와 b, c와 d, e와 f, g와 h, i와 j는 각기 수용성 풀로 붙여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트 본체의 저부는 대향하는 한쌍의 구석부분이 2장의 포트 본체 측벽과 그것과 일체인 밑판의 일부 등으로 삼각추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정점부는 강도가 높고, 가령 밑판전체가 측벽에 지지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명세서도 입부에서 기재한 바 토양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려면 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제6도에 나타낸 밴드 본체의 대량생산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점에 있다.
제8도는 그를 위한 기본 밴드 본체인 절단선이 달린 밴드 본체임을 뜻한다. 이 기본밴드 본체는 제5도에 나타낸 각 포트 본체의 소재를 높이(H)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반대방향으로 이은 것을 한쌍으로 하여 그것을 마찬가지로 H방향으로 반복 연속하여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8도의 실시예에서 보건데 한장의 1/2N 폭의 길이와 종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기 단부에서 치수(H)를 잡고 다시 그로부터 치수(N)를 잡고, 이 N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으로 V자 형상 또는 삼각형상으로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을 설치한다.
이상을 반복하여 얻을 수 있는 종이의 옆 가장자리 부분에 도면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t)의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에서 내수성 풀을 도포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공한 종이를 도면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을 겹으로 붙인 것을 얻는다.
분할선부(24), (25)는 겹쳐진 2장의 종이를 관통하게 된다. 도면중의 기호 L 및 M은 커트라인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 기본밴드 본체를 단독으로 커트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T.S로 나타내는 사선부는 최종적으로 집합포트 본체의 측벽으로 되는 부분의 한 측벽부분만을 뜻하나, 방열하는 각 쌍의 상당부분에 수용성 풀을 도포하여 다른 기본밴드 본체의 한편의 옆 가장자리를 분할선(23)에 맞추어서 전후방향의 V자형의 풀칠하기 위하여 남겨둔 부분에 맞추어서 가로 방향의 위치를 정하여 서로의 측벽부분을 붙인다.
이것을 6장분 중첩한 것을 제9도에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중첩체를 제8도의 커트라인 L.M에 따라서 분할하면, 제6도에 나타낸 밴드를 얻게 된다.
최종적인 집합포트 본체의 포트 본체 개수는 따라서 기본밴드 본체의 중첩매수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밴드 본체의 겹친 매수를 곱함에 따라서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히드로시퀴놀린 구리를 크래프트(kraft) 펄프에 1중량% 첨가하여 떠서 만든 80g/m2, 폭 115mm의 바래지 않은 크래프트종이(종이 A라 한다)를 크게 만든 종이로부터 연속적으로 끌어내어, 끌어내는 방향 좌우양측 가장자리에 측단으로부터 5mm 폭을 풀칠하기 위하여 남긴 부분으로서 52.5mm의 간격을 두어, 140mm 길이 구간(단, 끌어내는 최초부 및 최종부는 70mm 길이라 한다)에 내수성 풀(초산 비닐 유탁액)을 도포하는 제1공정과, 전술한 52.5mm 간격을 사이에 둔 전후의 제1의 풀 도포말단에 접속하여 각기 끌어내는 방향에 대하여 45° 각도로 종이 A의 안쪽으로 굴곡하는 V자 형상으로 내수성 풀을 도포하는 제2공정을 실행한다. 이 제2공정의 V자 형상은 V자 첨단의 개방 각도가 90°이고, 첨단위치가 끌어내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각기 측단에서 31.25mm 안쪽의 점에 있다.
이어서 별도로 준비한 두루말이에서 종이 A에 같은 소재, 방법의 바래지지 않은 크래프트(종이 B이라 한다)를 연속적으로 끌어내고, 종이 A에 양측을 가지런히 하여 중합 부착하여 연속밴드 본체를 형성한다. 이 연속밴드 본체의 폭방향 중간위치(측단에서 57.5mm의 점)에서 전술한 52.5mm 간격의 전체길이에 걸친 부분과 제1공정과 제2공정에 의한 접속부의 5mm 폭 부분에 다이커트로울에 따라 밴드 본체를 관통하는 절단선을 가공하여 연속하는 절단선 부착밴드 본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한 밴드 본체를 제1공정에 따라 붙여지는 구간의 중간위치를 횡단하는 가상선을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V자 형상으로 되는 제2공정에 의한 부착부분 1개소를 지닌 2장 이어짐의 단위종이 55장을 작제하여 이 5장을 제1공정에 의한 부착부분 각 5mm 부분을 제외한 105mm 폭을 기준으로 하여, 이 폭의 1/2부분(52.5mm이 된다)이 서로 단계상으로 중복하도록 배열하여 제2공정에 의한 부착부를 제외하는 중복부를 수용성 풀(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여 붙이고, 단위종이 2장 이어짐의 것을 5장으로 되는 길이 192.5mm, 폭 325mm의 밴드 본체를 11장 제작한다.
이 밴드 본체의 11장을 1장 건너 전후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차례로 적층배열하여 제2공정에 의한 부착부를 제외한 겹친 부분을 수용성 풀(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여 붙이고, 이것을 제2공정에 의한 V자 형상 부착부의 V자 첨단 상당위치를 통하는 가상 횡단선을 절단선으로 절단하여 2개의 중첩밴드 본체를 얻고, 이것을 전개하여 1변이 52.5mm, 높이가 70mm 사각 기둥형상의 밑이 붙은 포트 본체가 5열, 11단으로 배열한 밑이 붙은 포트 집합체 2개를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극히 간편한 형태로 구성한 종이의 맞붙임 공정 및 전개공정에 의하여 낱낱의 포트 본체가 적어도 토양의 탈락을 저지함에 충분한 밑판을 지닌 육모용 집합포트 본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종이로 되고, 밑판을 갖는 여러 개의 정삼각형 통체를 바둑판 모양으로 부착 병열하여 구성하는 육모용 집합포트 본체에 있어서, 각기 통체의 밑판이 통체의 각 측벽에서 안쪽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연장부품중 상기 통체의 밑부분의 한편의 대각선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연장부품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부분과 다른 편의 대각선상에서 중첩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대각선상에서 부착부의 길이의 합이 대각선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
  3. 한변의 치수를 N, 높이 치수를 H라 하는 정방형통체로 이루어지는 포트 본체의 밑판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폭의 치수가 H+1/2N, 길이의 치수가 2N인 종이의 1/2N 부분의 중앙부에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와 평행으로 분할선을 새겨 넣고, (ⅱ)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과 1/2N 부분의 양단부에서 끝 가장자리에 연속하고, 또한 단부에 45도를 이루는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에 내수성 풀을 도포하여 같은 치수를 갖고 또 한장의 종이를 겹쳐서 붙이고, 또한 단부와 끝 가장자리 사이에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 넓이의 분할선을 새겨 넣어서 단위종이라 하고, (ⅲ) 중앙부의 분할선의 연장선에서 2장 겹친 종이를 떼어놓은 한변을 N으로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함에 따라서 1/2N 부분이 통체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서 밑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사각형 포트 본체의 밑판을 형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위종이가 한장의 종이를 2개로 접어서 붙이도록 끝 가장자리 및 단부를 각기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
  5. 한변의 치수를 N, 높이의 치수를 H라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된 포트 본체를 연속한 여러개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포트 본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폭이 H+1/2N, 길이가 2N인 치수를 갖는 종이의 1/2N 부분의 중앙부에 전술한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와 평행으로 분할선을 새겨 넣고, (ⅱ)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의 풀로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과 1/2N 부분의 양단부에서 끝 가장자리에 연속하고, 또한 단부에 45도를 이루는 풀로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에 내수성 풀을 도포하여 같은 치수를 갖는 또 한장의 종이를 중합하여 붙이고, 또한 단부와 끝 가장자리의 사이에 풀로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의 폭의 분할선을 넣어서 단위종이로 하고, (ⅲ) 단위종이를 여러장 양단 가장자리의 한편을 중앙부의 분할선과 그 연장선에 가지런히 하여, 1/2N 부분을 제외한 통체 외벽면을 수성풀로 붙이고, 이것을 차례로 반복하여 한데 이어서 겹친 밴드 본체를 형성하고, (ⅳ) 밴드 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단위종이를 분할선의 연장선에서 떼어 놓으므로서 각 단위종이의 한변을 N으로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형성하고, 또한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하는 1/2N 부분을 통체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서 각 통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포트 본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제조방법.
  6. 한변의 치수를 N, 높이의 치수를 H로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된 포트 본체를 여러개를 일체로 연속하고, 또한 그것들을 여러줄로 일체가 되어 연속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각 포트 본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폭이 H+1/2N, 길이가 2N인 치수를 갖는 종이의 1/2N 부분의 중앙부에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와 평행으로 분할선을 새겨 넣고, (ⅱ) 종이의 양단 가장자리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과 1/2N 부분의 양단부에서 끝 가장자리에 연속하고, 또한 단부에 45도를 이루는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t)에 내수성 풀을 도포하여 같은 치수를 갖는 또 한장의 종이를 중합하여 붙이고, 또한 단부와 끝 가장자리 사이에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 넓이의 분할선을 새겨 넣어서 단위종이로 하고, (ⅲ) 단위종이를 여러장 양단 가장자리의 한편을 중앙부의 분할선과 그 연장선에 가지런히 하여 1/2N 부분을 제외한 통체 외벽면을 수용성 풀로 붙이고, 이것을 차례로 반복하여 한데 이어서 겹친 밴드 본체를 형성하고, (ⅳ) 밴드 본체에 대하여 다른 밴드 본체를 등과 등을 마주 대어 겹쳐서 각기 대향하는 1/2N 부분을 제외한 정사각형 통체 측벽을 수용성 풀로 붙이고, 이것을 반복함에 따라서 여러개의 밴드 본체의 중첩밴드 본체를 형성하고, 중첩밴드 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밴드 본체의 단위종이를 분할선의 연장선에서 떼어 놓으므로서 각 단위종이의 한변을 N으로 하는 정사각형 통체로 형성하고, 또한 1/2N 부분을 통체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서 각 정사각형 통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러줄의 정사각형 연속포트 본체에 밑판을 형성하는 제조방법.
  7. 폭이 2N의 길이를 갖는 긴 종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전체길이가 H+N+H를 1단위로 하는 치수로 하고, 1단위를 종이의 길이방향으로 n회 반복하여 획정하여, 종이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 양측 가장자리의 N치수부분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이루는 선에 따라서 t폭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을 설치하여 내수성 풀로 붙이고, 또한 대향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을 잇는 선과 직교하는 길이 N의 2등분선으로 2장을 겹친 종이를 관통하는 분할선을 새겨 넣고, 또한 옆 가장자리 부분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과 N부분 사이에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 폭의 분할선을 새겨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분할선이 찍힌 밴드 본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분할선이 붙은 밴드 본체가 한장의 종이를 겹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선이 붙은 밴드 본체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분할선이 붙은 밴드 본체가 병렬로 2장을 겹친 종이로 구성하여 된 분리선이 붙은 밴드 본체를 공급하는 밴드 본체의 제조방법.
  10. 폭 2N의 길이를 갖는 긴 종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전체길이가 H+N+H를 1단위로 하는 치수를 잡고, 1단위를 종이의 길이방향으로 n회 반복 획정하여 그 종이의 양측 가장자리와 이 양측 가장자리의 N치수부분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이루는 선에 따라서 t폭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을 설치하여 내수성 풀로 붙이고, 또한 대향하는 정삼각형의 정점을 잇는 선과 직교하는 길이(N)의 2등분선으로 2장을 겹친 종이를 관통하는 분할선을 새겨 넣고, 또한 옆 가장자리 부분의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과 N부분 사이에 풀을 붙이기 위하여 남긴 부분의 넓이의 분할선을 새겨 넣는 것을 n수의 장수 각각의 한편의 옆 가장자리를 중앙부의 분할선에 가지런히 하여 기왓장 겹침으로 중첩하여, 그 중첩부의 N폭 부분이외의 H폭 부분을 수용성 풀로 붙이고, 또한 단위마다 더불어 삼각형의 정점을 잇는 선에 따라서 절단하여서 이루어지는 그것을 전개하므로서 n개 연속한 유저 육묘용 집합포트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밴드 본체의 제조법.
KR1019910008860A 1990-05-30 1991-05-30 육묘용 집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0168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8333A JPH0822190B2 (ja) 1990-05-30 1990-05-30 切れ目付き帯体とこれを用いる底付き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138333 1990-05-30
JP02-138333 1990-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495A KR910019495A (ko) 1991-12-19
KR0168856B1 true KR0168856B1 (ko) 1998-12-01

Family

ID=1521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860A KR0168856B1 (ko) 1990-05-30 1991-05-30 육묘용 집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57475A (ko)
JP (1) JPH0822190B2 (ko)
KR (1) KR0168856B1 (ko)
AU (2) AU647126B2 (ko)
BE (1) BE1005611A3 (ko)
CA (1) CA2043548A1 (ko)
DE (1) DE4116958A1 (ko)
FI (1) FI912585A (ko)
FR (1) FR2662575B1 (ko)
GB (1) GB2244416B (ko)
IT (1) IT1245697B (ko)
NL (1) NL91009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7879B2 (ja) * 1993-11-04 1998-05-06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
WO2001092000A1 (en) * 2000-06-01 2001-12-06 Irene Li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ir permeable composite film
CN102246668A (zh) * 2011-05-17 2011-11-23 河南宏豫农业科技有限公司 植物移栽育苗成钵方法
US20130152466A1 (en) * 2011-12-16 2013-06-20 Velcro Industries B.V. Convertible planting containers
CN105900716B (zh) * 2016-06-16 2022-05-03 深圳市磊鑫园林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园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45682A (en) * 1930-09-18 1931-04-02 Reginald Harry Filmer Improvements in folding boxes
US2702154A (en) * 1952-05-22 1955-02-15 Paper Package Company Self-erecting box with locking bottom
DE949319C (de) * 1953-12-31 1956-09-20 Vincent Willy Nau Aus Papier, Karton od. dgl. bestehende Kettenpack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3164507A (en) * 1961-07-31 1965-01-05 Nippon Beet Sugar Mfg Method of making cylinders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of farm crops
US3443739A (en) * 1967-03-16 1969-05-13 Finn Ind Inc Cartons having self-forming,self-leveling bottoms
US3494536A (en) * 1967-12-07 1970-02-10 Finn Ind Inc Self-forming closed carton
US3739522A (en) * 1971-07-22 1973-06-19 G Greenbaum Horticultural cel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FI51540C (fi) * 1975-04-15 1977-02-10 Serlachius Oy Taimikennosto.
DK160783C (da) * 1976-03-02 1991-10-07 Nippon Beet Sugar Mfg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at separere og udplante planter i papirbeholdere
US4132337A (en) * 1976-03-02 1979-01-02 Nippon Tensai Seito Kabushiki Kaisha Continuous paper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separating the same and transplanting apparatus for the same
US4439950A (en) * 1976-11-12 1984-04-03 Kelley Albert W Integral plant container and cover
FR2436719A1 (fr) * 1978-09-19 1980-04-18 Thibaut Toussaint Sachet d'emballage etanch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4266716A (en) * 1980-01-24 1981-05-12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ton with pyramid-shaped bottom and blank for forming same
US4332345A (en) * 1980-03-20 1982-06-01 Ex-Cell-O Corporation Container with infolded bottom closure
FI71650C (fi) * 1982-11-16 1987-02-09 Laennen Tehtaat Oy Odlingsgrupp foer skolning av plantor.
ATE78129T1 (de) * 1985-03-19 1992-08-15 Williames Hi Tech Int Drehbar miteinander verbundene starre zellenketten.
US4950218A (en) * 1987-11-16 1990-08-21 Nihon Tensaiseito Kabushiki Kaisha Multiple pot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2585A0 (fi) 1991-05-29
ITRM910361A1 (it) 1992-11-28
AU647126B2 (en) 1994-03-17
IT1245697B (it) 1994-10-14
JPH0822190B2 (ja) 1996-03-06
DE4116958A1 (de) 1991-12-05
ITRM910361A0 (it) 1991-05-28
BE1005611A3 (fr) 1993-11-23
US5257475A (en) 1993-11-02
AU665146B2 (en) 1995-12-14
JPH0436122A (ja) 1992-02-06
AU7800791A (en) 1991-12-05
KR910019495A (ko) 1991-12-19
NL9100925A (nl) 1991-12-16
GB2244416A (en) 1991-12-04
FR2662575A1 (fr) 1991-12-06
CA2043548A1 (en) 1991-12-01
GB9110747D0 (en) 1991-07-10
GB2244416B (en) 1994-05-25
FR2662575B1 (fr) 1994-02-11
FI912585A (fi) 1991-12-01
AU5933794A (en) 199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5036A (en) Easy-to-transplant seedbed hol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U639407A3 (ru) Контейнер дл выращивани и пересадки растений
DE1782633A1 (de) Pflanzentraeger
FI71650B (fi) Odlingsgrupp foer skolning av plantor
KR101252125B1 (ko)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
US5653055A (en) Continuously assembled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KR0168856B1 (ko) 육묘용 집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US5155935A (en) Assembly of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ation
US5595020A (en) Continuous assembly of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JPS5811817B2 (ja) 連続集合鉢体の製造方法
JP3521293B2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DE1582059A1 (de) Zucht- oder Anpflanzungsbeethalter zur Erleichterung des Pflanzens oder Setzens
JPH08266162A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CN1134777A (zh) 用于种植和插秧籽苗的连续组装筒
JP2747873B2 (ja) 底付き鉢とその集合体
JP2528047B2 (ja) 育苗移植用底付き鉢集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69667B2 (ja) 底付き連続集合鉢体とその製造方法
JPH0522052Y2 (ko)
JPH0221777B2 (ko)
JPS5810043B2 (ja) 紙筒集合体の製造方法
JPH0970230A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JPS583645B2 (ja) 育苗移植用鉢体
JPH02190121A (ja) 育苗移植用底付鉢集合体とその製造方法
JPH0723021U (ja) 防草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