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125B1 -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2125B1 KR101252125B1 KR1020077017410A KR20077017410A KR101252125B1 KR 101252125 B1 KR101252125 B1 KR 101252125B1 KR 1020077017410 A KR1020077017410 A KR 1020077017410A KR 20077017410 A KR20077017410 A KR 20077017410A KR 101252125 B1 KR101252125 B1 KR 101252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ividual
- water
- pots
- connecting piece
- continuo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6—Devices for repot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장부분을 접거나 절결을 넣지 않고 연결편을 연장할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해 그루 사이 간격의 확대에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양측 각 대략 1/4폭을 동일한 한쪽면으로 꺾어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3)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3)을 꺾임부(6)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2열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며, 연결편(3)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상대하는 연결편(3)에 붙여 연속체(8)를 형성하고, 상대하는 연결편(3) 사이에 개별화분(2)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연속집합화분과 같이 증장부분을 접거나 절결을 넣지 않고 연결편(3)을 연장할 수 있게 되며, 그루 사이 간격의 확대에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육묘이식, 연속집합화분
Description
본 발명은 야채, 화훼 등의 작물을 육묘, 이식하는데 사용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은 종래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서 형성되는 사각통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구조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고 소58-11817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은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따르면, 보관시에 압편(壓扁) 상태로 하고, 사용시에는 펼침으로써 벌집형상으로 다수개의 개별화분이 조밀하게 집합된 상태로 출현하며, 개별화분에 재배토를 충전하고 이것에 파종함으로써 집중적으로 다수개의 모종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연속집합화분은 육묘시의 관수(灌水)에 의해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하기 때문에, 소정일 동안 육묘한 후 한쪽 끝을 당기면, 겹쳐진 연속체 서로의 사이가 분리되어 일렬로 끌어낼 수 있게 되어,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5-30882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접지형 간이이식기를 사용하여, 모종을 효율적으로 이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일반적인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에 따르면, 조밀한 집합을 위해, 연결편의 길이가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어,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5-30882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간이이식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모종을 이식하려고 하면, 그 그루 사이의 간격이 연결편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어, 육묘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루 사이 간격이 너무 좁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8-205687호 공보에는, 연결편에 개별화분의 일측면의 폭보다 긴 증장(增長)부분을 설치하고, 그 증장부분을 접어 서로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앞쪽 또는 뒤쪽의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연속집합화분이 개시되고,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7-123869호 공보에는, 연결편 또는 개별화분에 소정 형상의 절결을 형성하고, 연결편을 상기 절결을 통하여 길게 늘릴 수 있게 한 연속집합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특허공개 평8-205687호 공보에 개시된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에 따르면, 연결편 증장부분의 접힌부분으로의 관수의 침투가 부족하여, 육묘중의 수용성 접착제의 퇴화가 불충분해지고, 이식시에 연결편의 접힌부분이 원활하게 분리되거나 늘어나지 않아, 연결편의 길이 즉, 그루 사이 간격이 불규칙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결편의 증장부분을 접어 서로 접착제로 붙여야 하는 것과 함께, 이 접힌부분을 개별화분에 붙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로워지고 제조비용이 올라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평7-123869호 공보에 개시된 연속집합화분에 따르면, 이식작업을 위하여 개별화분을 일렬로 끌어낼 때, 절결부분의 가장자리에 응력이 집중되어 절단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증장부분을 접거나 절결을 넣지 않고 연결편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해 그루 사이 간격의 확대 또는 변경에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절감에 기여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제1 발명은,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 양측 각 대략 1/4폭을 동일한 한쪽면으로 꺾어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며, 이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주보는 연결편 사이에 개별화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기재된 제2 발명은,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 일측의 대략 1/3폭을 꺾어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며, 이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주보는 연결편 사이에 개별화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기재된 제3 발명은,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띄형상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개별화분을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각 연결편을,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각 연결편의 양끝부를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각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각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개별화분이 육각통형상이고, 연결편이 상기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1~7배(단, 1배는 포함하지 않음)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개별화분이 사각통형상이고, 연결편이 상기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1~5배(단, 1배는 포함하지 않음)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6에 기재된 제4 발명은,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개별화분을 2장의 박막을 붙여 형성하고, 이 개별화분의 양측에 마련한 상기 박막의 연장편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어 이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인접하는 개별화분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연결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7에 기재된 제5 발명은,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개별화분을 2장의 박막을 붙여 형성하고, 이 개별화분 중 절반의 개별화분의 양측에 마련한 상기 박막의 연장편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어 이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개별화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연장편을 가지지 않는 개별화분에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분에, 이 개별화분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의 모서리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9에 기재된 제1 방법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으로서, 띄형상 박막의 한쪽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양측 각 대략 1/4폭을 꺾어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 및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0에 기재된 제2 방법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으로서, 띄형상 박막의 한쪽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한 쪽 대략 1/3폭을 꺾어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 및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1에 기재된 제3 방법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으로서, 띄형상 박막의 양측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통형상의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소정 개수만큼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편을 배열하고, 이 연결편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각각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2에 기재된 제4 방법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으로서, 띄형상 박막 2장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고, 양측에 박막의 연장편을 가지는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장편을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을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2 공정과, 상기 개별화분을 병렬시키고, 인접하는 개별화분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연속체를 얻는 제3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3에 기재된 제5 방법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으로서, 띄형상 박막 2장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고, 양측에 박막의 연장편을 가지는 제1 개별화분과 상기 연장편을 가지지 않는 제2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장편을 제1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을 제1 개별화분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개별화분과 상기 제2 개별화분을 병렬시키고, 상기 제1 개별화분의 연장편의 끝부분을 상기 제2 개별화분에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여 연속체를 얻는 제3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별화분에, 상기 개별화분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통 또는 육각통의 모서리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재봉선 가공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 2, 3, 6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육묘중의 관수에 의해 수용성 접착제가 충분히 퇴화하여, 이식을 할 때 연결편이 원활하게 분리 또는 펼쳐진다. 또한, 개별화분의 이식 간격(그루 사이 간격)을, 해당 개별화분의 일측면의 폭의 약 7배(청구항 1 및 6에 기재된 발명), 약 4배(청구항 2 및 7(육각통)에 기재된 발명), 약 5배(청구항 7(사각통)에 기재된 발명)로 늘릴 수 있다.
청구항 4 및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측면에 대한 연결편 양끝부분의 접착위치(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집합시키는 경우에는, 연결편의 길이를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1~7배(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고, 또한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집합시키는 경우에는, 연결편의 길이를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1~5배(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8 및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연속집합화분를 펼칠 때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에서는, 종래 연속집합화분과 같이 연결편의 증장부분을 다층으로 접는 공정, 혹은 절결을 넣는 공정이 폐지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증장부분을 접거나 절결을 넣지 않고 연결편을 연장할 수 있게 하여, 이에 의해 그루 사이 간격의 확대 또는 변경에 안전하고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절감에 기여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인출(引出)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으로의 재봉선 형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의 응용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다른 응용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사각통형상)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서의 개별화분과 연결편의 접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서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20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육각통형상)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사각통형상)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압편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공정의 도중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제1 실시예, 제 2 실시예)
1, 11 : 연속집합화분 2, 12 : 개별화분
3, 13 : 연결편 6, 16 : 꺾임부
7, 17 : 접착부 8, 18 : 연속체
9, 19 : 연결부 21 : 다른쪽(연결편(13))
22 :재봉선
(제3 실시예)
41, 51 : 연속집합화분 42, 52 : 개별화분
43, 53 : 연결편 44, 54 : 연속체
46, 56 : 개별화분의 접착부 47, 57 : 연결편의 접착부
(제4 실시예, 제5 실시예)
81, 121 : 연속집합화분 82, 112, 122 : 개별화분
82, 123 : 연결편 84, 124 : 연속체
85(85A, 85B), 120(120A, 120B) : 박막
86, 125 : 개별화분의 접착부
87(87A, 87B), 126(126A, 126B) : 연장편
88, 127 : 연장편의 접착부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1)(이하, 연속집합화분(1)이라고 함)은,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2)을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2)은 연결편(3) 및 꺾임편(4, 5)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편(3)은,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도 2에서의 좌우방향) 양측 대략 1/4폭을 동일한 한쪽면으로 꺾어 통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내면을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것이다. 그리고, 본 연속집합화분(1)에서는, 상기 연결편(3)의 꺾임부(6)가, 상대하는 연결편(3)의 꺾임부(6)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1/2피치(1피치는 연결편(3)의 전체 폭과 거의 동등한 간격)만큼 어긋나게 하여 2열로 소정 수 배열되고, 각 연결편(3)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각 연결편(3)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임으로써(접착부(7)) 일련의 연속체(8)가 형성된다. 더구나, 본 연속집합화분(1)에서는, 상기 연속체(8)를 다수개 겹치고 그들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상기 개별화분(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1)이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연결편(3)(꺾임부(6)) 및 꺾임편(4, 5)의 사이, 연속체(8) 각층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는데, 실제로 이 간격들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연속집합화분(1)은, 각 연결편(3)의 마주보는 꺾임부(6) 서로의 접착부(7, 7)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부분이 개별화분(2)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 미접착부분(개별화분(2))이 해당 개별화분(2)의 일측면(도 1에 나타내는 육각형의 한변)의 폭과 동등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3)은, 상기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 양측이 각각 전체 폭의 대략 1/4 꺾이는 동시에, 양측 꺾임부(6)의 끝가장자리가 연결편(3)의 중앙에서 겹쳐짐으로써 형성되고, 이 중첩부가 상대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1/2 피치마다)으로 배열된다. 또한, 연결편(3)의 폭은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가 되도록 압착되어 있으며, 중첩부를 가지지 않는 측면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식시의 연결부(9)(연결편)로서 실질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연속체(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상기 연결편(3)을 붙임으로써 형성되며, 소정 수의 연속체(8)를 번갈아 180도 반전(회전)시켜 겹침으로써 상기 연속집합화분(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8)의 양끝부분에는 해당 연결편(3)보다 폭이 좁은 꺾임편(4, 5)이 배치된다. 그래서, 제1 실시예에서는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도 2에서의 좌우방향) 양측을 꺾어 꺾임편(4, 5)을 형성하고 있으며, 꺾임편(4)의 폭이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의 대략 3배로 설정되는 동시에, 꺾임편(5)의 폭이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연속집합화분(1)에서는, 이와 같이 형성된 꺾임편(4, 5)이 상기 연속체(8)의 양끝에 각각 배열되며, 연결편(3)에 붙어 개별화분(2)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속체(8) 양끝에서 꺾임편(4, 5) 서로의 사이가 비수용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부(10)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겹쳐진 상기 연속체(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로 보관 및 제공되며, 이 상태로 연속체(8)의 적층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별화분(2)이 벌집형상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연속집합화분(1)이 출현한다. 육묘를 할 때는, 상기 연속집합화분(1)을 펼친 상태로 육묘상자 안에 설치되고, 각 개별화분(2)에 재배토를 충전하여 이것에 파종한다. 그리하여, 소정일 동안 육묘하면, 이 육묘안의 관수에 의해, 연결편(3) 및 꺾임편(4, 5) 내면의 수용성 접착제, 그리고 연속체(8)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한다. 따라서, 본 연속집합화분(1)에서는 육묘후의 이식에 있어서, 연속체(8)의 한쪽 끝을 당기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8)가 일렬로 끌려나오고,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9)(연결편)의 길이는, 상기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 길이가 되어, 넓은 그루 사이 간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연속집합화분(1)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식할 때 서로 연결된 개별화분(2) 사이의 연결부(9)(연결편)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접착부(7) 및 접착부(10)의 접착면이 개별화분(2)의 인출방향과 나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이에 의해, 이식시에 접착부(7) 및 접착부(10)가 벗겨지지 않고, 개별화분(2)을 안정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띄형상 박막의 꺾임부(6)의 양끝 가장자리를 겹쳐 연결편(3)을 형성하였는데, 꺾임부(6)의 양끝 가장자리를 맞대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의 대략 1/3을 넘지않는 범위안이면, 양 꺾임부(6)의 끝가장자리 서로의 사이에 틈을 두고 접착하여 연결편(3)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11)(이하, 연속집합화분(11)이라고 함)은,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12)을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12)은 연결편(13) 및 각 꺾임편(14, 15)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13)은,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도 5에서의 좌우방향) 일측 대략 1/3 폭을 꺾고, 그 꺾임부(16)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한 것이다. 그리고, 본 연속집합화분(11)에서는, 연결편(13)의 꺾임부(16)가, 상대하는 연결편(13)의 꺾임부(16)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1/2 피치(1피치는 연결편(13)의 전체 폭과 거의 동등한 간격)만큼 어긋나게 하여 2열로 소정 수 배열되고, 각 연결편(13)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각 연결편(13)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17)) 일련의 연속체(18)가 형성된다. 또한, 본 연속집합화분(11)에서는, 상기 연속체(18)를 다수개 겹치고 그들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상기 개별화분(1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11)이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연결편(13)(꺾임부(16)) 및 꺾임편(14, 15)의 사이, 연속체(18) 각층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는데, 실제로 이 간격들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연속집합화분(11)은 각 연결편(13)의 마주보는 꺾임부(16)의 사이, 또는 각 연결편(13)에서 꺾임부(16)가 붙어있지 않은 다른 쪽(21)(띄형상 박막의 다른쪽) 사이의, 접착부(17, 17)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부분이 개별화분(12)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 미접착부분(개별화분(12))이 개별화분(12)의 일측면(도 4에 나타내는 육각형의 한 변)의 폭과 동등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13)은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일측을 전체 폭의 대략 1/3 만큼 꺾어 형성되고, 상대하는 각 연결편(13)의 꺾임부(16)가 마주보고, 또한 상대하는 연결편(13)의 다른쪽(21)이 마주보도록 지그재그 형상(1/2 피치마다)으로 배열된다. 또한, 연결편(13)의 폭은 개별화분(1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가 되도록 압착되어 있으며, 꺾임부(16)가 붙어있지 않은 측면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식시의 연결부(19)(연결편)로서 실질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연속체(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연결편(13)을 붙임으로써 형성되며, 소정 수의 연속체(18)를 번갈아 180도 반전(회전)시켜 겹침으로써 연속집합화분(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18) 양끝부분에는 연결편(13)보다 폭이 좁은 꺾임편(14, 15)이 배치된다. 그래서, 제2 실시예에서는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도 5에서의 좌우방향) 한쪽을 꺾어 꺾임편(14, 15)을 형성하고 있으며, 꺾임편(14)의 폭이 개별화분(12) 일측면의 폭의 대략 3배로 설정되는 동시에, 꺾임편(15)의 폭이 개별화분(1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연속집합화분(11)에서는 꺾임편(14, 15)이 연속체(18)의 양끝에 각각 배열되며, 연결편(13)과 접착되어 개별화분(12)을 형성하는 동시에, 연속체(18) 양끝에서 꺾임편(14, 15) 서로의 사이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부(20)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연속체(1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1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로 보관 및 제공되며, 이 상태로 연속체(18)의 적층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별화분(12)이 벌집형상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해당 연속집합화분(1)이 출현한다. 육묘를 할 때는, 이 연속집합화분(1)을 펼친 상태로 육묘상자 안에 설치하고, 각 개별화분(12)에 재배토를 충전하여 이것에 파종한다. 그리하여, 소정일 육묘하면, 이 육묘 안의 관수에 의해, 연결편(13) 및 꺾임편(14, 15)의 꺾임면의 수용성 접착제, 및 연속체(18)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한다. 따라서, 육묘후의 이식에 있어서, 연속집합화분(11)을 구성하는 연속체(8)의 한쪽 끝을 당기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18)가 일렬로 끌려나오고,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연결부(19)의 길이는, 상기 개별화분(12) 일측면의 폭의 대략 4배 길이가 되어, 약간 넓은 그루 사이 간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연속집합화분(1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식할 때 서로 연결된 개별화분(12) 사이의 연결부(19)(연결편)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접착부(17) 및 접착부(20)의 접착면이 개별화분(12)의 인출방향과 나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이에 의해, 이식시에 접착부(17) 및 접착부(20)가 벗겨지지 않고, 개별화분(12)을 안정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막재질의 종류는 임의이며, 적어도 육묘기간중에는 내부식성을 가지는 것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육묘기간은 40일 전후인데, 긴파, 양파 등의 경우에는 40~90일 혹은 그 이상이 된다. 40일 전후의 내부식성을 가 지는 재질 종류로는, 예를 들어, 식물섬유지에 방부제 또는 살균제를 도포 또는 혼초(混抄)한 종이나 천연펄프에 합성섬유를 혼초한 합성섬유지 등이 있다. 또한, 40~90일 혹은 그 이상의 내부식성을 가지는 재질 종류로는, 약제로 합성섬유 혼초지를 처리하여 습윤강도를 높인 내부식지나, 비부식성 부직시트, 천연펄프를 약제처리한 종이 또는 합성섬유 혼초지를 살균제 등의 내부식성 약제로 처리한 종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의 종류도 임의인데, 수용성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화학합성물, 또는 아라비아고무,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수용성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초산 비닐에멀젼, 에폭시수지 에멀젼, 핫멜트(hot-melt) 등의 화학합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연속집합화분(1, 11)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화분(2, 12)에서의 육각형통의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재봉선(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에서의 연결편(3)에 형성하는 재봉선(22)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의 각 연결편(3)의 접착부(7, 7)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부분(개별화분(2))에 4열의 재봉선(22)을 형성한 것으로, 이 재봉선(22)의 폭은 개별화분(2) 일측면의 폭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재봉선(22)을 형성한 연속집합화분(1)을 펼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각통형상의 각 개별화분(2)이 재봉선(22)에 의해 균등하게 펼쳐지게 되어, 펼칠 때 필요한 장력이 줄어들고 작업자의 노력이 경감된다. 한편, 재봉선(22)의 절결폭이나 간격 등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본 연속집합화분(1, 11)으로 육묘하고,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화분(2, 12) 및 연결부(9, 19)를 끌어내 포장(圃場)에 이식할 때, 이것들이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어서, 도 10에 근거하여 제1 실시예의 연속집합화분(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폭이 넓은 박막(원지)이 감긴 각 원지롤(23)로부터 원지(24)를 끌어내며, 각 원지(24)는 슬리터(slitter; 25)에 의해 소정 폭, 소정 장수의 띄형상 박막(26)으로 재단된다. 각 띄형상 박막(26)은 통제조 풀칠롤러(27) 및 통제조 장치(28)에 차례로 보내지고, 통제조 풀칠롤러(27)에 의해 한쪽 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통제조 장치(28)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성형된다.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각 띄형상 박막(26)은 압착롤러(29)로 보내지며, 내면이 접착됨으로써 띄형상 연결편(30a,30b) 및 띄형상 꺾임편(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된다. 이어서, 각 띄형상 연결편(30a,30b)은 상하 2단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연결편 풀칠장치(31)에 의해 하단의 띄형상 연결편(30b)에 비수용성 접착제가 줄무늬 형상으로 도포되어 압편롤러(32)로 보내진다. 그리고, 압편롤러(32)에 의해 띄형상 연결편(30a)과 띄형상 연결편(30b)이 접착되어(도 2에서의 접착부(7)) 띄형상 연속체(33)가 형성된다.
이 때, 띄형상 연속체(33)의 양끝에는 소정 폭의 띄형상 꺾임편(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배열되며, 상기 압펼롤러(32)에 의해 접착된다. 이에 의해, 해당 띄형상 연속체(33)의 단면형상이 연속체(8)의 단면형상(도 2 참조)과 같아진다. 이어 서, 띄형상 연속체(33)는 적층풀칠롤러(34), 적층풀칠장치(35)에 차례로 보내지며, 적층풀칠롤러(34)에 의해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적층풀칠장치(35)에 의해 띄형상 연속체(33)의 옆끝에 위치하는 띄형상 꺾임편(꺾임편(4) 혹은 꺾임편(5)이 띄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접착제가 도포된 띄형상 연속체(33)는 회전날 커터(rotary cutter)(36)에 의해 소정 폭(개별화분(2)의 높이에 상당)으로 절단되어 연속체(8)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속체(8)는 다음의 반전장치(37)에 의해 한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되어 적층접착장치(38)에 보내진다. 여기서, 연속체(8)를 서로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접착하는 동시에, 꺾임편 서로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연속집합화분(1)이 완성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적층풀칠롤러(34) 근방에는, 띄형상 연속체(33)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소정 양의 띄형상 연속체(33)가 회전날 커터(36)로 보내지면 적층풀칠롤러(34)가 상승하여, 연속체(8) 한장의 폭(개별화분(2)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띄형상 연속체(33)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층접착장치(38)에서 소정 장수의 연속체(8)가 적층 접착되게 되어, 연속집합화분(1)으로서 1개씩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실시예인 개별화분(1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11)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조흐름과 같으며, 이것을 도 10에 나타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각 원지롤(23)로부터 끌어낸 각 원지(24)를 슬리터(25)로 띄형상 박막(26)으로 재단하고, 각 띄형상 박막(26)의 한 쪽에 통제조 풀 칠롤러(27)에 의해 전체 폭의 대략 1/3 만큼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통제조 장치(28)에 의해 통제조 풀칠롤러(27)로 풀칠한 부분만을 꺾고, 압착롤러(29)에 의해 붙임으로써, 각 띄형상 연결편(30a, 30b)이 성형된다. 이어서, 각 띄형상 연결편(30a, 30b)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열하고, 연결편 풀칠장치(31)에 의해 하단의 띄형상 연결편(30b)에 비수용성 접착제가 줄무늬 형상으로 도포되어, 띄형상 연결편(30a)과 띄형상 연결편(30b)이 압편롤러(32)에 의해 접착된다.
여기서 상대하는 띄형상 연결편(30a, 30b)은, 꺾여진 부분(연결편(13)의 꺾임부(16)에 상당하는 부분)끼리, 혹은 띄형상 연결편(30a, 30b)에서 꺾임부(16)가 붙어 있지 않은 다른쪽(연결편(13)의 다른쪽(21)에 상당하는 부분) 끼리가 서로 접착되도록, 통제조 장치(28)에서의 띄형상 박막(26)의 꺾임 방향이 설정된다. 또한, 슬리터(25)에 의한 재단폭 및 통제조 장치(28)에 의한 꺾임폭이 다른 띄형상 꺾임편(꺾임편(14) 및 꺾임편(15)이 띄형상으로 형성된 것, 도시생략)도 마찬가지로 가공되며, 꺾임편(14)에 상당하는 띄형상 꺾임편이 띄형상 연속체(33)의 한쪽 끝에 접착되는 동시에, 꺾임편(15)에 상당하는 띄형상 꺾임편이 띄형상 연속체(33)의 다른쪽 끝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연속체(18)의 단면형상(도 5 참조)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띄형상 연속체(33)가 형성된다. 이어서, 띄형상 연속체(33)가 적층풀칠롤러(34), 적층풀칠장치(35) 및 회전날 커터(36)로 차례로 이송되어 연속체(18)가 형성된다.
더구나, 연속체(18)가 반전장치(37), 적층접착장치(38)에 보내져, 육각통형 상의 개별화분(1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11)이 완성된다. 한편, 띄형상 연속체(33)의 이송량을 검출하여 해당 띄형상 연속체(33)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는 점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연속집합화분(1, 11)의 제조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연속집합화분(1, 11)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화분(2, 12)(육각통형상)의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봉선(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롤러(32) 바로 뒤에 재봉선 가공장치(39)를 설치하고, 연결편(3) 및 꺾임편(4, 5), 또는 연결편(13) 및 꺾임편(14, 15)의 미접착부분(개별화분(2) 혹은 개별화분(12))에 재봉선(22)을 형성하면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제3 실시예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42)을 다수개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42)은 연결편(4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개별화분(42)과 연결편(43)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연속체(44)는, 개별화분(42)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지고, 이에 의해 개별화분(4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별화분(42)과 연결편(43)의 간격 및 연속체(44) 각층의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는데, 실제로는 이 간격들에 도시하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개별화분(42)은 박막(45) 양끝부분의 중첩부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46))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육각형의 1변)의 폭 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한편, 각 연결편(43)은 개별화분(42)과 별개로 형성되며, 또한 병렬된 개별화분(42)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은, 여기서는 인접하는 개별화분(42) 서로의 사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는 측면(42a, 42a)으로서, 서로 내측이 되는 모서리각에 근접하는 부위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접착부(47)). 따라서, 여기서 각 연결편(43)은,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각 연속체(44)는 개별화분(42)의 측면에 각 연결편(43)을 수용성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붙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연속체(44)는 또한 소정 길이 마다 180도 반전(회전)하여 겹쳐져 있다. 이 경우, 연속체(44) 서로의 연결부분에서는, 상기 소정 길이의 연결편(43)보다 긴 꺾임편(48)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꺾임편(48)을 2분할하고, 한 쪽 분할편(48a)을 상측 연속체(44)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42)에, 다른 쪽 분할편(48b)을 하측 연속체(44)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42)에 각각 마련하고, 두 분할편(48a, 49b)을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49)에 의해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4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로 보관 및 제공되며, 이 상태로 연속체(44)의 적층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별화분(42)이 벌집모양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연속집합화분(41)이 출현한다. 육묘를 할 때는, 이 연속집합화분(41)을 펼친 상태 에서 육묘상자(도시하지 않음) 안에 설치하고, 각 개별화분(42)에 재배토를 충전하여 이것에 파종한다. 그리하여, 소정일 육묘하면, 이 육묘 안의 관수로 인해, 개별화분(42) 측면과 연결편(43)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 및 연속체(44)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한다. 따라서, 육묘후의 이식시에 연속집합화분(41)을 구성하는 연속체(44)의 한쪽 끝을 당기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44)가 일렬로 끌려 나오고, 이에 의해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연결편(43)의 길이는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가 되어, 넓은 그루 사이 간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편(43)은 인접하는 개별화분(42)에 대한 접착부(47)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여러가지 길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동일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함)는, 연결편(43)의 길이를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대략 3.5배로 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42) 서로의 사이에서 중간정도로 떨어진 측면(42b, 42b)의 중간부위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하면 된다(접착부(47)).
또한, 도 15(동일부분에 같은 부호를 사용함)는, 연결편(43)의 길이를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로 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42) 서로의 사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측면(42a, 42a)으로서, 서로 바깥쪽이 되는 모서리각에 근접하는 부위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하고(접착부(47)), 또한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상기 접착부(47)의 바깥가장자리를 지점(支點)으로 꺾게 한다. 한편, 이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접착부(47)에서 꺾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편(43)의 길이가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대략 6.5배가 된다.
더구나, 제3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개별화분(42)의 선대칭이 되는 위치(예를 들어, 측면(42a) 또는 측면(42b) 위)에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접착하고, 인접하는 개별화분(42)에 대하여 균등하게 연결편(43)을 늘리도록 하고 있는데, 이 연결편(43)은 인접하는 개별화분(42)에 대하여 불균등하게 늘어나도 되는 것은 물론, 이 경우, 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의 1~7배의 범위안에서 연결편(43)의 길이를 보다 세밀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 16 내지 도 18에 따라 설명한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서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52)을 다수개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52)은 연결편(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개별화분(52)과 연결편(53)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연속체(54)는, 개별화분(52)이 격자형상이 되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지며, 이에 의해 개별화분(5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5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6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개별화분(52)과 연결편(53)의 사이 및 연속체(54) 각층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는데, 실제로 이 간격들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개별화분(52)은 박막(55) 1장의 양끝부분의 중첩부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56))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이 인접하는 개별화분(52)의 일측면과 밀착하여 격자형상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편(53)은 개별화분(52)과 별개로 형성되고, 또한 개별 화분(52) 일측면의 폭(사각통의 1변)과 동등한 간격을 두고 병렬되어 이루어지는 개별화분(52)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연결편(53)의 양끝부분은, 여기서는 인접하는 개별화분(52) 서로의 사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접착부(57)). 따라서, 여기서 각 연결편(53)은 개별화분(5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각 연속체(54)는, 개별화분(52)의 측면에 각 연결편(53)을 수용성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하는 동시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화분(52)이 그 일측면의 폭만큼 겹쳐지도록 개별화분(52)의 측면에 따라 각 연결편(53)을 꺾어(화살표 R, R' 방향), 그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연속체(52)는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회전)되어 겹쳐져 있다. 한편, 이 경우, 연속체(54) 서로의 연결부분에서는, 상기 소정 길이의 연결편(53)과 동등한 꺾임편(58)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꺾임편(58)을 2분할하고, 각각의 분할편(58a, 58b)을 연속체(54)의 양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52)에 각각 설치하며, 두 분할편(58a, 58b)을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59)에 의해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51)은 압편상태로 보관 및 제공되며, 이 상태로 연속체(54)의 적층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별화분(52)이 격자모양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연속집합화분(51)이 출현한다. 이 연속집합화분(51)은 개별화분(52)의 형상(사각통형상)과 연속체(54)의 연결 형태가 상기 연속집합화분(41)(육각통형상)과 다르지만, 파종 및 육묘방법 등은 상기 연속집합화분(41)과 같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편(53)의 길이를 개별화분(52) 일측면의 폭의 5배로 하였는데, 상기 일측면의 폭의 1~5배의 범위내이면, 재배하는 작물에 따라 연결편(53)의 길이(그루 사이 간격)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연속집합화분(41, 51)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화분(42, 52)에서의 육각통 및 사각통의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집합화분(41, 51)에 사용하는 박막의 재질, 접착제의 종류는 임의이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기재와 같다.
이어서, 도 19에 근거하여 제3 실시예인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4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4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개별화분(42)용 폭이 넓은 박막(원지)이 감진 제1 원지롤(60)과, 연결편(43)용 폭이 넓은 박막(원지)이 감진 2개의 제2 원지롤(61)이 준비된다. 그리고, 제1 원지롤(60)로부터 끌려나온 원지(62)는, 슬리터(63)에 의해 소정 폭, 소정 장수의 띄형상 박막(64)으로 재단된다. 이 띄형상 박막(64)들은 통제조 풀칠장치(65) 및 통제조 장치(66)에 차례로 보내지고, 통제조 풀칠장치(65)에 의해 각 띄형상 박막(64)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접착부(46)를 형성하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통제조 장치(66)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이에 의해 상기 개별화분(42)과 같은 면적 크기를 가지는 띄형상 통(67)이 된다. 이 띄형상 통(67)은 소정 간격(개별화분(42) 일측면의 폭과 동등한 간격)으로 병렬되어 연결롤러(68)로 보내진다.
한편, 2개의 제2 원지롤(61, 61)로부터 끌려나온 원지(69, 69)는, 슬리터(70, 70)에 의해 소정 폭, 소정 장수의 띄형상 연결편(71, 71)으로 재단된다. 이 띄형상 연결편(71)들은 2개의 연결편 풀칠장치(72, 73)에 차례로 보내지고, 앞단의 연결편 풀칠장치(72)에 의해 각 띄형상 연결편(7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접착부(47)를 형성하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뒷단의 연결편 풀칠장치(73)에 의해 그 중앙부의 소정 범위를 뺀 부분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연결롤러(68)로 보내진다. 이 때, 띄형상 연결편(71, 71)은 상기 연속체(44)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도록(도 11, 도 14, 도 15 참조), 즉 상기 띄형상 통(67)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연결롤러(68)에 보내지며, 이에 의해 상기 연속체(44)의 단면형상(도 12 참조)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띄형상 연속체(74)가 형성된다.
상기 띄형상 연속체(74)는 계속하여 적층풀칠롤러(75) 및 적층풀칠장치(76)에 차례로 보내지고, 적층풀칠롤러(75)에 의해 띄형상 연속체(74)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적층풀칠장치(76)에 의해 띄형상 연속체(74) 끝부분에 상기 꺾임편(48)의 접착부(49)를 형성하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띄형상 연속체(74)가 회전날 커터(77)에 의해 소정 폭(개별화분(42)의 높이에 상당)으로 절단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연속체(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연속체(44)는 다음의 반전장치(78)에 의해 한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되어 적층접착장치(79)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 연속체(44)가 서로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 접착되는 동시에, 꺾임편 서로가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연속집합화분(41)이 완성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적층풀칠롤러(75)에는 띄형상 연속체(74)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소정 양의 띄형상 연속체(74)가 회전날 커터(77)에 보내지면, 적층풀칠롤러(75)가 상승되고, 연속체(44) 한장의 폭(개별화분(42)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띄형상 연속체(74)의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층접착장치(79)에서 소정 장수의 연속체(44)가 적층 접착되게 되어, 연속집합화분(41)으로서 1개씩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결편(43)의 양끝부분을 꺾어 접착부(47)에서 접착하는 형식의 연속집합화분(41)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연결편 풀칠장치(72) 앞단에, 띄형상 연결편(71) 양측부분을 꺾는 공정이 마련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인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5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51)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낸 제조 흐름과 같으며, 이것을 도 19에 나타낸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 원지롤(60)로부터 끌어낸 원지(62)를 슬리터(63)에 의해 띄형상 박막(64)으로 재단하고, 통제조 풀칠장치(65)에 의해 비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며, 통제조 장치(66)에 의해 상기 개별화분(52)과 같은 단면 크기를 가지는 띄형상 통(67)을 형성한다. 한편, 2개의 제2 원지롤(61, 61)로부터 끌어낸 원지(69, 69)는 슬리터(70, 70)에 의해 띄형상 연결편(71, 71)으로 재단하고, 그 양측 가장자리에 비수용성 접착제를, 그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수용성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띄형상 연결편(71, 71)이 띄형상 통(67)을 상하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연결롤러(68)로 보내 이들이 연결된다.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5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51)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롤러(68) 뒷단에 도시하지 않은 꺾임풀칠장치, 꺾임장치 및 연속체 형성롤러가 차례로 설치된다. 그리고, 먼저 상기 꺾임풀칠장치에 의해 띄형상 연결편(71)의 양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어서 상기 꺾임장치에 의해 개별화분(52)으로서 제공되는 띄형상 통(67)에 대하여 띄형상 연결편(71)이 꺾이며(도 18 참조), 또한 상기 연속체 형성롤러에 의해 상기 연속체(54)의 단면형상과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띄형상 연속체(7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띄형상 연속체(74)는 이후 도 19에 나타낸 제조 흐름에 따라, 적층풀칠롤러(75), 적층풀칠장치(76) 및 회전날 커터(77)에 연속적으로 보내져 연속체(54)가 되며, 또한 반전장치(78) 및 적층접착장치(79)로 보내져, 이에 의해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52)을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51)이 완성된다. 한편, 띄형상 연속체(74)의 이송량을 검출하여 띄형상 연속체(74)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영역을 마련하는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연속집합화분(41, 51)의 제조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연속집합화분(41, 51)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화분(42, 52)에서의 육각형 및 사각형 통의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9에서의 연 결롤러(68)의 바로 뒤에 재봉선 가공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개별화분(42) 또는 개별화분(52)의 측면에 재봉선을 형성하면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20 내지 도 2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제4 실시예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82)을 다수개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82)은 연결편(8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개별화분(82)과 연결편(83)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연속체(84)는, 개별화분(82)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지고, 이에 의해 개별화분(8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8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별화분(82)과 연결편(83)의 사이 및 연속체(84) 각층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는데, 실제로 이 간격들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개별화분(82)은 2장의 박막(85)(85A, 85B)을 붙여 형성되어 있다. 이 2장의 박막(85)을 붙이는데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소정 간격으로 접착한 좌우 2군데의 접착부(86)의 내측부분이 개별화분(82)으로서 제공되게 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83)은, 개별화분(82)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박막(85)의 연장편(87)(87A, 87B)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88))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87) 중, 일단측 연장편(87A)은 한쪽 박막(85A)에, 타단측 연장편(87B)은 다른 쪽 박막(85B)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장편(87A, 87B)은 개별화분(82)의 측면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이고, 또한 각 개별화분(82)의 측면에 대하여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각 연장편(87)은 또한 인 접하는 개별화분(82)의 중간부위에 상기 접착부(88)가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연결편(83)은 개별화분(8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속체(84)는 소정 길이마다 180도 반전(회전)하여 겹쳐져 있다. 이 경우, 연속체(84) 서로의 연결부분에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연속체(84)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82)에 부수된 연장편(87)의 선단부에 형성한 꺾임부(87a)와, 하측 연속체(84)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82)에 부수되는 연장편(87)의 선단부에 형성한 여분부(87b)가,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89)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81)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로 보관 및 제공되며, 이 상태로 연속체(84)의 적층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개별화분(82)이 벌집형상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연속집합화분(81)이 출현한다. 육묘를 할 때는, 이 연속집합화분(81)을 펼친 상태로 육묘상자(도시생략) 안에 설치하고, 각 개별화분(82)에 재배토를 충전하여 이것에 파종한다. 그리고, 소정일 육묘하면, 이 육묘중의 관수로 인해 박막(85)의 연장편(87)과 개별화분(82) 측면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 및 연속체(84)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한다. 따라서, 육묘후의 이식시에 연속집합화분(81)을 구성하는 연속체(84)의 한쪽 끝을 당기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84)가 일렬로 끌려나오고, 이에 의해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연결편(83)의 길이는 개별화분(82) 일측면의 폭의 대략 7배가 되어, 넓은 그루 사이 간 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개별화분(82), 연결편(83)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부(86, 88, 89)의 접착면이 연속체(84)의 인출방향과 나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도 22), 인장력에 대한 전단응력이 충분하게 되어, 이식시에 연속체(84)를 안정적으로 끌어낼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25 내지 도 27에 따라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의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82)을 다수개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82)이 연결편(8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는 점, 이 개별화분(82)과 연결편(83)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연속체(84)가, 개별화분(82)이 1/2 피치 어긋나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져 있다는 점, 이에 의해 개별화분(8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체(81)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제5 실시예에서 연속체(84)는, 양측에 2장의 박막(85)(85A, 85B)의 연장편(87)(87A, 87B)을 가지는 상기 제4 실시예와 똑같은 형태의 개별화분(이하, 이것을 제1 개별화분이라고 함)(82)과, 양측에 상기 연장편(87)을 가지지 않는 개별화분(이하, 이것을 제2 개별화분이라고 함)(112)을 번갈아 배열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2 개별화분(112)은 2장의 박막(110)(110A, 110B)을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각 박막(110A, 110B)에는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111)의 형성에 필요한 풀칠부(113)가 설치되어 있을 뿐, 상기 연장편(87)에 상당하는 것은 생략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83)은, 제1 개별화분(82)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박막(85)의 연장편(87)(87A, 87B)의 끝부분을 상기 제2 개별화분(112)의 풀칠부(113)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114))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편(87)은 제1 개별화분(82)의 측면에 따라 꺾이고, 또한 각 개별화분(82) 측면에 대하여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따라서 연결편(83)은 개별화분(82) 일측면의 폭의 대략 4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연속체(84)의 적층형태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연속체(84)는 1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하여 겹쳐지고, 이에 의해 본 연속집합화분(8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속체(84)의 꺾임부에는 별도로 짧은 연결보조편(1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81)의 작용은 제4 실시예와 같으며, 육묘중의 관수에 의해 박막(85)의 연장편(87)과 제1 개별화분(82) 측면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 및 연속체(84)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하기 때문에, 육묘후의 이식시에 연속집합화분(81)을 구성하는 연속체(84)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체(84)가 일렬로 끌려나와, 이에 의해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연결편(83)의 길이는 개별화분(82, 112) 일측면의 폭의 대략 4배가 되어, 넓은 그루 사이 간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3 및 도 24에 따라 제4 실시예의 연속집합화분(8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박막(85A, 85B)을 소정 폭만큼 겹쳐 좌우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고, 그 중첩부 양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하여 상기 접착부(86)로 하며, 상기 접착부(86)보다 바깥쪽 부분을 상기 연장편(87A, 87B)으로 한다. 이어서, 각 연장편(87A, 87B)을 상기 접착부(86)의 안쪽 가장자리에 설정한 접어넣기선(L)을 지점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고, 도 2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연장편(87A, 87B)을 상기 접착부(86) 사이에 형성되는 편평한 상태의 개별화분(82)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한다. 이 때, 각 연장편(87A, 87B)의 연장끝부분(자유단부)은 편평한 상태의 개별화분(82)의 양끝으로부터 옆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어 나가, 도시한 바와 같은 접힌 상태의 중간체(109)가 얻어진다. 그 후에는 도 2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체(109)를 소정 수 병렬시켜 배치하고, 인접하는 중간체(109) 서로의 사이에서 연장편(87)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한다(접착부(88)). 이에 의해 일련의 연속체(84)가 얻어지고, 그 후 연속체(84)를 한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회전)시키면서 원하는 만큼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한다.
도 24는 상기 연속집합화분(81)(육각통형상)을 제조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미리 폭넓은 박막(원지)이 감긴 상하 한쌍의 원지롤(90, 90)이 준비된다. 각 원지롤(90)로부터 끌려나온 원지(91)는 슬리터(92)에 보내져 소정 폭의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으로 재단되며, 이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은 통제조 롤러(95)에 소정 폭만큼 겹쳐진 위치관계로 보내진다. 이 때, 하측 띄형상 박막(94)의 윗면에는 통제조 롤러(95)의 앞단에 배치한 화분풀칠장치(96)에 의해 비수용성 접착제가 소정의 간격(상기 접착부(86)의 간격 … 도 23의 (A))으로 2줄 도 포되고, 이에 의해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의 중첩부분은 통제조 롤러(95)를 통과하는 동안에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즉,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의 사이에는 상기 개별화분(82)으로서 제공되는 미접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통제조 롤러(95)를 통과한 접합상태의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은, 접어넣기선 부여장치(97), 접어넣기 풀칠장치(98) 및 접기장치(99)를 차례로 거쳐 접기롤러(100)로 보내진다. 그리고 그 동안 접어넣기선 부여장치(97)에 의해 상기 접착부(86)의 안쪽 가장자리에 따라 접어넣기선(L)(도 23의 (A) 참조)이 부여되고, 접어넣기 풀칠장치(98)에 의해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의 중첩부 양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며, 접기장치(99)에 의해 상하 띄형상 박막(93, 94)의 비중합부(박막(85A, 85B)의 연장편(87A, 87B)에 상당)가 상기 접어넣기선(L)을 지점으로 꺾이고, 접기롤러(100)에 의해 접착된다. 그 결과, 상기 중간체(109)(도 23의 (B) 참조)와 같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띄형상 중간체(101)가 얻어진다.
상기 띄형상 중간체(101)는 여러개가 나란히 이동하고 있으며, 다음의 연결편 풀칠장치(102)에서 나란한 띄형상 중간체(101)의 한 쪽 비중합부의 선단부에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이 나란한 복수개의 띄형상 중간체(101)는, 그 옆끝부분이 약간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롤러(103)로 보내지며, 이에 의해 복수개의 띄형상 중간체(101)가 서로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연결되어(상기 연장편(87)의 끝부분 끼리의 연결에 상당), 폭이 넓은 띄형상 연속체(104)가 된다(도 23의 (C) 참조). 한편, 상기 띄형상 연속체(104)의 옆끝부분에는, 상기 연속체(84)의 연결에 필요한 꺾임부(87a)와 여분부(87b)(도 20, 도 21 참조)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 어 있다.
이어서, 상기 띄형상 연속체(104)는 적층 풀칠장치(105)로 보내져, 적층 풀칠롤러(105a)에 의해 띄형상 연속체(104)의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는 동시에, 적층 풀칠노즐(105b)에 의해 띄형상 연속체(104) 끝부분의 꺾임부(87a)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어서, 띄형상 연속체(104)는 회전날 커터(106)에 의해 소정 폭(개별화분(82)의 높이에 상당)으로 절단되며, 이에 의해 상기 연속체(8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연속체(84)는 다음의 반전기(107)에 의해 한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되어 적층접착장치(108)로 보내진다. 여기서, 연속체(84)가 서로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 접착되는 동시에, 꺾임부(87a)와 여분부(87b)가 서로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연속집합화분(81)이 완성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적층풀칠장치(105)에는 띄형상 연속체(104)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소정 장수의 띄형상 연속체(104)가 회전날 커터(106)로 보내지면 적층 풀칠롤러(105a)가 상승하여, 한장의 연속체(84)의 폭(개별화분(82)의 높이)에 상당하는 만큼 띄형상 연속체(104) 윗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층접착장치(108)에서 소정 장수의 연속체(84)가 적층 접착되게 되어, 연속집합화분(81)으로서 1개씩 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2장의 박막(85)(85A, 85B)으로서 같은 폭(같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 소정 폭만큼 어긋나게 하여 겹치고, 서로 겹쳐지는 상대가 되는 박막에 연장편(87)(87A, 87B)을 마련하도록 하였는데, 본 발명 은 한쪽 박막에만 연장편(87)을 마련하고, 이것에 개별화분(82)의 형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한 다른 쪽 박막을 붙이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제5 실시예의 연속집합화분(81)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4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으며, 양측에 박막(85)의 연장편(87)을 가지는 제1 개별화분(82)과 상기 연장편(87)을 가지지 않는 제2 개별화분(112)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편(87)을 제1 개별화분(82)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87)을 제1 개별화분(82)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별화분(82)과 상기 제2 개별화분(112)을 병렬시켜, 상기 제1 개별화분(82)의 연장편(87)의 끝부분을 상기 제2 개별화분(112)의 풀칠부(113)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하여 연결편(83)을 형성하고 연속체(84)를 얻으며, 그 후 상기 연속체(84)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적층 접착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 28 내지 도 30에 따라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는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122)을 다수개 집합시킨 것으로, 각 개별화분(122)은 연결편(12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개별화분(122)과 연결편(123)에 의해 형성된 일련의 연속체(124)는, 개별화분(122) 일측면의 폭만큼 겹쳐지도록 꺾이고, 그 사이가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각 연속체(1224)는 서로 수용성 접착제를 통하여 겹쳐지며, 이에 의해 개별화분(122)을 조밀하게 집합시킨 연속집합화분(1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8 및 도 29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별화분(122)과 연결편(123)의 사이 및 연속체(123)의 각층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나타내었지만, 실제로 이 간격들에는 도시하 지 않은 수용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개별화분(122)은 도 30의 (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박막(120)(120A, 120B)을 붙여 형성되어 있다. 이 2장의 박막(120)을 붙이는데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소정 간격으로 붙인 좌우 2군데의 접착부(125)의 내측부분이 개별화분(122)으로서 제공되게 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123)은, 개별화분(122)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박막(120)의 연장편(126)(126A, 126B)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접착부(127))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126) 중, 한쪽 끝의 연장편(126A)은 한쪽 박막(120A)에, 다른 쪽 끝의 연장편(126B)은 다른 쪽 박막(120B)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각 연장편(126A, 126B)은 개별화분(122) 측면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이고, 또한 각 개별화분(122)의 측면에 대하여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연장편(126)은 또한, 인접하는 개별화분(122)의 중간부위에 상기 접착부(127)가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연결편(123)은 개별화분(12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속체(124)는 1장 간격으로 180도 회전하여 겹쳐져 있다. 이 경우, 연속체(124) 서로의 연결부분에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연속체(124)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122)에 부수되는 연장편(126) 선단부에 형성된 여분부(126a)와, 하측 연속체(124)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개별화분(122)에 부수되는 연장편(126) 선단부에 형성된 여분부(126b)가,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128)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속집합화분(121)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편상태로 제공되어, 이 상태로 연속체(124)의 적층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각통형상의 개별화분(122)이 격자형상으로 펼쳐지고, 소정 크기의 연속집합화분(121)이 출현한다. 이 연속집합화분(121)을 펼친 상태로 육묘상자(도시하지 않음) 안에 설치하는 점은 제4 실시예와 같으며, 육묘중의 관수에 의해, 박막(120) 연장편(126)과 개별화분(122) 측면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 및 연속체(124) 서로의 사이의 수용성 접착제가 퇴화한다. 따라서, 육묘후에 이식할 때, 연속집합화분(121)을 구성하는 연속체(124)의 한쪽 끝을 당기면, 연속체(124)가 일렬로 끌려나오고, 이에 의해 효율적인 이식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연결편(123)의 길이는 개별화분(122) 일측면의 폭의 대략 5배가 되어, 넓은 그루 사이 간격을 필요로 하는 작물의 재배에 유효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제5 실시예에서는 연속집합화분(81 및 121)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화분(82, 122 및 112)에서의 육각통 및 사각통의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4에서의 연결롤러(103)의 바로 뒤에 재봉선 가공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개별화분(81, 122) 혹은 개별화분(112)의 측면에 재봉선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연속집합화분(81, 121)에 사용하는 박막의 재질, 접착제의 종류는 임의이며, 제1, 제2 실시예에서의 기재와 마찬가지이다.
본 연속집합화분(121)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4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으며, 양측에 박막(120)의 연장편(126)을 가지는 개별화분(122)을 형성 한 후, 도 3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편(126)을 개별화분(122)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126)을 개별화분(122)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접착하고, 연장편(126) 끝부분 끼리를 접착부(127)에 의해 접착하여 연결편(123)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란히 배치된 개별화분(122) 사이에서 개별화분(122)이 일측면의 폭만큼 겹쳐지도록 연결편(123)을 꺾는 동시에, 그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124)를 형성한다. 그 후에는 연속체(124)를 1장 간격으로 180도 반전시키면서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적층접착한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7)
-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띄형상 박막의 폭방향 양측 각 1/4폭을 동일한 한쪽면으로 꺾어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며, 상기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주보는 연결편 사이에 개별화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띄형상 박막의 폭방향 일측의 1/3폭을 꺾어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이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며, 이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주보는 연결편 사이에 개별화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띄형상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편과 개별화분을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각 연결편을,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각 연결편의 양끝부를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각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각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제 3 항에 있어서,개별화분이 육각통형상이고, 연결편이 상기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3.5~7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제 3 항에 있어서,개별화분이 사각통형상이고, 연결편이 상기 개별화분 일측면의 폭의 3.5~5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개별화분을 2장의 박막을 붙여 형성하고, 이 개별화분의 양측에 마련한 상기 박막의 연장편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어 이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인접하는 개별화분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연결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종이 또는 종이와 같은 박막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형상의 개별화분을 연결편으로 접속하여 연속체로 하고, 이 연속체를 겹치는 동시에, 상기 겹친 연속체 서로의 사이를 수용성 접착제로 붙인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에 있어서,개별화분을 2장의 박막을 붙여 형성하고, 이 개별화분 중 절반의 개별화분의 양측에 마련한 상기 박막의 연장편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어 이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개별화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연장편을 가지지 않는 개별화분에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개별화분에, 상기 개별화분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 또는 육각통의 모서리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 제 1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의 한쪽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양측 각 1/4폭을 꺾어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 및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의 한쪽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띄형상 박막의 폭방향의 한 쪽 1/3폭을 꺾어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결편을, 꺾임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연결편의 폭방향 양측 끝부분을 마주보는 연결편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 및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3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의 양측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통형상의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소정 개수만큼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편을 배열하고, 이 연결편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각각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 2장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고, 양측에 박막의 연장편을 가지는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장편을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을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2 공정과, 상기 개별화분을 병렬시키고, 인접하는 개별화분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연장편의 끝부분 끼리를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고 연속체를 얻는 제3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7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 2장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고, 양측에 박막의 연장편을 가지는 제1 개별화분과 상기 연장편을 가지지 않는 제2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연장편을 제1 개별화분의 측면에 따라 꺾는 동시에, 이 연장편을 제1 개별화분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개별화분과 상기 제2 개별화분을 병렬시키고, 상기 제1 개별화분의 연장편의 끝부분을 상기 제2 개별화분에 붙여 연결편을 형성하여 연속체를 얻는 제3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상기 개별화분에, 상기 개별화분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통 또는 육각통의 모서리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재봉선 가공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4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의 양측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통형상의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소정 개수만큼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편을 배열하고, 이 연결편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각각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기재한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띄형상 박막의 양측 끝부분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통형상의 개별화분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소정 개수만큼 병렬시킨 상기 개별화분의 양측에 번갈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편을 배열하고, 이 연결편의 양끝부분을 인접하는 개별화분의 각각의 측면에 비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동시에, 이 연결편의 한쪽면을 상기 개별화분의 측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연속체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연속체를 겹쳐 서로 수용성 접착제로 붙이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개별화분에, 상기 개별화분을 펼침으로써 형성되는 사각통 또는 육각통의 모서리 위치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재봉선 가공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77906 | 2004-12-27 | ||
JP2004377907A JP4543381B2 (ja) | 2004-12-27 | 2004-12-27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4-00377907 | 2004-12-27 | ||
JP2004377906A JP4692809B2 (ja) | 2004-12-27 | 2004-12-27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JP-P-2005-00327315 | 2005-11-11 | ||
JP2005327315A JP4543393B2 (ja) | 2005-11-11 | 2005-11-11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PCT/JP2005/023774 WO2006070738A1 (ja) | 2004-12-27 | 2005-12-26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1872A KR20070101872A (ko) | 2007-10-17 |
KR101252125B1 true KR101252125B1 (ko) | 2013-04-08 |
Family
ID=3661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7410A KR101252125B1 (ko) | 2004-12-27 | 2005-12-26 |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7937892B2 (ko) |
EP (2) | EP1832159B1 (ko) |
KR (1) | KR101252125B1 (ko) |
CN (1) | CN102415296B (ko) |
AU (1) | AU2005320675B2 (ko) |
DK (2) | DK2767155T3 (ko) |
ES (2) | ES2647292T3 (ko) |
PT (2) | PT1832159T (ko) |
WO (1) | WO20060707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0013543U1 (de) * | 2010-09-23 | 2012-01-19 | Kamal Daas | Vorrichtung zur Aufzucht von Pflanzen |
US8708166B1 (en) * | 2012-11-29 | 2014-04-29 | Elizabeth Lynne Crouch | Confection rack |
TWM458078U (zh) * | 2013-02-05 | 2013-08-01 | Chunghwa Picture Tubes Ltd | 水耕栽種裝置及其採收設備 |
CN105766454A (zh) * | 2014-12-23 | 2016-07-20 | 天津市帅彤无纺布制品有限公司 | 一种互联式无纺布育苗袋 |
US20180201393A1 (en) * | 2017-01-18 | 2018-07-19 | Cory Lawrence Johns |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deploying large structures using hexagons |
USD852088S1 (en) * | 2017-03-08 | 2019-06-25 | Syndicate Sales, Inc. | Circular flat base floral design mechanic |
USD845164S1 (en) * | 2017-03-08 | 2019-04-09 | Syndicate Sales, Inc. | Dual sided open ended floral bouquet mechanic |
USD852087S1 (en) * | 2017-03-08 | 2019-06-25 | Syndicate Sales, Inc. | Oblong flat base floral design mechanic |
CN114145161A (zh) * | 2020-09-07 | 2022-03-08 | 孟永升 | 一种链式育苗筒册及制造方法 |
CN114246084A (zh) * | 2020-09-24 | 2022-03-29 | 孟永升 | 一种线牵引链式育苗筒册及制造方法 |
KR102367264B1 (ko) | 2021-06-26 | 2022-02-24 | 주식회사 케이팩 | 연쇄형 모종포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쇄형 모종포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3869A (ja) * | 1993-11-04 | 1995-05-16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 |
JPH08266162A (ja) * | 1995-03-31 | 1996-10-15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JPH10164997A (ja) | 1996-12-13 | 1998-06-23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およびその移植機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57468A (en) * | 1970-02-02 | 1973-09-11 | Circle Tekkogo K K | Seedling grower and method of planting seedling cultivated in the seedling grower |
JPS51141246A (en) * | 1975-05-30 | 1976-12-04 | Nippon Beet Sugar Mfg | Continued paper pot assembly for growing of seedling |
JPS5275555A (en) * | 1975-12-18 | 1977-06-24 | Nippon Beet Sugar Mfg | Continuous paper pot assembly * its transplanting method and its device |
JPS5811817B2 (ja) | 1980-04-15 | 1983-03-04 |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 連続集合鉢体の製造方法 |
JPS5811817A (ja) | 1981-07-15 | 1983-01-22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音響ホログラフイ用マイクロホントラバ−ス装置 |
US4950218A (en) * | 1987-11-16 | 1990-08-21 | Nihon Tensaiseito Kabushiki Kaisha | Multiple pot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JPH0633807Y2 (ja) * | 1990-08-30 | 1994-09-07 |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 育苗移植用鉢体 |
JP2627471B2 (ja) | 1992-05-08 | 1997-07-09 |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 接地型の連続鉢苗移植機 |
US5653055A (en) * | 1995-01-31 | 1997-08-05 | Nihon Tensaiseito Kabushiki Kaisha | Continuously assembled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
JP3521293B2 (ja) * | 1995-01-31 | 2004-04-19 |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
2005
- 2005-12-26 PT PT58202292T patent/PT1832159T/pt unknown
- 2005-12-26 ES ES14168094.2T patent/ES2647292T3/es active Active
- 2005-12-26 PT PT141680942T patent/PT2767155T/pt unknown
- 2005-12-26 AU AU2005320675A patent/AU2005320675B2/en not_active Ceased
- 2005-12-26 KR KR1020077017410A patent/KR1012521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12-26 WO PCT/JP2005/023774 patent/WO200607073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12-26 CN CN201110234484.2A patent/CN10241529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26 DK DK14168094.2T patent/DK2767155T3/en active
- 2005-12-26 EP EP05820229.2A patent/EP1832159B1/en active Active
- 2005-12-26 US US11/794,266 patent/US7937892B2/en active Active
- 2005-12-26 ES ES05820229.2T patent/ES2641573T3/es active Active
- 2005-12-26 DK DK05820229.2T patent/DK1832159T3/en active
- 2005-12-26 EP EP14168094.2A patent/EP2767155B1/en active Active
-
2011
- 2011-02-11 US US12/929,734 patent/US809990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3869A (ja) * | 1993-11-04 | 1995-05-16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 |
JPH08266162A (ja) * | 1995-03-31 | 1996-10-15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JPH10164997A (ja) | 1996-12-13 | 1998-06-23 | Nippon Beet Sugar Mfg Co Ltd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およびその移植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32159A1 (en) | 2007-09-12 |
WO2006070738A1 (ja) | 2006-07-06 |
CN102415296B (zh) | 2014-01-01 |
US20080066378A1 (en) | 2008-03-20 |
EP2767155A1 (en) | 2014-08-20 |
EP1832159A4 (en) | 2013-07-17 |
US20110131877A1 (en) | 2011-06-09 |
ES2647292T3 (es) | 2017-12-20 |
CN102415296A (zh) | 2012-04-18 |
PT2767155T (pt) | 2017-10-04 |
DK1832159T3 (en) | 2017-09-18 |
ES2641573T3 (es) | 2017-11-10 |
US8099901B2 (en) | 2012-01-24 |
AU2005320675B2 (en) | 2011-02-17 |
PT1832159T (pt) | 2017-09-08 |
DK2767155T3 (en) | 2017-10-09 |
EP2767155B1 (en) | 2017-08-30 |
EP1832159B1 (en) | 2017-08-02 |
AU2005320675A1 (en) | 2006-07-06 |
US7937892B2 (en) | 2011-05-10 |
KR20070101872A (ko) | 2007-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2125B1 (ko) | 육묘이식용 연속집합화분 및 그 제조방법 | |
US5653055A (en) | Continuously assembled pots for rais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 |
FI97767C (fi) | Astiaryhmä taimien kasvattamista ja uudelleen istuttamista varten | |
JP4543393B2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521293B2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
JPS5811817B2 (ja) | 連続集合鉢体の製造方法 | |
DE1582059A1 (de) | Zucht- oder Anpflanzungsbeethalter zur Erleichterung des Pflanzens oder Setzens | |
JP4692809B2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8266162A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
WO2023013731A1 (ja) | 連続移植用連続集合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543381B2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822190B2 (ja) | 切れ目付き帯体とこれを用いる底付き集合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3663527B2 (ja) | 育苗移植用底付き鉢体 | |
JPH0478248B2 (ko) | ||
JPH0970230A (ja) |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 |
JPH0568436A (ja) | 育苗移植用底付き鉢集合体の製造方法 | |
JPH056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