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574B1 - 자동 2,3륜차의 스탠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2,3륜차의 스탠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574B1
KR0165574B1 KR1019940030074A KR19940030074A KR0165574B1 KR 0165574 B1 KR0165574 B1 KR 0165574B1 KR 1019940030074 A KR1019940030074 A KR 1019940030074A KR 19940030074 A KR19940030074 A KR 19940030074A KR 0165574 B1 KR0165574 B1 KR 016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racket
shaft
cov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02A (ko
Inventor
고이치 스기오카
세이이치 다테이시
슈이치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1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로크시 스탠드 자체를 해체되지 않도록 한 자동2·3륜차의 스탠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스탠드장치는 차체측에서 연장된 브래킷(28)에 장착홀(29)을 형성하고, 그 일부에 절결부(30)를 형성한다.
한편, 스탠드커버(23)의 브래킷(28)과 중복되는 측별(31)에도 장착홀(32)을 형성하고, 메인스탠드(20)를 격납상태로 했을 때 절결부(30)와 일치하는 절결부(33)를 형성한다. 브래킷(28) 및 스탠드커버(23)의 각 장착홀(29)(32)에 스탠드축(22)을 끼워넣고, 그 외주부 반경방향에 돌출형성된 돌기(26)를 절결부(30(33)에 일치시키고, 스탠드커버(23)의 측벽(31) 내측으로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메인스탠드(20)를 기립시키면 절결부(30)(33)의 위치가 어긋나기 때문에 스탠드축(22)의 돌기(26)는 브래킷(28) 또는 스탠드커버(23)의 측별(31)(31)에 당접하여 빼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Description

자동2·3륜차의 스탠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스쿠터형 차량의 전체측면도.
제3도는 스쿠터형 차량의 전체평면도.
제4도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부측면도.
제5도는 스탠드부분의 확대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탠드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제6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미드크로스부재 13 : 시이트
20 : 메인스탠트 21 : 스탠드브래킷
22 : 스탠드축 23 : 스탠드커버
25 : 헤드부 26 : 돌기
28 : 브래킷 29 : 장착홀
30 : 절결부 31 : 측벽
32 : 장착홀 33 : 절결부
47 : 캠판 70 : 이탈저지 플레이트
71 : 특수볼트 73 : 특수너트
본 발명은 차체 하부에 스탠드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탠드와, 이 스탠드를 기립위치에 로크할 수 있는 로크장치를 구비한 자동2·3륜차의 스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2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로크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71971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스탠드로크장치는 차체 하부에 대해 스탠드를 스탠드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스탠드에 결합해서 상기 스탠드를 기립위치에 로크하는 로크핀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로크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조향핸들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로크핀을 언로크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탠드의 로크를 해제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탠드로크장치를 구비하더라도 스탠드축을 빼낼 수 있으면, 스탠드 자체를 차체로부터 해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난당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차량의 도난방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자체의 제거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자동2·3륜차의 스탠드장치는, 차체 하부에 스탠드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기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요동하는 스탠드와, 이 스탠드를 기립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장치를 구비한 자동2·3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축을 스탠드로크시 빼낼 수 없으며, 또는 빼내기 어렵게 하기 위한 빼냄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도 빼낼 수 없다라는 것은 차체측과 스탠드의 연결부에 결합 등에 의해 스탠드축을 빼내는 것이 저지되고, 또한 파괴하지 않으면 스탠드축을 축방향으로 빼낼 수 없게 한 것이며, 빼내기 어렵게 한다는 것은 특수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스탠드축을 빼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스탠드를 기립시켜서 로크장치로 로크하면 차량은 주행불능상태가 된다. 또한, 빼냄방지수단에 의해 스탠드로크 상태일 때 스탠드축을 빼낼 수 없거나 빼내기 어렵게되어 스탠드 자체를 차체에서 제거할 수 없거나 또는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로크장치로 스탠드로크를 하여 차량의 도난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탠드로크 상태에서는 빼냄방지수단에 의해 스탠드축을 빼낼 수 없거나 빼내기 어렵게 했으므로, 스탠드 자체를 차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불가능 또는 곤란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의 도난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가 적용된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제2도 및 그 평면도인 제3도 및 그 후부측 요부를 확대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터형 차량의 골격을 구성하는 본체프레임은, 강관의 프레임조립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전단에 위치하는 헤드파이프(1)와, 이 헤드파이프(1)의 하단에서 하부로 뻗은 다운튜브(2)와, 이 다운튜브(2)의 하단 근방에서 차체의 후방 상부로 뻗으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는 리어프레임(3)과, 이 리어프레임(3)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부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프론트 크로스부재(4), 미드크로스부재(5) 및 리어크로스부재(6)를 구비한다. 헤드파이프(1)에 조향가능하게 지지된 프론트포크(7)의 상단에는 조향핸들(8)이 설치되며, 하단에는 전륜(9)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미드크로스부재(5)에는 링크기구를 통해 파워유닛(10)이 전단에서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파워유닛(10)의 후단부에는 후륜(11)이 지지되고, 또 파워유닛(10)의 후부와 리어크로스부재(6)가 리어쿠션(12)을 통해 접속된다.
본체프레임의 외주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 커버에 의해 피복된다. 본체커버는 다수의 부재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중 시트(13) 하부에는 리어상부커버(14), 리어하부커버(15) 및 언더커버(16)가 설치되어 있다.
리어상부커버(14)는 전후부 및 좌우 양측부가 벽면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고리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일체성형된 단일부재로 구성된다.
리어상부커버(14)의 내부에는 헬멧 등을 수납하는 수화물박스(17)가 삽입결합되어 있으며, 리어상부커버(14)의 상부면 개구부는 그 전단에 있어서 힌지저지된 시트(1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피복된다.
리어상부커버(14)의 후부에는 후륜(11)의 상부를 피복하는 리어펜더(18)가 장착된다. 리어하부커버(15) 및 언더커버(16)는 좌우로 분할된 구조이다.
다음에, 메인스탠드(20)의 차체장착구조를 설명한다. 메인스탠드(20)는 미드크로스부재(5)에 용접된 접시형상의 스탠드브래킷(21)의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뻗은 스탠드축(22)을 통해 앞뒤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메인스탠드(20)는 상기 스탠드축(22)에 지지된 스탠드커버(23)와, 이 스탠드커버(23)의 뒷면에 용접된 차폭방향으로 대력 역U자형상을 이루는 스탠드본체(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탠드브래킷(21)과의 사이에 설치된 토글스프링(35)의 탄발력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격납위치와 제4도에 도시한 기립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하도록 힘을 받는다.
메인스탠드(20) 부분을 확대한 제5도 및 그 6-6선단면인 제6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메인스탠드(20)의 기립위치는 스탠드커버(23)의 전면이 스탠드브래킷(21)의 뒷벽에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메인스탠드(20)와 스탠드브래킷(21)의 결합구조는 제5도와, 스탠드축(22)에 의한 결합방법을 도시한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스탠드축(22)의 외주부에는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25) 근방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난방지수단의 일예를 이루는 이탈저지돌기(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축(22)의 선단측에는 직경방향의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중 A부는 돌기(26) 부분에 있어서의 확대회전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스탠드브래킷(21)의 측벽 후부 좌우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장착 브래킷(28)이 형성되며, 여기에 스탠드축(22)을 통과하는 장착홀(29)과 한쪽 브래킷(28)(실시예에서는 좌측 브래킷(28))에 형성된 장착홀(29) 주위의 일부에 돌기(26)를 통과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커버(23)중 좌우 브래킷(28)의 안쪽에 포개지는 좌우 측별(31)에도 장착홀(29)과 같은 장착홀(32)이 형성되며, 또 좌우의 장착홀(32)중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는 쪽(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는 같은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3)는 돌기(26)를 통과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 각 장착홀(29)과 장착홀(32)을 일치시키고, 또 메인스탠드(20)를 격납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눕혔을 때 절결부(30)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브래킷(28)의 내측에 스탠드커버(23)를 집어넣고, 브래킷(28)과 장착홀(32)을 일치시키고, 또 메인스탠드(20)를 대략 수평으로 눕혀서 절결부(30)와 절결부(33)를 일치시키고, 계속해서 스탠드축(22)의 선단을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브래킷(28)에 형성된 장착홀(29)에 넣고, 또 돌기(26)를 절결부(30)에 맞추어서 그대로 밀어넣고, 돌기(26)를 측별(31)의 내측에 집어넣는다.
이때 스탠드축(22)의 선단이 우측 브래킷의 장착홀(29)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므로, 이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7)에 분할핀(34)을 통과시키면 스탠드축(22)이 탈락방지된다.
또한, 메인스탠드(20)를 세우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33)의 위치가 절결부(30)로부터 대략 90°정도 회전한 위치가 되어 어긋나기 때문에 돌기(26)는 측벽(31) 또는 브래킷(28)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당접되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돌기(26)의 위치는 단지 스탠드축(22)을 끼워넣은 채, 즉 절결부(30)와 일치하는 상태거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주변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든 어느쪽이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스탠드축(22)에 의해 메인스탠드(20)를 스탠드브래킷(21)에 연결하면 메인스탠드(20)를 세우고 주차했을 때 스탠드축(22)을 빼낼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스탠드로크에 의해 메인스탠드(20)을 격납상태로 할 수 없게 됨으로서 주행을 불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탠드로크상태에서 메인스탠드(20) 자체를 차체측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도난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핀(34)을 사용했기 때문에 메인스탠드(20)의 격납상태에서도 스탠드축(22)의 탈락이 방지된다.
단, 분할핀(34)에 의한 이탈저지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또 돌기(26)와 같은 돌기를 스탠드축(22)의 선단에 형성하고, 또 우측 브래킷(28) 및 측벽(31)의 각 장착홀(29)(32)에 절결부(30(33)를 형성하고, 스탠드축(22)을 통과시킨 후, 스탠드축(22)을 축주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이탈을 저지시킬 수도 있다.
또, 스탠드축(22)의 선단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탈락을 저지해도 된다(제8도 참조).
제7도 및 제8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이 예에서는 빼냄방지수단으로서 이탈저지 플레이트(70)를 특수공구를 필요로 하는 특수볼트(71)로 스탠드브래킷(21)의 측면에 장착하고 있다.
이탈저지 플레이트(70)는 제8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스탠드브래킷(21)의 측면에서 후방으로 뻗고, 그 단부(72)는 스탠드축(22)의 헤드부(25) 외부에 중복된다.
이 때 이탈저지 플레이트(70)를 떼어내지 않는 한 스탠드축(22)을 빼낼수 없으며, 또 이탈저지 플레이트(70)는 특수볼트(71)에 의해 간단하게 빼내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스댄트축(22)을 빼낼 수 없게 되어 도난방지에 도움이 된다.
이런 경우 스탠드축(22)에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돌기(26)를 형성하든 형성하지 않든 상관없다.
또, 분할핀(34)(제1도)도 생략할 수 있다.
또, 이탈저지 플레이트(70) 대신 또는 이탈저지 플레이트(70)와 병용해서 제8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드축(22)의 돌출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브래킷(28)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특수공구를 필요로 하는 특수너트(73)를 장착해도 된다.
이 특수너트(73)도 빼냄방지수단의 일예로서 간단하게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의 도난방지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음에,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해서 스탠드로크장치를 설명한다.
스탠드브래킷(21)의 후부 내면과, 스탠드커버(23)의 뒷면에는 각각 보강부재(40)(41)가 용접된다. 메인스탠드(20)가 기립상태에 있을 때 보강부재(40), 스탠드브래킷(21), 스탠드커버(23) 및 보강부재(41)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포개지고, 이 상태에서 보강부재(40) 및 스탠드브래킷(21)을 관통하는 슬릿(42)과, 스탠드커버(23) 및 보강부재(41)를 관통하는 슬릿(43)이 상호 대향한다.
스탠드브래킷(21)의 내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4)가 볼트(45)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 플레이트(44)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기(46)(제5도)가 보강부재(40)에 형성된 홈(도시생략)에 삽입결합되어 회전이 저지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상부면에는 캠판(47)이 볼트(48)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캠판(47)에 형성된 스프링훅(49)과 베이스 플레이트(44)에 형성된 스프링훅(50) 사이에 스프링(51)이 길게 설치된다.
캠판(47)은 상기 스프링(51)의 탄발력으로 제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47)에 형성된 스토퍼(52)가 베이스 플레이트(44)에 형성된 브래킷(53)에 당접하는 언로크 위치에서 정지한다.
캠판(47)은 상기 언로크 위치에 있을 때 스탠드커버(23) 및 보강부재(41)의 슬릿(43)으로부터 이탈하고, 메인스탠드(20)는 요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후술하는 조작레버(54)와 캠판(48)을 연결하는 브레이크 케이블(55)은 아웃튜브(56)와 이너케이블(57)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웃튜브(56)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상기 브래킷(53)에 지지됨과 동시에, 이너케이블(57)의 일단은 캠판(47)의 스프링훅(50)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너케이블(57)을 잡아당김으로써 스프링(51)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캠판(47)을 제6도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캠판(47)이 스탠드커버(23) 및 보강부재(41)의 슬릿(43)에 결합되어 메인스탠드(20)는 기립위치에 로크된다.
조작레버(54)는 캠판(47)을 로크위치 및 언로크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제4도에 되시한 바와 같이 도시를 생략한 시이트록에 의해 로크 가능한 시이트(13)에 의해 피복된 수화물박스(1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차량의 도난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조작레버(54)는 수화물박스(21)의 후부 벽면에 핀(58)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핀(58)의 후단에는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55)의 이너케이블(57)이 장착된 아암(59)이 고착된다. 부호 60은 후크로서, 시트(13) 후단의 바닥부에 형성된 로크부재(61)에 결합되어 시트(13)를 폐위치에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레버(54)를 조작하면 이너케이블(57)이 당겨지면서, 캠판(47)이 스프링(51)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제6도의 실선 위치로 회동하고, 메인스탠드(20)가 기립위치에 로크된다. 반대로, 조작레버(54)를 조작하여 이너케이블(57)을 느슨하게 하면 캠판(47)은 스프링(51)의 탄발력으로 제6도의 가상선 위치로 회동하여 메인스탠드(20)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3)가 폐위치에 로크되면 그 전단회동부에 설치되어 있는 핀(62)을 빼낼 수 없게 되어 시트(13)를 빼내서 조작레버(54)를 조작하는 것도 방지된다.

Claims (1)

  1. 차체 하부에 스탠드축(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기립위치와 격납위치 사이를 요동하는 스탠드와, 이 스탠드를 기립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장치를 구비한 자동2·3륜차에 있어서, 차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탠드브래킷(21)과 이것에 스탠드축(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스탠드(20) 기단부의 각각의 장착홀(29)(32)에 메인스탠드(20) 격납상태시에 서로 일치하는 절결(30)33)부를 형성하고, 스탠드축(22)에는 상기 절결부(30)(33)와 일치하는 돌기(2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3륜차의 스탠드장치.
KR1019940030074A 1993-11-16 1994-11-16 자동 2,3륜차의 스탠드장치 KR0165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08601A JP2925448B2 (ja) 1993-11-16 1993-11-16 自動2・3輪車のスタンド装置
JP93-308601 1993-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02A KR950013902A (ko) 1995-06-15
KR0165574B1 true KR0165574B1 (ko) 1998-12-01

Family

ID=1798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074A KR0165574B1 (ko) 1993-11-16 1994-11-16 자동 2,3륜차의 스탠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925448B2 (ko)
KR (1) KR0165574B1 (ko)
CN (1) CN1072141C (ko)
ES (1) ES2116860B1 (ko)
IT (1) IT1267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665B1 (ko) * 1998-02-04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렬여유도를 증가시키는 자기정렬콘택 패드를 갖는 반도체소자
JP2007223538A (ja) * 2006-02-24 2007-09-06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658Y2 (ja) * 1978-08-10 1983-03-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センタ−スタンドロツク装置
JPS584676A (ja) * 1981-06-30 1983-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スタンド起立方法及びスタンド装置
IT1061204B (it) * 1981-10-15 1983-01-27 Silla M Dispositivo anti-furto per motociclie applicato al cavalletto di stazionamento
IT8522586V0 (it) * 1985-07-24 1985-07-24 Celio Roberto Dispositivo antifurto in particolare per motocicli.
FR2598669A1 (fr) * 1986-05-13 1987-11-20 Moisdon Sa Cycles Dispositif antivol pour un engin a deux roues
FR2667563A1 (fr) * 1990-10-05 1992-04-10 Auvray Joseph Dispositif antivol pour vehicules a 2 roues bloquant la bequille en position d'appui sur le s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02A (ko) 1995-06-15
ES2116860B1 (es) 1998-12-16
ES2116860A1 (es) 1998-07-16
ITTO940913A0 (it) 1994-11-15
JPH07137676A (ja) 1995-05-30
CN1107794A (zh) 1995-09-06
CN1072141C (zh) 2001-10-03
JP2925448B2 (ja) 1999-07-28
ITTO940913A1 (it) 1996-05-15
IT1267615B1 (it) 199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1763A (en) Universal lock for quick release mechanism
US5709113A (en) Self-storing security device
JP3992095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0165574B1 (ko) 자동 2,3륜차의 스탠드장치
KR0165569B1 (ko) 자동 2.3륜차에 있어서의 스탠드 스토퍼구조
JP3455328B2 (ja)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JP4183106B2 (ja) 車両のメインスイッチ装置
JP3629265B2 (ja) 折り畳み式の二輪車両用の、施錠機構を備える、折り畳み車体開き防止連結装置
KR0162926B1 (ko) 자동 이,삼륜차의 스탠드 록 장치
JPS60229879A (ja) 自転車用施錠装置
JP3120855B2 (ja) 自動2輪車のスタンドロック装置
JP42489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987221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120942U (ja) 自転車の車輪施錠機構付き折たたみハンドル
JPH11115841A (ja) 自動二輪車用盗難防止装置
JP2620921B2 (ja) 車両用錠装置
EP0909695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a motorcycle
JP2001301673A (ja) 自動二輸車のロック装置
KR200196520Y1 (ko) 자전거 잠금 장치
JP3119325U (ja) 自転車用ハンドルロック施錠装置
JP3167952U (ja) 自転車の盗難防止装置
JP3205952B2 (ja) ワイヤー錠用係止部材及びそのワイヤー錠用係止部材を有する自転車用錠前装置
JPH1159520A (ja) センタ−スタンド
JP3027607U (ja) 二輪車用鋼索錠装置
JP3380869B2 (ja) 盗難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