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536B1 -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536B1
KR0162536B1 KR1019950034103A KR19950034103A KR0162536B1 KR 0162536 B1 KR0162536 B1 KR 0162536B1 KR 1019950034103 A KR1019950034103 A KR 1019950034103A KR 19950034103 A KR19950034103 A KR 19950034103A KR 0162536 B1 KR0162536 B1 KR 016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far
buckwheat
roasted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867A (ko
Inventor
안종현
이병순
김영걸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3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536B1/ko
Publication of KR97001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10∼140℃에서 15∼3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녹차에, 1일간 20∼25℃의 물에 침지한 후,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60분간 호화시킨 후, 200∼300℃에서 15∼30분간 로스팅한 메밀, 귀리 또는 호밀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50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녹차는 원적외선 배전처리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또는 메밀엽, 및 둥글레, 천궁 또는 산수유를 1종이상 더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녹차만으로 된 음료에 비해 기호성이 향상된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차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배전처리하고, 여기에 열풍건조기에서 호화시킨 후, 로스팅처리한 메밀, 귀리 또는 호밀을 1종이상 배합하거나, 원적외선 배전처리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또는 메밀엽, 및 둥글레, 천궁 또는 산수유를 1종이상 더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이 향상된 혼합녹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 속에 존재하는 산화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실활(失活)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져 왔고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카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녹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 작용, 중금속 해독작용, 충치예방 및 구취 제거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녹차의 유효한 약리효과 때문에 녹차를 음용하고 싶어도 녹차의 독특한 떫은 맛 때문에 그의 음용을 꺼리는 사람도 있어서, 이들에게는 녹차의 기호성을 증강시키는 것이 크게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녹차를 적당한 온도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후 여기에 기호성 및 약리적 작용이 우수한 여러 가지 곡류를 열풍건조기에서 호화시킨 후, 로스팅처리하여 혼합하거나, 여기에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식물엽 및 생약재를 더 혼합함으로써 보건효과의 증진과 동시에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10∼140℃에서 15∼3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녹차에, 1일간 20∼25℃의 물에 침지한 후,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60분간 호화시킨 후, 200∼300℃에서 15∼30분간 로스팅한 메밀, 귀리 또는 호밀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50중량%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이 좋은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녹차에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20∼140℃에서 10∼4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또는 메밀엽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녹차에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00∼120℃에서 20∼5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둥글레, 천궁 또는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설명의 상세한 설명란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녹차와 혼합시 기호성이 좋은 곡류, 식물엽, 생약재 원료를 선정하고자 광범위한 연구를 행한 결과, 곡류로서는 메밀, 귀리 및 호밀이, 식물엽으로서는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및 메밀엽이, 그리고 생약재로서는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가 원료로서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녹차의 기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곡류, 식물엽 및 생약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일년초이며 분류학상으로는 곡류와 구별되지만 크게 곡류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메밀은 우리 선조들이 오방지영물(五方之靈物)이라 하여 중요시한 작물로서 종자로서 메밀국수, 메밀죽, 메밀전 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었으며 또한 엽이나 줄기는 채소로 식용하여 왔다. 동의보감에는 메밀은 위를 강하게 하고 기운을 돋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오장내의 노폐물을 제거한다고 되어 있으며 또한 메밀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진 루틴(rutin)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혈압강하작용, 항산화효과, 항당뇨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귀리(Avena Sativa)는 포아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또는 이년생의 식물로 높이 90㎝가량이고 잎은 가늘고 길며 칼집 형상의 엽병(葉柄)이 있고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오트밀(oatmeal)로 하여 식용하고 알콜, 과자의 원료 및 가축의 사료로 사용한다.
호밀(Secale Cereale)은 포아풀과에 속하는 일년 또는 이년초로 밀의 한종류이다. 밀과 비슷하나 줄기 높이 1.5∼2m에 달하고 5-6마디가 있으며 잎은 밀보다 작고 짙은 녹색이다. 열매를 라이(rye)라 하여 빵, 국수등의 원료로 식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식물엽으로서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은 들깻잎을 말하는 것으로 특이한 방향(芳香)이 있다. 옛부터 기운을 북돋우고 독을 풀어주며 건위(健胃)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항알레르기 작용과 면역증강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모로헤이야엽(Corchorus olitorius)은 원산지가 인도 서부 수단에서부터 열대아프리카에 걸쳐있는 식물로서 잎은 우리나라의 깻잎과 비슷하나 녹황색이 매우 짙고 끈기가 있다. 모로헤이야엽에는 β-카로틴이 다른 녹황색 채소보다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암과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등의 성인병에 특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밀엽은 메밀(Fagopyrun esculentum Moench)의 잎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잎에는 루틴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혈압강하 및 항산화,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생약재로서 둥글레(Polygonatum japonicum)는 가을 또는 이른봄에 채취하여 뿌리, 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자양, 강장 및 당뇨병, 구강건조증, 폐결핵, 동맥경화 등에 효과가 있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rkino)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지하부는 부정형을 울퉁불퉁하며 비대하다. 8-9월에 백색꽃이 피며 종자는 열리지 않는다. 9-11월에 채취하여 줄기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지하부를 사용하며, 기운을 돋구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머리를 맑게 한다고 되어 있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낙엽소 교목으로서 7m까지 자라며 잎은 난형(暖形) 또는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9-10월에는 타원형의 적색 열매가 열리며 이를 햇볕이나 화력(火力)으로 말려 사용한다. 피로회복과 자양강장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Angelica gigas NAKI)는 2-3년생 초본으로 전체에 자주빛이 돌며, 뿌리는 굵고 강한 향기가 있다. 뿌리 부분을 약재로 쓰며, 비타민 B12, 쿠마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자양강장, 보혈(補血), 변비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녹차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원적외선으로 배전처리하고, 나머지 곡류, 생약재류 및 식물엽도 각각 특정의 조건에서 원적외선으로 배전처리하거나 도는 볶음 처리하여 상기 배전처리된 녹차에 배합하여 본 발명의 혼합 녹차를 제조한다. 이때 녹차에 배합되는 이들 원료들의 총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혼합 녹차의 총 중량의 50%를 넘지 않는 것이 기호성의 증진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각 재료의 처리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녹차의 원적외선 배전처리 공정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녹차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서 110∼140℃에서5-30분동안, 좋게는 15-30분동안, 파장5-100㎛에서, 좋게는 10-30㎛에서 원적외선 배전처리를 함으로써 녹차의 영양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맛과 향의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를 제조한다.
2. 곡류의 볶음 공정
본 발명에 사용한 곡류인 메밀, 귀리, 호밀 등을 이물질을 선별한 후 1일간 20-25℃의 물에 침지시킨후 건져내여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80분간 호화시킨 후 200-300℃에서 15-30분동안 로스팅함으로서 영양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며 기호성이 우수한 메밀, 귀리, 호밀 등을 제조한다.
3. 식물엽 및 생약재의 원적외선 배전처리 공정
본 발명에 사용한 식물엽인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등을 각각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서 120-140℃에서 10-40분간, 파장 5-100㎛, 좋게는 10-30㎛에서 원적외선 배전처리하며 또한 생약재인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 등은 각각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서 100-120℃에서 20-50분간, 파장 5-100㎛, 좋게는 10-30㎛에서 원적외선 배전처리함으로서 각 원료들의 영양성분 파괴를 방지하고 녹차와 배합시 보건성 및 기호성을 증진시키는 각각의 원료들을 제조한다.
4. 배합공정
상기 제2-3공정에서 제조한 메밀, 귀리, 호밀 등을 곡류 및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등의 식물엽, 그리고 둥글레, 천궁, 산수화 당귀등의 생약재류 중 1종 혹은 그 이상을 선택하여 제1공정에서 제조한 녹차와 적당량 배합하여 혼합차로 하거나 1.15-1㎜의 크기로 분쇄하여 음용이 간편한 티백차로 한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조함으로서 기호성이 좋은 혼합녹차가 얻어지며, 녹차의 배전처리조건은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서 110-140℃에서 15-30분간, 파장 10-30㎛를 사용하여 배전처리한 것이 혼합녹차로서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곡류의 볶음공정에서 메밀, 귀리, 호밀 등의 곡류를 직접 볶아서 추출할 경우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의 용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수한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 곡류를 약 1일간 물에 침지후 호화시켜 로스팅한 결과,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메밀, 귀리, 호밀 등의 로스팅 온도가 200℃ 이하일 경우 침출시 구수한 맛이 저하되어 300℃ 이상으로 로스팅하면 구수한 맛보다 탄맛이 강해져 기호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사용된 곡류의 로스팅 온도는 200-300℃가 바람직하다.
한편, 배전처리된 녹차 및 열풍건조기에서 호화시킨 후, 로스팅처리한 곡류에 더 첨가되는 식물엽 및 생약재의 원적외선 배전처리에 있어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등의 식물엽은 120-140℃의 온도에서 배전처리함으로서 녹차와 혼합시 기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120이하로 처리할 경우 각 원료 고유의 이미, 이취가 남아있어 기호도 저하를 초래하며 140℃이상으로 처리할 경우 녹차에 혼합시 각 원료들의 강향으로 오히려 녹차의 향미를 소실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식물엽의 원적외선 배전처리온도는 120-14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생약재인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 등의 원적외선 배전처리 온도는 120℃ 이상일 경우 식물엽과 마찬가지로 녹차와 혼합시 녹차의 향미를 소실시키며 100℃ 이하일 경우 가 원료 고유의 이미, 이취등으로 인해 녹차와 혼합시 기호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원적외선 배전처리 온도는 100-120℃가 바람직하다. 녹차 혼합차의 제조시 녹차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곡류, 식물엽, 및 생약재의 총 배합비율은 녹차의 고유한 맛의 소실을 방지하고, 기타 원료들과의 조화된 맛을 내기 위하여 총 중량의 50중량%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각종 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와 혼합시 기호성 있는 곡류의 선정]
녹차와 혼합하였을 때 기호성이 좋은 곡류의 선정을 위해 콩, 보리, 메밀, 수수, 귀리, 호밀, 팥, 녹두, 옥수수 찹쌀등을 1일간 물에 침지후 200℃에서 30분간 로스팅 한후 0.15-1㎜의 크기로 파쇄하였다.
녹차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20℃에서 30분간 파장 30㎛에서 배전처리한 후, 상기의 곡류와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1.5g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이를 85℃의 열수에 3분간 추출한 후 10인의 훈려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녹차와 혼합시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메밀, 귀리, 호밀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녹차와 혼합시 기호성이 있는 식물엽 생약재의 선정]
녹차와 혼합하였을 때 기호성이 좋은 식물엽 및 생약재의 선정을 위해 자소엽, 익모초, 모로헤이야엽, 월견초, 메밀엽, 구기엽등의 식물엽 및 참마, 둥글레, 감초 천궁, 산수유, 갈근 등의 생약재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20℃에서 20분간 파장300㎛에서 배전처리하였다. 녹차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20℃에서 30분간 파장 30㎛에서 배전처리한 후 상기의 식물엽 및 생약재와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1.5g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이를 85℃의 열수에 3분간 추출한 후 10인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2의 결과와 같이 녹차와 혼합시 기호성이 있는 식물엽 및 생약재로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 등이 우수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선정한 메밀, 귀리, 호밀을 1일간 25℃의 물에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분간 호화시킨 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표3의 온도조건 및 시간으로 로스팅하였다.
이를 0.15-1㎜의 크기로 파쇄한 후 1.5g 티백으로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곡류를 온도 200-300℃에서 15-30분간 로스팅하였을 때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2에서 선정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음 표 4의 온도조건 및 시간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다.(파장 30㎛). 이를 0.15-1㎜의 크기로 파쇄한 후 1.5g티백으로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의 결과와 같이 식물엽을 온도 120-140℃에서 10-4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을 때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2에서 선정한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음 표 5의 온도조건 및 시간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다(파장 30㎛). 이를 0.15-1㎜의 크기로 파쇄한 후 1.5g 티백으로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표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와 같이 생약재를 온도 100-120℃에서 20-5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을 때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6]
[녹차와 곡류, 식물엽, 생약재의 배합비의 설정]
상기 실시예 3-실시예5의 결과에 따라 메밀, 귀리, 호밀 등의 곡류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0℃에서 15분간 로스팅하였으며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등의 식물엽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20℃에서 3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파장 30㎛)하였다. 또한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 등의 생약재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2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파장 30㎛)하였다.
녹차를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20℃에서 30분간 파장 30㎛에서 배전처리한 후 상기의 곡류, 식물엽, 생약재를 표 6의 비율로 배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표6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와 같이 녹차에 곡류, 식물엽, 생약재를 첨가하여 녹차 단독으로 한 대조군보다 기호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배합비는 50중량%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참고예 1]
메밀, 귀리, 호밀 등의 이물질을 선별한 후 1일간 25℃의 물에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분간 호화시킨후 250℃에서 20분동안 로스팅하였다.
[참고예 2]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등의 식물엽은 각각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온도 120℃, 파장 30㎛에서 25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다. 생약재인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 등은 각각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온도 110℃, 파장 30㎛에서 4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하였다.
[참고예 3]
메밀, 귀리, 호밀들의 이물질은 선별한 후 열풍건조기로 260℃ 20분간 로스팅하였다.
[참고예 4]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 둥글레, 천궁, 산수유를 각각 열풍건조기로 110℃에서 40분간 배전처리하였다.
[실시예 7]
녹차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온도 130℃, 파장 30㎛에서 30분간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후 이에 참고예1에서 제조한 메밀을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1에서 제조한 귀리를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시시예 9]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1에서 제조한 호밀을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1, 참고예2에서 제조한 귀리, 메밀엽, 둥글레를 녹차와 5:2: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1, 참고예 2에서 제조한 호밀, 자소엽, 천궁, 산수유를 녹차와 5:2: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1, 참고예 2에서 제조한 메밀, 메밀엽, 둥글레, 산수유를 녹차와 5:2:2:0.5: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1, 참고예 2에서 제조한 귀리, 메밀, 천궁, 당귀를 녹차와 5:2: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1, 참고예 2에서 제조한 호밀, 메밀엽, 둥글레, 천궁, 산수유를 녹차와 5:1: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
녹차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열풍건조기로 140℃에서 30분간 배전처리한후 이에 참고예3에서 제조한 메밀을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에서 제조한 귀리를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에서 제조한 호밀을 녹차와 5: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4에서 제조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메밀엽을 녹차와 5:2: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4에서 제조한 둥글레, 천궁, 산수유, 당귀를 녹차와 5:2: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 참고예 4에서 제조한 귀리, 메밀엽, 둥글레를 녹차와 5:2: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7]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 참고예 4에서 제조한 호밀, 자소엽, 천궁, 산수유를 녹차와 5:2: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 참고예 4에서 제조한 메밀, 메밀엽, 둥글레, 산수유를 녹차와 5:2:2:0.5:0.5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9]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 참고예 4에서 제조한 귀리, 메밀, 천궁, 당귀를 녹차와 5:2:2: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0]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참고예 3, 참고예 4에서 제조한 호밀, 메밀엽, 둥글레, 천궁, 산수유를 녹차와 5:1:1:1:1: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시험예 1]
[관능검사]
비교예 1-10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7-14의 녹차혼합차를 1.5g 티백으로 제조하여 80℃의 열수에 3분간 추출한 후 10인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에 의해 순위법에 의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녹차를 110-140℃에서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배전처리한 후, 이에 1일간 물에 침지한 후 호화시켜 200-300℃에서 로스팅한 메밀, 귀리 또는 호밀을 1종 이상 적당량 배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기호성이 좋은 혼합녹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혼합녹차에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20-140℃에서 배전처리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또는 메밀엽 1종 이상; 그리고 원적외선 드럼배전기로 100-120℃에서 배전처리한 둥글레, 천궁, 산수유 또는 당귀 1종 이상을 더 배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기호성이 좋은 혼합녹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10∼140℃에서 15∼3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녹차에, 1일간 20∼25℃의 물에 침지한 후, 100℃의 열풍건조기에서 40∼60분간 호화시킨 후, 200∼300℃에서 15∼30분간 로스팅한 메밀, 귀리 또는 호밀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50중량% 이하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녹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20∼140℃에서 10∼4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자소엽, 모로헤이야엽 또는 메밀엽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적외선 드럼 배전기로 100∼120℃에서 20∼50분 동안 5∼100㎛의 파장으로 원적외선 배전처리한 둥글레, 천궁 또는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녹차의 제조방법.
KR1019950034103A 1995-10-05 1995-10-05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KR0162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103A KR0162536B1 (ko) 1995-10-05 1995-10-05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103A KR0162536B1 (ko) 1995-10-05 1995-10-05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67A KR970019867A (ko) 1997-05-28
KR0162536B1 true KR0162536B1 (ko) 1998-11-16

Family

ID=1942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103A KR0162536B1 (ko) 1995-10-05 1995-10-05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53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87B1 (ko) * 2000-02-03 2002-06-20 임 화 춘 녹차엽을 함유하는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759A (ko) * 2002-03-13 2003-09-19 최성휴 생기환(生氣丸)
KR100513757B1 (ko) * 1998-09-25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은행잎을주원료로함유하는혼합차
KR100758249B1 (ko) * 2006-05-25 2007-09-12 한국식품연구원 쓴메밀 녹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9468B1 (ko) * 2006-06-30 2008-01-3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WO2011040697A1 (ko) * 2009-10-01 2011-04-07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및 귀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집중력, 기억력, 심리적 안정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1315323B1 (ko) * 2006-08-11 2013-10-07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강배전 녹차의 제조방법
DE102016222776A1 (de) 2015-11-19 2017-05-24 Mando Corporation Radarvorrichtung für Fahrzeuge und Zielbestimmungsverfahren für die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80A (ko) * 1997-07-26 1999-02-25 서경배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둥굴레 혼합차
KR100216664B1 (ko) * 1997-07-26 1999-09-01 서경배 가공성 및 기호성이 우수한 둥굴레차의 제조방법
KR100259012B1 (ko) * 1997-12-12 2000-06-15 서경배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말차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757B1 (ko) * 1998-09-25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은행잎을주원료로함유하는혼합차
KR100340787B1 (ko) * 2000-02-03 2002-06-20 임 화 춘 녹차엽을 함유하는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759A (ko) * 2002-03-13 2003-09-19 최성휴 생기환(生氣丸)
KR100758249B1 (ko) * 2006-05-25 2007-09-12 한국식품연구원 쓴메밀 녹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9468B1 (ko) * 2006-06-30 2008-01-3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1315323B1 (ko) * 2006-08-11 2013-10-07 (주)아모레퍼시픽 기호성이 우수한 강배전 녹차의 제조방법
WO2011040697A1 (ko) * 2009-10-01 2011-04-07 (주)아모레퍼시픽 데아닌 및 귀리추출물을 함유하는 집중력, 기억력, 심리적 안정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DE102016222776A1 (de) 2015-11-19 2017-05-24 Mando Corporation Radarvorrichtung für Fahrzeuge und Zielbestimmungsverfahren für di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67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86B1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KR0162536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KR101447900B1 (ko) 한방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8441B1 (ko) 기능성 맥아와 유색 현미를 이용한 유색 식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식혜
KR101697765B1 (ko) 달콤한 맛 덮밥 소스
JPH07147903A (ja) 茶葉を含有してなる食品
KR102084859B1 (ko) 울금꽃 모링가 발효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KR101796674B1 (ko)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KR100911773B1 (ko) 인삼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0296869B1 (ko) 생약재를함유한볶음분말식품및그의제조방법
KR101811516B1 (ko) 모링가 떡국떡과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7168A (ko) 조성물 그 기능성메주를 만드는 제조방법
KR102020931B1 (ko) 식용곤충을 함유하는 기능성 건강 스프의 제조방법
KR102128836B1 (ko) 오죽잎을 이용한 오죽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죽면
CN112369563A (zh) 一种大麦苗粉青团及其制备方法
CN105533654A (zh) 一种保健粉丝及其制备方法
KR100427558B1 (ko) 기능성 밥물
CN110393260A (zh) 一种红豆薏米红枣粉及其生产方法
KR101540265B1 (ko) 사자발약쑥이 함유된 건강쑥밥의 제조방법
CN109567144A (zh) 叶的植物肉及其制作方法
KR102146253B1 (ko) 석류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방법
Mandave et al. Jackfruit seed flour: Process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KR101585498B1 (ko) 순대 및 순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