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468B1 -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468B1
KR100799468B1 KR1020060060235A KR20060060235A KR100799468B1 KR 100799468 B1 KR100799468 B1 KR 100799468B1 KR 1020060060235 A KR1020060060235 A KR 1020060060235A KR 20060060235 A KR20060060235 A KR 20060060235A KR 100799468 B1 KR100799468 B1 KR 10079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far
extracting
active ingredi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846A (ko
Inventor
이승철
심형섭
김민철
김종완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금강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금강제약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4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8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far infrared light; using Terahertz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갈근을 원적외선에 조사하고, 용매에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갈근 추출방법보다 약리학적인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켜 갈근 추출물에 푸에라린 등이 포함된 폴리 페놀류의 추출 함량이 증가되어 항산화능이 향상된 고품질의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갈근, 원적외선, 용매, 추출, 유효 성분

Description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Method for extracting active components of Pueraria radix using far-infrared ray}
도 1은 푸에라린(A)과 다이드제인(B)을 나타낸 화학구조식이다.
도 2의 (A)는 무처리 대조구 갈근의 메탄올 추출물이며, (B)는 110℃에서 40분간 원적외선 처리한 갈근 추출물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피이다.
1. Kwon CH. (1974) Effect of Gal Geun Tang upon stress resistance of rat. Bull K H Pharma . Sci. 2: 53-58.
2. Hur J. (1984) Dong Ui Bo Gam. Namsandang, Seoul. 83.
3. Lee SJ. (1980) Bon Cho Gang Mok. Gomoonsa, Seoul. Vol 3, 1190.
4. Kitagawa J, Fukuda Y, Taniyama T, Yoshikawa M. (1995)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X. On the constituents of rehmanniae radixes(4): comparison of the constituents of various rehmanniae radixes originating in China, Korea, and Japan. Yakugaku Zasshi 115: 992-1003.
5. Hakagawa J, Noda N, Yamada S, Uno K. (1984) Studies on physical and chemical quality evaluation of crude drug preparation I. Analysis of Puerariae radix and species Puerariae. Yudagaku Zasshi 104: 50-56.
6. Liu S, Wang J, Liu C, Wen G, Liu Y. (1998) A study on processing of the root of Puerariae lobata (willd.) ohwi by HPLC. Zhongguo Zhong Yao Za Zhi 23: 723-725.
7. Ohshima Y, Okuyama T, Takahashi K, Takizawa T, Shibata S. (1988) Isolation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of isoflavonoids from the Puerariae root. Planta . Med. 54: 250-254.
8. Keung WM, Vallee BB. (1993) Biochemical studies of a new class of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ors from Puerariae radix. Alcohol Clin . Exp . Res. 17: 1254-1260.
9. Keung WM, Vallee BB. (1993) Daidzin, a potent selective inhibitor of human mitochondrial aldehyde dehydrogenase. Proc . Natl . Acad . Sci . USA 90: 1247-1251.
10. Sato T, Kawamoto A, Tamura A, Tatsumi Y, Fujii T. (1992)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of puerariae glycoside(PG)-1 (an isoflavonoid) and manggiferin (a xanthonoid). Chem . Pharm. Bull. Tokyo, Japan 40: 721-724.
11. Keung WM, Vallee BB. (1998) Kudzu root, ancient Chinese source of modern antidipsotropic agents. Phytochemistry 47: 499-506.
12. Kurihara T, Kikuchi M. (1975)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flower. V. On the components of flower of Puerariae thunbergiana benth. (2) Isolation of a new isoflavone glycoside. Yakugaku Zasshi 95: 1283-1285.
13. Inoue S, Kabaya M. (1989) Biological activities caused by far-infrared radiation. Int . J. Biometeorol. 33: 145-150.
14. Masushits K. (1988) Evaluation of the state of water by NMR spectrometry. FIR Joho . 5: 6-10.
15. Niwa Y, Miyachi Y. (1986) Antioxidant action of natural health products and chinese herbs. Inflammation 10: 79-91.
16.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 Food Sci . Nutr . 33: 1580-1583.
17.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 Soc. 58: 966-968.
18. Kim SY, Jeong SM, Park WP, Nam KC, Ahn DU, Lee SC. (2006)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f grape seed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s. Food Chem. 97: 472-479.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 44: 307-315.
20. SAS Institute.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1. Hanasaki Y, Ogawa S, Fukui G. (1994)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e oxygens scavenging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flavonoids. Free Radical Biol . Med . 16: 845-850.
22. Robak J, Gryglewski RJ. (1988) Flavonoids are scavengers of superoxide anions. Biochem. Pharmacol . 37: 837-841.
23. Masataka Y, Keiko. M. (1999)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 257: 40-44.
24. Gao Z, Huang K, Yang X, Xu H. (1999)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extracted from the radix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Biochim . Biophys . Acta 16: 1472-1473.
25. Morel I, Lescoat G, Cogrel P, Sergent O, Pasdeloup N, Brissot P, Cillard J, Cillard P. (1993) Antioxidant and iron-chelating activities of the flavonoids catechin, quercetin and diosmetin on iron-loaded rat hepatocyte cultures. Biochem . Pharmacol . 45: 13-19.
26. Das NP, Ratty AK. (1986) Effects of flavonoids on induced non-enzymic lipid peroxidation. In Plant flavonoids in biology and medicine,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Alan, R. Liss, New York, USA. 243.
27.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Cancer 341: 454-457.
28. Hav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 . Pharmacol . 32: 1141-1148.
29. Lee SC, Kim JH, Jeong SM, Kim DR.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 Food Chem . 51: 4400-4403.
30. Lee SC, Jeong SM, Kim SY, Nam KC, Ahn DU. (2005)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fatted sesame meal extracts. J. Agric . Food Chem . 53: 1495-1498.
31. Lee SC, Kim SY, Jeong SM, Park JH. (2006)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catechin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green tea. J. Agric. Food Chem . 54: 399-403.
본 발명은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근(Puerarie radix)은 콩과의 다년생 넝쿨식물로서 산과 들에 널리 자생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의 산이나 들판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갈근의 효능에 대해서 한방에서는 땀을 내게 하여 근육을 풀어 주는 발표해기(發表解肌) 작용, 피부의 마진(麻疹)을 치료하는 투발마진(透發麻疹) 작용, 진액 을 생성하여 갈증을 해소시키는 생진지갈(生津止渴) 작용, 위장의 기운을 돋아 설사를 멈추게 하는 승양지사(升陽止瀉)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갈화는 술독을 풀어 위장을 편안하게 하는 해주성비(解酒醒脾)작용과 토혈, 빈혈 등에 효능을 보이고, 갈엽은 외상에 의한 출혈을 지혈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1,2)
구체적으로 갈근의 뿌리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화합물인 다이드제인(daidzein), 다이드진(daidzin), 푸에라린(puerarin), 루테올린(luteolin), 비오카인 A(biochanin A) 등이 있으며, 잎에는 쿠마린(coumarin), 아스파라긴(asparag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로비닌(robinin), 꽃에는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정유 성분 등이 들어있다.3,7) 플로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은 알코올 디하이드로게나제(alcohol dehydrogenase)와 미토콘드리아 디하이드로게나제(mitochondrial dehydrogenase)의 저해제로 알려져 있으며, 배당체인 푸에라리아 글루코시드(pueraria glycoside)는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고8 ,10) 항산화 작용과 진경(鎭痙)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이중, 갈근에 들어있는 푸에라린(C21H20O9) 성분의 효과는 뇌의 혈관속 혈액의 흐름을 빠르게 하고 심장에서 나오는 관상동맥의 혈액 흐름도 신속하게 유도, 체내의 각 기관에 쌓여있는 알코올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고 분해시킴으로써 해독효과를 얻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간장 안에서 효소의 활성화로 기능을 회복시키고 지방대사를 촉진시키는 효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페놀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식물류의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플라보노이드 류, 카테킨 류, 탄닌류 등이 주성분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은 페놀 수산기[phenolic hydroxyl(OH]기를 갖기 때문에 단백질 및 다른 거대 분자들과 쉽게 결합하며 항산화 작용, 항암, 항 혈전 작용 등 여러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갈근에 존재하는 페놀 성분들은 황색색소 성분으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21,22) 수산기 라디칼(hydroxy radical) 및 페록시 라디칼(peroxy radical)23 ,24)등의 생성억제를 통해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알려져 있으며 26,26) 특히 다이드진, 푸에라린 등의 페놀 화합물들은 혈장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에 대한 탁월한 항산화 능력이 보고되었다27 ,28).
한편, 원적외선은 약 2.0~1,000 ㎛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광선으로, 가열과 비가열의 방법으로 이용되는데, 가열의 용도로는 식품의 가열 건조, 자숙, 열탕, 배소, 유탕, 살균 처리, 냉동 식품의 해동, 난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비가열 응용은 식품의 선도 유지, 식품의 숙성, 식품의 풍미 향상 등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생물적으로 활성이 있으며, 물질의 중심까지 고르게 열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갈근에서 약리적으로 효능을 지닌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갈근의 추출방법에 있어서, 갈근에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가하여 갈근에서 약리적으로 효능을 지닌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갈근을 원적외선에 조사하고, 용매에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갈근의 약리적 유효성분을 용매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적외선 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갈근에서 유효성분의 추출 효과를 배가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갈근에 조사하여 갈근 조직 내에서 결합되어 추출되지 않았던 유효성분들을 유리화시킨 다음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갈근 내 유효성 분을 용이하게 추출해 낼 수 있게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세포벽이나 리그닌 등과 에스테르 결합 또는 중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 페놀류를 추출하는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갈근에만 포함하고 있으며 인체에 독성이 전혀 없으나 그 양이 매우 소량이어서 가격이 비싼 푸에라닌의 추출 효율을 증대시킨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2∼14 ㎛의 파장을 나타내는 원적외선 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 미만의 파장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과도하고, 14㎛를 초과한 파장인 경우에는 에너지가 낮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원적외선 에너지를 갈근에 조사할 시, 주변 온도를 온도조절장치를 통해 90∼110℃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90℃미만의 온도에서 원적외선 에너지를 조사하면 유효물질의 충분한 유리화에 불리하고, 110℃를 초과하면 초과한 온도에 비례하여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갈근에 원적외선 에너지를 방사는 상술한 온도 범위에서 10∼40분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0 분 미만으로 조사하면 갈근의 폴리페놀 성분의 추출 효과가 저감되고 40분을 초과하면 초과한 시간에 따른 비용 증가에 비하여 폴리 페놀 성분의 추출량이 유효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갈근에 원적외선 에너지 조사 시 90∼110℃의 온도에서 2∼14 ㎛의 파장을 나타내는 원적외선 에너지를 10∼40분간 조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갈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추출 용매로는 인체에 되도 록 유해(有害)가 덜한 메탄올,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 실시예 ]
(1) 공시 재료 및 시약
실험에 이용한 갈근 과립은 경남 마산시 산호동 (주)금강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푸에라린(puerarin) 표준품,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시약, gallic acid는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Folin-Ciocalteu 시약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Osaka, Japan)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potassium ferricyanide, methanol, ferric chloride는 모두 분석등급을 사용하였다.
(2)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 제조
갈근 6.0 g을 유리 페트리 접시(직경 8.0 cm)에 놓고 원적외선 건조기(A-Sung Test Machine, Korea)를 이용하여 90℃, 100℃, 110℃에서 원적외선을 0, 10, 20, 30, 40분간 각각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갈근 6.0 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 180 mL를 넣고 2시간 환류추출한 다음, Whatman No. 1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1차 여액을 수득하고, 여과 잔류물은 다시 메탄올 90 mL를 넣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2 차 여액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1차 여액과 2차 여액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갈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총 페놀 함량의 측정
상기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갈근 추출물에 대한 총 페놀함량(total phenol content)은 Gutfinger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먼저, 시료액 1 mL에 2% Na2CO3 용액 1 mL을 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다음 50% Folin-Ciocalteau 시약 0.2 mL를 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발색시켰다.
그리고, 상기 발색된 반응액을 13,500 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징액을 취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액 중의 총 페놀함량은 표준물질인 타닌산(tannic acid)에 의해 작성된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총 페놀 함량의 측정은 시료별로 3회씩 측정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의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0분)에 비하여 원적외선의 처리 시간이 길면 길어질수록 총 페놀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적외선 처리 실험구에서는 90℃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에 비하여 100℃와 110℃의 경우가 10분과 20분의 처리 시간에서 총 페놀 함량이 더 높았으며, 30분 이후의 처리 시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지만, 무처리 대조구의 총 페놀 함량 0.14 mg/mL과 비교함에 있어서는 110℃에서 40분간 원적외선을 처리한 시료의 경우 0.21 mg/mL로 1.5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1
따라서, 식물체에서 세포벽 다당류, 리그닌 등과 에스테르 결합 또는 중합체로 존재하는 페놀 화합물이 원적외선 처리로 유리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푸에라린 함량 측정
상기 (2)에서 준비된 갈근 추출물 270 mL에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300 mL로 맞춘 다음, 상기 용액 10 mL에 메탄올을 다시 가하여 100 mL로 맞춘 희석한 액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때, 푸에라린(puerarin) 표준품 10 m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100 mL를 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10 μL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ters, USA)로 분석하여 하기 식 1로 검액의 푸에라린 함량을 구하였다.
그리고, 상기 푸에라린 함량 측정은 시료별로 3회씩 측정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식 1]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2
하기 표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에서는 푸에라린의 보유 시간(retention time)이 14.342 min 였고 무처리구(대조구)에서는 15.686 min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에서 푸에라린 피크(peak)의 면적과 높이는 각각 3,881,263, 112,249.81이었으며 무처리구에서는 3,277,968, 87,990.27로 나타났다.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3
상기 결과로부터, 무처리구에서는 66.0 ppm이었지만 본 발명의 갈근 추추물중 110℃에서 40분간 원적외선 처리한 경우에는 77.8 ppm으로 측정되어, 무처리구에 바하여 1.18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라디칼 소거능
상기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갈근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Lee 등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 0.1 mL에 4.1×10-5 M의 DPPH 용액 0.9 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라디컬 소거능은 하기 식2에 의해 전자 공여능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시료별로 3회씩 측정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식 2]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4
이의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5
상기 결과를 보면, 무처리구의 경우 라디컬 소거능은 78.7%였고,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은 110℃에서 40분간 조사했을 때 소거능이 80.4%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갈근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결과는 총 페놀 함량의 증가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근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 화합물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원적외선 처리에 의한 페놀 화합물의 증가로 원적외선 처리가 갈근의 항산화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6) 환원력 측정
환원력은 Ozaizu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물질에 대한 철 이온의 환원력을 측정한 것이다. 즉, 1 mL의 인산염 완충 용액(0.2 M, pH 6.6)에 1 mL의 갈근 추출물과 1%(w/v) potassium ferricyanide 용액 1 mL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50℃, 20분간 반응을 시킨 후, 10%(w/v) trichloroacetic acid 용액 1 mL을 넣었다. 반응이 끝난 혼합물을 13,0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 1 mL과 증류수 1 mL을 넣고 0.1% FeCl2(Ⅱ) 용액 0.1 mL을 가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환원력 측정은 시료별로 3회씩 측정하였으며,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7029642-pat00006
상기 결과를 보면, 무 처리구의 환원력은 0.39(흡광도)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에서 40분간 원적외선 처리한 경우에는 흡광도가 0.68로 나타나 무처리구에 비하여 1.74배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원력의 분석 결과는 상기 총 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갈근 추출물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총 페놀 함량,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푸에라린 함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갈근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들이 원적외선 처리에 의해 식물체로부터 유리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추출방법은 종래의 갈근 추출방법보다 약리학적인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갈근 추출물에 푸에라린 등이 포함된 폴리 페놀류의 추출 함량이 증가되어 항산화능이 향상된 고품질의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개시에 대해서 일정 범위의 수정, 변화 및 치환이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이 넓게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부합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갈근을 2∼14 ㎛의 파장의 원적외선에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갈근에서 메탄올,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로 폴리 페놀 및 푸에라린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90∼110℃의 온도에서 원적외선 에너지를 10∼40분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60060235A 2006-06-30 2006-06-30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079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235A KR100799468B1 (ko) 2006-06-30 2006-06-30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235A KR100799468B1 (ko) 2006-06-30 2006-06-30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46A KR20080001846A (ko) 2008-01-04
KR100799468B1 true KR100799468B1 (ko) 2008-01-30

Family

ID=3921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235A KR100799468B1 (ko) 2006-06-30 2006-06-30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04B1 (ko) 2008-04-03 2011-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적외선 건조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포도주스
CN103864767A (zh) * 2014-03-26 2014-06-18 南阳理工学院 一种葛根素精制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130B1 (ko) * 2010-02-10 2012-05-16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갈락투론산 함량이 증가된 인삼의 제조방법
KR101694758B1 (ko) *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703B1 (ko) * 1995-11-16 1998-09-15 이능희 침출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녹차 혼합차의 제조방법
KR0162536B1 (ko) * 1995-10-05 1998-11-16 이능희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36B1 (ko) * 1995-10-05 1998-11-16 이능희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 녹차의 제조 방법
KR0150703B1 (ko) * 1995-11-16 1998-09-15 이능희 침출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녹차 혼합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p. 704-6 (정보섭, 신민교 저, 영림사, 1990. 01. 05) *
도해향약(생약)대사전 p. 704-6 (정보섭, 신민교 저, 영림사, 1990)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131-4 (2005)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131-4 (2005. )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04B1 (ko) 2008-04-03 2011-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적외선 건조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포도주스
CN103864767A (zh) * 2014-03-26 2014-06-18 南阳理工学院 一种葛根素精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46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mani et al.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galloyl derivatives, flavonoid glycosides and anthocyanins in leaves of Pistacia lentiscus L.
Yen et al.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US10744219B2 (en) Air freshen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hmed et al.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angos Lindl.(Umbelliferae) species growing in Konya province (Turkey)
Rupasinghe Application of NMR spectroscopy in plant polyphenols associated with human health
KR100799468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Isla et al. Flower beverages of native medicinal plants from Argentina (Acacia caven, Geoffroea decorticans and Larrea divaricata)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Wang et al. Variations in th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extract during flower maturity stages
KR101340081B1 (ko) 항고혈압, 항당뇨 및 항노화성 플라보노이드 함유 뽕나무 잎 추출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그 산물
Świeca Elicitation and treatment with precursors of phenolics synthesis improve low-molecular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uckwheat sprouts
Keven-Karademir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yrtus communis L. growing wild in Marmaris.
US7771758B2 (en) Extract of mad-dog skullcap
Bentahar et 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Citrus sinensis L. and Citrus reticulata L. fruits
Nasir et al.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Fumaria indica (hausskn.) Pugsley; a traditionally important medicinal plant
Eom et al.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with temperature and time in Chrysanthemum indicum L.(Gamguk) teas during elution processes in hot water
Putra et al. Benefit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of Portulaca oleracea a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 Review.
Prihantini et al. Produc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tissue culture of Artemisia annua
Ekiert et al. Cultures of Medicinal Plants In Vitro as a Potential Rich Source of Antioxidants
Gezer Modeling drying kinetics of grape seeds and skins from Turkish cultivars
Ambreen et al. Chapter-7 Phytochemistry
Hajlaouia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RP-HPLC identification of polyphenols in the methanolic extract of Mentha genus
Barreca et al. Flavonoi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s belonging to the Annona and Citrus genera
Cheng Antioxidant properti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Lycium barbarum and Polygonum multiflorum)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İnce Usage of microwave and ultrasound in the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and phenolic compounds
Awuchi The biochemistry, toxicology, and Uses of the acologically active phytochemicals: Alkaloids, terpenes, polyphenols, and glyco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