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758B1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758B1
KR101694758B1 KR1020160106799A KR20160106799A KR101694758B1 KR 101694758 B1 KR101694758 B1 KR 101694758B1 KR 1020160106799 A KR1020160106799 A KR 1020160106799A KR 20160106799 A KR20160106799 A KR 20160106799A KR 101694758 B1 KR101694758 B1 KR 10169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moringa
minutes
ag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6010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7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6725 priority patent/WO2018038376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잎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 밀폐된 중탕기를 이용하여 특정 추출 온도 범위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추출하는 과정과, 밀폐된 중탕기에서 온도를 낮추어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숙성하는 과정 및 온도를 더욱 낮춘 추가 숙성 과정을 병행함에 따라서,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모링가의 쓴맛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액의 진한 맛을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Extraction method of moringa oleifera leaf}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이를 통해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링가(Moringa)는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하는 식물로, 줄기, 잎, 씨, 뿌리 등을 대부분 먹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영양성분이 가장 많은 잎(Leaf)이 식용으로 소비된다. 모링가는 원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의 건조한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캄보디아, 파키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및 아프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5-10m이며 야생, 평지, 강이나 냇가의 모래 부근에서 잘 자란다. 모링가의 산지는 열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아시아, 열대 아메리카, 나이지리아 등 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는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에 자생한다
이러한 모링가는 문헌에 따르면 90가지 영양소, 46가지 항산화제, 36가지 항 염증제를 포함하는 539가지의 다양하고 유익한 생화학적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모링가 잎의 영양성분으로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레오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또한 탄수화물, 식이섬유, 단백질, 지방, 오메가-3,6,9, 비타민 A, B, B1, B2, B3, C, E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링가 잎의 유용한 영양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추출하고, 또한 종래 추출물에 비하여 식용감이 부드럽고 원액의 맛을 찐하게 느낄 수 있는 추출방법을 연구하던 중,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 밀폐된 중탕기를 이용하여 특정 추출 온도 범위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추출하는 과정과, 밀폐된 중탕기에서 온도를 낮추어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숙성하는 과정 및 온도를 더욱 낮춘 추가 숙성 과정을 병행함에 따라서,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모링가의 쓴맛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액의 진한 맛을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541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모링가 잎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된 용탕기에서 물을 95-100℃까지 가열하는 단계(단계 1);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상기 용탕기에 투입하고 다시 밀폐한 다음, 95-10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5-45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단계 2);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75-85℃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20-60분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제거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살균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고,
상기 용탕기는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온도조절 장치;
가열시 발생하는 증발 성분의 환류 냉각장치; 및
원적외선 조사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단계 2 이전에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30-90분 동안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5-10℃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30-90분 동안 추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모링가 잎 엑기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잎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 밀폐된 중탕기를 이용하여 특정 추출 온도 범위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추출하는 과정과, 밀폐된 중탕기에서 온도를 낮추어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숙성하는 과정 및 온도를 더욱 낮춘 추가 숙성 과정을 병행함에 따라서,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모링가의 쓴맛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액의 진한 맛을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모링가 잎 추출방법
본 발명은 밀폐된 용탕기에서 물을 95-100℃까지 가열하는 단계(단계 1);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상기 용탕기에 투입하고 다시 밀폐한 다음, 95-10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5-45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단계 2);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75-85℃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20-60분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제거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살균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고,
상기 용탕기는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온도조절 장치;
가열시 발생하는 증발 성분의 환류 냉각장치; 및
원적외선 조사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단계 2 이전에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30-90분 동안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5-10℃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30-90분 동안 추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밀폐된 용탕기에서 물을 95-100℃까지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탕기는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온도조절 장치; 가열시 발생하는 증발 성분의 환류 냉각장치; 및 원적외선 조사 장치가 구비되고, 밀폐된 환경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된 환경에서 용탕기를 작동함에 따라서 증발 성분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손실 없이 모링가 잎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에서, 가수량은 건조된 모링가 잎 100g 기준으로 물을 20-40 L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30 L, 더욱바람직하게는 26-28 L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상기 용탕기에 투입하고 다시 밀폐한 다음, 95-10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5-45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추출 시간은 15-45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35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분이다. 만약, 추출 시간이 15분 미만일 경우 영양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5분을 초과할 경우 영양성분이 파괴되고 쓴맛이 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단계 2 이전에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30-90분 동안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적외선 조사 처리는 모링가 잎의 내부조직에 다공성을 형성하여 영양성분의 추출을 원활하게 하여 추출시간을 단축시켜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계 2 이전에 원적외선 조사 전처리를 수행할 경우에 추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75-85℃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20-60분 동안 숙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 3의 숙성 단계는 추출물에서 쓴맛을 저감시키고 원액의 맛을 부드럽고 진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부가적으로 영양성분을 더 추출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숙성을 위한 온도는 75-8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7-83℃,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일 수 있다. 만약, 숙성 온도가 75-85℃를 벗어날 경우에는 추출물의 쓴맛이 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숙성 시간은 20-60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5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40분일 수 있다. 만약, 숙성 시간이 20분 미만일 경우 영양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고 특히 쓴맛이 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분 초과일 경우 초과되는 시간에 비해 영양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 정도가 미미하고 쓴맛의 개선 효과 역시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5-10℃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30-90분 동안 추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를 더욱 낮춰 추가 숙성 처리를 함에 따라 모링가 잎의 쓴맛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원액의 맛을 더욱 부드럽고 진하게 한다(실험예 2 및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제거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살균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제거하지 않고 100℃까지 가열할 경우 추출물의 쓴맛이 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단계 4에서 얻은 모링가 잎 추출물은 바로 포장하여 엑기스로 음용가능한 제품으로 준비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잎 엑기스로 바로 음용가능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응용가능한 모든 식품의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1> 모링가 잎의 추출 1(추출+숙성)
건조된 모링가 잎 100g에 대하여 물 27 L를 사용하였다.
밀폐된 용탕기에서 물을 100℃까지 가열하고,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실크 원단 주머니를 투입하고 용탕기를 밀폐하여 추출온도 10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5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용탕기에 구비된 온도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 체로 80℃까지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40분 동안 숙성하였다. 용탕기에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건져내고, 100℃까지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2> 모링가 잎의 추출 2 (원적외선 전처리+추출+숙성)
실시예 1-1에서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 모링가 잎의 추출 3 (원적외선 전처리+추출+ 숙성1 + 숙성2 )
실시예 1-2에서 1차 숙성 단계 이후에, 7℃까지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1> 모링가 잎의 추출 4 (추출+숙성)
추출 시간을 30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2> 모링가 잎의 추출 5 (원적외선 전처리+추출+숙성)
실시예 2-1에서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3> 모링가 잎의 추출 6 (원적외선 전처리+추출+ 숙성1 + 숙성2 )
실시예 2-2에서 1차 숙성 단계 이후에, 7℃까지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1> 모링가 잎의 추출 7 (추출+숙성)
추출 시간을 45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2> 모링가 잎의 추출 8 (원적외선 전처리+추출+숙성)
실시예 3-1에서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3> 모링가 잎의 추출 9 (원적외선 전처리+추출+ 숙성1 + 숙성2 )
실시예 3-2에서 1차 숙성 단계 이후에, 7℃까지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모링가 잎의 추출 10
추출 시간을 10분으로 변경하고, 추출시에 원적외선 조사를 하지 않으며, 숙성 과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모링가 잎의 추출 11
추출 시간을 50분으로 변경하고, 추출시에 원적외선 조사를 하지 않으며, 숙성 과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모링가 잎의 추출 12
추출 시간을 60분으로 변경하고, 추출시에 원적외선 조사를 하지 않으며, 숙성 과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모링가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추출 조건에 따른 총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1 내지 3-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기 다른 조건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에서 영양성분을 추출하는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물 중에서 총페놀 함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총페놀 함량은 폴린-치칼투 방법(Folin-Ciocalteu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96-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5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총페놀 함량을 갈산(gallic acid)에 대한 상대적 비교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추출하기 전의 모링가 잎 분말 및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다.
열수(100℃) 추출 숙성 1 숙성 2 총페놀
함량
(%)a
원적외선
전처리
추출시간 추출시
원적외선
온도/
시간
숙성시
원적외선
온도/
시간
숙성시
원적외선
실시예
1-1
- 1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62.9
실시예
1-2
1h 1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82.1
실시예
1-3
1h 1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7℃/
60분
조사함 87.9
실시예
2-1
- 30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76.2
실시예
2-2
1h 30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89.4
실시예
2-3
1h 30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7℃/
60분
조사함 91.6
실시예
3-1
- 4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81.6
실시예
3-2
1h 4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 - 91.9
실시예
3-3
1h 45분 조사함 80℃/
40분
조사함 7℃/
60분
조사함 93.7
비교예1 - 10분 - - - - - 19.2
비교예2 - 50분 - - - - - 43.1
비교예3 - 80분 - - - - - 62.1
a: 추출하기 전 모링가 잎의 총페놀 함량에 대한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백분율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순히 열수 추출만 진행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3-3에서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추출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의 결과를 통해서, 원적외선 전처리 단계를 실시할 경우에 짧은 추출 시간으로도 영양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은 단순 열수 추출방법에 비하여 영양성분의 추출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으로 유용할 수 있다.
< 실험예 2> 모링가 잎 추출물의 쓴맛에 대한 관능 평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3-3 및 비교예 1-3에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에 아무런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은 엑기스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6명을 대상으로 쓴 맛에 대한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모든 시험에서 시험대상자에게 맹검을 유지하였다.
0점 : 쓴맛이 전혀 없다.
1점 : 쓴맛이 거의 없다.
2점 : 쓴맛이 조금 있다.
3점 : 쓴맛이 있다.
4점 : 쓴맛이 매우 심하다.
피험자 1 2 3 4 5 6 평균
실시예1-1 2 1 1 1 2 1 1.33
실시예1-2 2 2 1 2 1 2 1.66
실시예1-3 0 1 0 1 1 0 0.50
실시예2-1 2 2 1 1 2 2 1.66
실시예2-2 2 2 2 2 1 2 1.83
실시예2-3 1 1 1 0 1 0 0.66
실시예3-1 2 2 1 2 1 2 1.66
실시예3-2 2 2 2 2 2 2 2.00
실시예3-3 1 1 1 0 1 1 0.83
비교예1 2 2 2 3 2 2 2.16
비교예2 3 3 2 3 3 3 2.83
비교예3 3 3 3 4 3 4 3.3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순히 열수 추출만 진행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숙성(1차)을 진행한 실시예에서 쓴맛이 개선되었고, 특히 온도를 더욱 낮추어 추가 숙성(2차)을 진행한 실시예에서 쓴맛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은 엑기스로서 아무런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도 쓴맛이 거의 없어 바로 음용할 수 있다.
< 실험예 3> 추가 숙성 온도에 따른 쓴맛 저감 효과 관능 평가
추가 숙성 5-10℃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쓴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보조예 1 내지 5는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차 숙성온도만 다르게 실시하였다.
피험자 1 2 3 4 5 6 평균
숙성온도
보조예1 2℃ 1 1 1 1 1 1 1.00
보조예2 5℃ 1 1 1 1 1 0 0.83
실시예2-3 7℃ 1 1 1 0 1 0 0.66
보조예3 10℃ 1 1 1 1 1 0 0.83
보조예4 15℃ 1 2 1 1 2 1 1.33
보조예5 35℃ 2 2 2 2 3 2 2.1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 숙성 온도 범위가 5-10℃를 벗어날 경우 쓴맛이 강해지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5℃ 미만으로 숙성할 경우 추출물이 슬러쉬화 또는 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은 엑기스로서 아무런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도 쓴맛이 거의 없어 바로 음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밀폐된 용탕기에서 물을 95-100℃까지 가열하는 단계(단계 1);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상기 용탕기에 투입하고 다시 밀폐한 다음, 95-10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15-45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단계 2);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75-85℃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20-60분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3); 및
    건조된 모링가 잎을 담은 주머니를 제거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살균처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고,
    단계 2 이전에 건조된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30-90분 동안 원적외선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와, 단계 3 이후에 용탕기를 밀폐된 채로 온도를 5-10℃로 낮추고 원적외선을 조사하며 30-90분 동안 추가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탕기는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온도조절 장치;
    가열시 발생하는 증발 성분의 환류 냉각장치; 및
    원적외선 조사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모링가 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60106799A 2016-08-23 2016-08-23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10169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99A KR101694758B1 (ko) 2016-08-23 2016-08-23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PCT/KR2017/006725 WO2018038376A1 (ko) 2016-08-23 2017-06-26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99A KR101694758B1 (ko) 2016-08-23 2016-08-23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758B1 true KR101694758B1 (ko) 2017-01-11

Family

ID=5783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99A KR101694758B1 (ko) 2016-08-23 2016-08-23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4758B1 (ko)
WO (1) WO201803837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76A1 (ko) * 2016-08-23 2018-03-0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CN108420074A (zh) * 2018-04-09 2018-08-21 江西牧威利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酪氨酸酶活性抑制剂及其应用
CN109123672A (zh) * 2018-08-28 2019-01-04 华南农业大学 一种辣木组合物、颗粒剂、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KR20200020352A (ko) * 2018-08-17 2020-02-26 정은비 모링가 용액 제조 방법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59B1 (ko) * 2004-11-18 2005-06-13 (주)건보 홍삼을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20082779A (ko) * 2011-01-14 2012-07-24 박태호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추출물과 그의 제조
KR101408837B1 (ko) * 2012-12-31 2014-06-19 웅진식품주식회사 비타민과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4164A (ko) 2014-11-05 2016-05-16 동국제약 주식회사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8B1 (ko) * 2006-06-30 2008-01-3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적외선을 이용한 갈근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1694758B1 (ko) *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59B1 (ko) * 2004-11-18 2005-06-13 (주)건보 홍삼을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20082779A (ko) * 2011-01-14 2012-07-24 박태호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추출물과 그의 제조
KR101408837B1 (ko) * 2012-12-31 2014-06-19 웅진식품주식회사 비타민과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54164A (ko) 2014-11-05 2016-05-16 동국제약 주식회사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76A1 (ko) * 2016-08-23 2018-03-0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CN108420074A (zh) * 2018-04-09 2018-08-21 江西牧威利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酪氨酸酶活性抑制剂及其应用
KR20200020352A (ko) * 2018-08-17 2020-02-26 정은비 모링가 용액 제조 방법
KR102108570B1 (ko) 2018-08-17 2020-05-07 정은비 모링가 용액 제조 방법
CN109123672A (zh) * 2018-08-28 2019-01-04 华南农业大学 一种辣木组合物、颗粒剂、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WO2023014037A1 (ko) * 2021-08-04 2023-02-09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376A1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758B1 (ko)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101781688B1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498B1 (ko) 쑥 훈증을 이용한 발효숙성 흑마늘 제조 방법
KR20150114253A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Li et al. Effect of boiling time on the contents of flavor and taste in Lentinus edodes
KR102330828B1 (ko)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515781B1 (ko) 계피로부터 계피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48000B1 (ko)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산삼 배양근을 함유한 리큐르의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주류
KR20170056830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2639A (ko) 잣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0478859B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qualities of coffee beans
KR101014202B1 (ko) 원적외선 건조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건포도
KR20160063632A (ko) 도라지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88982B1 (ko) 야관문차의 제조방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1651637B1 (ko) 진세노사이드 Re가 고함량으로 포함된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
Eom et al. Stimulating effects of far-infrared ray radiation on the release of antioxidative phenolics in grape berries
KR20140023124A (ko)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 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료
CN113197957A (zh) 一种姜半夏的炮制方法
KR20180053009A (ko) 홍삼 및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KR101014204B1 (ko) 원적외선 건조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포도주스
KR101346595B1 (ko)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921721B1 (ko) 침출식 구아바 과실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276B1 (ko) 황기(黃耆)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1653124B1 (ko) 인지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