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595B1 -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595B1
KR101346595B1 KR1020120003970A KR20120003970A KR101346595B1 KR 101346595 B1 KR101346595 B1 KR 101346595B1 KR 1020120003970 A KR1020120003970 A KR 1020120003970A KR 20120003970 A KR20120003970 A KR 20120003970A KR 101346595 B1 KR101346595 B1 KR 10134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amboo
leaves
antioxidant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83A (ko
Inventor
엄병헌
강석우
김우리
정상훈
김상민
전제승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0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5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증가된 항산화능을 가지는 대나무 잎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공방법으로 가공한 대나무 잎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항산화능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유용하다.

Description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METHOD FOR INCREASING ANTIOXIDANT OF BAMBUSOIDEAE'S LEAVES}
본 발명은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竹)는 화본과 (Gramineae), 대나무아과 (Bambusoid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전세계적으로 280여종, 한국에는 70여종의 대나무가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다.
조릿대(Sasa borealis (Hack.) Makino, 산죽)는 전국적으로 산중턱 아래쪽의 수림 속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높이 1~2m, 지름 3~6mm이다. 꽃은 4월에 복총상꽃차례로 피고 작은꽃이 삭에는 2~5개의 자주색 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2개의 포가 있는 벼과 조릿대속의 상록 관엽 식물이다.
조릿대는 인삼을 훨씬 능가 한다고 할 만큼 갖가지 암, 당뇨병, 고혈압, 위궤양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좋은 약제이다.
이와 같은 조릿대 잎의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재 조릿대 잎의 활성 성분의 분석 또는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은 미미한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대나무 잎에 열처리 후 냉각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항산화능이 우수한 대나무 잎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80501 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능이 증가된 대나무 잎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대나무 잎을 1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대나무 잎을 5℃ 내지 35℃의 온도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회의 사이클을 3회 내지 30회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가공한 대나무 잎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나무 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증가된 항산화능을 가지는 대나무 잎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공방법으로 가공한 대나무 잎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항산화능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도 조건으로 열 처리한 조릿대잎과 미처리한 조릿대잎의 외형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열처리 후 갈변화로 인해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고 풍미가 좋아짐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온도 조건으로 열 처리한 조릿대잎과 미처리한 조릿대잎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ABTS법 및 DPPH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 조건으로 열 처리한 조릿대잎과 미처리한 조릿대잎의 온라인 항산화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크로마토그램에서 음의 값으로 나타난 피크 (peak)가 항산화도를 의미한다.
도 4 는 열 처리한 조릿대의 온라인 항산화 HPLC 크로마토그램의 UV 스펙트럼 및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이다.
도 5는 NMR DATA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6은 ABTS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대나무 잎을 1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대나무 잎을 5℃ 내지 35℃의 온도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회의 사이클을 3회 내지 30회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상기 대나무는 동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는 벼과 (Graminea, 화본과)에 속하는 대나무아과 (Bambusoidae) 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180℃미만의 온도 조건하에서 열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 대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250℃를 초과하는 온도 조건 하에서 열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 지나친 고온 조건 하에서 대나무 잎이 말라서 탄화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열처리 단계는 185℃ 내지 245℃, 190℃ 내지 240℃, 195℃ 내지 235℃, 200℃ 내지 230℃, 205℃ 내지 225℃ 또는 210℃ 내지 2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열 처리 단계는 가마솥을 가열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부터 곡식에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일컫는 '덖음 공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5℃미만의 온도 조건하에서 냉각 단계를 수행할 경우, 열처리 후의 대나무 잎이 지나치게 급속히 냉각되어 추출물의 성분이 변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35℃를 초과하는 온도 조건에서 냉각하는 경우, 냉각단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냉각 단계는 7℃ 내지 32℃, 10℃ 내지 30℃ 또는 12℃ 내지 27℃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1공정을 3회 미만의 횟수로 반복하는 경우, 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향상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30회를 초과하여 반복하는 경우, 대나무 잎이 지나치게 반복되는 고온 조건 하에서 변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반복 공정의 횟수는 3회 내지 25회, 5회 내지 20회 또는 7회 내지 15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5분 내지 2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5분 미만의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경우,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20분을 초과하여 열처리하는 경우, 대나무 잎의 수분이 모두 증발하여 말라버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열처리 시간은 6분 내지 18분, 7분 내지 16분 또는 8분 내지 14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냉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단계의 처리 시간이 20분 미만인 경우, 충분히 냉각되지 않아 풍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40분을 초과하여 처리하는 경우, 상기 대나무 잎의 갈변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냉각 시간은 22분 내지 38분, 24분 내지 36분 또는 26분 내지 34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은 세척 후, 건조된 대나무 잎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나무 잎의 세척 또는 건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는 오죽 (Phyllostachys nigra), 맹종죽 (Phyllostachys pubescens), 왕대 (Phyllostachys bambusoides), 솜대 (Phyllostachys nigra var . henonis), 조릿대 (Sasa borealis) 및 제주 조릿대 (Sasa quelpaertensi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대나무는 조릿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가공방법으로 가공한 대나무 잎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가공한 대나무 잎은 유기용매법, 가속용매추출장치(accelerated solvent extracter, ASE) 또는 가압용매추출장치(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은 항산화능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대나무 잎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능을 가지는 물질은 포밀 페놀(formyl phenol, 화학식 1), 쿠마르산(coumaric acid, 화학식 2), N-쿠마로일-세로토닌(N-coumaroyl-serotonin, 화학식 3) 및 N-페루로일 세로토닌(N-feruloyl serotonin, 화학식 4)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2003210632-pat00001
Figure 112012003210632-pat00002
Figure 112012003210632-pat00003
Figure 112012003210632-pat00004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식품 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일 수 있으며, 노화, 자가면역질환, 암, 신경계 질환, 심장계 질환 등을 포함하는 활성 산소에 의한 질환의 예방,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조릿대 잎의 열처리
세척 후 건조된 조릿대 잎을 220℃로 달궈진 가마솥에 10분동안 섞으면서 덖어주고, 30분동안 냉각하는 과정을 아홉 번 반복 처리하였다. 열처리 가공 전후의 조릿대잎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ABTS 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정
ABTS 법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ssay)은 ABTS 자유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ABTS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여 ABTS 용액의 색의 변화를 관찰하는 비색법이다. 3.5mM potassium persulfate와 2mM ABTS 혼합용액을 준비하여 8배 희석하여 14시간 동안 암조건에서 반응시켰다. 시료 용액 5 uL에 에탄올 95 uL와 ABTS반응 용액 100 uL를 가하고, 5분 후 72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트로룩스(trolox)를 1000ppm, 500ppm, 250ppm, 100ppm, 50ppm, 10ppm, 1ppm, 0.5ppm 각각의 농도로 사용하여 열처리 전후 조릿대 잎 추출물의 Inhibition(%)값과 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처리 후 조릿대 잎 추출물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정
DPPH 법은 DPPH 자유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DPPH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여 DPPH 용액의 색의 변화를 관찰하는 비색법이다. 시료 용액(1,000 ppm) 5 uL에 에탄올 95 uL와 400 μM DPPH 용액 100 uL를 가하였다. 암조건에서 1시간 반응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트로룩스(trolox)를 1000ppm, 500ppm, 250ppm, 100ppm, 50ppm, 10ppm, 1ppm, 0.5ppm 각각의 농도로 사용하여 열처리 전후 조릿대 잎 추출물의 Inhibition(%)값과 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처리 후 조릿대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항산화 장치 ( ABTS - HPLC )를 활용한 항산화 성분 분석
온라인 항산화 장치를 이용하여 열처리 가공 공정을 거친 조릿대의 항산화 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항산화 장치는 분석용 HPLC (G1312A binary pump와 G1379B vacuum degasser, G1329A autosampler, G1316A column oven)를 통과하여 분리된 물질이 또 다른 HPLC pump 에 의하여 이동된 ABTS+용액과 만나 항산화 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ABTS는 라디칼이 되었을 때, 734nm 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물질로 분리된 물질이 항산화도를 가지면 ABTS 라디칼이 소거되어 734nm 파장이 사라지게 된다. Agilent 1200, binary pump, additional reagent pump, two UV=Vis detectors, 및 ChemStation (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도를 측정하였다.
열처리한 조릿대 잎 추출물과 처리하지 않은 조릿대 잎 추출물의 온라인 항산화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열처리 후 추출되는 항산화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3). 온라인 항산화 분석 조건은 (min) Acetonitrile % in Water : (0)5% →(10)15% →(15)25% → (50)26% →(55)95% → (60)95% 과 같다.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Prep - HPLC )를 활용한 항산화 성분 분취 및 구조동정
열처리한 조릿대 잎 추출물과 처리하지 않은 조릿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성분을 분취하기 위하여 prep-hplc를 사용하였다. 도 3의 peak 1 및 2를 분리하기 위하여 (min) Acetonitrile % in Water : (0)20% →(10)20% →(60)30% →(60.1)100% →(70)100의 조건에서, peak 1이 29분, peak 2가 36분의 머무름 시간을 가지도록 분취하였다. 아울러 peak 3 및 4를 분리하기 위해 (min)Acetonitrile % in Water : (0)15%→ (50)15% →(60)50% →(70)80% 의 조건에서 peak 3이 64분, peak 4가 66분의 머무름 시간을 가지도록 분취하였다. 그결과, 열처리한 조릿대 잎 100g 으로부터 화합물 1 (3mg), 화합물 2 (6 mg), 화합물 3 (5mg), 화합물 4 (3 mg)를 획득하였다.
분리된 peak 1 내지 4의 구조를 핵자기 공명장치와 MS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핵자기 공명장치는 Varian Unity Inova spectrometer가 사용되었고 (Varian, USA), 1H 및 13C NMR 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였다 (도 5). 분리한 물질의 질량은 Agilent LC-MS ESI mode (Agilent Technology 6120 quadrupole L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4). 그 결과, peak 1 내지 4의 구조는 각각 화학식 1 내지 4임을 알게 되었다.
peak 1 내지 4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분리한 화합물 C1-4의 항산화 활성은 ABTS법에의해 측정하였다. 3.5mM potassium persulfate와 2mM ABTS 혼합용액을 준비하여 8배 희석하여 14시간 동안 암조건에서 반응시켰다. 시료 용액 5 uL에 에탄올 95 uL와 ABTS 반응 용액 100 uL를 가하고, 5분 후 72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트로룩스(trolox)를 각 농도(1000ppm, 500ppm, 250ppm, 100ppm, 50ppm, 10ppm, 1ppm, 0.5ppm)사용하여 분리한 각 화합물의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값과 Inhibition(%) 값을 구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조릿대 잎 추출물 330 mg, 홍삼추출물 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조릿대 잎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조릿대 잎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조릿대 잎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조릿대 잎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조릿대 잎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오죽 및 조릿대 잎을 1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잎을 5℃ 내지 35℃의 온도에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회의 사이클을 3회 내지 30회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N-쿠마로일-세로토닌(N-coumaroyl-serotonin) 및 N-페루로일 세로토닌(N-feruloyl serotonin)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5분 내지 2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N-쿠마로일-세로토닌(N-coumaroyl-serotonin) 및 N-페루로일 세로토닌(N-feruloyl serotonin)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N-쿠마로일-세로토닌(N-coumaroyl-serotonin) 및 N-페루로일 세로토닌(N-feruloyl serotonin)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죽 및 조릿대 잎은 세척 후 건조시킨 것을 포함하는, N-쿠마로일-세로토닌(N-coumaroyl-serotonin) 및 N-페루로일 세로토닌(N-feruloyl serotonin)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03970A 2012-01-12 2012-01-12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34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70A KR101346595B1 (ko) 2012-01-12 2012-01-12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70A KR101346595B1 (ko) 2012-01-12 2012-01-12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83A KR20130083283A (ko) 2013-07-22
KR101346595B1 true KR101346595B1 (ko) 2014-01-10

Family

ID=4899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970A KR101346595B1 (ko) 2012-01-12 2012-01-12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739A (ko) * 2012-07-16 2014-01-2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6626A (zh) * 2017-09-22 2018-03-27 安徽丹研食品有限公司 一种高效复配食品抗氧化剂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84B1 (ko) 2005-11-09 2007-01-09 이기영 조릿대 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806B1 (ko) 2007-03-23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고압(High hydrostaticpressure)을 이용하여 오죽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0995402B1 (ko)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KR20110101633A (ko) * 2010-03-09 2011-09-16 거제맹종죽영농조합법인 간편하고 신속한 맹종죽잎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84B1 (ko) 2005-11-09 2007-01-09 이기영 조릿대 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806B1 (ko) 2007-03-23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고압(High hydrostaticpressure)을 이용하여 오죽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20110101633A (ko) * 2010-03-09 2011-09-16 거제맹종죽영농조합법인 간편하고 신속한 맹종죽잎차 제조방법
KR100995402B1 (ko) 2010-07-27 2010-11-19 경상남도 죽순차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죽순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739A (ko) * 2012-07-16 2014-01-2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83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rova et al. Five edible flowers–valuable source of antioxidants in human nutrition
Rojas-Ocampo et al.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phenolic compounds of pulp and bagasse of four Peruvian berries
Tow et al.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extractable and nonextractable polyphenols isolated from apple waste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El-Massry et al. Moringa oleifera plant
KR101200307B1 (ko) 연잎과 올리브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및 이를 포함하는 육류 가공 식품
US11564952B2 (en) Water-soluble and water-insoluble propolis products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and their production methods
Tounsi et al. Physicochemic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Tunisian carob molasses
KR101652638B1 (ko) 고추냉이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Massini et al. Apple peel flavonoids as natural antioxidants for vegetable juice applications
Okafor et al. Produ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green and black herbal teas from Moringa oleifera leaf
Benattia et al. Antioxidative and antiradical activities of bioactive compounds of extracts from Algerian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L) fruits
KR101346595B1 (ko) 대나무 잎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Morsi et al. Antioxidative activity of olive pomace polyphenols obtained by ultrasound assisted extraction
KR101639567B1 (ko) 독성이 제거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나무 추출물
Yi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selected culinary spices from China
Liu et al. Effects of heating time on the antioxidative capacities of citrus fruit (Citrus sinensis (L.) Osbeck) by-products
Agbo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in sweet potatoes leaves steamed with spices.
Ferysiuk et al. Phytochemical profile of Silybum marianum (L.) Gaertn. and Graminis rhizoma and its influence on the bioactivity and shelf life of industrially produced pâtè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1675A (ko) 독성이 제거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나무 추출물
KR101217180B1 (ko) 시금치음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금치음료의 제조방법
KR20190048676A (ko) 복분자와 장어뼈를 이용한 건강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29001A (ko) 밀감 과피 아임계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erdosh et al.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seed extracts using soxhlet method
KR20170142070A (ko) 사과 미숙과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이 포함된 로션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