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164A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4164A KR20160054164A KR1020140153188A KR20140153188A KR20160054164A KR 20160054164 A KR20160054164 A KR 20160054164A KR 1020140153188 A KR1020140153188 A KR 1020140153188A KR 20140153188 A KR20140153188 A KR 20140153188A KR 20160054164 A KR20160054164 A KR 20160054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ringa
- fruit
- leaf
- extract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모링가(Moringa)는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하는 식물로, 줄기, 잎, 씨, 뿌리 등을 대부분 먹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영양성분이 가장 많은 잎(Leaf)이 식용으로 소비된다. 모링가는 원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의 건조한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캄보디아, 파키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및 아프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5-10m이며 야생, 평지, 강이나 냇가의 모래 부근에서 잘 자란다. 모링가의 산지는 열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아시아, 열대 아메리카, 나이지리아 등 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는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에 자생한다(도 1).
최근에는 모링가를 이용한 가공 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10-1386879호에는 모링가, 현미 등을 복합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모링가의 활성을 연구하던 중 모링가 추출물이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들 및 그 제조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다.
도 1은 모링가 나무를 나타낸다.
도 2는 모링가의 각 부위를 나타낸다(a: 잎, b: 열매, c: 씨앗 d: 꽃)
도 3은 모링가 잎 분말, 씨 분말, 탈지 씨 분말, 열매 분말을 나타낸다.
도 4는 모링가 잎 분말의 로스팅 조건에 따른 관능을 나타낸다.
도 2는 모링가의 각 부위를 나타낸다(a: 잎, b: 열매, c: 씨앗 d: 꽃)
도 3은 모링가 잎 분말, 씨 분말, 탈지 씨 분말, 열매 분말을 나타낸다.
도 4는 모링가 잎 분말의 로스팅 조건에 따른 관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링가 잎 분말을 130~150 ℃로 30분 내지 120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된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준비하는 단계;및
상기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유기용매로 70 내지 90 ℃에서 5 내지 8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잎 및 열매의 총 중량 대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은 1: 9 내지 1: 15의 중량비인,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은 피부 미백능,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으며, 항균 활성을 갖는다.
모링가
본 발명의 모링가는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이다. 본 발명의 모링가 재료는 모링가의 줄기, 잎, 씨, 뿌리, 열매 등이 될 수 있으나(도 2),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잎 및 열매의 혼합물이다.
모링가
잎의
로스팅
본 발명의 모링가 잎은 잎 분말을 로스팅하여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링가 잎은 잎 분말을 130~150 ℃로 30분 내지 120분 로스팅하여 이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145 ℃로 30분 내지 80분 로스팅하여 이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로 60분 로스팅하여 이용한다. 상기 로스팅을 통하여 모링가 잎의 쓴 맛이 제거되고 관능이 증진된다.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의 준비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의 추출물이다. 이는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혼합하여 추출할 수도 있고, 잎 및 모링가 열매를 별도로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는 8:2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용한다.
추출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물,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탄소 수 5 이하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 수 3 이하의 저가 알코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수이다.
상기 추출은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유기용매로 70 내지 90 ℃에서 5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잎 및 열매의 총 중량 대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은 1: 9 내지 1: 15의 중량비이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반 식품,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운동 보조제 등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2차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알코올을 제거한 후 첨가한 것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음료, 다이어트 음료, 미용 음료 등이다.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모링가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건강 유지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7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파우더 제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품 첨가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첨가제에 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제를 가리키며, 특별히 그 종류나 용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모링가의 잎 분말, 씨(seed) 분말, 지방이 제거된 탈지 씨(seed cake) 분말 및 열매(fruit) 분말을 준비하였다(도 3).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모링가의 잎 분말, 씨 분말, 탈지 씨 분말 및 열매 분말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활성 측정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0.1mM 농도의 DPPH MeOH 용액이 516nm 파장에서 보이는 흡광도를 기준으로 측정되었으며 동일 조건에서 DPPH 라디칼이 다 소거된 시점의 흡광도를 100% 라디칼 소거로 가정하였다. 각 분말을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메탄올에 녹여서 DPPH 용액에 첨가되었다. 모든 측정은 3반복 되었으며,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잎 분말의 항산화 활성이 제일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
<실험예 2> 항균 활성
모링가의 잎 분말, 씨 분말, 탈지 씨 분말 및 열매 분말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은 식품 오염 독성균 6종 (Escherichia coli TISTR780, Staphyloccous aureus TISTR1466, Salmonella typhimurium TISTR292, Enterobacter aerogenes TISTR1540, Bacillus cereus TISTR678, Enterococcus feacalis TISTR379)을 대상으로 agar disc diffusion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분말을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 균주들을 LB 배지에 배양한 후, 추출물 시료 20μl를 6mm hole에 일정농도로 적용하여 하루 배양 후 관찰되는 성장 저해 영역의 크기로부터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열매 분말의 항균 활성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실험예 3> 총페놀 함량 측정
모링가의 잎 분말, 씨 분말, 탈지 씨 분말 및 열매 분말의 총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폴린-치칼투 방법(Folin-Ciocalteu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96-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5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총페놀 함량을 gallic acid 에 대한 상대적 비교값으로 나타내었다. 이 때, 각 분말을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잎 분말의 총 페놀 함량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a : 전 처리한 시료 추출물량에 대하여, 식물 시료에 존재하는 총 페놀함량으로 환산한 값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서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총페놀 함량이 높은 모링가 잎 분말 및 열매 분말에 대하여, 이들의 풍미 개선 시험을 수행하였다. 모링가 잎에는 약간의 매운맛이 나는데 이는 음료 등 식품으로 이용 시 부적당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모링가 잎 분말에 대하여 온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열처리를 하면서, 관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20℃~18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단위로 로스팅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는 dry oven을 이용하여 상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능 척도는 원재료 일정량을 추출팩에 넣고 90℃ 가량의 끓인 물 100ml에 5분간 우려내어 시음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고, 3명의 전문 관능평가인의 결과를 3점 척도로 나타내었다. 이 때, 모링가 잎 본연의 매운맛과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맛의 강도가 가장 낮은 구간(가장 좋음)을 9점으로 하여 수치화하였다.
상기 로스팅 조건별 실험결과 120℃ 60분 이상의 조건부터는 매운맛이 제거가 되었고, 분말 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시점(140℃-90분, 160℃-60분, 180℃-30분)부터 그 이상 조건으로 갈수록 탄 맛이 많이 났다(도 4).
따라서 관능점수가 가장 높게 나온 140℃, 60분 조건을 최적의 로스팅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예 5> 열수 추출 조건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서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총페놀 함량이 높은 모링가 잎 분말 및 열매 분말에 대하여, 이들의 혼합 비율 및 추출 온도, 추출 시간, 가수량에 다른 활성 변화 및 관능 결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활성, 총페놀함량, 항균활성(Zone of growth inhibition) 및 관능은 각각 상기 실험예 1 내지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잎 분말과 열매 분말의 함량은 중량비로 나타내었다. 또한 모링가 잎 분말은 140 ℃, 60분으로 로스팅하여 이용하였다.
그 결과, 모링가 잎 : 열매를 7:3으로 혼합하고, 상기 잎 및 열매의 총 중량 대 유기용매의 중량이 1: 15의 중량비가 되도록 유기용매(열수)를 넣어, 이를 7시간 동안 열수 추출 시 DPPH 소거능이 우수하면서도 관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상기 가수량은 상기 잎 및 열매의 총 중량에 대한 유기용매의 중량의 배수이다.
<실험예 6>
모링가 잎 분말의 로스팅 조건에 다른 모링가 추출물의 수율을 평가하였다. 열매 분말은 제외하고 모링가 잎 분말을 57 ℃, 6시간, 모링가 잎 분말의 10.5 배의 중량으로 열수를 가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때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추출 수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40 ℃에서 60분 추출한 경우 및 160 ℃에서 60 내지 90분 추출한 경우 수율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5).
Claims (9)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70 내지 90 ℃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잎 및 열매의 총 중량 대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이 1: 9 내지 1: 15의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유기용매로 5 내지 8 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는 8:2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잎은 잎 분말을 로스팅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잎은 잎 분말을 130~150 ℃로 30분 내지 120분 로스팅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모링가 잎 분말을 130~150 ℃로 30분 내지 120분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된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준비하는 단계;및
상기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를 유기용매로 70 내지 90 ℃에서 5 내지 8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된 모링가 잎 및 모링가 열매는 8:2 내지 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188A KR20160054164A (ko) | 2014-11-05 | 2014-11-05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188A KR20160054164A (ko) | 2014-11-05 | 2014-11-05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4164A true KR20160054164A (ko) | 2016-05-16 |
Family
ID=5610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3188A KR20160054164A (ko) | 2014-11-05 | 2014-11-05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5416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758B1 (ko) | 2016-08-23 | 2017-01-11 | 김대현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
KR20200078847A (ko) * | 2018-12-24 | 2020-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KR102330828B1 (ko) | 2021-08-04 | 2021-11-24 | 김대현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KR20230052571A (ko) * | 2021-10-13 | 2023-04-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
2014
- 2014-11-05 KR KR1020140153188A patent/KR201600541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758B1 (ko) | 2016-08-23 | 2017-01-11 | 김대현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
KR20200078847A (ko) * | 2018-12-24 | 2020-07-02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KR102330828B1 (ko) | 2021-08-04 | 2021-11-24 | 김대현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KR20230052571A (ko) * | 2021-10-13 | 2023-04-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Oracz et al. | The content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cocoa beans (Theobroma cacao L.), depending on variety, growing region, and processing operations: A review | |
KR101817282B1 (ko) |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 |
KR20160054164A (ko) |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KR101874161B1 (ko) |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011021A (ko) |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2387262B1 (ko) |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밀싹의 제조방법 | |
KR20190060023A (ko) |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 |
KR102150115B1 (ko) | 털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40144429A (ko) | 복분자 줄기와 잎 및 씨앗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Augšpole et al. | Characterization of red raspberry (Rubus idaeus L.) for their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 |
KR20150034025A (ko) |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 |
KR102095304B1 (ko) | 초콜릿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초콜릿 | |
KR20160055748A (ko) |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 |
KR101498075B1 (ko) |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KR101871318B1 (ko) | 밤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101834769B1 (ko) |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감귤 및 꿩의 비름 혼합 침출차 제조방법 | |
KR101176156B1 (ko) | 자색옥수수 포엽성분을 함유하는 자색 발효식초 | |
KR20100062961A (ko) | 소취제,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음식품 | |
KR20170053991A (ko) | 감즙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 |
KR101726659B1 (ko) | 자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장성이 증진된 우육 패티 제조방법 | |
KR101845704B1 (ko) |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
KR100855899B1 (ko) | 감귤과피 부산물을 함유하는 버섯 재배용 배지의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하여 재배한 버섯 | |
KR101786463B1 (ko) | 까마귀쪽나무 열매의 정유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60775B1 (ko) | 강낭콩 싹나물 및 이의 재배방법 | |
KR20190090097A (ko) | 안동참마식혜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