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021A -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021A
KR20180011021A KR1020170092361A KR20170092361A KR20180011021A KR 20180011021 A KR20180011021 A KR 20180011021A KR 1020170092361 A KR1020170092361 A KR 1020170092361A KR 20170092361 A KR20170092361 A KR 20170092361A KR 20180011021 A KR20180011021 A KR 2018001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icky
present
inflammatory
nitri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987B1 (ko
Inventor
이상국
박헌주
이승은
이정훈
박춘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1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염증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포에서의 산화질소 발생을 감소시킴으로 항염 효능을 나타내어 효과적으로 염증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lematis apiifolia DC. or Silene armeria L. for treating or prventing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개선 및 완화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외상이나 화상과 같은 물리화학적인 요인 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으로, 충혈, 부종,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다. 생화학적으로는, 염증은 염증유발 인자가 생체에 작용할 때 염증소에서의 항체나 히스타민, 세로토닌 등의 화학물질을 함유한 혈장 성분이나 조직액의 국소적 삼출, 백혈구의 침윤, 회복을 위한 섬유 증생 등의 생체 측에서 생기는 반응 현상을 말한다. 염증유발 인자의 종류, 양이나 생체 측의 면역 상태에 따라서 염증 반응이 생기는 양상은 다르다.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이 만들어지는데, 염증인자에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nitric oxide (NO)와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prostaglandin E2 (PGE2) 등이 있다. 이러한 염증 인자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kB (NF-k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과량의 NO와 PG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포유동물 세포의 nitric oxide synthase (NOS)의 경우, 유사형태가 3가지 존재하는데 neuronal NOS (nNOS), endothelial NOS (eNOS), 그리고 inducible NOS (iNOS)이다. 그 중에서 특히 iNOS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iNOS의 경우 Interferon-gamma, lipopolysaccharide (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이 있을 때 발현된다 (John TG et al., Curr Opin Chem Biol, 4, 687-695, 2002; John WC, Int Immunopharmacol, 1, 1397-1406, 2001). PGE2는 cyclooxygenase (COX)에 의해서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산된다. 즉 COX-2 발현, NO, PGE2의 생산과 더불어 iNOS의 발현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따라서, iNOS 활성 억제제의 개발은 이러한 질병치료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iNOS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인체의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천연물 유래 물질은 다양한 질환에 대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어 잠재적인 약물 개발의 좋은 자원으로 제시되고 있다.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낙엽이 지는 넓은잎나무로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사위질빵은 세포독성, 항균 등에 대해 보고된 바 있지만, 항염증 효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은 석죽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이며 유럽 원산으로, 지베렐린 대사와 줄기 성장, 항진균, 항균에 대해 보고된 바 있지만, 항염증 효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며, 항암, 항균, 항진균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다(김창민 등, (1998) 완역 중약대사전; Kim, H. K et al (2004) Kor. J. Food Preserv. 11: 88-93; Heo, S. I. et al(2005) Kor. J. Pharmacogn. 36: 164-17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45469호는 ‘벌개미취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벌개미취 추출물의 당뇨합병증에 대한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6657호는 ‘항균용 시레네 아르메리아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시레네 아르메리아(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매개 물질인 산화질소의 생성을 저해하여 염증질환 치료,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면역세포의 대표적 염증물질인 iNOS의 억제를 통해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특히 iNOS의 활성화 및 이로 인한 산화질소 과생성에 의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근본적 치료가 가능하다.
일 구현예에서 염증성 질환은 iNOS의 활성화, 또는 NO의 과다 생성, 또는 iNOS의 활성화로 인한 NO 과다 생성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각각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단독으로는 물론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벌개미취 또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에서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또는 벌개미취는 각각 꽃, 가지, 줄기, 잎, 미성숙열매, 또는 열매를 포함하는 지상부; 뿌리줄기;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사위질빵은 뿌리, 상기 끈끈이대나물은 꽃, 상기 벌개미취는 지상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부위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극성, 비극성의 다양한 용매,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의 추출물이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세포, 특히 대식세포의 산화질소 생성 저해를 통한 것으로 효과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식품첨가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식품, 식품첨가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식품, 식품첨가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염증성 질환으로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는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서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산화질소 생성은 iNOS의 억제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은 iNOS 유도 발현의 억제 작용을 통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염증질환 개선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사위질빵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끈끈이대나물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벌개미취의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원은 사위질빵 및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이 피부 염증방응을 완화시킬수 있으며, 특히 상기 추출물이 iNOS 유도 발현의 억제 작용을 통하여 산화질소 생성을 저해하여 염증 완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현재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염증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본원에 따른 천연 식물성 소재인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또는 벌개미취 추출물은 이들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염증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항염증제를 필요로 하는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예방, 치료,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한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
이에 한 양태에서 본원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특히 산화질소의 생성 또는 iNOS의 활성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에 포함되는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낙엽이 지는 넓은잎나무로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덩굴을 이루면서 뻗어나가며 잎은 1회 3출 겹잎으로 마주나며 꽃은 8-9월경에 피는데, 여러 개의 흰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각각의 꽃은 십자형으로 퍼져 마치 꽃잎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4개의 꽃받침조각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0-12mm 정도의 흰 털이 붙어 있으며 가을에 익는다(국가표준식물목록,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농업과학기술원 잡초마당). 상기 사위질빵은 세포독성, 항균 등에 대해 보고된 바 있지만, 항염증 효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에 포함되는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은 석죽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이며 유럽 원산으로, 정원과 해변에 나며 높이는 50cm이다.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 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으며, 줄기 윗부분의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이거나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3-4.5cm에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는 없다. 꽃은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모여서 달리고, 홍색 또는 흰색, 화관의 지름은 1cm 가량이며 꽃받침은 곤봉 모양으로 길이는 15㎜이다. 가장자리가 흰색이고 막질이며 꽃잎은 5장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부수체가 있으며, 끝이 갈라진다. 화관통 안쪽에 작은 비늘 조각이 있고,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자루가 있으며, 6개로 갈라진다 (국가 표준 식물 목록, 산림청 국가 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 끈끈이대나물은 지베렐린 대사와 줄기 성장, 항진균, 항균에 대해 보고된 바 있지만, 항염증 효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어 우수한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에 포함되는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며 Gymnaster koraiensis 라고도 한다. 주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식물이며,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Aster속의 식물들 중 가새쑥부쟁(A. incises)은 이뇨제로, 참취(A. scaber)는 두통, 현기증에 사용하였고,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의학적으로는 개미취(A. tataricus)와 벌개미취 뿌리를 자원(紫苑)이라 하여 윤폐하기(潤肺下氣), 화담지해(化痰止咳) 등에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벌개미취의 생리 활성 연구로는 벌개미취 뿌리의 분획물이 항암, 항균, 항진균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을 뿐, 벌개미취에 대한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며(김창민 등, (1998) 완역 중약대사전; Kim, H. K et al (2004) Kor. J. Food Preserv. 11: 88-93; Heo, S. I. et al(2005) Kor. J. Pharmacogn. 36: 164-170), 항염 효능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상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원에 따른 생리활성을 포함하는 한, 꽃, 가지, 줄기, 잎, 미성숙열매, 열매를 포함하는 지상부; 뿌리줄기;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특히 특정 부위가 사용되며, 특정 부위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위질빵은 뿌리, 끈끈이대나물은 꽃, 벌개미취는 지상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부위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사위질빵은 뿌리와 지상부 추출물로 항염효능을 분석한 결과 IC50가 각각 >0.5, >50 ug/ml로 활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끈끈이대나물도 꽃, 전초의 IC50가 각각 >5, >50 ug/ml로 나타나 활성이 우수한 사위질빵의 뿌리, 끈끈이대나물의 꽃 부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벌개미취는 특히 지상부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상대적인 비교로서, 상대적 활성이 낮은 것도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른 부위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을 포함하는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또는 적절한 유기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상기 용매는 물을 포함하는 극성, 비극성 용매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특히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더욱 특히는 물, 약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일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유기용매, 특히 메탄올이 용매로 사용되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원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상기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예를 들어 Nomura T. Phenolic compounds of the mulberry tree and related plants. In: Herz, W.; Grisebach, H.; Kirby, G.W.; Tamm, Ch. (eds.) Fortschritte der chemie organischer naturstoffe. Springer-Veriag, Wien, 53:87-201 (1988)). 또한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온도는 약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 10분 내지 30일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또는/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따른 식물에 용매를 약 1:1 내지 1:20 중량비로 가열 순환식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 또는 식용 알콜을 가하여 약 80 내지 100℃에서 약 6-24시간 정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얻고, 잔여물에 다시 정제수 또는 식용 알콜을 가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여액을 합하여,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이를 진공 농축기로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열풍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본원의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은 가속용매추출장치(ASE)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추출 온도는 약 30 내지 15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추출시간은 한정되진 않으나 30분 내지 수일 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 기기나 초음파분쇄 추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및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건조공정은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또는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치료’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예방’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염증성 질환에 치료효과가 있는 본원의 추출물은 초기 증상 또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복용할 경우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원에 따른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은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유도 발현의 억제 작용을 통하여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이 억제됨으로써 염증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일구현예에서는 대식세포에서 내독소인 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증가된 iNOS 발현량을 감소시킴으로 염증반응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이 만들어지는데, 염증인자에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nitric oxide (NO)와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prostaglandin E2 (PGE2) 등이 있다. 이러한 염증 인자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kB (NF-k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과량의 NO와 PG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포유동물 세포의 nitric oxide synthase (NOS)의 경우, 유사형태가 3가지 존재하는데 neuronal NOS (nNOS), endothelial NOS (eNOS), 그리고 inducible NOS (iNOS)이다. 그 중에서 특히 iNOS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iNOS의 경우 Interferon-gamma, lipopolysaccharide (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이 있을 때 발현된다 (John TG et al., Curr Opin Chem Biol, 4, 687-695, 2002; John WC, Int Immunopharmacol, 1, 1397-1406, 2001, Yuna Pyee et al.,J. Nat. Prod. 2014, 77, 917924). PGE2는 cyclooxygenase (COX)에 의해서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산된다. 즉 COX-2 발현, NO, PGE2의 생산과 더불어 iNOS의 발현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따라서, iNOS에 한 NO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인체의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원에 따른 염증성 질환은 iNOS의 활성화 예를 들면 과발현 같은 iNOS 활성화에 따른 과도하게 생성된 산화질소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iNOS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이로 인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 예를 들면 패혈증, 패혈성 쇼크;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 척추염; 혈관염, 흉막염, 심장막염, 허혈 관련 염증, 염증성 동맥류; 신장염; 간염; 만성 폐염증 질환; 기관지 염증, 비염; 피부염; 위염; 대장염, 과민성대장증후군; 감염에 의한 열 또는 근육통, 특히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더욱 특히 비염, 천식,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가능하며, 이들 혼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과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젼,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본원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슈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나, 추출물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성인(60kg)의 경우, 약 1 내지 100g/일, 특히 약 10 내지 5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g/일이다.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에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원에 따른 추출물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염증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천연 식물성 소재인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또는 벌개미취 추출물은 이들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염증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항염증제를 필요로 하는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완화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
이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과 여기에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염증질환 완화 또는 개선용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를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0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를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 목적을 갖는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과 여기에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 효과를 갖는 벌개미취,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정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g, 바람직하게는 약 5~12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화합물은 목적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및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을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의 분말시료 각각 100, 62, 100g을 50℃ 온도에서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가속용매추출장치(ASE)를 사용하여 30분간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후 50℃의 감압농축장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각각 13, 6, 15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 효소인 iNOS 저해 활성을 통한 항염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의 시험관 내 시험법(in vitro)인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 (Pyee Y et al, J Nat Prod, 77(4) 917-24, 2014)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염증 반응 및 외상이 있을 때 발현이 증가하는 산화질소 생성효소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저해 활성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3 x 105 cells/ml의 RAW 264.7 (ATCC® TIB-71TM)세포를 10% FBS (Fetal bovine serum) 가 포함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medium))로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ml씩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부착된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으로 세척 후 10% FBS-DMEM 배지와 본 발명의 추출물(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을 각각 2.5, 5, 10, 20μg/ml)로 처리하고 30분 후,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내독소로 1μg/ml LPS (lipopolysaccharide, 지질다당류)를 넣어 주고 37℃, 5% CO2에서 20시간 배양하였다 (실험군). 블랭크(blank)로서 LPS 및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첨가 없이 배양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대조군으로서 LPS만 첨가되어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였다.
각 웰의 상층액을 100μl씩 취하여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 용액 및 N-(1-나프틸)-에틸렌디아민 (N-(1-naphtyl)-ethylenediamine) 용액과 각각 90μl씩과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배양액에 생성된 질산염(nitrate) 또는 아질산염(nitrite)의 양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 2, 3에 나타내었다.
NaNO2 용액을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고 측정한 흡광도를 바탕으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각 실험 물질 처리에 따른 NaNO2 농도로 환산하여 LPS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시료의 산화질소(NO)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질산염 농도로 저해율(%)을 구한 후 IC50 값을 산출하였다. IC50 값은 50% 억제율에 대한 시험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위질빵의 경우는 2.5, 5, 10, 20μg/ml의 농도 처리시 LPS 단독 처리구에 비해 NO 생성이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17.7, 33.2, 49.5, 70.0% 억제되었고, IC50은 10.2μg/ml 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끈끈이대나물은 2.5, 5, 10, 20μM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LPS 단독 처리구에 비해 NO 생성이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4.5, 8.6, 14.7, 72.5% 억제되었고, IC50은 18.8μg/ml 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벌개미취를 2.5, 5, 10, 20μ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LPS 단독 처리구에 비해 NO 생성이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5.5, 25.0, 40.4, 62.5% 억제되었고, IC50은 16.5μg/ml 이었다.
상기 결과는 본원에 따른 추출물이 세포에서 iNOS 발현 저해를 통해 NO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근본적으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iNOS 발현 저해를 통한 NO 생성을 억제가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은 공지된 것으로 특히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양성 대조 물질로 사용한 2-Amino-5,6-dihydro-6-methyl-4H-1,3-thiazine hydrochloride (AMT)는 50μM 에서 90% 이상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NOS 생성 저해 효과가 시료 자체(벌개미취,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의 독성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Aldrich, USA)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는 최고 농도인 20μg/ml 에서 세포 독성(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이 나타나지 않아 본원에 따른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및 벌개미취에 의한 효과가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2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2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벌개미취의 각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Claims (13)

  1.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iNOS의 활성화 및 이로 인한 산화질소 과생성에 의한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질소 생성 저해를 통한 염증성 질환은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또는 벌개미취는 각각 꽃, 가지, 줄기, 잎, 미성숙열매, 또는 열매를 포함하는 지상부; 뿌리줄기;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위질빵은 뿌리, 상기 끈끈이대나물은 꽃, 상기 벌개미취는 지상부의 추출물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클로로포름,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로 추출물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8.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위질빵, 끈끈이대나물 또는 벌개미취는 각각 꽃, 가지, 줄기, 잎, 미성숙열매, 또는 열매를 포함하는 지상부; 뿌리줄기; 및 뿌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인,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위질빵은 뿌리, 상기 끈끈이대나물은 꽃, 상기 벌개미취는 지상부의 추출물인,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비염, 기관지염, 간염, 천식, 궤양성 대장염,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인, 염증질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서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170092361A 2016-07-22 2017-07-21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035 2016-07-22
KR20160093035 201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021A true KR20180011021A (ko) 2018-01-31
KR102024987B1 KR102024987B1 (ko) 2019-09-24

Family

ID=6108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361A KR102024987B1 (ko) 2016-07-22 2017-07-21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9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93A1 (ko) * 2018-05-11 2019-11-14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92761A (ko) * 2019-01-25 2020-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81691B1 (ko) * 2020-01-21 2020-11-24 (주)삼진지엔에프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272B1 (ko) 2019-12-24 2022-09-29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6873A1 (en) * 2004-06-09 2005-12-15 Li Yanxue Herb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rheumatic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6873A1 (en) * 2004-06-09 2005-12-15 Li Yanxue Herb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rheumatic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 발표집(P09-310). (2015.08)* *
Bioresource Technology. 2008. Vol.99, Issue18, pp.8903-8908.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8. Vol.116, pp.518-527.*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2. Vol.143, pp.116-150.* *
한약작지. 2009. Vol.17, NO.3, pp.173-17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693A1 (ko) * 2018-05-11 2019-11-14 한국한의학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92761A (ko) * 2019-01-25 2020-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81691B1 (ko) * 2020-01-21 2020-11-24 (주)삼진지엔에프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987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Costa-Rocha et al. Hibiscus sabdariffa L.–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Mah Chalcones in diets
KR20160130651A (ko) 아로니아와 오디를 이용한 항당뇨 및 시력 개선용 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Rehman et al.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KR20110126911A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409439B2 (ja)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KR101486484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20210143172A (ko) 알리톨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활성제 및 비만 억제 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harma et al. Bioactive compounds present in different parts of Guava and their significance: A review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7525B1 (ko)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