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25B1 -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25B1
KR101337525B1 KR1020120110604A KR20120110604A KR101337525B1 KR 101337525 B1 KR101337525 B1 KR 101337525B1 KR 1020120110604 A KR1020120110604 A KR 1020120110604A KR 20120110604 A KR20120110604 A KR 20120110604A KR 101337525 B1 KR101337525 B1 KR 10133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cinnamon
golden
viru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166A (ko
Inventor
이영익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3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낮아 B 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epatitis B containing extracts and fractions of Phyllanthus urinaria L and Hovenia dulcis Thunberg and Scutellaria baicalensis G. and Cinnam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B형 간염 바이러스(HBV)는 급성 및 만성 간염을 유발하며, 자기제어성 급성 간염, 전격성 간염 또는 만성 활동성 간염 등의 병으로 진전될 수 있다. 만성 활동성 간염은 발전되어 간경변 및 간암 등을 유발하고, 간부전을 동반하는 심각한 급성으로 악화될 수 있다(Brechot, C., J. Hepatol., 4, 269-279, 1987). 만성 간염에 감염되었을 때 대부분의 환자들은 지속성 또는 활동성 간염 증세를 보이는 반면 일부 환자들은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상기 바이러스성 간염의 발병 기전이 나 유발인자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일으킨 간 손상은 숙주의 면역세포가 매개한다는 일부 증거가 제시된 이래(Milich, D. R. et al., J. Immunol., 143, 3141-3147, 1989) 간세포 괴사를 유발하는 바이러스 항원과 특정 B 세포 및 T 세포의 면역 반응 및 바이러스 단백질의 직접적인 세포 발병 기전 또는 종양 발병 기전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R. Zschke, O. et al., Nature, 348, 252-254 (1990)). 그러나 여전히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임상 경로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B형 간염은 그 증세의 심각성 때문에 그 치료에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져 왔다. 현재 몇몇 약물과 백신이 개발되고 또 임상 전 실험과 임상 실험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실제 치료제로 적용된 약은 거의 없는 상태로 지금까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성 간염 환자에게 시행되는 유일한 치료법은 인체 면역 체계에 의존하는 것이다. HBV에 대한 인체 면역 작용은 HBV입자를 제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간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이러한 면역 작용의 부작용으로 치명적인 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질병의 진행을 예측하기 어렵게 하므로 빠르고 효율적인 간염 치료를 위해서는 항바이러스 요법과 면역 치료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시 감염된 간세포는 T 임파구(cytotoxic T lymphocyte, CTL)에 의해 파괴되고, 파괴된 간세포에서 방출된 바이러스 입자는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를 제거하여 간세포로의 재감염도 막으면서 바이러스의 증식도 억제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하여 인터페론, 핵산 유도체 또는 면역 조절물질 등 여러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인터페론-α만이 거의 유일하게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인터페론-α만이 미국에서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인터페론-α는 스컬레드(Sculled) 등에 의하여 1970년대 중반 처음 만성 B형 간염 치료제로 시험 되었는데 HBV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터페론-α는 1주일에 3번씩 최소 3개월 동안 투여하였을 경우 평균 20%의 환자에서 바이러스 증식이 억제되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뿐 지속적인 억제 효과를 보이지는 못하며, 특히 동양 사람에게 많은 모자간의 수직 감염에 의한 환자 또는 어린이들은 인터페론-α에 내성을 나타내므로 그 치료 효과가 낮다.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급성 및 만성 환자들 중 50% 이하만이 인터페론-α 치료법에 적합하다는 것이 최근 보고되었는데, 상기 환자들 중 바이러스에 대한 영향으로 간에서 생성되는 각종 효소들(AST, SGOT, ALT, SGPT 등)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에만 이 인터페론-α 치료법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인터페론-α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방법으로서 바이러스가 수용체에 부착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바이러스의 활성 단백질이나 중합효소를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물질을 찾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시 3개(c, s, e 항원)의 주요 항원이 만들어지는데 c(core) 항원은 구조적 항원 결정체이며 s(surface) 항원은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에 의해 나타나는 항원 결정체이다. e 항원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아내는 혈액에서의 표시물질이다.
e 항원은 B형 간염의 번식에 필수 조건은 아니며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생활사에서의 역할은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e 항원의 유전자가 유사 동물 바이러스에서 보존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상기 항원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리라는 것이 추측되고 있다. 따라서, e 항원은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학적인 목표물로서, 특히 숙주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Pignatelli, M. et al., J. Hepal. 4, 15-16, 1987).
환자에게 시행되는 유일한 치료법은 인체 면역 체계에 의존하는 것이다. HBV에 대한 인체 면역 작용은 HBV입자를 제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간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이러한 면역 작용의 부작으로 치명적인 질환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질병의 진행을 예측하기 어렵게 하므로 빠르고 효율적인 간염 치료를 위해서는 항바이러스 요법과 면역 치료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 시 감염된 간세포는 T임파구(cytotoxic T lymphocyte, CTL)에 의해 파괴되고, 파괴된 간세포에서 방출된 바이러스 입자는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를 제거하여 간세포로의 재감염도 막으면서 바이러스의 증식도 억제하여야 한다.
진주초(여우구슬; Phyllanthus urinaria L)는 한국·일본 및 열대·아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하며, 밭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15∼40cm이고 붉은빛이 돌며 가지가 퍼진다. 가지에 좁은 날개가 있고, 잎은 어긋나며 2줄로 달려서 깃꼴겹잎같이 보인다. 밑부분에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삼각형의 잎이 몇 개가 있다.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흰빛이 나며 잎자루는 짧다. 꽃은 1가화이고 7∼8월에 피며 적갈색이다. 화피는 6개,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편구형으로 자루가 없고 적갈색이며 옆으로 달린 주름살이 있다. 여우주머니와 비슷하지만 열매에 자루가 없다. phenol류와 triterpenoid류가 함유되어 있고 ellagic acid가 분리, 보고되었다.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헛개나무(지구)의 열매 또는 종자, 흔히 꼭지가 붙은 열매를 '지구자(헛개;Hovenia dulcis Thunberg)'라고 한다. 황해도 이남의 산 중턱 이하 숲 속에서 자란다. 낙엽교목,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3 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잎의 길이는 10-20㎝, 폭은 6-14㎝이다. 꽃은 취산화서로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붙고, 화서의 길이는 4-6㎝이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삼각형이고, 꽃잎은 5장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비틀린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갈색이며, 자루(꼭지)는 울퉁불퉁한 육질로 단맛이 난다. 열매에는 다량의 glucose와 calcium malate이 함유되어 있고 열매, 잎, 줄기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잎 및 줄기는 약용으로 사용된다.
황금(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은 꿀풀과에 속하며, 동아시아대륙 중국 북부지방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나고, 지리적으로는 동시베리아, 몽고,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약용식물로 들여와 각처의 약초농가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며 흔히 밭에 재배한다. 뿌리가름 또는 씨로 번식한다. 생약(生藥)에서 황금은 뿌리를 말린 것으로,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겉껍질과 썩은속을 긁어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뿌리가 노란색이어서 황금이라 한다. 다년초, 높이 60cm 안팎, 전체에 거친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밀생하고 경질로 네모지고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對生)하며 거의 잎자루가 없고 양끝이 좁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의 잎은 길이 4.5cm, 폭 8mm 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잎자루는 길이 2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달리고 화서(花序)에 잎이 있으며 각 엽액(葉腋)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鐘形)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2개로 갈라지며 뒤쪽에 돌기(突起)가 있고 꽃이 진 다음 젖혀지며 화통(花筒)은 길이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굽고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뒤의 열편은 투구 모양이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측열편(側裂片)과 거의 합쳐지고 첫째 열편은 퍼지며 자주색이다. 열매는 10월에 성숙되고 분과(分果)는 둥글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뿌리에 바이칼린 4-5%, 바이카레인, 워고닌, 워고노시드, 7-메톡시-바이칼레인, 네오바이칼레인, 7-메톡시노르워고닌, 오록실론 A, 스쿨캅플라본 등이 있다. 이밖에 피로카테킨계통의 탄닌질, 베타시토스테롤, 수지, 정유가 있다. 잎에는 워고노시드(워고닌-7-글루쿠로니드), 카르타미딘(녹음점 223℃,분해), 이소카르타미딘(녹음점 244℃)이 있다. 식용(뿌리), 약용(뿌리). 항바이러스 효과로는 워고닌(Wogonin)이 이미 알려져 있다.
계피(계주, 대주, 육계; Cinnamon)는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원산지이다.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차이나, 수마트라에서 경작된다. bark은 향료 무역에서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는 주로 cinnamon이라고 언급된다. Chinese cassia 또는 cinnamon은 Kwangsi, Kweichow, Kwantung 지방에서 경작된다. French Indochina cassia는 Cinnamomum loureirii Nees의 나무껍질이다. Batavia cassia는 현재 Korintje cinnamon 이라고 하고, 이는 Cinnamomum burmannii Blume의 나무껍질이다. 이것은 수마트라의 서해를 따라 저지역에서 경작된다. 이들 cassia의 건조되고, 덜 익은 열매는 Cassia buds로 알려져 있다. Cassia는 Cinnamomum의 마른 나무껍질을 가진 상록수이다. Cassia 나무의 어린 새싹은 자르고 1년에 2번 나무껍질을 벗긴다. 새순은 그루터기로부터 자란다. 얇은 나무껍질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롱모양으로 만다. Chinese cassia quill은 길이가 평균 30cm 이고 두께는 0.6mm이다. 외피는 연한 회갈색에서 어두운 붉은 갈색으로 다양하다. 향미는 Chinese cassia 와 비슷하다. Batavia cassia quills는 더 부드럽고, 더 가지런하다. 그리고 연한 붉은 갈색을 띠며, 향기가 좋으며, 달고 자극적인 맛을 가졌다. 주성분은 시남 알데하이드로서 방향과 단맛이 나는 매운맛이 있으며, 약 65~76% 점유하고, 정유, 탄닌, 쿠마린, 점액질, 고무질, 당분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중 항 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선별하여 간염 치료제로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세포독성이 낮아 B 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B형 간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에서 외부(extracellular)로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에서 외부(extracellular)로 B형 간염 바이러스 s 항원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이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DNA복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라미부딘(Lamivudine): 양성대조군.
RC : relaxed circular HBV DNA;
DS : double-stranded HBV DNA ; 및
SS : single-stranded HBV DNA.
도 4는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이 라미부딘, 텔부민 및 클레부딘 약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HBV 리플리콘(replicon)을 발현 시켰을 때 동시에 HBV 리플리콘 복제를 억제 시켜 HBV의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라미부딘: 대조군.
도 5는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진주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그산(ellagic acid), 상기 헛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주주보사이드 B(Jujuboside B), 상기 황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워고닌(Wogonin) 및, 상기 계피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트랜스-신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2-methoxycinnamaldehyd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5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는 1:1:1: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를 혼합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여과법, 열수추출, 침지추출, 환류냉각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에 0.1 내지 10배 첨가할 수 있으며, 0.3 내지 5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2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를 각각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의 분획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n-헥산을 가하여 n-헥산층을 분리하는 단계;
2) 단계 1)의 남은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는 단계;
3) 단계 2)의 남은 물층에 부탄올을 가하여 부탄올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남은 물층에 물 분획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노르말-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혼합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수득한 잔사에 물과 노르말-헥산을 넣어 노르말-헥산층을 분리하여 노르말-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헥산층을 제외한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제거한 후 노르말-부탄올을 혼합한 후 노르말-부탄올층을 분리하여 노르말-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르말-부탄올층을 제거한 후 물층의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낮은 농도로 처리하여도 e 항원 및 s 항원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의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중합효소 활동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이 라미부딘, 텔부민 및 클레부딘 약제에 내성을 가지는 HBV 리플리콘(replicon)의 복제를 억제시키는, 즉 HBV의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검사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낮아 B 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5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을 랫트에 경구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5g/kg 이상인 안정한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세포독성이 낮아 B 형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0.1 내지 99.9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세포독성이 낮아 B 형 간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 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 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 부당 0.02~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이 라미부딘, 텔부민 및 클레부딘 약제에 내성을 가지는 HBV 리플리콘(replicon)의 복제를 억제시키는, 즉 HBV의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 및 s 항원의 생성을 억제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 및 중합효소 활성을 현저하게 낮추며, 또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간세포 부착을 억제하며, 세포독성이 낮아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진주초 ( Phyllanthus urinaria L), 헛개 ( Hovenia dulcis Thunberg ),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 Cinnamon ) 추출물의 제조
<1-1>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를 서울 경동 한약재 시장에서 구입하여 세절하여 사용하였다.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를 각각 100 g을 준비하여 합친 후, 3시간 동안 3 L의 80% 에탄올로 환류 응축기에서 실온에서 3회 추출하였다. 상기 용액을 와트만 No.1 종이를 통해 여과하고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에탄올 추출물 64 g을 수득하였다. 최종 수득한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 50 ㎎/㎖의 농도로 용해시켜 -20℃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시, 실험 완충액에 DMSO의 최종농도가 0.1% 이하가 되도록 희석시켜 사용하였다.
<1-2> 물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로 80% 에탄올 대신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여 분말(수율 35.5%)을 얻었다.
<1-3> 10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로 80% 에탄올 대신 100%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여 분말(수율 26.4%)을 얻었다.
<1-4> 100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추출용매로 80% 에탄올 대신 100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여 분말(수율 33.1%)을 얻었다.
< 실험예 1> 진주초 , 헛개 ,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의 항 B형 바이러스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 간염 바이러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간 간조직 유래의 동물세포(HepG2.2.2.15)에 농도별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후, e 항원 및 s 항원 생성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1-1> 2.2.15. 세포의 배양
상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간의 간 조직에서 유래된 HepG2 세포(human hepatoblastoma cell)에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e 항원 (HBeAg)을 배지로 배출하는 2.2.15. 세포주 (Keui Ueda et al., Virology 169, 213-21, 1989)를 사용하였다. 2.2.15. 세포는 지름 10 cm 페트리디쉬에 4 ㎍/㎖ 겐타마이신(Gentamicin; Sigma, 미국)과 10%의 열처리 된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이 첨가된 DMEM 배지(Gibco, 미국)를 사용하여 배양하는데, 37℃, 5% CO2 배양기에서 증식시켜 세포 단층이 형성되면 3∼4일 간격으로 트립신을 처리하여 계대 하였다.
<1-2> B형 간염 바이러스 e 항원의 생성 저해 효과 측정
상기 실험예 <1-1>에서 배양된 2.2.15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104 개의 농도로 FBS가 10% 포함된 DMEM 배지 배양액 250㎕와 함께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FBS가 2% 포함된 DMEM 배지 배양액에 농도별로 천연물 각각과 혼합추출물을 처리하였다. 추출물을 처리한 지 6일이 지난 다음 배양액만을 취하고 이 배양액을 10,000 rpm으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분리물을 제거하였다. 이때 얻은 상층 배양액만을 B형 간염 항원(HBeAg)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HBeAb)가 도말되어 있는 진단시약 플레이트에 일정량씩 분주한 다음 37℃ 배양기에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진단시약 플레이트를 인산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퍼록시다아제(peroxidase)가 표지되어 있는 HBeAb를 일정량씩 각 웰에 분주하고 37℃ 배양기에 1시간 동안 방치하여 HBeAg과의 2차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결합되지 않은 잉여분의 항체는 인산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제거하였으며 퍼옥시다아제에 의해 발색반응을 일으키는 TMB(tetramethyl benzidine dihydrochloride) 기질이 포함된 용액을 일정량씩 분주하여 발색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진단시약 플레이트는 450 nm에서의 흡광 정도를 읽어들여 e 항원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e 항원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여러 가지 농도에서 측정하고,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에 의한 간염 항원 감소능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모두 5 ㎍/㎖의 농도만으로도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e 항원의 생성을 급격히 저하시킴으로써 항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도 1), 이때 HepG2 2.2.15 세포에서 e 항원 생성을 50% 방해하는 약물농도(IC50)를 결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IC50 (㎍/㎖)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10
<1-3> B형 간염 바이러스 s 항원에 대한 효과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에 의해 B형 간염 바이러스 S 항원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세포 내의 B형 간염 바이러스 S 항원 생산 및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S 항원의 생성에 약한 억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2> B형 간염바이러스 DNA 복제 측정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2.2.15. 세포주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약물처리 9일 후 세포에서 B형 바이러스를 분리하여 서던 블랏(southern blot)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α-32P-dCTP label된 프로브(probe)와 멤브레인(membrane)을 16시간 반응시켰다. 2 x SSC / 0.1% SDS, 1 X SSC / 0.1% SDS, 0.5 X SSC / 0.1 % SDS로 세척 후 결합된 방사선의 양을 X-ray 필름에 노출(expose)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의 중합효소 활동 방해물질인 라미부딘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복제에는 영향이 있었으며(5 μg/ml:80%) 중합효소 활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라미부딘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0.1 uM(80%)와 1 uM(90 %)에서 감소된 중합효소 활동을 확인하였다(도 3).
< 실험예 3> 다제 약제 내성 리플리콘(replicone)의 HBV 복제 측정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HBV 변이에 의한 다제약제 내성 리플리콘의 복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암세포주인 Huh7 세포주를 형질감염(transfection) 하기 전날에 60∏ 플레이트에 1 X 106 cells을 준비한다. HBV 야생형을 가지는 플라스미드 4 ug와 라미부딘에 저항성을 가진 플라스미드 4 ug을 리포펙타민 2000 시약(reagent)으로 Huh7 세포주로 형질주입 한다. 6시간 지난 후 PBS로 2회 세척한 후 배지를 교체하여 라미부딘과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다. 형질주입 4일 후 세포 회수한 후 HBV DNA 만을 분리하여, HBV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를 가지고 서던 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미부딘에 저항성을 가진 HBV도 혼합추출물 처리한 후에 HBV DNA 복제능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4).
< 실험예 4> 세포독성 검사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X 104 개의 세포를 250㎕ 부피로 첨가하고 6일 동안 각각의 천연물 그리고 혼합추출물을 처리하고, 상등액을 제거한 후, MTT시약을 100 ㎕ 부피로 첨가하고 37℃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기에 두었다. 그런 다음 인산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여 여분의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 ㎕를 가하여 5~10분 교반 시켰다.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스펙트로포토메터로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50%의 흡광도 감소를 유발하는 추출물의 농도를 CC50 (50% 세포독성 농도 : cytotoxic concentration)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면 5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
구분 cc50 (㎍/㎖)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 40
< 실험예 5>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랫트의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 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하여 5 g/㎏/15 ㎖의 용량으로 단 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랫트에서 5 g/㎏까지 독성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 치사량(LD50)은 5 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1>의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 올리고당(2 %), 설탕(2 %), 식염(0.5 %), 물(75 %)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진주초(Phyllanthus urinaria L), 헛개(Hovenia dulcis Thunberg),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 및 계피(Cinnamon)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그산(ellagic acid), 상기 헛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주주보사이드 B(Jujuboside B), 상기 황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워고닌(Wogonine) 및, 상기 계피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트랜스-신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2-methoxycinnamaldehy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6
    ;
    [화학식 2]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7
    ;
    [화학식 3]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8
    ;
    [화학식 4]
    Figure 112012080793330-pat00009
    ;및
    [화학식 5]
    Figure 112012080793330-pat00010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은 물, C1 ~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에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노르말-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
  8.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HBV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용 조성물.
KR1020120110604A 2011-10-07 2012-10-05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7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2608 2011-10-07
KR1020110102608 2011-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66A KR20130038166A (ko) 2013-04-17
KR101337525B1 true KR101337525B1 (ko) 2013-12-05

Family

ID=4843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04A KR101337525B1 (ko) 2011-10-07 2012-10-05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710A (zh) * 2017-11-06 2018-03-16 廖会吉 一种治疗乙肝的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17B1 (ko) * 2013-05-13 2014-11-24 (주)애니캠 헛개나무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추출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 음료의 맛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505A (ko) * 2003-12-30 2005-07-07 정태호 비형 간염 치료제 조성물
KR20090002434A (ko) * 2007-06-28 2009-01-09 (주)리즈바이오텍 헛개나무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505A (ko) * 2003-12-30 2005-07-07 정태호 비형 간염 치료제 조성물
KR20090002434A (ko) * 2007-06-28 2009-01-09 (주)리즈바이오텍 헛개나무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L. Huang et al. Planta Medica. 2000, Volume 66, No. 8, Pages 694-69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710A (zh) * 2017-11-06 2018-03-16 廖会吉 一种治疗乙肝的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166A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KR100901761B1 (ko) 헛개나무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37525B1 (ko)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29559A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10225213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07791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91488B1 (ko) 톱풀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23005555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ntaining aster koraiensis nakai extract
KR20100061212A (ko) 측백엽, 백자인, 노간주나무 및/또는 참취의 추출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93679A (ko) 남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