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693A1 -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693A1
WO2019216693A1 PCT/KR2019/005630 KR2019005630W WO2019216693A1 WO 2019216693 A1 WO2019216693 A1 WO 2019216693A1 KR 2019005630 W KR2019005630 W KR 2019005630W WO 2019216693 A1 WO2019216693 A1 WO 20192166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cosmetic composition
skin
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6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찬식
김진숙
현수왕
이익수
조규형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2166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6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bee herb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nd a quasi-dru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bee deodoran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Skin is the largest tissue in the human body, protecting the body from sunlight,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I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human life and is constantly renewed to maintain homeostasis.
  • the skin consists of the epidermis,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fat from the outside, and the thinnest tissue, the epiderm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isturizing and protecting the epidermis and prevents water loss, damage and bacterial invasion.
  • Skin is a tissue that covers the entire body and has various functions. As it has a barrier funct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it has an immune system by Langerhans Island and a moisture control function by the epidermis. It also synthesizes vitamin D in the right sun and performs the excretion of lipids into the reservoir and sweat glands.
  • the stratum corneum produced by normal differentiation process in healthy skin has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skin's moisture and protecting it from stimul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function is called the skin barrier function and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epider
  • Melanin is synthesized in melanocytes (melanocytes) present in the basal layer of the skin and metastasize to the surrounding keratinocytes to show the human skin color.
  • melanocytes melanocytes
  • Melanin is a type of amino acid tyrosine (tyrosinase) acts by tyrosinase (tyrosinase), the tyrosinase is more activated by ultraviolet light, so when the sunlight receives a lot of skin will turn black.
  • tyrosinase tyrosinase
  • UV light ultraviolet light
  • raw materials formulated in whitening cosmetics as active inhibitors of tyrosinase include ascorbic acid (vitamin C) and its derivatives, lettuce extract, green tea extract, aloe extract, golden extract, kojic acid, arbutin, oil-soluble licorice extract and Tranexamic acid amide.
  • vitamin C ascorbic acid
  • the plant extracts are unstable, and when combined with a product, the effect is not sustained, and tyrosinase activity suppression is also insignificant.
  • kojic acid kojic acid
  • kojic acid can cause allergic reactions, and (Nakagawa M. et.al., ContactDermatitis, 43 : PP9-3 (1995)) and instability in the products 2%
  • kojic acid kojic acid
  • Aster koraiensis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Asteraceae family , which grows in well-lit and wet wetlands, and is a Korean specialty plant that grows in the south of Gyeonggi-do and Jeju-do. It is often used for horticulture or dermis, and it is sometimes used as a herb for boiled soft leaves or as a herb, or as a root for sputum and asthma.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studies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for natural skin-derived skin whitening, an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bee-flavored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have a skin whitening effect through excellent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bee odor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bee odor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 bee-flavored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ibit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inhibit the production of melanin. It may b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1 is a graph confirming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of each part of the bee sting anesthetic extract in vitro .
  • Figure 2 is a graph confirming the cytotoxicity of each part of the bee sting odor extract.
  • Figure 3 is a graph confirming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tyrosinase activity of each part of the honey bee odor extract in melanoma cell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bee odor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skin whitening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bee scaber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bee anesthetic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the term " Aster koraiensis"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Asteraceae family , which grows in well-lighted and damp wetlands, and is a Korean specialty plant that grows in South Korea's Gyeonggi-do and Jeju-do. It is often used for horticulture or dermis, and it is sometimes used as a herb for boiled soft leaves or as a herb, or as a root for sputum and asthma.
  •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liquid component obtained by immersing in a solvent and then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room temperature or warmed state, a solid content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liquid component.
  • the hummingbird extract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organs of natural, hybrid, and mutant plants, for example from roots, stems, leaves, flowers, trunks of fruits, peels of berries, as well as plant tissue cultures. It is possible.
  • the bee stinger extract may be extracted from the root, stem, leaf, flower, or fruit of the bee sting odo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 the bee odorant extract may be a ground part (leaf + stem), a flower or a leaf extract of the bee odor, more specifically, a flower extract.
  •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by administering the bee anesthetist extract in the cell the bee anesthetist flower extract exhibits an excellent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compared to the bee anesthetized ground and leaf extract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Fig. 3).
  • the bee odorous extract is extracted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nd mixed solvent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may include an extract obtained by an extraction treatment, a diluent or concentrate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or any one of these modifiers or purified products.
  • the alcohol may be butyl alcohol, ethyl alcohol, methyl alcohol or a water soluble alcohol thereof.
  • the water-soluble alcohol may be one that contains 0.1 to 100% by weight alcohol.
  •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result obtained by performing the fractionation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comprising various various components.
  • the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method of obtaining a fraction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a predetermined solvent with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bee-flavored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method of obtaining a fraction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a predetermined solvent with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bee-flavored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method of obtaining a fraction from the extract by treating a predetermined solvent with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bee-flavored extract.
  • the fraction may be a 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or water fraction of the honey bee extract.
  • the fractions may each comprise 0.01 to 10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1 to 8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kind of the fractionation solvent used to obtain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ractionation solvents include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s; And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dichloromethan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s
  •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dichloromethan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C 1 to C 4 alcohol may be used.
  • whitening refers to whitening of the skin, and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the synthesis of melanin to inhibit or prevent skin deposition of melanin.
  • the melanin is a pigment of dark brown granules, and is produced by a cell organelle called melanosome in melanocytes. Melanin is present in the skin, hair, eyes, etc., and the skin col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lanin. The higher the amount of melanin, the darker the skin color.
  •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by skin whitening efficacy of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 the whitening may be achieved by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by administering the bee sting anesthetic extract in vitro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concentration-dependently confirmed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the bee sting extract (Fig. On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external ointment, cream, foam, nourishing lotion, flexible lotion, pack, flexible water, latex, makeup base, essence, soap, liquid cleaning agent, bath, sunscreen cream, sun oil, It may be prepared in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patches and sprays, but It is not limit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formulated in general skin cosmetics, and as conven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thickeners , Chelating agents, pigments, preservatives, fragrances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or mor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formulated in general skin cosmetics, and as conven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thickeners , Chelating agents, pigments, preservatives, fragrances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carrier component is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and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etc. may be used,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 Propellants such as carbon, propane / butane or dimethyl ether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on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seed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fatty acid ester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 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an oil-fat component a humectant, an emollient, surfactant,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 organic powder, a ultraviolet absorber, a preservative, a bactericide, antioxidant, a plant extract, a pH adjuster, alcohol, a pigment, Fragrances,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cooling agents, restriction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 compounding component which may be added, an oil-fat component, a humectant, an emollient, surfactant,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 organic powder, a ultraviolet absorber, a preservative, a bactericide, antioxidant, a plant extract, a pH adjuster, alcohol, a pigment, Fragrances,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cooling agents, restriction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bee odor extract.
  • quasi drug refers to articles that have a lesser action than drugs among articles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amelior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of a human or animal.
  • quasi-drug products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exclude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medicines, and include products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f humans / animals, and products with slight or no direct action on the human body.
  • the quasi-drug may include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More specifically,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disinfectant cleaner, a shower foam, a gagreen, a wet tissue, a detergent soap, a hand wash, or an ointmen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n quasi-drug additive, the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quasi-drugs or quasi-drug compon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 the mixture wa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three times for three days with 80% (v / v) ethanol, which is 10 times the weight.
  • the extract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dried and lyophilized to obtain a bee-flavored alcohol above-ground part and flower extract.
  • the leaves of the hummingbird odor were cut and then scalded once with 100% water, 10 times the weight, for 3 hours at 100 ° C.
  • the extract was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dried and lyophilized to obtain a bee-flavored leaf boiling water extract.
  • the bee odo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dditive in functional cosmetics aimed at skin whitening.
  • mouse melanoma (B16F10) cells were inoculated in a 96-well plate by 60 to 70%. After stabilization for 24 hours, each extract was incubated for 24 to 48 hours by treatment with a diluted medium. 10ul of 5mg / ml MTT reagent was added per 100ul of medium and incubated for 2 hours. The supernatant was carefully removed and the formazan produced in each well was dissolved in 100ul of DMSO and measured at absorbance at 540nm.
  • composition including the bee herb flower extract in actual skin cells can be used for skin whitening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조직으로 햇빛이나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며 이는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끊임없이 재생되어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피부는 바깥쪽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지방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얇은 조직인 표피는 피부의 보습과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수분 손실, 손상과 세균 침입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피부는 신체를 전부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랑게르한스섬에 의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고 표피에 의한 수분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음. 또한, 적절한 햇빛으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지질의 저장고와 땀샘으로의 배설 기능도 수행한다. 건강한 피부에서의 정상적인 분화과정에 의해 생성된 각질층은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 하며 표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장품의 주요한 효능 중 하나인 미백은 멜라닌 합성과 피부 명암에 관련된 많은 효소들의 활성이 명백해졌지만 아시안 피부색이 특히 더 과색소가 침착되고 노화되기 쉬운 이유에 대해선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피부 명암을 밝힌다고 여겨지는 물질들은 전형적으로 멜라닌 합성과 그에 관여된 효소들 각각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여러 가지 요인들 특히, 계절, 인종, 및 성별에 따라 다르며, 주로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의 양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중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멜라닌(melanin)은 피부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합성되며 주변 각질 세포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되며, 반대로 과잉으로 생산될 경우에는 기미, 잡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아미노산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작용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는 자외선에 의해 더욱 활성화되기 때문에 햇빛을 많이 받게 되면 피부가 검게 변하게 된다. 국내 및 일본 등지에서 피부 미백효과 개념의 화장품들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들은 대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들을 배합한 제품들이다.
종래에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제로서 미백화장품에 배합되는 원료들에는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상백피추출물, 녹차추출물, 알로에추출물, 황금추출물 뿐만 아니라, 코직산, 알부틴, 유용성 감초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아마이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식물추출물들은 불안정하고 제품에 배합할 경우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며,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력도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직산(kojic acid)은 티로시나아제 억제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Nakagawa M. et.al., ContactDermatitis, 43:PP9-3(1995)) 제품 내에서 불안정하여 2%에 가까운 과량을 사용해야 하는 등 조성물로서 제조하는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벌개미취(Aster koraiensis)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빛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습지 등에서 자라며, 한국의 경기도 이남 및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주로 원예용 또는 지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뿌리를 달여 가래 및 천식에 대한 치료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를 통해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in vitro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의 부위별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벌개미취 추출물의 부위별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흑색종 세포 내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의 부위별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미백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벌개미취(Aster koraiensis)"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빛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습지 등에서 자라며, 한국의 경기도 이남 및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주로 원예용 또는 지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뿌리를 달여 가래 및 천식에 대한 치료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추출물"이란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뿌리, 줄기, 잎, 꽃, 또는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벌개미취의 지상부 (잎+줄기), 꽃 또는 잎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꽃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벌개미취 추출물을 세포 내에 투여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벌개미취 지상부 및 잎 추출물과 비교하여 벌개미취 꽃 추출물이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3).
본 발명에서,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부틸 알콜, 에틸 알콜, 메틸 알콜 또는 이의 수용성 알콜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알콜은 알콜이 0.1 내지 100 %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벌개미취 추출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벌개미취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미백"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은 흑갈색 알갱이의 색소로서, 멜라닌 세포 내 멜라노솜이라는 세포 소기관에 의해 만들어진다. 멜라닌은 피부, 털, 눈 등에 존재하며, 멜라닌의 양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되는데, 멜라닌의 양이 많을수록 검은 피부색을 띤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 효능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험관 내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을 투여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벌개미취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벌개미취", "추출물", "미백"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벌개미취 추출물 제조
벌개미취의 지상부 또는 꽃부위를 세절한 후, 중량의 10배수인 80%(v/v) 에탄올로 각 회당 3일간 총 3회 상온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상태에서 농축, 건조 후 동결 건조하여 벌개미취 알코올 지상부와 꽃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벌개미취의 잎은 세절한 후, 중량의 10배수인 100%의 물로 100℃에서 3시간 동안 1회 열탕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상태에서 농축, 건조 후 동결 건조하여 벌개미취 잎 열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 확인
in vitro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mM L-티로신과 175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1:16 비율로 섞은 용액을 만든 후 96웰 플레이트에 170ul씩 넣는다. 각 웰에 시료를 농도별로 20ul씩 넣은 후 티로시나아제 용액을 10ul씩 넣는다.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다음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mM 알부틴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잎은 250, 지상부와 꽃은 1000㎍/mL에서 5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은 피부미백을 목표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MTT 어세이를 통한 세포 생존율 확인
벌개미취 추출물의 세포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96 웰 플레이트에 마우스 흑색종(mouse melanoma, B16F10) 세포를 60 내지 70% 정도로 채워 접종한다. 24시간 동안 안정시킨 뒤,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한 배지를 처리하여 24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 100ul당 5mg/ml MTT 시약을 10ul 첨가하고 2시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각 웰에 생성된 포르마잔 (formazan)을 DMSO 100ul로 녹여서 흡광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5μg/ml에서부터 세포 사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후 실험에서 각 추출물의 최고 농도를 100μg/ml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이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도 벌개미취 추출물이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예 3. 벌개미취 추출물의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 확인
세포 내에서 벌개미취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0 세포에 약물 처치 후 배양이 끝나면 1%(w/v) triton X-100 용액을 넣고 3시간 동안 냉장상태에서 둔 후 트립신을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하였다. 세포와 용액을 모두 에펜도르프 튜브로 이전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했다. 상층액 50ul와 L-DOPA 100ul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뒤,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는 벌개미취 잎 또는 지상부 추출물의 경우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꽃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험예 1에서 확인했던 in vitro 결과와는 다른 양상이며, 벌개미취 지상부, 잎, 꽃 추출물이 모두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 해도 세포 내에서는 벌개미취 꽃 추출물이 실질적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피부 세포에서 벌개미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7)

  1.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 효능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
PCT/KR2019/005630 2018-05-11 2019-05-10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92166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371A KR102115988B1 (ko) 2018-05-11 2018-05-11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8-0054371 2018-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693A1 true WO2019216693A1 (ko) 2019-11-14

Family

ID=6846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630 WO2019216693A1 (ko) 2018-05-11 2019-05-10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5988B1 (ko)
WO (1) WO201921669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231A (ja) * 1992-04-24 1993-11-19 Pola Chem Ind Inc 皮膚外用剤
KR20100000081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0356A (ko) * 2009-06-26 2011-0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1021A (ko) * 2016-07-22 2018-01-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231A (ja) * 1992-04-24 1993-11-19 Pola Chem Ind Inc 皮膚外用剤
KR20100000081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0356A (ko) * 2009-06-26 2011-0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1021A (ko) * 2016-07-22 2018-01-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SANG KOOK ET AL.: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by Utilizing Library of Korean Agricultural Resources with Ski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ages 1 - 1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988B1 (ko) 2020-05-28
KR20190129556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130023326A (ko) 모자반, 우뭇가사리, 톳으로 구성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11122869A2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325A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8926A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431819B1 (ko) 당유자 및 황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216693A1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WO2022092337A1 (ko)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4672B1 (ko)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02341B1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1903B1 (ko) 세발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0527A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4351A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602A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WO2023191471A1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990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990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