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337A1 -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337A1
WO2022092337A1 PCT/KR2020/014723 KR2020014723W WO2022092337A1 WO 2022092337 A1 WO2022092337 A1 WO 2022092337A1 KR 2020014723 W KR2020014723 W KR 2020014723W WO 2022092337 A1 WO2022092337 A1 WO 20220923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arts
dandr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7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Publication of WO20220923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3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that contains a fermented extract of Dol et al., which can provide improved skin whitening effect and hair loss alleviation effect.
  • Cosmetics are articles used on the human body to clean and beautify the human body to add attractiveness, to brighten the appearance, or to maintain or promote skin and hair health, meaning that it has a slight effect on the human body.
  • functional cosmetics that improve the functions of conventional cosmetics to help whiten the skin, help improve wrinkles on the skin, or help prevent hair loss are in the spotlight.
  •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show an example of functional cosmetics.
  • Patent 1 No. 10-1550422 (registration on Aug. 31, 2015)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digo plant extract"
  • Patent 2 No. 10-1569431 (registered on November 10, 2015) "Method for improving skin care in 6 steps us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llite extract, which has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 Patent 3 No. 10-1727477 (registered on April 11, 2017)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additional dandruff improvement effect by further including an extract for dandruff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fermented extract formed by fermenting the ediole using Aspergillus oryzae.
  • the ferment extract is obtained by mixing the estuarine in water and boiling, then adding Aspergillus oryzae to perform fermentation and filtration. .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and promotes the growth of hair follicle cells to provide a hair loss relief effect.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alleviating hair loss
  • the cosmetic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 the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5% by weight.
  • the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comprises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daffodil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ulsan peppermint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cotton export, Orifolia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Malbaldori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Pengrae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sagebrush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Windbreak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Licorice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and Gyamta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tree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present embodiment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mproved skin whitening effect and hair loss alleviation effect by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outside of Dol.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dditional dandruff improvement effect by further comprising an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 1 is a view showing the cytotoxicity test results for the extract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confirming that the extract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melanin secretion.
  • Figure 3 is a view for confirming that the extract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melanin production.
  • Figure 4 is a view for confirming that the extract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genes involved in melanin production.
  • FIG. 5 is a view for confirming that the extract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a growth factor involved in the growth of hair follicle cell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fermented extract of Dol et al., and provides improved skin whitening and hair loss alleviation effects.
  • the above-mentioned stones are dicotyledonous plants, perennial vines of the Gourdaceae family, the leaves grow in the forests of mountains or fields, the rhizomes extend sideways, the nodes have white hairs, and they grow tangled, the leaves are alternate and compound leaves with 5 small leaves. Narrow oval oval or narrow oval.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and the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extract for improving dandruff is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daffodil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M.
  • peppermint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cotton expor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Orifolia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extract of horsetail extract, Bongraecho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windbreak extract,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licorice extract and 100 to 200 parts by weight of the licorice root extract.
  • the daffodil is a monocotyledonous perennial plant of the Liliaceae family Narcissus
  • the hairy lichen is a perennial herb of the genus Lamiaceae and the genus Lamiaceae
  • the cotton is a dicotyledonous plant Malvaceae mallow and annual grass
  • the duckweed is a dicotyledonous plywood currency.
  • the horsetail is a deciduous shrub of the dicotyledon family Rosaceae
  • the pennywort is an evergreen creeper plant of the monocotyledon family
  • the order Lamaceae and the reed is a bamboo of the monocotyledon family of the genus oleracea.
  • the windbreak is a dicotyledonous perennial plant of the Umbelliferae family
  • the licorice is a dicotyledonous perennial plant of the Rosaceae legume family
  • the licorice is an evergreen broad-leaved small arboreous tree of the dicotyledonous plant Novakacea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 the water-soluble vitamin may be any type of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pyridoxine, pyridoxine hydrochlorid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cotinic acid, nicotinic acid amide, folic acid, vitamin C, vitamin H, etc. and their salts (thiamine hydrochloride, sodium ascorbate salt, etc.) and derivatives (ascorbic acid-2-phosphate sodium salt, ascorbic acid-2-phosphate magnesium salt, etc.) are also water-soluble vitamin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included in The water-soluble vitamin can be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microbial transformation method,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microbial culture, an enzymatic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 the oil-soluble vitamins may be any as long as they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 vitamin A, carotene, vitamin D2, vitamin D3, vitamin E (d1-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and their derivatives (ascorbine palmitate, ascorbine stearate, ascorbine dipalmitate, dl-alpha tocopherol acetate, dl-alpha tocopherol nicotinic acid, vitamin E, DL-pantothenyl alcohol, D-pantothenyl alcohol, pantothenyl) ethyl ether, etc.) are also included in the oil-soluble vitami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oil-soluble vitamin can be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microbial transformation method,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microbial culture, an enzyme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and the like.
  • the high molecular weight peptide may b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incorporated into a cosmetic.
  •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keratin, and the like are mentioned.
  • the polymer peptide can be purified and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purification from a microbial culture solution, an enzyme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or can be purifi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the dermis of pigs or cattle, silk fibers of silkworms, etc. .
  • the high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 may b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but preferably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chondroitin sulfate or a salt thereof (such as sodium salt).
  • chondroitin sulfate or a salt thereof can be purified and used from mammals or fish.
  • the sphingolipid may be any as long as it can be blended into a cosmetic, and preferred examples include ceramide, phytosphingosine, and sphingoglycolipid.
  • the sphingo lipid may be purified by a conventional method from mammals, fish, shellfish, yeast or plants, or may be obtained by chemical synthesis.
  • the seaweed extract may be any one as long as it can be formulated in cosmetics, but preferably brown algae extract, red algae extract, green algae extract, etc., and calrageenan purified from these seaweed extracts, arginic acid, sodium alginate , potassium alginate, etc. are also included in the seaweed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aweed extract can be obtained by purification from seaweed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ther ingredients that are usually formulat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 an oil-fat component a moisturizing agent, an emollient, etc. are mentioned.
  • Examples of the fats and oils include ester fats and oils, hydrocarbon oils, silicone oils, fluorine oils, animal fats, and vegetable oils.
  • Examples of the ester-based fats and oils include glyceryl tri-ethylhexanoate, cetyl 2-ethylhexanoate, isopropyl myristate, but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ethyl stearate, octyl palmitate, isocetyl isostearate, stearate.
  •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examples include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such as squalene, liquid paraffin, alpha-olefin oligomer, isoparaffin, ceresin, paraffin, liquid isoparaffin, polybudene, microcrystalline wax, petrolatum.
  • silicone-based oils and fats examples include polymethylsilicone, methylphenylsilicone, methylcyclopolysiloxane, octamethylpolysiloxane, decamethylpolysiloxane, dodecamethylcyclosiloxane, dimethylsiloxane/methylcetyloxysiloxane copolymer, dimethylsiloxane/methylstealloxysiloxane copolymer, Alkyl-modified silicone oil, amino-modified silicone oil, etc. are mentioned. As said fluorine-type fats and oils, perfluoro polyether etc. are mentioned.
  • animal or vegetable oils and fats examples include avocado oil, almond oil, olive oil, sesame oil, rice bran oil, saffron oil,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passerine oil, palm kernel oil, palm oil, castor oil, sunflower oil, grapes. Seed oil, cottonseed oil, palm oil, kukui nut oil, wheat germ oil, rice germ oil, shea butter, cranberry colostrum, marcus damia nut oil, meadow home oil, egg yolk oil, beef tallow, horse oil, mink oil, orange rafi oil, jojoba and animal or plant oils and fats such as oil, candelabra wax, carnauba wax, liquid lanolin, and hydrogenated castor oil.
  • the moisturizing agent examples include a water-soluble low molecular weight moisturizer, a fat-soluble molecular moisturizer, a water-soluble polymer, and a fat-soluble polymer.
  •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 etc. are mentioned as said fat-soluble low molecular weight moisturizing agent.
  • the water-soluble polymer include carboxyvinyl polymer, polyaspartate, tragacanth, xanthan gum, methyl cellulose,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water-soluble chitin, chitosan, dextrin, and the like.
  • the fat-soluble polymer examples include polyvinylpyrrolidone/eicocene copolymer, polyvinylpyrrolidone/hexadecene copolymer, nitrocellulose, dextrin fatty acid ester, and 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 emollient examples include long-chain acyl glutamic acid cholesteryl ester, hydroxystearic acid cholesteryl, 12-hydroxystearic acid, stearic acid, rosin acid, and lanolin fatty acid cholesteryl ester.
  • Example 2 1 the other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of Example 2 1 to prepare a cell culture solution for the extract. Thereafter, a cell culture solution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25, 50, 100%) of the extract of the doleolithiasis was prepared by mixing the normal cell culture medium and the cell culture medium of the eccentricity extract.
  • HaCaT a human epithelial cell line
  • MTT assay MTT assay
  • ⁇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 hormone that induces melanin synthesis
  • the amount of secreted melanin and melanin present in cells is increased by about 4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treatment with the extracts of Dolomite reduces the synthesis and secretion of melanin by about 50% as in the case of treatment with Arbutin, which is a positive control.
  • Sample 1 is when only purified water is used, Sample 2 is purified water and dandruff improvement extract 1 is mixed, Sample 3 is purified water and when dandruff improvement extract 2 is mixed, Sample 4 is purified water and dandruff improvement A case in which dragon extract 3 is mixed is shown.
  • Example 5 1 Since skin damage due to skin irritation corresponds to one cause of dandruff,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sample prepared in Example 5 1 was applied to a human to alleviate skin irritation.
  • sample evaluation value 1 (purified water) 0 1 (purified water) + lactic acid 4th place 2 (purified water + dandruff improvement extract 1) + lactic acid 1st place 3 (purified water + dandruff improvement extract 2) + lactic acid 3rd place 4 (purified water + dandruff improvement extract 2) + lactic acid 2nd place
  • a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ratio of Table 2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효과 및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효과 및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종래의 화장품의 기능을 개선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탈모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들은 기능성 화장품의 일 예를 나타낸다.
<특허문헌>
특허 1 : 제10-1550422호(2015. 08. 31. 등록) "쪽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특허 2 : 제10-1569431호(2015. 11. 10. 등록)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일라이트 용출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6 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특허 3 : 제10-1727477호(2017. 04. 11. 등록)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하지만, 종래의 화장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피부 개선 및 탈모 완화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효과 및 탈모 완화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비듬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돌외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형성한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돌외 발효 추출물은 상기 돌외를 물에 혼합하고 탕전한 후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넣어 발효를 진행하고 여과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모낭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수선화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털산박하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목화 수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오리방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말발도리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봉래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방풍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및 감탕나무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효과 및 탈모 완화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비듬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외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외 추출물이 멜라닌 분비를 억제를 억제함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외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외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생을 억제함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돌외 추출물이 모낭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성장인자를 발현시킴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미백 및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돌외는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잎은 산이나 들의 숲속에서 자라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에 흰털이 있고 엉키면서 자라고, 잎은 어긋나고 5개의 작은 잎을 가진 겹잎이며 좁은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좁은 달걀모양을 가진다. 상기 돌외를 물에 혼합하고 탕전한 후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넣어 발효를 진행하고 여과하여 액상의 돌외 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로 함유되게 된다.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수선화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털산박하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목화 수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오리방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말발도리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봉래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방풍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및 감탕나무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선화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상기 털산박하는 꿀풀과 산박하속 여러해살이풀이고, 상기 목화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한해살이풀이며, 상기 오리방풀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상기 말발도리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이며, 상기 봉래초는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상록 덩굴식물이며, 상기 조릿대는 상기 조릿대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이며, 상기 방풍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세해살이풀이며, 상기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상기 감탕나무는 쌍떡잎식물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의 상록활엽 소교목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준비
1. 돌외 추출물의 준비
돌외잎 100g을 물 5리터에 넣어 85℃로 8시간 탕전한 후 35℃까지 식히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20g을 넣고 72시간 동안 35℃에서 산소가 부족한 조건으로 혐기성 발효를 한 후, 여과기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액상의 돌외 추출물을 얻을 얻었다.
2. 비듬 개선용 추출물의 준비
(1) 수선화(뿌리) 10g, 털산박하(잎) 10g, 목화(잎) 10g, 오리방풀(잎) 10g, 말발도리(잎) 10g, 봉래초(잎) 10g, 조릿대(잎) 10g, 방풍(뿌리) 10g, 감초(뿌리) 10g 및 감탕나무(잎) 10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형태의 비듬 개선용 추출물 1을 얻었다.
(2) 수선화(뿌리) 50g 및 조릿대(잎) 50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형태의 비듬 개선용 추출물 2를 얻었다.
(3) 수선화(뿌리) 30g, 털산박하(잎) 30g 및 오리방풀(잎) 40g을 에탄올 1L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48시간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형태의 비듬 개선용 추출물 3을 얻었다.
<실시예 2> 세포독성 평가
1. 증류수로 DMEM 세포 배양 분말 가루를 녹인 후, 10% fetal bovine serum and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하여 일반 세포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2. 또한, 증류수 대신 실시예 1의 1에서 준비된 액상의 돌외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조건을 실시예 2의 1과 동일하게 하여 돌외 추출물 세포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일반 세포 배양액과 돌외 추출물 세포 배양액을 혼합하여, 다양한 농도(0, 25, 50, 100%)의 돌외 추출물이 함유된 세포 배양액을 준비하였다.
3. 휴먼 상피 조직 세포(human epithelial cell line)인 HaCaT를 상기 돌외 추출물이 함유된 세포 배양액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assay를 통하여 세포 독성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4. 도 1을 보면, 돌외 추출물이 50% 함유된 세포 배양액에서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돌외 추출물이 100%인 세포 배양액에서도 세포 독성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돌외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피부 미백 효과의 확인
1. 멜라닌 생성 측정을 통한 미백 효과 확인
(1)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흑색종(Melanoma)에서 유래된 B16F10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세포에 α-MSH(200nM), Arbutin(500ug/mL), 돌외 추출물(50%(v/v))을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액으로 분비된 멜라닌의 양은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의 475nm 파장에서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상대적인 비율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은 세포 배양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를 이용하여 두차례 세척 후, 10% dimethyl sulfoxide가 포함된 1N NaOH 용액을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80℃ 항온수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멜라닌을 녹인 후 spectrophotometer의 40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상대적인 비율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2) 도 2 및 3을 보면,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을 처리한 경우, 분비된 멜라닌 및 세포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이 대조군 대비 약 4배 증가하였는데, 돌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양성 대조군인 Arbutin의 처리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멜라닌의 합성과 분비를 약 50%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어, 돌외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2.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검출을 통한 미백 효과 확인
(1) 실시예 3의 1의 (1)과 동일하게 실험하고,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yrosinase(Tyr), tryrosinase-like protein 1(TRP-1), tryrosinase-like protein 2(TRP-2) 및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의 발현량을 측정하고, 상대적인 비율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2) 도 4를 보면, 돌외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모낭 성장(탈모 완화) 효과의 확인
1. 모낭 성장(탈모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휴먼 모유두 세포(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세포에 Minoxidil(100uM), 돌외추출물(20%(v/v))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1(IGF1), keratinocyte growth factor(KGF), vascular endotheilia growth factor(VEGF), hepatocyte growth factor(HGF)의 mRNA 발현양을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 도 5를 보면, 돌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 대비 여러 성장인자들의 mRNA 발현양을 의미있게 증가시켰으며, 양성대조군인 minoxidil과 유사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상기 돌외 추출물은 모유듀세포의 성장 촉진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비듬 개선 효과의 확인
1. 피지 억제를 통한 비듬 개선 효과의 확인
(1) 피지의 과다분비는 비듬을 발생시키는 일 원인에 해당하므로,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사람에 적용하여 피지의 분비를 감소시키는지 확인하였다.
(2) 정제수와, 각각의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혼합하여(정제수 100중량부당 각각의 비듬 개선용 추출물 2중량부 혼합),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 1은 정제수만 사용된 경우, 상기 시료 2는 정제수와 비듬 개선용 추출물 1이 혼합된 경우, 상기 시료 3은 정제수와 비듬 개선용 추출물 2가 혼합된 경우, 상기 시료 4는 정제수와 비듬 개선용 추출물 3이 혼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3) 피지가 과다 분비되는 40대 남자 8명을 대상으로, 세안 후 이마 부위를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2시간이 지난 후 세부 테이프를 이마에 붙힌 후 떼어내 확인였다. 이후, 이마 부위에 4주 동안 동일 량의 시료 1 내지 4를 각각을 사용하게 한 후(상기 시료를 시트에 적신 후 상기 시트를 이마에 일정 시간 부착하여 진행), 4주가 지난 다음 날 세안하고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2시간이 지난 후 세부 테이프를 이마에 붙힌 후 떼어내 확인였다. 상기 시료 도포 전 및 후의 세부 테이프를 확인하여 피지의 상대적인 감소를 확인하였다.
(4) 상기 실험을 통한 피지의 확인 결과, 4주 동안 시료 1 내지 4를 사용하여도 어떤 피부 자극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고, 상기 시료 사용 전 및 후 피지의 상대적인 감소를 확인한 결과, 시료 1의 경우 미세하게나마 피지가 증가하였으며, 시료 2를 사용한 경우 현저한 피지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시료 3 및 4를 사용한 경우 시료 1보다는 피지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시료 2보다는 피지 감소 폭이 적었다.
2. 피부 자극 완화를 통한 비듬 개선 효과의 확인
(1)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은 비듬을 발생시키는 일 원인에 해당하므로, 실시예 5의 1에서 준비된 시료를 사람에 적용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지 확인하였다.
(2) 피부 질환이 없는 20대 여성 16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물질인 lactic acid 5.0%를 자극원으로 첨가한 상기 시료를 사용하였다. 손 등을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상기 자극원이 첨가된 시료를 밀폐 첩포한 후, 24시간이 지난 후 첩포물을 제거한 후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홍반 및 부종이 없는 경우 0으로 평가하고, 홍반 및 부종이 있는 경우 혼반 및 부종이 약한 순서로 순위를 평가하였다(1순위가 홍반 및 부종이 가장 약한 경우임).
(3) 표 1을 보면, 비듬 개선용 추출물 1 내지 3을 함유한 경우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며, 비듬 개선용 추출물 1을 함유한 경우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가장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시료 평가값
1(정제수) 0
1(정제수)+lactic acid 4순위
2(정제수+비듬 개선용 추출물 1)+lactic acid 1순위
3(정제수+비듬 개선용 추출물 2)+lactic acid 3순위
4(정제수+비듬 개선용 추출물 2)+lactic acid 2순위
<실시예 6> 피부 첩포 실험을 통한 탈모 및 비듬 개선의 확인
1.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함량(wt%)
돌외 추출물 비듬 개선용 추출물 1 방부제 글리세린 향료 정제수
1 0 0 0.1 2 0.1 잔량
2 50 0 0.1 2 0.1 잔량
3 50 2 0.1 2 0.1 잔량
4 0 2 0.1 2 0.1 잔량
2. 탈모증을 앓고 있는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탈모 부위에 매일 아침 및 저녁에 8주 동안 동일 량의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4를 도포한 후(스프레이 형식으로 도포), 8주가 지난 후 탈모 개선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비듬이 많이 발생하는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머리에 매일 아침 및 저녁에 8주 동안 동일 량의 화장료 조성물 시료 1 내지 4를 도포한 후(스프레이 형식으로 도포), 8주가 지난 후 비듬 개선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관능 평가 항목에서 개선되는 상태가 좋으면 5점으로 상태가 나쁘면 0점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3점은 개선되지도 악화되지도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3. 표 3을 보면, 화장료 조성물 2 및 3은 탈모 완화하고, 화장료 조성물 3 및 4는 비듬을 완화함을 알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탈모 완화 비듬 완화
1 2.9 3.1
2 3.9 2.8
3 4.3 3.9
4 3.3 4.1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돌외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이용하여 발효시켜 형성한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외 발효 추출물은 상기 돌외를 물에 혼합하고 탕전한 후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넣어 발효를 진행하고 여과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하고, 모낭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완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 개선용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듬 개선용 추출물은 수선화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털산박하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목화 수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오리방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말발도리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봉래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조릿대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방풍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감초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 및 감탕나무 추출물 10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20/014723 2020-10-26 2020-10-27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923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18 2020-10-26
KR1020200139418A KR102428648B1 (ko) 2020-10-26 2020-10-26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37A1 true WO2022092337A1 (ko) 2022-05-05

Family

ID=8138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723 WO2022092337A1 (ko) 2020-10-26 2020-10-27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8648B1 (ko)
WO (1) WO2022092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410B1 (ko) 2023-01-10 2023-06-22 주식회사 닥터에이 돌외, 붉은토끼풀 및 서양송악잎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395A (ko) * 1999-06-30 2001-01-15 이덕중 정향, 고추, 감초의 추출 성분으로 한 양모제 조성물
KR100298647B1 (ko) * 1999-02-13 2001-11-05 최이선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316917A (ja) * 2001-04-19 2002-10-31 Naris Cosmetics Co Ltd 養毛・育毛,白髪改善化粧料
KR20080085292A (ko) * 2007-03-19 2008-09-2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덩굴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발모제 조성물
KR20170079903A (ko) * 2015-12-31 2017-07-10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저분자 사포닌 함량이 증대된 돌외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48B1 (ko) 2005-09-01 2007-01-10 주식회사 쵸이스코스메틱 돌외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101881954B1 (ko) * 2016-04-15 2018-07-26 김세인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647B1 (ko) * 1999-02-13 2001-11-05 최이선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05395A (ko) * 1999-06-30 2001-01-15 이덕중 정향, 고추, 감초의 추출 성분으로 한 양모제 조성물
JP2002316917A (ja) * 2001-04-19 2002-10-31 Naris Cosmetics Co Ltd 養毛・育毛,白髪改善化粧料
KR20080085292A (ko) * 2007-03-19 2008-09-2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덩굴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발모제 조성물
KR20170079903A (ko) * 2015-12-31 2017-07-10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저분자 사포닌 함량이 증대된 돌외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90A (ko) 2022-05-03
KR102428648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3081B1 (ko) 모란뿌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WO2015053460A1 (ko) 인삼열매 아위버섯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89670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19066538A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FR2767057A1 (fr) Utilisation du ginsenoside rb1 comme agent destine a stimuler la synthese de l&#39;elastine
KR20150007464A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5698586B2 (ja) 化粧料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97605A2 (ko) 바다제비집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주름 개선용 패치, 및 마스크 팩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08260721A (ja) 皮膚外用剤
WO2022092337A1 (ko)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162415A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89B (zh) 兼具淡斑修护、抗氧化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WO2022177215A1 (ko)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99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3/09/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99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