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77215A1 -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77215A1
WO2022177215A1 PCT/KR2022/001840 KR2022001840W WO2022177215A1 WO 2022177215 A1 WO2022177215 A1 WO 2022177215A1 KR 2022001840 W KR2022001840 W KR 2022001840W WO 2022177215 A1 WO2022177215 A1 WO 20221772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rple tea
tea leaves
extract
purple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18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민
Original Assignee
(주)클린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뷰티 filed Critical (주)클린뷰티
Priority to JP202354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5647A/ja
Priority to EP22756416.8A priority patent/EP4295693A1/en
Publication of WO20221772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772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nhancing antioxidants of purple tea leaves and to their use.
  • the skin As the largest organ in the body, the skin is alway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cts as a protective film to protect the living body from various stimuli or dry environments. In addition,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the body from physical abrasions, preventing the loss of moisture inside the body, protecting it from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the sun, and regulating the body temperature.
  • a representative external aging factor includes ultraviolet rays, and the most prominent external aging phenomenon is wrinkle formation (Daniell HW, Ann Intern Med, 1971, 75(6), 873; Grove GL et al., J Am Acad Dermatol, 1989, 21 (3),631; 298)
  • antioxidants such as tocopherol, polyphenols, Coenzyme Q 10, BHT, and BHA are widely used. Accordingly, many studies to develop natural antioxidants of plant origin, which have high antioxidant effect, are safe for human skin, and are economical, are being carried out in anticipation.
  • antioxidants known to date include tocopherols, flavonoids, gossypol, sesamol, oryzanol, and vitamin C.
  • purple tea comes from the Camellia Sinensis plant.
  • the purple appearance of tea is caused by a unique genetic mutation that produces anthocyanins, the same powerful antioxidants found in blueberries.
  • Anthocyanins have many medicinal properties and are known to be particularly beneficial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se antioxidants are known to provide anti-cancer effects, improve vision, and aid in cholesterol and blood sugar metabolism. At the same time, the caffeine content is lower than that of black tea. Purple tea also contains higher amounts of another antioxidant, polyphenols.
  • purple tea is high in another form of antioxidant known as catechins, particularly EGCG, a powerful antioxidant found in green tea.
  • catechins particularly EGCG
  • EGCG a powerful antioxidant found in green tea.
  • Purple tea contains a special type of polyphenol called GHG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teas or foods. Early research suggests that this substance reduces body fat mass and thickn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response to the above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nhancing antioxidants of purple tea leav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creasing the antioxidant power of purple tea leaves, comprising the step of peeling the purple tea leaves at a temperature range of 140 °C to 180 °C and then extracting them with water or ultrasonic waves.
  • the b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4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ltrasonic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6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extrac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a food,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smetics containing the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kin and body care cosmetics, including essences, ampoules, soaps, tonics and body essences, emulsions, lotions, creams (oil-in-water, water-in-oil, multiphase), and solutions.
  • suspension anhydrous and water-based
  • anhydrous product oil and glycol-based
  • gel powder, etc.
  • the extrac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0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and in the case of an ampoule formulation, It may be made of 100% of the extract.
  • Cosmetics may contain carriers acceptable for cosmetic preparations in addition to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rrier include alcohols, oils, surfactants, fatty acids, silicone oils, preservatives, wetting agents, humectants, viscosity modifiers, emulsifiers, stabilizers, sunscreens, coloring agents, fragrances, diluent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alcohol include water-soluble polyhydric alcohols such as higher alcohols,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and polyethylene glycol
  • examples of the oil include avogard oil, palm oil, tallow, Jojoba oil etc. are mentioned, Ethylparaben, butylparaben, etc. are mentioned as a preservative, Hyaluronic acid, chondroitin sulfate, pyrrolidone carboxylate etc. are mentioned as a moisturizing agent, Ethanol, isopropanol etc. are mentioned as a diluent. can be heard
  • the cosmetic formula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fiber, vegetable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lactose when the formula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butane or a propellant such as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 -Butyl glycol oil, glycerol fatty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 the formulation is a suspension
  • a carrier component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may be used.
  •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s carrier components , alkylamidobetaine,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 the soap containing the extract in the case of the soap containing the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pared by including the extract in the soap base, and as an additive, it may be prepared including a skin moisturizer, an emulsifier, a light water softener, and the like.
  • the soap base vegetable oils such as palm oil, palm oil, soybean oil, perm oil, olive oil, and palm kernels or animal fats such as tallow, lard, brisket, and fish oil
  • the skin moisturizer includes glycerin, erythritol, polyethylene glycol. ,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hexyl glycol, isopropyl myristate, silicone derivatives, aloe vera, sorbitol, etc.
  • the emulsifier natural oils, wax fatty alcohols, hydrocarbons, natural plant extracts, etc. may be used, and tetrasodium EDITA may be used as the water softener.
  • the soap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bacterial agent, a dispersant, an antifoaming agent, a solvent, a scale inhibitor, a corrosion inhibitor, a fragrance, a colorant, a sequestering agent, an antioxidant, and a preservative as additives.
  • the food containing the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additive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extraction solvent or a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extract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 the term "food composition”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powders, capsules and liquid formulations, including one or more of carriers, diluents, excipients and additives. characterized.
  • Foods that can be add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various food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yrup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 like.
  • Additives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natural carbohydrates, flavoring agent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ynthetic flavoring agents, natural flavoring agents, etc.), coloring agents, fillers, lactic acid and salts thereof,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antioxidant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and pulp can be used.
  • natural carbohydrates exampl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conventional sugar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tacrine,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flavoring agents such as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thickeners, fac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on It may contain a sexual colloid thickener, a pH adjuster, a stabilizer, a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a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carrier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erythr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kyrolido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methylcellulose, water, sugar syrup,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be used.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ingredients of other conventional food composition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composition for food when preparing a composition for food,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5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of the active ingredient.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above rang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e antioxidant effect through the extraction method of purple tea leaves and the roasting process, which is a pre-treatment process.
  • the extraction method at 100° C. has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ultrasonic extraction at 60° C., and the antioxidant abil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raw material of purple tea when the extraction process is performed at 140° C.
  • 1 is a figure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100 °C water-extracted purple tea leaf extract
  • Figure 2 is a figure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60 °C ultrasonic water extraction purple tea leaf extract
  • Figure 3 is a figure showing the antioxidant efficacy of purple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boiling temperature and extraction method.
  • Example 1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 Purple tea leaves (purple tea from Kangaita (KTDA); KTDA farmers Building Moi Avenue, Washington P.O. Box 30213 - 00100 Kenya, Kenya) were purchased and extracted by two methods.
  • the raw material of purple tea leaves was ultrasonically extracted at 60° C. for 2 hours.
  • the condition for peeling purple tea leaves as a pretreatment process is to stir 240g of purple tea leaves with a spatula for 4 minutes with a spatula at 140°C, 160°C, and 180°C in an electric fan (Daewon Appliances Multipurpose Steaming Pan DW-1200), cool for 30 minutes, and use a fine sieve. so that the dust was removed.
  • an electric fan Danwon Appliances Multipurpose Steaming Pan DW-1200
  • the fresh purple tea leaves were extracted by two extraction methods,
  • the extract was centrifuged at 13000 rpm and 4° C. for 2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passed through a 0.2 ⁇ m filter twice, lyophilized, and diluted to each test concentration.
  • purple tea leaves were extracted using 100°C extraction and 60°C ultrasonic extraction, and t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nalyzed by performing ABTS and DPPH assays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 ABTS reacts with phenolic compounds to form cations and changes color. It is an essay that can calculate antioxidant activity by measuring in the range of 600-750 nm.
  • DPPH ABTS Extract concentration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Radical scavenging ability (%) purple tea 83.6 ⁇ 3.3 76.1 ⁇ 6.9 22.2 ⁇ 2.0 13.2 ⁇ 5.3 0 92.2 ⁇ 0.2 92.0 ⁇ 0.3 54.8 ⁇ 0.1 29.6 ⁇ 2.8 0 vitamin C 88.1 ⁇ 0.6 86.4 ⁇ 1.8 41.2 ⁇ 2.6 22.4 ⁇ 3.3 0 92.4 ⁇ 0.05 92.4 ⁇ 0.009 66.4 ⁇ 4.4 32.9 ⁇ 2.9 0
  •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100 °C water-extracted purple tea leaf extract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urple tea leaf extract extracted at 60° C. was confirmed.
  • the DPPH assay result was 54.3 ⁇ 0.9%
  • the ABTS assay result was 85.3 ⁇ 0.1% of Radix.
  • There was a curl reduction effect and in the case of 0.05mg/ml concentration, there was a radical reduction effect of 33.7 ⁇ 3.5% in the DPPH assay and 44.0 ⁇ 0.4% in the ABTS assay.
  • DPPH ABTS Extract concentration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Radical scavenging ability (%) purple tea 54.3 ⁇ 0.9 33.7 ⁇ 3.5 9.6 ⁇ 1.4 1.9 ⁇ 4.9 0.0 85.3 ⁇ 0.1 44.0 ⁇ 0.4 13.5 ⁇ 1.0 7.7 ⁇ 1.0 0.0 vitamin C 87.4 ⁇ 0.8 87.2 ⁇ 0.7 35.7 ⁇ 3.0 17.6 ⁇ 1.3 0.0 97.3 ⁇ 0.1 95.9 ⁇ 1.0 11.7 ⁇ 4.9 5.5 ⁇ 0.8 0.0
  • Table 2 is a table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60 °C ultrasonic water extraction purple tea leaf extract
  • DPPH ABTS Extract concentration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Radical scavenging ability (%) 100°C extraction 83.6 ⁇ 3.3** 76.1 ⁇ 6.9** 22.2 ⁇ 2.0** 13.2 ⁇ 5.3** 0 92.2 ⁇ 0.2** 92.0 ⁇ 0.3** 54.8 ⁇ 0.1** 29.6 ⁇ 2.8** 0 60°C ultrasonic extraction 54.3 ⁇ 0.9 33.7 ⁇ 3.5 9.6 ⁇ 1.4 1.9 ⁇ 4.9 0.0 85.3 ⁇ 0.1 44.0 ⁇ 0.4 13.5 ⁇ 1.0 7.7 ⁇ 1.0 0.0
  • Table 3 is a table show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purple tea leaf extrac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p-value ⁇ 0.001
  • Table 4 is a table showing the antioxidant efficacy of the 100°C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boiling temperature, *p-value ⁇ 0.05, **p-value ⁇ 0.001
  • DPPH ABTS extract concentration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Radical scavenging ability (%) 60°C ultrasonic extraction not good 60.0 ⁇ 0.7 32.6 ⁇ 0.5 10.5 ⁇ 1.1 5.4 ⁇ 0.7 0.0 84.7 ⁇ 1.2 43.2 ⁇ 2.1 14.6 ⁇ 1.4 7.3 ⁇ 0.6 0.0 140°C hot 75.1 ⁇ 0.3** 44.7 ⁇ 1.2** 10.4 ⁇ 1.0 5.3 ⁇ 0.9 0.0 93.9 ⁇ 3.1** 55.7 ⁇ 1.7** 11.6 ⁇ 2.1* 6.6 ⁇ 2.7 0.0
  • Table 5 is a table showing the antioxidant efficacy of fresh purple tea at 140°C by ultrasonic extraction at 60°C, *p-value ⁇ 0.05, **p-value ⁇ 0.001
  • the extraction method at 100°C has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ultrasonic extraction at 60°C,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raw material of purple tea when the extraction process is performed at 14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플티잎을 140℃ 내지 180℃ 온도 범위에서 덖은 후 물 또는 초음파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100℃에서 추출하는 방법이 60℃ 초음파 추출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며 140℃에서 덖음 과정을 거치면 퍼플티 원물에 비하여 항산화능이 향상되어었다.

Description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본 발명은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물리적인 찰과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 내부의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한 외부 자극을 받게 되면 주름 생성, 탄력 손실, 각질화 등과 같은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 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 현상은 주름 형성이다(Daniell HW, Ann Intern Med, 1971, 75(6), 873; Grove GL 등, J Am Acad Dermatol, 1989, 21(3),631; Griffiths CE 등, Arch Dermatol, 1992, 128, 347)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광노화 메커니즘 중의 하나는 자유 라디칼 경로를 경유하는 것이다(Harman D, J Gerontol, 1956, 11(3), 298)
정상적인 세포에서도 대사과정 중 어느 정도의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과 기타 활성산소 및 과산화물이 생성되고 있으나, 생체 내에는 이들에 대한 방어기구로서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SOD), 카탈라아제(catalase),퍼록시다제 (peroxidase) 등의 항산화성 효소와 함께, 비타민 C, 비타민 E, 글루타치온 (glutathione), 유비퀴논(ubiquinone), 요산(uric acid) 등의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여 스스로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체 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물리적, 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이 생체방어계의 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야기된다. 그러므로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것은 피부 노화 화장료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의 중화를 목적으로 토코페롤, 폴리페놀류, Coenzyme Q 10, BHT, BHA 등 항산화제가 폭 넓게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합성품으로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이 문제화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높고,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되며, 경제적인, 식물기원의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기대 속에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식물 종에는 식물 보호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류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녹차, 상백피, 황금 등 수많은 식물 추출물이 항산화제로서 화장품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천연 항산화 물질로는 토코페롤 (tocopherol)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고시폴(gossypol), 세사몰 (sesamol), 오리자놀(oryzanol) 및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퍼플 티(purple tea)는 다른 모든 차와 마찬가지로 Camellia Sinensis 식물에서 유래한다. 차의 보라색 모양은 블루 베리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강력한 항산화 제인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는 독특한 유전적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원래 야생 돌연변이는 중국에서 소량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돌연변이를 분리하고 퍼플 티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케냐에서 공공/민간 파트너십이 나타났다. 그것은 4,500에서 7,500 피트 사이의 고도에서 자라며, 대부분은 케냐의 Nandi Hills 지역에서 자란다. 적도 근처의 고도가 높으면 UV 충격이 높아지고 식물이 잎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제를 생성하게 된다.
안토시아닌은 많은 의약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심혈관 질환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항암 효과를 제공하고 시력을 개선하며 콜레스테롤 및 혈당 대사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카페인 함량은 홍차보다 낮다. 퍼플 티에는 또한 더 많은 양의 다른 항산화제인 폴리페놀이 포함되어 있다.
녹차와 마찬가지로 퍼플 티에는 카테킨으로 알려진 또 다른 형태의 항산화 제, 특히 녹차에서 발견되는 강력한 항산화제인 EGCG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신경 보호 항산화제는 혈액 뇌 장벽을 투과하며,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뇌 항산화 능력을 크게 높였다.
퍼플 티에는 다른 차나 음식에서는 찾을 수 없는 GHG라는 특수한 유형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이 물질은 체지방량과 두께를 줄인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51680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플티잎을 140℃ 내지 180℃ 온도 범위에서 덖은 후 물 또는 초음파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덖는 온도는 14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물 추출 온도는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 온도는 6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스킨 및 바디 케어 화장품으로서 에센스, 앰플, 비누, 토닉 및 바디 에센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분말 등의 다양한 제형일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은 전체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005 내지 100 wt%로 포함되고, 앰플 제형의 경우 상기 추출물 100%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화장품은 본 발명의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콜,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몇 가지를 예시하여 보면, 알콜로서는 고급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오일로서는 아보가드유, 팜유, 우지, 호호바유 등을 들 수 있고, 방부제로서는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으며, 보습제로서는 히알론산, 황산콘드로이친(chondroitin sulfate), 피롤리돈카복실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희석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화장품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경우, 비누 기재에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 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추출물을 추출용제로 포함하는 식품첨가물이나 추출물을 기능성 원료로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중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구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스,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다른 식품 조성물의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용 조성물 제조시에는 유효성분의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플티 잎을 추출방법과 전처리 과정인 덖음 과정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0℃에서 추출하는 방법이 60℃ 초음파 추출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며 140℃에서 덖음 과정을 거치면 퍼플티 원물에 비하여 항산화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100℃ 물 추출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60℃ 초음파 물 추출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림,
도 3은 덖는 온도와 추출방법에 따른 퍼플티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 그림.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능 분석
2가지 방법으로 퍼플티잎(Kangaita(KTDA)사의 purple tea; KTDA Farmers Building Moi Avenue, Nairobi P.O. Box 30213 - 00100 Nairobi, Kenya)을 구입하여 추출하였다.
첫 번째, 퍼플티잎을 100℃ 물 50ml에 5g 넣어 5분간 우려 추출하였다.
두 번째, 퍼플티잎 원물을 60℃에서 2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전처리 과정으로 퍼플티잎을 덖는 조건은 전기팬(대원가전 다용도 찜기팬 DW-1200)에 140℃, 160℃, 180℃ 온도로 퍼플티잎 240g을 주걱으로 4분간 저어 덖고 30분간 식힌 후 가는 체를 이용하여 먼지를 걸러주었다.
덖은 퍼플티잎을 2가지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였고,
추출물은 추출 후 13000rpm, 4℃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0.2μm 필터를 2차례 통과 후 동결건조 하여 각 시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추출법에 따른 퍼플티잎의 항산화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퍼플티잎을 100℃ 추출, 60℃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를 사용하여 ABTS와 DPPH 에세이를 진행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자유라디칼 형태로 520nm에서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인 DPPH가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면 구조변화를 일으켜 520nm에서 광흡수가 일어나지 않는 노란색을 띄게 되는데 이를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는 에세이고,
ABTS는 페놀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양이온을 띄게 되고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600-750nm의 범위에서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계산할 수 있는 에세이이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퍼플티잎을 100℃에서 추출한 추출물 0.05mg/ml에서 DPPH 에세이 결과 76.1±6.9%, ABTS 에세이 결과 92.0±0.3% 라디컬 감소 효과가 있었다.
이는 동일 농도 비타민 C의 라디컬 감소 효과의 93.8%에 해당하는 효능이다.
0.01mg/ml 농도에서는 DPPH 에세이 결과 22.2±2.0%, ABTS 에세이 결과 54.8±0.1% 라디컬 감소 효과가 있었다(도 1 및 표 1 참조).
DPPH ABTS
Extract농도(mg/ml)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라디컬소거능(%) 퍼플티 83.6±3.3 76.1±6.9 22.2±2.0 13.2±5.3 0 92.2±0.2 92.0±0.3 54.8±0.1 29.6±2.8 0
비타민C 88.1±0.6 86.4±1.8 41.2±2.6 22.4±3.3 0 92.4±0.05 92.4±0.009 66.4±4.4 32.9±2.9 0
표 1은 100℃ 물 추출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표
한편, 도 2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 초음파 추출한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한 결과, 0.1mg/ml에서 DPPH 에세이 결과 54.3±0.9%, ABTS 에세이 결과 85.3±0.1%의 라디컬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0.05mg/ml 농도의 경우 DPPH 에세이 결과 33.7±3.5%, ABTS 에세이 결과 44.0±0.4% 라디컬 감소 효과가 있었다.
이는 동일 농도 비타민 C의 라디컬 감소 효과와 비교하여 44.2% 에 해당하여 100℃에서 추출한 추출물에 비해 추출물의 라디컬 감소 효과가 낮았다(도 2 및 표 2 참조).
DPPH ABTS
Extract농도(mg/ml)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라디컬소거능(%) 퍼플티 54.3±0.9 33.7±3.5 9.6±1.4 1.9±4.9 0.0 85.3±0.1 44.0±0.4 13.5±1.0 7.7±1.0 0.0
비타민C 87.4±0.8 87.2±0.7 35.7±3.0 17.6±1.3 0.0 97.3±0.1 95.9±1.0 11.7±4.9 5.5±0.8 0.0
표 2는 60℃ 초음파 물 추출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표
따라서 100℃ 추출법과 60℃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퍼플티잎의 동일농도의 라디컬 감소 효과는 DPPH 에세이, ABTS 에세이 결과 모두 시험한 모든 농도에서 100℃ 추출법의 라디컬 감소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 참조).
DPPH ABTS
Extract농도(mg/ml)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라디컬소거능(%) 100℃추출 83.6±3.3** 76.1±6.9** 22.2±2.0** 13.2±5.3** 0 92.2±0.2** 92.0±0.3** 54.8±0.1** 29.6±2.8** 0
60℃초음파 추출 54.3±0.9 33.7±3.5 9.6±1.4 1.9±4.9 0.0 85.3±0.1 44.0±0.4 13.5±1.0 7.7±1.0 0.0
표 3은 추출 방법에 따른 퍼플티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표로, **p-value<0.001
실시예 2: 덖는 온도에 따른 항산화능 분석
덖는 온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퍼플티잎을 140℃, 160℃, 180℃에서 각각 덖은 잎에서 100℃ 추출, 60℃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라디컬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A 및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0℃ 물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에세이 결과,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 농도 0.01mg/ml, 0.005mg/ml에서 41.2±5.9%, 19.4±0.3% 라디컬 감소 효과를 덖지 않은 퍼플티잎은 30.8±2.7%, 14.6±2.7% 라디컬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ABTS 에세이 결과,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 농도 0.01mg/ml, 0.005mg/ml에서 29.3±2.0%, 15.9±2.5% 라디컬 감소 효과를 덖지 않은 퍼플티잎은 19.4±0.9%, 7.6±0.2% 라디컬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는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의 라디컬 감소효과가 덖지 않은 퍼플티잎 추출물에 비해 라디컬 감소 효과가 0.01mg/ml 농도에서는 142.4%, 0.005mg/ml 농도에서는 170.95% 로 유의적으로 높았다(그림 3A, 및 표 4 참조).
DPPH ABTS
extract농도(mg/ml) 0.05 0.01 0.005 0 0.05 0.01 0.005 0
라디컬소거능(%) 덖지 않음 81.4±5.2 30.8±2.7 14.6±2.7 0 90.9±0.4 19.4±0.9 7.6±0.2 0.0
180℃ 덖음 81.0±5.5 32.5±0.7 18.9±1.4 0 95.8±0.3** 22.1±0.3** 10.8±0.4** 0.0
160℃ 덖음 81.0±3.0 28.6±3.3 19.3±1.5 0 96.6±0.02** 20.2±0.7** 11.4±0.7** 0.0
140℃ 덖음 81.6±6.0 41.2±5.9* 19.4±0.3* 0 96.8±0.04** 29.3±2.0** 15.9±2.5** 0.0
표 4는 덖는 온도에 따른 100℃ 추출법의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 표로, *p-value<0.05, **p-value<0.001
한편, 도 3B 및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 에세이 결과,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 농도 0.1mg/ml, 0.05mg/ml에서 75.1±0.3%, 44.7.±1.2% 라디컬 감소 효과를 덖지 않은 퍼플티잎은 60.0±0.7%, 32.6±0.5% 라디컬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ABTS 에세이 결과,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 농도 0.1mg/ml, 0.05mg/ml에서 93.9±3.1%, 55.7±1.7% 라디컬 감소 효과를 덖지 않은 퍼플티잎은 84.7±1.2%, 43.2±2.1% 라디컬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는 140℃에서 덖은 퍼플티잎 추출물의 라디컬 감소효과가 덖지 않은 퍼플티잎 추출물에 비해 0.1mg/ml 농도에서 118%, 0.05mg/ml 농도에서 133%라디컬 감소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았다(도 3B 및 표 5 참조).
DPPH ABTS
extract농도(mg/ml) 0.1 0.05 0.01 0.005 0 0.1 0.05 0.01 0.005 0
라디컬소거능(%) 60℃초음파 추출 덖지 않음 60.0±0.7 32.6±0.5 10.5±1.1 5.4±0.7 0.0 84.7±1.2 43.2±2.1 14.6±1.4 7.3±0.6 0.0
140℃덖음 75.1±0.3** 44.7±1.2** 10.4±1.0 5.3±0.9 0.0 93.9±3.1** 55.7±1.7** 11.6±2.1* 6.6±2.7 0.0
표 5는 140°C 에서 덖은 퍼플티의 60°C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 표로, *p-value<0.05, **p-value<0.001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100℃에서 추출하는 방법이 60℃ 초음파 추출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며 140℃에서 덖음 과정을 거치면 퍼플티 원물에 비하여 항산화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퍼플티잎을 140℃ 내지 180℃ 온도 범위에서 덖은 후 물 또는 초음파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덖는 온도는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추출 온도는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 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플티잎의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CT/KR2022/001840 2021-02-18 2022-02-07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WO202217721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46217A JP2024505647A (ja) 2021-02-18 2022-02-07 紫茶葉の抗酸化増進方法
EP22756416.8A EP4295693A1 (en) 2021-02-18 2022-02-07 Method for promoting antioxidant activity of purple tea le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91 2021-02-18
KR1020210021691A KR20220118059A (ko) 2021-02-18 2021-02-18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215A1 true WO2022177215A1 (ko) 2022-08-25

Family

ID=8293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1840 WO2022177215A1 (ko) 2021-02-18 2022-02-07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95693A1 (ko)
JP (1) JP2024505647A (ko)
KR (1) KR20220118059A (ko)
WO (1) WO2022177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798B1 (ko) * 2023-11-06 2024-05-10 권혜아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025A (ko) * 2013-09-25 2015-04-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20190051680A (ko) 2017-11-07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능이 증진된 옥수수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025A (ko) * 2013-09-25 2015-04-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20190051680A (ko) 2017-11-07 2019-05-1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능이 증진된 옥수수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ssertation", 11 August 2009, UNIVERSITY OF PRETORIA, South Africa, article MALIEPAARD RUDY: "Inactivation of polyphenol oxidase in Camellia sinensis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instant green tea", pages: 1 - 128, XP055960559 *
DANIELL HW, ANN INTERN MED, vol. 75, no. 6, 1971, pages 873
GRIFFITHS CE ET AL., ARCH DERMATOL, vol. 128, 1992, pages 347
GROVE GL ET AL., J AM ACAD DERMATOL, vol. 21, no. 3, 1989, pages 631
HARMAN D, J GERONTOL, vol. 11, no. 3, 1956, pages 298
JOSHI ROBIN; RANA AJAY; GULATI ASHU: "Studies on quality of orthodox teas made from anthocyanin-rich tea clones growing in Kangra valley, India", FOOD CHEMISTRY, ELSEVIER LTD., NL, vol. 176, 23 December 2014 (2014-12-23), NL , pages 357 - 366, XP029191031, ISSN: 0308-8146, DOI: 10.1016/j.foodchem.2014.12.067 *
PARK SOOJIN, JUNG SUNGHO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as well as Caffeine Content of Aronia melanocarpa Leaf Tea according to Pan-Roast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vol. 46, no. 5, 31 May 2017 (2017-05-31), pages 639 - 645, XP055960562, ISSN: 1226-3311, DOI: 10.3746/jkfn.2017.46.5.639 *
THE-ZAN [THE CUP]: "[Tea Related Information] Purple Tea Leaves, All About Purple Tea", NAVER BLOG, NAVER, 18 July 2017 (2017-07-18), pages 1 - 3, XP055960458,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blog.naver.com/the-zan/221053735059> [retrieved on 202209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5693A1 (en) 2023-12-27
JP2024505647A (ja) 2024-02-07
KR20220118059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2869A2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8194360A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WO2022177215A1 (ko)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CN109528590B (zh) 一种保湿防护乳及其制备方法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8111042A2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5228B1 (ko)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45921A1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JP2009235051A (ja) ニキビ改善剤及び皮膚外用品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H09118626A (ja) 甜茶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WO2011126189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8194359A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030125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阻害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肌荒れ改善化粧料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WO2013147350A1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118627A (ja) 甜茶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564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46217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564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564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