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228B1 -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228B1
KR100985228B1 KR1020090116924A KR20090116924A KR100985228B1 KR 100985228 B1 KR100985228 B1 KR 100985228B1 KR 1020090116924 A KR1020090116924 A KR 1020090116924A KR 20090116924 A KR20090116924 A KR 20090116924A KR 100985228 B1 KR100985228 B1 KR 10098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dong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달주
정신
박광만
김부현
홍석산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to KR102009011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아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을 이용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건조증을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동아의 열매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성 발진, 건조, 홍조 등의 피부의 상태, 특히 피부 건조증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천연식물인 동아로부터 추출된 식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 동아,

Description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using wax gourd for improv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아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을 이용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건조증을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물리적인 찰과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 내부의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 감염 등으로 인해 피부의 오염과 건조, 트러블, 피부면역체계 이상을 가져오며 결국 피부염이나 알러지 발생 및 악화를 야기한다.
특히, 현대의 급격한 산업발전에 따라, 대기공해, 수질공해 등의 공해문제가 심각해지고, 주거환경의 개선에 따른 거주공간의 강한 냉난방에 의해 피부의 거칠어짐, 건조, 노화 등과 같이 피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피부염 중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여러 종의 습진 중의 하나의 타입으로 접촉 피부염이라고도 하는 습진 중의 대표적인 병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는 피부염증 질환의 하나로, 극심한 소양증과 면역학적 이상을 나타낸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일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는 소양증으로 인해 피부를 자주 긁게 되고 이로 인해 2차 감염 및 태선화, 수면방해, 흉한 외형상의 문제로 야기되는 우울증, 열등감, 심리적 위축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으로 소아 때에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피부의 건조, 거칠음, 아토피 등의 각종 피부손상 이나 피부염을 개선하고 예방하기 위해 종래부터 다양한 종류의 치료약, 피부외용제, 화장료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들은 주로 화학원료를 주재로 사용함으로써, 민감한 피부에 대해 피부 자극, 발진, 점적 현상 등의 각종 부작용을 일으킬 뿐 아니라, 어느 것도 피부 손상에 대해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었다.
따라서,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충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피부개선 천연조성물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식물들로부터 추출된 식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고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동아의 열매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아 추출물은 씨를 제거한 상기 동아열매를 착즙하여 수득한 액즙 40 내지 60중량%와, 상기 액즙을 여과하여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한 잔사분말 20 내지 40중량%와, 상기 동아의 잎을 건조하여 분쇄한 잎분말 10 내지 2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여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비누, 파우더,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아 추출물은 상기 동아의 열매 및 잎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곡주와 혼합하여 갈아서 분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골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며, 상기 접골목 추출물은 접골목에 중량비로 5 내지 2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20℃에서 3 내지 20시간 가열 한 후 고형물을 걸러낸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성 발진, 건조, 홍조 등의 피부의 상태, 특히 피부 건조증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천연식물인 동아로부터 추출된 식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화장료 조성물은 동아의 열매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아 추출물은 동아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열매, 잎, 꽃,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열매의 과피, 열매의 과육, 속, 잎, 종자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동아(Benicasa hispida)는 박과에 속한 일년생 덩굴성 초본(草本)으로서, 동아의 과실(果實)은 육질(肉質)에 타원형이고 과피(果皮)는 담록색이며 과육(果肉)은 백색(白色)이다.
동아 과육 100g에는 단백질 0.61g, 지질 0.19g, 당질 1.6g, 식이섬유 1.53g, 회분 390mg, 칼슘 6.2mg, 인 2mg, 0.87mg, 나트륨 1mg, 칼륨 170mg, 비타민 B 1 0.01mg, 비타민 B2 0.016mg, 나이아신 0.22mg, 비타민 C 12mg 및 카로틴(carotene) 8mg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동아의 씨에는 사포닌, 시트룰린 (citrulline),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올레익산(oleicl acid), 아데닌(adenice), 트리고넬린(trigonellin)등이 함유되어 있다.[Biol. Pharm. Bull. 18, 1006 (1995)]. 이와 같이 동아에는 인체에 유용한 각종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문헌에 공지되어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동아의 부위별 효능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동아의 과육(果肉)은 단백질, 조섬유, 칼슘, 인, 철, 비타민, 니코틴산, 회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간을 보호하고 직장암, 결장암에 항암효과가 있다. 또한, 이뇨, 거담, 해열, 해독, 각종의 부종, 각기병, 해수천식, 당뇨병, 설사, 종기, 땀띠, 치질 등의 병증과 어독(생선독) 및 알코올 중독(주독) 등을 다스린다.
동아의 과피(果皮)는 이뇨, 소염 등의 작용이 있고 신장염, 부종, 설사, 종기 등을 다스리고, 동아 열매의 속은 해열, 지갈, 이뇨, 소염 등의 효과가 있고 번갈, 부종, 소변배뇨 곤란, 종기 등을 다스린다.
동아의 종자에는 사포닌, 지방, 시트룰린, 히스타민, 아데닌, 유레아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거담, 해열, 이뇨, 소염 등의 효과가 있어 폐렴, 폐농양, 맹장염, 소변곤란, 부종, 각기병, 주사비(딸기코), 치질 등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동아의 잎은 당뇨병, 말라리아, 설사, 기종 등을 다스리고, 동아 덩 굴은 폐렴, 탈항 등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가지는 동아의 추출물은 보습력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서 피부의 건조증 완화에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동아 추출물은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아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을 높이기 위해 동아를 발효시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아 추출물의 일 예로 씨를 제거한 상기 동아 열매를 착즙하여 수득한 액즙 40 내지 60중량%와, 상기 액즙을 여과하고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한 잔사분말 20 내지 40중량%와, 상기 동아의 잎을 건조하여 분쇄한 잎분말 10 내지 20중량%로 조성된다. 액즙은 통상적인 분쇄기를 이용하여 동아 열매를 간 후 여과하여 얻는다. 여과하고 남은 잔사(殘渣)는 동결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잔사분말을 얻는다. 잎분말은 동아의 잎을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얻는다.
동아추출물의 다른 예로 동아의 열매, 잎을 함께 혼합하여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중량비로 5∼20 배를 가하고 50∼120℃, 3∼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 ℃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아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달리 동아 추출물은 동아를 음건한 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얻거나, 상기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동아 추출물의 가장 바람직한 예로 동아의 열매 및 잎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곡주와 혼합하여 갈아서 분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다. 이와 같이 열을 가하지 않고 동아로부터 추출물을 얻으므로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발효물을 얻기 위해 동아의 열매와 잎을 잘게 자른 후 당과 함께 발효용기에 넣어 발효시킨다. 당은 발효에 관계하는 미생물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당으로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등 단독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당은 동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동아의 발효는 15 내지 20℃의 비교적 저온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1℃ 이상의 고온에 발효시킬 경우 종류에 상관없이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됨으로써 유해한 미생물에 의해 변질이나 부패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14℃ 이하의 온도에서는 충분히 발효되지 않음으로써 원하는 발효액을 얻을 수 없고, 발효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적절한 발효 기간은 약 40 내지 80일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중간에 발효용기에 채워진 혼합물을 1회 내지 2회 정도 교반시킨다. 이는 혼합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발효과정이 완료된 후 고형물과 발효액이 혼합된 발효물에 곡주를 가하여 분쇄기에 갈아 균질화시킨 다음 20 내지 28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곡주는 누룩과 곡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술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곡주의 원료인 곡물은 쌀, 조, 수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다당의 함량이 가장 높은 쌀로 빚은 곡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0 내지 50% 알콜을 함유하는 곡주를 이용한다. 곡주를 이용함으로써 곡주에 함유된 주정에 의해 발효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시킴과 동시에 곡물의 각종 유용성분이 동아 추출물에 함유되어 피부의 보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20 내지 28시간 동안 정치 후 분쇄기로 곱게 갈아서 균질화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은 통상의 감압 농축과정을 통해 알콜을 제거하여 동아 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이 열을 가하지 않고 발효 및 곡주와 혼합을 통해 동아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므로 휘발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유용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동아 추출물은 그 자체로 화장료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동아 추출물에 통상적인 담체 또는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세정제, 비누, 파우더, 팩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동아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서 0.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아 추출물은 천연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이어서 상기 함량을 벗어나서 조성될 수 있으나 상기 함량을 따르는 것이 효과가 크다. 동아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저농도에서 효과가 미미하고,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면 농도에 비해 상승된 효과를 가지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비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스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롤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세정제인 경우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 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된 성분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사용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형의 일 예로 화장수는 정제수(잔량), 카보머 0.1중량%,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중량%, 부틸렌글라이콜 2.0중량%, 글리세린 1.0중량%, 피이지-1500 0.5중량%, 에탄올 4.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중량%, 방부제(미량), 동아 추출물 5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영양크림은 세테아릴알코올 1.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1.0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중량%, 세틸옥타노에이트 6.0중량%, 스쿠알란 8.0중량%,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중량%,디메치콘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중량%, 산탄검 0.03중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 동아 추출물 5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의 일 예로 파운데이션은 스테아릭애씨드 2.0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0.5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7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랩씨드오일 2.0중량%, 해바라기 유 5.0중량%, 스쿠알란 6.0중량%, 세틸옥타노에이트 4.0중량%, 사이클로메치콘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6중량%, 산탄검 0.05중량%, 이산화티탄 10.0중량%, 탈크 3.0중량%, 하이드레이티드페릭옥사이드 1.3중량%, 페릭옥사이드 0.3중량%, 페러스-페릭옥사이드 0.15중량%, 방부제(미량) 정제수(잔량), 동아 추출물 5중량%로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다른 실시 예로 상술한 동아 추출물과 함께 접골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한다. 이때 함량은 동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골목 추출물 10 내지 30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접골목(Sambucus sieboldiana)은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딱총나무, 덧나무라고도 부른다. 접골목은 통풍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근골동통, 요통, 손발 삔 데, 골절,관절염, 신경통, 부종, 통풍, 신장염, 신경쇠약, 산후 빈혈, 타박상에 의한 종통, 창상출혈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정 보섭, 신 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941-942, 1998). 이러한 접골목은 피부를 곱게 해주고 주름살이 없애며, 항균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접골목 추출물은 상술한 동아 추출물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동아 및 접골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 도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게놀의 유효성분을 추가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함량은 동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게놀 2 내지 8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유게놀(eugenol)은 무색 또는 엷은 황갈색의 투명한 액체로, 천연의 clove oil, nutmeg, cinnamon 등의 천연 정유로부터 분리된다. 유게놀을 포함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활성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씨를 제거한 동아의 열매와 잎을 잘게 자른 후 동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의 당을 혼합하여 발효용기에서 17℃에서 60일 동안 넣어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 500g에 알콜 도수 30%인 곡주 1L를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다음으로 발효물과 곡주의 혼합물을 믹서로 곱게 간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6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 후 감압 농축하여 페이스트 상의 동아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2)
상기 실시 예 1에서 수득한 동아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골목 추출물 20중량부를 더 혼합하였다.
상기 접골목 추출물은 접골목의 줄기 및 잎, 뿌리껍질 2kg에 20ℓ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낸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45℃로 20분간 동결시킨 후 60℃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분말 형상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 예 2에서 동아추출물, 접골목 추출물에 더하여 유게놀을 더 혼합하였다. 유게놀의 함량은 동아 100중량부에 대하여 6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제 1실험예: 피부 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에 대한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 테스트를 위해 총 30명의 남녀를 세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피검자 위팔 부위에 각 시료를 첩포한 후 1시간 후에 피부 반응을 1차 육안 검사하고, 24시간 후에 다시 2차 육안 검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자극 정도
실시 예1 1차: ○, 2차: ○
실시 예2 1차: ○, 2차: ○
실시 예3 1차: ○, 2차: ○
(○: 피부 변화 없음, △: 경미한 홍반이 나타남, ×:뚜렷한 홍반이 나타남)
상기의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들을 첩포한 피검자들에게 어떠한 홍반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2실험예: 피부개선 효과 측정실험>
상기 실시 예 1의 동아 추출물 시료에 대한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 개선 효과 측정실험을 하였다.
시험대상은 항상 만성적으로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는 것을 고민하는 여성 24인(평균 연령 27.3±4.8세)이었다. 위약을 대조로 하는 이중맹검시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료는 하루 2회 도포되었다.
도포 전 2주간 관찰기간을 설정하였고, 검사는 조사기간전, 도포 개시 직전, 도포 3주 후 및 도포 완료 직후의 총 4회였다.
전신조사로 가려움, 건조, 홍조(flush), 침식(侵蝕), 박리(剝離), 구진(丘疹), 소수포(小水疱) 및 종창(腫脹)을 조사하였고, 안면조사로는 화장성(化粧性) 발진(發疹), 건조, 홍조 및 화장이 안 먹는 점을 4단계로 평가하였다. 모든 조사에는 질문서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군과 대조군의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수면시간, 직사광선 노출시간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외에도 거친 피부의 원인, 흡연자수, 생리불순, 음주 등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구분 시료군 대조군
나이 27.7±5.2 26.9±4.4
신장(cm) 162.8±6.1 159.5±7.0
체중(kg) 53.4±6.7 52.9±8.3
체질량 지수 20.9±2.4 21.5±2.6
수면시간(hr/day) 6.5±1.0 6.6±0.8
직사광선 노출시간(hr/day) 1.2±0.8 1.1±0.9
(Mann-Whitney test: 유의차 없음)
그리고 하기 표 3에 나타내 바와 같이 피부 상태 조사 결과를 '0(증상 없음)'에서 '3(심함)'까지 점수화하였다.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ric method)으로 통계처리되었다.


증상인원
조사 기간전 도포전
도포기간
도포3주후 도포6주후



안면



화장성발진 시료군 4 2.1 2.0 1.8 1.5
대조균 3 1.7 1.7 1.7 1.6
건조
시료군 12 2.2 2.2 1.4* 1.0**
대조균 12 2.1 2.2 2.0 1.9
홍조
시료군 8 1.9 1.9 1.7 1.1*
대조균 7 2.0 1.9 1.8 1.8
화장 안먹힘 시료군 5 1.5 1.5 1.3 0.8*
대조균 5 1.4 1.4 1.3 1.2






전신









가려움
시료군 9 1.8 1.7 1.4 0.8*
대조균 8 1.7 1.7 1.7 1.6
건조
시료군 12 2.1 2.2 1.4* 0.8**
대조균 12 2.2 2.1 2.0 1.9
홍조
시료군 5 1.7 1.8 1.6 1.1*
대조균 6 1.9 1.7 1.7 1.7
침식
시료군 3 1.9 2.0 1.5 0.5*
대조균 2 2.0 2.0 2.0 2.0
박리
시료군 4 1.9 1.8 1.6 1.4
대조균 5 1.8 1.9 1.8 1.7
구진
시료군 2 1.5 1.5 1.5 1.5
대조균 2 2.0 2.0 2.0 2.0
소수포
시료군 1 1.0 1.0 1.0 1.0
대조균 2 1.5 1.5 1.5 1.5
종창
시료군 0 - - - -
대조균 1 1.0 1.0 1.0 1.0
전반적 상태
시료군 12 1.8 1.9 1.1** 1.0**
대조균 12 1.9 1.8 1.6 1.6
[상기 표 3의 각 점수는 각 군의 평균을 의미함. 0(증상무)~1(가벼움)~2(보통)~3(심함) 월콕슨 시험(Wilcoxon test): *;p<0.05, **;p<0.01]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양 군 모두 도포 전 조사기간에는 모든 피부 상태에 유의한 개선이나 악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포 3주와 6주 후 시료군에서 안면 피부 건조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6주 후에는 홍조와 화장 안 먹힘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개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전신조사에서 시료 도포 3주 후 건조와 전반적 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시료 도포 6주 후에는 가려움, 홍조 및 침식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대조군은 어떠한 유의한 개선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도포 6주 후 각 증상의 개선률을 조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증상

증상
인원
개선도 개선률
(%)

유의성
현저히개선됨 개선됨 변화없음 악화됨 현저히악화됨



안면



화장성발진 시료군 4 0 1 3 0 0 25.0
대조군 3 0 0 3 0 0 0.0
건조
시료군 12 4 7 1 0 0 91.7 p<0.01
대조군 12 0 0 12 0 0 0.0
홍조
시료군 8 0 5 3 0 0 62.5
대조군 7 0 2 5 0 0 28.6
화장안먹힘 시료군 5 0 4 1 0 0 80.0
p<0.05
대조군 5 0 1 4 0 0 20.0







전신







가려움
시료군 9 0 6 3 0 0 66.7
대조군 8 0 1 7 0 0 12.5
건조
시료군 12 4 8 0 0 0 100
p<0.01
대조군 12 0 2 10 0 0 16.7
홍조
시료군 5 0 4 1 0 0 80.0
p<0.05
대조군 6 0 1 5 0 0 16.7
침식
시료군 3 0 2 1 0 0 66.7
대조군 2 0 0 2 0 0 0.0
박리
시료군 4 0 1 3 0 0 25.0
대조군 5 0 1 4 0 0 20.0
구진
시료군 2 0 0 2 0 0 0.0
대조군 2 0 0 2 0 0 0.0
소수포
시료군 1 0 0 1 0 0 0.0
대조군 2 0 0 2 0 0 0.0
종창
시료군 0 0 0 0 0 0 -
대조군 1 0 0 1 0 0 0.0
전반적 상태
시료군 12 2 8 2 0 0 83.3
p<0.01
대조군 12 0 1 11 0 0 8.3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모든 증상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균의 개선률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안면건조, 안면 화장 안 먹힘, 전신 건조, 전신 홍조 및 전반적 상태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시료군의 개선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화장성 발진, 건조, 홍조 등의 피부의 상태, 특히 피부 건조증을 개선 내지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 3실험예: 항균 테스트>
상기 실시 예 1 내지 3의 시료에 대한 항균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항균성 시험방법은 KS KO693법으로 시험편과 대조편을 공시균(병원성 세균인 Escherichia coli 사용)으로 접종 및 배양시킨 후 일정량의 액체 속에 진탕시켜 배양된 세균을 추출시키고, 이 액체 속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를 측정하여 항균성이 있는 시험편에서의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대조편으로 통상적인 크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감소율(%)= ((B-A)/B)×100,
(A: 접종 후 일정 접촉시간을 통하여 배양된 시험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 B: 접종 후 일정 접촉시간을 통하여 배양된 대조편으로부터 재생된 세균 수)
또한, 시험 전의 균수(발육 집락)와 시험 후의 균수(발육 집락)를 각각 측정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항균활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균의 증식여부 항균성
시험편(실시예1) Y ×
시험편(실시예2) N
시험편(실시예3) N
대조편 Y ×
(◎: 시험 후의 균수가 시험 전의 균수의 1/10,000 미만이다. ○: 시험 후의 균수가 시험 전의 균수의 1/10,000 이상 ~ 1/1,000 미만이다. △: 시험 후의 균수가 시험 전의 균수의 1/1,000 이상 ~ 1/100 미만이다. ×: 시험 후의 균수가 시험 전의 균수의 1/100 이상이다.)
상기 표 5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대조편은 자료상으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시예 2 및 3은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에서 실시예 3이 가장 우수한 항균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접골목 추출물이 가지는 항균활성과 유게놀이 가지는 항균활성이 결합되어 항균활성을 크게 증대시킨 결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실시 예 2 또는 실시 예 3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져 피부에 서식할 수 있는 각종 유해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켜 항염 등의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동아의 열매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동아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접골목 추출물 20중량부와, 유게놀 6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접골목 추출물은 접골목에 중량비로 5 내지 2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20℃에서 3 내지 20시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낸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아 추출물은 씨를 제거한 상기 동아열매를 착즙하여 수득한 액즙 40 내지 60중량%와, 상기 액즙을 여과하고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한 잔사분말 20 내지 40중량%와, 상기 동아의 잎을 건조하여 분쇄한 잎분말 10 내지 20중량%로 조성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여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비누, 파우더,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6924A 2009-11-30 2009-11-30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4A KR100985228B1 (ko) 2009-11-30 2009-11-30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924A KR100985228B1 (ko) 2009-11-30 2009-11-30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228B1 true KR100985228B1 (ko) 2010-10-05

Family

ID=4313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924A KR100985228B1 (ko) 2009-11-30 2009-11-30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778B1 (ko) 2011-01-28 2013-06-17 오상배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75775B1 (ko) * 2011-09-14 2014-03-18 (주)휴럼 동아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을 갖는 화장품소재용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7670A (ko)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첨단환경 동백씨 오일 및 편백잎 오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0711158A (zh) * 2018-07-12 2020-01-21 科丝美诗株式会社 用于减少皮脂分泌和收缩毛孔大小的含有冬青提取物的化妆材料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49A (ja) *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49A (ja) *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778B1 (ko) 2011-01-28 2013-06-17 오상배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75775B1 (ko) * 2011-09-14 2014-03-18 (주)휴럼 동아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을 갖는 화장품소재용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7670A (ko)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첨단환경 동백씨 오일 및 편백잎 오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0711158A (zh) * 2018-07-12 2020-01-21 科丝美诗株式会社 用于减少皮脂分泌和收缩毛孔大小的含有冬青提取物的化妆材料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2851A (ko) 와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5228B1 (ko)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8275B1 (ko) 나래미역취, 개미취 및 바위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7171B1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3567A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3012532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阻害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肌荒れ改善化粧料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220118059A (ko)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586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