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921A1 -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921A1
WO2020045921A1 PCT/KR2019/010845 KR2019010845W WO2020045921A1 WO 2020045921 A1 WO2020045921 A1 WO 2020045921A1 KR 2019010845 W KR2019010845 W KR 2019010845W WO 2020045921 A1 WO2020045921 A1 WO 20200459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extract
youngsil
black se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8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가영
권이경
최소웅
박녹현
이은수
서병휘
조성아
Original Assignee
㈜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980056909.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638361B/zh
Priority to US17/271,790 priority patent/US11819566B2/en
Priority to SG11202101571QA priority patent/SG11202101571QA/en
Priority to CA3110319A priority patent/CA3110319A1/en
Publication of WO20200459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9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Definitions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Disclosed herein are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dullness.
  • Patent Document 1 KR 10-2015-0057667 A
  • Patent Document 2 JP 2004-509912 A
  •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larity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ullnes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ullnes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youngsil and black sesame may be germinated youngsil and germinated black sesame.
  • the germinated Youngsil, germinated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may be extracted by mixing in a weight ratio of 10 to 30: 20 to 40: 10 to 25: 15 to 30: 15 to 30, respectively. .
  • the extract may be one or more solvent extracts of water and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 the extract may be an ethanol extract.
  • the composition may be from 0.001 to 20% b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skin, lotion, essence, cream, gel or pack formulation.
  • the skin transparency may be a ratio of transmitted light to incident light on the skin surface.
  • the composition has an internal skin compared to before use of the composition when the subsurface reflection value i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composition at an angle of incidence 60 ° and reflection angle 60 ° at the skin surface.
  • the increase rate of the diffuse reflection value may be 2% or more.
  • the composition may b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 material exhibiting autofluorescence in excitation of 340 nm and emission of 440 nm.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larity and dullnes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clear and transparent with age or the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or stress.
  • Figure 2 shows the cytotoxicity evaluation results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3 shows the skin dullness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results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p ⁇ 0.01; ***, p ⁇ 0.001 vs. Ribose-treated group).
  • Figure 4 shows the skin clarity improvement efficacy evaluation results of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 ⁇ SD; *, p ⁇ 0.05; ***, p ⁇ 0.001 vs. before use).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clarity comprising apply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effective in improving skin clarity.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provide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for improving skin clarity.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provide a non-therapeutic use of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for skin clarity improvem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the use of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ullness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skin dullness comprising applying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in an amount effective to improve skin dullness.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for improving skin dullness.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a non-therapeutic use of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for improving skin dullness.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provides the use of a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ullness.
  • the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or th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subject in the form of one or mor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
  • the mixed extract of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or th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skin of the subject.
  • the application can be to administer or apply to a subject.
  • the active ingredient alone refers to a component capable of exhibiting the desired activity together with the carrier or the like having no activity.
  • skin transparency means a ratio of transmitted light to incident light on the skin surface.
  • the incident light is scattered at the surface of the skin and scattered, and then the rest is transmitted into the skin, and the transmitted light (transmitted light) is reflected back from the inside of the skin.
  • Skin transparency increases as the amount of light (diffuse reflection) reflected from inside the skin increases.
  • the skin transparency is a ratio of transmitted light to incident light on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transmitted light may be measured by a subsurface reflection value reflected from inside the skin.
  •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is mixed when the subsurface reflection value of the skin is measured before and after use of the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at an angle of incidence 60 ° and reflection angle 60 ° at the skin surface.
  • the increase rate of the diffuse reflection within the skin may be at least 2%, at least 3%, at least 4%, at least 5%, or at least 6%.
  •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is a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when the internal diffuse reflection value of the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is measured before and after use of the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at an angle of incidence 60 ° and reflection angle 60 ° at the skin surface.
  • the increase rate of the diffuse reflection value inside the skin may be 2% to 12%, 2% to 10%, or 2% to 8%.
  • the diffuse skin reflection value may be measured by Radioscan TM (True system, Korea).
  • Dull sk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skin tone is not uniform due to a decrease in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of the skin or a partial dark and dark color.
  • Dull skin is caused by a variety of complex causes, including physiological,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to produce a material that exhibits autofluorescence at excitation of 340 nm and emission of 440 nm under fluorescence measurement conditions It may be to suppress or reduce the material.
  •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ull skin and increasing skin clarity.
  • the use of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may be to apply the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to the skin for at least two weeks, at least four weeks or for four to eight weeks.
  • the use of the mixed extract or the composition may be to apply the mixed extract or composition to the skin twice a day.
  • the mixed extract may refer to a mixture of extracts extracted from one extraction raw material, a mixture of extracts extracted by mixing one or more extraction raw materials, or an extract obtained by mixing five extract raw materials.
  • the extract raw material means Youngsil, black sesame, plum, Chinese quince and pine nuts.
  • the youngsil and black sesame may be germinated youngsil and germinated black sesame.
  • the youngsil refers to the fruit of Rosa multiflora Thunberg, which commonly grows in wild mountains.
  • the germinated Youngsil, germinated black sesame, plum, quince and pine nuts are extracted by mixing in a weight ratio of 10 to 30: 20 to 40: 10 to 25: 15 to 30: 15 to 30, respectively It may be desirable in terms of improving efficacy and improving skin dullness.
  • the extract is meant to include not only crude extracts but also all forms of crude extracts by further processing such as, for example, drying, concentration, fractionation, purification, fermentation, suspension, and further processing.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ing.
  • the fractionated extract includes all of the fraction obtained by suspending the crude extract in a specific solvent and mixing and standing with a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and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crude extract with a sequential solvent. Also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performed, such as separation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Frac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method of preparing the extract is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dipping extraction method, steam distillation method, cold needle extraction method,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subcritical extrac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extraction or preserv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 Solvent extraction method, elution method, compression method, high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high pressure extraction method, extraction method using adsorbent resin including XAD and HP-20, fermentation using microorganism or natural fermentation metabolism, etc. .
  • the number of extraction may be 1 to 5 times, and after extraction, a method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 the extract is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N, N-dimethylformamide (DMF), methylene chloride, dimethyl sulfoxide (DMSO), glycerin,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methylene chlorid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 ethylene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etc.
  • ethylene e.g,
  • the extract may be one or more solvent extracts of water and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 the extract may be an ethanol extract.
  • the ethanol extract means that it is extracte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consisting only of ethanol or an extraction solvent mixed with water and ethanol.
  • the extract is a step of germinating immersed in water and young sesame black sesame seeds; And extracting the mixture of germinated Youngsil and germinated black sesame with plums, quince and pine nuts.
  • the immersion may be performed for 2 to 20 hours.
  • the germination may b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such as 15 to 25 °C, or 20 to 25 °C.
  • the germination may be carried out for 30 to 60 hours.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an ethanol solvent of 30 to 80% (v / v) concentration.
  • the extract is at least 30%, at least 35%, at least 40%, at least 45%, at least 50%, at least 55%, at least 60%, at least 65%, at least 70%, or at 75%. More than 80%, 75% or less, 70% or less, 65% or less, 60% or less, 55% or less, 50% or less, 45% or less, 40% or less or 35% or less (v / v) It may be extracted with an ethanol solvent having.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at 15 to 85 °C.
  • the extract is at least 15 ° C, at least 25 ° C, at least 35 ° C, at least 45 ° C, at least 55 ° C, at least 65 ° C, or at least 75 ° C, at most 85 ° C, at most 75 ° C, 65 ° C. It may be extracted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or equal to 55 °C, less than 45 °C, less than 35 °C or less than 25 °C.
  • the extraction time may be one hour or more, or 1 to 24 hours.
  • the composition may be from 0.001 to 20% by weight of the mixed extract.
  • the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0.001 wt%, at least 0.005 wt%, at least 0.01 wt%, at least 0.05 wt%, at least 0.1 wt%, at least 0.5 wt%, at least 1 wt%, at least 1.5 wt% At least 2 wt%, at least 2.5 wt%, at least 3 wt%, at least 3.5 wt%, at least 4 wt%, at least 4.5 wt% or at least 5 wt% and at most 20 wt%, at most 15 wt%, at most 10 wt% Including 5% by weight or less or 1% by weight or less of the mixed extract may provide an excellent skin clarity and dullness improvement effect.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mixed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 ppm, 15 ppm, 20 ppm, 25 ppm, 30 ppm, 35 ppm, 40 ppm, 45 ppm or 50 ppm or more.
  • the composition may be to include the mixed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25 ppm, 30 ppm, 35 ppm, 40 ppm, 45 ppm or 50 ppm or more.
  • the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formul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gel, drop, suppository, cream, ointment, patch, pad or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the formulations can be readily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and include excipients, hydrat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salts or buffers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colorants, spices, stabilizers, preservatives, preservatives or other compatible agents.
  • Adjuvants may be used as appropriat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parenterally, rectally, topically, transdermally, intravenously, intramuscularly, intraperitoneally, subcutaneously, etc.
  •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the age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 Sex, weight, pathology and severity, route of administration or prescriber's judgment. Dosage determination based on these factors is within the level of one of skill in the art and its daily dosage may be, for example, 0.001 mg / g / day to 100 mg / g / day, more specifically 0.5 mg / g / day to 50 mg / g / 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a topical skin composition, and the topical skin preparation may be included herein as a generic term that may include anything applied outside the skin.
  • the composit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formulations such as ointments, lotions, gels, creams, sprays, suspensions, emulsions, patches, and the like.
  • the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for skin is a pharmaceutical supplement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ng or emulsifiers, salts and / or buffers for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may further contain.
  • the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herein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food additives or functional food. Specifically, it may be processed into leaching tea, liquid tea, beverage, fermented milk, cheese, yogurt, juice, probiotic or health supplement containing the composition, and may be used in the form of various other food additives.
  •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ingredients and the like that can give a synergistic effect to the main effec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main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
  •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perfum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moisturizers, thickeners, inorganic salts, emulsifiers or synthetic polymer materials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 additives such as perfumes, pigments, fungicides, antioxidants, preservatives, moisturizers, thickeners, inorganic salts, emulsifiers or synthetic polymer materials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 auxiliary components such as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or seaweed extract.
  • the component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and the amount of the additives may be selec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added amount of the components may range from 0.001 to 5% by weight, or 0.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additives and ingredients included in the general cosmetic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mixed extract.
  •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a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 the blending components include oils and fa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ings,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cooling agents, restriction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ulation,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izing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soap, cleansing It may be prepared in any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carriers, plant fiber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ante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etc.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carriers plant fiber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ante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etc.
  • carrier components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Youngsil and black sesame seeds were immersed in water, respectively, extracted from water, germinated at room temperature, and dried. After drying, the germinated Youngsil and germinated black sesame seeds were mixed with plums, quince and pine nuts, and then extracted at 50 to 55 ° C. using an extraction solvent of 70% (v / v) ethanol,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prepare a mixed extract. (See FIG. 1).
  • CCK-8 assay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s normally performed.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with fibroblasts at a concentration of 6 to 100 ppm for 18 hours,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trol: CON), which was not treated with the mixed extract, as shown in FIG. 2. .
  • Control: CON the control group
  •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treated with the mixed extract, and thus,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was confirmed to have no cytotoxicity.
  • aminoguanidine is an efficacy ingredient known to improve pigmentation and skin dullness,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by reference.
  • Collagen matrix prepared with fibroblasts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
  • fibroblasts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
  • Sample treatment was 30 mM ribose (Sigma aldrich, Cat No. R9629) alone, 30 mM ribose and 20 mM aminoguanidine (Sigma aldrich, Cat No. A7009) treated group, 30 mM ribose and 12-50 ppm was classified into the mixed extract treatment group of Example 1.
  • the spontaneous fluorescence improvement efficacy was compared by measuring the spontaneous fluorescence value at a specific wavelength that specifically reacted to the substance reduced by the treatment of aminoguanidine with pigmentation improving efficacy.
  • the autofluorescence was measured under excitation of 340 nm and emission of 44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BioTek).
  • Ribose Rib
  • Rib Rib
  •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skin browning components and improving skin dullness as with aminoguanidine.
  • the mixed extract was treated to a concentration of more than 25 ppm to the fibroblasts, the skin browning component reduction rate was increased to improve skin dullness at a certain concentration or more.
  • the spontaneous fluorescence intensity decreased by 29.4% compared to the ribose alone treatment group.
  • test product containing the mixed extract of Example 1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1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영실 및 검은깨는 발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나이가 들면서 또는 외부 환경이나 스트레스 등의 영향에 의해 칙칙해진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본 명세서에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종래 미백 화장품의 트랜드는 단순히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멜라닌 색소를 제거하여 하얀 피부를 지향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단순히 하얀 피부를 지향하는 것에서 맑은 안색, 투명감과 같은 효능을 더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멜라닌 합성 억제 기능을 갖는 미백 원료로는 이러한 고객의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다.
최근, 멜라닌 이외 피부색이나 피부 투명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단순 피부 색소 이외에 실제 피부 내에서 빛의 산란과 굴절을 조절하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투명도를 결정짓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멜라닌, 피부 균일도, 수분량, 헤모글로빈 등이 주요 영향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자체의 빛 투과량에 따라 피부 투명도가 달라지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 10-2015-0057667 A
(특허문헌 2) JP 2004-509912 A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영실과 검은깨는 발아 영실 및 발아 검은깨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아 영실, 발아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은 각각 10 내지 30 : 20 내지 40 : 10 내지 25 : 15 내지 30 : 15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중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0.001 내지 20 중량%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젤 또는 팩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투명도는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율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각 60°, 반사각 60° 각도에서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내부 확산 반사 (subsurface reflection) 값을 측정하였을 때 조성물의 사용 전과 대비하여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의 증가율이 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형광 측정 조건 340 nm의 들뜸광 (excitation) 및 440 nm의 방출광 (emission)에서 자발형광 (autofluorescence)을 나타내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나이가 들면서 또는 외부 환경이나 스트레스 등의 영향에 의해 칙칙해진 피부를 맑고 투명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피부 칙칙함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p<0.01; ***, p<0.001 vs. Ribose-treated group).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피부 투명도 개선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평균±SD; *, p<0.05; ***, p<0.001 vs. 사용 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투명도 개선에 유효한 양의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투명도 개선을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투명도 개선을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칙칙함 개선에 유효한 양의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칙칙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칙칙함 개선을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칙칙함 개선을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중 1 이상의 형태로 대상에게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은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용은 대상에게 투여하거나, 또는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투명도는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율을 의미한다. 입사광이 피부 표면에서 산란되어 일부 흩어진 후 나머지가 피부 내부로 투과되고, 투과된 빛 (투과광)이 피부 내부에서 다시 반사되어 나오게 된다.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 (확산 반사)의 양이 증가할수록 피부 투명도는 증가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투명도는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율인 것으로, 상기 투과광은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확산 반사 (subsurface reflection) 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각 60°, 반사각 60° 각도에서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내부 확산 반사 (subsurface reflection) 값을 측정하였을 때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 전과 대비하여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의 증가율이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또는 6%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각 60°, 반사각 60° 각도에서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을 측정하였을 때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 전과 대비하여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의 증가율이 2% 내지 12%, 2% 내지 10% 또는 2% 내지 8%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은 Radioscan TM (True system, Korea)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칙칙함은 피부의 명도와 채도가 저하되어 피부톤이 다운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어둡고 짙은 색상을 띠어 피부톤이 균일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피부 칙칙함은 생리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형광 측정 조건 340 nm의 들뜸광 (excitation) 및 440 nm의 방출광 (emission)에서 자발형광 (autofluorescence)을 나타내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상기 물질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칙칙한 (dull) 피부를 맑게 개선하고, 또한 피부 투명도를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의 사용은 2주 이상, 4주 이상 또는 4주 내지 8주 동안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조성물의 사용은 1일 2회 혼합 추출물 또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혼합 추출물은, 하나의 추출 원료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혼합물, 1 이상의 추출 원료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5가지의 추출 원료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원료는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영실과 검은깨는 발아 영실 및 발아 검은깨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실은 야산에서 흔히 자라는 장미과의 찔레꽃 ( Rosa multiflora Thunberg)의 열매를 말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아 영실, 발아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은 각각 10 내지 30 : 20 내지 40 : 10 내지 25 : 15 내지 30 : 15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피부 투명도 개선 및 피부 칙칙함 개선 효능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 예를 들어 건조, 농축, 분획, 정제, 발효, 현탁 등 추가적인 가공에 의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추가적인 가공은 1 이상의 가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 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순차적인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명세서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나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열수 추출법, 침지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아임계 추출법, 용매 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고온 추출법, 고압 추출법,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한 추출법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자연발효대사 등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추출 이후 감압증류, 감압농축,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염화메틸렌,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중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에탄올로만 이루어진 추출 용매 또는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영실과 검은깨를 물에 침지한 후 발아시키는 단계; 및 발아 영실과 발아 검은깨를 매실, 모과 및 잣과 혼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침지는 2 내지 20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아는 상온, 예컨대 15 내지 25 ℃, 또는 20 내지 25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아는 30 내지 60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80% (v/v) 농도의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30% 이상, 35% 이상,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또는 75% 이상이고,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또는 35% 이하의 농도 (v/v)를 갖는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15 내지 85 ℃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15 ℃ 이상, 25 ℃ 이상, 35 ℃ 이상, 45 ℃ 이상, 55 ℃ 이상, 65 ℃ 이상, 또는 75 ℃ 이상이고, 85 ℃ 이하, 75 ℃ 이하, 65 ℃ 이하, 55 ℃ 이하, 45 ℃ 이하, 35 ℃ 이하 또는 25 ℃ 이하의 온도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 시간은 1 시간 이상, 또는 1 내지 24 시간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0.001 내지 20 중량%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0.001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이면서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농도 10 ppm, 15 ppm, 20 ppm, 25 ppm, 30 ppm, 35 ppm, 40 ppm, 45 ppm 또는 50 ppm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을 농도 25 ppm, 30 ppm, 35 ppm, 40 ppm, 45 ppm 또는 50 ppm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제, 점적제, 좌제(坐劑), 크림제, 연고제, 패취제, 패드제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001 mg/g/일 내지 100 mg/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g/일 내지 50 mg/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또는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명세서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혼합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영실과 검은깨를 각각 물에 침지시킨 후 물에서 건져 내어 상온에서 발아시킨 다음 건조하였다. 건조 후, 발아시킨 영실과 발아시킨 검은깨를 매실, 모과 및 잣과 혼합한 다음 70% (v/v) 에탄올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50 내지 55 ℃에서 추출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1 참조).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CCK-8 어세이 (assay)를 실시하였다. CCK-8 어세이는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룹당 n=4로 실험하였고, 인간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는 10% 소태아혈청 (FBS, Gibco)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37 ℃, 5% CO 2 인큐베이터 (incubator)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6 내지 100 ppm의 농도로 섬유아세포에 18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인 대조군 (Control: CON)과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칙칙함 개선 효능 평가
색소 침착 개선 효능을 갖는 아미노구아니딘 (Aminoguanidine: AG)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의 피부 칙칙함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허문헌 JP 2004-509912 A에 의하면, 아미노구아니딘은 색소 침착, 피부 칙칙함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효능 성분으로서, 상기 문헌은 참조로써 그 전문이 본원에 통합된다.
48-웰 플레이트에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를 넣은 콜라겐 매트릭스를 제조하고, 시료를 처리한 다음 7일간 콜라겐 매트릭스 상에서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조건; 37 ℃, 5% CO 2 인큐베이터). 시료 처리는 30 mM의 리보오스 (Sigma aldrich, Cat No. R9629) 단독 처리군, 30 mM의 리보오스와 20 mM의 아미노구아니딘 (Sigma aldrich, Cat No. A7009) 처리군, 30 mM의 리보오스와 12 내지 50 ppm의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처리군으로 분류하였다. 섬유아세포에 시료 처리 7일 후, 색소 침착 개선 효능을 갖는 아미노구아니딘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특정 파장에서의 자발형광값을 측정하여 피부 칙칙함 개선 효능을 비교하였다. 상기 자발형광 (autofluorescence)은 microplate reader 기기 (BioTek 제품)를 이용하여 형광 측정 조건 340 nm의 들뜸광 (excitation), 440 nm의 방출광 (emission)에서 측정하였다.
그룹당 n=6으로 실험하였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실험 결과는 각 도형으로 표기하였고, 그룹별 평균값은 실선 (-)으로 표기하였다.
자극원으로 리보오스 (Ribose: Rib)를 처리하여 콜라겐 매트릭스에서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결과, 리보오스는 340 nm의 들뜸광과 440 nm의 방출광에서 자발형광을 나타내는 물질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리보오스는 무처리군 (Control: CON) 대비 약 132% 자발형광세기값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색소 침착 개선 효능을 갖는 아미노구아니딘은 상기 리보오스에 의해 증가된 자발형광세기값을 약 54.0% 감소시켰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상기 340 nm의 들뜸광과 440 nm의 방출광에서 자발형광을 나타내는 물질을 '피부 갈색화 성분'으로 지칭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을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리보오스에 의해 증가된 자발형광세기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아미노구아니딘과 마찬가지로 피부 갈색화 성분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칙칙함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섬유아세포에 25 ppm을 초과하는 농도로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 갈색화 성분 감소율이 증가하여 일정 농도 이상에서 피부 칙칙함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섬유아세포에 50 ppm의 농도로 혼합 추출물 처리 시 리보오스 단독 처리군과 대비하여 약 29.4% 자발형광세기값이 감소하였다.
실험예 3. 피부 투명도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시험 제품을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여 피부 투명도 개선 효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
세틸옥타노에이트 1.0
폴리솔베이트 60 0.4
에탄올 10.0
잔탄검 0.07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30~50대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상기 시험 제품을 8주간 1일 2회 얼굴 전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 전, 사용 4주 후, 사용 8주 후 각각 Radioscan TM (True system, Korea)을 이용하여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우측 뺨 정면 부위의 피부 투명도를 입사각 60°, 반사각 60° 각도에서 측정하여 확산 반사 (subsurface reflection) 값을 통해 분석하였다. 투명감이 높은 피부는 광이 피부로 입사되었을 때 피부 내부의 빛 반사 (확산 반사)가 높게 나타난다.
8주 동안 시험 제품 사용 후의 피부 투명도 변화를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을 통해 분석하여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시험 제품 사용 후 확산 반사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4주 후 및 8주 후 시점에서 모두 피부 투명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유의적인 피부 투명도 개선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파라미터 주(week) 평균(mean) SD p-값 증가율(%)
투명도(A.U) 사용 전(before) 488.667 69.289 - -
4주 후 501.333 68.245 0.012* 2.592▲
8주 후 520.762 50.878 0.000*** 6.568▲
(*, p<0.05; ***, p<0.001 vs. 사용 전)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스킨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스킨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5
폴리솔베이트 8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로션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에센스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세틸옥타노에이트 1.0
옥틸도데세스-16 0.5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0.2
폴리실록산 0.4
초산토코페롤 0.1
에탄올 6.0
글리세린 15.0
잔탄검 0.07
프로필렌글리콜 4.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크림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젤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세틸옥타노에이트 1.0
글리세린 5.0
호호바왁스 3.0
디엘판테놀 1.0
에탄올 7.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6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팩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0.5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프로필렌글리콜 3.0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조성물.
  2. 영실,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실과 검은깨는 발아 영실 및 발아 검은깨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영실, 발아 검은깨, 매실, 모과 및 잣은 각각 10 내지 30 : 20 내지 40 : 10 내지 25 : 15 내지 30 : 15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중 1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01 내지 20 중량%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젤 또는 팩 제형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투명도는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투과광의 비율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면에서의 입사각 60°, 반사각 60° 각도에서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 내부 확산 반사 (subsurface reflection) 값을 측정하였을 때 조성물의 사용 전과 대비하여 피부 내부 확산 반사 값의 증가율이 2% 이상인 조성물.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형광 측정 조건 340 nm의 들뜸광 (excitation) 및 440 nm의 방출광 (emission)에서 자발형광 (autofluorescence)을 나타내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PCT/KR2019/010845 2018-08-27 2019-08-26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WO20200459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56909.XA CN112638361B (zh) 2018-08-27 2019-08-26 用于改善皮肤透明度及暗沉的组合物
US17/271,790 US11819566B2 (en) 2018-08-27 2019-08-26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nd reducing dullness
SG11202101571QA SG11202101571QA (en) 2018-08-27 2019-08-26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nd reducing dullness
CA3110319A CA3110319A1 (en) 2018-08-27 2019-08-26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nd reducing dull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95A KR102530813B1 (ko) 2018-08-27 2018-08-27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KR10-2018-0100595 2018-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921A1 true WO2020045921A1 (ko) 2020-03-05

Family

ID=6964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845 WO2020045921A1 (ko) 2018-08-27 2019-08-26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19566B2 (ko)
KR (1) KR102530813B1 (ko)
CN (1) CN112638361B (ko)
CA (1) CA3110319A1 (ko)
SG (1) SG11202101571QA (ko)
TW (1) TWI801655B (ko)
WO (1) WO20200459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769B2 (en) 2019-02-01 2021-08-31 Pressure Games, Inc. Hide, seek, and countdown game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51B1 (ko) 2020-02-27 2021-06-07 비드오리진(주) 표면 돌기가 형성된 구형 무기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541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1616A (ko) * 2009-10-16 2011-04-22 (주) 이지함 항산화 능을 갖는 영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1B1 (ko) * 2008-05-09 2011-06-09 (주)더페이스샵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87379A (ko) * 2010-01-26 2011-08-03 (주)아모레퍼시픽 희첨 추출물 및 동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투명도 증진용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7716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매실, 매엽 및 매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027B1 (ko) * 2013-01-09 2014-08-05 허제도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98713A (zh) * 2015-11-26 2017-06-06 上海优莱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硅油的保湿美白亮肤乳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3734B2 (ja) * 2000-07-19 2009-03-04 株式会社資生堂 美白用皮膚外用剤
DE10048260A1 (de) 2000-09-29 2002-04-11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minoguanidin und/oder dessen Derivaten und Strukturanaloga zur Hautaufhellung von Altersflecken und/oder zur Verhinderung der Hautbräunung, insbesondere der durch UV-Strahlung hervorgerufenen Hautbräunung
KR20050022142A (ko) 2003-08-29 2005-03-07 한국식품연구원 단백질 글리케이션 저해효과가 있는 추출물
JP2006273811A (ja) 2005-03-30 2006-10-12 Naris Cosmetic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2011173851A (ja) * 2010-02-25 2011-09-08 Kazki International:Kk 美容用貼付材
JP5840851B2 (ja) 2011-03-25 2016-01-06 株式会社コーセー 梅肉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薬効剤
JP2013144654A (ja) 2012-01-13 2013-07-25 Koshiro Co Ltd ウメの花部抽出物を含むコラーゲン収縮力低下抑制用組成物
KR20150025680A (ko) * 2013-08-30 2015-03-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노화 억제 및 개선을 위한 PPARα/γ 이중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92657B1 (ko) 2013-11-20 2020-03-2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32A (ko)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6491475B (zh) * 2016-12-16 2019-12-31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功效的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541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1B1 (ko) * 2008-05-09 2011-06-09 (주)더페이스샵 스트로브 잣나무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41616A (ko) * 2009-10-16 2011-04-22 (주) 이지함 항산화 능을 갖는 영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79A (ko) * 2010-01-26 2011-08-03 (주)아모레퍼시픽 희첨 추출물 및 동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투명도 증진용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7716A (ko) * 2011-01-28 2012-08-0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매실, 매엽 및 매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7027B1 (ko) * 2013-01-09 2014-08-05 허제도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98713A (zh) * 2015-11-26 2017-06-06 上海优莱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硅油的保湿美白亮肤乳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769B2 (en) 2019-02-01 2021-08-31 Pressure Games, Inc. Hide, seek, and countdown game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8565A1 (en) 2021-11-04
CN112638361A (zh) 2021-04-09
KR20200023993A (ko) 2020-03-06
SG11202101571QA (en) 2021-03-30
US11819566B2 (en) 2023-11-21
CN112638361B (zh) 2022-12-20
CA3110319A1 (en) 2020-03-05
TW202017560A (zh) 2020-05-16
TWI801655B (zh) 2023-05-11
KR102530813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4052A1 (en) Substances capable of potentiating laminin 5 productivity in epidermal cells and their use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122869A2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WO2012067404A2 (ko) 청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20045921A1 (ko)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WO2017217695A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10143879A2 (ko) 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10283A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0101414A1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CN108721189B (zh) 兼具淡斑修护、抗氧化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39502A1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19164090A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9132217A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213310A1 (ko)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8048196A1 (ko) 탈수소 아비에틱산 및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WO2014193185A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2177215A1 (ko) 퍼플 티 잎의 항산화 증진 방법
KR20190048931A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4010355A1 (ko) 고소리술 술지게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26343B1 (ko)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5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10319

Country of ref document: C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101001089

Country of ref document: TH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5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