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541A -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541A
KR20050108541A KR1020040033342A KR20040033342A KR20050108541A KR 20050108541 A KR20050108541 A KR 20050108541A KR 1020040033342 A KR1020040033342 A KR 1020040033342A KR 20040033342 A KR20040033342 A KR 20040033342A KR 20050108541 A KR20050108541 A KR 2005010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태
오종열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3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541A/ko
Publication of KR2005010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541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며, 결국 피부에 직접 사용하였을 때에 뛰어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더욱이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뛰어난 안전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Mixed Extracts of Glycine soja, Oryza sativa and Sesamum indicum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 모발, 눈 등에서 발현하는 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특히 피부에 있어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멜라닌으로, 멜라닌의 양과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된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이러한 유해 라디칼을 제거함으로써, 유해 라디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들로서는 햇빛 (자외선) 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프로스타글라딘 등과 같은 호르몬이 있다.
멜라닌은 햇빛 (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와 도파크롬으로 변환된 뒤 복잡한 산화와 축합 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작용을 한다.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특징은 티로시나제라는 단 한개의 효소가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막아줌으로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백 화장품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써,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에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글루코사민과 같이 티로시나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효소산 (코직산)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이다. 네 번째 방법은 하이드로퀴논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세포 분열을 방해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방법은 비타민 C와 같이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을 거쳐 복잡한 산화와 축합반응을 거치는 동안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미백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가장 이상적으로 여겨지는 미백용 화장료는 일차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해주고, 체내에 생성되는 라디칼을 소거해주면서 자외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 유발 물질 생성을 억제해주며 궁극적으로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천연 식물들을 많은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색소 침착을 야기하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낮은 농도에서도 미백 효과를 극대화 시켜 줄 수 있는 물질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당업계의 요구를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도 거의 없어 화장품에 적용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자극도 거의 없어 화장료로 제조하였을 때 안전성이 있는 천연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검은콩(Glycine soja), 흑미 (Oryza sativa) 및 검은깨 (Sesamum indicum)의 혼합 추출물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화장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에틸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가 되는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각각을 10% 에틸 알코올에 넣은 후 상온에서 침적시키고 여과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는, 상기 원료를 모두 혼합한 후 추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생약성분 혼합 추출물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 중량%이다. 이때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미만일 때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10% 이상일 때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스킨),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출물 각각이 단독으로 화장료에 사용될 때에 비해 혼합하여 사용될 경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며, 결국 피부에 직접 사용하였을 때에도 뛰어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더욱이 피부자극이 거의 없어 뛰어난 안전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
완전 건조시킨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각각 1 kg을 잘게 파쇄한 후 이를 10% 에틸 알코올 18 kg에 넣어서 7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액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그 건조 감량은 2.55 g/㎖로 하였다.
실시예 2: 검은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검은 콩 원료 1 kg을 단독으로 추출원료로 사용하여 건조감량이 1.3 g/㎖인 검은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흑미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흑미 원료 1 kg을 단독으로 추출원료로 사용하여 건조감량이 1.65 g/㎖인 흑미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검은깨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흑임자(검은깨) 원료 1 kg을 단독으로 추출원료로 사용하여 건조감량이 0.78 g/㎖인 검은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BHT (tert-butylhydrosytoluene)를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 측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인 펜톤반응 (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 (lipid peroxidation system)를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 (TBA)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리놀레이트 10 ㎕, 0.02 μ㏖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 μ㏖ 및 과산화수소 2 μ㏖을 함유하는 25 mM 트리스 완충용액/0.75 mM 칼륨 완충용액 5 ㎖에 실시예 1-4의 추출물을 첨가하고, 도데실메칠황산염 용액을 가한 후 55℃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4-부틸히드록시 톨루엔 50 ㎕을 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한 용액 0.3 ㎖을 시험관에 넣고 0.05 ㏖ 염산 3.0 ㎖ 및 0.67 ㏖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 용액 3 ㎖을 가하고 30분간 가열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 ㎖을 가하고 원심 분리한 후 부탄올 등의 흡광도를 535 nm에서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에 BHT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효과
구분 실시예 1(혼합추출물) 실시예 2(검은콩) 실시예 3(흑미) 실시예 4(검은깨) 대조군(BHT)
처리 농도(㎍/㎖) 500 500 500 500 500
항산화력(%) 89.8 35.8 45.8 13.6 85.6
항산화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의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하고 대조군인 종래의 항산화제 BHT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코직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티로신 (시그마사, 미합중국) 1.5 mM을 만들고 티로시나제 (시그마사, 미합중국)를 1,500 IU/㎖ 농도가 되게 희석하여 용해하였다.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100 ㎍/㎖ 농도가 되게 희석한 후 기질 (티로신) 40 ㎕, 효소 (티로시나제 희석액) 20 ㎕ 및 시료 (식물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대조군 물질) 100 ㎍/㎖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해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구분 실시예 1(혼합추출물) 실시예 2(검은콩) 실시예 3(흑미) 실시예 4(검은깨) 대조군(코직산)
처리 농도 (㎍/㎖) 100 100 100 100 100
티로시나제 저해율(%) 90.8 15.2 72.3 45.5 93.6
티로시나제 저해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처리 농도에서 혼합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은 추출물 각각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에 비해 월등히 우세하며 대조군인 코직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활성 저해력에서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억제 분석을 통한 미백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을 측정해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은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 배양을 통하여 세포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6-웰에 5.0 ×104 세포/웰 농도가 되도록 배양하였다. 그 다음, 100 ㎍/㎖ 농도로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식물 추출물을 넣고 CO2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코직산을 사용하였다. 그 후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수거한 뒤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구분 실시예 1(혼합추출물) 실시예 2 (검은콩) 실시예 3 (흑미) 실시예 4 (검은깨) 대조군 (코직산)
처리 농도 (㎍/㎖) 100 100 100 100 100
멜라닌 생성 저해율(%) 92.6 15.3 63.5 35.6 89.6
멜라닌 생성 저해율 실험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처리 농도에서 혼합 식물 추출물은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월등히 우세하였으며 대조군인 코직산에 비해서도 우세하였다.
실시예 5-10: 검은콩, 흑미, 검은깨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제조
검은콩, 흑미, 검은깨 추출물 및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것이고 대조군으로는 코직산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에 따라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각 75℃까지 가열시킨 다음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혼합 유화한 후 중화제를 넣고 40℃까지 냉각시킨 후 향 및 첨가제를 넣어 크림상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조성
원료명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유상 세탄올 1.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유동 파라핀 10.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스테아린산 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트윈 60 1.5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수상 정제수 to 10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글리세린 6.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카보머 0.22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EDTA-2Na 0.05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향료 향료 0.1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미백제 실시예1 추출물 0.5 - - - - -
실시예2 추출물 - 2.0 - - - -
실시예3 추출물 - - 2.0 - - -
실시예4 추출물 - - - 2.0 - -
코직산 - - - - 2.0 -
실험예 4: 영양크림의 피부 미백효과 임상실험
실시예 5-10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추출물이 갖는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55세의 여성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 하박부 안쪽의 동일한 위치에 솔라 시뮬레이터 (솔라라이트,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UVB를 인공적으로 3일 동안 3 MED씩 조사하여 피부를 탠닝 (tanning)시킨 후, 실시예 5-10의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바른 후 피부색 측정 기기 (Chromameter, 미놀타, 일본)를 이용하여 L-값을 측정하여 약 한달간 피부색 변화를 관찰하고 ΔL값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L값의 변화(ΔL)
구분 ΔL 값(30일 후의 변화값)
실시예 5 2.05
실시예 6 0.16
실시예 7 0.15
실시예 8 1.02
실시예 9 1.19
실시예 10 0.05
인체 미백 실험을 한 결과,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의영양크림은 식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6-10의 영양크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영양크림의 피부 자극 시험
피부자극에 대한 혼합 식물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55세의 여성 2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5-10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자극을 확인하였다. 실험 대상자 하박부 안쪽의 동일한 위치에 패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5-10의 영양크림을 접착시킨 후 24일 경과한 뒤 홍반 생성 여부를 전문가의 육안 평가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L값의 변화(ΔL)
구분 홍반발생 피검자수
실시예 5 2.0명/20명
실시예 6 6.0명/20명
실시예 7 7.0명/20명
실시예 8 6.0명/20명
실시예 9 4.0명/20명
실시예 10 2.0명/20명
각 실험 원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여 패치 테스트를 한 결과,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의 영양크림은 피부 자극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이 뛰어난 미백 효과가 있으면서 안전성이 뛰어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을 근거로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난 혼합 식물 추출물 (실시예 1)을 함유하는 여러 가용화 제형과 유화 제형의 화장료를 처방하였다. 하기의 처방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연화장수
혼합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 추출물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PEG 1500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옥틱도데세스-16폴리솔베이트 20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1.05.03.01.00.10.30.020.045.010.00.20.2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수렴화장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수렴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추출물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폴리솔베이트 20위치하젤 추출물구연산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1.02.02.00.20.20.020.043.015.00.32.0미량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영양화장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 추출물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스테아릴 알콜라놀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광물유스쿠알란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초산토코페롤카르복시비닐폴리머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소듐히아루로네이트트리 에탄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51.51.51.30.51.05.03.02.00.80.50.125.03.05.00.12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4: 영양크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추출물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스테아릴알콜스테아린산밀납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스쿠알란광물유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글리세린베타인트리에타올아민소듐히아루로네이트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2.02.21.51.01.50.61.03.05.05.01.00.15.03.01.04.0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5: 맛사지크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추출물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스테아릴알콜스테아린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스쿠알란광물유디메치콘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글리세린트리에타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51.51.01.50.65.05.035.00.50.126.00.7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6: 에센스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추출물글리세린베타인PEG 1500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 - 9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소듐히아루로네이트카르복시비닐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옥틸도데칸올옥틸도데세스 -16에탄올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0.05.02.00.10.30.020.040.18.00.20.180.30.46.0미량잔량
합계 100
처방예 7: 팩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혼합 추출물폴리비닐알콜셀룰로오스 검글리세린PEG 1500사이크로데스트린DL-판테놀알란토인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니코틴아미드에탄올PEG 40 경화피마자유향, 색소, 방부제증류수 3.015.00.153.02.00.150.40.10.30.56.00.3미량잔량
합계 10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추출물 각각을 단독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작용, 프리 라디칼 소거 작용,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 및 티라시나제 활성 저해작용이 우수해 피부 미백 기능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피부자극도 거의 없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각각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검은콩, 흑미 또는 검은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033342A 2004-05-12 2004-05-12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42A KR20050108541A (ko) 2004-05-12 2004-05-12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342A KR20050108541A (ko) 2004-05-12 2004-05-12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541A true KR20050108541A (ko) 2005-11-17

Family

ID=3728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342A KR20050108541A (ko) 2004-05-12 2004-05-12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5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0899278B1 (ko) *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KR101470707B1 (ko) * 2012-12-24 2014-12-08 (주)뉴메드 서목태 껍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45921A1 (ko) * 2018-08-27 2020-03-05 ㈜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78B1 (ko) *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KR100889390B1 (ko) * 2008-03-10 2009-03-19 우희경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1470707B1 (ko) * 2012-12-24 2014-12-08 (주)뉴메드 서목태 껍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45921A1 (ko) * 2018-08-27 2020-03-05 ㈜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3993A (ko) * 2018-08-27 2020-03-0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및 칙칙함 개선용 조성물
CN112638361A (zh) * 2018-08-27 2021-04-0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改善皮肤透明度及暗沉的组合物
CN112638361B (zh) * 2018-08-27 2022-12-2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改善皮肤透明度及暗沉的组合物
TWI801655B (zh) * 2018-08-27 2023-05-11 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用於改善皮膚透明度及暗沉之組成物
US11819566B2 (en) 2018-08-27 2023-11-21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ansparency and reducing dulln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8541A (ko)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829722B1 (ko)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9340A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5125B1 (ko) 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006341B1 (ko) 명당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KR100635784B1 (ko) 상지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95956B1 (ko)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