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828B1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828B1
KR102330828B1 KR1020210102717A KR20210102717A KR102330828B1 KR 102330828 B1 KR102330828 B1 KR 102330828B1 KR 1020210102717 A KR1020210102717 A KR 1020210102717A KR 20210102717 A KR20210102717 A KR 20210102717A KR 102330828 B1 KR102330828 B1 KR 10233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inga
leaves
extract
minutes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21010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828B1/ko
Priority to PCT/KR2022/011372 priority patent/WO202301403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양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Extraction method of moringa oleifera leaf and food composition containg the moringa oleifera leaf ex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링가(Moringa)는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하는 식물로, 줄기, 잎, 씨, 뿌리 등을 대부분 먹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영양성분이 가장 많은 잎(Leaf)이 식용으로 소비된다. 모링가는 원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의 건조한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캄보디아, 파키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및 아프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5-10m이며, 야생, 평지, 강이나 냇가의 모래 부근에서 잘 자란다. 모링가의 산지는 열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아시아, 열대 아메리카, 나이지리아 등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는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에 자생한다
모링가에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인, 황, 글루타티온 등 대량원소 무기물질과 철,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등의 소량원소 무기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제아틴, 퀘세틴, 베타-시토스테롤, 카페오일퀴닌산 및 캠퍼롤 등의 미량원소와 이외에도 18가지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모링가는 고콜레스테롤증 예방, 항염증 작용, 시력 개선, 에너지 증가 혈압 정상화, 피부 건강 회복, 소화 기능 개선, 면역 시스템 강화, 아토피 개선, 주름 및 노화 방지, 상처 치료 개선, 종양 예방, 혈당 정상화 및 궤양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제와 36가지 이상의 항염증 혼합물을 가지고 있어 최고의 천연 항산화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4758호를 통해 영양성분(총 페놀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모링가의 쓴맛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액의 진한 맛을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모링가 잎 추출방법을 발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선등록 특허를 기반으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더욱 높이면서도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모링가 잎 추출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694758 B1 KR 10-2016-0054164 A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 효율이 높으며,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전,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조성물은,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의하면, 영양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먼저, 모링가 잎을 준비하고, 이를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한다. 상기 원적외선의 조사는 모링가 잎의 내부조직에 다공성을 형성하여 영양성분의 추출을 원활하게 하여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중합체인 폴리페놀, 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 항산화 물질들은 고분자를 가지고 있는데, 원적외선의 처리는 이들을 저분자로 유리시켜 항산화능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의 조사는 공기 중에서 10~60분간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한다. 상기 스팀처리 단계를 추가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10~20중량배의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한다.
이때, 상기 열수추출 중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15~30분간 추가 조사할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열수추출은 환류냉각기가 설치된 밀폐된 추출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추출효율을 더욱 높일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열수추출이 완료되면 이를 여과하여 실온으로 냉각한다.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면서 30~90분간 숙성한다. 이러한 숙성을 통해 추출물의 쓴맛을 저감시키고, 맛을 부드럽게 하는 것은 물론, 항염,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더욱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온에서 숙성하기 전, 75~85℃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면서 20~60분간 1차 숙성한 후, 5~50℃에서 2차 숙성을 진행하여 그 쓴맛을 더욱 저감할 수도 있는바, 이의 추가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함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현저히 높여준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커스, 비피도박테리움,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락토코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유산균은 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한다.
그리고 배양이 완료되면 이를 100℃로 10~20분간 처리하여 멸균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모링가 잎 추출물은, 쓴맛이 저감되고, 맛이 부드러우며, 추출 효율이 높고, 특히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처리하는 과정 전, 모링가 잎에 말채나무 잎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말채나무 잎을 시료로 더 사용하면, 모링가 잎과 말채나무 잎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더욱 개선되기 때문이다.
말채나무(Cornus walteri Wanger)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방에서는 말채나무의 가지와 잎을 모래지엽(毛枝葉)이라 하여 설사를 멈추거나 옻 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말채나무를 달여 먹으면 살이 빠진다하여 ‘신선목’, ‘홀쭉나무’, 또는 ‘빼빼목’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그 상호작용이 오히려 좋지 못해져,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이이다.
아울러, 상기 말채나무 잎의 혼합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구기자 잎을 더 혼합할 경우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구기자(Lycium chinense)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자생하는 가짓과의 생약재로, 예로부터, 열매, 뿌리껍질, 잎 등 모든 부위가 식재료 및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구기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칼슘, 철분 등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탈모 개선, 노화 방지, 항균, 동맥경화 예방, 혈당 및 콜레스테롤 감소, 피부 개선, 고혈압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잎 10~2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그 상호작용이 오히려 좋지 못해져, 그 활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이이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조성물로, 바로 음용가능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응용가능한 모든 식품의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잎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주요 기능성 성분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모링가 잎 추출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당 억제 및 정장 작용을 한다.
상기 난소화성말테덱스트린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분말은 차잎을 딴 후,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고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건조상태로 푸른 잎의 녹색이 그대로 남아있는 찻잎을 미립자로 분쇄하여서 된 것으로, 녹차는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비타민 E, γ-아미노산화 및 불소 성분을 함유한 유효성분을 갖고 있으며, 비만과 변비개선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녹차분말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자유기)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을 예방해 주며, 면역 체계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타민 C는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3~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을 포함하는 추출물, 예시적으로 황금, 감초, 대추 및 황기의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음은 물론, 피부염 질환에 효과적이며, 체지방 분해, 설사 등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 보존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로는 시판중인 상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건조 황금을 분말화한 황금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는 감미도가 설탕의 100 내지 200배인 감미료로, 주 성분은 α-글루코실스테비오시드이며, 청량한 감미를 가져, 관능적 기호도를 높여준다.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는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과량이 되면 그 관능적 기호도가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정제수는 용매로 사용되며, 식품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한 성분들을 제외한 잔부로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그 관능성 향상을 위하여, 잔탄검 및 저당 중 1종 이상 0.1~1중량%의 범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는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잔탄검 및 저당은 일반적인 식품 첨가물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 역시 우수하며,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여 섭취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시료로 건조된 모링가 잎 1kg을 준비하고, 이를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5~20㎛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하고, 이에 110~130℃의 스팀을 20분간 가하여 스팀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 1kg에 30L의 물을 가하고, 90~100℃에서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이를 실온에서 방치하여 20℃로 냉각한 후, 5~20㎛의 원적외선을 30분간 조사하면서 숙성하고,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이 숙성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0.5%(v/v)의 농도로 접종하고, 37℃에서 30시간 발효한 후, 100℃에서 20분간 멸균하였다.
그리고 이를 최종 여과하였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06CFU/ml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모링가 잎 900g에 말채나무 잎 100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모링가 잎 800g에 말채나무 잎 100g, 구기자 잎 100g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말채나무 잎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구기자 잎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시료로 건조된 모링가 잎 1kg을 준비하고, 이에 30L의 물을 가한 후, 90~100℃에서 12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시험예)
하기 시험예들에서는 시료로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을 사용하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추출물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 추출 효율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추출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물 중에서 총페놀 함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총페놀 함량은 폴린-치칼투 방법(Folin-Ciocalteu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96-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5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총페놀 함량을 갈산(gallic acid)에 대한 상대적 비교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추출하기 전의 시료 및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총페놀 함량(%)
실시예 1 87.9
실시예 2 89.5
실시예 3 89.7
비교예 1 65.2
비교예 2 64.8
비교예 3 63.9
비교예 4 60.1
비교예 5 62.5
비교예 6 13.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3은, 단순히 열수 추출만 진행한 비교예 6은 물론, 스팀처리, 유산균 접종 및 발효를 생략한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추출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 항산화 활성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와 BHT(ButylatedHydroxytoluene)를 비교군으로 하여, NBT법으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시료(처리농도 0.01%v/v)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율(%)을 평가하였다. 활성 산소가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 산소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 산소 소거율은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활성 산소 소거율(%) ={1-(St-So)/(Bt-Bo)}× 100
St : 시료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험예 2 결과
구분 활성 산소 소거율(%)
실시예 1 84.8
실시예 2 90.7
실시예 3 91.4
비교예 1 55.4
비교예 2 57.2
비교예 3 56.7
비교예 4 51.2
비교예 5 48.2
비교예 6 42.5
Vit.C 83.1
BHT 90.6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6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비 Vit. C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며, 실시예 3은 BHT와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항염 활성
NO 저해율 측정
24 well plate에 RAW2647 cell을 2×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18시간 전배양하였다. 그리고 1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고,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생성된 NO(Nitric Oxide)의 양은 세포 배양 상등액 100μL와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100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며, sodium nitrite (NaNO2)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검정곡선을 통해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NO 저해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NO(Nitric Oxide)는 체내 방어 기능, 신호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세균을 죽이는 등의 항균역할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inducible NOS)에 의해 생성된 과도한 NO는 염증 매개 물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NO 생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염증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독성 평가(MTT assay)
세포를 20×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37℃, 5% 이산화탄소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18시간 전배양한 후, LPS와 시료를 각각 농도별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500μg/mL의 농도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3시간 추가 반응시켰다. 그 다음,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생긴 포마잔(formazan) 침전물에 DMSO[dimethyl sulfoxide]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NO 저해율(%) 세포 생존률(%)
대조군 LPS (-) 94.8 105.3
LPS (+) 0.0 100.0
실시예 1 100 μg/mL 42.7 100.2
400 μg/mL 65.5 100.6
실시예 2 100 μg/mL 58.8 101.5
400 μg/mL 79.4 100.8
실시예 3 100 μg/mL 65.7 101.0
400 μg/mL 88.0 102.1
비교예 1 100 μg/mL 10.4 97.5
400 μg/mL 27.5 99.3
비교예 2 100 μg/mL 10.3 98.4
400 μg/mL 25.4 100.1
비교예 3 100 μg/mL 10.0 98.2
400 μg/mL 27.9 101.2
비교예 4 100 μg/mL 8.9 100.1
400 μg/mL 26.8 101.5
비교예 5 100 μg/mL 9.5 98.3
400 μg/mL 27.2 100.1
비교예 6 100 μg/mL 1.5 94.5
400 μg/mL 6.4 95.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하여 항염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비해서도 높은 항염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지방분해효소 완충용액(10mg/mL 리파아제(lipase), 10mM 3-(N-모폴리노)프로페인술폰산(3-(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MOPS), 1m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pH 68) 30㎕를 트리스(Tris) 완충용액(100mM 트리스-염산(Tris-HCl), 5mM 염화칼슘(CaCl2), pH 7.0) 850㎕에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액과 시료를 각각 100㎕씩,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0mM p-니트로페닐 부티레이트(p-NPB) 20㎕를 첨가한 다음, 다시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p-NPB가 p-니트로페놀로 가수 분해되는 정도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각각 1,000ppm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올리스타트(orlistat)를 사용하였다.
이때,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은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A-B)-(C-D)/(A-B)}×100
A : 효소가 첨가된 대조군의 흡광도,
B : 효소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C :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의 흡광도,
D : 효소가 첨가되지 않은 추출물의 흡광도
시험예 4 결과
구분 지방 분해 효소 저해 활성(%)
실시예 1 38.2
실시예 2 54.8
실시예 3 61.5
비교예 1 30.1
비교예 2 31.0
비교예 3 30.8
비교예 4 28.8
비교예 5 30.1
비교예 6 12.9
orlistat 65.3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하여 높은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은 양성대조군에 준하는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실시예 1의 추출물 20wt%, 난소화성덱스트린 2wt%, 녹차분말 2wt%, 비타민 C 0.5wt%, 복합황금추출물 1wt%, 효소처리스테비아 0.5wt%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액상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실시예 3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비교예 6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5) : 관능 평가
상기 제조예들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맛에 대한 관능시험을 실시하고, 그 평균점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모든 시험에서 시험대상자에게 맹검을 유지하였다.
0점 : 맛이 매우 좋지 못하다.
1점 : 맛이 조금 좋지 못하다.
2점 : 맛이 괜찮다.
3점 : 맛이 조금 좋다.
4점 : 맛이 매우 좋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제조예 1 3.2
제조예 2 3.2
제조예 3 3.4
비교제조예 1 1.0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쓴맛이 없고, 부드러워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면, 비교제조예 1은 쓴맛이 강해 관능적 기호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삭제
  2.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전,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10102717A 2021-08-04 2021-08-04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33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17A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08-04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CT/KR2022/011372 WO2023014037A1 (ko) 2021-08-04 2022-08-02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17A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08-04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828B1 true KR102330828B1 (ko) 2021-11-24

Family

ID=7874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17A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08-04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0828B1 (ko)
WO (1) WO20230140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1428A (zh) * 2021-12-31 2022-04-05 云南农业大学 一种利用微生物发酵降解辣木叶过敏原的方法
WO2023014037A1 (ko) * 2021-08-04 2023-02-09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5960165A (zh) * 2022-08-17 2023-04-14 华南农业大学 一种来源于辣木叶的富硒ace抑制肽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164A (ko) 2014-11-05 2016-05-16 동국제약 주식회사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94758B1 (ko)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20190048432A (ko) * 2017-10-31 2019-05-09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73B1 (ko) * 2007-10-18 2009-03-05 배영숙 유산균에 발효된 기능성 산야초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2330828B1 (ko) *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164A (ko) 2014-11-05 2016-05-16 동국제약 주식회사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94758B1 (ko)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20190048432A (ko) * 2017-10-31 2019-05-09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bosse et al., The Effect of Steam Blanching and Drying Method on Nutrient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 Leaves. Americ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17, Vol. 5, No. 2, pp. 53-60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4037A1 (ko) * 2021-08-04 2023-02-09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4271428A (zh) * 2021-12-31 2022-04-05 云南农业大学 一种利用微生物发酵降解辣木叶过敏原的方法
CN115960165A (zh) * 2022-08-17 2023-04-14 华南农业大学 一种来源于辣木叶的富硒ace抑制肽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037A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828B1 (ko)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1611B1 (ko) 구절초 및 진주조개껍질을 함유한 기능성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CN107586656A (zh) 一种刺梨全果酒及其制备方法
KR100701336B1 (ko) 강장 또는 강정용 한방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4400B1 (ko) 항산화 및 항피로 효능을 갖는 매실식초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51573B1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0633A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5842B1 (ko) Pectinex ultra sp-l을 이용한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베리류 또는 컬러감자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801435B1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20140063297A (ko) Novozym 33095를 이용한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베리류 또는 컬러감자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026B1 (ko) 간기능 개선에 효능이 있는 흑마늘 음료의 제조공법
KR20210081649A (ko) 개미취(Aster tataricus)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개선용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14238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9943A (ko) 다당체가 증진된 와송 및 흑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KR20200131555A (ko) 건강기능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934812B1 (ko) 거문도 해풍쑥을 이용한 액상 차의 제조 방법
KR102423746B1 (ko)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