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14037A1 -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14037A1
WO2023014037A1 PCT/KR2022/011372 KR2022011372W WO2023014037A1 WO 2023014037 A1 WO2023014037 A1 WO 2023014037A1 KR 2022011372 W KR2022011372 W KR 2022011372W WO 2023014037 A1 WO2023014037 A1 WO 20230140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ves
moringa
extract
moringa leaves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13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ublication of WO20230140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1403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tracting Moringa leaves and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 Moringa is a plant that grows in northwest India. Most of its stems, leaves, seeds, and roots can be eaten, but the leaves with the most nutrients are generally consumed for food. Moringa was originally known as a plant that grows in the dry regions of the southern foothills of the Himalayas in northwestern India, but is now widely cultiva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such as Cambodia, Pakistan, Nepal, Indonesia, other Asian regions, and Africa.
  • the height of the tree is 5-10m, and it grows well in the wild, flatlands, and near the sand of rivers or streams. Moringa originates from tropical Africa, Madagascar, Arabia, Asia, tropical America, and Nigeria.
  • Moringa is rich in inorganic substances of large elements such as calcium, magnesium, potassium, phosphorus, sulfur, and glutathione, and inorganic substances of small elements such as iron,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as well as zeatin, quercetin, and beta- It contains more than 90 nutrients, including 18 amino acids and vitamins, as well as trace elements such as sitosterol, caffeoylquinic acid and kaempferol.
  • Moringa prevents high cholesterol, has anti-inflammatory action, improves eyesight, increases energy, normalizes blood pressure, restores skin health, improves digestive function, strengthens the immune system, improves atopy, prevents wrinkles and aging, improves wound healing, prevents tumors, normalizes blood sugar, and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preventing ulcers and has more than 46 antioxidants and 36 anti-inflammatory compounds, making it one of the best natural antioxidants.
  • the present inventors minimized the destruction of nutrients (total phenol, etc.) through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4758, improved extraction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bitter taste of Moringa, so that the rich taste of the undiluted solution can be drunk as it is.
  • a method for extracting Moringa leaves was invented.
  • the present inventors studied a Moringa leaf extraction method with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while further increas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ior registration patent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tracting Moringa leaves having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excellent anti-obesity effects, and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tracting Moringa leaves with high extraction efficiency and excellent sensory properties and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 the method of extracting Moringa lea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pre-treating Moringa leaves by irradiating far-infrared rays in the air, and steaming the pre-treated Moringa leaves with steam at 110-130 ° C for 10 minutes to 30 minutes. Minute steam treatment, adding water to the steam-treated Moringa leaves, and hot water extraction at 90 to 100 ° C for 5 to 20 hours, and irradiating the hot water extracted extract with far-infrared rays at 5 to 50 ° 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aging for 30 to 90 minutes, inoculating the aged product with lactic acid bacteria, culturing at 35 to 40 ° C. for 1 to 2 days, and sterilizing.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mixing 10 to 20 parts by weight of dogwood leaves with 100 parts by weight of Moringa leaves before the pretreatment step.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ringa leaf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Moringa leaf extract, indigestible maltodextrin, green tea powder, vitamin C, complex golden extract, enzyme-treated stevia and purified water do.
  • the method of extracting Moringa le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treating Moringa leaves by irradiating far-infrared rays in the air, steaming the pre-treated Moringa leaves with steam at 110-130 ° C. for 10 to 30 minutes, Injecting water into the steam-treated Moringa leaves and extracting with hot water at 90 to 100 ° C for 5 to 20 hours, and aging the hot water extracted extract for 30 to 90 minutes while irradiating far-infrared rays at 5 to 50 ° C. and, after inoculating lactic acid bacteria into the aged product, incubating at 35 to 40 ° C. for 1 to 2 days, and sterilizing.
  • the irradiation of the far-infrared rays serves to improve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forming porosity in the inner tissue of the Moringa leaf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nutrients.
  • natural antioxidant substances such as polyphenols, tocopherols, and flavonoids, which are polymers, have polymers, and treatment with far-infrared rays liberates them into small molecules to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 the far-infrared radiation is irradiated with far-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5 to 20 ⁇ m for 10 to 60 minutes in the air.
  • the pretreated Moringa leaves are steamed with steam at 110 to 130 ° C. for 10 to 30 minutes.
  • steam treatment step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obesity activity.
  • far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5 to 20 ⁇ m may be additionally irradiated for 15 to 30 minutes, but this is not limited.
  • the hot water extraction may further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using a closed extractor equipped with a reflux condenser, but this is not limited.
  • the hot water extracted extract is aged for 30 to 90 minutes while irradiating far-infrared rays with a wavelength of 5 to 20 ⁇ m at 5 to 50 ° C.
  • the bitterness of the extract is reduced, the taste is softened, as well as the role of further enhanc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 the bitterness may be further reduced by first aging for 20 to 60 minutes while irradiating far infrared rays at 75 to 85 ° C, and then performing secondary aging at 5 to 50 ° C. It does not limit additional implementation.
  • lactic acid bacteria preferably, any one of Lactobacillus, Streptococcus, Bifidobacterium, Leuconostoc, Pediococcus, Lactococcus,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and most preferably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is used.
  • the lactic acid bacteria use a culture medium cultured in a medium.
  • the culture is completed, it is sterilized by treating it at 100 °C for 10 to 20 minutes.
  • the Moringa leaf extract extracted by the above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reduced bitterness, soft taste, high extraction efficiency, and excelle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activities.
  • a step of mixing dogwood leaves with Moringa leaves may be further included.
  • Dogwood (Cornus walteri Wanger)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dogwood family. It has been used under the names of 'Sinseonmok,' 'Slim Tree,' or 'Peppaemok,' because it is said that decocted and eaten, you will lose weight.
  • the mixing ratio is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of dogwood leav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Moringa leaves.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improvement is insignificant.
  • Goji chinense (Lycium chinense) is a herbal medicine of the nightshade family native to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Since ancient times, all parts such as fruit, root bark, and leaves have been used as food ingredients and medicines. Goji berry is not only rich in vitamins and minerals such as vitamin A, vitamin C, beta-carotene, calcium, and iron, but is also known to exhibit excell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is known to improve hair loss, prevent aging, antibacterial, prevent arteriosclerosis, reduce blood sugar and cholesterol, It is reported to show various effects such as improving skin and preventing high blood pressure.
  • the mixing ratio is preferably 10 to 20 parts by weight of goji ja leaf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ringa leaf, which means that if the mixing ratio is out of the above mixing ratio, the interaction becomes rather poor,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tivity becomes insignificant. It is becau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Moringa leaf extract extracted by the above extraction method.
  • the food composition is preferably a liquid composition, which can be consumed immediately, but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all applicable food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Moringa leaf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ndigestible maltodextrin, green tea powder, vitamin C, complex golden extract, enzyme-treated stevia, and purified water.
  • the Moringa leaf extract as the main functional component of the food composition, provide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 the Moringa leaf extract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10 to 5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indigestible maltodextrin is a water-soluble dietary fiber, lowering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body, suppressing blood sugar and having an effect on the body.
  • the indigestible maltedextrin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0.1 to 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green tea powder is obtained by pulverizing into fine particles the tea leaves in which the green color of the green leaves remains in a dried state in which the enzyme is inactivated by heating without going through a fermentation process after picking the tea leaves. It has active ingredients containing vitamin E, ⁇ -aminooxidation and fluorine, and plays a role in improving obesity and constipation.
  • the green tea powder is preferably included in the range of 0.1 to 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vitamin C is an antioxidant that protects the body from active oxygen (free radicals) to prevent cancer, arteriosclerosis, rheumatism, and the like, and also strengthens the immune system.
  • This vitamin C is preferably included in 0.3 to 0.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composite gold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containing gold, eg, an extract of gold, licorice, jujube and Astragalus, and ha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anti-allergic effects, as well as being effective in dermatitis, decomposing body fat, and diarrhea.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ack. It also serves as a natural preservative.
  •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as the composite gold extract, and its use is not limited.
  • golden powder obtained by powdering dry gold it is also possible to use golden powder obtained by powdering dry gold.
  • the composite golden extract may be included in 0.001 to 5%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enzyme-modified stevia is a sweetener whose sweetness is 100 to 200 times that of sugar, and its main component is ⁇ -glucosyl stevioside, and has a refreshing sweetness, increasing sensory acceptability.
  • the enzyme-treated stevia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3%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because the sensory acceptability is rather deteriorated when the amount is excessive.
  • the purified water is used as a solvent, and is included as the remainder except for the above components in 100%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t least one of xanthan gum and low sugar in the range of 0.1 to 1% by weight in order to improve its sensory properties, but the practice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xanthan gum and low sugar are common food additiv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xcellent anti-obesity effect, and excellent sensory preferenc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onsume.
  • 1 kg of dried Moringa leaves were prepared, pretreated by irradiating 5-20 ⁇ m far-infrared rays in the air for 1 hour, and steamed by applying steam at 110-130 ° C. for 20 minutes.
  • 30 L of water was added to 1 kg of the steam-treated Moringa leaves,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90 to 100 ° C for 12 hours, left at room temperature to cool to 20 ° C, and then irradiated with 5 to 20 ⁇ m far-infrared rays for 30 minutes Aged while doing, and filtered.
  • the matured product was inoculated with a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at a concentration of 0.5% (v/v), fermented at 37°C for 30 hours, and then sterilized at 100°C for 20 minutes.
  • the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was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in MRS liquid medium, incubated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at 37° C., and then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10 6 CFU/ml.
  •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used as samples, but the extract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concentrated, freeze-dried, and powdered for use.
  •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measured using the Folin-Ciocalteu method, and was calculated by measuring 765 nm absorbance using a 96-well microplate reader. And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expressed as a relative comparison value for gallic acid.
  • 1 g of each sample before extraction and the extract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taken, 10 mL of ethanol was added, ultrasonically extracted at 30 ° C. for 2 hours,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ed for test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utritional component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only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s well as Comparative Examples 1 to 5 in which steam treatment,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and fermentation were omitted.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otal phenol, etc.) was significantly improved.
  • the active oxygen produced by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was measured by the NBT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sample (treatment concentration 0.01% v / v) to remove active oxygen, that is, the 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was evaluated.
  • the 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blue color generated by active oxygen reacting with nitro blue tetrazolium (NBT) at a wavelength of 560 nm.
  • the 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Active oxygen scavenging rate (%) ⁇ 1-(St-So)/(Bt-Bo) ⁇ 100
  • Examples 1 to 3 all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omparative Examples 1 to 6.
  • Examples 1 to 3 are non Vit. It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C, and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 3 showed a similar level of antioxidant activity to BHT.
  • RAW2647 cells were dispensed at 2 ⁇ 10 5 cells/well in a 24-well plate and pre-cultured for 18 hours at 37° C. under 5% carbon dioxide conditions. Then,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a medium containing 1 ⁇ g/mL LPS (lipopolysaccharide), and the samples were treated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 amount of NO (Nitric Oxide) produced thereafter was measured by mixing 100 ⁇ L of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with 100 ⁇ L of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reacting in a 96 well plate for 10 minutes, and measuring the absorbance at 540 nm. was measured.
  • NO Nitric Oxide
  • the amount of NO produced was measured in the form of NO 2- present in the cell culture medium, and quantified through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prepared using sodium nitrite (NaNO 2 ) as a standard material. And the NO inhibition rate is shown in Table 3 below.
  • the NO Nitric Oxide
  • the NO not only functions as a defense function and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in the body, but also has an antibacterial role such as killing bacteria. It is known to exacerbate inflammation, so substances that inhibit NO production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inflammatory diseases.
  • Example 3 Results division NO inhibition rate (%) Cell viability (%) control group LPS (-) 94.8 105.3 LPS (+) 0.0 100.0
  • Example 1 100 ⁇ g/mL 42.7 100.2 400 ⁇ g/mL 65.5 100.6
  • Example 2 100 ⁇ g/mL 58.8 101.5 400 ⁇ g/mL 79.4 100.8
  • Example 3 100 ⁇ g/mL 65.7 101.0 400 ⁇ g/mL 88.0 102.1
  • Comparative Example 1 100 ⁇ g/mL 10.4 97.5 400 ⁇ g/mL 27.5 99.3 Comparative Example 2 100 ⁇ g/mL 10.3 98.4 400 ⁇ g/mL 25.4 100.1
  • Comparative Example 3 100 ⁇ g/mL 10.0 98.2 400 ⁇ g/mL 27.9 101.2
  • Comparative Example 4 100 ⁇ g/mL 8.9 100.1 400 ⁇ g/mL 26.8 101.5
  • Comparative Example 5 100 ⁇ g/mL 9.5 98.3 400 ⁇
  • Example 3 As can be seen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Examples 1 to 3 had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6.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s 2 and 3 showed higher anti-inflammatory activity than Example 1.
  • Lipase buffer solution (10 mg / mL lipase, 10 mM 3- (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MOPS), 1 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30 ⁇ l of pH 68) was mixed with 850 ⁇ l of a Tris buffer solution (100 mM Tris-HCl, 5 mM calcium chloride (CaCl 2 ), pH 7.0). Thereafter, 100 ⁇ l of each mixture and sample, Reacted for 15 minutes at 37 ° C. After the reaction, 20 ⁇ l of 10 mM p-nitrophenyl butyrate (p-NPB) was added, and then reacted again at 37 ° C. for 15 minutes. The degree of absorbance was measured at 40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At this time, the samples were diluted to 1,000ppm, respectively, and orlistat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MOPS 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 EDTA
  • lipolytic enzyme inhibitory activity (%)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 Lipase inhibitory activity (%) ⁇ (A-B)-(C-D)/(A-B) ⁇ ⁇ 100
  • Test Example 4 Results division Lipolytic enzyme inhibitory activity (%) Example 1 38.2 Example 2 54.8 Example 3 61.5 Comparative Example 1 30.1 Comparative Example 2 31.0 Comparative Example 3 30.8 Comparative Example 4 28.8 Comparative Example 5 30.1 Comparative Example 6 12.9 orlistat 65.3
  •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higher lipolytic enzym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6.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s 2 and 3 exhibited lipolytic enzyme inhibitory 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 a sensory test for taste was conducted on 20 healthy adult men and women for the above preparations, and the average scores are shown in Table 5 below. Th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nd the test results are shown. At this time, blindness was maintained to the subjects in all t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양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링가(Moringa)는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하는 식물로, 줄기, 잎, 씨, 뿌리 등을 대부분 먹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영양성분이 가장 많은 잎(Leaf)이 식용으로 소비된다. 모링가는 원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의 건조한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캄보디아, 파키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및 아프리카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5-10m이며, 야생, 평지, 강이나 냇가의 모래 부근에서 잘 자란다. 모링가의 산지는 열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아시아, 열대 아메리카, 나이지리아 등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종인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는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산기슭에 자생한다
모링가에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인, 황, 글루타티온 등 대량원소 무기물질과 철, 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등의 소량원소 무기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제아틴, 퀘세틴, 베타-시토스테롤, 카페오일퀴닌산 및 캠퍼롤 등의 미량원소와 이외에도 18가지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모링가는 고콜레스테롤증 예방, 항염증 작용, 시력 개선, 에너지 증가 혈압 정상화, 피부 건강 회복, 소화 기능 개선, 면역 시스템 강화, 아토피 개선, 주름 및 노화 방지, 상처 치료 개선, 종양 예방, 혈당 정상화 및 궤양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제와 36가지 이상의 항염증 혼합물을 가지고 있어 최고의 천연 항산화원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4758호를 통해 영양성분(총 페놀 등)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모링가의 쓴맛이 현저히 개선되어 원액의 진한 맛을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모링가 잎 추출방법을 발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상기한 선등록 특허를 기반으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더욱 높이면서도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모링가 잎 추출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4758호 이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4164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 효율이 높으며,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전,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조성물은,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의하면, 영양성 및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은,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먼저, 모링가 잎을 준비하고, 이를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한다. 상기 원적외선의 조사는 모링가 잎의 내부조직에 다공성을 형성하여 영양성분의 추출을 원활하게 하여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중합체인 폴리페놀, 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 항산화 물질들은 고분자를 가지고 있는데, 원적외선의 처리는 이들을 저분자로 유리시켜 항산화능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의 조사는 공기 중에서 10~60분간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것이다.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한다. 상기 스팀처리 단계를 추가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10~20중량배의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한다.
이때, 상기 열수추출 중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15~30분간 추가 조사할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열수추출은 환류냉각기가 설치된 밀폐된 추출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추출효율을 더욱 높일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열수추출이 완료되면 이를 여과하여 실온으로 냉각한다.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5~20㎛ 파장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면서 30~90분간 숙성한다. 이러한 숙성을 통해 추출물의 쓴맛을 저감시키고, 맛을 부드럽게 하는 것은 물론, 항염,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더욱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온에서 숙성하기 전, 75~85℃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면서 20~60분간 1차 숙성한 후, 5~50℃에서 2차 숙성을 진행하여 그 쓴맛을 더욱 저감할 수도 있는바, 이의 추가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함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현저히 높여준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커스, 비피도박테리움,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락토코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유산균은 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한다.
그리고 배양이 완료되면 이를 100℃로 10~20분간 처리하여 멸균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모링가 잎 추출물은, 쓴맛이 저감되고, 맛이 부드러우며, 추출 효율이 높고, 특히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처리하는 과정 전, 모링가 잎에 말채나무 잎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말채나무 잎을 시료로 더 사용하면, 모링가 잎과 말채나무 잎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더욱 개선되기 때문이다.
말채나무(Cornus walteri Wanger)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방에서는 말채나무의 가지와 잎을 모래지엽(毛枝葉)이라 하여 설사를 멈추거나 옻 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말채나무를 달여 먹으면 살이 빠진다하여 ‘신선목’, ‘홀쭉나무’, 또는 ‘빼빼목’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그 상호작용이 오히려 좋지 못해져,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이이다.
아울러, 상기 말채나무 잎의 혼합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구기자 잎을 더 혼합할 경우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구기자(Lycium chinense)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자생하는 가짓과의 생약재로, 예로부터, 열매, 뿌리껍질, 잎 등 모든 부위가 식재료 및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구기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베타카로틴, 칼슘, 철분 등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탈모 개선, 노화 방지, 항균, 동맥경화 예방, 혈당 및 콜레스테롤 감소, 피부 개선, 고혈압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잎 10~2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혼합비를 벗어나면 그 상호작용이 오히려 좋지 못해져, 그 활성의 개선효과가 미미해지기 때문이이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조성물로, 바로 음용가능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응용가능한 모든 식품의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링가 잎 추출물은, 식품 조성물의 주요 기능성 성분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모링가 잎 추출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당 억제 및 정장 작용을 한다.
상기 난소화성말테덱스트린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분말은 차잎을 딴 후,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고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건조상태로 푸른 잎의 녹색이 그대로 남아있는 찻잎을 미립자로 분쇄하여서 된 것으로, 녹차는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비타민 E, γ-아미노산화 및 불소 성분을 함유한 유효성분을 갖고 있으며, 비만과 변비개선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녹차분말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자유기)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을 예방해 주며, 면역 체계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타민 C는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3~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황금을 포함하는 추출물, 예시적으로 황금, 감초, 대추 및 황기의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음은 물론, 피부염 질환에 효과적이며, 체지방 분해, 설사 등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연 보존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로는 시판중인 상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건조 황금을 분말화한 황금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는 감미도가 설탕의 100 내지 200배인 감미료로, 주 성분은 α-글루코실스테비오시드이며, 청량한 감미를 가져, 관능적 기호도를 높여준다.
상기 효소처리스테비아는 상기 식품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0.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과량이 되면 그 관능적 기호도가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정제수는 용매로 사용되며, 식품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한 성분들을 제외한 잔부로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그 관능성 향상을 위하여, 잔탄검 및 저당 중 1종 이상 0.1~1중량%의 범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는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잔탄검 및 저당은 일반적인 식품 첨가물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 역시 우수하며,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여 섭취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시료로 건조된 모링가 잎 1kg을 준비하고, 이를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5~20㎛의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전처리하고, 이에 110~130℃의 스팀을 20분간 가하여 스팀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 1kg에 30L의 물을 가하고, 90~100℃에서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이를 실온에서 방치하여 20℃로 냉각한 후, 5~20㎛의 원적외선을 30분간 조사하면서 숙성하고,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이 숙성물에 유산균 배양액을 0.5%(v/v)의 농도로 접종하고, 37℃에서 30시간 발효한 후, 100℃에서 20분간 멸균하였다.
그리고 이를 최종 여과하였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06CFU/ml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모링가 잎 900g에 말채나무 잎 100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모링가 잎 800g에 말채나무 잎 100g, 구기자 잎 100g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팀처리과정 및 유산균 접종 및 발효의 과정을 생략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말채나무 잎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시료로 구기자 잎만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시료로 건조된 모링가 잎 1kg을 준비하고, 이에 30L의 물을 가한 후, 90~100℃에서 12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시험예)
하기 시험예들에서는 시료로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을 사용하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추출물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 추출 효율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추출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물 중에서 총페놀 함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총페놀 함량은 폴린-치칼투 방법(Folin-Ciocalteu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96-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65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리고 총페놀 함량을 갈산(gallic acid)에 대한 상대적 비교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추출하기 전의 시료 및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1g씩 취하여 10mL 에탄올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30℃에서 초음파 추출하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시험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총페놀 함량(%)
실시예 1 87.9
실시예 2 89.5
실시예 3 89.7
비교예 1 65.2
비교예 2 64.8
비교예 3 63.9
비교예 4 60.1
비교예 5 62.5
비교예 6 13.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3은, 단순히 열수 추출만 진행한 비교예 6은 물론, 스팀처리, 유산균 접종 및 발효를 생략한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영양성분(총페놀 등)의 추출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 항산화 활성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와 BHT(ButylatedHydroxytoluene)를 비교군으로 하여, NBT법으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시료(처리농도 0.01%v/v)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율(%)을 평가하였다. 활성 산소가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 산소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 산소 소거율은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활성 산소 소거율(%) ={1-(St-So)/(Bt-Bo)}× 100
St : 시료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 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험예 2 결과
구분 활성 산소 소거율(%)
실시예 1 84.8
실시예 2 90.7
실시예 3 91.4
비교예 1 55.4
비교예 2 57.2
비교예 3 56.7
비교예 4 51.2
비교예 5 48.2
비교예 6 42.5
Vit.C 83.1
BHT 90.6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6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비 Vit. C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며, 실시예 3은 BHT와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항염 활성
NO 저해율 측정
24 well plate에 RAW2647 cell을 2×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 조건하에서 18시간 전배양하였다. 그리고 1μg/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고,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생성된 NO(Nitric Oxide)의 양은 세포 배양 상등액 100μL와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100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며, sodium nitrite (NaNO2)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검정곡선을 통해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NO 저해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NO(Nitric Oxide)는 체내 방어 기능, 신호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세균을 죽이는 등의 항균역할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inducible NOS)에 의해 생성된 과도한 NO는 염증 매개 물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NO 생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염증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독성 평가(MTT assay)
세포를 20×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37℃, 5% 이산화탄소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18시간 전배양한 후, LPS와 시료를 각각 농도별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500μg/mL의 농도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3시간 추가 반응시켰다. 그 다음,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생긴 포마잔(formazan) 침전물에 DMSO[dimethyl sulfoxide]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NO 저해율(%) 세포 생존률(%)
대조군 LPS (-) 94.8 105.3
LPS (+) 0.0 100.0
실시예 1 100 μg/mL 42.7 100.2
400 μg/mL 65.5 100.6
실시예 2 100 μg/mL 58.8 101.5
400 μg/mL 79.4 100.8
실시예 3 100 μg/mL 65.7 101.0
400 μg/mL 88.0 102.1
비교예 1 100 μg/mL 10.4 97.5
400 μg/mL 27.5 99.3
비교예 2 100 μg/mL 10.3 98.4
400 μg/mL 25.4 100.1
비교예 3 100 μg/mL 10.0 98.2
400 μg/mL 27.9 101.2
비교예 4 100 μg/mL 8.9 100.1
400 μg/mL 26.8 101.5
비교예 5 100 μg/mL 9.5 98.3
400 μg/mL 27.2 100.1
비교예 6 100 μg/mL 1.5 94.5
400 μg/mL 6.4 95.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하여 항염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비해서도 높은 항염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지방분해효소 완충용액(10mg/mL 리파아제(lipase), 10mM 3-(N-모폴리노)프로페인술폰산(3-(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MOPS), 1m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pH 68) 30㎕를 트리스(Tris) 완충용액(100mM 트리스-염산(Tris-HCl), 5mM 염화칼슘(CaCl2), pH 7.0) 850㎕에 혼합하였다. 이후, 혼합액과 시료를 각각 100㎕씩,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0mM p-니트로페닐 부티레이트(p-NPB) 20㎕를 첨가한 다음, 다시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p-NPB가 p-니트로페놀로 가수 분해되는 정도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각각 1,000ppm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올리스타트(orlistat)를 사용하였다.
이때,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은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A-B)-(C-D)/(A-B)}×100
A : 효소가 첨가된 대조군의 흡광도,
B : 효소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
C :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의 흡광도,
D : 효소가 첨가되지 않은 추출물의 흡광도
시험예 4 결과
구분 지방 분해 효소 저해 활성(%)
실시예 1 38.2
실시예 2 54.8
실시예 3 61.5
비교예 1 30.1
비교예 2 31.0
비교예 3 30.8
비교예 4 28.8
비교예 5 30.1
비교예 6 12.9
orlistat 65.3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하여 높은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은 양성대조군에 준하는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실시예 1의 추출물 20wt%, 난소화성덱스트린 2wt%, 녹차분말 2wt%, 비타민 C 0.5wt%, 복합황금추출물 1wt%, 효소처리스테비아 0.5wt% 및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액상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실시예 3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대신하여 비교예 6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5) : 관능 평가
상기 제조예들에 대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맛에 대한 관능시험을 실시하고, 그 평균점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모든 시험에서 시험대상자에게 맹검을 유지하였다.
0점 : 맛이 매우 좋지 못하다.
1점 : 맛이 조금 좋지 못하다.
2점 : 맛이 괜찮다.
3점 : 맛이 조금 좋다.
4점 : 맛이 매우 좋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제조예 1 3.2
제조예 2 3.2
제조예 3 3.4
비교제조예 1 1.0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 1 내지 3은 쓴맛이 없고, 부드러워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면, 비교제조예 1은 쓴맛이 강해 관능적 기호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모링가 잎을 공기 중에서 원적외선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모링가 잎을 110~130℃의 증기로 10분~30분간 스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스팀처리된 모링가 잎에 물을 투입하고, 90~100℃에서 5~20시간 열수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5~50℃에서 원적외선을 조사면서 30~90분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숙성물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35~40℃에서 1~2일간 배양하고,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전,
    모링가 잎 100중량부에 말채나무 잎 10~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에서,
    구기자 잎 10~20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잎 추출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녹차분말, 비타민C, 복합황금추출물, 효소처리스테비아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PCT/KR2022/011372 2021-08-04 2022-08-02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WO202301403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17A KR102330828B1 (ko) 2021-08-04 2021-08-04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1-0102717 2021-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037A1 true WO2023014037A1 (ko) 2023-02-09

Family

ID=7874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1372 WO2023014037A1 (ko) 2021-08-04 2022-08-02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0828B1 (ko)
WO (1) WO2023014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28B1 (ko) *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4271428A (zh) * 2021-12-31 2022-04-05 云南农业大学 一种利用微生物发酵降解辣木叶过敏原的方法
CN115960165B (zh) * 2022-08-17 2024-06-11 华南农业大学 一种来源于辣木叶的富硒ace抑制肽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73B1 (ko) * 2007-10-18 2009-03-05 배영숙 유산균에 발효된 기능성 산야초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694758B1 (ko) *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20190048432A (ko) * 2017-10-31 2019-05-09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KR102330828B1 (ko) *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164A (ko) 2014-11-05 2016-05-16 동국제약 주식회사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73B1 (ko) * 2007-10-18 2009-03-05 배영숙 유산균에 발효된 기능성 산야초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694758B1 (ko) * 2016-08-23 2017-01-11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KR20190048432A (ko) * 2017-10-31 2019-05-09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모링가 올레이페라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80438B1 (ko) * 2019-05-21 2020-02-21 오세정 마시는 모링가 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모링가 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그리고 모링가 원액 추출 장치
KR102330828B1 (ko) * 2021-08-04 2021-11-24 김대현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BOSSE PIERRE, FOMBANG EDITH N, MBOFUNG CARL M F: "2/4 ©Science and Education Publishing The Effect of Steam Blanching and Drying Method on Nutrient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 Leaves Cite This Article", AMERIC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5, no. 2, 1 January 2017 (2017-01-01), pages 53 - 60, XP093031445, ISSN: 2333-4835, DOI: 10.12691/ajfst-5-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828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14037A1 (ko)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041403B1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1268A (ko)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WO2011162523A2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976A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038376A1 (ko) 모링가 잎의 추출방법
WO2015115778A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51384B1 (ko) 모란, 녹나무잎, 비타민 나뭇잎 및 병풀을 이용한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재생,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0242A1 (ko) 노니 주스의 이취억제 및 유효성분이 강화된 발효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3710A (ko)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1172692A1 (ko)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WO2009134036A2 (ko) 위염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오가피를 기질로 한 버섯 균사체 발효물과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약제
CN113893310A (zh) 一种高山植物发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091192A9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182318A9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20210020633A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90588A1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40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당뇨, 당뇨합병증 또는 당뇨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8276A (ko) 박하잎 및 생강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55171A1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Sarkar et al. Anticariogenic potential of Camellia sinensis on Streptococcus mutans-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34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