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396B1 -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396B1
KR0159396B1 KR1019950007272A KR19950007272A KR0159396B1 KR 0159396 B1 KR0159396 B1 KR 0159396B1 KR 1019950007272 A KR1019950007272 A KR 1019950007272A KR 19950007272 A KR19950007272 A KR 19950007272A KR 0159396 B1 KR0159396 B1 KR 015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mode
cassette tape
motor
err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512A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396B1/ko
Priority to US08/607,481 priority patent/US5662287A/en
Priority to JP8071251A priority patent/JPH08279215A/ja
Priority to CN96103283A priority patent/CN1138732A/zh
Publication of KR96003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8Starting; Accelerating; Decelerating; Arrangements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driv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브이.씨.알의 현재 모드가 FF 모드인지 REW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a)단계에서 모드 판별이 이루어지면 각각의 모드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을 검출하여 각각의 분주비를 산출하는 단계와; (c) (b)단계에서 산출된 분주비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여 이에따라 제어된 모터 속도에 따른 속도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d) (c)단계에서 검출된 속도 펄스 신호와 사전 설정된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오차가 사전 결정된 규정된 범위 이내이면 정규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e) (c)단계에서 검출된 속도 펄스 신호와 사전 설정된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오차가 상기 규정된 범위가 아닐 경우 그 오차량에 따른 펄스폭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루어져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량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카세트 테이프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김이 완료될 때 발생하는 카세트 테이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데 적합한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브이.씨.알은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 캡스턴 서보(capstan servo) 시스템을 사용하여 왔다.
즉,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제어하였다. 캡스턴 모터는 녹화 및 재생시 스피드 모드, 예를들면 SP(standard play) 모드, LP(long play) 모드, EP(extanded play) 모드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변하는데,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는 SP 모드 일 때 1080Hz의 펄스 신호가 발생하면 EP 모드시에는 360Hz의 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펄스 신호는 녹화시에는 캐스턴 모터의 위상 및 속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되고, 재생시에는 그 속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즉,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신호와 사전 결정된 소정 주파수의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그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오차신호를 이용해 속도 및 위상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브이.씨.알은 FF(fast forward) 및 REW(rewind) 모드 시에는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제어하며, 테이프의 첫 부분 또는 끝 부분에 이르렀을 때 테이프의 투명한 부분을 감지하여 갑자기 정지 시키므로 그 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카세트 테이프의 손상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FF 모드 또는 REW 모드시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 정보에 따라 그 감김 속도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가 탑재되는 서플라이 릴 및 테이크업 릴을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 탑재된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을 검출하는 수단, 상기 캡스턴 모터가 회전 구동될 때 그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브이.씨.알에서 FF 모드 또는 REW 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탑재된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브이.씨.알이 상기 FF 모드 또는 REW 모드의 고속 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서플라이 릴 및 테이크업 릴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테이프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분주 허용 범위내의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에 의거하여 상기 분주 허용 범위내 기설정된 다수의 분주비중 어느 하나를 상기 고속 모드의 분주비로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분주비와 기설정된 기준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로 상기 캡스턴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결정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상기 캡스턴 모터가 회전 구동될 때, 상기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 속도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e)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신호 및 상기 결정된 분주비에 의해 결정되는 갱신 기준 신호와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간의 오차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오차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f)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에 속하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현재 구동 속도를 상기 결정된 분주비에 상응하는 정규 구동 속도로 유지하는 단계; 및 (g)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현재 구동 속도를 상기 산출된 오차값 만큼 증감시켜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감김 속도 제어 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이.씨.알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 회전 검출부 20 : 마이컴
30 : 모터 제어부 40 : 모터 구동부
50 : 모터 60 : 펄스 신호 발생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감김 속도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써, 릴 회전 검출부(10), 마이컴(20), 모터 제어부(30), 모터 구동부(40), 모터(50) 및 펄스 신호 발생부(60)를 포함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릴 회전 검출부(10)에서는, FF 모드 REW 모드시의 실행시에, 도시 생략된 브이.씨.알의 데크부에 장착된 서플라이 릴(supply reel) 및 테이크업 릴(take up reel)의 각 회전수에 상응하는 일정 개수의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검출되는 펄스 신호는 다음단의 마이컴(20)으로 제공된다. 즉, 릴 회전 검출부(10)는 테이크업 릴 및 서플라이 릴이 1회전할 때마다 기설정된 소정 갯수의 펄스를 발생하여 마이컴(20)에 제공한다.
다음에, 마이컴(20)에서는 릴 회전 검출부(10)로부터 제공되는 검출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현재 잔량, 즉 서플라이 릴의 잔량 정보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에 의거하여 아래의 수학식에서와 같이 분주비를 산출, 즉 브이씨알이 현재 모드가 FF 모드일 때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분주비 R을 산출하고, 브이씨알의 현재 모드가 REW 모드일 때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분주비를 산출한다.
R = (A ÷ 2) + B
R = ((100 - A) ÷ 2) + B
상기한 수학식 1 및 2에서 A는 테이프 잔량(즉,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을 의미하고, B는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속 모드시에 모터(50)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주비는 테이프 잔량 정보, 즉 서플라이 릴의 테이프 잔량 상태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결정된다.
그런다음, 마이컴(20)에서는 현재 모드에 상응하여 산출된 분주비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한다. 따라서, 모터 제어부(30)가 펄스폭 변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구동부(40)로 제공하고, 발생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모터(50)를 구동하게 되므로써, 모터(50)는 소정의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일예로써,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360Hz 로 설정하고, 고속 모드(즉, FF 모드 및 REW 모드)에서의 분부비를 최대 55분주에서 최소 5분주까지의 범위로 설정한다고 가정할 때, 마이컴(20)에서는 검출된 테이프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 정보에 의거하여 기설정된 분주 범위내의 어느 한 분주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FF 모드인 상태에서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100를 기준으로 할 때 10%인 것으로 검출되면, 분주비는, 상기한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 ÷ 2) + 5 = 10, 즉 10분주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주비에 의거하는 모터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모터(50)는 360 × 10 = 3600Hz 로 구동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모터(50)가 회전 구동될 때, 펄스 신호 발생부(60)에서는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검출, 즉 모터(50)의 회전 구동시 회전 속도에 따라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한 마이컴(20)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마이컴(20)에서는 상기한 펄스 신호 발생부(60)로부터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제공되면, 검출된 회전 속도 검출 신호와 기준 신호, 즉 기준 신호에 결정된 분주비를 곱한 갱신 기준 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오차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오차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예를들면, 갱신 기준 신호 ± 3%)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그 체크 결과에 상응하여 모터 속도를 적응적으로 조절(즉,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한다. 예를들어 기준신호가 360Hz 이고 현재 분주비가 10분주일 때 갱신 기준신호는 3600Hz 가 되므로 기설정된 임계 범위는 3600 ± 3% 가 되는데, 마이컴(20)은 모터(50)에서 검출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이러한 임계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마이컴(20)에서는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 즉 현재의 모터(50)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즉, 갱신 기준신호)보다 빠르면, 산출된 오차값(또는 오차량) 만큼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고, 또한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하, 즉 현재의 모터(50)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즉, 갱신 기준신호)보다 느리면, 산출된 오차값(또는 오차량)만큼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한다.
그 결과, 모터 제어부(30)가 상기한 마이컴(20)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하는 모터 구동신호(PWM)를 발생함으로써, 모터(50)의 회전 속도는 적절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테이프 잔량 상태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분주비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또한 모터가 회전할 때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와 기설정된 임계 범위(즉, 갱신 기준 신호 ± 3%)간의 비교를 통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속 모드시에 모터의 회전 속도를 최적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이때, 테이크업 릴측의 테이프 잔량은 상대적으로 적음) 모터의 분주비를 낮게 결정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이때, 테이크업 릴측의 테이프 잔량은 상대적으로 많음) 모터의 분주비를 크게 결정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고속 모드에서 이동(서플라이 릴측에서 테이크업 릴측으로 이동)하는 테이프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부재를 갖는 감김 속도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고속 모드시에 감김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이.씨.알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마이컴(20)에서는 브이.씨.알의 현재 모드가 FF 모드인지 혹은 REW 모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S10, S20), 단계(S10)에서의 체크 결과, 현재 모드가 FF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릴 회전 검출부(10)로부터 제공되는 릴 회전에 따른 검출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현재 잔량, 즉 서플라이 릴의 잔량 정보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에 의거하여 전술한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분주비를 산출한다(S30).
또한, 상기 단계(S20)에서의 체크 결과, 현재 모드가 REW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릴 회전 검출부(10)로부터 제공되는 릴 회전에 따른 검출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현재 잔량 정보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에 의거하여 전술한 수학식 2에서와 같이 분주비를 산출한다(S40).
예를들어, 현재 모드가 FF 모드일 때, 기준 신호가 360Hz이고,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100%를 기준으로 할 때 10%인 것으로 검출되면, 분주비는, 전술한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10 ÷ 2) + 5 = 10, 즉 10분주로 결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분주비는 고속 모드(FF 모드, REW 모드)에서의 감김 소요 시간, 고속 모드의 수행에 따라 수반되는 소음, 고속 이동으로 인한 테이프의 손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써 5 분주 내지 55 분주 정도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컴(20)에서는 현재 모드에 따라 산출된 분주비(예를들면, 10분주)에 상응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며, 이에 응답하는 모터 제어부(30)로부터의 펄스폭 변조 신호(PWM)에 따라 모터(50)가 회전 구동된다. 즉, 모터(50)는 3600Hz의 속도로 구동된다(단계 S50).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모터(50)가 회전 구동될 때, 모터(50) 회전에 따른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검출되는 데(단계 S60), 마이컴(20)에서는 이와같이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와 갱신 기준 신호(기준 신호 × 분주비로써, 상기 예의 경우 360 × 8 = 3600Hz 임)간의 비교를 통해 오차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오차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예를들면, 갱신 기준 신호 ± 3%)이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70).
상기 단계(S70)에서의 체크 결과,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S90)로 진행되어 현재의 모터 회전 속도를 유지, 즉 결정된 분주비에 상응하여 결정된 펄스폭 변조 신호(즉, 정규 펄스폭 변조 신호)로 모터(50)가 구동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단계(S70)에서의 체크 결과,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에서는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즉, 주파수)값이 기설정된 갱신 기준 신호(즉, 주파수)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 즉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인지 또는 이하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80).
상기 단계(S80)에서의 체크 결과,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 즉 현재의 모터(50)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즉, 갱신 기준신호)보다 빠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에서는 산출된 오차값(또는 오차량) 만큼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며, 그 결과 모터(50)의 회전 속도는 오차량 만큼 감소하게 된다(단계 S100).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모터 회전 속도 감소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에 속하게 될 때까지 연속적(또는 선형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상기 단계(S80)에서의 체크 결과,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이하, 즉 현재의 모터(50) 회전 속도가 기준 속도(즉, 갱신 기준신호)보다 느린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0)에서는 산출된 오차값(또는 오차량) 만큼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모터 제어부(30)로 제공하며, 그 결과 모터(50)의 회전 속도는 오차량 만큼 증가하게 된다(단계 S100).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모터 회전 속도 감소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터의 회전에 따라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에 속하게 될 때까지 연속적(또는 선형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테이프 잔량 상태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분주비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또한 모터가 회전할 때 검출되는 회전 속도 펄스 신호와 기설정된 임계 범위(즉, 갱신 기준 신호 ± 3%)간의 비교를 통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고속 모드시에 테이프의 이동 속도가 일정(또는 균일)하게 되도록 모터의 회전 속도를 최적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모터의 분주비를 낮게 결정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모터의 분주비를 크게 결정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고속 모드에서 이동(서플라이 릴측에서 테이크업 릴측으로 이동)하는 테이프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고속 모드의 감김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즉, 테이프의 종점 부근)에서의 테이프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고속 감김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 서플라이 릴이 과도한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야기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카세트 테이프가 탑재되는 서플라이 릴 및 테이크업 릴을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 탑재된 카세트 테이프의 잔량을 검출하는 수단, 상기 캡스턴 모터가 회전 구동될 때 그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브이.씨.알에서 FF 모드 또는 REW 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탑재된 카세트 테이프의 감김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브이.씨.알이 상기 FF 모드 또는 REW 모드의 고속 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서플라이 릴 및 테이크업 릴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플라이 릴측의 테이프 잔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테이프 잔량 정보와 기설정된 분주 허용 범위내의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에 의거하여 상기 분주 허용 범위내 기설정된 다수의 분주비중 어느 하나를 상기 고속 모드의 분주비로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분주비와 기설정된 기준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펄스폭 변조 신호로 상기 캡스턴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결정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따라 상기 캡스턴 모터가 회전 구동될 때, 상기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 속도 펄스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e)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신호 및 상기 결정된 분주비에 의해 결정되는 갱신 기준 신호와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 펄스 신호간의 오차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오차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f)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임계 범위 이내에 속하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현재 구동 속도를 상기 결정된 분주비에 상응하는 정규 구동 속도로 유지하는 단계 ; 및 (g)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캡스턴 모터의 현재 구동 속도를 상기 산출된 오차값 만큼 증감시켜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범위보다 크면, 상기 산출된 오차값 만큼 상기 캡스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오차값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산출된 오차값 만큼 상기 캡스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비는, 상기 FF 모드일 때, 수학식 R = (A ÷ 2) + B 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REW 모드일 때, 수학식 R = ((100 - A) ÷ 2) + B 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수학식에서 A 는 상기 테이프 잔량 정보, B는 상기 최저 속도 유지 하한값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 속도 제어 방법.
KR1019950007272A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KR015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72A KR0159396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US08/607,481 US5662287A (en) 1995-03-31 1996-02-27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ape travelling speed in a recorder
JP8071251A JPH08279215A (ja) 1995-03-31 1996-02-29 テープの走行速度の自動制御方法
CN96103283A CN1138732A (zh) 1995-03-31 1996-03-06 在记录器中自动调节磁带走带速度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72A KR0159396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512A KR960035512A (ko) 1996-10-24
KR0159396B1 true KR0159396B1 (ko) 1999-01-15

Family

ID=194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272A KR0159396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62287A (ko)
JP (1) JPH08279215A (ko)
KR (1) KR0159396B1 (ko)
CN (1) CN11387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553A (ja) *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状媒体走行装置
US20070101264A1 (en) * 2005-11-01 2007-05-03 Microsoft Corporation Position-and length-sensitive video timeline behavi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4648A (en) * 1972-03-15 1974-09-10 Ampex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diameter of tape pack on storage reel
US4001552A (en) * 1975-04-04 1977-01-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web material wound on a reel
JPS5931565B2 (ja) * 1977-06-30 1984-08-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炉用可変式原料分配板取出し装置
JPS578944A (en) * 1980-06-20 1982-01-18 Victor Co Of Japan Ltd Tape fast-forwarding and rewinding driver of cassette tape recorder
JPS6288768A (ja) * 1985-10-11 1987-04-23 Hitachi Ltd テ−プ送り制御方法及び装置
JPH01165057A (ja) * 1987-12-21 1989-06-29 Toshiba Corp テープカセット種別検出装置
US5248112A (en) * 1988-05-20 1993-09-28 Ampex Systems Corporation Tape transport control system with a feedforward capstan drive to the reel motors
JP2936606B2 (ja) * 1989-12-18 1999-08-23 ソニー株式会社 フリクションキャプスタン駆動方式のテープ走行駆動装置
US5275351A (en) * 1992-04-30 1994-01-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stant tape speed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732A (zh) 1996-12-25
KR960035512A (ko) 1996-10-24
US5662287A (en) 1997-09-02
JPH08279215A (ja)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344B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an arm of a disk drive
KR0159396B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JPH05314576A (ja) リールサーボ装置
US5209422A (en) Tape tension and brak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6704155B2 (en) Tape stopping mechanism
JP3538585B2 (ja) テープ駆動装置
KR100255546B1 (ko) 브이시알의 캡스턴 슬립 오차 보정방법
EP1022734B1 (en) Tape-like medium running device
KR930007934B1 (ko) 로직 카세트 플레이어에서의 모드별 헤드위치 감지방법
KR0162609B1 (ko) 테이프 주행 제어방법
JP3250279B2 (ja) ピンチローラレス摩擦駆動キャプスタンを用いたテープ走行駆動装置
JP304489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6825Y2 (ko)
KR920006088Y1 (ko) 캡스턴 모터 폭주 방지장치
JPH028383B2 (ko)
JPH0554480A (ja) テンシヨンサーボ回路
KR20000010397A (ko)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KR950004159A (ko) 직류모터의 구동 제어방법
KR19980038729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고속 감기/고속 되감기시의 테이프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 제어방법
JPH0255855B2 (ko)
JPH07320344A (ja) 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556678A (ja) モーター駆動制御装置
JPH07326101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56374B2 (ko)
JPH11316989A (ja) テープ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