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397A -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397A
KR20000010397A KR1019980031295A KR19980031295A KR20000010397A KR 20000010397 A KR20000010397 A KR 20000010397A KR 1019980031295 A KR1019980031295 A KR 1019980031295A KR 19980031295 A KR19980031295 A KR 19980031295A KR 20000010397 A KR20000010397 A KR 2000001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mode
hub
decelera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3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397A/ko
Publication of KR2000001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이시알 테이프를 감속구간에서부터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감속구간을 설정하여 감속구간에서도 테이프의 손상없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동작시간을 단축하도록 제어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브이시알 테이프의 S릴부와 T릴부 각각의 허브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의 비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제1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의 비와 제2단계의 테이프의 종류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2단계에서 판단한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제3단계에서 계산된 테이프의 끝점으로부터 일정영역을 감속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본 발명은 브이시알 테이프의 구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속구간을 설정하고 이 감속구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감속구간에서도 FF/REW모드의 시간을 단축하도록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시알 테이프의 FF/REW모드 구동은 동작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고속으로 회전한다. 고속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시작점에서부터 가속하기 시작하여 목표속도가 되면 정속으로 회전하다가 끝점으로부터 일정영역앞에서 감속하는 3단계로 구분하여 구동한다. FF모드와 REW모드는 회전방향이 반대이므로 FF모드에서의 가속구간은 REW모드에서의 감속구간이 되며 FF모드에서의 감속구간은 REW구간에서의 가속구간이 된다.
도 1은 브이시알 테이프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브이시알 테이프(11)는 S릴부의 허브(12)와 T릴부의 허브(13)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FF모드에서는 T릴부의 허브(13)에 테이프가 감겨지고 REW모드에서는 S릴부의 허브(12)에 테이프가 감겨진다.
S릴부의 허브(12)와 T릴부의 허브(13)는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즉 FF모드에서는 T릴부의 허브(13)가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T릴부의 허브(13)에 테이프를 감고, REW모드에서는 S릴부의 허브(12)가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므로써 S릴부의 허브(12)에 테이프를 감는다.
구동모터(14)는 제어부에 의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에 의하여 속도가 가변제어되며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17)가 설치되며 이 펄스발생기(17)에서 발생된 펄스는 제어부(18)에 입력된다.
또한 S릴부의 허브(12)에 감겨 있는 테이프의 양에 따라 S릴부의 허브(12)의 회전속도가 변하므로 S릴부의 허브(12)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S릴부의 허브(12)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15)가 설치되어 이 펄스발생기(15)에서 펄스가 발생되어 제어부(18)에 입력된다. 그리고 T릴부의 허브(13)에 감겨 있는 테이프의 양에 따라 T릴부의 허브(13)의 회전속도도 변하므로 T릴부의 허브(1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T릴부의 허브(13)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16)가 설치되어 이 펄스발생기(16)에서 펄스가 발생되어 제어부(18)에 입력된다.
도 2는 브이시알 테이프가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S릴부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T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릴부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는 FF모드에서의 시작점 또는 REW모드의 끝점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는 FF모드에서의 끝점 또는 REW모드의 시작점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FF/REW 모드에서 브이시알 테이프의 각 구간에 따른 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축은 S릴부 허브의 펄스수/T릴부 허브의 펄스수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구동모터의 속도를 나타낸다. S릴부 허브의 펄스수는 S릴부의 허브의 회전에 의하여 S릴부의 펄스발생기(15)에서 발생되어 제어부(18)에 입력되는 펄스수이다. T릴부 펄스수는 T릴부의 허브의 회전에 의하여 T릴부의 펄스발생기(16)에서 발생되어 제어부(18)에 입력되는 펄스수이다.
도 2의 (a)에서 도시한 상태는 FF모드의 시작점(S1)이 되고 여기에서부터 FF모드로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면 구동모터의 속도는 일정한 구간(A)에서 가속을 시작하여 속도가 어느 일정한 값, 즉 정상적인 플레이속도의 24배속이 되며 그 속도를 일정구간(B)에서 유지하다가 감속시점(L1)에서부터 감속구간(C)동안 일정한 감속비로서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켜나간다. 충분히 감속이 되면 예를들면 3배속으로 계속 구동되다가 엔드센서(E1)에 의하여 감지되면 회전이 정지한다.
역으로 도 2의 (b)에서 도시한 상태는 REW모드의 시작점(S2)이 되고 여기에서부터 REW모드로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면 구동모터의 속도는 일정한 구간(C)에서 가속을 시작하여 속도가 어느 일정한 값, 즉 정상적인 플레이속도의 24배속이 되며 그 속도를 일정구간(B)에서 유지하다가 감속시점(L2)에서부터 감속구간(A)동안 일정한 감속비로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속시켜나간다. 충분히 감속이 되면 예를들면 3배속으로 계속 구동되다가 엔드센서(E2)에 의하여 감지되면 회전이 정지한다.
종래의 FF/REW모드 구동방법에서 FF/REW모드의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구간(B)에서 고속으로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테이프를 감다가 테이프의 끝부분에서는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속도를 줄이게 된다. 즉 FF모드에서는 L1의 지점에서부터 감속을 시작하고 REW모드에서는 L2지점에서 감속을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감속 포인트(L1,L2)는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테이프에 따라서도 감속 포인트가 다를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 속도의 감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테이프의 끝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각각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끝점에 충분한 여유를 두고 속도를 감속시키지만 이때 너무 빨리 속도가 줄어 남은 테이프의 구간이 많게되면 저속으로 구동모터가 회전하는 시간이 늘어나서 전체적으로 동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감속구간에서 즉, FF모드에서의 C영역과 REW모드에서의 A영역에서는 테이프가 조금 남아 있으므로 이 영역에서부터 FF모드 또는 REW모드를 시작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저속으로 구동모터를 회전시키는데 구동모터가 남은 테이프의 전구간에 대하여 저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동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이시알 테이프를 감속구간에서부터 FF/REW모드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감속구간을 설정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구간에서도 FF/REW모드의 동작시간을 단축하도록 고속으로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브이시알 테이프의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S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T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브이시알 테이프의 각 구간에 따른 FF/REW 모드에서의 속도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번 발명에 따른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테이프 12 ... S릴의 허브
13 ... T릴의 허브 14 ... 구동모터
15 ... S릴의 펄스발생기 16 ... T릴의 펄스발생기
17 ... 구동모터의 펄스발생기 18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이시알 테이프를 감속구간에서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브이시알 테이프의 S릴부와 T릴부 각각의 허브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제1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2단계에서 판단한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제3단계에서 계산된 테이프의 끝점으로부터 일정영역을 감속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브이시알 테이프를 감속구간에서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브이시알 테이프를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구동하는 시점이 감속구간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감속구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먼저 S릴부의 허브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입력하고(41) T릴부의 허브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입력한다(42). 테이프가 많이 감겨진 허브는 그 만큼 회전속도가 떨어지고 테이프가 적게 감겨진 허브는 상대적으로 그 회전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테이프가 많이 감겨진 허브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수는 테이프가 저게 감겨진 허브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수보다 적다.
다음, 위에서 입력되는 S릴부와 T릴부의 펄스수의 비에 따라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한다(43). 테이프는 그 종류에 따라서 길이가 정해져 있으며 그 정해진 길이의 테이프가 S릴부의 허브와 T릴부의 허브에 나누어져 감겨있다. 따라서 테이프가 감겨진 양에 따라서 그 릴부의 허브의 회전속도가 다르며 그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펄스의 수도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S릴부와 T릴부의 허브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수의 비를 구함으로써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이프의 끝점의 위치를 계산한다(44).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S릴부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로서 REW모드의 끝점을 나타내고 있고 (b)는 T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진 상태로서 FF모드에서의 끝점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끝점은 한쪽 릴에 테이프가 모두 감겨져 있고 다른 쪽 릴에는 테이프가 감겨져 있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끝점은 다음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허브의 면적은 미리 알고 있는 수치이다. 또한 S릴부의 면적은 S릴부의 허브의 면적과 S릴부의 허브에 감겨진 테이프의 면적을 더한 것이다. 그리고 T릴부의 면적은 T릴부의 허브의 면적과 T릴부의 허브에 감겨진 테이프의 면적을 더한 것이다.
허브에 감겨진 테이프의 면적은 허브에 감겨진 테이프의 길이에 테이프의 두께를 곱한 값이 된다. 테이프의 두께의 두께는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테이프의 길이는 테이프의 종류에 따른 테이프의 총길이에 대하여 S릴부와 T릴부의 허브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펄스수의 비만큼 각각 나뉘어져 S릴부와 T릴부에 감겨져 있다.
위에서와 같이 테이프의 끝점이 계산되면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테이프의 끝점으로부터 일정영역의 앞부분을 감속구간으로 설정하게 된다(45).
도 5는 도 4에서 설정된 테이프의 끝점과 감속구간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브이시알의 구동모드가 FF모드 또는 REW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51) FF모드 또는 REW모드가 아니면 본 발명의 제어대상이 아니므로 종료한다.
FF모드 또는 REW모드이면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구동시작점이 감속구간의 영역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52) 감속구간의 영역이 아니면 이 역시 본 발명의 제어대상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가감속제어를 위하여 종료한다.
시작점이 감속구간의 영역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이시알 테이프를 8배속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킨다(53). 종래에는 감속구간에서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구동을 시작하는 경우 3배속으로 구동하여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동작시간이 길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8배속으로 구동하여 FF모드 또는 REW모드의 동작시간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브이시알 테이프를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중 테이프의 끝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54) 끝점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브이시알 테이프를 8배속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테이프의 끝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브이시알 테이프를 3배속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킨다(53). 브이시알 테이프는 3배속으로 회전하다가 엔드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테이프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이시알테이프를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시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므로써 테이프의 끝점까지 테이프의 손상없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모드의 동작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브이시알 테이프를 감속구간에서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1) 브이시알 테이프의 S릴부와 T릴부 각각의 허브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입력하는 단계와,
    (2) 상기 (1)의 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의 비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3) 상기 (1)의 단계에서 입력되는 펄스수의 비와 상기 (2)의 단계에서 판단되는 테이프의 종류에 기초하여
    의 식에 의하여 테이프의 끝점을 계산하는 단계와,
    (4) 상기 (2)의 단계에서 판단한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상기 (3)의 단계에서 계산된 테이프의 끝점으로부터 일정영역의 앞부분을 감속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5) 브이시알 테이프를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하는 시작점이 상기 (4)의 단계에서 설정한 감속구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6) 상기 (6)의 단계에서 시작점이 감속구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브이시알 테이프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7) 브이시알 테이프를 FF모드 또는 REW모드로 구동중 끝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8) 상기 (7)의 단계에서 끝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브이시알 테이프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KR1019980031295A 1998-07-31 1998-07-31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KR20000010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95A KR20000010397A (ko) 1998-07-31 1998-07-31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95A KR20000010397A (ko) 1998-07-31 1998-07-31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97A true KR20000010397A (ko) 2000-02-15

Family

ID=1954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295A KR20000010397A (ko) 1998-07-31 1998-07-31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91A (ko) * 2015-03-25 2016-10-06 아름답게 그린배 영농조합법인 과일즙 제조공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91A (ko) * 2015-03-25 2016-10-06 아름답게 그린배 영농조합법인 과일즙 제조공정 및 이를 위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1755A (en) Low power stepper motor drive system and method
US4448368A (en) Control for tape drive system
JPH03242713A (ja) 駆動制御装置
KR20000010397A (ko) 브이시알 테이프의 감속구간 제어방법
US5070285A (en) Motor stop control device
JPH09247976A (ja) モータの速度制御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30575A (ja) モータの制御装置
KR100255546B1 (ko) 브이시알의 캡스턴 슬립 오차 보정방법
JPS5921055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46043B2 (ja) カセット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0159396B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테이프 감김속도 제어방법
JP3540680B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
JP3126372B2 (ja) モータ制御回路
JP2648063B2 (ja) テープ速度制御回路
US6704155B2 (en) Tape stopping mechanism
JP354158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8042B1 (ko) 릴펄스신호를 이용한 캡스턴모터의 회전속도 제어방법
JPH10290521A (ja) モータの暴走検出方法および速度制御装置
JP2000069776A (ja) 加減速制御回路
JP300712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03258B1 (ko) 캡스턴 모터의 감속 제어시스템
JPS58121166A (ja) テ−プレコ−ダのリ−ル軸駆動装置
JP353858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093741B2 (ja) 磁気テープ走行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607608B2 (ja) テープ速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