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712B1 - 사조의 교체 권취기 - Google Patents

사조의 교체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712B1
KR0158712B1 KR1019930006838A KR930006838A KR0158712B1 KR 0158712 B1 KR0158712 B1 KR 0158712B1 KR 1019930006838 A KR1019930006838 A KR 1019930006838A KR 930006838 A KR930006838 A KR 930006838A KR 0158712 B1 KR0158712 B1 KR 015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ans
slider
slider guide
carrier
bobbi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523A (ko
Inventor
다까미 스기오까
Original Assignee
곤도오 다까오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도오 다까오,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곤도오 다까오
Publication of KR93002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설치공간이 아주 작은 자동교체 권취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계틀(1)에 트래버스장치(6)와 콘택트 로울러(7)를 부착한 프레임(5)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콘택트 로울러 하방에 대략 수직으로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20)을 고정 설치하고,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 하단부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한 축(18)에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요동가능하게 피버팅하고,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13, 14)를 설치하고, 슬라이더에 대하여 캐리어(15, 16)를 착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캐리어에 보빈홀더(8, 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슬라이더 사이에서 보빈홀더와 함께 캐리어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빈홀더는 권취개시위치, 패키지 취출위치 및 대기위치의 3위치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조의 교체 권취기
제1도는 본발명의 1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 내지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슬라이더를 이동하는 구동부를 도시하는, 제2 슬라이더 안내 수단 정면도.
제11도는 케리어 탈착기구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12도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제13도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14도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15도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케리어 탈착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상이한 작동 상태 정면도.
제18도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유지부재의 사시도.
제19(a)도는 제17도의 19a-19a에 따른 단면도.
제19(b)도는 제16도의 화살표 19b에 따른 단면도.
제20도 내지 제22도는 캐리어와 슬라이더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20도 및 제21(a)도는 단면도.
제21(b)도는 제21(a)도의 21b-21b에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틀 5 : 프레임
6 : 트래버스장치 7 : 콘택트 로울러
8, 11 : 보빈홀더 13, 14 : 슬라이더
15, 16 : 캐리어 17 :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
20 :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사조를 한쪽의 보빈홀더에 정착한 보빈상에 권취하고, 사조가 소정의 권취량에 도달하면 다른 한쪽의 보빈홀더로 순차 교체되도록한 사조의 자동교체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자동교체 권취기는 특공소 57-2546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같이 원판형상을 한 터릿테이블(turret table)에 소정간격으로 2개의 보빈홀더를 돌설하고, 한쪽 보빈홀더에 사조를 감아올린 상태에서 사조교체시에 터릿테이블을 원판의 중심축 주위에 회전이동시키고 있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특개소 63-5747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같이 2개의 보빈홀더를 각각 독립하여 각 보빈홀더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프릭션 로울러를 2개의 보빈홀더에 번갈아 접촉시키고 있다.
상기한 특공소 57-25466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원판상에 한 터릿테이블상의 정위치에 소정간격으로 2개의 보빈홀더를 돌설하고, 한쪽의 보빈홀더에 사조를 감아올린 상태에서 사조 교체시에 2개의 보빈홀더와 함께 터릿테이블을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1대의 권취기의 필요한 공간이 크고, 추간(錘間)이 커지기 때문에 다수의 권취기를 설치할 경우에 설치공간이 크다.
한편, 특개소 63-57477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2개의 보빈홀더를 각각 독립하여 각 보빈홀더를 각각의 권취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요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동교체형 권취기의 약 2대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역시 필요공간이 크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설치공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자동교체 권취기로서, 앞서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가지고 있으며, 한쪽의 보빈홀더에 권취되는 패키지가 소정량이 되면 사조의 권취를 다른쪽 보빈홀더로 교체하도록 한 자동교체 권취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권취위치, 도핑위치, 빈보빈장치위치, 대기위치, 교체위치 및 상기 권취위치에 따라 안내하는 폐루프형상의 보빈홀더 안내로, 상기 보빈홀더 안내로에 따라 복수의 보빈홀더를 독립하여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루프형상의 보빈홀더 안내로가 기계틀에 형성되어 있고, 그 기계틀에 그 보빈홀더 안내로에 따라 보빈홀더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개의 엔드레스 기어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빈홀더 지지부에 양 엔드레스기어 수단에 결합하도록 복수개의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사조의 교체 권취기를 제안하였다(일본 특원평 3-182060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일본 일본 특원평 3-182060호의 발명에 따르면, 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설치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자동교체 권취기를 유효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 있어서는 보빈홀더를 홀더 안내로에 따라 독립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엔드레스기어 수단이나, 그 엔드레스 기어수단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게다가 그들 엔드레스기어 수단은 권취기 앞뒤에 병렬하여 이들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구조가 대단히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보빈홀더를 이동시킬 경우에 폐루프 형상의 보빈홀더 안내로의 어느 부위를 이동시킬 경우라도 엔드레스기어 수단에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동정밀도가 보빈홀더 안내로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같은 정도가 된다. 이때문에 특히 보빈홀더의 이동의 제어를 고정밀도로 행할 필요가 있는 권취위치에 있어서의 정밀도가 전안내로에 있어서 동일하게 달성되고 있기 때문에 제어수단도 매우 고가로 된다.
[발명의 목적]
상기한 바와같이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 특원평 3-182060호의 발명에 부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가 저렴하며, 또 권취시의 고정밀도를 달성하기 위한 자동교체 권취기를 제안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2개의 보빈홀더를 가지고 한쪽 보빈홀더상의 보빈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여 트래버스장치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그 한쪽 보빈홀더의 보빈에 권취되는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다른 한쪽의 보빈홀더의 보빈에 사조를 순차 교체하도록한 사조의 교체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홀더를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 아암 및 상기 보빈홀더를 안내하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홀더는 캐리어에 지탱되어 있으며, 그 캐리어가 상기 제1 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슬라이더로 옮겨져 얹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교체 권취기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은 보빈홀더를 권취위치에서 도핑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은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의해 도핑위치로 안내된 보빈홀더를 도핑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서 권취 위치근방의 대기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후기하는 실시예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은 일단이 요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과 평행하는 위치와 평행위치에서 떨어진 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은 그 일단이 도핑위치근방에서 원추형 접합되어 있고, 타단이 대기위치근방과 권취위치근방을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정위치에 설치되고,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평행이고 접근하는 위치와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평행임과 동시에 근접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서 평행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 및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의 개단부(開端部)에 다시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배치하고,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에도 캐리어를 옮겨서 얹어놓을 수 있는 슬라이더를 구비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실질적으로 V자의 모서리부는 도핑위치근방에 위치시키고,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의해 대기위치에서 권취위치로 보빈홀더를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V자의 모서리부에 다시 제4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배치하고, 제4 슬라이더 안내 수단에도 캐리어를 옮겨서 얹어 놓을 수 있는 슬라이더를 구비시켜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사조의 교체 권취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사조의 교체 권취기의 1실시예 정면도로서, 사조의 교체순서를 시계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한쌍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에 기계틀(1)이 얹어 놓여 있고, 기계틀(1)에 돌설한 서포터(3)에 프레임(5)이 지지점(4)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레임(5)은 콘택트 로울러(7)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기계틀(1)로부터 콘택트 로울러(7)에 평행으로 트래버스장치(6)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래버스장치(6)로는 원통캠홈에 결합된 미끄럼자에 의해 정지 부착된 가이드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는 공지의 트래버스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공지의 트래버스장치로 하여도 좋다.
제1도에 있어서, 에어실린더(31) 후단을 핀(29)에 의해 서포터(3)에 연결하고, 에어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를 핀(30)에 의해 프레임(5)에 연결하고 있으며, 실린더(31)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프레임(5)과 콘택트 로울러(7)의 중량을 지지하고, 콘택트 로울러(7)를 권취중의 보빈홀더(11) 사이에 소정의 압접력을 부여한다.
기계틀(1)의 프레임(5) 하측에 대략 역삼각형상을 한 개구(1a)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1a)의 수직에 가까운 우변에 접근하여 기계틀(1) 내측에 제1 슬라이드 안내수단(2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기계틀(1) 하부의 개구(1a) 좌측에는 보빈홀더(8, 11)의 축방향으로 신장하는 축(18)을 지지하고 있으며, 축(18)에 의해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요동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또, 제1 도에 있어서, 기계틀(1)에 핀(19a)에 의해 실린더(19) 후단을 연결하고, 그리고 핀(19b)에 의해 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에 연결하고 있고,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실린더(19)에 의해 축(18) 주위로 제1 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3)가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이동 자재로운 반면, 슬라이더(14)는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을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더(14)에 너트(22)를 정지부착하고 너트(22)는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20)에 평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볼트(21)와 나사맞춤되어 있고, 스텝핑모터(23)에 의해 볼트(21)를 회전시켜 슬라이더(14)를 상하로 (제1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또, 마찬가지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더(13)에 너트(25)를 정지부착하고, 너트(25)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볼트(26)와 나사맞춤 하고 있고, 스텝핑 모터(27)에 의해 볼트(26)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3)를 상하로(제1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보빈홀더(8)는 구동모터와 함께 캐리어(15)에 지지되어 있고, 보빈홀더(11)는 구동모터와 함께 캐리어(16)에 지지되어 있다.
제11도에 슬라이더(14)의 캐리어 탈착기구의 1예를 도시한다.
슬라이더(14) 상하에 핀(14b)에 의해 Z자 형상을 한 척(14a)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양척(14a)의 양단을 양피스톤 로드형의 유체압 실린더(14d)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13)의 캐리어 탈착기구 및 기계틀(1)에 정지부착한 캐리어 탈착기구(33)도 제11도에 도시한 캐리어 탈착기구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캐리어(16)에는 요동한 척(14a)이 결합되도록 외축을 향하여 넓어진 볼록부(16a)가 상하 어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캐리어(16)의 제11도에 도시한 측면과 반대측면에는 슬라이더(13)의 척과 결합하는 볼록부(16a)가 마찬가지로 상하의 어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15)의 상하 어깨부에도 캐리어(16)와 마찬가지로 척이 결합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압 실린더의 양 피스톤로드를 후퇴시키면 슬라이더의 척이 열리고, 캐리어(15, 16)는 슬라이더(13, 14)에서 해방되며, 또 캐리어(15, 16)가 슬라이더(13, 14)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있을때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 척을 닫으면 캐리어(15, 16)는 슬라이더(13, 14)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캐리어(15, 16)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보빈홀더(8, 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또한 보빈홀더(8, 11)에는 캐리어(15, 16)에 일체적으로 정지부착한 구동모터(도시안됨)를 연결하고 있다.
슬라이더(14)와 연결된 캐리어(15, 16)는 슬라이더(14)의 제1 슬라이어 안내수단(2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로울러(7)에 보빈홀더(8, 11)상의 보빈이 접촉하는 권취위치에서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에 따라 하강하여 도핑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 슬라이더(13)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캐리어(15, 16)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의 축(18) 주위의 요동 및 슬라이더(13)의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에 따른 이동에 의해 상기한 도핑 위치에서 권취위치근방의 대기위치로, 그리고 다시 대기위치에서 권취위치로 이동가능하다.
가이드장치(28)는 사조 교체시에 트래버스장치(6)의 가이드에서 벗어난 사조를 보빈 끝부분 근방에 규제하여 피그테일(트랜스퍼테일)을 형성한다.
이 사걸기장치(28)는 공지의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틀(1)에 콘택트 로울러(7)을 구비한 프레임(5)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47 ; 제1도에서는 리미트스위치이지만 다른 공지의 센서를 사용하여도 좋다)가 설치되고, 사조 권취중, 패키지의 권취증가에 의해 콘택트 로울러(7)가 위방향으로 미소량 이동하면 이동량을 상기 센서(47)로 검출하고 권취중의 보빈홀더(11)를 지지한 슬라이더(14)를 소정량만큼 아래방향(보빈홀더가 콘택트 로울러(7)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도에서는 대기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보빈홀더(8)에 보빈(9)이 장착되어, 슬라이더(13)와 일체화된 캐리어(15)에 지지되고, 패키지(10)를 권취하고 있는 보빈홀더(11)에는 보빈(12)이 장착되며, 그 위에 패키지(10)가 권취된다.
보빈홀더(8, 11)는 각각 캐리어에 탑재된 전동기(도시안됨)로 구동되고, 사주권취중 상기 콘택트 로울러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이 되도록 콘택트 로울러(도시안됨)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제어된다.
교체후, 패키지의 취출위치에 보빈홀더(8, 11)를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상기 패키지(10)를 권취한 보빈(9, 12)과 결합하는 플레이트(35)를 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보빈홀더(8,11)에 평행으로 압출하고, 패키지(10)를 압출한다.
보빈홀더(8, 11)는 사조 교체시에는 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보빈홀더(8, 11)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미끄럼이동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보빈홀더(11)에 착탈된 보빈(12)상에 패키지(10)가 감기고, 패키지(10)에 압접되어 있는 콘택트 로울러(7)가 위방향으로 미소거리 이동하면 센서(47)가 온되고, 그에 따라 스텝핑모터(23;제9도)가 기동되며, 보빈홀더(11)가 아래 방향으로 하강하여 센서(47)가 오프되면 스텝핑모터(23)가 정지된다.
이하, 패키지(10)의 권취증가에 따라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보빈홀더(11)의 아래방향에의 이동을 개시하면 스텝핑모터(27)를 기동하여 슬라이더(13), 캐리어(15)와 함께 보빈홀더(8)를 소정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장래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17)이 축(18) 주위에 시계방향(A 방향)으로 요동했을때 보빈홀더(8)에 장착된 보빈(9)이 콘택트 로울러(7)와 접촉하는 위치로 해둔다.
패키지(10)가 소정한 권취양에 도달하면(제2도 참조)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의 슬라이더(13)상의 보빈홀더(8)의 회전을 기동하여 보빈홀더(8)가 소정의 회전수에 도달하면 스텝핑모터(23; 제9도)를 기동하여 슬라이더(14), 캐리어(16)와 함께 보빈홀더(11)를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20)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콘택트 로울러(7)에서 이탈시키고, 보빈의 취출위치에 이동시켜 캐리어 착탈기구(33)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 사 풀기 가이드(28)를 실린더에 의해 시계방향(제1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요동시켜서 트래버스장치(6)의 트래버스가이드(6a)에서 사조(Y)를 풀어 가이드장치에 의해 패키지(10)의 끝부분 근방에서 보빈(9)의 사조 파지수단(본 실시예에서는 지관(紙管) 외주에 홈을 성형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의 위치에 사조를 규제하면서 패키지(10)상에 사조를 권취한다(제3도 참조).
다음에,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실린더(19 ; 제1도)에 의해 축(18) 주위에 화살표(A ; 시계방향)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보빈홀더(8)상의 보빈(9)이 콘택트 로울러에서 패키지(10)로 건너는 사조에 접촉하고, 보빈(9)의 사조 파지수단에 사조가 파지되며, 보빈홀더(8)가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 사이 파지수단 근방에 소량의 번치권취(로울권취)가 형성된다(제4도 참조).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과 평행하는 상태까지 요동된다.
이어서, 가이드장치(28)와 보빈홀더(8)와의 축방향의 상대이동에 의해 보빈상에 피그테일이 성형된다.
보빈홀더(8)의 축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가이드장치(28)에서 사조(Y)가 해방되고, 트래버스장치(6)의 사 가이드에 파지되어 트래버스장치(6)에 의해 사조가 트래버스된다(제5도 참조).
교체가 완료되면 슬라이더(14)에 지지된 보빈홀더(11)는 제동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정지된다.
캐리어 탈착기구의 유체압 실린더(14d)에 의해 척(14a)을 열고, 캐리어(16)와 슬라이더(14)와의 결합을 푼다. 이 상태로 캐리어(16)를 도핑위치에 남겨두고 슬라이더(14)는 스텝핑모터(23)에 의해 권취위치에 있는 다른 캐리어(15)의 곳으로 되돌아간다. 권취위치에 있어서 캐리어 착탈기구에 의해 슬라이더(14)와 캐리어(15)를 일체화 한다(제6도).
이어서, 취출위치에 있는 패키지(10)가 플레이트(35)에 의해 압출되고, 빈보빈(9)이 장착된다(제7도 참조). 또, 슬라이더(13)상의 캐리어 착탈기구에 의해 캐리어(15)와 결합되어 있던 슬라이더(13)는 캐리어(15)에서 벗겨지고, 스텝핑모터(27)에 의해 도핑위치로 하강되어 거기의 캐리어(16)에 결합된다(제7도).
다음에 캐리어 탈착기구(33)에서 캐리어(16)를 해방하여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은 축(18) 주위에 회동되고(제8도), 보빈홀더(11)를 지지한 슬라이더(13)가 스텝핑모터(27)에 의해 대기위치까지 상승하여 정지하고 보빈홀더(11)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교체시, 트래버스에서 벗겨진 사조와 보빈에 성형한 파지수단을 대응시킨다(제1도 참조).
보빈홀더(8)에 장착된 보빈(12)상에 패키지가 권취 증가되고 패키지에 압접되어 있는 콘택트 로울러(7)가 위 방향으로 미소거리 이동하면 상기 센서(47)가 온하고, 권취위치에 있는 캐리어와 걸려 있는 스텝핑모터(23)가 기동되며, 보빈홀더가 아래방향으로 하강하여 센서(47)가 오프되면 스텝핑모터(23)가 정지한다.
권취중의 보빈홀더(8)에 권취되는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대기위치의 보빈 홀더(11)가 기동되고,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기계사양(機械仕樣) 최대의 권취지름에 있어서의 교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권취지름이 작을때는 보빈홀더(11)와 콘택트 로울러(7)의 거리가 소정거리(본 실시예에서는 보빈홀더(11)의 외주와 콘택트 로울러(7)의 외주의 간격이 보빈의 외경)가 되면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A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사를 교체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이동기구로서 스텝핑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봉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따른 슬라이더의 이동이 직선상 왕복이동이기 때문에 통상의 권취기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유체압 실린더(45)에 의해 왕복이동시켜도 된다(제12도).
특히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20)을 이와같이 유체압 실린더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종래의 접압(接壓) 발생기구와 대략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장치가 대단히 간략화 된다.
또,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더 안내수단 상하에 회전가능하게 스프로킷(20a, 20b)을 지지하고, 이 스프로킷에 체인(20c)을 감아걸고 모터(27')에 의해 슬라이더(13)를 승강시켜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를 제14도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축(18) 주위에 요동가능하게 하였으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에 대하여 평행상태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 전체를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샤프트(40)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 본체에 본 발명의 슬라이더(13)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13)와 캐리어(15, 16)의 착탈기구 및 슬라이더(13)의 승강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5도의 실시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요동 가능하게 한것에 비하여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 및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을 정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의 V자 형의 위쪽이 열린 부분을 수평방향의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50)으로 연결하고,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17)에서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50)의 슬라이더(51)에 캐리어(15, 16)를 옮겨 얹고, 이어서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50)에서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20)에 캐리어(15, 16)를 옮겨 얹도록 하고 있다.
기계틀(1)에 설치된 캐리어 착탈기구(33)의 다른 실시예를 제16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기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캐리어(16)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슬라이더(14)에 따라 미끄럼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9(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캐리어(16) 벽면에는 부호(16c, 16d 및 16e, 16f)로 표시하는 도브테일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슬라이더(14)의 캐리어측 벽면을 도브테일로 하여 캐리어(16) 및 슬라이더(14)가 도브테일 흠에 걸어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14)는 슬라이드 베어링(14c)을 통하여 제1 슬라이드 수단(20)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캐리어(15, 16)가 그 하강끝까지 하강했을때 기계틀(1)에 고착된 유지부재(52)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6도와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캐리어(15, 16) 저부에 하향으로 확개한 경사부(15a, 16b 및 16a, 16b)를 형성하고, 양 경사부 사이에 핀(53)을 설치하고 있다. 또, 하단부가 기계틀(1)에 고착된 유지부재(52) 선단부는 끝이 좁아지는 경사부(52b, 52c)로 되어 있다.
캐리어(15, 16)의 경사부(15a, 15b 또는 16a, 16b)및 유지부재(52)의 경사부(52b, 52c)가 서로 걸려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부재(52)의 내부구조를 제18도와 제19(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지부재(52)의 상기 끝부분에서 캐리어(15, 16)의 핀(53)을 받아들이는 U자형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위에서 보았을 경우에 U자형 오목부(52a)에 직교하여 긴구멍(52d)이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52d) 내에는 4분 원형상을 한 훅(54)이 유지부재에 부착된 핀(55)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54) 상단부(54a)는 노즈형상으로 돌출한 걸림부로 되어 있고, 훅(54)이 핀(55)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동했을때 걸림부(54a)가 캐리어(15, 16)의 핀(53)에 걸려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유체압 실린더(56) 후단부(56a)가 유지부재(52)에 요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되어 있고, 유체압 실린더(56) 선단의 조인트(57)가 훅(54) 후단부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16도, 제17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8도, 제19(a)도에 도시한 유체압 실린더(56)를 작동시켜서 조인트(57)를 후퇴시켜 훅(54)을 핀(55) 주위에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U자 형인 오목부(52a) 부분을 열린 상태로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캐리어(16)를 하강끝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캐리어(16)의 경사부(16a, 16b)및 유지부재(52)의 경사부(52b, 52c)가 서로 걸려 결합한다.
여기서, 제18도, 제19(a)도에 도시한 유체압 실린더(56)를 작동시켜서 조인트(57)를 전진시켜서 훅(54)을 핀(55) 주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훅(54)의 걸림부(54a)를 캐리어(16)의 핀(53)에 걸리게 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16)를 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제3도의 상태가 된다.
캐리어(15, 16)와 슬라이더(13, 14)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가령 제20도 내지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할 수 있고, 그리고 또 마그넷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제20도에 있어서는 캐리어(16) 내부에 실린더실(60)을 형성하고, 실린더실(60)내에 피스톤(61)을 밀봉상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돌출한 피스톤(61)선단을 슬라이더(14)의 오목부(14e)에 걸어 결합하여 캐리어(16)와 슬라이더(14)를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2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14) 벽면에 형성한 도브테일과 캐리어(16) 벽면에 형성한 도브테일 홈 사이에 쐐기(62)를 박도록 하고 있다.
제22도에 있어서는 슬라이더(14) 하단부에 걸립훅(63)을 핀(64)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프링(65)에 의해 캐리어(16)와의 결합 위치로 가세하도록 하고 있다.
슬라이더와 캐리어를 착탈시키는 캐리어 착탈기구는 상기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더와 캐리어의 착탈이 확실하게 행해진다면 기계식, 전자식, 유체압식 등의 적절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캐리어에 보빈홀더를 돌설하였으나 슬라이더에 직접 보빈홀더를 테이퍼 끼움시키거나 척 등에 의해 직접 착탈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는 보빈홀더 자체가 본 발명의 캐리어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구동형 권취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프릭션 구동의 권취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같이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 특원평 3-182060호의 발명에 부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가 염가이고 또 권취시의 고정밀도가 달성되기 쉬운 자동교체 권취기를 제안할 수 있다.

Claims (4)

  1. 2개의 보빈홀더를 가지고, 한쪽 보빈홀더상의 보빈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여 트래버스장치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그 한쪽 보빈홀더의 보빈에 권취되는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다른 한쪽의 보빈홀더의 보빈에 사조를 순차 교체하도록 한 사조의 교체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홀더를 안내하는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 및 상기 보빈홀더를 안내하는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홀더는 캐리어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며, 그 캐리어가 상기 제1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의 슬라이더에 옮겨 얹어질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교체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은 그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과 평행하는 위치와 그 평행위치에서 떨어진 위치를 취하도록 일단이 요동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교체 권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그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평행하여 접근하는 위치와 그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에 평행함과 동시에 그 근접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서 평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교체 권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안내수단과 제2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의 개단부에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이 배치되고, 그 제3 슬라이더 안내수단은 상기 캐리어를 옮겨 얹을 수 있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교체 권취기.
KR1019930006838A 1992-04-23 1993-04-23 사조의 교체 권취기 KR0158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993992 1992-04-23
JP92-129939 1992-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523A KR930021523A (ko) 1993-11-22
KR0158712B1 true KR0158712B1 (ko) 1998-12-01

Family

ID=1502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838A KR0158712B1 (ko) 1992-04-23 1993-04-23 사조의 교체 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31352A (ko)
EP (1) EP0567091B1 (ko)
KR (1) KR0158712B1 (ko)
DE (1) DE69300507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94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ygb7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180091598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4928B2 (ja) * 1993-01-14 2001-11-05 帝人製機株式会社 糸条の巻取機
JP2737663B2 (ja) * 1994-09-01 1998-04-08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6622956B2 (en) * 2000-11-08 2003-09-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Take-up winder
DE10209951A1 (de) * 2002-03-06 2003-09-25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4945C (de) * 1944-12-07 1953-04-27 Phrix Werke Ag Aufwickelvorrichtung fuer Kunstfaeden
BE635260A (ko) * 1953-11-10
CH513763A (de) * 1969-10-03 1971-10-15 Rieter Ag Maschf Verfahren zum automatischen Wechseln von Hülsen und Aufwind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IL36738A0 (en) * 1970-05-01 1971-06-23 Logan J Apparatus and method for doffing wound packages and donning empty cores
US3741490A (en) * 1971-11-16 1973-06-26 Logan J Yarn package doffing apparatus and method
US3940077A (en) * 1973-08-06 1976-02-24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yarn doffing
CH572435A5 (ko) * 1973-12-22 1976-02-13 Barmag Barmer Maschf
JPS5130173A (en) * 1974-09-04 1976-03-15 Hitachi Shipbuilding Eng Co Haikibutsunoshorihoho
JPS5842106B2 (ja) * 1975-12-02 1983-09-17 帝人株式会社 タマアゲキ
CH624910A5 (ko) * 1977-09-23 1981-08-31 Rieter Ag Maschf
FR2446792A1 (fr) * 1979-01-18 1980-08-14 Alsacienne Constr Meca Dispositif de changement automatique de bobine sur machine textile equipee d'un systeme de bobinage
JPS5725466A (en) * 1980-07-22 1982-02-10 Santo Tekkosho Kk Anti-corrosion method of steamer can
US4401845A (en) * 1981-08-26 1983-08-30 Pennwalt Corporation Low smoke and flame spread cable construction
JPS5954456U (ja) * 1982-10-01 1984-04-10 村田機械株式会社 紙管切出し装置におけるマガジン送り装置
JPS5992873A (ja) * 1982-11-20 1984-05-29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械からのパツケ−ジ玉揚げ方法および装置
DE3308454A1 (de) * 1983-03-10 1984-09-20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Verfahren zum anfordern einer kreuzspulenwechselvorrichtung
US4591105A (en) * 1984-04-06 1986-05-27 Belmont Textile Machiner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offing and donning take-up packages on a winder
US4805846A (en) * 1986-04-29 1989-02-21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inder
DE3624904A1 (de) * 1986-07-23 1988-01-28 Schlafhorst & Co W Automatische kreuzspulenwickelmaschine
JPH0712885B2 (ja) * 1986-08-22 1995-02-15 マシ−ネンフアブリク リ−タ−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巻取り方法、装置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製品
DE3731748A1 (de) * 1986-10-04 1989-04-06 Schmidt Erwepa Maschf Vorrichtung mit zwei fuehrungsrahmen fuer die schiebelager der wickelwellen fuer aufzuwickelnde materialbahnen
DE3633897A1 (de) * 1986-10-04 1988-04-14 Schmidt Erwepa Maschf Wickelvorrichtung mit einem oder zwei beidseitig angeordneten fuehrungsrahmen fuer die schiebelager der wickelwellen fuer aufzuwickelnde materialbahnen
US4865791A (en) * 1988-02-03 1989-09-12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Method of forming a surface protector with an expansible pocket
JPH0620981B2 (ja) * 1988-05-06 1994-03-23 村田機械株式会社 繊維機械における運転制御装置
ES2050766T3 (es) * 1988-12-22 1994-06-01 Barmag Barmer Maschf Maquina bobinadora.
DE3913249A1 (de) * 1989-04-22 1990-10-25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baumes in einer schaer- bzw. zettelvorrichtung und schaer- bzw. zettelvorrichtung
DE59008918D1 (de) * 1989-07-24 1995-05-24 Rieter Ag Maschf Fadenwechselsystem für Spulmaschinen.
US5246177A (en) * 1990-08-08 1993-09-21 Teijin Seiki Co., Ltd. Yarn wind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bobbin changing type
JP2875415B2 (ja) * 1990-08-08 1999-03-31 帝人製機株式会社 糸条の切替巻取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94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ygb7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180091598A (ko) 2017-02-07 2018-08-1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7091B1 (en) 1995-09-20
DE69300507D1 (de) 1995-10-26
DE69300507T2 (de) 1996-02-22
EP0567091A1 (en) 1993-10-27
US5431352A (en) 1995-07-11
KR930021523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39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roving bobbins in a spinning frame
US4023743A (en) Textile machine, especially spinning machine
KR0158712B1 (ko) 사조의 교체 권취기
KR100239741B1 (ko) 사조의 권취기
EP0927695A2 (en) Elastic yarn take-up winder and package
US5246177A (en) Yarn wind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bobbin changing type
EP01246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roving bobbins in a spinning frame
JP2875415B2 (ja) 糸条の切替巻取機
JPH069154A (ja) 糸条の切替巻取機
JPH0578012A (ja) 糸の巻取装置
JPH0733333A (ja) 糸条の切替巻取機
CN115369530B (zh) 一种将接头纱绕到纱管上的装置
US6283400B1 (en) Cheese-producing textile machine
CN115404578B (zh) 一种环锭纺细纱接头方法与装置
CN217231131U (zh) 一种钩线装置
JPH077336Y2 (ja) 精紡機のロービングガイドへの粗糸掛け装置
JPH05162925A (ja) 糸条の切替巻取機
JPS644769Y2 (ko)
KR800001363B1 (ko) 사조의 절환 권취방법
JP2718236B2 (ja) 自動糸継ぎ機による巻取装置のクレードルアーム制御方法
CA10505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bobbins and winding yarn continously
JP2604801Y2 (ja) 着脱装置
JPS60181330A (ja) 粗紡機の管替装置
CN116288834A (zh) 一种应用于倍捻、假捻、复捻机的全自动上筒、落筒装置
JP2543939Y2 (ja) 精紡機のロービング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