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741B1 - 사조의 권취기 - Google Patents

사조의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741B1
KR100239741B1 KR1019940000072A KR19940000072A KR100239741B1 KR 100239741 B1 KR100239741 B1 KR 100239741B1 KR 1019940000072 A KR1019940000072 A KR 1019940000072A KR 19940000072 A KR19940000072 A KR 19940000072A KR 100239741 B1 KR100239741 B1 KR 10023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hread
bobbin holder
contact roller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307A (ko
Inventor
다카미 스기오카
도시히로 유다테
유지 세이케
Original Assignee
곤도 다카오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도 다카오,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곤도 다카오
Publication of KR94001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권취중의 보빈호울더에 권취되는 패키지의 굵기에 최적한 이동속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작성이 양호한 다양한 사조의 브랜드에 대응할 수 있는 권취기를 제공한다.
보빈호울더(8)에 장착된 보빈(9) 또는 그위에 감겨진 사층에 콘택트 로울러(7)를 압접하고, 트래버스장치(6)에 의해 사조(Y)를 트래버스하면서 사조를 보빈상에 감아올리고, 감아올린 사조의 굵기에 의한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을 센서(16)에 의해 검출하고,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보빈호울더를 콘택트 로울러로 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구동수단을 가지는 사조의 권취기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구동수단이며, 권취수단은 구동수단의 속도의 크기를 변경하는 변속수단과 구동수단의 속도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증속하도록 한 제어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사조의 권취기
제1도는 본 발명을 채용한 권취기의 1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의 플로우차트의 1실시예.
제3(a)도는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타임 테이블.
제3(b), (c) 및 (d)도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타임 테이블.
제4도는 본 발명을 채용한 권취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채용한 권취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사조를 보빈호울더에 장착한 보빈상에 권취하도록한 사조의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사조 권취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2-276771호 공보에 기재된 권취기와 같이, 사조의 굵기를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으로서 검출하여, 권취중의 보빈호울더가 콘택트 로울러로부터 이탈하는 이동속도를 항상 일정속도로 고정적으로 설정하고, 또는 감기 직경에 따라 프로그래밍된 일정속도로 이동시키고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보빈호울더의 이동속도가 소정속도로 고정되고, 또한 이동속도가 사조의 패키지 직경에 의해 변화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기는 하나, 사조를 권취할때 패키지가 굵어지는 속도는, 사조의 크기, 패키지의 스트로우크, 권취속도에 따라 다르며, 이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모든 조건에 있어서 대응할 수 있는 최대의 속도로 미리 설정하거나, 그때마다 최적치로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콥웨빙 없이 사조의 패키지를 깨끗하게 감아올리기 위해서는 보빈호울더를 사조의 굵기에 따라, 또한 될 수 있는 한 천천히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호울더의 이동속도를 모든 조건에 있어서 대응할 수 있는 최대속도로 설정하면, 보빈호울더가 빠른 속도로 이동할 필요가 없는 콥웨빙되기 쉬운가는 실의 권취시에도 필요이상으로 큰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또 그때마다 권춰사조에 따라 최적조건으로 설정하기에는 조작이 번잡하게 되고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사조의 굵기를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으로 검출하여, 권취중의 보빈호울더를 이동되도록 한 권취기에 있어서의 권취중의 보빈호울더에 권취되는 패키지의 굵기에 최적한 이동속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조작성이 양호한, 다양한 사조의 브랜드에 대응할 수 있는 권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빈호울더에 장착된 보빈 또는 그 위에 권취한 사층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고, 트래버스장치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사조를 감아올리고, 감아올린 사조의 굵기에 의한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이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보빈호울더를 이 콘택트 로울러로 부터 퇴피하도록 한 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시한(時限) 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속도를 변경하는 변속수단과, 상기 시한수단이 소정시간 경과마다 상기 구동수단의 속도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증속하도록 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사조의 권취기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정면도인 제1도 및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어수단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제2도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체틀(1)이 한쌍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에 얹혀져 있고, 기체틀(1)로부터 서포터(3)가 돌출설치되고, 서포터(3)에 지지점(4)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아암(5)이 지지되며, 아암(5)에는 콘택트 로울러(7)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기체틀(1)에는 콘택트 로울러(7)에 대향하여 트래버스장치(6)가 돌출설치되어, 사조(Y)를 제1도의 지면에 직교하여 왕복이동시킨다. 기체틀(1)에 슬라이더(11)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슬라이더(11)에 보빈호울더(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보빈호울더(8)는 전동기(도시안함)로 구동되고, 제1도에서는 보빈호울더(8)에 지관으로 된 보빈(9)이 장착되어, 보빈(9)에 패키지(10)를 권취해내고 있다.
사조 권취중, 콘택트 로울러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이 되도록 콘트로울러(도시 안함)에 의해 주지의 방법에 따라 보빈호울더(8)를 구동하는 전동기(도시안함)의 회전이 제어된다.
또한 실린더(19)의 한 끝을 핀(17)에 의해 아암(5)에 부착하고, 실린더(19)의 다른 끝을 핀(18)에 의해 서포터(3)에 부착하고 있고, 실린더(19)에 소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이 아암(5)과 콘택트 로울러(7)의 중량을 지지하는 동시에 콘택트 로울러(7)와 보빈호울더(8)사이에 소정의 압접력을 부여한다.
센서(16)를 아암(5)근방에 설치하고, 사조 권취중에 패키지의 굵기에 의해 콘택트 로울러(7)가 윗방향으로 미소량 이동하면, 이동량을 리밋스위치 형식의 센서(16)로 검출하고, 권취중의 보빈호울더(8)를 지지한 슬라이더(11)를 소정량 아래방향(보빈호울더가 콘택트 로울러로 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슬라이더(11)에 너트(14)를 고정부착하고, 너트(14)는 브래킷(12)에 고정부착시킨 볼트(13)와 걸어맞춤하여, 스테핑 모터(15)에 의해 제1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호울더(8)에 장착된 보빈(9)상에 패키지(10)가 감겨지고, 이 패키지(10)에 압접되어 있는 콘택트 로울러(7)가 윗방향으로 미소거리 이동하고, 센서(16)가 온(ON)하면 스테핑 모터(15)가 기동되어 보빈호울더(8)가 아래방향으로 하강하고, 센서(16)가 오프(OFF)되면 스테핑 모터(15)가 정지한다. 이하, 패키지(10)가 소정의 권취량에 달하기 까지 패키지(10)의 굵기에 따라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패키지(10)가 소정의 권취량에 달하면, 스테핑 모터(15)를 기동시켜 슬라이더(11)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보빈호울더(8)를 콘택트 로울러(7)로부터 이탈시켜 보빈의 취출위치로 이동시켜 고정한다.
이어서, 패키지를 권취해낸 보빈과 걸어맞춤하는 플레이트(20)를 실린더(도시안함)에 의해 보빈호울더(8)에 평행으로 압출하여, 패키지(10)를 압출한다. 즉, 제동장치에 의해 패키지(10)가 정지하면, 패키지(10)가 플레이트(20)에 의해 보빈호울더(8)로 부터 압출된다.
그후, 빈 보빈(9)이 보빈호울더(8)에 장착된다. 이하 새 패키지의 권취를 위해 동일한 동작이 반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어수단 동작을 제2도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에 의한 동작부분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며, 다른 동작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제3(a)도는 그 타임 테이블을 나타낸다.
제2도에 있어서 사조의 권취가 개시되면, 프로그램이 스타트(스텝P0)되어 스텝P1으로 진행한다. 스텝P1에 있어서 센서(16)가 오프이면, 스텝 P12로부터 스텝P13 으로 진행하여 재차 스텝P1으로 복귀한다.
한편, 스텝P1에 있어서 센서(16)가 온이면, 스텝P2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온으로 한다. 다음에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a이하이면, 스테핑 모터(15)를 기동시켜 보빈호울더(8)를 아래방향(콘택트 로울러(7)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A로 이동시켜서 재차 스텝P1으로 복귀한다.
복귀한 스텝P1에 있어서, 센서(16)가 온 그대로이면 스텝P2로 진행하고, 다시 스텝P3으로 진행한다. 스텝P3에 있어서,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a이상이면 스텝P5로 진행하고, 스텝P5에 있어서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b이하이면, 스테핑 모터(15)를 소정의 속도 B로 이동시켜서 재차 스텝P1으로 복귀한다.
만약 스텝P1에서 센서(16)가 오프이면, 스텝P12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오프로 해서 스텝P13에서 스테핑 모터(15)를 정지시키고 권취를 계속하여 센서(16)가 재차 온으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또한 상술한 스텝P5에서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b를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P7로 진행한다. 스텝P7에서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c이하이면, 스텝 P8로 진행하여 스테핑 모터(15)를 소정의 속도 C로 이동시켜 스텝P1으로 진행한다. 만약, 스텝P7에서 경과시간 T가 소정시간 c를 초과하고 있으면, 즉 권취기의 최고사양(仕樣)을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P9로 진행하여 권취기를 정지시키고, 스텝P10에서 타이머를 오프로 하여 스텝P11로 진행한다.
상술한 설정속도 A,B,C는 스테핑 모터(15)의 회전속도, 즉 보빈호울더가 콘택트 로울러로부터 이탈되는 속도를 나타내며, A<B<C의 관계로 설정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 b는 시간 a를, 시간 c는 시간 a,b를 각각 포함하는 타이머의 작동(ON)누적시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 b는 시간 a를, 시간 c는 시간 a,b를 각각 포함하지 않는 독립 타이머작동 누적시간으로 하여도 무방하다(제 3(b)도참조).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속도 A,B,C의 3수준으로 하였으나, 수준의 수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속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였으나, 연속적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제3(c)도참조).
또,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보빈호울더를 가지는 수동 권취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보빈호울더(8,8')를 지지한 터릿테이블(21)을 가지는 자동전환 권취기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콘택트 로울러(7)의 이동량을 검출하고, 권취중의 보빈호울더(8)가 콘택트 로울러(7)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터릿데이블(21)을 회전시키고, 이때에 터릿테이블(21)의 회전속도를 본 발명의 플로우에 따라 변경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센서(16)의 온, 오프 신호와 경과시간에 의해 이동속도를 변경시켰다.
본 발명의 권취기는 2개의 보빈호울더를 가지며, 한쪽의 보빈호울더상의 보빈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여 트래버스 장치에 의헤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이 한쪽의 보빈호울더의 보빈에 권취되는 사조가 소정량에 달하면 또 한쪽의 보빈호울더의 보빈에 사조를 순차적으로 전환하도록 한 사조의 전환권취기이며, 상기 보빈호울더를 권취위치로부터 도핑위치로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 및 상기 보빈호울더를 상기 도핑위치로 부터 상기 권취위치 근방의 대기위치로 안내하는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및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에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호울더는 캐리어에 수용되어 있고, 이 캐리어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의 슬라이더에 이동적재될 수 있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실시예를 제5도에 도시하고,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기체틀(1)의 프레임(3)아래쪽에 대략 삼각형상을 한 개구(1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1a)의 수직에 가까운 우측변에 접근하여 기체틀(1) 안쪽에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3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기체틀(1)은 그 하부의 개구(1a)좌측에 보빈호울더(8,8')의 축방향으로 뻗은축(38)을 지지하고 있으며,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37)을 축(8)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실린더(39)에 연결되어 있고,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37)을 실린더(39)에 의해 축(38)주위로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3)가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37)에 따라 상하(제5도의 화살표 B방향)로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로우며, 한편 슬라이더(34)는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30)에 따라 상하(제5도의 화살표 C방향)로 미끄럼움직임이 가능하다.
캐리어(35,36)가 보빈호울더(8,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다시 보빈호울더(8,8')에는 캐리어(35,36)에 일체적으로 고정부착된 구동모터(도시안함)가 연결되이 있다. 슬라이더(34)와 연결된 캐리어(35,36)는 슬라이더(34)의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30)에 따르는 이동에 의해 콘택트 로울러(7)에 보빈호울더(8,8')상의 보빈이 접촉하는 권취위치로부터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30)에 따라 하강하여 도핑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또, 슬라이더(33)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캐리어(35,36)는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37)의 축(38)주위로의 요동 및 슬라이더(13)의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37)에 따르는 이동에 의해 상기한 도핑위치로 부터 대기위치로, 그리고 다시 대기위치로 부터 권취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중의 보빈호울더에 권취되는 패키지의 굵기에 최적한 이동속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고 다양한 사조의 브랜드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권취사조의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콥웨빙되기 쉬운 가는 실에 있어서도 콥웨빙없이 깨끗하게 감아올릴 수 있다.

Claims (4)

  1. (2회정정)보빈호울더에 장착된 보빈 또는 그위에 감겨진 사층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고, 트래버스장치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사조를 상기 보빈상에 감아올리고, 감아올린 사조의 굵기에 의한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이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보빈호울더를 이 콘택트 로울러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 로울러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시한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속도크기를 변경하는 변속수단과, 상기 시한수단이 소정시간 경과마다 상기 구동수단의 속도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증속되도록 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회전테이블에 2개의 보빈호울더를 회전 가능하게 돌출설치하고, 권취중의 보빈호울더를 이 회전테이블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 콘택트 로울러로 부터 퇴피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권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2개의 보빈호울더를 회전가능하게 기체틀에 돌출설치하고, 이 2개의 보빈호울더를 사조의 굵기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각각 개별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권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기는 2개의 보빈호울더를 가지며, 한쪽의 보빈호울더상의 보빈에 콘택트 로울러를 압접하고, 트래버스장치에 의해 사조를 트래버스하면서, 이 한쪽의 보빈호울더의 보빈에 권취되는 사조가 소정량에 달하면, 또 한쪽의 보빈호울더의 보빈에 사조를 순차적으로 전환하도록 한 사조의 전환 권취기이며, 상기 보빈호울더를 권취위치로 부터 도핑위치로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 안내수단 및 상기 보빈호울더를 상기 도핑위치로 부터 상기 권취위치 근방의 대기 위치로 안내하는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에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호울더는 캐리어에 수용되어 있고, 이 캐리어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더 안내수단의 슬라이더에 이동적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환권취기.
KR1019940000072A 1993-01-14 1994-01-04 사조의 권취기 KR100239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119 1993-01-14
JP2211993 1993-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307A KR940018307A (ko) 1994-08-16
KR100239741B1 true KR100239741B1 (ko) 2000-01-15

Family

ID=1207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072A KR100239741B1 (ko) 1993-01-14 1994-01-04 사조의 권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8286A (ko)
EP (1) EP0606900B1 (ko)
JP (1) JP3224928B2 (ko)
KR (1) KR100239741B1 (ko)
CN (1) CN1038737C (ko)
DE (1) DE69402333T2 (ko)
TW (1) TW34692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3491A1 (de) * 1994-07-05 1996-01-11 Neumag Gmbh Verfahren zum Steuern des Drehantriebs einer Aufspulmaschine
WO1997007045A1 (de) * 1995-08-16 1997-02-27 Barmag Ag Verfahren zum aufspulen eines fadens zu einer spule
DE19538480C2 (de) * 1995-10-16 2001-10-25 Sahm Georg Fa Spulmaschine und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kontinuierlich zulaufenden Fadens auf eine Spule
TW483866B (en) * 1997-03-25 2002-04-21 Barmag Barmer Maschf Method of winding an advancing yarn and takeup machine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DE19802509A1 (de) * 1998-01-23 1999-07-29 Rieter Ag Maschf Aufwindevorrichtung für Endlosfäden
EP0933322A3 (en) * 1998-01-30 2000-05-1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ilament yarn take-up winder
JP3533165B2 (ja) * 2000-09-25 2004-05-3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糸シート巻取機
DE20101126U1 (de) * 2001-01-23 2001-04-19 Dietze & Schell Vorrichtung an einem Direkt-Rovingwickler zum berührungslosen Erfassen des Istdurchmessers der Rovingspule und Direkt-Rovingwickl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EP1256540A3 (en) * 2001-05-11 2003-07-1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WO2005082759A1 (de) * 2004-02-27 2005-09-09 Saur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mehrerer fäden
JP4575429B2 (ja) * 2004-03-03 2010-11-04 ザウラ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複数の糸を巻取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DE102005044487A1 (de) * 2005-09-16 2007-03-22 Maschinenfabrik Rieter Ag Aufwindevorrichtung für Endlosfäden
US7690179B2 (en) * 2007-06-22 2010-04-06 Ebert Composit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location of a fiber doff inner-diameter-tow at the point of payout within a constant inertial reference frame
DE102012107015A1 (de) * 2011-08-03 2013-02-0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ufspulvorrichtung
CN103818772B (zh) * 2014-03-07 2015-05-27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盘头压紧装置
CN107381241B (zh) * 2017-06-06 2019-02-22 广东天机工业智能系统有限公司 贴膜变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762A (en) * 1988-12-22 1991-07-09 Barmag A.G.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587A (en) * 1978-06-01 1979-09-04 Industrie-Werke Karlsruhe Augsburg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aratus for transferring yarn on a nearly full package to an empty bobbin
DE2907499A1 (de) * 1979-02-26 1980-09-04 Barmag Barmer Maschf Aufwickeleinheit
EP0160954B1 (de) * 1984-05-10 1987-03-11 B a r m a g AG Aufspulmaschine
US4989798A (en) * 1988-11-07 1991-02-05 Appalachian Electronic Instruments, Inc. High speed precision yarn winding system
US4993650A (en) * 1988-11-07 1991-02-19 Appalachian Electronic Instruments, Inc. High speed precision yarn winding system
DE3927142C2 (de) * 1989-08-17 1998-02-12 Schlafhorst & Co W Einrichtung zum Steuern des Kontaktdruckes und/oder der Relativbewegung zwischen einer Spulwalze und einer Spule
US5100072A (en) * 1990-06-06 1992-03-31 Barmag Ag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5246177A (en) * 1990-08-08 1993-09-21 Teijin Seiki Co., Ltd. Yarn wind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bobbin changing type
DE69300507T2 (de) * 1992-04-23 1996-02-22 Teijin Seiki Co Ltd Garnwickelvorrichtung mit automatischem Spulenwech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762A (en) * 1988-12-22 1991-07-09 Barmag A.G.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2333D1 (de) 1997-05-07
CN1038737C (zh) 1998-06-17
DE69402333T2 (de) 1997-07-17
EP0606900B1 (en) 1997-04-02
TW346921U (en) 1998-12-01
EP0606900A3 (en) 1995-11-02
JP3224928B2 (ja) 2001-11-05
EP0606900A2 (en) 1994-07-20
CN1091164A (zh) 1994-08-24
KR940018307A (ko) 1994-08-16
US5558286A (en) 1996-09-24
JPH06263325A (ja) 199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741B1 (ko) 사조의 권취기
EP0673872B1 (en) Turret type yarn winder
KR900009414A (ko) 권취기
JPH0355385B2 (ko)
US508219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hanging bobbins in automatic winders
US5219125A (en) Yarn transfer arrangement
JPH0578012A (ja) 糸の巻取装置
US4417700A (en) Apparatus for winding a plurality of yarns and a method for changing bobbins in the apparatus
JP4024377B2 (ja) 糸条の切替え巻取機および巻取方法
JPS6039625B2 (ja) タ−レツト型巻取機の糸切替方法
JP3680589B2 (ja) 合成繊維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H0717313B2 (ja) 巻き取り機
JP2008522926A (ja) 巻取機
US4322040A (en) Manual starting device for winding yarn onto a bobbin
JPH05162925A (ja) 糸条の切替巻取機
JPH07256338A (ja) 線条体用リール巻取機のトラバース制御装置
JPH08290869A (ja) ガラス繊維巻取り装置
EP0963936B1 (en) Yarn winding method for take-up winder and take-up winder
JP2511680B2 (ja) 糸条の巻取機
JPH07207517A (ja) 紡糸巻取機
JPS612677A (ja) スピンドルドライブ式の自動巻取機における糸条切替方法
JPH09301639A (ja) 糸条の切替巻取機における切替方法および装置
WO1999048787A1 (fr) Bobineur a changement ameliore des bobines de fil et procede de bobinage
JPH07117928A (ja) 糸条の切替巻取方法および糸条の切替巻取機
JPH11322191A (ja) 糸条の切替え巻取機および切替え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