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516B1 -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516B1
KR0158516B1 KR1019950001792A KR19950001792A KR0158516B1 KR 0158516 B1 KR0158516 B1 KR 0158516B1 KR 1019950001792 A KR1019950001792 A KR 1019950001792A KR 19950001792 A KR19950001792 A KR 19950001792A KR 0158516 B1 KR0158516 B1 KR 015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inting
read
main body
imag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27A (ko
Inventor
히로시 나까즈까
요우스께 나가야마
마사끼 하야시
히데아끼 야마베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5002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part of the apparatus being used in common for reading and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간단한 수동조작으로 임의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판독수단(24)과 화상인쇄수단(43)이 장치본체(11)내에 배치되어 있고, 장치본체(11)를 이동시키면서 원고(2)상의 화상이 판독되면 그 판독한 화상은 화상기억수단에 격납되며, 이 화상기억수단에 격납된 화상은 판독되어 테이프카트리지(31)내의 피인쇄매체(32)에 인쇄되고, 이 인쇄시 피인쇄매체(32)의 폭과 화상의 최대폭의 양쪽에 의거하여 화상기억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은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된다.

Description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인쇄장치 및 테이프카트리지의 내부 구성도.
제3도는 테이프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수납부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테이프카트리지를 카트리지수납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테이프카트리지내의 테이크폭과 각 스위치(SW1~SW3)의 온·오프동작과의 관계 등을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인쇄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화상판독시에 있어서 인쇄장치의 조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화상데이터메모리에 기억되는 화상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챠트.
제10a도 및 제10b도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된 화상을 실테이프(seal tape)의 폭에 맞추어 확대·축소하여 인쇄한 경우의 인쇄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의 외관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인쇄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장치본체 24 : 1차원 이미지센서(화상판독수단)
29 : 커터 32 : 실테이프(피인쇄체)
32a : 인쇄재 32b : 접착층
32c : 박리재 42 : 플라텐롤러
43 : 서멀헤드(화상인쇄수단) 101 : 제어부(제1검출수단)
105 : 테이프폭검출부(제2검출수단) 107 : 화상데이터메모리(화상기억수단)
113 : 확대·축소부(화상변경수단)
본 발명은 각종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고, 이 판독한 화상을 피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사을 장치본체의 이동조작에 의해 판독하고, 이 판독한 화상을 그 장치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장치 본체외에 준비되어 있는 피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장치본체의 이동조작에 의해 판독한 화상을 다시 장치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장치본체 외에 준비되어 있는 피인쇄매체의 원하는 위치에 인쇄하는데는 상당한 기술을 요하는 것이었다.
또 키조작에 의해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레이블용 테이프에 인쇄하는 레이블인쇄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레이블인쇄장치내의 레이블용 테이프를 사용하고, 장치본체의 이동조작에 의해 판독한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장치본체의 이동조작에 의해 판독한 화상은 그 장치본체와는 별체로 구성된 레이블인쇄장치에 데이터전송용의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해야만 했었다. 이 때문에 화상의 전송조작이 번잡하고, 또 테이프 전송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임의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화상을 피인쇄매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인쇄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임의의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간단한 조작으로 판독하고, 그 판독한 화상을 피인쇄매체에 인쇄하여 실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관한 인쇄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에 설치된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화상인쇄수단과, 상기 장치본체내에 설치된 피인쇄매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판독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은 상기 피인쇄매체상에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관한 인쇄장치에 의하면 장치본체의 이동에 따라 판독한 화상을 판독 간단한 조작으로 장치본체내에 설치된 피인쇄매체에 확실하고 신속하게 인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한 인쇄장치는 이동가능한 장치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장치본체내에 설치되어 있고 인쇄면을 갖는 인쇄재, 인쇄후에 박리된는 박리재 및 이들 인쇄재와 박리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구비한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와, 이 장치본체에 설치된 화상인쇄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판독수단을 상기 장치본체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은 상기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를 상기 장치본체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중인 상기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에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관점에 관한 인쇄장치에 의하면 임의의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간단한 조작으로 판독하고, 이 판독한 화상을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에 인쇄하고, 물품 등의 표면에 부착되는 실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성할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를 도면에 따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는 전체가 달팽이 형의 장치본체(11)를 갖고, 이 장치본체(11)의 측면에는 각종 스위치(13)가 배치되어 있다.
장치본체(11)의 하부전단에는 화상판독용 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1)에 인접하여 차륜(22)과, 인코더(23), 1차원이미지센서(24), LED어레이(2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차륜(22)은 장치본체(11)의 양측하부에 하단으로 조금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차륜(22)은 장치본체(11)를 이동시키면서 화상을 판독할 때 그 장치본체(11)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장치본체(11)의 이동에 따라 마찰저항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코더(23)의 외주에는 다수의 슬릿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차륜(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을 사이에두고 배치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된다. 이 수광소자는 차륜(22)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의 슬릿이 통과할 때마다 수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고,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ED어레이(25)는 개구(21)내에서 판독대상인 원고(2)의 화상면을 조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원이미지센서(24)은 예를 들면 판독폭 24㎜, 해상도 8dots/㎜의 라인CC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LED어레이(25)에 의해 조명된 원고(2)상의 화상을 결상렌즈(3) 통해서 1차원이미지센서(24)에 판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륜(26)은 장치본체(11)의 하부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차륜(26)은 차륜(22)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또 장치본체(11)내에는 그 내부의 각 회로에 동작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7), 다른 폭의 테이프카트리지(31)가 부착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장착부(41)(제3도), 테이프카트리지(31)에 장착된 실테이프(32) 및 잉크리본(33)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28), 실테이프(32)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29)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장치본체(11)의 전체는 달팽이형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의 하측 위치에는 중량이 큰 전자부품인 배터리(27) 등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심(重心)이 낮고, 장치본체(11)의 수동조작시에 안정한 이동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11)내의 카트리지장착부(41)는 대략 직방체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11)의 측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51)는 이 카트리지장착부(41)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제4도 참조). 또 카트리지장착부(41)의 내부에는 플라텐롤러(42)와 서멀헤드(42)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스풀축(45A,45B)과 리본당겨감기축(46)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장착부(41)의 3개 코너부분에는 설치대(44A~44C)가 배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장착부(41)의 실테이프(32) 반송방향 벽부에는 실테이프 반출창(4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설치대(44A~44C) 중 설치대(44A)에는 테이프카트리지(31)의 장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SW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장착부(41)의 저면상에는 장착된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방향 치수, 즉 그 테이프카트리지(31)내에 수납된 테이프의 폭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SW2,SW3)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텐롤러(42)는 그 상단이 브래킷(48)에 지지되어 있고, 그 하단은 카트리지장착부(41)의 저면에 수직인 축회전으로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텐롤러(42)의 하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기구부를 통해서, 구동부(28)에 연결되어 있고, 플라텐롤러(42)는 인쇄시에 그 구동부(28)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멀헤드(43)는 카트리지장착부(41)의 저면에 플라텐롤러(42)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서멀헤드(42)는 덮개(51)를 카트리지장착부(41)에 덮었을 때, 도시하지 않는 연결기구를 통해서 플라텐롤러(42)의 외주면에 접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서멀헤드(43)는 예를 들면 8비트/㎜ 정도로 정렬된 다수의 발열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발열소자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발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풀축(45A,45B)은 테이프카트리지(31)에 배치된 잉크리본 공급스풀(37) 및 실테이프 공급스풀(34)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리본당겨감기축(46)은 잉크리본 당겨감기스풀(35)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리본당겨감기축(46)은 도시하지 않은 기구부를 통해 구동부(28)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설치대(44A~44C)는 각각 테이프카트리지(31)가 카트리지장착부(41)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그 장착된 테이프카트리지(31)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맞춤부(38)와 걸어맞추어 그 장착위치를 규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SW1)는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테이프카트리지(31)가 장착되었을 때 온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SW2 및 SW3)는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되는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에 따라 온·오프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카트리지(31)는 플라텐롤러(42) 및 서멀헤드(42)에 대응한 위치에 노치(notch)(36)가 형성된 케이스(39)와, 이 케이스(39)내에 배치된 실테이프 공급스풀(34), 잉크리본 공급스풀(37), 잉크리본 당겨감기스풀(35)을 구비하고 있다.
실테이프(32)는 제10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층(32b)을 사이에 두고 수지제의 인쇄재로서의 테이프기재(32a)와 박리재(32c)를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실테이프(32)는 인쇄가 실시되는 테이프기재(32a), 인쇄후에 박리되는 박리재(32c),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층(32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기재(32a)의 표면에 인쇄가 실시된 후는 박리재(32c)를 접착층(32b)을 통해서 테이프기재(32a)로부터 박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잉크리본(33)은 잉크리본기재에 열용융성 또는 열승화성의 잉크층을 형성시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39)의 양측부에는 각 설치부(44A~44C)와 접하여 카트리지장착부(41)내에 있어서의 케이스(39) 자체의 위치결정을 하기 위해 위치맞춤부(38)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테이프카트리지(31)는 4종류가 미리 복수개 준비되어 있다. 즉, 9㎜ 폭의 실테이프(32)를 수납하는 테이프카트리지(31), 12㎜폭의 실테이프(32)가 수납하는 테이프카트리지(31), 18㎜폭의 실테이프(32)를 수납하는 테이프카트리지(31), 24㎜ 폭의 실테이프(32)를 수납하는 테이프카트리지(31)가 준비되어 있다.
이 테이프카트리지(31)내에 수납되어 있는 실테이프(32) 및 잉크리본(33)은 동일축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 즉 높이방향의 치수는 내부에 수납된 실테이프(32) 및 잉크리본(33)의 폭에 따른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납되어 있는 실테이프(32)의 폭에 따라 테이프카트리지(31) 자체에 두께도 달라진다. 예를 들면 실테이프(32) 및 잉크리본(33)의 폭이 9㎜인 경우는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는 13㎜, 실테이프(32) 및 잉크리본(33)의 폭이 24㎜인 경우는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는 28㎜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카트리지(31)를 카트리지장착부(41)에 장착하고, 덮개(51)를 덮은 상태에서는 테이프카트리지(31)의 각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맞춤부(38)가 스프링(53)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그 위치맞춤부(38)에 의해 스위치(SW1)가 온동작하고, 동시에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SW2,SW3)가 온·오프동작한다.
테이프카트리지(31)의 장착 유무의 검출과 장착된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 즉 테이프카트리지(31)에 수납된 실테이프(32)의 폭 검출은 이들 스위치(SW1~SW3)의 온·오프 동작상태의 검출에 의해 실행된다. 제5도는 각 스위치(SW1~SW3)의 온·오프 동작상태와 테이프카트리지(31)의 장착유무 및 장착된 테이프카트리지(31)의 두께, 즉 실테이프(32)의 폭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인쇄장치(1)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1), 키입력부(103), 테이프폭검출부(105), 화상데이터메모리(107), 인쇄제어부(109), 서멀헤드(43), 구동부(28), 배터리(27), 인쇄전압발생부(111), 확대·축소부(113),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 인코더(23), 1차원이미지센서(24), LED어레이(2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1)는 CPU(101A)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01B) 및 그 주변회로들로 구성되어 있고, 인쇄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키입력부(103)는 장치본체(11)에 배치된 복수의 키(1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온·오프키(13a), 화상판독키(13b), 인쇄키(13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폭검출부(105)는 전술한 각 스위치(SW1~SW3)의 온·오프신호를 받아들이고, 제5도에 도시하는 기준에 따라 테이프카트리지(31)의 장착 유무, 장착된 테이프카트리지(31)내에 수납된 실테이프(32)의 폭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장착의 유무 및 폭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화상데이터메모리(107)는 1차원이미지센서(24)에 의해 판독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과, 그 화상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사용하는 편집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제어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서멀헤드(43)의 각 발열소자를 발열제어함과 동시에 구동부(28)를 제어하고, 플라텐롤러(42)와 리본당겨감기축(46)의 회전을 구동제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27)는 장치본체(11)내의 회로 각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인쇄전압발생부(111)는 배터리(27)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서멀헤드(43) 구동용의 승압전압을 생성한다.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는 제어부(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의 판독시에 LED어레이(25)를 온하고, 인코더(23)로부터의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인쇄장치(1)가 소정량 이동할 때마다 1차원이미지센서(24)의 1라인분 출력을 판독하고, 이것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고, 그리고 이것을 패럴렐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제어부(101)는 공급된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보존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인쇄장치(1)를 사용하여 임의의 화상을 판독하고 실을 작성할 경우, 사용자는 임의 폭의 실테이프(32)가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카트리지(31)를 카트리지장착부(41)에 세트하고, 온·오프키(13a)를 온하고, 다음에 화상판독키(13b)를 누른다.
화상판독키(13b)의 온조작에 응답하고, 제어부(101)는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를 통해서 LED어레이(25)를 점등한다.
사용자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인쇄장치(1)를 원고(2)상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의 종단부에 맞추고, 이것을 동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서 화상을 뒤에서부터 판독한다.
이 상태에서 LED어레이(25)는 개구(21)를 통해서 판독하고 싶은 원고(2)사의 화상을 조명하고, 그 반사광이 결상렌즈(3)를 통해서 1차원이미지센서(24)에 입사한다.
인쇄장치(1)의 이동에 따라 차륜(22)이 회전하고, 인코더(23)의 회전판을 회전시키고, 인쇄장치(1)가 소정거리 이동할 때마다 인코더(23)의 수광소자로부터 펄스신호가 화상데이터제어부(115)에 출력된다.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는 인코더(23)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1차원이미지센서(24)로부터의 1라인분 화상신호를 받아들이고, 증폭, A/D변환, 시리얼/팰럴렐 변환 등을 하고, 제어부(101)에 공급한다. 제어부(101)는 공급된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메모리(107)의 제1라인용 영역에 어드레스를 차례로 갱신하면서 보존한다.
1차원이미지센서(24)로부터 공급되는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 보전이 종료하면 다음 펄스신호가 인코더(23)로 전송될 때까지 대기상태가 된다.
이후 인코더(23)로부터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라인어드레스를 다음라인에 갱신하고, 같은 보존동작이 반복된다. 이 결과 원고(2)에서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차례로 기입된다.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한 화상데이터가 기억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마지막으로 화상데이터를 기입한 라인어드레스를 최후 어드레스로서 기억한다.
데이터의 판독이 종료하면 판독키(13b)를 오프조작하고, 다음에 인쇄키(13c)를 온동작한다. 이 키조작은 제어부(101)에 통지된다. 이 통지에 응답하고, 제어부(101)는 제9도의 플로챠트에 도시하는 처리를 시작한다.
먼저 제어부(101)은 우선 테이프폭검출부(105)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카트리지(31)내의 실테이프(32) 폭(TW)을 검출한다(스텝 S1). 검출된 테이프폭(TW)은 제어부(101)내의 RAM(101C)에 기억된다(스텝 S2).
다음에 제어부(101)는 화상데이터메모리(107)의 기억내용을 스캔하고,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한 화상의 최대폭(1차원이미지센서(24) 판독폭방향의 최대폭)(IW)을 구하고(스텝 S3), 구한 최대폭(IW)을 제어부(101)내의 RAM(101C)에 기억한다(스텝 S4).
다음에 제어부(101)는 실테이프(32)의 폭(TW)과 화상의 최대폭(IW)을 비교하고, 예를 들면 다음식에 기준하여 화상의 배율을 구한다(스텝 S5).
다음에 제어부(101)는 확대·축소부(113)를 기동하고, 화상데이터메모리(107)중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영역의 라인내어드레스의 시점과 종점의 라인내어드레스를 확대·축소부(113)에 통지한다.
확대·축소부(113)는 통지된 라인어드레스의 시점과 종점을 포인터로 설정한다. 그리고 라인어드레스를 차례로 갱신하면서 포인터 값을 참조하여 차례로 화상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스텝 S5에서 결정된 배율로 확대하고, 확대한 화상을 화상데이터메모리(107)의 편집영역에 기입한다(스텝 S6).
그리고 화상을 가로세로 2배로 확대할 경우에는 화상데이터의 각도트를 가로세로 2도트(계 4도트)로 확장하면 된다. 또 화상을 가로 세로 1.5배로 확대할 경우에는 홀수(또는 짝수) 행 및의 열의 도트를 행 및 열방향으로 2도트로 확장하면 된다. 화상을 가로세로 0.75배로 확대 또는 축소할 경우에는 4행·4열마다 1행·1열의 화상데이터를 확대 또는 줄이도록 하면 된다.
화상을 가로세로 0.5배로 확대 또는 축소할 겨우에는 각 화상데이터의 2행·2열마다 1행·1열의 화상데이터를 확대 또는 줄이도록 하면 된다.
확대·축소부(113)는 확대·축소처리가 종료하면 그 취지를 제어부(101)에 통지한다.
제어부(101)는 이 통지에 응답하고, 확대·축소된 화상데이터를 판독시와는 반대 순서로 판독하고, 인쇄제어부(109)에 공급한다. 즉, 최종라인의 화상데이터부터 제1라인의 화상데이터를 차례로 판독하고, 인쇄제어부(109)에 공급한다(스텝 S7).
인쇄제어부(109)는 인쇄전압발생부(111)로부터 공급되는 인쇄전압을 사용하고, 공급된 화상데이터에 따라 서멀헤드(42)의 각 발열소자의 발열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구동부(28)를 구동부(28)를 구동제어하고 플라텐롤러(42) 및 리본당겨감기축(46)을 각각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실테이프(32)와 잉크리본(33)이 플라텐롤러(42)와 서멀헤드(43) 사이에 놓여진 상태에서 동기(同期)하여 그 사이를 반송 할 수 있으므로, 서멀헤드(43)의 발열소자의 발열제어에 의해 잉크리본(33)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층 부분이 열용융되고, 원하는 화상이 실테이프(32)의 테이프카트리지(31) 상에 전사된다(스텝 S8).
제어부(101)는 이상의 제어동작을 판독해야 할 화상데이터가 삭제 되었으면 스텝 S9에서 판별될 때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인쇄가 종료한 잉크리본(33)은 잉크리본 당겨감기스풀(35)에 감겨지는 한편, 실테이프(32)는 실테이프 반출창(47)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모든 화상데이터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9에서 그 취지가 판별되고, 제어부(101)는 인쇄동작을 종료한다.
사용자는 커터(29)를 사용하여 실테이프(32)를 절단하고, 실의 작성이 종료한다.
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임의매체상의 임의화상을 간단히 판독하고, 내구성이 강한 수지제의 실테이프(32)에 인쇄하고, 실을 작성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2)상에 형성되어 있는 원고화상의 뒤에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한 원고화상의 순서로 각 라인마다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기억하도록 하고,
인쇄시에는 판독하는 라인의 순서를 기억시의 반대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고화상의 판독시, 사용자의 손(T)이 인쇄장차(1)의 앞에 위치되어, 그 손(T) 때문에 원고화상이 사용자에 의해 보이지 않게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장치본체(11)가 한단은 폭이 좁고, 다른단은 폭이 넓은 유선형을 하고 있으므로, 장치본체(11)의 선단부 위치가 사용자의 시점에서 보기 쉽고, 판독시작위치 및 판독종료위치의 확인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화상의 판독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판독한 화상의 최대폭(IW)과 장착된 실테이프(32)의 폭(TW)에 따라 화상을 확대·축소하여 실테이프(32)에 인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을 판독한 경우에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폭의 실테이프(32)에 그 테이프의 최대폭이 되는 적절한 크기로 판독한 화상이 인쇄된다. 따라서 실테이프(32)내의 폭 안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쇄배율의 설정 등 번잡한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판독한 화상의 최대폭(IW) 양측에 약간의 여백을 확보하고나서 확대·축소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작성되는 실 화상의 상하에 여백부분이 확보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 제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에서는 판독한 화상데이터 중에서 화상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부분의 화상만을 확대·축소했지만, 전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해도 된다. 그 외에 확대·축소의 모양이나 그로 인한 구성은 임의이고, 판독한 화상을 실테이프(32)의 폭에 따라 적절히 확대·축소하여 인쇄할 수 있으면, 그와 같은 구성이나 수법으로 확대·축소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키조작으로 배율을 0.5배, 0.75배, 1.5배, 2배 등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화상을 실테이프(32)의 폭방향으로만 확대해도 된다.
키입력부(103)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기억된 각 도트의 농도데이터 보수를 세고, 판독한 화상의 명암을 반전하도록 해도 된다.
제1실시에에서는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앤드라인측부터 판독했지만, 반대로 스트트라인측으로부터 판독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판독한 화상의 경상(鏡像)을 작성할 수 있다. 또 스타트라인측부터의 판독과 앤드라인측부터의 판독을 키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실테이프(32)의 폭을 9, 12, 18, 24㎜의 4종류로 했지만, 그 외 폭의 실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또 실테이프(32)의 폭을 검출하는 구성은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인쇄제어부(109), 확대·축소부(113),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 등을 제어부(101)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했지만, 제어부(101)의 1기능으로서 이들을 실현해도 된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편집영역을 설치하고, 편집영역에 확대 또는 축소된 화상을 작성하고 나서 제어부(101)가 이 화상을 판독하도록 했지만, 제어부(101)가 화상데이터를 판독하면서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처리후 화상데이터를 인쇄제어부(109)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임의매체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 화상을 피인소매체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인쇄할 수 있다.
다음에 제11도~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인쇄장치를 도시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지시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1)를 구성하고 이는 달팽이형의 장치본체(11) 측면에는 모드전환스위치(13a)가 배치되어 있다. 이 모드전환스위치(13a)는 화상판독용 판독모드와 화상인쇄용 인쇄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장치본체(11)에는 차륜(22,26), 인코더(23), 1차원이미지센서(24), LED어레이(25)외에 기어기구(5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기어기구(58)는 복수의 기어(58a~58d)로 구성되어 있고, 차륜(26)과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기구(58)는 모드전환스위치(13a)를 화상인쇄용 인쇄모드로 전환한 상태하에서 장치본체(11)를 이동시킨 경우, 그것에 따라 차륜(26)이 회전구동하면 이 차륜(26)의 회전에 따라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는 이 기어기구(58)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기어(58a~58d)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기어기구(58)는 모드전환스위치(13a)를 화상판독용 판독모드로 전환한 상태하에서는 장치본체(11)를 이동시키고, 그것에 따라 차륜(26)이 회전구동한 경우에도 이 차륜(26)의 회전력을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 측으로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드전환스위치(13a)가 화상판독용 판독모드와 화상인쇄용 인쇄모드중 어느것인가로 전환되었을때, 그 전환동작에 따라 차륜(26)과 기어기구(58)를 연결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클러치기구(59)가 차륜(26)과 기어기구(5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달리 구동부(28)(제2도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이 제2실시예의 경우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1), 키입력부(103), 테이프폭검출부(105), 화상데이터메모리(107), 인쇄제어부(109), 서멀헤드(42), 구동부(28), 배터리(27), 인쇄전압발생부(111), 확대·축소부(113), 화상데이터입력제어부(115), 인코더(23), 1차원이미지센서(24), LED어레이(25) 외에 모드전환스위치(13a) 및 클러치기구(5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 인쇄장치(1)를 이용하여 임의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는 모드전환스위치(13a)를 화상판독용 판독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그 전환동작에 따라 전환클러치기구(59)가 구동하고, 차륜(26)과 기어기구(58)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58a)는 비연결상태가 된다. 이 상태하에서 화상판독키(13b)를 온조작하고, 그리고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인쇄장치(1)를 판독하고 싶은 화상의 종단부에 맞추고 이것을 누르면 전술한 제1실시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차원이미지센서(24)에 의해 화상이 뒤에서부터 판독되어 가고, 이로 인해 판독된 화상데이터는 화상데이터메모리(107)에 차례로 기억되게 된다. 이 경우 차륜(26)과 기어기구(58)는 비연결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가 회전구동되는 일은 없다. 또 이 판독모드하에서는 서멀헤드(42)도 발열구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실테이프(32)로 인쇄가 되는 일은 없다.
한편, 이 인쇄장치(1)를 사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는 모드전환스위치(13a)를 화상인쇄용 인쇄모드로 전환하다. 그러면 그 전환동작에 따라 전환클러치기구(59)가 구동하고, 차륜(26)과 기어기구(58)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58a)가 연결상태가 된다. 이 상태하에서 인쇄키(13c)를 온동작시키면서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인쇄장치(1)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 차륜(26)이 회전구동하게 되므로, 전환클러치기구(59)를 통해서 이 차륜(26)의 회전에 따라 기어기구(58)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기어가 차례로 회전구동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기어기구(58)의 회전구동에 따라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가 회전구동되게 된다. 이 결과,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테이프(32)와 잉크리본(33)이 플라텐롤러(42)와 서멀헤드(42) 사이에 놓여진 상태에서 동기하여 그 사이를 반송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인쇄모드하에서는 서멀헤드(42)는 발열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서멀헤드(42)의 발열제어에 의해 잉크리본(33)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층 부분이 열용융되고, 기억되어 있는 화상이 실테이프(32)의 테이프기재(32a)상에 전사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테이프폭의 검출, 화상의 최대폭 검출, 배율의 결정, 확대처리, 화상데이터의 판독, 서멀헤드의 발열구동 등 각 처리는 제1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 처리(제9도의 스텝 S1~S9)와 같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모드전환스위치(13a)를 화상인쇄용 인쇄모드로 전환된 상태하에서 인쇄장치(1)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 차륜(26)의 회전구동력이 전환클러치기구(59)를 통해서 기어기구(58)에 전달되고, 이 기어기구(58)에 전달된 회전구동에 따라 스풀축(45A), 리본당겨감기축(46) 및 플라텐롤러(42)를 특별한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회전구동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의 인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한 화상의 크기와 사용하는 피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 화상을 확대·축소하므로, 번잡한 배율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피인쇄매체상에 보기 쉬운 상태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한쪽면에 접착층이 도포된 피인쇄매체에 수동조작으로 판독한 화상을 인쇄하여 실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판독한 화상의 최대폭과 피인쇄매체의 크기 또는 폭을 검출하고, 판독한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적절한 크기로 상기 피인쇄매체상에 인쇄하면 화사이 균형있게 배치된 실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작성할 수 있다.

Claims (33)

  1. 이동가능한 장치본체(11)와, 이 장치본체(11)에 설치된 화상판독수단(24)과, 상기 장치본체(11)내에 설치되어 있고, 인쇄면을 갖는 인쇄재(32a), 인쇄후에 박리되는 박리재(32c) 및 이들 인쇄지(32a)와 박리재(32c)를 접착하는 접착층(32b)를 구비한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32)와, 이 장치본체(11)에 설치된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32)를 상기 장치본체(11)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9,42), 이 이동수단(29,420에 의해 이동중인 상기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32)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중,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폭을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피인쇄매체(32)의 폭의 양쪽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변경하여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는 일단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판독한 순서로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2)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그 기억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으로부터 판독하여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이동가능한 장치본체(11)와, 이 장치본체(11)에 설치된 화상판독수단(24)과, 상기 장치본체(11)에 설치된 화상인쇄수단(43)과, 상기 장치본체(11)내에 설치된 피인쇄매체(3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피인쇄매체(32)상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화상의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의 양쪽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크기를 변경하는 화상변경수단(113)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변경수단(113)에 의해 크기가 변경된 화상을 상기 피인쇄매체(32)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중,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폭을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피인쇄매체(32)의 폭의 양쪽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변경하여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는 일단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판독한 순서로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그 기억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으로부터 판독하여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매체(32)는 상기 화상인쇄수단(43)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는 인쇄재(32a), 박리재(32c) 및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층(3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5. 피인쇄매체(32)가 수납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가 부착이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장치본체(11)와, 이 장치본체(11)에 설치되어 있고, 그 장치본체(11)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수단(24)과, 상기 장치본체(11)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상기 카트리지내의 피인쇄매체(32)상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중,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폭을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최대폭과 사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피인쇄매체(32)의 폭의 양쪽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변경하여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폭을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최대록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피인쇄매체(32)의 폭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변경하여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는 일단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판독한 순서로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그 기억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으로부터 판독하여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매체(32)는 상기 화상인쇄수단(43)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는 인쇄재(32a), 박리재(32c) 및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층(3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3. 사용자에 의해 이동조작되는 장치본체(11)와, 이 장치본체(11)의 하부위치에 설치된 화상판독수단(24)과, 상기 장치본체(11)내에 설치된 화상인쇄수단(43)과, 상기 장치본체(11)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는 피인쇄매체(32)와, 상기 장치본체(11)에 설치되어 있고, 화상의 판독모드와 인쇄모드 중 어느것인가를 설정하는 모드설정수단과, 상기 장치본체(11)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화상의 인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를 이동하면 그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을 인쇄구동하고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를 실시하고, 한편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화상의 판독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를 이동하면 그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을 판독하여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화상의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크기를 변경하는 화상변경수단(113)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변경수단(113)에 의해 변경된 화상을 상기 피인쇄매체(32)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중 상기 장치본체(1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0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폭을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제1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피인쇄매체(32)의 폭의 양쪽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0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변경하여 상기 피인쇄매체(32)에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1)는 일단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에 상기 화상판독수단(2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은 판독된 화상을 판독한 순서로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그 기억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화상기억수단(107)으로부터 판독하여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매체(32)는 상기 화상인쇄수단(43)에 의해 인쇄가 실시되는 인쇄재(32a), 박리재(32c) 및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층(3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1. 사용자에 의해 이동조작되는 장치본체(11)와, 이 장치본체(11)의 하부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장치본체(11)의 이동에 따라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수단(24)과, 상기 장치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싱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107)과, 상기 장치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테이프형상의 피인쇄매체(32)와, 상기 장치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인쇄매체(32)를 상기 장치본체(11)의 외부측을 향해 반송하면서 상기 피인쇄매체(32)상에 상기 화상기억수단(107)에 기억된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인쇄수단(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최대폭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101)과,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105)과, 상기 제1검출수단(101)에 의해 검출된 화상의 최대폭과 상기 제2검출수단(105)에 의해 검출된 상기 피인쇄매체(32)의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화상의 크기를 변경하는 화상변경수단(113)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인쇄수단(43)은 상기 화상변경수단(113)에 의해 변경된 화상을 상기 피인쇄매체(32)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매체(32)는 카트리지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는 상기 장치본체(11)에 부착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19950001792A 1994-01-28 1995-01-28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KR015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4884A JPH07214826A (ja) 1994-01-28 1994-01-28 印刷装置
JP94-24884 199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27A KR950023527A (ko) 1995-08-18
KR0158516B1 true KR0158516B1 (ko) 1999-03-30

Family

ID=1215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792A KR0158516B1 (ko) 1994-01-28 1995-01-28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65115B1 (ko)
JP (1) JPH07214826A (ko)
KR (1) KR0158516B1 (ko)
CN (1) CN1121870A (ko)
DE (1) DE69521154T2 (ko)
TW (1) TW2736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3221B1 (en) * 1998-02-02 2006-06-2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149454B1 (en) 2008-07-30 2016-11-16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width determination method for a label printer, printing control method for a label printer, and a label printer
JP5217737B2 (ja) * 2008-07-30 2013-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の紙幅検出方法およびラベルプリンタの印刷制御方法、並びにラベルプリンタ
JP5218848B2 (ja) * 2009-02-20 2013-06-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印刷装置における取込画像の修正方法、該修正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6447398B2 (ja) 2015-07-24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テープ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つき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058A (ja) * 1984-11-14 1986-06-05 Casio Comput Co Ltd 携帯用リ−ダ・プリンタ装置
JPS624045A (ja) * 1985-06-26 1987-01-10 株式会社 サト− 携帯用サ−マルラベルプリンタ
JPS62258549A (ja) * 1986-05-01 1987-11-11 Fuji Xerox Co Ltd 手駆動型デイジタル画像読取複写装置
WO1987007804A1 (fr) * 1986-06-12 1987-12-17 Casio Computer Co., Ltd. Copieur de petite dim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14826A (ja) 1995-08-15
DE69521154T2 (de) 2001-09-27
CN1121870A (zh) 1996-05-08
DE69521154D1 (de) 2001-07-12
EP0665115A3 (en) 1998-10-28
EP0665115A2 (en) 1995-08-02
KR950023527A (ko) 1995-08-18
TW273610B (ko) 1996-04-01
EP0665115B1 (en) 2001-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623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lor transfer material
US5232297A (en) Printing device with margin setting for cut tape
EP0173326B1 (en) An electronic print board
KR0158516B1 (ko) 화상의 판독 및 인쇄가 가능한 장치
EP0351798B1 (en) Manual sweeping printer
KR950010442B1 (ko) 열전사 기록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기록장치
JP3357119B2 (ja) ラベルプリンタにおけるラベルの印字処理方法
TW526145B (en) Pro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labels
US462692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411540B1 (en) Heat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and facsimile apparatus
JP2766025B2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フアクシミリ装置
JP2560419B2 (ja) プリンタ
EP0679525B1 (en) Ribbon cassette driving in portable copiers and printers
US5231421A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with delayed driving
JPH0420057Y2 (ko)
JP2689249B2 (ja) 文字印字装置
EP0363962B1 (en) Heat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H09104136A (ja) 印刷装置
JPH074923Y2 (ja) 小型印字装置
JP2909222B2 (ja) 熱転写記録装置
JP3785746B2 (ja) 電子黒板
JPH0632095A (ja) 電子黒板システム
JP2845371B2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フアクシミリ装置
JP2922652B2 (ja) 熱転写記録装置
JP2560316B2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