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835B1 -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 Google Patents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835B1
KR0157835B1 KR1019960051038A KR19960051038A KR0157835B1 KR 0157835 B1 KR0157835 B1 KR 0157835B1 KR 1019960051038 A KR1019960051038 A KR 1019960051038A KR 19960051038 A KR19960051038 A KR 19960051038A KR 0157835 B1 KR0157835 B1 KR 015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wage
tank
fresh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86A (ko
Inventor
이성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8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거리를 운행하는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변기와 변기를 세척한 오수를 저장하는 제1오수탱크와, 세면대와 세면후의 오수를 저장하는 제2오수탱크 및 변기와 세면대에 공급되는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탱크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청수 또는 오수식의 모드선택에 따라 청수탱크의 청수 또는 오수탱크의 오수를 변기로 보내어 변기를 세척하고 세척후의 오수를 오수탱크에 저장하는 변기부와, 청수탱크의 물을 세면대에 보내고 세면후의 오수를 제2오수탱크에 저장하는 세면부 및, 실내등과 환풍기 및 사용중표시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장실 잠금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등과 환풍기 및 사용중표시등을 제어하는 조명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이용 승객이 편리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본 발명은 차량의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거리를 운행하는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량이 증가되고 또한 장거리를 운행하는 차량이 증가됨에 따라 장거리를 운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승객이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장거리 운행차량은 일정한 간격으로 휴게소 등에서 정차하여 승객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승객은 차량의 정차 간격을 미리 숙지하여 휴게소 등에서 화장실을 이용하여 차량이 운행중에는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장거리 차량에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승객이 급히 화장실을 이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긴 경우 곤란한 경우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승객이 편히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차량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외관을 나타내는 외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펌프 22 : 제2펌프
23 : 모드절환버튼 24 : 플러싱버튼(24)
31 : 제1밸브 32 : 제1에어실린더(32)
33 : 제1전동밸브 34 : 에어탱크
41 : 제2밸브 42 : 제2에어실린더
43 : 제2전동밸브 44 : 전동밸브스위치
51 : 제3펌프 52 : 세면용버튼
61 : 잠금스위치 62 : 릴레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기(11)와 변기(11)를 세척한 오수를 저장하는 제1오수탱크(12)와, 세면대(13)와 세면후의 오수를 저장하는 제2오수탱크(14) 및 변기(11)와 세면대(13)에 공급되는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탱크(15)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청수 또는 오수식의 모드선택에 따라 청수탱크(15)의 청수 또는 오수탱크(12,14)의 오수를 변기(11)로 보내어 변기(11)를 세척하고 세척후의 오수를 오수탱크(12,14)에 저장하는 변기(11)부와, 청수탱크(15)의 물을 세면대(13)에 보내고 세면후의 오수를 제2오수탱크(14)에 저장하는 세면부 및 화장실 잠금스위치(61)의 동작에 따라 화장실의 실내등(17)과 환풍기(18) 및 화장실 사용중표시등(16)을 제어하는 조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11)부는 청수 또는 오수식의 모드선택에 따라 청수탱크(15)의 청수 또는 제1오수탱크(12)의 오수를 변기(11)로 보내어 변기(11)를 세척하는 변기(11)세척부와,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31)부 및 오수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오수탱크(12)를 청소하는 제2밸브(41)부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11)세척부는 청수탱크(15)와 변기(11)의 사이에 연결되어 청수탱크(15)의 청수를 변기(11)로 보내는 제1펌프(21)와, 제1오수탱크(12)와 변기(11)사이에 연결되어 제1오수탱크(12)의 오수를 변기(11)에 보내는 제2펌프(22)와, 상기 제1펌프(21)와 제2펌프(22)에 모두 연결되어 청수 또는 오수식 모드를 절환함에 따라 펌프모터에 전달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모드절환버튼(23)과, 상기 모드절환버튼(23)과 전원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모드절환버튼(23)에 공급하는 전원을 단속하는 플러싱버튼(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밸브(31)부는,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31)와, 상기 제1밸브(31)에 연결되어 제1밸브(31)를 구동하는 제1에어실린더(32)와, 상기 제1에어실린더(32)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싱버튼(24)이 단속됨에 따라 제1에어실린더(32)를 구동하는 제1전동밸브(33)와, 상기 제1전동밸브(33)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에어실린더(32)를 구동할 수 있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로 구성돤다. 상기 제2밸브(41)부는, 제1오수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오수탱크(12)를 개폐하는 제2밸브(41)와, 상기 제2밸브(41)에 연결되어 제2밸브(41)를 구동하는 제2에어실린더(42)와, 상기 제2에어실린더(42)에 연결되어 제2에어실린더(42)를 구동하는 제2전동밸브(43)와, 상기 전동밸브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동밸브스위치(44) 및 상기 제2전동밸브(43)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에어실린더(42)를 구동할 수 있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로 구성돤다. 상기 세면부는 청수탱크(15)와 세면대(13) 사이에 연결되어 청수탱크(15)의 물을 세면대(13)에 보내는 제3펌프(51)와, 세면후의 오수를 저장하는 제2오수탱크(14) 및 제3모터펌프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세면용버튼(52)으로 구성된다. 실내등(17)과 환풍기(18)를 구비하고 있는 조명부는 실내등(17)과 환풍기(18)를 제어하는 릴레이(62)와, 상기 릴레이(62)의 여자코일이 화장실 잠금스위치(61)와 사용중표시등(16)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62)의 접점이 전원과 실내등(17) 및 환풍기(18)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한다.
먼저 화장실의 사용하기 위하여, 전동밸브스위치(44)를 온 하여 제2전동밸브(43)를 동작시켜 제2에어실린더(42)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2에어실린더(42)에 의해 제1오수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된 제2밸브(41)가 제1오수탱크(12)를 개폐하여 제1오수탱크(12)를 청소하고 밸브를 닫은 후 약 10L정도의 물을 채우고 세정제를 넣은 후 플러싱버튼(24)을 눌러서 충분히 혼합시킨다. 또한 청수탱크(15)의 뚜껑을 열고 청수를 약 25L 정도 채운다. 이러한 준비가 된 상태에서 승객이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실 문을 닫고 잠금스위치(61)를 닫으면 잠금스위치(61)와 직렬로 연결된 사용중표시등(16)에 전원이 인가되어 화장실 외측에 점등되고, 또한 이들과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62)의 여자코일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62)의 접점이 도통되어 실내등(17)과 환풍기(18)에도 전원이 전달되어 화장실 내부의 실내등(17)이 밝아지면서 환풍기(18)가 작동한다. 화장실 사용후 플러싱버튼(24)을 누르면 전원이 플러싱버튼(24)과 모드절환버튼(23)을 통하여 펌프모터에 전달되어 펌프가 작동하여 변기(11)가 세척되고 이와 동시에 제1밸브(31)가 동작하여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통로가 열린다. 변기(11)가 세척된 후 제1밸브(31)가 닫힘으로써 제1오수탱크(12)와 변기(11)를 차단시킨다. 초기에는 모드절환버튼(23)에 의해 청수식으로 사용하다가 청수가 고갈되면 모드절환버튼(23)을 절환하여 오수식으로 계속 사용한다. 세면용버튼(52)을 누르면 전원이 세면용버튼(52)을 통하여 제3펌프(51)의 모터에 전달되어 제3펌프(51)가 작동되고, 모터펌프는 약 15초 동안 작동하여 청수가 세면대(13)로 나온다. 이용자가 화장실의 잠금스위치(61)를 해제하고 나오면 잠금스위치(61)와 직렬로 연결된 사용중표시등(16)에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소등되면서 화장실의 실내조명은 곧 50% 어두워지고 환기용 팬은 90초 동안 고속으로 작동한 후 절반수준의 속도로 떨어져 계속 작동하면서 실내의 냄새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거리 운행 차량 또는 기타 필요성이 요구되는 차량에 화장실을 장착하여 차량의 이용 승객이 편리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거리 운행 차량 또는 기타 필요성이 요구되는 차량에 화장실을 장착하여 차량의 이용 승객이 편리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Claims (7)

  1. 변기(11)와 변기(11)를 세척한 오수를 저장하는 제1오수탱크(12)와, 세면대(13)와 세면후의 오수를 저장하는 제2오수탱크(14) 및 변기(11)와 세면대(13)에 공급되는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탱크(15)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청수 또는 오수식의 모드선택에 따라 청수탱크(15)의 청수 또는 제1오수탱크(12)의 오수를 변기(11)로 보내어 변기(11)를 세척하고 세척후의 오수를 제1오수탱크(12)에 저장하는 변기(11)부와, 청수탱크(15)의 물을 세면대(13)에 보내고 세면후의 오수를 제2오수탱크(14)에 저장하는 세면부 및, 실내등(17)과 환풍기(18) 및 사용중표시등(16)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장실 잠금스위치(6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실내등(17)과 환풍기(18) 및 사용중표시등(16)을 제어하는 조명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기(11)부는, 청수 또는 오수식의 모드선택에 따라 청수탱크(15)의 청수 또는 제1오수탱크(12)의 오수를 변기(11)로 보내어 변기(11)를 세척하는 변기(11)세척부와,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31)부 및, 제1오수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오수탱크(12)를 청소하는 제2밸브(41)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세면부는, 청수탱크(15)와 세면대(13) 사이에 연결되어 청수탱크(15)의 물을 세면대(13)에 보내는 제3펌프(51)와, 세면후의 오수를 저장하는 제2오수탱크(14) 및 제3모터펌프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세면용버튼(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명부는 실내등(17)과 환풍기(18) 및 상기 실내등(17)과 환풍기(18)를 제어하는 릴레이(6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릴레이(62)의 여자코일이 화장실 잠금스위치(61)와 사용중표시등(16)을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62)의 접점이 전원과 실내등(17) 및 환풍기(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5. 청구항 2에 있어서 변기(11)세척부는, 청수탱크(15)와 변기(11)의 사이에 연결되어 청수탱크(15)의 청수를 변기(11)로 보내는 제1펌프(21)와, 제1오수탱크(12)와 변기(11)사이에 연결되어 제1오수탱크(12)의 오수를 변기(11)에 보내는 제2펌프(22)와, 상기 제1펌프(21)와 제2펌프(22)에 모두 연결되어 청수 또는 오수식 모드를 절환함에 따라 펌프모터에 전달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모드절환버튼(23)과, 상기 모드절환버튼(23)과 전원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모드절환버튼(23)에 공급하는 전원을 단속하는 플러싱버튼(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밸브(31)부는,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변기(11)와 제1오수탱크(12)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31)와, 상기 제1밸브(31)에 연결되어 제1밸브(31)를 구동하는 제1에어실린더(32)와,
    상기 제1에어실린더(32)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싱버튼(24)이 단속됨에 따라 제1에어실린더(32)를 구동하는 제1전동밸브(33)와,
    상기 제1전동밸브(33)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에어실린더(32)를 구동할 수 있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구성돤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밸브(41)부는,
    제1오수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오수탱크(12)를 개폐하는 제2밸브(41)와,
    상기 제2밸브(41)에 연결되어 제2밸브(41)를 구동하는 제2에어실린더(42)와,
    상기 제2에어실린더(42)에 연결되어 제2에어실린더(42)를 구동하는 제2전동밸브(43)와, 상기 전동밸브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동밸브스위치(44) 및 상기 제2전동밸브(43)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에어실린더(42)를 구동할 수 있는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KR1019960051038A 1996-10-31 1996-10-31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KR015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38A KR0157835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38A KR0157835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86A KR19980031486A (ko) 1998-07-25
KR0157835B1 true KR0157835B1 (ko) 1998-10-15

Family

ID=1948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038A KR0157835B1 (ko) 1996-10-31 1996-10-31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86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210B1 (ko)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KR0157835B1 (ko) 차량에 장착 가능한 화장실
JP2004196028A (ja) 車室内照明装置および車室内照明方法
KR0177377B1 (ko) 차량장착 화장실의 냄새역류 차단장치
JPH05112967A (ja) 大型建設機械の照明装置
JP2008050899A (ja) 洋風便器装置
KR0177378B1 (ko) 차량장착 화장실의 환기장치
CN112302124A (zh) 一种自动清洗的小便池系统及工作方法
JPH06248677A (ja) 便器の自動洗浄装置
KR0177376B1 (ko) 모드절환식 차량장착용 화장실
JPH1152892A (ja)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光表示装置
US20240057827A1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7482428B2 (ja) 便器装置
JPS6030736A (ja) 排気装置を備えた水洗トイレ
WO1999061285A3 (es) Sistema mejorado para el suministro de agua y drenaje para el retrete de vehiculos automotores
JPH11336156A (ja) 水洗便所制御装置
JP2004116120A (ja) 局部洗浄用操作装置
KR20010102643A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H09296496A (ja) 無臭便器
JP2008088677A (ja) 便器装置
JPH0752212Y2 (ja) ラッチングタイプの給水制御装置
JPH07536Y2 (ja) トイレにおける自動給水制御装置
KR19980053545A (ko) 도어열림 경고장치
JPH05263448A (ja) 各種衛生器具における自動洗浄制御装置
JPH0186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