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210B1 -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210B1
KR960000210B1 KR1019890002660A KR890002660A KR960000210B1 KR 960000210 B1 KR960000210 B1 KR 960000210B1 KR 1019890002660 A KR1019890002660 A KR 1019890002660A KR 890002660 A KR890002660 A KR 890002660A KR 960000210 B1 KR960000210 B1 KR 96000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deodorizing
ozon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46A (ko
Inventor
사다오 데루이
구니오 사노
가즈요시 니시가와
요시유끼 노마
아끼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쇼꾸바이
나까지마 미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524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13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35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87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284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106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2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3106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9166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302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939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3901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쇼꾸바이, 나까지마 미쯔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뽄 쇼꾸바이
Publication of KR89001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을 도시하는 일부생략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IV-IV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를 다른 변기에 작용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제7도 및 8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를 다른 변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생략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하는 탈취장치의 상세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에 있어서의 센서배치예를 도시하는 일부파단 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센서배치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에 있어서의 센서작동제어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제16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에 있어서의 제어기구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변기내의 배설물에서 생기는 악취를 화장실내에 방산되기 전에 확실하게 탈취처리하고, 또, 장기간에 걸쳐 탈취처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내의 취기(臭氣)를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서는, ① 화장실 벽면등에 배기용 팬을 설치하고, 화장실내의 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 ② 화장실내에 방향제를 설치하고, 강한 방향에 의해 악취를 마스킹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①, ②의 방법은 악취를 근본적으로 소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상기 ①의 방법에 있어서는 변기에서 일단 화장실내에 방산·충만된 악취를 화장실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화장실내에 들어가는 사람은 실내의 악취에 노출되게 되며, 더구나 단순히 악취가 화장실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주거밀집지역에서 이용하기에는 불편이 따른다. 한편, 상기 ②의 방법도 악취 그 자체를 없애는, 본질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강한 방향에 의해 악취를 은폐하려고 하는 것일 뿐이며, 오히려 방향제에 대해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있어서, 취기가 발달한 사람에 있어서는 아무런 대책도 되지 못한다. 또, 이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①의 방법을 병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인근에 대한 악취공해를 일으킨다는 점에서는 아무런 해결도 되지 않는다.
인체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취기성분에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트리메틸아민 및 아세트알데히드등이 있다. 그래서, 이들 취기성분을 근본적으로 소거하고 수단으로서 상기 ①, ②의 방법과는 별도로, 혹은 부분적으로 병용하여 활성탄이나 실리카겔등의 흡착성 탈취제를 이용하여 취기성분을 이 탈취제에 흡착·제거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화장실내에 흡착 탈취제를 설치하여 화장실내 전체를 탈취대상으로 하는 방법이 행해졌으나, 이로서는 화장실내의 전 용적이 너무 넓기 때문에 탈취효과를 달성하기 까지는 장시간을 요하고, 배설행위 직후의 강한 악취에 대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그래서, 변기의 내부공간을 면하게끔 배기경로를 설치하고, 이 배기경로내에 상기 탈취제를 배설하여 취기성분을 포함한 공기를 이 탈취제로 인도하여 이 취기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생각되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취기성분이 변기내에서 화장실내로 방산되기 전에 이 취기성분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상기 탈취제의 흡착용량에는 한계가 있으며, 평상시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어 장시간에 걸쳐 충분한 흡착탈취 성능을 유지하기란 불가능하며, 사용개시부터 단시간내에 변기내의 취기성분이 화장실내에 넘쳐나게 된다. 이 악취성분이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탈취제를 빈번히 새것과 교환해야 하며 그에 따라, 경제적 및 관리면에서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종래의 화장실 탈취수단에 있어서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는 것이고, 변기내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성분을 화장실내에 방산되기 이전에 확실하게 탈취처리하며, 화장실안에 있는 사람에게 취기를 느끼지 않게함과 동시에 장기간 안정된 탈취처리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실 탈취방법 및 화장실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세식 화장실에 있어서는 배설물은 신속하게 세정제거되어 화장실내에 지속적으로 악취성분이 방산되는 일이 없음을 감안하여 필요시에 일정 시간 길이 만큼 효율적으로 탈취제거할 수 있는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콤팩트하고 또한 변기에의 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쉬우며, 사용중 불편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탈취장치를 개발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대표적인 구조예를 도시하는 모식설명도이고, 이 탈취장치(1)는 탈취기구부(1a)와 제어기구부(12)로 구성된다. 이 탈취기구부(1a)는 케이싱(2)에 2개소의 개구부로서 흡기구(3)와 배기구(11)를 형성하고, 이 흡기구(3)와 배기구(11)는 벽면(4a)으로 둘러싸인 통기로 (4)에 의해 연통된다.
이 벽면(4a)은 오존에 의해 부식되지 않은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합금, 혹은 합성수지재료등으로 형성되지만, 사용소재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기구(3)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변기내부에 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통기로(4)내의 흡기구(3)측에는 오존발생기(5)가 설치되고, 이 오존발생기(5)는 트랜스(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쇄선으로 표시함).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5)와 배기구(11) 사이에는 촉매층(8)과 팬(10)이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촉매층(8)과 배기구(11) 사이에는 활성탄등에 의해 구성된 흡착제층(9)이 설치된다.
상기 오존 발생기(5)의 예로서는 판상 세라믹스가 사용되고, 트랜스(6)에 의해 이 판상 세라믹스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공기중의 산소에서 오존을 생성하여 통기로(4)로 방출한다. 또, 촉매층(8)으로서는 다음에 예시하는 재료를 팔레트상·구상 또는 셀상등으로 성형된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촉매층(8)에 사용되는 촉매란 소정의 금속 및/ 또는 금속산화물을 담체에 담지시킨 것이다. 이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서는 망간, 철, 니켈, 코발트, 은, 백금, 파라듐, 로듐, 크롬, 몰리브덴, 연, 텅스텐, 구리, 바나듐 및 이들의 산화물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또, 담체로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실리카, 벤토나이트, 규조토, 실리콘카바이트,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마그네슘, 코데라이트, 무라이트, 활성탄등을 들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티탄-규소로 이루어지는 2원계 복합산화물, 티탄-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2원계 복합산화물 및 티탄-규소-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지는 3원계 복합산화물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팬(10)은 전동모우터(19)에 접속되어 회전구동되며, 이들에 의해 통기로 (4)내에 있어서 흡기구(3)측에서 배기구(11)측으로 이동하는(흰 화살표로 도시)공기류를 형성한다. 이 팬(10)은 도면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통기로(4)내라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또, 흡기구(3)측 및 배기구(11)측으로 복수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오존발생기(5)와 촉매층(8)간에는 취기성분과 오존의 혼합실(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치에 저속회전의 팬을 설치해 두면 교반효과가 높아지고, 촉매층(8)에 의한 악취성분 분해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배기구(11) 바로 앞에 오존농도 검출센서(18)를 설치하여 오존자체가 분해되지 않은채 고농도로 장치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탈취장치(1)에 의한 탈취작용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나 황화수소등의 취기성분을 포함한 변기내부의 공기는 팬(10)에 의해 형성된 공기류에 의해 흡기구(3)를 통하여 통기로(4)내로 도입되고, 오존발생기(5)에서 방출되는 오존과 혼합실(7)내에서 혼합된다.
그리고, 오존과 함께 촉매층(8)내로 도입된 상기 취기성분은 산화·분해되어 무취성분으로 바뀌어 배기구(11)에서 화장실내로 방출된다. 이때, 악취성분과 반응하지 않고, 그 자체 분해되지 않았던 잉여오존은 촉매층(8)에서 산소로 복귀되므로 고농도의 오존이 장치밖으로 누출되는 일은 없다. 또, 이 탈취장치(1)에서 배출되는 오존농도가 10-6% 이하이면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으며, 반대로 청량감을 준다. 그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오존농도 검출센서(18)를 사용하여 오존발생기에 있어서의 오존발생량을 제어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 오존은 살균작용을 갖는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며, 흡기구(3)에서 흡입된 공기중의 잡균(구균, 방선균, 바이러스균등)은 탈취기구부 (1a)내에서 살균되고, 도 배기구(11)에서 미량 방출되는 오존에 의해 화장실내의 공기중에 존재하는 잡균도 살균된다.
한편, 제1도의 부호 12는 상기 탈취기구부(1a)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어기구부이고, 탈취처리시에 트랜스(6) 및 팬(10)을 작동하여 오존발생기(5)에서 오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팬(10)에 의해 공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탈취기구부(1a)를 가동시켜 취기성분을 탈취처리한다.
또, 이 제어기구부(12)에는 오존농도 측정센서(18)나 나중에 설명되는 센서 (40,40a)등을 필요에 따라 접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취장치(1)에 의해 변기내에서 발생하는 취기성분을 효율적으로 탈취하기 위해서는 후에 설명되는 탈취장치(1)의 설치예와 같이 이 탈취장치 (1)의 흡기구(3)를 변기(20)의 내부용기 보울 부분에 면하게 한다. 그리고, 변기내의 악취발생원에서 발생하는 취기성분을 화장실내로 누출시키는 일 없이 곧 바로 상기 탈취기구부(1a)내로 도입하여 하기와 같은 탈취방법으로 처리한다.
이 탈취방법에 있어서 변기내의 취기를 화장실내로 확산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탈취장치(1)에 있어서의 1분간의 흡인풍량을 변기내부용적의 7~35배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7배 미만에서는 취기가 충분히 탈취장치(1)로 흡인되지 않고 화장실내로 확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35배를 초과하면 취기를 탈취장치(1)로 흡인하기에 충분한 정도를 넘어 탈취처리풍량이 증가하게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고 흡인풍량이 과도하게 커지면 화장실 사용중의 체감온도가 내려가서 추위를 느껴 바람직하지 못하다.
오존의 발생농도는 탈취처리의 관점에서 0.05~2ppm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2ppm으로 한다. 즉, 0.05ppm 미만이면 탈취효과가 저하되고, 한편, 2ppm을 초과하면 탈취효과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잉여오존을 처리해야만 하는 낭비를 초래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촉매능력과의 관계에서 화장실내로 과잉오존이 방산된다.
촉매층(8)에 사용하는 촉매의 형상은, 촉매성분 분해능이 높고 또 취기성분의 흡착능이 높은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압력손실, 먼지의 막힘등을 고려하면 벌집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특히 100~400셀/평방인치의 셀수를 갖는 벌집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집형상의 셀의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자상, 삼각형상, 육각형상, 코르게이트상등 어느것이나 좋다. 또 , 소정의 흡착능력을 얻기 위해서는 촉매의 비표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촉매의 필요량을 줄일 수 있고,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때문에 촉매의 비표면적은 50㎡/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위풍량당 촉매의 접촉표면적이 너무 작으면 탈취효과가 충분치 못할 가능성이 있고, 너무 크면 압력 손실이 높아지거나 먼지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단위풍랑 1㎥/시간당의 접촉표면적은 0.01~0.35㎥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촉매층 성형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출 성형법 또는 세라믹스 페이퍼의 코르게이트 가공에 의한 성형법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취기성분의 발생(개시)은 변좌(便座)에 사람이 앉아 배변을 개시할 때부터이므로 앉음과 동시에 탈취장치(1)의 작동을 개시하면 좋다. 또, 악취발생원을 세정수로 씻어 내림과 동시에 정지하거나 혹은 씻어내린 뒤의 탈취장치(1)의 가동계속 시간이 너무 짧으면 변기내의 잔존 취기의 처리나 촉매에 흡착하여 잔존하고 있는 취기성분의 처리가 불충분해져서 화장실내에 취기성분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 변기주변에 약간량의 취기성분이 방산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또, 후기하는 바와 같이 악취성분 분해반응이 지연되 이 진행될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가동 계속시간은 배설물을 씻어 내린후 바람직하게는 1분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분이상으로 하면 좋다.
한편, 이 가동 계속시간은 너무 길어도 에너지를 낭비하게되므로 불리하며, 화장실 사용후의 탈취장치 가동시간은 15분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탈취방법에 있어서 촉매층(8)에 있어서의 탈취 메카니즘에 대하여서는 미해결 부분도 남아있으나 여러가지로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탈취장치내에 흡인된 취기성분과 오존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이 촉매층(8)에 함께 흡착되고, 촉매상에서 오존이 취기성분을 공격하도록 작용하여 산화분해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일시적이라 하더라도 취기성분이 오존량보다 많을 때는 미분해 취기성분이 계외(系外)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취기성분을 이 촉매층(8)에 있어서 흡착시켜둘 필요가 있다.
그때문에 가령 악취발생원을 씻어내린 후에도 미분해 취기성분이 촉매층에 흡착되어 잔존해 있을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고, 이럴 때는 미분해 취기성분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량 이상의 오존을 계속 발생시키면 흡착되어 있는 잔존 취기성분도 완전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촉매층(8)은 단순히 촉매기능을 보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우수한 흡착성능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흡인풍량은 제2도,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식변기 (20)에 있어서의 내부용적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이밖에 제6도, 제8도에 도시하는 타입의 변기에서는 어댑터(30)의 내부용적이나 제7도에 도시하는 내부용기(35)의 내부용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와 같은 흡인풍량 범위를 적용한다.
상기 악취성분중 아세트산이나 프로피온산등의 산성분은 오존에 의해 완전히 분해하기는 어렵고, 또 알코올이나 알데히드는 대응하는 산까지 산화하기에 이르러, 완전한 무취성분으로까지 분해되지 않는 것을 남기는 일이 있으며, 취기성분으로서 분해되지 않은 채로 배기구(11)에 도달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촉매층(8)의 하류측에 활성탄등의 흡착제층(9)을 설치해 두면 이들 미분해성분을 흡착유지할수가 있고, 악취성분을 그대로 배출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해당 흡착증에 계속 오존을 공급함으로써 그 부위에서 악취성분의 분해반응이 진행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착제층(9)에 도달하는 미분해 성분의 양은 오존처리를 거친후이기 때문에 소량이고, 빈번한 흡착제층(9)의 교환은 필요하지 않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16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내부구조를 갖는 탈취장치(1)의 설치예를 도시하고, 힌지편(24,25)을 통하여 변기(20)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된 변좌 (21)에 상기 탈취장치(1)가 부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21)의 저면측에는 전둘레에 따른 강부(腔部; 23)에 대응하여 하향 개구부(29)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29)의 둘레방향 적소에는 고무제 대좌(26)가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변좌(21)저부와 변기(20)꼭지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된다. 또, 상기 강부(23)는 탈취장치(1)의 흡기구(3)와 연통되고, 이 변좌(21)의 옆가장자리부에 탈취장치(1)가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탈취장치(1)가 작동상태에 있을때 변기(20)내의 취기성분을 함유한 공기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변기(20), 개구부(29), 강부(23), 흡기구(3)순으로 탈취장치 (1)내에 흡입되어 탈취처리된다.
제4도는 탈취장치(1)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면, 변좌(21)는 상기 제2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형성되고, 이 변좌(21)의 추지축(27)과 강부(23)가 연통된다. 이 추지축(27)은 변좌(21)를 변기(20)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 추지축(27)의 양단개구부는 팩킹(27b)을 통하여 연통파이프 (28)에 끼워맞춰진다. 이 연통파이프(28)는 직각으로 굴곡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굴곡부에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취장치(1)의 흡기구(3)가 접속된다. 따라서, 변기(20)내의 공기는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21)의 개구부 (29), 강부(23), 추지축(27), 연통파이프(28), 흡기구(3)를 거쳐 탈취장치(1)에 도입된다.
제6도는 다른 형상의 변기에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단차가 있는 바닥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변기(20a) 위쪽에 이 변기(20a)를 덮도록 착탈식 중공 (中空 )걸상(30)을 설치한 것으로, 이 중공걸상(30) 상부에 변좌(21)를 형성하고, 이 변좌(21)에 직접 탈취장치(1)를 부착한다. 이 예에 있어서의 흡기구(3)와 중공걸상 (30) 내부와는 제2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연통된다. 또, 제7도는 휴대식 변기(실내용 가변기(20b)를 도시하고, 내부용기(35)와 연통하는 창공(窓孔; 31)을 변좌(21)하부에 형성하고, 이 창공(31)의 등부에 둥근고리형상의 강부(23a)를 접속형성하여, 이 강부(23a)의 일부에 탈취장치(1)의 흡기구(3)를 접속한다. 그리고, 내부용기(35)내의 공기를 창공(31), 강부(23a), 흡기구(3)를 통하여 탈취장치(1)로 도입한다. 그리고, 제8도는 바닥면상에 설치된 변기(20a)에 설치하는 중공걸상(30)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도시하며, 변좌(21)의 저면측에 둥근고리형상의 강부(23a)를 형성하고, 이 강부(23a)의 아래쪽을 향하여 중공걸상(30)내에 면하도록 개구부(29a)가 설치됨과 동시에 강부 (23a)와 연통하는 흡기구(3)를 설치한 탈취장치(1)를 중공걸상(30)과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제9도는 탈취장치(1)의 또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탈취장치(1)는 다리(14)를 설치하고, 바닥면상에 배치된다. 변좌(21)는 제2도의 예와 마찬가지 구조로 하고, 이 변좌(21)내의 측면에는 강부(23)에 연통하는 이음매부(36)가 형성되며, 탈취장치(1)의 흡기구(3)와 상기 이음매부(36)에는 중공파이프(13)가 접속된다.
따라서, 변기(30)내의 공기는 개구부(29), 강부(23), 이음매부(36), 중공파이프(13), 흡기구(3)를 통과하여 탈취장치(1)내로 도입된다. 이 중공파이프(13)로서는 탄성을 갖는 굴곡이 자유로운 재료에 의해 형성하거나 사복형상(蛇腹形狀)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도는 변기(20)에의 착탈이 간단한 탈취장치(1)를 도시되어 있는데, 이 탈취장치(1)의 흡기구(3)에는 훅형상의 중공파이프(13)가 접합되고, 이 중공파이프(1 3)는 탈취장치(1) 전체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경질재료(예컨대, 경질플라스틱이나 금속재료등)에 의해 형성되며, 그 오목부에는 탄성의 팩킹(17)이 첨설된다.
상기 중공파이프(13)의 선단(13a)은 변기(20)내부를 지향하도록 설치되고, 또,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좌(21)의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고, 또, 사람의 착석, 이석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 예컨대, 변기(20)의 측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1도의 부호 16은 탈취장치(1)의 지지,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지지체이며, 필요에 따라 설치한다. 또,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2)에 개폐가능한 뚜껑(15)을 설치해두면 촉매층(8) 또는 흡착제층(9)의 신품과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제12도는 탈취장치(1)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며, 이 탈취장치(1)는 세정수 탱크(31)의 상부에 배설된다. 이 세정수 탱크(31)는 변기(20)와 송수파이프(33)를 통하여 접속됨과 동시에 이 세정수 탱크내의 잉여수를 배수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라인(32)를 통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세정수 탱크(31)의 위쪽 공간(31a)과 탈취장치(1)의 흡기구(3)를 연통시켜두면 오버플로우라인(32)을 통하여 변기(20)내부와 탈취장치(1)가 연통되고,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20)내의 공기를 탈취장치(1)에 공급할 수 있다.
제2도 내지 제12도에 의해 탈취장치(1)의 설치예를 도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제13도 내지 제16도에 의해 탈취장치의 온/오프 작동제어에 의하여 설명한다.
수세식 화장실에 있어서의 탈취필요시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람이 변좌에 착석하고나서 취기발생원을 씻어내고, 그리고 잔류 취기성분을 완전하게 처리할 때 까지다. 따라서, 탈취장치를 낭비없이, 또 필요한 시간만큼 작동하기 위한 제어기구부(1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기구부(12)는 변좌(21)의 측부에 부착된 탈취장치(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병설되고, 변좌(21)에 설치되는 센서(40)와 상기 제어기구부(12)는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이 센서(40)의 일례는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40a) 및 수광소자(40b)로 구성된다. 이 센서(40)는 변좌(21)의 위쪽을 향하여 투광하도록 되어 있는 반사형센서이고, 투광속은 변좌(21)에서 허리를 올렸을 정도(수센티미터)의 착좌자에 조사하는 거리보다 길고, 또, 변좌(21)밖 가장자리 까지의 거리보다 설정된다. 이 센서(40)는 발광소자(40a)에서 발광된 광이 착좌자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소자(40b)에 수광되는 레벨을 수광레벨 검지회로에 의해 검지하고, 그 출력을 제어기구부(12)로 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40)가 변좌(21)에 설치되어 있으나 변기(20)등의 다른 부위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어기구부(12)는 탈취기구부(1a) 및 변기의 세정수 공급계에 있어서의 전자밸브(34)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기구부(12)는 변화(21)에의 착좌에 수반되는 센서 (40)에 의한 착좌자의 존재의 검지를 받아 출력을 탈취기구부(1a)로 발하고, 또한, 이석시에 착좌자의 존재가 인지되지 않게 된 것을 센서(40)에 의해 검지하고, 출력을 전자밸브(34)로 발하는 것과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있는 설정시간 동안만 출력을 탈취기구부(1a)로 계속 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제어기구부(12)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설정시간은 전자밸브(34)에 의한 배수가 종료되고, 다시 일정시간 경과후, 탈취기구부(1a)가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다음에 화장실내에 들어가는 사람에게 취기를 전혀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1분이상 계속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분으로 한다.
제15도는 센서(40)에 의한 탈취기구부(1a) 및 전자밸브(34)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상기의 온/오프 작동제어를 순서대로 도시한다.
이 발광소자(40a)및 수광소자(40b)를 구비한 센서(40)는 상기와 같이 변기 (20)의 상면 또는 변좌(21)에 부착해두고, 인체의 대퇴부가 변좌(21)상에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는 변기(20)외에 세정탱크(31) 혹은 화장실 벽면등,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화장실내에의 사람의 출입을 검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센서(40)대신 좌압센서(41)를 사용하고, 이 좌압센서 (41)를 변화(21)에 설치하여 사람의 착석 또는 이석을 검지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그밖에 사람의 착석·이석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적외선센서나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탈취장치(1)의 배설위치는 제13도의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상에 배설하여 이 탈취장치(1)내에 설치된 제어기구부(12)에 센서(40 또는 41) 및 급수용 전자밸브(34)를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접속해 두면 좋고, 기타, 제4도, 제8도, 제11도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설된 탈취장치(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다음의 이점이 있다.
첫째, 착좌자가 변좌에 앉았을 때부터 이석한 한참후까지 취기의 탈취처리를 계속하고, 그리고 그 탈취중, 사람의 이석에 맞추어 자동배수하여 취기의 발생원을 씻어낼 수가 있으며, 또한, 사용후의 잔존취기도 확실하게 없앨 수가 있다.
그 결과 다음 사람이 화장실내에 들어올때까지 탈취를 완료할 수가 있다.
제1도, 제2도에 도시하는 구조의 탈취장치로서,
오존발생농도 : 0.5ppm,
흡 인 풍 량 : 변기(20) 내부용적의 17배[1분당]
촉 매 층 : 벌집형상셀(셀수 : 210셀/평방인치)
비 표 면 적 : 120㎡/g
접 촉 면 적 : 0.035㎡/g(풍량 1㎡/hr당)
가 동 시 간 : 착석시에 작동개시, 이석후 7분간 경과하여 정지.
이상의 실험조건으로 45명의 피험자에 의해 취기 유무를 조사한 결과, 전원 화장실내에서의 취기를 느끼지 못했다.
상기 탈취방법, 탈취장치를 채택함으로써,
① 변기내로부터의 흡인풍량이 적정하여, 화장실내에의 취기의 방산누설이 없으며, 또, 사용중의 체감온도가 크게 저하되는 일이 없다.
② 탈취장치내에 있어서의 오존발생농도가 적정하여, 탈취 부족이나 잉여오존의 처리를 위한 낭비나 이들이 탈취장치에서 누설되는 일이 없다.
③ 촉매량을 적게할 수 있어서, 탈취장치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④ 필요이상 대용량 오존발생기 및 촉매층등을 사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한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⑤ 소정시간 내에만 탈취장치를 작동시키므로 소비에너지의 낭비가 없고 효율적인 탈취처리를 행할 수 있다.
⑥ 그리고, 미분해 취기성분을 촉매층에서 흡착시킨 후 탈취처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오존발생농도를 낮게할 수가 있어, 오존발생기의 용량을 작게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⑦ 알코올이나 산류등이 분해되지 않은채로 배출될 우려가 있으나 흡착체층을 설치해 두면 확실하게 흡착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뛰어난 탈취성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변기내부에서 발생하는 취기성분을 변기내부 공기와 함께 변기내부 용적의 7 내지 35배/분의 풍량으로 탈취장치내로 흡인하고, 이것을 오존과 혼합함으로써 오존농도를 0.05 내지 2ppm으로 하고, 촉매층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취기성분을 산화·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변기에 사람이 착좌했을 때에 공기 및 취기성분의 흡인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변기에서 사람이 이석한후, 1분이상 탈취를 계속한 후 흡인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촉매층을 통과한 미분해 취기성분을 이 촉매층 하류측에 설치한 흡착제층에서 흡착·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촉매층의 일부에 흡착된 취기성분을, 그 이후 공급되어 오는 잉여오존에 의해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방법.
  6. 취기성분을 오존에 의해 분해하는 탈취장치에 있어서, 흡기구와 배기구를 연통하는 통기로가 형성되고, 이 흡기구는 변기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흡기구측의 통기로내에는 오존발생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오존발생기의 하류측에는 악취성분과 오존의 혼합실 및 이 혼합실에 이어서 취기성분과 미반응 오존을 분해하는 촉매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통기로내의 임의의 위치에는 공기류 형성을 위한 팬이 형성되며, 이들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개구하여 케이싱내에 수납되고, 그리고, 적어도 상기 팬 및 오존발생기를 온/오프 작동하는 제어기구부가 병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변기상부에는 저면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변좌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변좌 저면은 변기상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고, 또,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변기 위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형성되고, 이 변좌 옆가장자리부는 흡기구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변기 상부에는 저면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변좌가 설치됨과 함께 이 변좌 저면은 변기 상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고, 또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변기 위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형성되며, 이 변좌는 중공의 추지축에 의해 변기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추지축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됨과 함께, 또한 이 추지축은 흡기구와도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흡기구에는 중공파이프가 접속되고, 이 중공파이프이 다른쪽 선단은 변기내부를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중공파이프는 경질재료에 의해 훅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훅형상의 중공파이프를 변기의 위 가장자리에 걸치게 함으로써 케이싱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중공파이프의 다른쪽 선단은 변좌에 접속되고, 이 변좌를 통하여 변기내부를 지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변기내부와 연통하는 세정수 탱크에는 변기내부와 상기 세정수 탱크의 위쪽공간이 연통하는 오버플로우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탱크의 위쪽공간은 흡기구와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제거기구부에는 변좌의 위쪽을 향하여 투광하는 발광소자 및 인체에서 반사되어온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가 구비되고, 이 수광소자가 반사광을 받았을 때 적어도 탈취장치내의 팬 및 오존발생기를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이 수광소자에는 타이머를 접속하고, 반사광의 해제후 일정시간 경과후에 적어도 상기 팬 및 오존발생기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변기에 착좌하는 사람의 각부를 향하여 투광하는 발광소자 및 이 각부로부터의 반사광을 받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변기 상면 또는 변좌에 좌압센서를 설치하고, 변좌에 사람이 착좌했을때, 탈취장치내의 팬 및 오존발생기를 작동하도록 구성함과 함께, 이 좌압센서에는 타이머를 접속하고, 사람의 이석후 일정시간 지난후에 상기 팬 및 오존발생기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수광소자에는 제어기구부를 통하여 세정수 방수용 전자밸브를 접속하고, 사람의 이석후,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좌압센서에는 제어기구부를 통하여 세정수 방수용 전자밸브를 접속하고, 사람의 이석후,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촉매층의 배기구측에는 미분해의 취기성분을 흡착하는 흡착제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촉매층은 벌집형상의 셀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벌집형상 셀 수는 100 내지 400셀/평방인치를 가지고, 그 비표면이 50㎡/g 이상이며, 또 풍량 1㎥/시간당의 접촉면적이 0.01 내지 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탈취장치.
KR1019890002660A 1988-03-04 1989-03-03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KR960000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52418A JPH0661319B2 (ja) 1988-03-04 1988-03-04 脱臭便座
JP63-52418 1988-03-04
JP63135238A JPH0768717B2 (ja) 1988-05-31 1988-05-31 トイレ脱臭方法
JP63-135238 1988-05-31
JP63142844A JPH01310620A (ja) 1988-06-09 1988-06-09 脱臭便座
JP63-142844 1988-06-09
JP63-142845 1988-06-09
JP63142845A JPH01310621A (ja) 1988-06-09 1988-06-09 脱臭便座
JP63-91666 1988-07-11
JP?63-91666 1988-07-11
JP1988091666U JPH0633025Y2 (ja) 1988-07-11 1988-07-11 便器用脱臭装置
JP63-293929 1988-11-21
JP63293929A JPH02139017A (ja) 1988-11-21 1988-11-21 脱臭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46A KR890014846A (ko) 1989-10-25
KR960000210B1 true KR960000210B1 (ko) 1996-01-03

Family

ID=2755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660A KR960000210B1 (ko) 1988-03-04 1989-03-03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31192B1 (ko)
KR (1) KR960000210B1 (ko)
DE (1) DE689012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4145B (de) * 1990-03-02 1992-02-10 Fleck Carl M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katalysators
ATE134406T1 (de) * 1990-11-19 1996-03-1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Deodoriervorrichtung und toilette versehen mit der vorrichtung
EP0526077A1 (en) * 1991-07-22 1993-02-0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ctivated carbon honeycombs and applications thereof
TW316850B (ko) * 1992-02-28 1997-10-0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KR960010614Y1 (ko) * 1993-11-23 1996-12-20 최한선 변기의 위생제어장치
US5452481A (en) * 1994-04-28 1995-09-26 Bejon Technology, Inc. Portable ventilation system
US6003157A (en) * 1995-03-16 1999-12-21 Bruyere; Leonard Device for deodorizing air from a toilet
ES2142713B1 (es) * 1997-01-30 2000-12-01 Sanchez Manuel Gutierrez Acondicionador termico de inodoros.
DE69921599T2 (de) * 1999-01-18 2005-11-03 Atsugi Co. Ltd., Ebina Tragbares Klosett
US6041449A (en) * 1999-02-03 2000-03-28 Brown; Christopher L.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and the like
US6528014B1 (en) * 1999-09-13 2003-03-04 Sl Parkhurst Corporation Foul air eliminator
EP1092812A1 (de) * 1999-10-13 2001-04-18 KERAMAG Keramische Werke Aktiengesellschaft Toilettensitz
KR200237156Y1 (ko) * 2001-03-22 2001-10-08 주식회사 영강정공 좌변기
KR20030030679A (ko) * 2001-10-12 2003-04-18 정덕필 오존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좌변기용 좌대 시스템
DE20118146U1 (de) * 2001-11-07 2003-03-20 Caevskij Michael Absaugvorrichtung
EP1712689A3 (de) * 2003-02-03 2008-07-02 Villeroy & Boch Ag Deodorisierungsvorrichtung für Toiletten
KR20040086874A (ko) * 2003-03-22 2004-10-13 서정은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US7147822B2 (en) 2003-07-07 2006-12-12 Sl Parkhurst Corporation Aerosol odor eliminator
DE202004012065U1 (de) 2004-07-30 2005-12-15 Villeroy & Boch Ag Toilettenausstattung mit einem WC-Becken
ES1059133Y (es) * 2004-12-16 2005-07-01 Alberto-Rolando Velasquez Dispositivo para la eliminacion directa de los olores que se producen durante la utilizacion de un inodoro
CA2698576C (en) 2006-09-07 2012-11-20 Ann Rogers Business Trus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cal odors
GB0708583D0 (en) * 2007-05-04 2007-06-13 Givaudan Sa Disseminating device
WO2014114202A1 (zh) * 2013-01-23 2014-07-31 厦门惠尔洁卫浴科技有限公司 改进的双控模式的除臭排水阀
CN105201057A (zh) * 2014-05-27 2015-12-30 北京莱比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CN105839748A (zh) * 2016-05-13 2016-08-10 冀文文 马桶用气体净化装置及其与马桶的连接方法
CN108283454A (zh) * 2017-08-24 2018-07-17 佛山市赛格卫浴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功能的马桶盖
CN109853688A (zh) * 2019-01-10 2019-06-07 胡孙玉 一种卫生间除臭装置
CN112807469B (zh) * 2020-12-31 2024-03-29 广东沐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制造的卫生间用可调节除臭盒
DE102021100114A1 (de) * 2021-01-06 2022-07-07 Giuseppe Leo Toilettenvorrichtung
CN113737909A (zh) * 2021-08-03 2021-12-03 同济大学 一种坐便器原位除臭及方法
DE102022109585A1 (de) 2022-04-20 2023-10-26 Giuseppe Leo Toilet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592A (en) * 1933-07-27 1935-05-14 Macy O Teetor Ventilator attachment for toilet seats
US2009054A (en) * 1934-11-13 1935-07-23 Brann A Mooney Ventilator for toilet bowls
US4044408A (en) * 1976-09-27 1977-08-30 Pearson Raymond H Deodorizing accessary for water closets
US4251888A (en) * 1979-04-20 1981-02-24 Turner William F Ventilating toilet seat
GB2143872A (en) * 1983-07-26 1985-02-20 John Headley Billing Ventilating W.C. p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1192A1 (en) 1989-09-06
KR890014846A (ko) 1989-10-25
EP0331192B1 (en) 1992-04-15
DE68901201D1 (de) 199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210B1 (ko)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JP5684068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4057772B2 (ja) 簡易トイレ用消臭装置および消臭装置付き簡易トイレ
JP2523158B2 (ja) 便所装置
JP2003116396A (ja) ペット用ボックス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KR20040086874A (ko)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CA2257212C (en) Purifying agen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urifying agent, and purifying method using the agent
JPH1096253A (ja) 便器用脱臭装置
KR960010614Y1 (ko) 변기의 위생제어장치
JPH01304232A (ja) トイレ脱臭方法
KR0129517B1 (ko) 좌변기의 탈취장치
KR200316420Y1 (ko)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19990032244U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303497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 장치
CN212689173U (zh) 排便系统和排便装置
JP2004024180A (ja) 脱臭機能付きペット用ボックス
JPH063898Y2 (ja) 便器の脱臭装置
KR200335725Y1 (ko) 향발산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탈취장치
JP5938567B2 (ja) 衛生洗浄装置
JP2570073Y2 (ja) 脱臭装置を有するトイレ装置
JPH03290538A (ja) トイレ用脱臭装置
JPH03180633A (ja) 残オゾン処理部を有するオゾン脱臭装置付便器
KR20220010080A (ko) 비데의 살균 및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