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420Y1 -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 Google Patents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420Y1
KR200316420Y1 KR20-2003-0008289U KR20030008289U KR200316420Y1 KR 200316420 Y1 KR200316420 Y1 KR 200316420Y1 KR 20030008289 U KR20030008289 U KR 20030008289U KR 200316420 Y1 KR200316420 Y1 KR 200316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air flow
odor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메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메르
Priority to KR20-2003-0008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 시에 변기통 내의 배설물에서 발산하는 악취를 강제 순환시켜 분해·제거하면서도 마사지, 온열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상,하시트로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갖는 좌변시트; 좌변시트의 뒤쪽에 연접되어 변기통 내의 악취를 안내하는 공기흡입관; 용변자의 착석 유무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수단; 좌변시트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편심회전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 공기유로관 내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수단; 좌변시트의 상측시트 표면에 배열되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 공기유로관의 전면에 취부되어 마사지, 온열 찜질, 탈취기능을 선택하며 송풍팬, 음이온발생수단의 휴지 및 가동시간을 설정하는 조작패널; 착좌감지수단 및 조작패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진동수단, 적외선램프,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의 구동을 선택적 및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용변 시에 악취제거 및 방향효과와 더불어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고, 평상시에는 화장실 내부에 공기정화기와 방향기를 설치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Multi-Function Toilet Stool Seat Cover}
본 고안은 가정,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주거공간에 설치되는 수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 시에 변기통 내의 배설물에서 발산하는 악취를 강제 순환시켜 분해·제거하면서도 마사지, 온열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 평상시에는 주기적으로 화장실 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공기정화기와 방향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발달로 공동주택 및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이 대량으로 늘어나면서 주거형태는 물론 화장실 문화도 변화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 일반 숙박업소 및 호텔 등의 주거공간 내에 보다 기능이 다양화된 수세식 좌변기가 설치되어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구조는 대체적으로 물을 담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사람이 앉아서 변을 볼 수 있는 좌변시트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배수관으로 배출하는 터브(tub)형상의 변기통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양변기의 구조는 용변시 분뇨에서 발산되는 악취가 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해서 대기중으로 빠져나와 실내로 확산되어 상당시간 잔존하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사람은 물론 후속 사용자에게도 상당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에는 양변기 사용에 따른 악취 발생을 제거하기 위해 대부분 환풍 시설이 구비되어 있으며, 부가적으로 중화제 또는 방향제가 화장실의 내벽에 별도의 용기에 넣어져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환풍 시설이나 중화제 또는 방향제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들을 이용하여 좌변기 사용에 따른 화장실 내의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기란 힘들다.
전술한 화장실에 설치되는 환풍 시설의 경우에 있어서, 화장실을 사용 중인 경우에 사용자가 환풍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좌변기 사용 후 화장실에 상당 시간 잔류하고 있는 악취에 의해 후속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좌변기 사용 후에 환풍기를 어느 일정한 시간동안 가동시켜 놓기도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환풍기의 가동상태를 계속 주시하고 있다가 가동을 중지시켜 주어야 함으로써, 이는 필요이상의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고, 또한 환풍기의 가동시간을 주시하였다가 중지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사용자의 배려와 전력의 낭비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용변 후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중화제 또는 방향제를 뿌리기도 하지만 그 중화제 또는 방향제만을 가지고 분료에서 발생하여 실내에 잔류하는 악취를 희석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존발생기를 변기통 외부에 설치한 좌변기가 안출되어 제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좌변기는 용변 시에 오존발생기가 작동되어 그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통풍구를 통해 변기통 내부로 방출되어 탈취효과와 살균효과를 얻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좌변기는 용변 때에만 오존발생기가 작동함으로써, 평상 시에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악취 또는 용변 후에 화장실에 잔존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정화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탈취 및 살균효과가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오존발생에 따른 탈취 및 살균효과를 얻은 기능에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좌변기용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악취제거와 더불어 여러 기능이 부여되는 기능성 변기시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좌변기 사용에 따른 화장실 내의 악취제거와 방향효과를 주어 항상 쾌적한 화장실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변기시트 커버는 용변 시에 변기통에서 발산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1차 및 2차 필터링과정을 통해 분해·제거하여 자연향으로 치환·배출하고, 평상시에는 주기적으로 음이온을 발생하여 화장실 내의 악취를 탈취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변 시 악취제거와 더불어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변기시트 커버는 용변 시에 구동하는 진동수단과 적외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일반 수세식 좌변기에 착탈 방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변기시트 커버는 여과장치, 송풍팬 및 음이온 발생기, 진동수단 및 적외선램프를 하나로 조합 구성하여 통상의 좌변기에 보다 손쉽게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좌변기의 시트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와 변기통을 측방향에서 바라다 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공기유로관에 취부된 조작패널을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변시트 101 : 공기유로관
103 : 제1 여과부 104 : 제2 여과부
106 : 제어반 107 : 조작패널
108 : 인체감지센서 109 : 착좌스위치
110 : 송풍팬터 111 : 진동모터
112 : 적외선 램프 113 : 음이온발생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는, 변기통의 뒤쪽 상부면에 위치한 공기유로관 내에 송풍팬이 설치되어 악취를 강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악취를 여과수단에서 정화시켜 배기시키는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1) 상,하측 시트로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기유로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변시트; (2) 상기 변기통의 세척수로의 방향에 대해 상기 좌변시트의 뒤쪽 하부면 중앙과 공기유로관에 연접되어 상기 변기통 내의 악취를 흡입·안내하는 공기흡입관; (3) 상기 좌변시트에 대해 용변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착좌감지수단; (4)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에 서로가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변시트를 편심회전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 (5) 상기 공기유로관 내의 배기구쪽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수단; (6) 상기 좌변시트의 상측시트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적외선을 방사하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7) 상기 공기유로관의 전면에 취부되어 안마기능, 찜질기능, 탈취기능 등을 선택하고 상기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의 휴지 및 가동주기를 설정하는 조작패널; 및 (8) 상기 공기유로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착좌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착좌신호 및 상기 조작패널의 각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 다수의 적외선램프,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의 구동을 선택적 및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조작패널에서 설정된 동작주기를 카운트 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서 계수한 휴지 및 가동주기로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을 주기적으로 가동 및 정지시키며 상기 착좌감지수단의 착좌신호 및 조작패널의 키이 입력에 따라 상기 송풍팬, 진동수단, 다수의 적외선 램프 및 음이온발생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샤프트 양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편심회전을 하여 상기 변기통에 대해 상기 좌변시트를 좌우로 진동시키는 편심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착좌감지수단이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 적소에 설치되어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스위칭되는 착좌스위치와, 상기 공기유로관의 전면에 취부되어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으로 용변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용변 시에 변기통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1차 및 2차 여과수단에서 정화시킴과 아울러 진동수단 및 적외선 램프가 구동하여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제공하고, 평상시에는 일정 주기로 음이온발생수단과 송풍팬 만이 구동하여 화장실내의 악취를 탈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용변 시에 악취제거와 더불어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평상시에도 주기적으로 음이온이 화장실 전체에 방출되어 악취를 탈취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 공간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세식 좌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을 담아 저장하는 물탱크(116)와,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은 후 세척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로 상기 배설물을 세척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하여 주는 터브형상을갖는 변기통(115)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사람이 앉아서 변을 볼 수 있도록 상, 하측 시트로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는 좌변시트(100)와, 좌변시트(100)를 덮어주거나 열어주는 시트커버(114)와, 변기통(115)의 세척수로의 방향에 대해 좌변시트(100)의 뒤쪽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공기를 유입받는 공기흡입관(102))과, 좌변시트(100)의 후방향에 대하여 변기통(115)의 뒤쪽 상부면에 폭방향으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그 일단부가 공기흡입관(102)과 연접되어 타단부에 형성된 배기구(101a)로 공기를 안내 배출하는 "ㄷ"자 형상을 갖는 공기유로관(101)과, 좌변시트(100)의 후단 하부면에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공기유로관(101)에 대해 좌변시트(100)를 회동하도록 결합하여 주는 힌지봉(105)과, 공기유로관(101) 내의 공기 유입구쪽에 설치되어 변기통(101)내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배기구(101a)쪽으로 배출하는 송풍팬(110)과, 공기유로관(101) 내에 배치되어 송풍팬(110)에 의해 강제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분해하여 제거하는 제1 여과부(103)와, 공기유로관(101)의 배기구(101a) 방향쪽에 설치되어 제1 여과부(103)를 통한 공기를 쑥, 솔잎 및 허브와 같은 자연향으로 치환시켜 공기유로관(101)의 배기구(101a)로 배출하는 제2 여과부(104)와, 좌변시트(100)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스위칭되어 착석을 감지하는 착좌스위치(109)와, 공기유로관(101)의 전면 일측에 취부되어 용변자의 착석 유뮤를 적외선 송수신으로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08)와, 좌변시트(100)의 공간부에 서로가 대향하게 설치되어 좌변시트(100)를 진동모터(111)의 구동에 따른 편심캠(111a)의편심 회전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과, 공기유로관(101) 내의 배기구(101a)쪽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113)와, 좌변시트(100)의 상측시트 표면의 둘레를 따라 서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112)와, 공기유로관(101)의 전면에 취부되어 마사지 기능키(107), 적외선램프설정키(107d), 음이온설정키(107e)를 통해 안마기능, 온열 찜질기능, 탈취기능을 선택하고 송풍팬(110) 및 음이온발생부(113)의 동작주기를 주기시간 설정키(107a), 가동시간 조정키(107b)로 설정 입력하는 조작패널(107)과, 공기유로관(101)의 내의 공기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인체감지센서(108) 또는 착좌스위치(109)에서 감지한 착좌신호 및 조작패널(107)의 각 기능키 입력에 따라 진동모터(111), 다수의 적외선램프(112), 송풍팬(110) 및 음이온발생부(113)의 구동을 선택적 및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10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반은 조작패널(107)에서 설정된 동작주기를 카운트 하는 타이머(106c)와, 타이머(106c)에서 계수한 동작주기로 송풍팬(110) 및 음이온발생부(113)를 주기적으로 가동 및 정지시키고 또한 상기 착좌신호 및 조작패널(107)의 키이 입력에 따라 송풍팬(110), 진동모터(111), 다수의 적외선 램프(112) 및 음이온발생부(113)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와,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6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반의 전원공급부(106b)로부터 동작전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용변자가 좌변기의 시트커버(114)를 열고 좌변시트(100)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고자 할때, 공기유로관(104)의 전면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108) 또는 좌변시트(100)의 공간부에 설치된 착좌스위치(109)와 같은 착좌감지수단이 용변자의 착좌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반(106)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에 공급한다.
여기서, 착좌감지수단의 인체감지센서(108)는 적외선의 송, 수신으로 용변자의 착석상태를 감지하고, 착좌스위치(109)는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스위칭되는 원리로 착석유무를 감지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용변자가 좌변시트(100)에 착석한 상태에서 공기유로관(101)의 전면 일측에 취부된 도 6과 같은 조작패널(107)의 마사지 기능키(107c), 적외선램프 설정키(107d) 및 음이온 설정키(107e)를 임의로 선택하여 누르면 도 5에 나타내는 제어반(106)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는 상기 선택된 기능에 따라 송풍팬(110)과 진동수단의 진동모터(11), 적외선 램프(112) 및 음이온발생부(11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의 제어에 의해 송풍팬(110)이 회전함에 따라 변기통(115) 내에서 발생된 배설물의 악취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통(115)의 세척수로의 방향에 대해 좌변시트(100)의 뒤쪽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공기흡입관(102)을 통하고 또한 좌변시트(100)와 일체로 이루어진 공기유로관(101)으로 흡입되게 된다.
전술한 송풍팬(105)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유로관(101)으로 흡입된 악취는 송풍팬(110)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공기유로관(101)의 안내를 받아 배기구(101a) 쪽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배출방향에 대해 공기유로관(101) 안에는 숯과 활성탄이 채워진 제1 여과부(103)와 쑥, 솔잎 및 허브가 채워진 제2 여과부(104)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흡입된 공기중의 악취가 제1 여과부(103)의 숯 및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분해, 제거되고 또한 제2 여과부(104)를 통과하면서 자연향으로 치환된 후에 음이온발생부(113)에서 발생된 음이온과 함께 배기구(101a)로 배출되어 화장실 내부 전체로 방출됨으로써, 삼림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에서 담배를 피울 경우에도 탁월한 탈취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좌변시트(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인체와 접촉하고 있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11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의 제어에 의해 적외선을 용변자의 국부에 방사함으로써, 용변 중에 온열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겨울철에 적외선 램프(112)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에 의해 즉시 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적외선에 의한 난방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누릴 수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좌변시트(100)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하게 설치된 진동수단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6a)의 제어에 의해 진동모터(111)가 구동하게 되고, 그 진동모터(111)의 구동에 따른 편심캠(111a)의 편심회전에 의해서 좌변시트(100)가 변기통(115)에 대해 좌우로 진동하여 용변 중에 좌변시트(100)에 눌려있는 피부의 피로를 풀어주고 배변을 도와주어 변비치료에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평상시에 화장실 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탈취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조작패널(107)의 주기시간 설정키(107a)를 조작하여 휴지시간을 설정, 예컨대 선택적으로 15분, 30분, 1시간, 2시간 등으로 설정하고, 또한 가동시간조정키(107b)를 조작하여 송풍팬(110) 및 음이온발생부(113)의 가동시간, 예컨대 상기 휴지시간 마다 대략 3 내지 5분 정도로 가동시간을 설정해 놓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6a)는 타이머(106c)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상기 설정된 휴지시간 이후에 송풍팬(110)과 음이온발생부(113)를 상기 설정된 가동시간 동안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 내의 공기가 공기유로관(101) 내의 제1, 제2 여과부(103)(104)를 통해 정화됨과 아울러 음이온발생부(113)에서 발생된 음이온과 함께 화장실 내부 전체에 걸쳐 방출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이후의 사용자에게 용변의 쾌적감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다기능 좌변시트 커버에 의하면, 용변 시에는 악취제거와 방향효과 및 마사지, 온열찜질효과를 제공하고, 평상시에는 화장실 내부에 공기정화기와 방향기를 설치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용변 시에만 오존발생기가 작동하여 변기통 내의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만이 한정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용변 시에 음이온 발생수단, 송풍팬, 진동수단 및 적외선 램프가 구동하여 악취제거와 함께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제공하고, 평상시에는 음이온발생수단과 송풍팬 만이 일정주기 마다 구동하여 화장실내의 악취를 탈취하게 됨을 알 수가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용변 시에 악취제거 및 방향효과와 더불어 마사지 및 온열 찜질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평상시에는 화장실 내부에 공기정화기와 방향기를 설치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고안기능 변기시트 커버에 의하면, 용변 시에는 악취제거, 방향효과, 마사지(안마) 효과, 온열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리고 평상시에는 화장실 내부에 공기정화기와 방향기를 설치한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쾌적한 화장실 공간의 확보에 의한 후속 사용자의 배려는 물론 기존의 수세식 좌변기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변기통의 뒤쪽 상부면에 위치한 공기유로관 내에 송풍팬이 설치되어 악취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악취를 여과수단에서 정화시키는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1) 상, 하측 두 겹의 시트로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공기유로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좌변시트;
    (2) 상기 변기통의 세척수로의 방향에 대해 상기 좌변시트의 뒤쪽 하부면 중앙과 공기유로관에 연접되어 상기 변기통 내의 악취를 흡입·안내하는 공기흡입관;
    (3) 상기 좌변시트에 대해 용변자의 착석 유무를 감지하는 착좌감지수단;
    (4)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에 서로가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변시트를 편심회전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
    (5) 상기 공기유로관 내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수단;
    (6) 상기 좌변시트의 상측시트 표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수의 적외선 램프;
    (7) 상기 공기유로관의 전면에 취부되어 마사지, 온열 찜질, 탈취기능을 선택하며 상기 송풍팬, 음이온발생수단의 휴지 및 가동시간을 설정하는 조작패널; 및
    (8) 상기 착좌감지수단 및 상기 조작패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 적외선램프,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의 구동을 선택적 및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조작패널에서 설정된 휴지 및 가동시간을 카운트 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에서 계수한 휴지 및 가동시간으로 송풍팬 및 음이온발생수단을 주기적으로 가동 및 정지시키며 상기 착좌감지수단의 착좌신호 및 조작패널의 키이 입력에 따라 상기 송풍팬, 진동수단, 다수의 적외선 램프 및 음이온발생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에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진동모터; 및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샤프트 양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편심 회전을 하여 상기 변기통에 대해 상기 좌변시트를 좌우로 진동시키는 편심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좌감지수단이,
    상기 좌변시트의 공간부 적소에 설치되어 용변자의 하중에 의해 스위칭되는 착좌스위치와, 상기 공기유로관의 전면에 취부되어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으로 용변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20-2003-0008289U 2003-03-20 2003-03-20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200316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89U KR200316420Y1 (ko) 2003-03-20 2003-03-20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89U KR200316420Y1 (ko) 2003-03-20 2003-03-20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220A Division KR20040014052A (ko) 2002-08-09 2002-08-09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420Y1 true KR200316420Y1 (ko) 2003-06-18

Family

ID=4933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89U KR200316420Y1 (ko) 2003-03-20 2003-03-20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4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10Y1 (ko) * 2009-03-19 2010-01-14 최근식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64462Y1 (ko) * 2010-05-19 2013-01-02 이국종 악취 배출 양변기
KR20220073002A (ko) * 2020-11-26 2022-06-03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10Y1 (ko) * 2009-03-19 2010-01-14 최근식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64462Y1 (ko) * 2010-05-19 2013-01-02 이국종 악취 배출 양변기
KR20220073002A (ko) * 2020-11-26 2022-06-03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4660B1 (ko) 2020-11-26 2022-07-25 송기풍 포세식 변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210B1 (ko) 화장실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KR100568252B1 (ko) 양변기의 탈취장치
JP3403723B1 (ja) 空気調節装置
JP2008081928A (ja) 洋風便器装置
JP2004275271A (ja) 洗濯機
KR20100095778A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200316420Y1 (ko)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CN201078017Y (zh) 便器卫生装置
JP2001227026A (ja) トイレ装置
KR20040014052A (ko)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200169267Y1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4057772B2 (ja) 簡易トイレ用消臭装置および消臭装置付き簡易トイレ
KR200427889Y1 (ko)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JP2000121110A (ja) 空気清浄装置
JP6099233B1 (ja) イオン発生装置
KR200196471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H0617465A (ja) トイレ内の脱臭装置
JP7492892B2 (ja) 便器装置
JP3106951U (ja) 酸素発生器および椅子
KR100626200B1 (ko) 화장실 공기 정화기
JP4174892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用脱臭装置付き汚物受け
KR200443128Y1 (ko) 위생 좌변기
JP2926810B2 (ja) 便器用脱臭装置
KR200282630Y1 (ko)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JPH08302784A (ja) トイレ用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