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62Y1 - 악취 배출 양변기 - Google Patents

악취 배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62Y1
KR200464462Y1 KR2020100005274U KR20100005274U KR200464462Y1 KR 200464462 Y1 KR200464462 Y1 KR 200464462Y1 KR 2020100005274 U KR2020100005274 U KR 2020100005274U KR 20100005274 U KR20100005274 U KR 20100005274U KR 200464462 Y1 KR200464462 Y1 KR 200464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toilet
odor
discharge pi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993U (ko
Inventor
이국종
Original Assignee
이국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종 filed Critical 이국종
Priority to KR2020100005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6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2/00Toilet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배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의 용변구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악취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 타 단에 배치되되, 상기 흡기구 타 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외부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장치 및 상기 양변기 내의 용변 배출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흡기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배출 양변기{TOILET DEODORANT STRUCTURE}
본 고안은 악취 배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용변구 내의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화장실 내의 공기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화장실에 가는 것은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생리적 활동이다. 배설물은 당연히 이상한 냄새, 악취 및 심지어 어떤 종류의 음식으로 인하여 받아들일 수 없는 냄새를 갖는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이러한 불편한 냄새는 양변기에 물론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에 퍼지게 되고, 당연히 사용자들이 난처해지고 불쾌해지는 것이다.
요즘은, 아로마 타이저(aroma tizer)를 화장실 내에 배치하는데, 이러한 아로마 타이저는 양변기에 의해 발생 된 악취와 혼합하여 이러한 악취를 커버하기 위한 향기를 발생시키는 제품이다. 아로마 타이저를 사용하여도 화장실은 여전히 악취가 가득 차며, 이러한 악취를 완전하게 제거하기에는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 더구나, 아로마 타이저를 다 소모했을 때 화장실 내에 향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아로마 타이저를 교체해야하는데, 이러한 아로마 타이저는 가격이 높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탈취제로 배설물에 의해 발생 된 악취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양변기 내에 탈취제를 넣어 사용하기도 하나 이 역시 사용하기 불편하고 또한 가격이 비싸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화장실 외부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화장실 벽에 환풍기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환풍기가 양변기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환풍기의 제거 효과는 제한될 수 있다. 더구나, 양변기를 사용하는 동안 화장실 내에 악취가 가득 차는데, 화장실을 이용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악취를 맡고 있어야 하므로, 탈취효과가 좋다고 말하기도 힘들다. 또한 벽에 배치된 팬과 양변기의 백시트(backseat)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이프를 부가적으로 배치해야하므로, 비교적 좁은 화장실 공간 차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시 용변구 내의 악취를 보다 근본적으로 제거하되, 복잡한 환기 설비에 따른 점유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악취 배출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의 용변구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악취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 타 단에 배치되되, 상기 흡기구 타 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흡기 케이스와, 상기 흡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외부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장치 및 상기 양변기 내의 용변 배출관 내에 마련되며, 상기 흡기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의 시트에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시트 착석이 감지될 경우, 상기 흡기장치가 동작되고, 상기 흡기장치가 동작되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는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상기 흡기구로 흡기되고, 상기 흡기장치를 거쳐 상기 악취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상기 흡기장치와 상기 악취 배출관 사이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로 흡기되는 악취는 상기 탈취 필터를 거쳐 탈취되어 상기 악취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시트 이탈이 감지될 경우,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상기 흡기장치를 수동으로 온, 오프 할 수 있는 수동 환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 환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 할 경우, 상기 흡기장치가 동작되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기되고, 상기 수동 환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오프 할 경우,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온 되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를 흡기할 경우, 상기 흡기구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오프될 경우, 상기 흡기구는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악취 배출관은, 상기 악취 배출관의 끝단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 및 상기 악취 배출관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상단이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판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장치가 온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을 개방시켜 흡기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흡기장치가 오프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가 사라져 상기 회전판이 상부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판의 상면이 상기 지지돌기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판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구는, 양변기의 용변구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변구의 일측과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을 관통하는 흡기공 및 상기 흡기공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흡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판들은, 상기 흡기판의 일측이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양변기의 용변구 내에 흡기구를 마련하고, 외부로 용변을 배출하는 용변 배출관 내에 흡기구와 연결되는 흡기장치와 흡기장치를 통해 흡기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관을 마련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며 복잡한 환기 설비에 따른 점유된 공간을 절약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에서 양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에서 양변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를 통해 용변구 내의 악취가 악취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양변기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에서 양변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에서 양변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는, 양변기(100)에 착석 감지부(110), 흡기구(120), 흡기 케이스(123), 흡기장치(130), 탈취 필터(140), 악취 배출구(150) 및 수동 환기 스위치(170)를 포함한다.
양변기(100)는,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보통의 양변기로, 용변구(112)에 배출된 용변이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의 용변 저장통 또는 하수도 등으로 배출되게 하는 양변기이며, 상기 사이판 수로 방식으로 용변을 배출하는 구조는 보통의 양변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착석 감지부(110)는 양변기(100)의 시트(111) 하단에 마련되는데,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착석 감지부(110)는 보통 압력센서와 같은 센서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흡기구(120)는 흡기공(125a) 및 흡기판(125)을 포함한다.
흡기공(125a)은 양변기(100)의 용변구(112)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용변구(112)의 일측과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18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기판(125)은, 흡기공(125a) 내측에 다수개가 각각 배치되는데, 각각의 흡기판(125)들의 일측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기판(125)들의 일측이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 용변구(112)의 내의 용수가 흡기구(120)를 통해 후술할 흡기장치(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흡기구(120)는, 양변기(100)의 용변구(112)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 악취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흡기구(120)는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에서, 에어콘 배출구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흡기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터 장치(121)에 연결되어 있어 후술할 흡기장치(130)가 온 될 경우, 제 2 모터 장치(121)가 동작하여 흡기판(125)들이 상부로 움직여 흡기구(120)를 개방하고, 후술할 흡기장치(130)가 오프 될 경우, 제 2 모터 장치(121)가 동작하여 자동으로 흡기판(125)이 하부로 움직여 흡기구(120)를 닫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술할 흡기장치(130)의 온, 오프 여부에 따라 흡기구(120)가 개방되고 닫히는 구성은 환기장치, 에어콘 배출구와 같은 환기, 공조 시스템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통 흡기구(120)는 흡기판(125)들의 일측이 하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을 경우에는, 흡기판(125)들을 완전히 닫거나, 사용자가 착석했을 경우, 흡기판(125)을 개방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흡기 케이스(123)는 흡기구(120) 뒤 측에 배치되되,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180)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120) 뒤 측을 커버하는 케이스이다. 즉 흡기 케이스(123)는 흡기구(120) 뒤 측의 용변 배출관(180)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된다.
흡기장치(130)는 흡기 케이스(123)의 하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흡기장치(130) 내에는 제 1 모터 장치(131)가 마련된다. 제 1 모터 장치(131)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도록 형성된 흡기 날개(132)가 마련되어 있어 제 1 모터 장치(131)가 동작 될 경우, 흡기 날개(132)가 회전하여 용변구(112) 내의 공기(악취)를 흡기구(120)를 통해 흡기하는 것이다.
즉, 흡기장치(130)는 모터 동작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구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장치는 환기 시스템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악취 배출관(150)은 흡기장치(130) 하단에 연결되고, 양변기(100)의 용변 배출관(180) 내에 마련된다. 용변 배출관(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펀 수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악취 배출관(150)은 사이펀 수로 형태로 형성된 용변 배출관(180) 내에 마련되도록, 유연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취 배출관(150)의 끝단 내측에 지지돌기(151)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회전판(152)이 마련되어 있는데, 회전판(152)은 회전판(152) 상단이 지지돌기(151)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악취 배출관(150)은 흡기장치(130)가 온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판(152)이 하부로 회전하여 회전판(152)이 개방되어 흡기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흡기장치(130)가 오프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가 사라지게 되고, 흡기되는 공기가 사라지면 회전판(152)은 다시 상부로 회전하는데, 회전판(152)의 상면이 지지돌기(151)의 하면에 지지되어 회전판(152)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탈취 필터(140)는 흡기장치(130)와 악취 배출관 사이에 배치되며, 흡기구(120)로 흡기되는 악취는 탈취 필터(140)를 거쳐 탈취되어 악취 배출관(150)으로 배출되는데, 탈취 필터(140)는 선택적으로 배치하거나, 배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동 환기 스위치(170)는, 흡기장치(130)를 수동으로 온, 오프 할 수 있는 스위치로, 양변기(10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수동 환기 스위치(170)를 수동으로 온 할 경우, 흡기장치(130)가 동작되어 용변구(112) 내의 악취는 흡기구(120)를 통해 흡기되고, 수동 환기 스위치(170)를 수동으로 오프 할 경우, 흡기장치(13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에서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착석 감지부(110),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는 제어부(19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92)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변기(100) 내에 설치되며, 전원부(19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착석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92)는 수동 환기 스위치(170)가 온 될 경우, 마찬가지로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를 동작시키고, 수동 환기 스위치(170)가 오프 될 경우에는,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장치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를 통해 용변구 내의 악취가 악취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양변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양변기(100)의 시트(111)에 착석하면, 착석 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착석이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제어부(192)로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192)는 제 1 모터 장치(131) 및 제 2 모터 장치(121)를 동시에 동작시켜 흡기구(120)를 개방시키고, 흡기장치(130)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 1 모터 장치(131)가 동작하여 제 1 모터 장치(131)의 일측에 마련된 날개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날개의 회전에 의해 용변구(112) 내의 공기(악취)를 흡기구(120)를 통해 흡기한다. 그러면 제 1 모터 장치(131)를 통해 흡기되는 공기는 악취 배출관(15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데, 악취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악취는, 흡기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판(152)이 하부로 회전하여 회전판(152)이 개방될 때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시트(111)에서 일어설 경우, 제어부(192)는 이를 감지하여, 제 2 모터 장치(121)를 오프하여 흡기구(120)를 닫게 하고, 흡기장치(130)를 오프하여 제 1 모터 장치(13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악취 배출관(150)으로 흡기되는 공기가 사라지게 되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회전판(152)은 다시 상부로 회전하는데, 회전판(152)의 상면이 지지돌기(151)의 하면에 지지되어 회전판(152)은 닫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수동 환기 스위치(170)를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흡기장치(130)를 통해 흡기되는 악취를 악취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곧바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며 복잡한 환기 설비에 따른 점유된 공간을 절약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배출 양변기
110 : 착석 감지부 120 : 흡기구
125 : 흡기 케이스 130 : 흡기장치
140 : 탈취 필터 150 : 흡기관
160 : 악취 배출관 170 : 수동 환기 스위치

Claims (7)

  1.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의 용변구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악취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기구;
    상기 흡기구 뒤 측에 배치되되,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 뒤 측을 커버하는 흡기 케이스;
    상기 흡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를 흡입하는 흡기장치; 및
    상기 양변기 내의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 내에 마련되되, 상기 흡기장치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상기 용변 배출관에 담긴 용수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배출관은,
    상기 악취 배출관의 끝단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 및 상기 악취 배출관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상단이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장치가 온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하부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을 개방시켜 흡기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흡기장치가 오프 될 경우, 흡기되는 공기가 사라져 상기 회전판이 상부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판의 상면이 상기 지지돌기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판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의 시트에 사용자 착석 시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착석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석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시트 착석이 감지될 경우, 상기 흡기장치가 동작되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기되고, 상기 흡기장치를 통해 흡기된 상기 악취가 상기 악취 배출관을 통해 상기 용변 배출관에 담긴 용수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장치와 상기 악취 배출관 사이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로 흡기되는 악취는 상기 탈취 필터를 거쳐 탈취되어 상기 용변 배출관에 담긴 용수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장치를 수동으로 온, 오프 할 수 있는 수동 환기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동 환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 할 경우, 상기 흡기장치가 동작되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기되고,
    상기 수동 환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오프 할 경우,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온 되어 상기 용변구 내의 악취를 흡기할 경우, 상기 흡기구는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흡기장치의 동작이 오프될 경우, 상기 흡기구는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양변기의 용변구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용변구의 일측과 사이펀 수로 형태의 용변 배출관을 관통하는 흡기공; 및
    상기 흡기공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다수개의 흡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판들은, 상기 흡기판의 일측이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 양변기.
KR2020100005274U 2010-05-19 2010-05-19 악취 배출 양변기 KR200464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74U KR200464462Y1 (ko) 2010-05-19 2010-05-19 악취 배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74U KR200464462Y1 (ko) 2010-05-19 2010-05-19 악취 배출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93U KR20110010993U (ko) 2011-11-25
KR200464462Y1 true KR200464462Y1 (ko) 2013-01-02

Family

ID=7288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274U KR200464462Y1 (ko) 2010-05-19 2010-05-19 악취 배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983B1 (ko) * 2015-05-28 2022-07-1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2419984B1 (ko) * 2015-06-01 2022-07-1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KR102398940B1 (ko) * 2020-06-22 2022-05-1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52Y1 (ko) * 2001-04-27 2001-10-12 임현기 환풍기의 자동셔터
KR200316420Y1 (ko) * 2003-03-20 2003-06-18 주식회사 오메르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200360136Y1 (ko) * 2004-05-28 2004-08-31 백세기 좌변기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52Y1 (ko) * 2001-04-27 2001-10-12 임현기 환풍기의 자동셔터
KR200316420Y1 (ko) * 2003-03-20 2003-06-18 주식회사 오메르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200360136Y1 (ko) * 2004-05-28 2004-08-31 백세기 좌변기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93U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US2009005600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JP3119811U (ja) 消臭機能付き便器装置
JP4800982B2 (ja) 空気循環を備えたトイレ用シート
KR200464462Y1 (ko) 악취 배출 양변기
JP4928888B2 (ja) 洋風便器装置
US20080307570A1 (en) Toilet odor elimination device
KR20110054379A (ko)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US8209787B2 (en) Toilet seat cover having air treatment system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200427889Y1 (ko)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100071633A (ko) 냄새 배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JP2001348935A (ja) 脱臭機能付きトイレ装置
JP4094314B2 (ja) 脱臭装置の制御方法
JP2001107419A (ja) 便器脱臭装置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KR101951603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냄새배출시스템
KR20110126946A (ko) 양변기용 환기장치
KR200480645Y1 (ko)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JP3118962B2 (ja) 防臭装置
JP2577119Y2 (ja) 室内暖房及び消臭機能付き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