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45Y1 -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 Google Patents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45Y1
KR200480645Y1 KR2020150001482U KR20150001482U KR200480645Y1 KR 200480645 Y1 KR200480645 Y1 KR 200480645Y1 KR 2020150001482 U KR2020150001482 U KR 2020150001482U KR 20150001482 U KR20150001482 U KR 20150001482U KR 200480645 Y1 KR200480645 Y1 KR 200480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exhaust pipe
us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광회
Original Assignee
허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광회 filed Critical 허광회
Priority to KR2020150001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 사용시 냄새와 화장실내 공기오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생성된 냄새를 화장실 외부로 유출하고, 물 내림과 변기 변좌커버(26)의 개폐를 동시에 실시하여 청결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제거를 위한 흡입구(12)와 흡입된 공기를 연결하는 배기관(16)과 공기의 흡입 및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18)으로 구성된 배기부(10), 변기 사용후 동시에 배수와 변기 커버를 덮는 페달부(20), 상기 배기부(10)의 실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변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악취와 실내 대기중으로 퍼지는 오염 물질을 방지하여 화장실 이용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Bathroom internal air pollution prevention toilet}
본 고안은 변기 사용시 발생되는 악취와 화장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생성된 냄새를 화장실 외부로 유출하고, 물 내림과 변기 변좌커버의 개폐를 동시에 실시하여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화장실내 대기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변기는 재래식·소변기, 양식 변기(대소변 겸용)가 있으며 재래식 변기에는 수세식과 급취식이 있고, 양식변기는 모두 수세식이다.
본 고안은 양식변기(이하 '변기'라한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용변 후 노폐물 처리를 위한 위생기구로 용변을 수용 및 배출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수용된 용변을 수압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 내부에서 본체로의 물 배출을 제어하는 수세장치로 구성되고 일반 가정과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화장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변기는 사용자 용변 시 악취가 올라와 오염된 냄새를 내며 종래에는 방향제를 뿌리거나 화장실의 측벽이나 천장에 송풍기 및 덕트를 설치하여 냄새를 외부로 유출하였으나 악취를 없애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변기는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마찰력의 분무 작용이 발생되어 대변의 세균과 기존 물 및 변기에 있는 세균이 6~10m나 되는 공간 주위로 퍼지게 되고 칫솔, 샤워기 해드, 수건, 서랍장, 세면대, 벽면, 문손잡이, 전등에 부착되어 각종 피부염과 폐질환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악취와 실내 대기중으로 퍼지는 오염 물질을 방지하여 화장실 이용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는 변기 내의 수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흡입구(12), 상기 흡입구(12)와 배관 연결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연통되기 하는 배기관(16), 상기 배기관은 변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16)을 연결하는 배기관 연결수단(14) 및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18)을 포함하는 배기부(10);와 변좌를 덮을 수 있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변좌커버(26), 물 공급통 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배수레버(24),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배수와 변좌커버(26)의 하강을 동시에 구동하는 페달(22) 및 와이어가 상기 페달(22)에서 변좌커버(26)의 개폐수단(25)과 배수레버(24)로 각각 연결되는 도르래(28)를 포함하는 페달부(20);와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센싱 데이터신호를 MCU(Micro Controller Unit)로 보내고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는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기부가 구동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된다.
흡입구(12)는 변기 좌석 하단에서 10cm 이내에 설치하여 물이 배출되었을 때 물의 침투를 막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 내주면에 망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16)은 흡입구(12)와 배관 연결되어 변기 뒷면으로 돌출되고 배기관 연결수단(14)으로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 되어있는 배기관(16)과 연결되며, 화장실 벽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 환기팬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보낸다.
상기 배기관 연결수단(14)은 유연성이 있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부(20)는 사용자가 용변이 끝난 뒤 변기 정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에 배치되는 페달(22)에 힘을 가하면 변기 내 도르래(28)로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배수레버(24)가 당겨져 배수마개가 개방되어 상기변기로 배수되고 동시에 개폐수단(25)이 변좌커버(26)를 밀어 하강되면서 변기내부의 오염물질이 화장실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가 완료된 후 배수레버(24)와 개폐수단(25)은 원래 위치로 돌아가며 변좌커버(26)는 변좌에 덮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변좌커버(26)의 변좌와 맞닿는 부위에 완충패드(29)가 부착되어 개폐수단(25)에 의하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변좌가 덮어질 때 충격이 완화된다.
상기 제어부(30)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환기팬(18)이 작동되어 오염된 공기가 흡입구(12), 배기관(16) 및 환기팬(18)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변기시트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변기 좌석에 착좌하면 변기에 구비된 환기장치 동작이 실시되고 용변을 마친 후 사용자의 인체감지가 없어지면 작동이 종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안에 의한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 또는 그 이외의 목적으로 화장실을 사용시 변기로부터 발생된 악취와 오염물질에 노출이 없도록 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와 변좌커버의 개폐동작을 실시하는 페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와 급수 및 커버개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인체감지 센서를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명칭은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와 변좌커버의 개폐동작을 실시하는 페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와 급수 및 커버개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장치의 인체감지 센서를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안이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요소로 변기 내의 수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흡입구(12), 상기 흡입구(12)와 배관 연결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연통되게 하는 배기관(16), 상기 배기관은 변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16)을 연결하는 배기관 연결수단(14) 및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18)을 포함하는 배기부(10);와 용변 후 배수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변좌커버(26)의 하강을 동시에 구동하는 페달(22)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16)은 흡입구(12)와 배관 연결되어 변기 뒷면으로 돌출되고 배기관 연결수단(14)으로 벽의 내부 또는 외부에 노출 되어 있는 배기관(16)과 연결되며, 화장실 벽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 환기팬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보내며 상기 배기관 연결수단(14)은 유연성이 있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부(20)는 사용자가 용변이 끝난 뒤 변기 정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에 배치되는 페달(22)에 힘을 가하면 변기 내 도르래(28)로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배수레버(24)가 당겨져 배수마개가 개방되어 상기 변기로 배수되고 동시에 개폐수단(25)이 변좌커버(26)를 밀어 하강되면서 배수의 마찰로 발생된 변기내부의 오염물질이 화장실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가 완료된 후 배수레버(24)와 개폐수단(25)은 원래위치로 돌아가며 변좌커버(26)는 변좌에 덮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변좌커버(26)의 변좌와 맞닿는 부위에 완충패드(29)가 부착되어 개폐수단(25)에 의하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변좌가 덮어질 때 충격이 완화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10)의 흡입구(12)는 변기 좌석 하단에서 10cm 이내에 설치하여 물이 배출되었을 때 물의 침투를 막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12) 내주면에 망을 설치하고 외부 배기관(16)은 환기팬(18)과 배관 연결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센싱 데이터신호를 MCU(Micro Controller Unit)로 보내고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는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기부가 구동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환기팬(18)이 작동되어 오염된 공기가 흡입구(12), 배기관(16) 및 환기팬(18)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변기시트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변기 좌석에 착좌하면 변기에 구비된 환기장치 동작이 실시되고 용변을 마친 후 사용자의 인체감지가 없어지면 작동이 종료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은 고안이라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기부 12 : 흡입구
14 : 배기관 연결수단 16 : 배기관
18 : 환기팬 20 : 페달부
22 : 페달 24 : 배수레버
25 : 개폐수단 26 : 변좌커버
28 : 도르래 29 : 완충패드
30 : 제어부

Claims (9)

  1.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는
    변기 내의 수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흡입구(12), 상기 흡입구(12)와 배관 연결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연통되게 하는 배기관(16), 상기 배기관은 변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16)을 연결하는 배기관 연결수단(14) 및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18)을 포함하는 배기부(10);로 구성되고,
    상기 변기는 변좌를 덮을 수 있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변좌커버(26), 물 공급통 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배수레버(24),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배수와 변좌커버(26)의 하강을 동시에 구동하는 페달(22) 및 와이어가 상기 페달(22)에서 변좌커버(26)의 개폐수단(25)과 배수레버(24)로 각각 연결되는 도르래(28)를 포함하는 페달부(20);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센싱 데이터신호를 MCU(Micro Controller Unit)로 보내고 상기 MCU(Micro Controller Unit)는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기부가 구동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며,
    상기 페달부(20)는 사용자가 용변이 끝난 뒤 변기 정면 좌측 또는 우측 하방에 배치되는 페달(22)에 힘을 가하면 변기 내 도르래(28)로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배수레버(24)가 당겨져 배수마개가 개방되어 상기 변기로 배수되고 동시에 개폐수단(25)이 변좌커버(26)를 밀어 하강되면서 변기내부의 오염물질이 화장실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가 완료된 후 배수레버(24)와 개폐수단(25)은 원래위치로 돌아가며 변좌커버(26)는 변좌에 덮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어부(30)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환기팬(18)이 작동되어 오염된 공기가 흡입구(12), 배기관(16) 및 환기팬(18)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변기시트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변기 좌석에 착좌하면 변기에 구비된 환기장치 동작이 실시되고 용변을 마친 후 사용자의 인체감지가 없어지면 작동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50001482U 2015-03-10 2015-03-10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KR200480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82U KR200480645Y1 (ko) 2015-03-10 2015-03-10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82U KR200480645Y1 (ko) 2015-03-10 2015-03-10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45Y1 true KR200480645Y1 (ko) 2016-06-17

Family

ID=5634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82U KR200480645Y1 (ko) 2015-03-10 2015-03-10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071A (ja) * 1989-12-05 1991-07-31 Yoshino Kogyosho Co Ltd シリンジ筒成形装置とシリンジ筒成形方法
JP3176071B2 (ja) * 1990-12-28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KR20110005712U (ko) * 2009-12-02 2011-06-10 이승연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071A (ja) * 1989-12-05 1991-07-31 Yoshino Kogyosho Co Ltd シリンジ筒成形装置とシリンジ筒成形方法
JP3176071B2 (ja) * 1990-12-28 2001-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可変焦点カメラ
KR20110005712U (ko) * 2009-12-02 2011-06-10 이승연 자동 제어가 가능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JP4800982B2 (ja) 空気循環を備えたトイレ用シート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JP4928888B2 (ja) 洋風便器装置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110054379A (ko)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80645Y1 (ko) 화장실내 공기오염방지 변기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160001264A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KR200464462Y1 (ko) 악취 배출 양변기
KR20080112636A (ko) 자동위생변기장치
KR101270214B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US8719970B2 (en) Odor ventilation system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CN211341042U (zh) 吸气除臭便器
GB2525017A (en) Self venting toilet
JP2022027402A (ja) トイレ便座の臭気対策装置
EP3145380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US8136172B1 (en) Scented toilet seat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