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84B1 -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84B1
KR102419984B1 KR1020150077403A KR20150077403A KR102419984B1 KR 102419984 B1 KR102419984 B1 KR 102419984B1 KR 1020150077403 A KR1020150077403 A KR 1020150077403A KR 20150077403 A KR20150077403 A KR 20150077403A KR 102419984 B1 KR102419984 B1 KR 10241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user
fan
toile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923A (ko
Inventor
황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5007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온수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면, 탈취 장치의 흡기 팬 및 배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bidet having a deodor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수 세정기는 화장실의 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 후 뒷처리를 도와주는 장치이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상기 변기와 결합하는 세정 몸체 및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상기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에서는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악취 제거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4675호 (공개일 2014.03.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기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기 내의 공기를 빠르게 탈취할 수 있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면, 탈취 장치의 흡기 팬 및 배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착좌 및 상기 사용자의 이탈은 착좌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을 감지하고, 상기 변기 내의 소리를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변기 내의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증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감소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리가 시간이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에 따라 변기 내의 공기가 빠르게 탈취 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탈취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세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 하부 몸체에 결합된 탈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와 탈취 장치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개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다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도 1은 변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세정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 하부 몸체에 결합된 탈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탈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하부 몸체와 탈취 장치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세정 몸체(100), 버튼 조작부(200), 변좌 시트(300), 변좌 커버(400) 및 세정 노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변기(TB)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상기 세정 몸체(100)에 의해 상기 변기(TB)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 몸체(100)는 상기 변기(TB)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하부 몸체(110) 및 상부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10)는 상기 변기(TB)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상기 하부 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10)는 흡기 영역(111, 112, 113) 및 배기 영역(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영역(111, 112, 113)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기 영역(115)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하부 몸체(110)가 바닥면에 위치하는 흡기 영역(111, 112, 113) 및 측면에 위치하는 배기 영역(115)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흡기 영역(111, 112, 113)이 하부 몸체(110)의 측면에 위치하고, 배기 영역(115)이 하부 몸체(11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흡기 영역(111, 112, 113) 및 배기 영역(115)이 모두 하부 몸체(110)의 바닥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흡기 영역(111, 112, 113) 및 배기 영역(115)가 모두 하부 몸체(110)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흡기 영역(111, 112, 113) 및 배기 영역(115)가 모두 상부 몸체(1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흡기 영역(111, 112, 113)과 배기 영역(115)이 각각 하부 몸체(110) 및 상부 몸체(12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흡기 영역(111, 112, 113)이 하부 몸체(110)에 위치하고, 배기 영역(115)이 상부 몸체(120)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기 영역(111, 112, 113)은 내측 흡기 영역(111),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 및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은 상기 변기(TB)의 내부 공간(TS)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은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과 수직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은 적어도 하나의 내측 흡기구(111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흡기구(111h)는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 및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은 상기 변기(TB)의 테두리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외측 흡기구(112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구(112h) 중 일부는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구(112h) 중 일부는 상기 변기(T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TB)의 테두리는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흡기구(112h)의 단면 형상은 상기 내측 흡기구(111h)의 단면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외측 흡기구(112h) 및 상기 내측 흡기구(111h)는 서로 길이가 다른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은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과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보다 상기 하부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TB)의 테두리는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외측 흡기구(113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 중 일부는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 중 일부는 상기 변기(T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기(TB)의 테두리는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은 상기 내측 흡기구(111h)의 단면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 1 외측 흡기구(112h)의 단면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하부 몸체(110)가 내측 흡기 영역(111),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 및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하부 몸체(110)가 내측 흡기 영역(111)과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 또는 내측 흡기 영역(111)과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하부 몸체(110)가 내측 흡기 영역(111),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 및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내측 흡기구(111h), 제 1 외측 흡기구(112h) 및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제 1 외측 흡기구(112h)와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내측 흡기구(111h), 제 1 외측 흡기구(112h) 및 상기 제 2 외측 흡기구(113h)의 단면 형상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몸체(100)는 착좌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좌 센서(150)는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버튼 조작부(200)를 통해 상기 세정 노즐(500)의 위치, 상기 세정 노즐(500)에 의해 분사되는 온수의 온도 및 상기 변좌 시트(3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2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좌 시트(300)는 착선된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변기(TB)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시트(3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을 가리거나 오픈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커버(400)는 상기 세정 몸체(100)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00)은 상기 버튼 조작부(20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으로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00)은 상기 세정 몸체(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노즐(500)은 상기 변기(TB)의 상기 내부 공간(TS)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몸체(110)는 상기 세정 노즐(500)이 통과하는 노즐 홀(110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는 상기 변기(TB) 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는 상기 세정 몸체(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장치(600)는 상기 하부 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10)는 상기 탈취 장치(6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가이드(110g) 및 고정 돌기(1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는 흡기 팬(610), 배기 팬(620), 탈취 덕트(630) 및 탈취 필터(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고정 돌기(110c)와 결합되는 고정 홀(600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흡기 영역(111, 112, 113)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 팬(610)은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변기(TB) 내의 공기는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상기 탈취 장치(6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은 진동 및 소음이 작은 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 팬(610)은 사각 팬일 수 있다.
상기 배기 팬(620)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배기 영역(115)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기 팬(6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기 팬(620)은 진동 및 소음이 작은 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 팬(620)은 사각 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탈취 장치(600)가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변기(TB) 내의 공기가 빠르게 탈취 장치(60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탈취 장치(600)가 변기(TB) 내의 악취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탈취 장치(600)가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며, 변기(TB) 내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탈취 장치(600)에 의한 변기(TB) 내의 악취 제거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 팬(620)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은 상기 탈취 덕트(630)의 양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하부 몸체(1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부 영역을 덮는 커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몸체(110) 및 상기 탈취 덕트(6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 팬(6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흡기 영역(111, 112, 113)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내측 흡기 영역(111), 상기 제 1 외측 흡기 영역(112) 및 상기 제 2 외측 흡기 영역(113)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은 상기 탈취 덕트(6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덕트(630)는 상기 흡기 팬(610)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탈취 필터(640)는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상기 탈취 장치(600) 내로 흡입된 공기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탈취 필터(640)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 팬(6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탈취 필터(640)는 상기 탈취 덕트(6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필터(640)는 상기 배기 팬(62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필터(640)는 합성 제오라이트 또는 카본 성분의 촉매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탈취 장치(600)는 배기 플레이트(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플레이트(650)는 외부 환경에 의한 상기 배기 팬(6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 플레이트(650)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650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필터(640)에 의해 탈취된 공기는 상기 배기구(650h)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기 배기 영역(115)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포함하는 탈취 장치(600)에 의해 사용자의 용변 시 악취가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으로 사각 팬을 사용하여, 탈취 장치(60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탈취 장치(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 상태는 상기 탈취 장치(600)의 흡입 팬(610) 및 배기 팬(620)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착좌 여부는 세정 몸체(100)의 착좌 센서(15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지 않으며, 탈취 장치(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면, 상기 탈취 장치(600)의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구동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이탈 여부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상기 착좌 센서(15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지 않으며,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을 계속 구동하고,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탈취 장치(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을 정지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을 정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착좌 센서(150)를 포함하는 세정 몸체(100), 버튼 조작부(200), 탈취 장치(600) 및 제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는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세정 몸체(100), 상기 버튼 조작부(200) 및 상기 탈취 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취 장치(600)의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착좌 센서(150)의 신호 또는 상기 버튼 조작부(2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을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 조작부(200)를 통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700)는 소리 감지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소리 감지기(710)를 통해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에서는 진동 감지기를 통해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는 압전 소자 등의 진동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감지기(710)는 변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소리 감지기(710)는 상기 세정 몸체(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리 감지기(710)는 변기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리 감지기(710)는 상기 세정 몸체(100)의 바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00)는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60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700)는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 감지기(720) 및 상기 소리 감지기(710)의 신호와 상기 소음 감지기(720)의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730)는 상기 소리 감지부(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에 의한 소음보다 큰 소리인 지, 작은 소리 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비교부(7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600)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00)는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소음 감지기(7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보다 명확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신호 증폭기(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부(740)는 상기 신호 증폭기(740)에 의해 증폭된 상기 소리 감지기(710)의 신호 및 상기 소음 감지기(720)의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탈취 장치(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210),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20), 상기 탈취 장치(600)의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구동하는 단계(S230) 및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좌 여부 및 사용자의 이탈 여부는 세정 몸체(100)의 착좌 센서(15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은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지 않거나,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은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지 않으면, 감지부(7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50)는 소리 감지기(710)를 이용하여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소음 감지기(720)를 이용하여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에 의한 소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비교부(730)에서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와 상기 소음 감지기(720)에 의해 감지된 소음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를 상기 소음 감지기(720)에 의해 감지된 소음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진동 감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소리 감지기(710)에 의해 감지된 소리가 상기 소음 감지기(720)에 의해 감지된 소음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리 감지기(710)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구동에 의한 소음보다 큰 소리를 감지하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증가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증가하는 단계(S260)는 상기 제어부(10)가 상기 감지부(700)의 상기 비교부(730)로부터 상기 소리 감지기(710)의 신호가 상기 소음 감지기(720)의 신호보다 크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10)가 상기 탈취 장치(600)로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 증가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변기 내의 소리와 탈취 장치(600)에 의한 소음을 비교하여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변기 내에서 감지된 소리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했는 지 확인하는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증가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감소하는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감소하는 것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최초 속도로 조절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감소한 후, 사용자의 이탈을 확인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탈취 장치(600)의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다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챠트이다.
도 8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탈취 장치(600)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310),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20), 상기 탈취 장치(600)의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구동하는 단계(S330) 및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지 않으면,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350), 감지된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600)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속도를 증가하는 단계(360) 및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했는 지 확인하는 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 미만이면, 상기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감지된 변기 내의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600)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상기 흡기 팬(610) 및 상기 배기 팬(620)의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은 변기 내에서 탈취 장치(600)에 의한 소음보다 큰 소리가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반드시 설정 시간만큼 흡기 팬(610) 및 배기 팬(620)을 증가된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수 세정기(1)의 제어 방법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하부 몸체
120 : 상부 몸체 150 : 착좌 센서
200 : 버튼 조작부 300 : 변좌 시트
400 : 변좌 커버 500 : 세정 노즐
600 : 탈취 장치 610 : 흡기 팬
620 : 배기 팬 630 : 탈취 덕트
640 : 탈취 필터

Claims (10)

  1.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면 탈취 장치의 흡기 팬 및 배기 팬을 구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용변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조절하되,
    상기 사용자의 용변 상태 판단은 변기내의 소리와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을 감지하면서 상기 변기 내의 소리를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착좌 및 상기 사용자의 이탈은 착좌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착좌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변기 내의 소리가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증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속도를 감소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이 증가된 속도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변기 내의 소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소리가 시간이 상기 탈취 장치에 의한 소음보다 크면, 상기 흡기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KR1020150077403A 2015-06-01 2015-06-01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KR10241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403A KR102419984B1 (ko) 2015-06-01 2015-06-01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403A KR102419984B1 (ko) 2015-06-01 2015-06-01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23A KR20160141923A (ko) 2016-12-12
KR102419984B1 true KR102419984B1 (ko) 2022-07-14

Family

ID=575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403A KR102419984B1 (ko) 2015-06-01 2015-06-01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981459U (zh) * 2018-09-14 2019-06-14 深圳市博电电子技术有限公司 声控式智能马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154A (ja) * 2001-12-18 2003-07-03 Inax Corp 便器脱臭装置
JP2008063897A (ja) *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洋式便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0Y2 (ja) * 1989-01-06 1995-05-1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脱臭便座ボックス
KR200464462Y1 (ko) * 2010-05-19 2013-01-02 이국종 악취 배출 양변기
KR101878905B1 (ko) 2012-08-20 2018-07-1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건조 탈취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154A (ja) * 2001-12-18 2003-07-03 Inax Corp 便器脱臭装置
JP2008063897A (ja) *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洋式便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23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5180A1 (en) Self-propelled movable body, humidity sensor, liquid detection device
KR102419984B1 (ko)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의 제어 방법
JP2007298250A (ja) 自動洗浄給湯装置
KR102419983B1 (ko)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JP5881561B2 (ja) 洗面一体型手乾燥装置
JP4019198B2 (ja) 手乾燥装置
JP6041254B2 (ja) 便座装置
EP3159458B1 (en) Bidet having internal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inside of bidet
JP201509667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6072607B2 (ja) 手乾燥装置
US20180199769A1 (en) Hand dryer device
JP713536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2125375A (ja) 手乾燥装置
KR100784268B1 (ko) 비데 및 비데 제어방법
KR102180145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JP2019167779A (ja) 衛生洗浄装置
JP6726895B2 (ja) 便器装置
JP6205779B2 (ja) 手乾燥装置
JP6726894B2 (ja) 便器装置
JP6041253B2 (ja) 便座装置
WO2018037556A1 (ja) 手乾燥装置および衛生管理システム
KR101392374B1 (ko) 여성 전용 화장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WO2020261371A1 (ja) 手乾燥装置
JP6464959B2 (ja) 浴室乾燥装置
JP7085119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