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596B1 - 흡수체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체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596B1
KR0157596B1 KR1019900701967A KR900701967A KR0157596B1 KR 0157596 B1 KR0157596 B1 KR 0157596B1 KR 1019900701967 A KR1019900701967 A KR 1019900701967A KR 900701967 A KR900701967 A KR 900701967A KR 0157596 B1 KR0157596 B1 KR 015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fabric
longitudinal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36A (ko
Inventor
크뢰머 볼프강
페센도르퍼 프리츠
슈반크 하르트 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맥닐-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닐-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맥닐-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70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5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inner absorbing core
    • A61F13/206Tampons made of rolled-up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 스테이션(A)에서 종방향으로 여러번 절곡되며 외장체 밴드(82)를 가지는 안내 튜브(86)에 둘러싸인 섬유 직물(40)로부터 흡수체(30)의 연속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로 밴드의 종방향 에지는 폐쇄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섬유 직물은 밀폐연속으로 배치되며, 서로에 대해 90°에서 오프셋되는 압착 및 평활 롤러 쌍으로 구성되는 압착 스테이션(C)으로 이송된다. 압착 롤러에 의해 섬유 직물(13)은 플리스 로드(240)를 형성하도록 흡수체(30)의 최종 단면아래로 단계적으로 롤다운된다. 이어서 흡수체(30)는 핀치 롤러(334,338)에 의해 절단 스테이션(D)으로 핀치되며 전단부에서 미리 형성되고 난후 성형 장치로 이송되며 성형 장치에 의해 흡수체(30)가 여성 생리용 탐폰으로 사용될 때 흡수체(30)의 전단부는 둥근돔으로 제공되며 흡수체(30)의 후단부는 삽입 도움으로 압흔부로 제공된다. 본원의 방법 및 장치는 흡수체의 고속의 대량생산을 허용하며 적은 물질을 사용하여 흡수체의 고안정성 또는 버클링 저항을 성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체의 연속 제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 및 제2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형태의 방법 및 장치는 스위스 연방 특허공보 제355,255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직포 롤러(wad roll)는 그 자체가 종방향으로 절곡되고 외장 밴드에 의해서 둘러싸여지며, 상기 외장 밴드의 서로 중첩되는 종방향면은 가열된 압착 롤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후 섬유로드는 탐폰을 형성하기 위해 압착기에서 간헐적으로 압착되어 개별적 길이 부분으로 절단된다. 동시에 상기 외장 밴드는 탐폰용의 재생밴드를 형성한다.
미합중국 특허 공보 제3,523,535호에 공지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 목재펄프층이 점성 섬유의 부직포의 외장 밴드에 공급되며 두 컨베이어 밸트 사이의 상기 로드 재료에 환형 단면을 주는 노즐형 다이로 공급된다, 그 후 로드재료는 테이블위로 안내되는데, 테이블 위에는 상기 로드가 각각 탐폰 길이로 잘리기 전에, 그 형상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로드재료 상에 약간의 압력이 미치는 두 개의 압착 롤러 및 외장 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도포기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탐폰의 필수적인 특성을 유지하며 안정성의 증가 또는 버클링 저항을 갖추며 특히 여성 생리용 탐폰으로 적합한 흡수체의 제조을 위한 고속방법 및 대응 장치를 얻기 위한 것으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및 제21항의 전제부에 따른 흡수체의 연속적인 제조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및 제21항의 특징부에 언급된 특성에 의해서 그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결과로서, 흡수체의 특성은 특별히 의도된 용도와 쉽게 조화된다. 동시에 흡수체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흡수체의 대량 생산에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변화범위는, 예를 들면, 흡수체가 탐폰으로 사용될 때 그러한 탐폰의 흡수율 및 안정성의 증가에 현저하게 기여하는 다른 수의 종방향 홈을 갖추거나 또는 갖추지 않는 흡수체를 제조하며 외장 밴드를 흡수제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장점은 비록 섬유재료를 처리하는 모든 작업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지라도 달성된다. 즉, 그 방법에 있어서 작업주기 또는 간헐적인 처리과정에서의 어떠한 방해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절곡, 외장 밴드 적용, 압착 및 절단 스테이션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섬유 직물의 절곡형태에 대한 평면도.
제3도는 섬유 직물의 제1절곡을 도시하는 제2도의 3-3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섬유 직물의 제2절곡을 도시하는 제2도의 4-4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섬유 직물의 제3절곡을 도시하는 제2도의 5-5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측면 에지가 상기 섬유 직물의 절곡부의 상부면상에 말려진 후, 절곡된 섬유 직물을 나타내는 제2도의 6-6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외장 밴드 적용 스테이션의 정면사시도.
제8도는 상기 압착 스테이션의 정면 사시도.
제9도는 압착 스테이션에서 서로 근접한 롤러쌍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의 배면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따른 가이드의 평면도.
제11도는 상기 가이드의 측면도.
제12도는 상기 가이드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13-13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14-14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제8도의 15-15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제8도의 16-16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17도는 제8도의 17-17 라인을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플리스 로드(fleece rod)가 압착되어질 때 명백한 도해를 위하여 롤러 및 가이드를 제거한 플리스 로드(fleece rod)의 사시도.
제19도는 완성된 흡수체의 사시도.
제20도는 흡수체의 전방 및 후방단부의 형상을 위한 장치의 사시도.
제1도는 흡수체(30), 특히 여성 생리용 탐폰(32)을 연속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방 단부에는 4개의 종방향 홈(31)을 갖는 원주상에 둥근 돔(35)이 제공되고, 후방 단부에는 침하부(depression,33) 및 재생밴드(36)로 제공되며 밴드 단부는 매듭(37)에 의해 연결된다(제19도).
제1도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연속 배치 스테이션, 즉 절곡스테이션(A), 외장 밴드적용스테이션(B), 압착스테이션(C) 및 절단스테이션(D)으로 연속 처리되는 섬유 직물(40)용 저장 롤러(38)로 구성된다.
[절곡 스테이션]
제1도로부터, 연속적인 섬유 직물(40)을 위한 고정된 안내판(42)은 섬유 직물(40)의 진행방향(X)으로 저장 롤러(38)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안내판(42)상에 이격하여 장착된 것은 수직으로 조절가능하며 마찰 결합에 의해 화살표 방향(X)으로 섬유 직물의 연속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순환 컨베이어 밸트(44)이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안내판(42) 대신에 순환 컨베이어 밸트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적어도 컨베이어 밸트중의 하나는 가동될 수 있다. 후술되는 스테이션이나 이에 속하는 장치들과 같이 이들 장치들은 스탠드 부재(46,48)가 있는 스탠드상에 배열된다. 또 상기 안내판(42)은 절곡 스테이션(A)의 하부측 부분상에 연장되고 명료화를 위하여 제1도에서 단순하게 지시되고 있음은 당연하다.
진행방향(X)으로 컨베이어 밸트(44)에 연속으로, 리드판(lead plate;50)이 섬유 직물(40)상에 배치되고 계속해서 절곡판(52)이 배열되고 다음에 회전 가능한 절곡디스크(54)가 배치된다. 제2도에 따른 제1절곡판(52)에 의해서 이동 방향(X)의 우측상의 종방향면(56)은 제1절곡 작업(I)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 방향(X)의 우측상의 섬유 직물(40)의 종방향면(56)은 섬유 직물(40)의 종방향과 평행으로 화살표 방향(a)에 따라 상부쪽으로 둥굴게 절곡되고, 섬유 직물(40)의 상측에 놓여진다. 절곡 작업(I)후에 상기 우측 종방향 에지(58)는 상기 좌측 종방향 에지(60)로부터 섬유 직물(40)의 종방향 중간보다 거리가 크다는 것이 제2도 및 제3도로부터 명백하다. 상기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 직물(40)의 폭은 25cm이다. 이 경우에, 제1절곡부(62)의 폭은 대략 9cm가 적합하다. 상기 섬유 직물(40)의 길이는 제조된 특정 흡수체의 사용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섬유 직물(40)의 폭은 15 내지 40cm의 범위내에 존재할 것이다.
제1, 제2 및 제4도에 있어서, 비록 도면에서는 명료화를 위해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절곡작업(I) 후에는 적합한 절곡판 및 절곡 롤러에 의해 재차 절곡이 수행되는 제2절곡작업(II)이 뒤따르는 것을 명백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절곡작업(II)은 종방향층(64) 주위에 둥글게 절곡된 우측 종방향면(56) 및 우측 종방향면(56)의 상부위에 화살표(b) 방향으로 상기 제1절곡부(62)에 의해 형성된 우측 종방향 에지를 절곡하고 그것을 우측 종방향면(56)폭의 대략 중간 지점에 놓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절곡은 상술한 섬유 직물(40)의 폭의 경우에 대략 2cm 이상의 폭을 발생시킨다.
제1, 제2, 제4 및 제5도에 있어서, 절곡작업(III)이 이어지고, 상기 절곡작업(III)에서는 섬유 직물(40)의 이동 방향(X)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5도에 따른 왼쪽위에 우측 종방향면(56)의 노출부(68)위로 화살표(C) 방향에 따라서 제4층 스택(66)이 둥글게 절곡된다. 그 결과 상기 섬유 직물(40)은 제6층 스택(69)에 의해 그 우측면위의 이동 방향(X)으로 제한된다. 상기 절곡작업(III)은 상술한 섬유 직물(40)의 폭의 경우에 거의 3.5cm 이상 연장된다.
제5도에 의하면 원래의 상태로 여전히 남아있는 상기 섬유 직물(40)의 좌측 종방향면(70)은, 섬유 직물(40)의 이동 방향(X)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6도에서의 화살표(d)에 따른 반대 방향으로 상부 위쪽과 제6층 스택(69)의 좌측 에지 둘레에 놓여진다. 따라서 제7층 스텍(72)이 상기 절곡작업(IV)의 결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7층 스텍(72)은 섬유 직물(40)의 잔여 좌측 종방향면(7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절곡부(A)의 종료시에는 상기 제7층 스텍(72)에 제6도에 있어서와 같은 둥근 단면을 주는 형상 롤러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압착 롤러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섬유 직물(40)의 좌측 종방향면은 절곡작업(IV)이 실행되기 전에는 약 6cm의 폭을 갖는다. 물론 상기 섬유 직물(40)의 종방향 절곡 또는 층으로 만드는 다른 방법이 상기 흡수체의 특별하게 의도된 용도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외장 밴드 적용 스테이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밴드 적용 스테이션(B)은 완전히 층을 이루고 원형으로 섬유 직물(72)의 영역에서 외장 밴드(82)를 위한 저장 롤러(80)를 갖는다. 상기 외장 밴드(82)는 액체에 대한 침투성이 있는 반면에 상기 외장 밴드의 섬유 물질은 오히려 방수처리성질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장 밴드(82)는 열가소성 성분을 가지는 비직조 섬유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장 밴드(82)는 섬유 직물(72)의 원주보다 더 넓게 만들어진다. 리드 롤러(84)는 섬유 직물(72)의 바로 아래에서 저장 롤러(80) 다음의 이동 방향(X)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제7도에 의하면, 상기 리드 롤러(84)의 기능은 외장 밴드(82)를 안내하는 것으로, 섬유 직물(72)에 평행한 방향으로써 상기 저장 롤러(80)로부터 화살표(d) 방향과 안내튜브(86) 아래의 화살표(e) 방향으로 공급된다.
상기 안내튜브(86)는 섬유 직물(72)을 위한 리드 롤러(84)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그 목적은 섬유 직물(72)의 원형단면을 지속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튜브(86)의 내벽은 본래 원형 원통형이다.
내면상의 안내튜브(86)는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슬롯(88)이 장착되어 있다. 종방향 슬롯(88)보다 더 좁게 만들어진 순환 컨베이어 밸트(90)가 안내튜브(86)이 하부면에 배치된다. 그후, 섬유 직물(72)이 마찰적 결합의 결과로써 권취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지지대(91)에 의해 안내튜브(86)의 종방향 슬롯(88) 영역에서 컨베이어 밸트(90)의 상부 스트랜드(92)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순환 컨베이어 밸트(90)는 화살표(f) 방향으로 구동 롤러(94) 및 편향 롤러(96)의 둘레를 종래의 방법으로 안내 및 구동한다. 그 결과 상부 스트랜드(92)는 섬유 직물(72)의 이동속도에 대응되는 속도로 섬유 직물(72)의 이동 방향(X)으로 구동된다.
외장 밴드(82)는 종방향 슬롯(88)의 영역에서 섬유 직물(72)의 하부면과 컨베이어 밸트(90)의 상부 스트랜드(92) 상부면사이에서 리드 롤러(84)에 의해 안내되고, 섬유 직물(72)과 상부 스트랜드(92)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적 결합의 결과로써 권취된다.
상기 안내튜브(86)는 안내튜브(86)의 연속 배열된 세그먼트(102,104,106)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삽입 슬롯(98,100)과 함께 섬유 직물의 이동 방향(X)의 좌우측면 상에 장착된다. 상기 두 삽입 슬롯(98,100)이 안내튜브(86)의 축 방향에서 상쇄되는 것은 확실하다. 동시에, 상기 세그먼트(104)는 상기 안내튜브(86)의 코어와 함께 예각을 이루고 나사선과 같은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1세그먼트(102)의 후단 에지(108)가 비슷하게 상기 삽입 슬롯(98)을 제한하는 세그먼트(104)의 선단 에지(110)보다 튜브 코어로부터 더 짧은 방사상 거리를 취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서 뒤틀림 방식으로 형성된다.
유사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방향(X)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세그먼트(104)의 에지(112)의 반경은 상기 우측 삽입 슬롯(100)을 유사하게 제한하는 상기 안내튜브(86)의 후방 세그먼트(106)의 선단 에지(114)의 반경보다 훨씬 작게 만들어진다.
도면의 명료화를 위하여, 제7도는 전체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밴드(82)가 보이지는 않고 공지된 안내 롤러에 의해 상향으로 하여 안내튜브(86) 둘레에 놓이고 그 위를 따라 미끄러지는 좌측 및 우측탭(116,118)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7도는, 화살표(g)방향으로 상기 세그먼트(102)의 외부면 뒤쪽의 좌측 삽입 슬롯(98)안으로 삽입되고 섬유 직물(72)의 본래 원통형인 원형 표면 위에 상기 세그먼트(104)에 의해 놓여질 때의, 상기 외장 밴드(82)의 좌측 탭(116)을 도시한 것이다. 유사하게 상기 외장 밴드(82)의 우측 탭(118)은 상기 세그먼트(106)에 의해서 원형으로 된 섬유 직물(72)면 및 우측 삽입 슬롯(100)을 통하고, 세그먼트(104)의 외부면위에 있는 화살표(h)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놓여진다. 동시에, 상기 우측 탭(118)의 외부 종방향 에지(124)는 섬유 직물(72)의 상부에 놓여진 외장 밴드(82)의 좌측 탭(116)의 종방향 에지(126)와 중첩된다.
또한 제7도는, 상기 후방 세그먼트(106)의 영역에서 상기 안내튜브(86)는 외장 밴드(82)의 측면 탭(116,118)의 종방향 에지(124,126)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폐쇄장치(122)를 위해 중간 종방향 슬롯(120)과 함께 상부에 장착된다는 사실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폐쇄장치(122)는, 종방향 슬롯(120)보다 협소하게 만들어지고 상기 외장 밴드(82)의 열가소성 성분의 연질화의 결과로서 이것들을 서로 밀봉하고 서로 중첩하는 에지(124,126)상의 종방향 슬롯을 통해 연속 지지되는 고온 밀봉 롤러(128)로 구성된다. 상기 고온 밀봉 롤러(128)는 전기저항 가열에 의해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고 그 단부에서 상기 안내튜브(86)를 떠나는 원형으로 된 외장 섬유 직물(130)의 이송 속도로 화살표(i)의 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압착스테이션]
제1 및 제8도에 있어서, 압착 스테이션(C)은 이송튜브(139) 및 역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롤러쌍(142,144,146,148,150,152,154,156,158,160,162 및 164)으로 구성된 롤러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제1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롤러 쌍은 각각 서로에 대해 90도로 오프셋된다. 상기 다수의 롤러쌍(142,146,150,154,158,162)은 각각 수직평면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반대로 상기 다수의 롤러 쌍(144,148,152,156,160,164)은 각각 수직으로 그리고 수직평면에 대해 서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상기 연속된 다수의 롤러 쌍 사이에는 최소한의 가능한 거리가 존재한다.
롤러 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세그룹의 다수의 롤러 쌍으로 구성되는데, 자유 롤러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그룹의 다수의 롤러 쌍(142,144,146,148)의 닙이 자유 압연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후속 제2그룹의 다수의 롤러 쌍(150,152,154,156)의 닙보다 더욱 명확하게 연속되어 단계적으로 감축된다. 제3그룹은 각각 같은 닙 크기를 갖는 다수의 평활 롤러 쌍(158,160,162,164)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 그룹들의 수 및 원주는 제조되는 흡수체의 형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제15도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압착 롤러 쌍(146)을 통한 부분 절개 단면도로 그 전방에서 상부방향으로 90°에서 오프셋되고 수직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압착 롤러(144)쌍이 롤러 쌍(144)앞에 도시되어 있다. 압착 롤러(146)쌍의 상부 롤러(170) 및 하부 롤러(172)의 닙(165)을 양분시킨 평면(Z-Z)에 대하여 대칭인 상기 롤러 형상(166,168)은 3중심 곡선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것은 또한 이송방향(X) 왼쪽의 좌측의 수직 롤러(178) 및 다수의 압착 롤러(144)쌍의 우측의 수직 롤러(180)에 대한 형상하부(174,176)와 함께 상기 롤러(170,172)의 닙(165)을 양분시킨 평면(Z-Z)에 대해 대칭인 등변 8각형에 대응하는 자유 압연 단면을 형성한다. 제15도에 도시된 압착 롤러(144,146)쌍은 이송방향(X)에 직접 연속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수직의 압착 롤러(144)쌍의 제1 롤러(178,180)는 제15도에서 단면으로 도시한 풀리스 로드(240)로부터 회전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섬유 직물상에 정반대로 연속 작용을 한다. 이어서 상기 풀리스 로드(240)는 수평의 압착 롤러(146)쌍의 롤러(170,17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정반대로 롤링 압착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연속된 압착 롤러쌍이 90도에서 오프셋 상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스 로드(240)상의 종방향 롤링에 대한 버어의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경우에 로드의 단면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인 압착 롤러쌍(146)의 상호 평행한 형상 하부(166,168) 및 압착 롤러(144) 수직쌍의 형상 하부(174,176)는 각각 원주립(182,184,186,188)과 함께 중앙에 장착된다. 상기 원주립의 형상은 삼각형이고 바깥쪽을 향하여 테이퍼진다. 그러나 만약 적합하다면, 상기 원주 롤러는 또한 각이지거나 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압착 롤러쌍의 상기 원주립은 같은 치수를 갖기 때문에, 상기 외장 밴드(82)에서 외장된 플리스 로드(190)는 90도에서 오프셋되는 원주위의 위치에서 V형 종방향 홈(192,194,196,198)에 거의 일치시켜 장착될 수 있다.
제16도는 수평 상부 롤러(200)와 아래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하부 롤러(202)를 포함하며 수직면에 평행한 압착 롤러(154)쌍을 나타낸다. 제16도에서는, 플리스 로드(190)의 이송 방향(X)으로 그것에 앞서 작용하는 압착 롤러쌍(152)의 수직 롤러(204,206)가 도시되었다. 연속된 2개의 롤러쌍(152 및 154)에 의해 형성된 자유 압연 단면은 재차 등변 8각형과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 제16도로 명백해진다. 그러나 상기 자유 8각형 압연 단면은 제15도에서 기술된 것과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작다. 더구나 제16도는, 제15도에서의 더 깊어진 종방향홈(192,194,196 및 198)에 대하여, 상부 롤러(200)와 하부 롤러(202)의 상기 원주립(208,210) 및 앞선 수직 롤러(204,206)의 원주립(212,214)은 거의 같은 폭의 기부를 갖는다는 사실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외향으로 테이퍼진 외형을 갖는 원주립(212,214)은 뚜렷하게 두드러진 V형 종방향홈(216,218,220,222)이 크게 압착된 단면의 플리스 로드(240) 및 그의 외장 밴드(82)에서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의 중간 평면에서 각 롤러 형상 깊이의 중간 높이 이상으로 방사 방향의 외부쪽으로 더욱 돌출한다.
상기 플리스 로드(240)의 단면의 소규모축소는 압착 롤러(150,152,154,156)의 쌍에 의해서 형성된 제2그룹에서 발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축소는 각 경우에 제1그룹에서 1mm와 비교하여 압착 롤러의 제2그룹에서 0.5mm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 더욱 작은 단면으로 압착된 플리스 로드는 제2그룹의 압착 롤러(160)의 수직쌍의 우측 롤러(226) 및 이송방향(X)내의 좌측에 롤러(224)를 갖춘 압착 롤러(156)의 쌍에 의해서 제17도에 도시된 플리스 로드(240)의 최종 단면을 축소시킨다.
롤러(164)의 후속쌍과 같은 롤러(162)의 쌍이 수평 상부 롤러(228) 및 하부 롤러(230)는 구경 롤러 또는 평활 롤러로서 설계되었으며, 그 닙은 일정하고 플리스 로드(240)의 단면 또는 형상을 안정화시키고 로드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제17도의 평활 롤러(228,230,224,226)쌍의 형상은 원호 또는 원주의 형태로 기본형상(232)을 가짐으로서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형상과는 다르다. 상술한 모두 4개인 롤러의 테이퍼진 형상의 중앙 원주립(234)은 대략 상기 롤러의 원통 직경의 높이에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평활 롤러의 모든 원주립은 제17도의 참조기호 234로 주어졌다. 상술한 닙에 의해서, 상기 플리스 로드(240)는 단면형상을 얻게 되는데, 서로 대향된 쌍이 놓이며 90도의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종방향홈(236)이 원주립(234)에 의해 플리스 로드(240)에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단순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리스 로드(240)의 종방향홈(236)은 단일 참조기호 236으로만 주어진다. 상술한 실시예 및 흡수체의 특정 의도된 용도에 따르는 것과 대조적으로 항상 종방향 홈없이 플리스 로드를 제조하거나 플리스 로드(240)의 원주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다수의 종방향홈을 바람직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탐폰의 제조에 관한 경우, 그것이 플리스 로드(240)의 종방향 중간축에서 섬유 물질의 부분적인 압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종방향홈의 배열은 유리한데, 이는 공지된 탐폰의 안정성 및 버클링 저항성을 능가하는 안정성 및 버클링 저항성을 갖는다. 이 장점은 상술한 롤러 프레임(140)내의 플리스 로드(240)의 연속적인 스텝 압착 롤링과 관계가 있다.
제8도에 있어서 평활 롤러(158,162)의 수평쌍에 이어서 평활 롤러(158)의 쌍과 같은 닙을 갖추어 수직으로 배열된 평활 롤러(160,164)의 쌍이 뒤따르기 때문에 플리스 로드(240)는 전체 원주 및 고정된 단면형상에 의해서 매끄럽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하지 않은 공지된 제어장치는 롤러 프레임(140)에 배열된 모든 압착 및 평활 롤러와 동일 평균 원주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플리스 로드의 형태의 형상 및 안정성은 플리스 로드에 관련된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원통 원주부를 고무 또는 플라스틱 코팅을 사용함으로서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우기, 적합한 경우에 있어서 압착 및 평활 롤러의 일부 또는 모두가 가열되므로 플리스 로드(240)의 형상은 플리스 로드의 치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다림질 효과에 의해서 수행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그룹의 압착 롤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배열된 쌍의 닙을 계산할 수 있어서 플리스 로드(240)는 소정 흡수체의 최종 단면에 단지 대략적으로만 굴러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여성 생리용 탐폰의 제조에 관한 경우 플리스 로드(240)가 탐폰의 최종 단면을 지나 다소 작은 단면으로 굴러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플리스 로드는 그 마무리 압착된 탐폰의 단면이 팽창되는 자연 탄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탐폰이 완성된 후, 탐폰은 그 사용을 위하여 생리적 선결 조건에 상응하는 최종 단면으로 팽창되는 방식으로 플리스 로드의 최종 단면의 축소를 산정할 수 있다.
더우기, 가이드 주위(250,252,254,256,258,260,262,264,266,268,270,272,274)의 형상내의 가이드는 플리스 로드(240)의 확실한 안내를 위해 압착 롤러 및 평활 롤러(142 내지 164)의 연속 쌍사이의 공간에 완전하게 채워진다. 압착 롤러 및 평활 롤러의 연속된 쌍의 90도 오프셋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주위(250 내지 274)는 또한 플리스 로드(240)의 이송 방향(X)의 서로에 대해 각각 90도에서 연속적으로 오프셋 배치된다. 상기 롤러 프레임(140)내의 플리스 로드(240)의 확실한 안내를 허용하기 위하여, 각 가이드 주위의 입구 단면은 가이드 주위에 선행하는 압착 롤러 쌍의 닙보다 더 작게 되며, 반면에 각 가이드 주위의 출구 단부의 단면은 가이드 주위 다음에 있는 압착 롤러 쌍의 닙보다 크다.
제9도 및 제12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주위의 단면은 타원형 혹은 계란형이다. 동시에 압착 롤러(142 내지 160)의 연속쌍간의 각 가이드 주위의 타원형 혹은 계란형의 주축(278)은 플리스 로드(240)의 이송 방향(X)에 관하여 선행되는 압착 롤러(142 내지 162)의 특정 쌍의 주축에 평행 배치된다. 그러므로 각 가이드 주위에 선행하는 압착 롤러의 쌍에 의해서 플리스 로드(240)의 정반대의 압착은 각 가이드 주위(제12도)의 타원형 또는 계란형 단면의 단축(280)의 방향으로 발생된다. 플리스 로드(240)의 단면은 동시에 타원형 혹은 계란형으로 형성된다. 각 압착 롤러의 쌍으로부터 발생되는 플리스 로드(240)는 화살표(X)의 이송방향으로부터 좁혀진 단면과, 각 가이드 주위의 대응 단면에 의해 확실하게 수용된다. 상기 플리스 로드(240)는 롤러의 후속쌍에 의해서 플리스 로드의 단면에 대한 축소를 준비시키거나 조립시키는 단면을 남기도록 후단쪽으로 좁혀지는 가이드 주위에 의해서 압착 롤러의 다음쌍으로 공급된다.
각 가이드 주위에 고정된 후방부 또는 출구부 쪽에 있는 단면 축소는 특히 제9도,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었다. 제9도는 가이드 주위 후방에 위치된 압착 롤러(144,148,152,156,160)의 수직쌍 및 압착 롤러(142,146,150,154,158)의 선행되는 평면쌍 사이에 각각 배치된 가이드 주위(252,256,260,264,270)중 가이드 주위(252)를 나타낸다. 제9도에 있어서 가이드 주위(252)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압착 롤러(142)쌍 뒤에 배치되며 압착 롤러(144)의 다음의 수직 쌍의 전방에 화살표(X)로 지시된 플러스 로드(도시않음)의 이송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압착 롤러쌍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상기 정면은 압착 롤러(142)의 수평 쌍에 대응되는 플랭크(282,284)로 설치되어 있으며 깔대기 형상으로 원통형 절개 및 수렴 형상이며 상부 및 하부 롤러(286,28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측면조오(290,292)는 압착 롤러(142)의 평면쌍의 상부 롤러(286) 및 하부 롤러(288)에 의해서 형성된 간극내로 돌출되며 돌출에 의해 가이드 주위(252)의 원뿔 안내면(294)에 연장된다. 원뿔형으로 좁혀지는 안내면(294)은 테이퍼진 상부 안내립(296) 및 깔대기 형상으로 테이퍼진 플랭크(300,302,304,306)에 의해 측방향으로 제한된 하부 안내립(298)에 의해서 화살표(X)의 이송 방향으로 계속된다. 상기 플랭크는 압착 롤러(144)쌍의 수직 롤러(308,310)의 주위면과 수직 롤러(308,310)의 닙의 가장 좁은 지점에 인접하는 안내리브(296,298)의 전방단부(312,314)와 결합된다.
명료화를 위해서,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가이드 주위의 타원형 또는 계란형단면의 단축(280)의 방향에서 가이드 주위(253)의 단면(276)의 축소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상기 U형 단면(320)은 제11도에서 화살표(X)의 방향으로 개방한 측방향 조오(290,292) 및 안내립(296,298)에 의해서 형성되고 전방으로 좁아지는 수직 압착 롤러(308,310)의 롤러 형상을 위해 의도된 것으로, 노즐과 같은 방식으로 테이퍼지는 타원 안내면(294)를 한정시키는 안내립(296,298)의 내부 정면코너(316,318)는 그 뒤에 위치된 안내립(296,298)의 길이부(322,324)보다 서로로부터 다소 작은 거리에 배치된다.
그 결과 내부 정면 코너(314,316)는 플리스 로드(240, 제15도)의 상부 및 하부 종방향 홈(192,194)내에 결합됨으로서 플리스 로드(240)를 위한 축방향의 안내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15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플리스 로드(240)의 종방향 홈은 가이드 주위의 형상을 위한 선결 조건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가이드 주위의 형상은 압착방향에 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정반대의 방향이라는 점에서 확고히 플리스 로드(240)를 안내 및 밀집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플리스 로드(240)는 즉, 제12도에 있어서 가이드 주위(252)의 타원형 단면의 주측(278)의 수평 방향에 있으며 압착 롤러(144)의 후속 연직 쌍에 의해서 노출된다. 그러므로 제9도에 있어서 가이드 주위(252)의 각 안내립(296,298)은 플리스 로드(240)상에 특정 방사상의 압착력을 가한다. 더우기, 이는 다소 작은 압착력을 가함에도 불구하고, 측면 조오(290,292)의 영역내에 있는 안내면(294)에 적용된다. 동시에, 플리스 로드(240)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주위(252)로 쉽게 이동되는 정도로 상기 안내면(294)은 입구단면의 영역내에서 원추형으로 확장된다. 그러므로 롤러 프레임(140)을 통하여 플리스 로드의 방해되지 않는 이송을 허용하는 플리스 로드(240)의 확고한 안내는 롤러 프레임(140)을 통해 전 길이에 걸쳐 보장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절단 스테이션]
제1도에 있어서 상기 절단 스테이션(D)은 상호 대향으로 구동 가능한 핀칭 롤러(330,332) 쌍으로 구성되며, 핀칭 롤러는 90°로 오프셋되며, 제1핀칭 롤러(330)쌍은 전진방향(X)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수평 및 평행하게 겹쳐 배치되고, 제2핀칭 롤러(332)쌍은 진행방향에 관하여 수직인 평면에 서로 평행하며 수직으로 이격 배치된다. 핀칭 롤러(330,332)의 두쌍의 핀칭 롤러는 각각 핀칭 돌기부(334,336,338,340)로 갖추어져 있다. 상기 핀칭 돌기부(334,336)는 얇은 축 결합 웨브(도시안됨)를 제외하고는 탐폰(32)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플리스 로드(240)의 연속된 길이부 사이의 단면을 축소시킨다. 결합 웨브는 절단 스테이션(D)의 마지막 핀칭 롤러(32)의 쌍에 의해 절단되며 플리스 로드(240)의 이송 속도에 대응하는 핀칭 롤러(338,340)의 비교적 높은 원주 속도의 결과로서, 상대적으로 신속한 축방향 추진력으로 분출된다. 반면에 흡수체(30)가 핀칭 롤러(330,332)상에 의해 핀치됨과 동시에 흡수체(30)의 전방단부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상으로 예비형성된다. 대조적으로, 이미 흡수체(30)의 후단편은 피라미드형 리세스를 갖추고 있다.
외장 밴드(82)가 사용될 때, 절단 스테이션(D)의 개시 또는 종료에 절단 장치로서 적어도 한 쌍의 절단 롤러가 배치되므로 플리스 로드(240)의 주위에 둘러쌓인 외장 밴드(82) 또는 플리스 로드(240)의 연속된 부분사이의 얇은 축 결합 웨브가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커팅 롤러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제1도 및 제20도는 절단되어진 후, 흡수체(30)가 흡수체(30)의 길이보다 더욱 좁게 제조되는 권취 수단(344)으로 이송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흡수체(30)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권취 수단(344)은 흡수체(30)가 수용되어진 후에 권취 수단 리드(348)에 의해서 상부에서 밀폐된 U형 횡방향 압흔부(346)를 갖추고 있다. 상기 형상의 다수의 권취 수단(344)은 제20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으며 화살표(n)의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순환 이송 부재(350)의 외부측에 고정되므로 상기 권취 수단(344)은 절단 스테이션(D)으로부터 분출된 흡수체(30)를 연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흡수체를 권취 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은 종래 기술에 해당되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제20도는 양면상의 순환 운반 부재(350)의 이송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양측상에 순환 이송 부재(352,254)가 이송부재(350)의 각 면상에 배열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이송 부재(352)는 화살표 n의 방향에서 권취 수단(344)과 동시에 이동되는 다수의 돔 형성 장치(356)를 이송한다. 제20도에 따르면, 각 돔 형성 장치(356)는 순환 이송 부재(352)의 평면회전에 평행하게 유도되는 레그(360,362)와 U형 부재(358)로 구성된다. 레그(360,362)는 동축 보어(364,366)와 함께 설치되며 보어를 통해 로드(368)가 안내된다. 권취 수단(346)의 방향에서 레그(362)로부터 돌출한 로드(368)의 단부는 둥근 돔 형태로 리세스(372)가 설치된 성형 다이(370)를 이송한다. 상기 리세스(372)는 흡수체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만약 적합하다면, 상기 성형 다이(370)는 예를 들면 전기저항열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레그(362)로부터 떨어져 직면한 면상의 U형 부재(358)의 레그(360)로부터 돌출한 로드(368)의 단부는 센싱 롤러(374)를 이송한다. 상기 센싱 롤러(374)의 이동 경로안으로 센싱 롤러(374)와 직면하는 제어면(378)을 갖춘 고정 제어 캠(376)이 연장된다. 헬리컬 압축 스프링(380)의 센싱 롤러(374) 및 U형 부재(358)의 레그(360)의 외부면 사이에 지지되기 때문에, 로드(368) 및 성형 다이(370)와 함께 센싱 롤러(374)는 항상 제어면(378)의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제어 캠(376)이 화살표(n)에 의해서 지시된 이송 부재(352)의 이동방향으로 센싱 롤러(374)의 이동경로 안으로 증가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권취 수단(344) 및 U형 부재(358)가 같은 축을 가지며 동시에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성형 다이(370)는 흡수체(30)의 예비형성 전단부(34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예비형성 전단부(342)는 제19도에 있어서 탐폰(32)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돔(35)으로 형성된다. 센싱 롤러(374)의 이동방향은 파선의 화살표(S)에 의해서 제공된다. 상기 로드(368)의 축방향의 행정은 헬리컬 압축 스프링(380)의 효과하에서 레그(360)의 내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지되고 레그(360,362) 사이에 위치된 로드(368)의 길이부에 고정된 정지 디스크(382)에 의해서 한정된다.
순환 이송 부재(354)는 성형 다이(370)를 위해 이송 부재(350)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이송 부재(352)에 대향 위치된 이송 부재(350)의 측상에 배치되며 이송 부재(350)가 동시에 이송가능하다. 이송 부재(354)는 다수의 형성장치(356)에 대응하는 다수의 엠보싱 헤드(394)를 갖추고 있다. 상기 엠보싱 장치(384)는 또한 U형부재(386)와 상호 평행한 레그(388,390)로 구성되며 레그가 축방향으로 함께 재차 설치되면 이를 통해 엠보싱 장치(384)와 함께 U형부(386)와 마주하는 레그(388)의 외부면상에 설치된 로드(392)를 안내하며 헤드의 단부면은 볼록 구형컵(396)으로 설치된다. 이송 부재(354)의 외측상에는 센싱 롤러(402)의 이동 통로로 연장되는 제어면(400)와 함께 재차 제어 캠(398)이 설치된다. 로드(392)의 하단에서의 센싱 롤러(402)와 U형부(386)의 레그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04)이 로드(392)상에 설치된다. 정지 디스크(404)는 레그(388,390) 사이에서 연장되는 로드(392)의 부분에 고정된다. 로드(392) 및 엠보싱 헤드(394)의 종방향 중간축은 권취 수단(344) 및 성형 다이(370)의 횡방향 압흔부(346)의 종방향 중간축과 동축 정렬된다. 더우기, 제어캠(276,398)이 서로 대향 배치되고 제어면(378,400)이 유사한 설계이기 때문에, 둥근돔 형태로의 흡수체(30)의 전방 단부(342)형상은 엠보싱 헤드(394)의 구형컵(396)에 의해 흡수체(30)의 후방 단부면(343)의 형상에 의해 성취되며 센싱 롤러(402)가 제어면(400)과 직면할 때 흡수체(30)의 후방 단부면(344)에 대해 파선 화살표(0)의 방향으로 엠보싱 헤드(394)를 압착하며 탐폰이 완성된 후 탐폰을 위한 삽입 부조물을 구성하는 압흔부(33)를 형성한다.
[방법]
섬유 직물(4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수적 단계를 한 번 더 하기에 요약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절곡 스테이션(A)에 있어서 섬유 직물(40)을 우측 종방향면(56)으로부터 세 개의 종방향 절곡 작업(I,II,III)을 받게 됨으로서 그 자체가 절곡된다. 좌측 종방향(70)이 대향방향에서 섬유 직물이 둥글게 놓여지기 전에 섬유 직물의 제7층 스텍(72)이 제조된다. 형상 롤러(도시안됨)는 섬유 직물의 층으로 된 단면을 둥글게 한다.
그 결과, 섬유 직물(72)은 서로 밀봉된 종방향에지(124,126), 외장 밴드(8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외장 밴드 적용 스테이션(B)의 안내 튜브(86)내로 삽입된다. 외장 밴드(82)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둥근 단면의 섬유 직물(130)은 안내 튜브(86)로부터 노출되고 그후 압착 스테이션(C)으로 공급된다. 압착 스테이션(C)의 롤러 프레임(140)에 있어서, 섬유 직물(130)은 흡수체(30)의 최종단면에 대해 단계적으로 굴러 떨어지며 플리스 로드(240)가 형성된다. 동시에, 롤링 압력은 플리스 로드(240)의 정반대의 대향면상에 단계적으로 연속 가압되며 그 압착 방향은 90°에서 상호 오프셋된다. 플리스 로드(240)는 여성 생리용 탐폰(32)이 흡수체로부터 제조하게 될 때, 흡수체(30)의 최종단면보다 더 작게 되는 단면으로 굴러 떨어진다. 이는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도 흡수체의 최종단면을 지나 굴러떨어지는 것이 잇점이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제18도는 연속적으로 롤링하는 동안에 플리스 로드(240)가 쌍으로서 서로간에 정반대로 대향되어 위치된 4개의 종방향홈(31)으로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플리스 로드(240)의 외부면이 롤러 프레임(140)의 단부에 대하여 측정되거나 평탄하게 되기 전에 플리스 로드(240)의 단면은 이동 방향(X)으로 처음에는 비교적 급격하게 그리고 후에 천천히 줄어드는 것이 명백하다. 그것은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압착 롤링동안 플리스 로드를 가열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플리스 로드(240)의 연속된 압착단계 동안에는 가이드 주위(250 내지 274)를 통해서 확고하게 안내된다.
그후 압착된 플리스 로드(240)는 부분사이의 축결합 웨브를 제외하고 90도에서 단계적으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정반대 플리스 로드를 핀치 롤링함으로서 흡수체(30)의 길이에 대응한 플리스 로드 부분이 서로 절단되는 절단 스테이션(D)으로 이송된다. 동시에, 각 길이부의 전단부는 핀칭 작용 동안 돔형 방식으로 예비형성된다. 그 결과, 각 흡수체는 얇은 결합 웨브의 영역으로 절단된다. 상기 흡수체의 예비형성 돔형 전단부는 그후 평탄화에 의해 한정적으로 형성된다. 동시에, 반구형 압흔부는 흡수체로부터 제조된 제19도에 따른 탐폰(32)을 위한 삽입부조물로서 흡수체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방식으로서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그 단부가 매듭(37)에 의해 서로 연결된 재생 밴드(36)는 탐폰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Claims (38)

  1. 연속 섬유 직물을 적층하여 그 종방향축에 대해서 절곡하므로서 전진방향으로 직물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압착 롤러에 의하여 방사방향으로 직물을 연속 압착하는 단계와 그후 길이부분으로 세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흡수체, 특히 여성 생리용 탐폰으로 적합한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물은 흡수체의 최종 횡단면에 대해 롤링 압력의 다수의 연속 압착 단계에서 단계적으로 롤 다운되고, 흡수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부분이 세분되기 전에 외부면을 가지는 플리스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압력이 플리스 로드의 대향측부상의 각 단계에서 내향 압착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연속 가압되며, 상기 압착 방향은 단계에서 단계로 플리스 로드 둘레를 각각 90도에서 상호 오프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는 흡수체의 최종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롤 다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는 롤링동안 종방향 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는 두쌍의 대향된 종방향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의 단면은 플리스 로드의 외면이 평탄화되고 측정되기 전에 신속하게 그 후 더욱 천천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는 압착 롤링 동안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스 로드는 연속 압착 단계 사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압착 롤링 전에 섬유 직물은 종방향과 평행하게 하나의 종방향 에지로부터 직물상에 여러번 둥글게 절곡되며, 그전에 직물의 제2종방향 에지가 대향방향으로 다층 섬유 직물상에 둥글게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다층 섬유 직물은 둥근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물은 직물 절곡전에 15 내지 40c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링전에 둥근 단면의 섬유 직물은 중첩 종방향 에지와 함께 유체 투과성 외장 밴드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밴드의 중첩 종방향 에지는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밴드의 종방향 에지는 상기 외장 밴드의 열가소성 성분과 함께 용접에 의하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밴드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흡수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플리스 로드 부분은 플리스 로드를 반대로 핀치 롤링에 의해 90°에서 단계적으로 오프셋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부분 사이의 얇은 축방향 접속 웨브를 통과시켜 서로 부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길이부의 전단부는 상기 핀칭 작동 동안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흡수체는 얇은 접속 웨브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삽입 부조물로서 흡수체의 단부에 반구형 압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제조방법.
  20. 연속 섬유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섬유 직물의 종방향 절곡을 위해 판과 회전가능한 절곡 디스크를 가지는 절곡 스테이션과 한쌍의 압착 롤러와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곡 스테이션에 이어서 닙을 형성하는 다수 쌍의 압착 롤러를 가지는 롤러 프레임이 뒤따르며, 상기 압착 롤러 쌍의 닙이 단계적으로 감축되며, 상기 압착 롤러가 회전축 둘레에 평균 원주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 쌍은 서로에 대해 90도의 각도에서 각각 연속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프레임은 다수 롤러쌍의 3개의 그룹을 가지며, 압착 롤러 쌍의 제1그룹의 닙은 압착 롤러 쌍의 다음 제2그룹의 닙의 감축보다 크게 단계적으로 연속 감소되며, 롤러 쌍의 제3그룹은 평활화를 위해 일정한 닙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압착 롤러의 원주는 하나 이상의 원주 리브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가이드 주위는 플리스 로드의 확고한 안내를 위해 연속 롤러쌍 사이의 간극을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주위는 타원인 단면 개구를 규정하며, 각 가이드 주위의 타원 단면의 주축은 롤러 진행쌍의 회전 축에 평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스테이션에 이어서 다층 섬유 직물의 둥근 단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통형 안내 튜브에 의하여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둥근 섬유 직물을 콘베이어 밸트가 위치되는 하측 및 종방향 슬롯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유체 투과성 외장 밴드의 연속 공급부와 콘베이어 밸트의 상부측 및 이에 장착되는 둥근 섬유 직물 사이에 외장 밴드를 배열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외장 밴드가 외장체 및 콘베이어 밸트간의 마찰적 결합의 결과로서 이송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구동 가능한 한쌍의 리드 롤러는 외장 밴드가 안내 튜브의 외측부를 따라 활주 가능하게 운반되는 방식으로 안내 튜브의 외면상에 U형 외장 밴드 설치를 위한 안내 튜브의 양 측부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튜브는 제1쌍의 롤러로부터 상류에 위치되며 외장 밴드의 두 측부탭을 위한 도입 슬롯을 가지며, 상기 도입 슬롯은 외장 밴드의 주 측부탭이 안내 튜브의 섬유 직물상의 도입 슬롯을 통하여 놓여지는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슬롯 영역내의 안내 튜브는 개개의 시그멘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주위에 외장 밴드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있으며, 외장 밴드의 종방향 에지를 중첩 및 폐쇄시키기 위한 안내 튜브의 상측부내에 종방향 슬롯위에 폐쇄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롤러 프레임이 배열된 후 두쌍 이상의 핀칭 롤러의 절단 스테이션이 90도에서 오프셋되고 상기 연속 직물 부분사이의 얇은 축방향 결합 웨브를 떠나도록 흡수제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에서 연속 직물부분을 핀칭 오프시키기 위한 핀칭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핀칭 돌출부는 흡수체의 전단부가 돔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한쌍 이상의 커팅 롤러는 연속 직물 사이의 얇은 축방향 결합 웨브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스테이션의 종료시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에 이어서 흡수체의 예비성형된 절단부를 평활하게 하기 위한 돔형성 장치가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성 장치는 전단부에 대향되는 흡수체의 후단부에 압흔부를 형성하기 위한 엠보싱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38. 제20항에 있어서, 롤러 프레임에 배치된 압착 및 평활 롤러의 모든 쌍의 동일 평균 원주 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의 연속 제조 장치.
KR1019900701967A 1989-01-03 1990-01-03 흡수체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KR0157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01089A AT401610B (de) 1989-01-03 1989-01-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ewickelten,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gegenständen, insbesondere tampons
ATA10/89 1989-01-03
PCT/EP1990/000008 WO1990007314A1 (en) 1989-01-03 1990-01-03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bsorbent bod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36A KR910700036A (ko) 1991-03-13
KR0157596B1 true KR0157596B1 (ko) 1999-02-01

Family

ID=347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967A KR0157596B1 (ko) 1989-01-03 1990-01-03 흡수체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165152A (ko)
EP (1) EP0403636B1 (ko)
JP (1) JP2799241B2 (ko)
KR (1) KR0157596B1 (ko)
CN (1) CN1023966C (ko)
AR (1) AR243616A1 (ko)
AT (2) AT401610B (ko)
AU (1) AU619939B2 (ko)
BR (1) BR9004358A (ko)
CA (1) CA2024373C (ko)
DE (1) DE69013581T2 (ko)
DK (1) DK0403636T3 (ko)
ES (1) ES2062505T3 (ko)
GR (1) GR1000530B (ko)
IE (1) IE62366B1 (ko)
MY (1) MY106258A (ko)
NO (1) NO177084C (ko)
NZ (1) NZ231978A (ko)
PT (1) PT92777B (ko)
RU (1) RU2023776C1 (ko)
WO (1) WO1990007314A1 (ko)
ZA (1) ZA9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4153A1 (de) * 1989-10-12 1991-04-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ue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EP0735848B2 (en) 1992-12-30 2003-12-03 Tambrands, Inc. Tampon
DE4304505C2 (de) * 1993-02-15 1995-05-1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5575047A (en) * 1994-11-25 1996-11-19 Athena Medica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biodegradable absorbent pads
DE19515517C2 (de) * 1995-04-27 1997-08-14 Johnson & Johns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Längenabschnitten aus einem Strang Flüssigkeit absorbierenden Materials sowie dessen Verwendung
US6433246B1 (en) 1995-12-22 2002-08-13 Mcneil-Ppc, Inc. Tampon having improved early expansion characteristics
GB2329581A (en) * 1997-09-26 1999-03-31 Benedictis Alfredo De Removing liquid from treated hair
US6353146B1 (en) * 1998-04-20 2002-03-05 Playtex Products, Inc. Fibrous articles having odor adsorbtion abilit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193125A1 (en) * 2001-10-15 2004-09-30 Playtex Products, Inc. Fibrous articles having odor adsorbtion abilit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30225388A1 (en) * 2002-05-28 2003-12-04 Ekavira Bhavani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20030233742A1 (en) * 2002-06-25 2003-12-25 Jones Archie L. Compressed absorbent tampon
DE10244874C5 (de) 2002-09-26 2010-10-07 Johnson & Johnson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für die Frauenhygiene
JP4105052B2 (ja) * 2003-07-22 2008-06-18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力プラント構造材料の応力腐食割れを緩和する方法
US8147472B2 (en) 2003-11-24 2012-04-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absorbent product
EP1547554A1 (en) * 2003-12-22 2005-06-29 Ontex N.V. Absorbent article
EP1755515B1 (en) * 2004-05-14 2018-10-1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US7845380B2 (en) 2004-05-14 2010-12-07 Mcneil-Ppc, Inc.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US20050256484A1 (en) 2004-05-14 2005-11-17 Chase David J Method of using an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US8864640B2 (en) * 2004-05-14 2014-10-21 Mcneil-Ppc, Inc. Methods of packaging intravaginal device
US20050256485A1 (en) 2004-05-14 2005-11-17 Samuel Carasso Method of using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US7618403B2 (en) 2004-05-14 2009-11-17 Mcneil-Ppc, Inc. Fluid management device with fluid transport element for use within a body
US8247642B2 (en) 2004-05-14 2012-08-21 Mcneil-Ppc, Inc. Fluid management device with fluid transport element for use within a body
US8480833B2 (en) 2004-05-14 2013-07-09 Mcneil-Ppc, Inc.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and methods of making
US8653322B2 (en) 2004-05-14 2014-02-18 Mcneil-Ppc, Inc. Intravaginal device with fluid transport plates
US8702670B2 (en) * 2004-06-30 2014-04-22 Mcneil-Ppc, Inc. Intravaginal device with controlled expansion
JP4134052B2 (ja) * 2005-01-19 2008-08-13 株式会社 ハリーズ 生理用タンポン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TE526922T1 (de) 2005-01-19 2011-10-15 Ontex Internat N V Tampon
US8211078B2 (en)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US9579238B2 (en) 2005-02-17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ATE370715T1 (de) * 2005-02-24 2007-09-15 Ontex Internat N V Tamponeinführhilfe
ATE408388T1 (de) 2005-03-25 2008-10-15 Georgia Pacific France Tampon und applikatoranordnung
RU2406473C2 (ru) 2006-02-02 2010-12-20 Онтекс Хюгиенеартикель Дойчланд Гмбх Тампон
US7735203B2 (en) * 2006-08-16 2010-06-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folded and compressed tampons
WO2008095937A2 (en) * 2007-02-09 2008-08-14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JP5314984B2 (ja) * 2008-09-29 2013-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の製造装置、及び、タンポンの製造方法
EP2379036A1 (en) * 2008-12-16 2011-10-26 Ontex Hy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Tampon with modified constricted withdrawal end
AT508682B1 (de) * 2009-08-24 2015-11-15 Ruggli Projects Ag Presse zur herstellung eines tampons
US7845055B1 (en) * 2009-10-29 2010-12-07 Mcneil-Ppc, Inc. Tampon formed from a selectively needled nonwoven fabric web
US9155666B2 (en) 2010-07-09 2015-10-13 Ontex Higieneartikel Deutschland Gmbh Press and method for producinig absorbent article
US8938866B2 (en) * 2011-05-03 201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grated tampon and method for making
JP5667154B2 (ja) * 2012-12-04 2015-02-12 花王株式会社 積繊体の製造方法
RU2644320C1 (ru) * 2016-12-28 2018-0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УВИК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олотна длинномер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MX2020009848A (es) * 2018-03-22 2020-10-15 Packaging Progressions Inc Montaje de alineacion.
CN109481151B (zh) * 2018-12-18 2023-07-18 孙震 一种医用吸液棉生产装置及医用吸液棉生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5918A (en) * 1917-06-05 1918-05-30 Harold Osborn Manufacture of Cotton Wool Plugs.
US2444528A (en) * 1943-07-30 1948-07-06 Popper Intravaginal pack and its manufacture
DE1165809B (de) * 1957-03-26 1964-03-19 Sivis A 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nstruationstamponen
NL6700538A (ko) * 1967-01-13 1968-07-15
US3523535A (en) * 1967-08-15 1970-08-11 Mooch Domsjo Ab Tampon for dental and catamenial use
US3716430A (en) * 1969-10-15 1973-02-13 Mo Och Domsjoe Ab Tampo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E2114530C2 (de) * 1971-03-25 1985-05-30 Dr. Carl Hahn KG, 4000 Düsseldorf Einrichtung zum Pressen von Tampons für die Frauenhygiene
DE2135495C3 (de) * 1971-07-15 1982-03-25 Dr. Carl Hahn GmbH, 4000 Düsseldorf Anlage zum Herstellen und Verpacken von Tampons
DE2629381C3 (de) * 1976-06-30 1980-02-14 Bert Steffens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Tamponrohling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175561A (en) * 1977-02-10 1979-11-27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s with improved absorption
DE2855179C2 (de) * 1978-12-20 1982-06-09 Dr. Carl Hahn GmbH, 4000 Düsseldorf Tampon für die Frauenhygiene
DE2926130C2 (de) * 1979-06-28 1983-03-17 Dr. Carl Hahn GmbH, 4000 Düsseldorf Tampon, insbesondere für die Frauenhygiene
DE3236541A1 (de) * 1982-10-02 1984-04-05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Tampon fuer die frauenhygien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3236540A1 (de) * 1982-10-02 1984-04-05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Tampon fuer die frauenhygien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3347649A1 (de) * 1983-12-30 1985-07-11 Johnson & Johnson GmbH, 4000 Düsseldorf Tampon fuer die frauenhygiene sowi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DE3418521A1 (de) * 1984-05-18 1985-11-21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Menstrualtampon
US4787895A (en) * 1987-05-29 1988-11-29 Kimberly-Clark Corporation Adhesively held spiral wound tampon and method of its formation
SE463745B (sv) * 1989-05-30 1991-01-21 Bergaasa Ind Ab Tampong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6258A (en) 1995-04-29
CN1044046A (zh) 1990-07-25
IE62366B1 (en) 1995-01-25
ATA1089A (de) 1996-03-15
DE69013581D1 (de) 1994-12-01
DK0403636T3 (da) 1994-12-12
AT401610B (de) 1996-10-25
DE69013581T2 (de) 1995-05-24
PT92777B (pt) 1996-01-31
KR910700036A (ko) 1991-03-13
AU619939B2 (en) 1992-02-06
IE900011L (en) 1990-07-03
CA2024373A1 (en) 1990-07-04
NO177084B (no) 1995-04-10
CA2024373C (en) 2001-03-20
ATE113196T1 (de) 1994-11-15
ES2062505T3 (es) 1994-12-16
PT92777A (pt) 1990-07-31
RU2023776C1 (ru) 1994-11-30
AU4823390A (en) 1990-08-01
CN1023966C (zh) 1994-03-16
GR1000530B (el) 1992-08-25
NO903652L (no) 1990-10-17
NZ231978A (en) 1992-01-29
EP0403636B1 (en) 1994-10-26
ZA9035B (en) 1990-12-28
WO1990007314A1 (en) 1990-07-12
EP0403636A1 (en) 1990-12-27
JP2799241B2 (ja) 1998-09-17
BR9004358A (pt) 1991-07-30
US5165152A (en) 1992-11-24
NO903652D0 (no) 1990-08-20
NO177084C (no) 1995-07-26
AR243616A1 (es) 1993-08-31
JPH03503733A (ja) 199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596B1 (ko) 흡수체의 연속제조 방법 및 장치
RU2338498C2 (ru) Тампон, имеющий спиральные канавки
RU21944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отрезков жгута из впитывающего жидкость материала
RU2639621C2 (ru) Тампон с непрерывными формами желобка
RU2761372C2 (ru) Зажимные губки для тампонов
RU2665433C2 (ru) Тампоны с проникающими сегментами желобка
RU2633227C2 (ru) Тампон с вытянутыми формами желобка
CN110290715B (zh) 处理包装材料的设备和方法
KR200337091Y1 (ko) 전자동 일회용 압착 티슈 제조 시스템
TH10034A (th) กระบวนการและเครื่องสำหรับการผลิตอย่างต่อเนื่องของตัวดูดซึ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