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72B1 -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72B1
KR0155672B1 KR1019960000797A KR19960000797A KR0155672B1 KR 0155672 B1 KR0155672 B1 KR 0155672B1 KR 1019960000797 A KR1019960000797 A KR 1019960000797A KR 19960000797 A KR19960000797 A KR 19960000797A KR 0155672 B1 KR0155672 B1 KR 015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fference
thread
woven fabric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쓰 도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8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 G01N21/8983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for testing textile webs, i.e. wove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Loom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를 사용해서 가로실과 세로실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하는 기술적 과제
조명광, 털먼지와 같은 외란의 영향을 배제하는 직포원단검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수광소자(11)(12)를 직포W의 세로실Y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11-1)은 수광소자(11)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내고, (12-1)은 수광소자(12)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수광소자(11)(12)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3)(14)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13)(14)는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15)에 출력한다. 차연산회로(15)는 양 전류-전압변환회로(13)(14)로부터 입력하는 전압신호의 값의 차를 연산하고, 이 차신호를 비교회로(16)에 출력한다. 비교회로(16)는 입력한 차신호와 미리 기준값설정회로(17)(18)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외란의 영향에 의한 세로실 관계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배제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검지범위의 확장에 의해 가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력을 향상할 수가 있고 정밀도 높은 원단검사 및 오원단검사의 방지를 확실히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중요부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2도는 직포상의 검지신호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3도는 검지범위의 주사(走査)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a)―(d)는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5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중요부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6도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7도는 검지범위의 주사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8도는 (a)―(d)는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9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0도는 (a)―(g)는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11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2도는 (a)―(h)는 제어회로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13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신호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4도는 별계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5도는 별계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6도는 별계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7도는 별계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제18도는 별계예를 나타내는 직포상의 검지범위와 제어회로의 조합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21,22,35-41 : 광전센서로 이루어진 수광소자
15,25 : 차연산화로 16 :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비교회로
17,18 :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기준값 설정회로
26 : 세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비교회로
27,28 : 세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비교회로
29 : 덧셈연산수단 30 :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비교회로
31 :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기준값 설정회로
32 : 가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카운터
33 : 가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렛치(latch)회로
34 : 가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클럭(clock)
T : 가로실 Y : 세로실
W : 직포
본 발명은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를 사용해서 가로실과 세로실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의 결함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직포원단 검사장치가 일본국 특개소 60-2318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원공으로부터 직포상에 투사된 광(光)의 반사광은 감광셀(感光 cell)에 의해서 수광된다.
감광셀은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이 전기신호가 평가유니트로서 평가된다.
수광량에 따라서 변화된 전기신호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미리 전기신호의 크기와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에 의해서 행해진다.
전기신호의 값이 기준값 이내로 있으면 정상의 평가가 행해지고 전기신호의 값이 기준값을 넘으면 이상(異常)의 평가가 행해진다.
그렇지만, 검사장치 이외의 소명광의 존재 혹은 털먼지의 존재가 상기 전기신호를 변화시킨다.
이와같은 전기신호의 변화는 직포의 옷감 상태를 바르게 반영하지 않음에 따라서 오검사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소명광, 털먼지와 같은 외란(外亂))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가로실과 세로실중의 한쪽 실의 방향에 복수의 광전센서를 배치하여 두어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이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한쪽의 실과는 다른 실에 대한 결함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수단으로 판정하도록 하였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가로실과 세로실중의 한쪽의 실의 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차연산수단과, 차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한쪽의 실과는 다른 실에 대한 결함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직포원단 검사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차연산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더함을 연산하는 덧셈연산수단과, 차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연산결과에 기초에서 가로실에 대한 결함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 결함판정수단을 구비한 직포원단 검사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으로 설치되며 직포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광전센서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더함을 연산하는 덧셈연산수단과, 덧셈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 결함판정수단과, 차연산수단의 연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차신호의 값과 기준값을 비교함과 동시에 기준값을 넘는 차신호에 대응한 시간폭 확정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시간폭 확정신호의 시간폭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결점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하는 가결점판정수단을 구비한 직포원단 검사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 및 세로실의 방향에 각각 적어도 2개 설치되며 직포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광전센서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 세로실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세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1의 차연산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 가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가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2의 차연산수단과, 제1의 차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 결점판정수단과, 제2의 차연산수단의 연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차신호의 값과 기준값을 비교함과 동시에 기준값을 넘는 차신호에 대응한 시간폭 확정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시간폭 확정신호의 시간폭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차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하는 가결점판정수단을 구비한 직포원단 검사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1내지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가로실과 세로실중 한쪽실의 방향에 복수의 광전센서가 설치된다.
이들의 광전센서중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가 연산되어 이 연산된 차가 예로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된다.
상기 차의 연산은 조명과, 털먼지와 같은 외란의 영향에 의한 전기신호의 변화를 배제한다.
연산된 차가 기준값을 넘는 경우에는 판정수단이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복수의 광전센서를 세로실방향에 설치한 경우의 상기 결점검출신호의 출력은 가로실의 결점을 검출한 것에 의한 것으로 된다.
복수의 광전센서를 세로실방향에 설치된 경우의 상기 결점검출신호의 출력은 세로실의 결점을 검출한 것에 의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중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가 차연산수단에 의해서 연산됨과 동시에 각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더함이 덧셈연산수단에 의해서 연산된다.
상기 차의 연산은 소명광, 털먼지와 같은 외란의 영향에 의한 전기신호의 변화를 배제한다.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은 덧셈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세로실 결점판정수단은 차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복수의 광전센서에 의한 검출 및 각 전기신호에 기초해서 차의 연산은 청구항 5의 발명의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행해진다.
차연산수단에 의해서 연산된 차신호의 값은 비교수단에 있어서 기준값과 비교된다.
비교수단은 기준값은 넘는 차신호에 대응한 시간폭 확정신호를 출력한다.
이 시간폭 확정신호의 시간폭이 소정이상으로 있으면 가결점판정수단이 세로실에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시간폭확정신호의 시간폭의 검출은 광전센서에 의한 결점으로는 되지 않은 가로실의 검출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에 설치한 복수의 광전센서에 의한 검출, 각 전기신호에 기초해서 차의 연산, 이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 및 이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가결점판정수단의 판정은 청구항 6의 발명의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행해진다.
세로실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에 의한 검출, 각 전기신호에 기초한 차의 연산 및 이 연산결과에 기초한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의 판정은 가로실의 결점 유무의 판정을 위한 것으로 있다.
[실시예]
이하, 직기상의 직포원단 검사장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제4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포W의 윗쪽에는 레일(1)이 직포W의 직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레일(1)에는 센서(2)가 가이드체(3)을 통해서 달아내려져 지지되어있으며 가이드체(3)은 레일(1)에 따라서 이동된다.
센서(2)에는 끝이 없는 형상의 벨트(4)가 결합되어 있으며, 벨트(4)는 모터(5)의 구동풀리(5-1)과 가이드폴리(6)에 걸쳐져있다.
벨트(4)는 모터(5)의 왕복구동에 의해서 왕복회전하고 센서헤드(2)가 레일(1)에 따라서 왕복이동한다.
센서헤드(2)내에는 투광기(7), 수광기(8), 광학시스템(9)(10)이 수용되어 있다.
투광기(7)로부터 투사된 광은 광학시스템(9)를 통해서 직포W상을 비추어 직포W로부터 반사한 광은 광학시스템(10)을 통해서 수광기(8)에서 수광된다.
센서헤드(2)의 왕복이동범위는 투광기(7)의 투상광이 직포W의 직폭전역역을 주사(走査)하는 범위로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광기(8)은 한쌍의 수광소자(11)(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광소자(11)(12)는 직포W의 세로실Y의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난 11-1은 수광소자(11)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내고, 12-1은 수광소자(12)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직포W의 가로실T는 바디(도시생략)의 바디날개사이에 수개의 단위로 통과하고 있으며, 검지범위 11-1, 12-1의 세로실Y 방향의 폭은 바디날개의 피치(pitch)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검지범위 11-1, 12-1의 가로실T 방향의 폭은 세로실Y 방향의 폭보다도 수배의 크기로 하고 있다.
제3도의 우향의 화살표QR로 둘러진 영역은 센서헤드(2)의 우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직포W상에 있어서의 검지범위 11-1, 12-1의 소과(掃過)범위를 나타낸다.
좌방향의 화살표 Q1로 둘러진 영역은 센서헤드(2)의 좌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직포W상에 있어서의 검지범위 11-1, 12-1의 소과범위를 나타낸다.
직포W는 화살표R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광소자(11)(12)는 수취한 광을 전류로 변환한다.
이 변환전류신호는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로 된다.
수광소자(11)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3)에 출력하고, 수광소자(12)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4)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13)(14)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신호 S1, S2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15)에 출력한다.
차연산회로(15)는 양 전류-전압변환회로(13)(14)로부터 입력하는 전압신호 S1, S2의 값의 차를 연산한다.
이 연산에서는 전압신호 S1의 값으로부터 전압신호 S2의 값이 감산된다.
차연산회로(1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 ΔS12를 비교회로(16)에 출력한다.
비교회로(16)는 입력한 차신호ΔS12와 미리 기준값설정회로(17)(18)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값V1, V2를 비교한다.
기준값 V1은 정(正), 기준값 V2는 부(負)로 있다.
차신호 ΔS12의 값이 범위[V1, V2]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비교회로(16)은 출력회로(19)에 결점출력신호 ST를 출력한다.
차신호 ΔS12의 값이 범위[V1, V2]내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회로(16)은 출력회로(19)에 결점검출신호 ST를 출력하지 않는다.
비교회로(16)은 기준값설정회로(17)(18)과 함께 가로실 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한다.
출력회로(19)는 결점검출신호 ST의 입력에 기초해서 제직정지신호, 이상표시신호 등의 출력을 행한다.
제4(a)도의 곡선E1은 전류-전압변환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1을 나타낸다.
제4(b)도의 곡선E2은 전류-전압변환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2을 나타낸다.
제4(c)도의 곡선E3는 E1의 값으로로부터 곡선E2의 값을 끌어들여서 얻어진 차신호ΔS12을 나타낸다.
제4(d)도의 방형파E1, E5는 비교회로(16)으로부터 출력된 결점검출신호 ST를 나타낸다.
제4(a)도-제4(d)도의 횡축은 어느것이나 시간을 나타낸다.
제4(a)도-제4(c)도의 종축은 어느것이나 전압을 나타낸다.
곡선 E1의 돌출부E1-1은 수광소자(11)에 의해서 검출된 가로실에 관한 이상을 나타낸다.
곡선 E2의 돌출부E2-1은 수광소자(12)에 의해서 검출된 가로실에 관한 이상을 나타낸다.
돌출부E1-1, E2-1의 시간차는 세로실Y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광소자(11)(12)를 세로실Y의 방향으로 나란히 함으로서 생긴다.
곡선 E3의 돌출부 E3의 돌출부E3-1는 돌출부E1-1과 이 돌출부E1-1의 시간영역에 대응하는 곡선E2의 대략 평탄한 부분의 차로 있다.
곡선 E3의 돌출부E3-2은 돌출부E2-1과 이 돌출부E2-1의 시간영역에 대응하는 곡선E1의 대략 평탄한 부분의 차로 있다.
방형파 E4의 시간폭 t1은 기준값 V1을 정(正)의 측으로 넘는 돌출부E3-1의 시간폭에 대응하고, 방형파 E5의 시간폭 t2는 기준값 V2을 부(負)의 측으로 넘는 돌출부E3-2의 시간폭에 대응한다.
가로실T는 서로 이웃하는 바디날개 사이에 일정한 본수단위로 통하고 있지만, 예로는 어느 바디날개 사이에서는 가로실의 관퉁본수가 규정에 맞지 않고 인접바디날개사이에서 가로실의 퉁과 본수가 규정보다도 많은 상황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경근(頸筋)이 직포상에 생겨 불량직포가 되고 만다.
수광소자(11)(12)의 검지범위(11-1)(12-1)의 세로실Y의 방향의 범위는 바디날개의 피치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광소자(11)(12)에 있어서의 수광량은 직포W상의 경근부분과 정상부분에서는 달라 곡선E1, E2의 돌출부 E1-1, E2-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신호S1, S2의 변동이 얻어진다.
방형파E4,E5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점검출신호 ST의 출력은 수광소자(11)(12)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신호S1,S2의 차신호ΔS12와 기준값V1,V2의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판정된다.
원단검사장치 이외의 조명광의 존재 혹은 털먼지의 존재와 같은 외란이 전압신호 S1,S2를 변화시킨다.
즉, 전압신호 S1,S2에는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들어있다.
이와같은 전압신호 S1,S2의 변화는 직포의 섬유상태를 바르게 반영하지 않아 이들 전압신호 S1,S2와 기준값의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직포상의 결점 유무를 판정한 경우에는 오검사가 일어난다.
그러나 전압신호 S1,S2의 차를 나타내는 차신호ΔS12에서는 각 전압신호에 넣어진 상기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거의 상쇄된다.
따라서, 차신호ΔS12는 가로실T에 관한 이상의 유무를 고정밀도로 반영하고 있으며, 차신호ΔS12와 기준값 V1,V2의 비교는 가로실에 관한 이상유무의 검출이라는 원단검사의 정밀도를 높인다.
다음으로 제5도-제8도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광기(20)은 한쌍의 수광소자(2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광소자(21)(22)는 직포W의 가로실T의 방향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난 (21-1)은 수광소자(21)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내고, (22-1)은 수광소자(22)에 의한 직포W상의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검지범위(21-1)(22-2)의 세로실Y의 방향의 폭은 바디날개의 피치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검지범위(21-1)(22-2)의 가로실T 방향의 폭은 세로실Y방향의 폭 수배의 범위로 있다.
제7도의 우방향의 화살표QR쪽의 영역은 센서헤드(2)의 우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직포W상에 있어서의 검지범위(21-1)(22-1)의 소과범위를 나타낸다.
좌방향의 화살표 QL로 둘러진 영역은 센서헤드(2)의 좌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직포W상에 있어서의 검지범위 (21-1)(22-1)의 소과범위를 나타낸다.
수광소자(21)(22)는 수취한 광을 전류로 변환한다.
이 변환전류신호는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로 된다.
수광소자(21)은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3)에 출력하고, 수광소자(22)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4)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23)(24)는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 S3, S4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25)에 출력한다.
차연산회로(25)는 전압신호 S3의 값으로부터 전압신호 S4의 값을 감산한다.
차연산회로(2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 ΔS34를 비교회로(26)에 출력한다.
비교회로(26)는 입력한 차신호ΔS34와 미리 기준값설정회로(27)(28)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값V3, V4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값 V3는 정, 기준값 V4는 부이다.
차신호 ΔS34의 값이 범위[V3, V4]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비교회로(26)은 출력회로(19)에 결점신호 SY를 출력한다.
차신호 ΔS34의 값이 범위[V3, V4]내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회로(26)은 출력회로(19)에 결점검출신호 SY를 출력하지 않는다.
비교회로(26)은 기준값설정회로(27)(28)과 함께 세로실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한다.
제8(a)도의 곡선E6은 전류-전압전환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3을 나타낸다.
제8(b)도의 곡선E7은 전류-전압전환회로(2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4을 나타낸다.
제8(c)도의 곡선E8는 E6의 값으로로부터 곡선E7의 값을 끌어내서 얻어진 차신호ΔS34을 나타낸다.
제8(d)도의 방형파E9, E10는 비교회로(26)으로부터 출력된 결점검출신호 SY를 나타낸다.
제8(a)도-제8(d)도의 횡축은 어느것이나 시간을 나타낸다.
제8(a)도-제8(c)도의 종축은 어느것이나 전압을 나타낸다.
곡선E6의 돌출부E6-1은 수광소자(21)에 의해서 검출된 세로실에 관한 이상을 나타낸다.
곡선E7의 돌출부E7-1은 수광소자(22)에 의해서 검출된 세로실에 관한 이상을 나타낸다.
돌출부E6-1, E6-1의 시간차는 세로실Y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광소자(21)(22)를 가로실Y의 방향으로 나란히한 것에 의해 생긴다.
곡선E8의 돌출부E8-1은 돌출부E6-1과 이 돌출부E6-1의 시간영역에 대응하는 곡선E7의 대략 평탄한 부분의 차로 있다.
곡선E8의 돌출부E8-2는 돌출부E7-1과 이 돌출부E7-1의 시간영역에 대응하는 곡선E6의 대략 평탄한 부분의 차로 있다.
방형파E9의 시간폭 t3은 기준값 V3을 넘는 돌출부E8-1의 시간폭에 대응하고, 방형파 E10의 시간폭 t4는 기준값 V4을 하회하는 돌출부E8-2의 시간폭에 대응한다.
세로실Y가 루프상태, 도중 끈어지는 등의 이상을 일으키고 있을 경우 수광소자(21)(22)에 있어서의 수광량은 직포W상의 세로실에 의한 이상부분과 정상부분에서는 달라 곡선E6,E7의 돌출부 E6-1,E7-1에서 나타난 바와같은 전압신호 S3,S4의 변동이 얻어진다.
방형파E9,E10에 의해서 나타난 바와 같은 결점검출신호 SY의 출력은 수광소자(21)(22)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신호S3,S4의 차신호ΔS34와 기준값V3,V4의 비교결과에 기초해서 판정된다.
전압신호 S3,S4에는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넣어져 있다.
그러나. 전압신호 S3,S4의 차와 같은 차신호ΔS34에서는 각 전압신호에 넣어진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거의 상쇄된다.
또, 수광소자(21)(22)이 가로실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로실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전기신호의 변화분도 상쇄된다.
따라서, 차신호ΔS34는 세로실Y에 관한 이상의 유무를 고정밀도로 반영하고 있으며, 차신호ΔS34와 기준값 V3,V4의 비교는 세로실에 관한 이상의 유무와 같은 검사의 정밀도를 높인다.
다음으로 제9도 및 제10도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광소자(21)(22)는 제2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직포W의 가로실T의 방향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21)은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3)에 출력하고, 수광소자(22)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4)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23)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 S5로 변환해서 덧셈연산회로(29) 및 차연산회로(25)에 출력한다.
덧셈연산회로(29)는 전압신호 S5, S6의 값을 가산하고, 차연산회로(25)는 전압신호 S5의 값으로부터 전압신호 S6의 값을 감산한다.
덧셈연산회로(29)는 연산해서 얻어진 덧셈신호S56을 비교회로(30)에 출력한다.
비교회로(30)은 입력한 덧셈신호S56과 미리 기준값설정회로(31)에 의해서 설정된 기준값V5와 비교한다.
덧셈신호S56의 값이 기준값 V5를 넘는 경우에는 비교회로(30)은 출력회로(19)에 결점검출신호 ST를 출력한다.
덧셈신호S56의 값이 기준값V5이하의 경우에는 비교회로(30)은 출력회로(19)에 결점신호 ST를 출력하지 않는다.
차연산회로(2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ΔS56을 비교회로(26)에 출력한다.
덧셈연산회로(29)는 수광소자(21)(22)를 일체화해서 가로실T의 실방향의 검지범위를 확장한다.
이와같은 검지범위의 확장에 의해 가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력이 향상된다.
제10(a)-10(d)도의 그래프는 제8(a)-8(d)의 그래프와 같다.
제10(e)도의 곡선E11은 전류-전압변환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5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10(f)도의 곡선E12은 전류-전압변환회로(2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 S6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10(g)도의 곡선E13는 곡선E11과 곡선E11의 값을 가산해서 얻어진 덧셈신호S56을 나타낸다.
비교회로(26)은 입력한 차신호ΔS56과 기준값V3, V4를 비교한다.
차신호 ΔS34의 값이 범위[V3, V4]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비교회로(26)은 카운터(32)에 확인요구신호 CY를 출력한다.
차신호 ΔS34의 값이 범위[V3, V4]내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회로(26)은 카운터(32)에 확인요구신호 CY를 출력하지 않는다.
카운터(32)에는 렛치회로(33) 및 클럭(34)가 신호접속되어 있다.
렛치회로(33)에는 시간 t0와의 비교에 기초해서 결점검출신호SY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설정시간t0는 이하와 같이해서 결정된다.
세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의 시간폭tY및 가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폭 tY는 식(1)(2)로 나타난다.
tY= (LT+ DY) / VT…(1)
tT= (LY+ DT) / VY…(2)
단, 여기서, LT는 검지범위(21-1)(22-2)의 가로실T의 실방향의 폭을 나타내고, LY는 검지범위(21-1)(22-2)의 세로실Y의 실방향의 폭을 나타낸다.
DY는 세로실에 관한 결점의 폭을 나타내고, DT는 가로실에 관한 결점의 폭을 나타낸다.
VT는 직포W에 대한 검지범위(21-1)(22-1)의 가로실T의 실방향에 상대이동속도를 나타내고 VY는 직포W에 대한 검지범위(21-1)(22-1)의 세로실Y의 실방향의 상대이동속도를 나타낸다.
상대이동속도VT는 직포W의 이동속도로 있다.
가로실에 관한 결점으로서는 소위 경근이 있지만, 결점이라고 말할 수 없는 미소한 틈새가 직포상에 간간히 생길수가 있다.
이와같은 틈새(이하, 가결점이라말함)는 가로실 밀도가 높은 경우에 생기기 쉽다.
가결점에 관한 세로실Y의 실방향의 폭은 커도 가로실T의 1피치 정도로 있으며, 바디날개의 간격정도로 설정된 폭LY보다도 작다.
따라서, 식(2)에 있어서의 폭DT가 가결점으로 있으면, 식(2)에 있어서의 폭DT를 LY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서 다음의 식(3)이 얻어진다.
tY2LY/VY…(3)
또, 식(1)에 있어서의 폭DY를 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다음의 식(4)가 얻어진다.
tYLT/ VT…(4)
식(3)(4)로부터 다음의 식(5)가 얻어진다.
2LY/ VX≤ LT/ VT…(5)
식(5)를 변형해서 다음의 식(6)이 얻어진다.
VY≥ (2LY/ LT)·VT…(6)
따라서, 식(6)의 조건을 만족하는 이동속도VY로 센서헤드(2)를 이동하면 다음의 식(7)이 성립한다.
tYtT…(7)
식(7)에 있어서의 시간폭tT는 가결점에 관한 것으로 있으며, 시간폭tY는 세로실에 관한 결점의 것으로 있다.
따라서, 식(6)의 조건을 만족하는 이동속도VY로 센서헤드(2)를 이동하면, 세로실결점과 가결점을 식별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식별 때문에 식(4)(5)에 있어서의 LT/ VT를 설정시간t0로서 결정하고, 시간폭tY가 설정시간t0이상으로 있으면 시간폭tY를 초래하는 방형파E9또는 E10이 실제로 세로실결점을 나타낸다.
시간폭t3, t4를 나타내는 방형파E9, E10은 시간폭확정신호로 된다.
렛치회로(33) 및 클럭(34)와 함께 가결점판정수단을 구성하는 카운터(32)는 방형파E9의 시간폭t3또는 방형파E10의 시간폭t4가 설정시간t0이상의 경우에 결점검출신호SY를 출력한다.
이와같은 식별판정에 의해 가결점과 세로실결점을 식별해서 세로실에 관한 이상유무와 같은 원단검사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11도 및 제12도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광소자(35)(36)은 제2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직포W의 세로실Y의 방향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36)(37)은 제1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직포W의 가로실T의 방향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35-1)(36-1)(37-1)은 각 수광소자(35)(36)(37)의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수광소자(35)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3)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13)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 S7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15)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14)은 수광소자(36)으로부터의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 S8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15)(25)에 출력한다.
차연산회로(15)는 전압신호 S7의 값으로부터 전압신호 S8의 값을 감산한다.
차연산회로(1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 ΔS78를 비교회로(16)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24)은 수광소자(37)로부터의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 S9로 변환해서 차연산회로(25)에 출력한다.
차연산회로(25)는 전압신호 S8의 값으로부터 전압신호 S9의 값을 감산한다.
차연산회로(2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 ΔS89를 비교회로(26)에 출력한다.
제12(a)-12(d)도의 그래프는 제4(a)-4(d)의 그래프와 같다.
제12(a)-12(h)도의 그래프는 제8(a)-8(d)의 그래프와 같다.
제12(a)도의 곡선E1은 전류-전압변환회로(13)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내고, 제12(b)도의 곡선E2는 전류-전압변환회로(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제12(e)도의 곡선E6은 전류-전압변환회로(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내고, 제12(f)도의 곡선E7는 전류-전압변환회로(2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비교회로(16)은 입력한 차신호ΔS78과 기준값 V1, V2를 비교한다.
차신호 ΔS78의 값이 범위[V1, V2]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비교회로(16)은 출력회로(19)에 검출신호 ST를 출력한다.
차신호 ΔS78의 값이 범위[V1, V2]내에 있는 경우에는 비교회로(16)은 출력회로(19)에 결점검출신호ST를 출력하지 않는다.
비교회로(26)은 입력한 차신호 ΔS89와 기준값V3, V4를 비교한다.
차신호ΔS89의 값이 범위[V3,V4]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비교회로(26)은 카운터(32)에 확인요구신호 CY를 출력한다.
카운터(32)는 제3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클럭(34)의 계측시간과 설정시간 t0의 비교에 기초해서 결점검출신호SY를 출력할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전압신호S7,S8의 차를 나타낸 차신호ΔS78및 전압신호 S8,S9의 차를 나타낸 차신호ΔS89에서는 각 전압신호에 넣어진 상기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거의 상쇄된다.
따라서 차신호ΔS78은 가로실T에 관한 이상유무를 고정밀도로 반영하며, 차신호ΔS78과 기준값 V1,V2의 비교는 가로실에 관한 이상유무의 검출과 같은 검사의 정밀도를 높인다.
또, 전압신호S8,S9의 차를 나타낸 차신호ΔS89에서는 각 전압신호에 들어간 외란에 의한 변화분이 거의 상쇄된다.
또, 수광소자(36)(37)이 가로실방향으로 직렬로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가로실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전기신호의 변화분도 상쇄된다.
따라서 차신호ΔS89는 세로실Y에 관한 이상유무를 고정밀도로 반영하고 있으며, 차신호ΔS89와 기준값 V3,V4의 비교는 세로실에 관한 이상유무와 같은 검사의 정밀도를 높인다.
게다가 가결점과 세로실결점을 식별해서 세로실에 관한 이상유무와 같은 검사의 정밀도를 높일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13도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광소자(38)(39)(40)(41)중의 2개씩이 직포W의 가로실T의 방향 및 세로실Y의 방향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38-1)(39-1)(40-1)(41-1)은 각 수광소자(38)-(41)의 검지범위를 나타낸다.
수광소자(38)은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3)에 출력하고, 수광소자(39)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14)에 출력한다.
수광소자(40)은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3)에 출력하고, 수광소자(41)는 변환전류신호를 전류-전압변환회로(24)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13)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해서 덧셈연산회로(42)(45)에 출력하고, 전류-전압변환회로(14)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해서 덧셈연산회로(44)(45)에 출력한다.
전류-전압변환회로(23)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해서 덧셈연산회로(42)(43)에 출력하고, 전류-전압변환회로(24)은 변환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해서 덧셈연산회로(43)(44)에 출력한다.
각 덧셈연산회로(42)-(45)는 입력하는 전압신호를 가산한 덧셈신호를 출력한다.
덧셈연산회로(42)(44)는 덧셈신호를 차연산회로(15)에 출력하고, 덧셈연산회로(43)(45)는 덧셈신호를 차연산회로(25)에 출력한다.
각 전류-전압변환회로(13)(14)(23)(24)의 전압신호값을 V38,V39,V40,V41로 하면, 각 덧셈연산회로(42)-(45)의 덧셈신호값은 (V38+ V40),(V40+ V41),(V39+ V41),(V38+ V39)로 된다.
V38,V39,V40,V41은 각 수광소자(38)-(41)의 변환전류신호에 대응한다.
차연산회로(15)는 덧셈신호값(V38+ V40)으로부터 덧셈신호값(V39+ V41)을 감산하고, 차연산회로(25)는 덧셈신호값(V38+ V39)로부터 덧셈신호값(V40+ V41)을 감산한다.
차연산회로(1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를 비교회로(16)에 출력하고, 차연산회로(25)는 연산해서 얻어진 차신호를 비교회로(26)에 출력한다.
비교회로(16)의 기준값V1, V2와 차신호값[(V38+ V40)-(V39+ V41)]의 비교에 기초해서 결점검출신호ST를 출력회로(19)에 출력할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비교회로(26)의 기준값V3, V4와 차신호값[(V38+ V39)-(V40+ V41)]의 비교에 기초해서 확인요구신호CY를 카운터(32)에 출력할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한다.
덧셈연산회로(42)는 수광소자(38)(40)을 일체화하고, 덧셈연산회로(43)은 수광소자(40)(41)을 일체화한다.
또, 덧셈연산회로(44)는 수광소자(39)(41)을 일체화하고, 덧셈연산회로(45)는 수광소자(38)(39)를 일체화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일체화된 수광소자쌍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신호와 수광소자쌍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신호의 사이에서의 차가 인식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같은 고정밀도의 원단검사를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가로실 방향으로 나란한 한쌍의 수광소자의 일체화 및 세로실방향으로 나란한 한쌍의 수광조사의 일체화에 의해서 가로실방향 및 세로실방향의 검지범위가 확장되면 이와같은 검지범위의 확장에 의해 가로실 및 세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력이 향상한다.
제14도 및 제5실시예에서는 카운터(32), 렛치회로(33) 및 클럭(34)를 사용한 가결점판정수단을 채용하였지만,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결점판정수단을 생략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제14도 및 제15도의 실시예에서도 외란의 영향이 배제되어 고정밀도의 검사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결점에 관한 원단검사를 행할 경우에는 제1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광소자(11)(12)를 가로실T의 실방향으로 떨어뜨려도 좋다.
또, 세로실의 결점에 관한 검사를 행할 경우에는 제17도에 나타난바와 같이 수광소자(21)(22)를 세로실Y의 실방향으로 떨어뜨려도 좋다.
광전센서로서는 제1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미지센서(46)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미지센서(46)의 전화소(畵素)중의 적당한 개수와 화상소자를 사용해서 검지범위의 선택하기 때문에 가결점과 세로실결점의 식별을 고려한 원단검사의 경우에도 이미지센서의 상대이동속도 VY의 단일 설정이 가능하다.
즉, 상대이동속도VY를 먼저 설정해두고, 상기한 식(1)-(6)에 기초해서 검지범위의 세로실방향의 폭LY및 가로실방향의 폭LT를 설정하면 좋다.
이와같은 상대이동속도VY의 설정은 원단검사준비의 작업성을 향상한다.
도면에 나타낸 경우에는 (n.m1)으로 나타난 검지범위가 제9도의 실시예의 검지범위21-1에 대응하고, (n,m2)로 나타나는 검지범위가 제9도의 실시예의 검지범위22-1에 대응한다.
검지범위(n,m1)의 변환전류는 검지범위 제어회로(47)에 의해서 전류-전압변환회로(23)으로 보내어지며, 검지범위(n,m2)의 변환전류는 검지범위 제어회로(47)에 의해서 전류-전압변환회로(24)로 보내어진다.
이후의 신호처리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이미지센서의 화소의 대신에 소형의 포트다이오드 혹은 포트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수광소자를 가로실방향 혹은 세로실방향으로 3개 이상 나란히, 실방향으로 나란한 수광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전기신호를 가산해서 실방향으로 나란한 수광소자를 일체화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센서헤드가 직포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있지만, 세로실결접에 관한 검사의 경우에는 직포의 폭방향으로 복수의 수광센서를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부동배열한 원단검사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가로실결점에 관한 검사의 경우에도 예로는 이미지센서를 직폭 전역에 연속적으로 부동설치하는 검사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직포검사장치의 직기상에 장착하였지만 직기로부터 분리한 직포의 검사를 행할경우에도 본 발명의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를 채용할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결점검출신호ST, SY의 출력의 유무, 혹은 확인요구신호CY의 유무를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이 기억데이타에 기초해서 직포의 품질평가를 행하여 직기의 관리데이타로서 이용할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로부터 파악되는 청구항 기재 이외의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그 효과와 함게 기재한다.
가결점과 세로실결점의 식별을 고려한 직포검사의 경우에도 이미지센서의 직포방향의 이동속도의 단일 설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가로실과 세로실중 한쪽실의 방향에 복수의 광전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광전센서중의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로서 외란의 영향에 의한 전기신호의 변화를 배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원단검사를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가로실의 방향에 설치한 복수의 광전센서중 적어도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취함과 동시에 각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더함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외란의 영향에 의한 세로실관계의 전기신호의 변화를 배제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검지범위의 확장에 의해 가로실에 관한 결점의 검출력을 향상할 수가 있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가결점판정수단에 의해서 세로실결점과 가결점을 식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결점에 의한 오원단검사를 회피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11)(12)를 사용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W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에 있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중의 한쪽방향에 복수의 광전센서(11)(12)를 설치해두어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11)(12)중의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고, 이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한쪽의 실과는 별개의 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수단으로 판정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실은 가로실이며, 별개의 실은 세로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실은 세로실이며, 별개의 실은 가로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 검사방법.
  4.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11)(12)를 사용해서 가로실과 세로실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에 있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중 한쪽의 실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11)(12)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 중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차연산수단(15)와, 차연산수단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한쪽의 실과는 별개의 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
  5.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11)(12)를 사용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W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에 있어서, 가로실T의 방향에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21)(22)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21)(22)중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차연산수단(25)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21)(22)의 전기신호의 더함을 연산하는 덧셈연산수단(29)와, 덧셈연산수단(29)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결점판정수단(30)과, 차연산수단(25)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세로실결점판정수단(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
  6.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11)(12)를 사용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W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에 있어서, 가로실의 방향에 설치되며 직포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광전센서(21)(22)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 1개의 전기신호와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차연산수단(25)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더함을 연산하는 덧셈연산수단(29)와, 덧셈연산수단(29)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결점판정수단(30)과, 차연산수단(25)의 연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차신호의 값과 기준값을 비교함과 동시에 기준값을 넘는 차신호에 대응한 시간폭 확정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26)과 상기 시간폭 확정신호의 시간폭에 기초해서 세로실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하는 가결점판정수단(32)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검사장치.
  7.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광전센서(11)(12)를 사용해서 가로실T와 세로실Y에 의해서 제직된 직포W의 결점을 검출하는 직포원단 검사장치에 있어서, 가로실T의 방향 및 세로실Y의 방향으로 각각 2개 설치되며 직포W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광전센서(35)(36)(37)과,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35)(36)(37)중 세로실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중 1개의 전기신호와 세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1의 차연산수단(15)와, 상기 복수의 광전센서중 가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센서중 1개의 전기신호와 가로실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광전센서의 전기신호의 차를 연산하는 제2의 차연산수단(25)와, 제1의 차연산수단(15)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가로실T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판정하는 가로실결점판정수단(16)과, 제2의 차연산수단(25)의 연산에 의해서 얻어지는 차신호의 값과 기준값을 비교함과 동시에 기준값을 넘는 차신호에 대응한 시간폭확정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26)과, 상기 시간폭 확정신호의 시간폭에 기초해서 세로실Y에 대한 결점검출신호를 출력할 것인가 안할것인가를 판정하는 가결점판정수단(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포원단검사장치.
KR1019960000797A 1995-01-26 1996-01-17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KR015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3095 1995-01-26
JP95-10930 1995-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672B1 true KR0155672B1 (ko) 1998-12-01

Family

ID=1176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797A KR0155672B1 (ko) 1995-01-26 1996-01-17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94979A (ko)
KR (1) KR0155672B1 (ko)
CN (1) CN1042661C (ko)
TW (1) TW2817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5891A1 (de) * 1995-12-08 1997-06-12 Memminger Iro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der Abtastverhältnisse beim Steuern einer Fadenliefervorrichtung
US5825501A (en) * 1997-03-14 1998-10-20 Lockheed Martin Energy Systems, Inc. Structure and yarn sensor for fabric
US5854683A (en) * 1997-10-24 1998-12-29 Keane; Barry P. Optical web defect detection system
SE510657C2 (sv) * 1997-11-24 1999-06-14 Eltex Sweden Ab Övervakningsanordning
CN1075848C (zh) * 1998-07-10 2001-12-05 财团法人中国纺织工业研究中心 织物皱摺的自动评级方法
US20060206232A1 (en) * 2003-12-17 2006-09-14 Tim Palmer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Defects in Textile Structures
US6950717B1 (en) 2004-03-19 2005-09-27 Sara Le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dth and stitch density of a fabric web
US8714472B2 (en) * 2010-03-30 2014-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nder registration and inspection system
JP5988490B2 (ja) * 2012-12-25 2016-09-07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テープの貼付状態を検査する装置
CN208847662U (zh) * 2017-03-14 2019-05-10 东莞理工学院 一种表面瑕疵检测器
IT201900007770A1 (it) * 2019-05-31 2020-12-01 Texma S R L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ontrollo della stabilità dimensionale di un tessut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3474A5 (de) * 1984-04-24 1987-12-15 Zellweger Ust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ueberwachung von gewebebahnen.
EP0204093B1 (en) * 1985-04-05 1989-08-0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eft yarn in a jet loom
WO1992022694A1 (en) * 1991-06-11 1992-12-2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loth inspecting device on loom
JP3089112B2 (ja) * 1992-08-20 2000-09-1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緯糸フィー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94979A (en) 1997-12-09
CN1133362A (zh) 1996-10-16
CN1042661C (zh) 1999-03-24
TW281703B (ko) 199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672B1 (ko) 직포원단 검사방법 및 장치
US4559451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with high resolution the position of edges of a web
KR880002242A (ko) 패턴 결함 검출방법및 장치
CA2586672A1 (en) Automatic judging device and automatic judging method
JP2000027067A (ja) ストランド形状の繊維製品の無接触測定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RU2337195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JPH08261952A (ja) 織布検反方法及び装置
JPH08209501A (ja) 織機における経糸検査装置
JPS63182554A (ja) 表面検査装置
JPH0333262A (ja) 検反装置
JPS6125042A (ja) 表面欠陥検査装置
JP3477877B2 (ja) 織布検反装置
JPH08220020A (ja) 織布検反装置
JP3820316B2 (ja) 織機における織布検反装置
JPH09217250A (ja) 織布検反装置
JPS62108136A (ja) 織物の毛羽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978445A (ja) 織布検反装置
JPH09217251A (ja) 織布検反装置
JP2002090306A (ja) 表面検査装置の自己診断方法
JPH09273068A (ja) 織布検反方法及び装置
JPH0967760A (ja) 織布検反方法及び装置
JPH03260145A (ja) 織布の検反装置
JPH09158006A (ja) 織布検反装置
JPH0633343A (ja) 検反装置
SU146739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комплексног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контрол качества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