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577B1 - 디스크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577B1
KR0155577B1 KR1019940028114A KR19940028114A KR0155577B1 KR 0155577 B1 KR0155577 B1 KR 0155577B1 KR 1019940028114 A KR1019940028114 A KR 1019940028114A KR 19940028114 A KR19940028114 A KR 19940028114A KR 0155577 B1 KR0155577 B1 KR 015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older
storage unit
disc
hol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313A (ko
Inventor
야스유키 나가니시
고우타로 오카
게이 시라하타
시게히로 이토
다쓰노리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5001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4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toroidal or part-toroidal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2Driving feature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복수의 미니디스크를 저장하고 복수의 미니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다연주 재생장치는,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홀더와, 홀더내의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겹쳐 쌓인 복수의 카트리지홀더를 저장하고 카트리홀더 및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의 카트리지홀더를 고정하는 홀더고정수단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있는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고 있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으로부터 재생장치까지 이송하는 홀더 이송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
카트리지 저장유닛에 저장된 카트리지의 내용은 재생장치가 연주중에 알 수 있으며 카트리지를 꺼내고 또는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재생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미니디스크(MD) 카트리지 장전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사용되고 있는 카트리지홀더(holder)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카트리지홀더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MD카트리지 장전기구의 부분적 사시도이다.
제5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의 MD카트리지 장전기구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사용되고 있는 카트리지홀더이다.
제7도는 제5도의 패널 단면도이다.
제8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5의 MD카트리지 장전구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사용되는 카트리지홀더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의 MD카트리지 장전기구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6의 MD카트리지 장전기구의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기구의 종배치설명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의 기구의 횡배치설명도이다.
제14도는 실시예 7에 의한 카트리지홀더의 사시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카트리지홀더의 사시도이다.
제16도는 실시예 8의 MD카트리지 장전기구의 사시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에 사용되는 가이드 패널의 사시도이다.
제18도는 제16도에 사용되는 또 다른 가이드 패널의 사시도이다.
제19도는 제16도에 사용되는 제3의 가이드 패널의 사시도이다.
제20도는 실시예 9의 카트리지홀더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에서 카트리지가 턴테이블의 반대쪽 위치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제22(a)도 및 제22(b)도는 제20도의 카트리지홀더 이송장치의 부분전면도이다.
제23도는 카트리지가 턴테이블이 이재된 후의 측면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정면도이다.
제25도는 카트리지 이송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26도는 제25도의 정면 단면도이다.
제27(a)도, 27(b)도, 27(c)도 및 27(d)도는 제25도의 카트리지 이송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제28도는 스텝플레이트의 상면도이다.
제29도는 제28도의 정면도이다.
제30도는 제28도의 측면도이다.
제31도는 제25도의 카트리지 이송장치와 조합된 제28도의 측면도이다.
제32도는 케이스 단면도이다.
제33(a)도, 33(b)도, 33(c)도, 33(d)도는 엘리베이트 구동계의 배치설명도.
제34도는 실시예 13의 정면단면도이다.
제35도는 실시예 14의 캠판의 전면도이다.
제36도는 실시예 15의 캠판의 전면도이다.
제37도는 제36도의 캠판의 부분확대도이다.
제38도는 종전의 멀티디스크 장전기구의 부분사시도이다.
제39도는 제38도의 멀티디스크 장진기구의 카트리지를 빼낸상태의 부분사시도이다.
제40도는 제38도의 멀티디스크 장진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제41도는 정면에서 본 MD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제42도는 이면에서 본 제41도의 MD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제43도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제44도는 종전의 CD재생장치의 프로팅덱 측면도이다.
제45도는 제44도의 프로팅텍의 측면도이다.
제46도는 종전의 CD재생장치의 디스크이송동작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피보트축
3 : CD재생장치 4 : CD홀더
5 : 피보트핀 6 : 요부(recess)
7 : CD(Compact disk)디스크 13 : 케이스
14 : 셔터 15 : 키
16 : 디스크 17 : 홈
18 : 개구 19 : 중앙판
20 : 구멍 21 : 마크
22 : 요부 24 : 후단면
25 : 카트리지 49 : 2중삽입방지판
59 : 베이스판 60 : 프로팅·덱
62 : 턴·테이블 64 : 댐핑받침
65, 67 : 고정핀 66 : 요부
69 : 엘리베이터 72 : 슬라이드핀
78 : 기준핀 83 : 연결판
87 : 캠판 88 : 랙
92 : 구동기구 93 : 피니온
94 : 모터 99 : 스텝판
이 발명은 디스크 재생장치, 특히 미니디스크(소위 MD)를 다수장전하여 연속연주를 하기위한 다연주재생장치의 MD교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기록장치와 유사한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1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 다수의 디스크를 장진하고, 그중에서 소정의 순서로 자동적으로 디스크를 빼내어 재생장치에 보내며, 재생이 완료한 디스크를 상기 장진한 위치에 보내는 소위 다연주교환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MD재생장치로 구성된 다연주교환기구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닮은 기술인 CD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8도는 일본국 실개평4-20674호 공보에 제시된 공지의 다연주 교환기구와 유사한 디스크 교환기구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1은 프레임, 2는 피보트축, 3은 CD재생장치, 4는 다수의 CD홀더, 5는 피보트 핀, 6은 CD홀더(4)에 형성된 요부(recess)이다.
제39도 및 제40도는 제38도의 장치의 동작설명도이고,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자형인 각 CD홀더(4)는 그 내부에 CD(compact disk)(7)를 수용하고 있다. 복수의 CD홀더(4)는 핍트핀(5)를 중심으로 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다.
또, 프레임(1)은 피보트축(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제39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CD재생장치(3)에서 CD홀더(4)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이 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CD홀더(4)에 대해서 CD(7)를 빼고 넣게할 수 있다.
CD(7)의 연주시는, 제39도와 같이 프레임(1)은 본체(3)의 외부 삽입위치(26)로 회전시켜 빼낸 후, CD(7)를 CD홀더(4)에 각각 삽입하고 프레임(1)을 제38도와 같이 본체(3)내의 대기위치(27)에 회전시킨다. 다음에 필요한 곡목을 선정하면(도시않된 선택키 또는 제어회로에 의해 선정된다) 당해 곡명이 수용되어 있는 CD홀더(4)만이 제40도와 같이 피보트핀(1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재생위치(28)(연주위치라고도 함) 따라서 연주중 모든 CD(7)는 본체의 내부에 있는 대기위치(27)에 수용되고 프레임(1)으로 덮혀져있음으로 먼지로부터 CD(7)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제40도에서, CD(7)의 정보를 읽고 기억시킬 수 있는 신호변환기(이하 센서라 함)는 길고 짧은 점선에 따라 이동한다. 본체(3)를 삽입면을 위로하여 설치한 경우는 센서는 상하이동이고 삽입면을 측면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센서가 수평으로 이동되나, 센서는 비교적 중량이 있으므로 상하이동과 수평이동에서는 센서의 이동(즉 재생기능)에는 큰 차이가 생겨, 결과로서 본체(3)의 설치방향에는 제약이 따른다. MD재생장치는 디스크가 미리 카트리지에 들어 있는 점이 다를 뿐으로 CD재생장치(3)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 발명의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미니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1도는 일본국 특개평4-278264호 공보에 제시된 미니디스크 카트리지의 정면사시도이며, 제42도는 같은 미니디스크카트리지의 이면사시도이다.
제41도 및 제42도에서, 25는 미니디스크 카트리지(이후는 카트리지라 함)이고, 13은 평면상자형으로 내부에 디스크(16)가 수용되어 있다. 14는 셔터이고, 케이스(13)위를 제4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스라이드이동하고, 디스크(16)에서 신호를 읽기위한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15는 닫힌위치로 셔터(14)를 잠그기위해 케이스(13)에 구비된 키이며, 케이스(13)의 측벽에 형성된 홈(17)내에 키(15)의 일단이 있으며, 이것을 누르면 키(15)가 셔터(14)를 풀어 셔터(14)를 화살표방향으로 열 수 있다. 18은 케이스의 이면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며, 디스크(16)에 고정된 쎈터판(19)이 구멍(18)에 노출되어 있다. 또, 케이스(13)의 이면에는 케이스(13)의 위치결정 및 카트리지(25)의 이송을 위한 복수의 구멍(20) 및 요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카트리지(25)의 삽입방향을 표시하는 마크(21)가 케이스(13)의 이면의 케이스(13)의 한쪽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마크(21) 부근 측면의 반대 끝에 있는 각은 둥글게 되어 있고, 카트리지(25)는 마크(21)가 표시된 방향으로(도시않됨)재생장치에 삽입되어 있다.
제43도는 카트리지(25)의 케이스(13)의 후단면을 나타낸 도이며, 카트리지의 내용을 기술한 라벨(label)(곡목, 데이터명, 타이틀 등)이 케이스(13)의 뒤끝면(24)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쪽은 기능적 목적등으로 이용되므로 그 이외에는 라벨의 부착이 금지되어 있다.
제44도, 제45도 및 제46도는 일본국 실개소 62-63853호 공보에 공개된 CD재생장치에 있는 디스크 로딩 유닛을 나타낸 도이며, 도에는 7은 디스크, 62는 디스크(7)를 부착하여 회전하는 자성재가 있는 턴·테이블, 60은 턴·테이블(6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프로팅·덱, 59는 베이스판, 64는 베이스판(59)에 설치되어 프로팅·덱(62)을 프로팅상태로 지지하는 댐핑받침, 65는 프로팅·덱(60)의 양측의 전후부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록핀, 67은 디스크(7)를 자성 턴·테이블(62)에 설치할 때 프로팅·덱(60)을 버이스판(59)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록킹·핀(65)을 걸어맞추는 록킹·판이다. 디스크(7)를 턴·테이블(62)에 장착하는 디스크 장착기구(도시않됨)가 프로팅·덱(60)위에 구성되고 턴·테이블(62)쪽으로 높이 A의 위치로부터 디스크(7)를 끌어내리게하므로 베이스판(49)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장착기구 및 턴·테이블(62)은 디스크장착기구가 턴·테이블(62)위의 디스크(7)에 설치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디스크(7)의 정보를 광픽업(도시않됨)을 통하여 읽어내는 동작은 정밀한 위치제어를 요하는 동작이기 때문에 외부진동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광픽업 및 디스크구동모터(도시않됨)를 수용하고 있는 프로팅·덱(60)이 베이스판(59)에 대해서 부유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디스크(7)를 턴·테이블(62)에 장착할 때에는, 턴·테이블이 불안정하면 디스크(7)를 정확히 턴·테이블(62)에 장착할 수 없으므로, 록킹판(67)을 록킹핀(65)과 걸어맞추고, 턴·테이블(62)을 수용하고 있는 프로팅·덱(60)을 제자리에 멈추게하며, 그리고 디스크를 턴·테이블(62)위에 하강시켜 장착한다. 디스크 장착기구는 디스크(7)가 턴·테이블(62)에 장착되는 높이(B)보다 디스크(7)과 턴·테이블(62)간의 간섭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높이차(C)만큼 높은 높이(A)로부터 디스크(7)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종전의 CD다연주장치의 교환기구는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연주중에 CD가 미장전의 CD홀더는 어느것인가, 또 어느 CD홀더에 CD가 장전되어 있는가를 직접보고 확인할 수 없다.
2) 일단 장전하여 대기위치에 있는 디스크의 내용을 읽을 수가 없다.
3) 디스크가 연주중에는, 다른 디스크를 빼낼 수 없고 바꿀 수도 없다.
4) 프레임(1)은 장전되어있는 모든 디스크를 동시에 이송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는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장치전체가 무겁게 된다.
5) CD홀더는 캔틸레버형의 프레임(1)에 피보트핀(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피보트핀(5)은 CD홀더가 기울지 않도록 길게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다층의 CD홀더두께는 CD에 비하여 커야한다.
6) 다연주 재생장치의 CD에서 정보를 읽는 센서는 본체정면에 대해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본체의 위치가 변경될 때에는 센서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 다르고, 재생특성에 큰차가 생긴다. 그 때문에 본체의 설치방향에 제약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7) 록킹판(67)은 댐핑받침(64)에 의해 록킹핀(65)을 그의 원위치에 지지되고 있는 프로팅·덱(60)과 걸어맞추고 있으므로, 디스크를 턴·테이블(62)위의 위치에서 삽입한 후 턴·테이블(62)위에 내려져야 하며, 결과로서 CD재생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8) 프로팅·덱은 댐핑받침(64)의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상하로 추가공간이 필요하므로, 결과적으로 CD재생장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9) 엘리베이터가 상하이동하는데 필요한 크기가 재생장치의 두께를 결정하므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의 두께가 여기에 가해지지 않도록 배치하지 않으면 장치가 커질 염려가 있다.
10) 엘리베이터의 정지위치는 정확하게 이송되어오는 카트리지의 높이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으나, 구동기구의 관성과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정지 위치가 자주 벗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의 제1 내지 제7의 발명은 과제 1)에서 5)를 해결한다.
즉, 연주중에 연주되고 있는 CD이외의 디스크의 삽입상황을 직접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또, 연주중에 다른 디스크를 꺼내고 바꿀 수 있으며, 또한 경량으로 소형이고, 장치전제의 두께가 작게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7의 발명은 과제 6)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체의 설치방향의 제약이 없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8의 발명은 과제 5)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의 제9 및 제10의 발명은 제1 내지 제7의 발명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의 제12의 발명은 과제 7)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하는 디스크의 재생위치(높이)와 같은 높이로 삽입해도 디스크가 턴·테이블과 접촉하지 않으며, 결과로서 장치두께를 작게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의 카트리지 이송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3 및 제17의 발명은 과제 8)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의 삽입높이의 외측에 공간을 필요로 않는 소형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의 카트리지 이송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4, 제15, 제16의 발명은 과제 9)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의해 장치의 높이치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제18의 발명은 과제 10)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1의 발명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삽입하는 복수의 카트리지의 삽입구가 디스크마다 개별로 설치되어 있고, 삽입한 디스크의 후단이 삽입구의 입구에서 보이는 상태로 지지되는 그러한 홀더 및 홀더저장유닛과, 연주하는 디스크의 들어간 홀더만을 홀더저장유닛에서 재생위치에 이송하는 홀더이송수단과를 갖고 있다.
이 발명의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수단인 홀더이송수단에 대신하여 홀더 직선이송수단을 갖고 있다.
제4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인 홀더 이송수단 대신에 홀더 직교 이송수단을 갖고 있다.
이 발명의 제3의 발명 및 제5의 발명인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각각 상기 제2, 제4의 발명의 수단에 추가하여 삽입구에 이중삽입방지판을 갖고 있다.
제6의 발명인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제1의 발명인 홀더에 대신하여 각부에 회동지점을 갖고 다른 각부에 지지핀을 갖는 홀더와, 그의 지지핀으로 홀더를 지지하면서 회동시키는 홀더회동이송수단을 갖고 있다.
제7의 발명은 상기 제6의 발명인 홀더회동이송수단 대신 홀더경사회동이송수단을 갖으며, 본체의 정면에 대해서 45°, 135°, 225° 또는 315°의 각도위치가 되도록 CD의 신호를 픽업하는 센서가 이동한다.
제8의 발명에 의한 홀더는 U자형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하 벽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9에서 제11의 발명에 의한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제1에서 제7의 발명에 의한 수단의 각각에 추가하여 가이드 패널을 갖으며, 그 패널에 요부(recess)를 갖고 있따.
제12의 발명의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홀더 대기위치에서 프로팅·덱까지 카트리지홀더 이송수단에 의해 카트리지홀더를 이송할 때, 프로팅·덱이 이송되고 있는 카트리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의 부동상태를 고정하는 프로팅·덱 고정수단을 갖는 것이다.
이 발명의 제13의 발명의 카트리지 이송수단은, 프로팅·덱의 기준핀의 높이를 이송한 홀더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수직구동수단과 그의 엘리베이터 수진구동수단에 의해 가장끝의 홀더에 대응하는 높이로 정지하여 카트리지가 이송된 후에, 다시 엘리베이터를 구동하여, 카트리지를 얹은채로 내측의 위치에 가까운 쪽으로 엘리베이터를 이탈시키는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을 갖고 있다.
제14의 발명은 제13의 발명의 수단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스텝·프레이트와 엘리베이터의 상하이동을 하는 궤도의 연장선밖에 설치된 스텝·플레이트의 구동계를 갖고 있다.
제15의 발명의 스텝·플레이트와 프레임과의 접촉면에 진동흡수재 또는 저마찰재를 부착한 스텝·플레이트를 갖고 있다.
제16의 발명은, 스텝·플레이트에 복수의 요부를 갖으며, 프레임측에는 고정된 돌기 또는 판·스프링이 있고, 엘리베이터가 정지될 복수의 위치에 있을 때, 그의 요부에 고정된 돌기 또는 판스프링이 맞물리는 위치에 판·스프링 또는 돌기가 부착되어 있다.
제17의 발명은, 제13의 수단에 있는 엘리베이터의 이탈수단이며, 스텝·플레이트의 캠판의 캠형상을 산형으로 한 것이다.
제18의 발명은 스텝·프레이트의 캠판의 형상에 철부(protrusion)를 더한 것이다.
상기에 명백한 것 같이, 이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고 있다.
이 발명의 제1에서 제17까지의 발명의 홀더는 카트리지의 후단을 커버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카트리지의 명칭기재부분이 노출되어있고, 또 홀더저장유닛은 대기중의 카트리지를 그의 후단이 삽입구에서 보이는 위치에서 홀더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대기중의 카트리지를 외부에서 볼 수가 있다.
또한, 홀더이송수단, 홀더직선이송수단, 홀더회동이송수단, 홀더경사회동이송수단은 연주하는 미니디스크가 들어있는 홀더만을 연주위치에 이송하므로, 연주중에도 다른 디스크의 교환 및 빼냄이 가능하다.
제7의 발명에 의한 홀더의 이송시 홀더의 양측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회동중에 외팔보(cantilever)상태로 되는 일 없이 경사되지 않아 회동지점의 구조가 작아진다.
제7의 발명에 있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의 재생시의 카트리지의 자세는 본체의 정면에 대해서 45°의 방향으로 센서가 이동하는 자세로 되므로 본체의 설치방향은 종, 횡방향의 제약이 없다.
제8의 발명에 있어, 홀더는 상판(top plate) 또는 저판(bottom plate)에 상당하는 것이 없음으로 장치의 두께는 최소두께로 된다.
제9에서 제11의 발명에 있어, 가이드판은 카트리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제12의 발명에 있어, 프로팅·덱 고정수단에 의해 프로팅·덱의 위치를 댐핑받침으로 지지된 위치보다 턴·테이블이 카트리지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턴·테이블에 이재할 때에 카트리지의 삽입위치를 높게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13의 발명에 있어, 카트리지 이송장치의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은, 겹쳐 쌓여진 제일 상단의 카트리지를 실은 뒤, 엘리베이터가 하강하므로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14의 발명의 스텝·플레이트의 구동기구는 스텝·플레이트가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상하운동이 궤도의 밖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전체높이가 엘리베이터의 높이만으로 결정되며, 엘리베이터의 구동계의 높이가 가해지지 않아 장치가 소형화된다.
제15의 발명의 스텝·플레이트는 진동흡수재 또는 저마찰재를, 스텝·프레임과의 접촉면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텝·플레이트와 엘리베이터는 작용하지 않고 프로팅·덱의 댐핑받침이 소형화되어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제16의 발명에 의한 스텝·플레이트의 요부와 프레임측에 설치된 돌기 또는 판스프링은 스텝·플레이트의 정지위치를 명확히 정할 수 있으므로, 스텝·플레이트의 캠의 경사각도를 급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스텝·플레이트의 소형화, 나아가서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제17의 발명의 카트리지 이송장치의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은, 제13의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엘리베이터를 이탈하기 위한 적절한 형의 캠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탈을 제어하여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8의 발명에 있어, 캠의 돌출부는 스텝·플레이트가 정확한 정지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정지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1]
이 발명의 제1 및 제2의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를 제1도에 나타낸다. 이하의 도에서 동일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품을 나타낸다. 도에서, 31은 앞패널이며, 카트리지(25)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구(32)가 설치되어 있다. 34는 삽입구(32)의 후방에 설치된 홀더·록킹장치(44)에 구비된 홀더·저장유닛이며, 삽입구(32)를 통하여 삽입된 카트리지(25)를 지지하는 카트리지홀더(35)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구(32)를 통해 카트리지(25)를 이젝트하는 이젝트 버튼이 앞판넬에 배치되어 있으며, 33은 케이스이며 일부분만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홀더(35)의 일 예를 나타낸다. 홀더(35)는 얇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상자형으로서 카트리지(25)의 요부(22)가 걸어맞춰져서 카트리지(25)를 지탱하도록 하는 로딩·훅(36)이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홀더(35)에 카트리지(25)가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제2도의 밑면측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로딩·훅(36)은 록동작과 이젝트·버튼(41)에 의한 축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링크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로딩·훅(36)은 카트리지(25)에 눌려서 이동하는 이젝트판(104)에 회동자재하게 부착되고, 이젝트판(104)은 눌려진 후, 도시않된 록킹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이 로딩·훅(36)은 수동으로 카트리지(25)를 밀고 당김으로 풀 수 있다. 이젝트·버튼(41)을 누름으로써 이젝트·레버(107)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록기구가 풀어지면 삽입되어 있던 카트리지(25)는 로딩·훅(36)에 지지된 채수 cm 앞에서 축출된다.
또한, 홀더(35)는 전면에 방진문(37)을 구비하며, 방진문(37)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카트리지(25)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닫혀있으며 삽입되면 열린다.
38은 핀이며, 홀더(35)가 이송될 때 캐리어(39)에 의해 보존된다.
42는 카트리지(25)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판이다.
43은 디스크의 신호를 읽는 광이 통과하든가 조립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 구멍이다. 카트리지(25)가 내장된 카트리지홀더(35)는 홀더저장유닛(34)에 저장되고 정상위치(26)에서 대기한다. 즉 대기위치(27)이다.
제1도의 60은 덱(deck)이며, MD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기록을 할 때는 기록장치)이며, 카트리지(25)를 내장한 홀더(35)를 고정하는 홀더고정장치(61)와 디스크(16)을 회전시키는 모터축에 설치된 턴·테이블(62)과 센서(63)를 가지며, 댐핑받침(64)로 프로팅 상태로 보존되어 외부에서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덱(60)의 위치가 재생위치(28)에 상당한다.
댐핑받침(64)는 덱(60)과, 제1도에서는 일부만이 도시된 엘리베이터(69)에 접속되어 이 엘리베이터(69)는 상하로 이동하며, 재생활 카트리지(25)가 들어가 있는 홀더(35)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69)에는 홀더직선이송수단(7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홀더직선이송수단(70)은 홀더(35)를 대기위치에서 재생위치에 또는 그의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이며, 도시않된 모터에 의해 캐리어가 홀더(35)의 핀(38)을 잡고 이송한다. 엘리베이터(69)의 상하운동에 의해 덱(60)과 홀더직선이송수단(70)도 상하이동하여 이송되어야할 홀더(35)의 높이에 일치시킨다.
제4도는 삽입구(32a)에 대응하는 카트리지·홀더(35)에 카트리지(25)가 삽입않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삽입구(32b)에 대응되는 카트리지·홀더(35)에 카트리지(25)가 삽입되고, 카트리지(25)의 후단면(24)이 앞 패널(31)의 전면과 거의 동일의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25)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카트리지(25)가 손가락 끝으로 삽입구(32d)를 통해 홀더(35)에 삽입되고 있다.
삽입구(32c)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다.
그러므로, 홀더(35)에 삽입되고 홀더저장유닛(34)에 저장된 카트리지(25)를 한눈에 식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25)의 일련번호 또는 카트리지(25)의 일련번호 또는 카트리지(25)의 후단면(24)에 기록된 곡명에서 카트리지(25)의 미니디스크 내용을 곧 알 수 있다.
이젝트·버튼(41), 이젝트·레버(107), 이젝트·판(104) 및 로딩·훅(36)으로 카트리지(25)의 보존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며, 홀더직선이송수단(70)이 홀더이송수단의 한 예이다.
[실시예 2]
이 발명의 제3의 발명에 의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를 개량한 것이며, 먼저 개량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연주중의 카트리지(25)는 장치내부에 들어가 있어 볼 수 없으므로, 연주중에 카트리지(25)의 후단면이 보이지 않는 삽입구(32)가 2개 이상 있을 경우, 지금 연주하고 있는 카트리지(25)가 어느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던가를 알 수 없고, 새로 카트리지(25)를 삽입할 때마다 어디에 넣어야 좋은지 알 수 없다. 만일, 연주중의 카트리지(25)가 삽입되어 있던 삽입구에(미삽입으로 생각하여) 새로 카트리지(25)를 삽입하면 연주를 끝낸 카트리지(25)의 들어올 장소가 없게되어 지장이 생기므로, 이것을 방지해야 한다. 실시예 2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있어서, 삽입구(32c)에서는 2중 삽입방지판(49)이 보이며, 거기에 삽입된 카트리지(25)를 보존하는 홀더(35)는 재생위치(28)에 있게 된다. 2중 삽입방지판(49)은 모든 삽입구(32)에 설치되며, 삽입구의 뒤에 홀더(35)가 있을 때는 열려져 있고, 없을 때는(즉, 홀더가 재생위치에 이송되어지고 있을 때) 닫아지도록 홀더(35) 또는 엘리베이터(69)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기구(도시않됨)에 의해 동작된다. 이 2중삽입방지판(49)에 의해 연주중의 카트리지(25)가 삽입되어 있는 삽입구(32)를 알 수 있으며 홀더 저장유닛(34)에 카트리지(25)를 삽입하려해도 삽입할 수 없으므로, 삽입조작상의 잘못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 발명의 제1 및 제4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을 제5도에 표시한다. 덱(60)은 앞패널(31)의 정면에서 보아 홀더저장유닛(34)의 옆에 설치되고, 홀더직교이송장치(76)는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홀더(35)의 구조와 실시예 3을 제6도에 표시하며, 제2도의 경우와는 핀(38)의 위치가 다르나 기타는 동일한 구조로 된다.
카트리지(25)를 내장하고 있는 홀더(35)는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횡방향)으로 이송되나, 제7도에서와 같이, 앞패널(31)은 굽은 부분을 구비하여 홀더(35)의 이동을 방해않도록 하고 삽입구(32)를 굽은 부분까지 확장하면 좋다. 홀더 직교이송수단(76)은 홀더이송수단의 한 예이다.
[실시예 4]
제5도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제4도 표시된 2중삽입방지판(49)를 설치함으로써 이 발명의 제5의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도시는 않되어 있으나, 2중삽입방지판(49)을 지지하는 힌지부분(hinge)이 카트리지홀더(35)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카트리지(25)의 통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홀더의 통로밖에 설치하는 것은 특히 곤란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5]
이 발명의 제1 및 제6의 발명의 실시예5를 제8도에 표시하며, 설명의 편의상 구성요소의 일부는 본래의 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에 표시하여 있다. 제9도는 제8도의 교환기구에 사용되는 회전형홀더(75)의 구조를 표시하며, 제10도는 제8도의 장치와 상면에서 본 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74는 회동이송장치이며, 회전형홀더(75)를 대기위치에서 재생위치까지 약 90°로 회전시켜 이송하며, 캐리아(39)는 제1도의 캐리아(39)와 동일하다. 회전형홀더(75)의 구조를 제9도에 표시하며, 1개의 구석에 회동지점(73)을 갖으며, 그의 지점(73)의 대각선 반대쪽에 핀(38)이 설치되어 있다. 홀더저장유닛(34)의 후면 및 측면은 회전형홀더(75)가 그의 지점(73)에 회동하도록 열려져 있으며, 대기위치(27)에 있는 회전형홀더(75)에 삽입구(32)를 통해 삽입된 카트리지(25)의 후단면이 대응삽입구(32)에 노출되어 이젝트·버튼(41)으로 언제나 배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이 발명의 제7의 발명의 실시예 6을 제11도에 표시하며, 제8도의 회전형 홀더(75)와 동일한 홀더(75)가 구비되었다.
홀더 회동이송수단(77)은 회전형홀더(75)를 대기위치에서 재생위치까지 45°회전시키며, 회전형홀더(75)가 대기위치에서 45°회전될 때 그것을 덱(60)의 재생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위해 홀더저장유닛에 대해 덱(60)을 설치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된 것 같이,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를 수직으로 배치할 경우에 종위치(제13도)에서도 횡위치(제12도)에서도, 항상 센서(63)의 동작선이 수평선에 대하여 45°로 되므로 어느방향에 설치해도 센서의 특성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11도의 홀더이송수단(77)은 홀더 경사회동이송수단이며, 제12도 및 제13도에서의 50은 MD재생장치의 콘솔이다.
[실시예 7]
제8의 발명에 의한 홀더(80)를 실시예 7에 나타낸다. 이 홀더(80)를 홀더저장유닛(34)에 내부에 쌓은 경우의 상태를 제15도에 표시한다. 제14도, 제15도의 홀더(80)는 실시예 1의 기본구성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이용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2도와 같이, 실시예 1의 MD교환기구에 사용되는 각 홀더(35)는 상면, 하면 및 양측면으로 구성되고 카트리지(25)를 잘 받을 수 있는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홀더(35)는 상면 및 하면을 갖고 있음으로 적층된 높이는 매우 크다.
제14도와 같이, 홀더(80)는 U자형 프레임의 형태이며, 핀(38) 및 가이드·러그(guide lug)(81)가 구비되어 있다.
제14도에서, 107은 홀더(80)를 배출하는 이젝트·레버이며 도시않된 로딩·훅(36)과 걸어맞춰져 있으며, 25는 홀더(80)에 삽입된 카트리지이다. 카트리지·홀더(80)은 카트리지(25)의 측면부를 덮고 있는 판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의 판이 없다. 카트리지(25)가 홀더(80)에 삽입되면 홀더(80)의 가이드·러그(81)는 카트리지(25)의 반대측면에 형성된 홈(17)에 걸어맞춰서 홀더(80)에서 카트리지(25)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5도는 카트리지 삽입위치에 제14도에 표시된 복수개의 홀더(80)가 수납된 상태이다. 도에서 높이치수(H)를 필요로 하는 카트리지(25)의 상, 하면의 판이 없으므로, 1개의 홀더가 필요로 하는 높이치수(H)를 작게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홀더(80)를 저장하는 홀더저장유닛(34)은 홀더(35)의 동일수를 저장하는 홀더저장유닛보다 작게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7에서는 예컨데, 제4도의 패널(31)과 같이, 패널면에 설치된 삽입구(32)로 직접 카트리지(25)를 삽입하고, 카트리지의 보존은 그의 후단이 패널(31)의 면과 거의 동일하게 되는 위치에서 보존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25)를 손가락으로 밀어넣는 최후의 단계에서는 카트리지(25)는 다만 눌러지는 것 뿐이며, 홀더(35)를 누르고 있는 손가락으로 삽입방향을 조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25)의 경사된 삽입등으로, 홀더(35)의 가이드부(42)에 과대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되므로 삽입구(32)와 홀더(35)의 위치오차가 생겨, 카트리지(25)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으며, 이젝트시에 카트리지가 패널(31)에 걸려 배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삽입상태에 있는 카트리지(25)가 반송되려고 할 때에, 손가락으로 잡으면, 홀더(35)의 로딩·훅(36)이 절손되거나, 홀더 이송장치(70)의 캐리아(39)가 파손되거나, 카트리지가 정확히 재생위치에 이송않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손가락이 가는 사람이 삽입구(32)에서 손가락을 삽입하여 카트리지를 홀더의 정규삽입위치 이상으로 밀어주면 홀더(35)로의 카트리지(25)의 접촉부 및 홀더의 형태 그 자체가 변형,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25)의 1면의 끝에서 끝까지 사이에서 누르는 위치가 결정되지 않으면 카트리지를 비스듬이 눌러 삽입구에 걸리거나, 누르는 장소에 따라서는 홀더(35)에 카트리지(25)가 보존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요약하면, 카트리지(25)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시예 1~7에서의 상기와 같은 삽입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8~제10의 발명의 예를 제16~제19도에 표시한다.
제16도는 제8~제10의 발명을 제1~제7의 발명에 적용한 경우의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의 외관을 나타낸다.
84는 가이드 패널이고, 카트리지(25)를 반듯한 위치로 가이드 하기위한 크기(폭, 높이, 깊이)의 삽입구(85)를 가지며 앞패널(31)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각 삽입구의 깊이는 약 15mm이다. 제17~제19도는 가이드 패널(84)의 각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17도의 가이드 패널(84)은 삽입구(85)의 모든 구멍 변두리의 특정한 위치에 요부(8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25)를 삽입했을 때 카트리지의 단면은 삽입구(85)의 입구가 아니고, 그의 요부(86) 속의 가장자리 위치에서 보존된다. 즉, 요부(86)의 위치에서 카트리지를 눌렀을 때만 바르게 보존되고, 그 이외의 위치를 눌렀을 때는 보존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25)를 누르는 특정위치가 결정된다.
제18도는 요부(86)의 폭과 같은 피치(pitch)에 요부(86)가 배치된 개선된 가이드패널(84)을 나타낸 도이다. 그러므로 홀더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을 손가락으로 잡을 수 없으므로 상기의 일부문제가 해결된다. 삽입구(85)의 각각에서 카트리지(25)를 누르는 위치가 변하드래도, 각 단마다에 특정한 위치가 고정되므로, 홀더(35)의 구조를 그에 대응한 것으로하여 대처하면 된다.
제19도는 삽입구(85)의 측면에 직각인 면에 대해서 가이드패널(84)이 앞면을 좌측으로 경사하게 한 제3의 개량된 가이드 패널(84)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카트리지(25)는 정확히 홀더(35)에 삽입되어 후단면의 좌단부근위치에서 카트리지(25)를 눌렀을 때만 로딩·훅(36)으로 카트리지를 잡을 수 있다.
[실시예 9]
제20도는 홀더 이송장치의 일부를 표시하고 카트리지(25)가 턴·테이블(62)에서 떨어져 있고 프로팅·덱(60)이 자유상태경우의 프로팅·덱(60)의 측면도이고, 제21도는 카트리지가 턴·테이블에 반대위치에 있고 턴·테이블(62)이 고정상태에 있는 프로팅·덱(60)의 측면도이며, 제22(a)도는 제20도의 상태에서 프로팅·덱(60)의 정면도이고, 제22(b)도는 제21도의 상태에서 프로팅·덱(60)의 정면도이다. 제23도는 카트리지(25)가 턴·테이블(62)에 설치된 프로팅·덱(60)의 측면도이며, 제24도는 제23도의 상태시의 프로팅·덱(60)의 정면도이다.
제20도~제24도에서, 67a 및 67b는 요부(66)가 형성되어있는 록킹판, 록킹판(67a, 67b)는 각각 엘리베이터(69)에 설치된 핀(68)에 홈구멍(68a)이 걸어맞추어 스라이딩함으로써 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있다.
록킹판(67a, 67b)를 구동하는 구동기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댐핑받침(64)는 프로팅·덱(60)에 설치된 핀(65)과, 그의 핀(65)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부드러운 고무 탄성체로 되고, 그의 탄성체는 엘리베이터(69)측에 부착되어 있다. 78은 프로팅·덱(60)위에 설치한 기준편이며, 이제된 카트리지의 위치(수평 및 수직방향)를 정하는 것이다.
도에는 기준핀(78)은 1개만 표시되었으나 일반적으로 복수개사용된다.
제20도에서, 록킹·판(67a, 67b)은 가장 깊은 곳에 이동되고 프로팅·덱(60)은 댐핑받침(64)에 의해 엘리베이터(69)위의 일정한 위치에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때 턴·테이블(62)의 상면의 높이는 카트리지(25)의 하면의 높이보다 높으며, 만일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25)가 삽입되어 턴·테이블(62)쪽으로 수평이동되면, 카트리지(25)와 턴·테이블(62)이 출동한다. 이때 댐핑받침(64)은 제22a도와 같이 되어 있다.
제21도와 같이 록킹판(67a, 67b)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에 이동시키면, 록킹판(67a, 67b)의 좌우단에 형성된 경사부분이 핀(65)에 닿아, 핀(65)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서 (즉, 카트리지(25)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다시 외측으로 움직여, 요부(66)에 핀(65)이 맞물리게 된다. 이때의 댐핑받침(64)은 제22b도와 같이 되어있다.
그리고 기준핀(78)의 최상부 또는 밑으로 눌러진 턴·테이블(62)과 삽입되는 카트리지(25)의 하면과의 사이에 제21도에 표시된 치수(C)의 틈이 생기므로, 카트리지(25)는 턴·테이블(62)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로딩위치에 원만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다음에 카트리지(25)가 완전히 정확한 이재위치의 꼭대기에 오면 록킹·판(67a, 67b)를 중앙으로 끌어, 핀(65)에 물려있던 요부(66)를 떼고, 프로팅·덱(60)을 자유롭게하면, 프로팅·덱(60)은 댐핑받침(64)과 현수스프링(도시않됨)의 탄성에 의해 상방에 되돌아가서, 카트리지(25)는 기준핀(78)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되고 턴·테이블(62)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69)에 대해서 부동상태로 지지되어 카트리지(25)내의 디스크(16)으로부터의 정보를 광픽업(도시않됨)을 통하여 읽어낸다.
핀(65)는 댐핑받침(64)이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했으나 프로팅·덱(60)을 고정하도록 하는 핀을 설치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핀(65)은 록킹·핀이라 부른다. 록킹판(67a, 67b)은 프로팅·덱 고정수단이다.
또, 상기 실시예는 원판상 기록재생장치의 덱·베이스 고정장치로서 미니디스크장치의 덱·베이스 고정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데 자기 디스크장치의 덱·베이스 고정장치에도 적용된다.
[실시예 10]
제25~제32도는 이 발명의 제13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카트리지홀더 이송장치를 나타내며, 제25도는 카트리지홀더 이송장치에 있는 엘리베이터(69)를 구동하는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에서, 59는 케이스(33)의 내측에 고정된 프레임, 87은 프레임(59)의 내측을 전후로(제25도에 대해서 좌우로) 슬라이드 한 캠판이며 좌우 2개 설치되어 있고, 연결판(8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각 캠판(87)은 캠구멍(89)으로 구성되고, 88은 연결판(83)의 대략 중앙에 부착된 랙기어이다. 72는 엘리베이터(69)의 양측에 2개씩 설치된 슬라이드핀이고, 이 스파이드핀(72)은 캠구멍(89) 및 프레임(59)의 측면에 형성된 수직가이드구멍(30)에 삽입되어 있다.
캠구멍(89)이 구비된 연결판(87)과 랙기어(88)가 구비된 연결판(83)으로 스텝판(99)을 구성하고 있다.
93은 프레임(59)위에 설치된 피니온기어로 같은 프레임(59)위에 설치된 모터(94)에 의해, 예컨대, 웜기어(worm gear) 등을 경유하여 구동되어 있고, 이 피니온기어(93)는 스텝판(99)의 랙기어(88)과 맞물리고 있다.
제26도는 프레임(59)와 스텝판(99)과 엘리베이터(69)와 슬라이드핀(72)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모터(94)와 피니온기어(93)로 구동계(92)를 구성하고 있다.
모터(94)에 의해 피니온(93)을 구동하여 스텝판(99)을 전후로 구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는, 그 슬라이드핀(72)을 수직구멍(30)에 삽입된 채로, 상하운동된다.
여기서 랙기어(88)는 한쌍의 캠판(87)에 접속된 연결판(83)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랙기어(88)가 피니온기어(93)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구동될 때 스텝판(99)이 경사지게 되어 걸려서 움직임이 나빠질 염려가 없다.
제27a도~제27d도는 스텝판(99)의 캠판(87)의 이동에 대해서 엘리베이터(69)의 슬라이드핀(72)이 수직구멍(30)의 가운데를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27c도는 캠판(87)이 도면으로 향하여 가장 좌측의 위치에 온 경우, 슬라이드핀(72)는 프레임(59)의 저면에서 높이(H1)(수직구멍(30)의 최저위치)에 있다.
제27d도는 캠판의 위치가 도면으로 향하여 가장 우측에 온 경우로, 슬라이드핀(72)은 프레임(59)의 저면에서 높이(H4)에 있다.
제27b도는 캠판이 제27a도와 제27c도와의 중간에 있고, 슬라이드핀(72)의 위치도 양자의 중간에 있다.
제27a도~제27d도와 같이 캠홈(89)이 설치되어 있으면 프레임(59)의 저면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69)의 높이는 수직구멍(30)의 길이에 대응하는 범위로 변화한다.
프레임(59), 구동기구(92), 스텝판(99)는 엘리베이터(69)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기구를 구성한다.
[실시예 11]
제26도와 같은 엘리베이터 구동기구에서는, 스텝판(99)의 캠판(87)이 내측으로 경사되어, 엘리베이터(69)가 상승했을 때, 이것과 접촉할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한 예를 제28도~제31도에 표시한다.
제28도는 실시예 11에 사용되는 스텝판(99)의 상면도, 제29도는 그의 정면도, 제30도는 측면도, 제31도는 제28도~제31도에 표시된 스텝판(99)의 조립측면도 및 프레임(59)를 나타낸 도이다.
제28도~제31도에서, 90은 2개의 캠판(87)의 외면에 부착된 확장된 헤드를 가지는 가이드핀이며 그의 머리부분은 핀(90)의 베이스보다 약간 굵게 되어 있고 프레임(59)에 형성된 가이드구멍(97)에 끼워 맞춰 있다.
가이드핀(90)의 머리부분의 직경은 가이드구멍(97)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캠판(87)은 프레임(59)에서 떨어져서 내측으로 기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32도는 엘리베이터(69)의 높이가 가장 높게 되어(제27a도), 카트리지(25)가 카트리지홀더내의 삽입구(32)를 통하여 삽입되어(도시않됨), 턴·테이블(62)위에 탑재된 후의 케이스(33)의 천정과 카트리지와의 상태를 표시한 도이다.
제32도에 표시된 상태로 재생동작을 하면, 프로팅·덱(60)은 댐핑받침(64)의 특성의 범위내에서 진동하게 되므로, 카트리지(25)의 상면과 케이스(33)의 천정과의 사이에 그의 진동범위보다 큰 여유치수(E)를 가져야 한다.
그 결과, 삽입구의 중심높이는 케이스(33)의 천정보다 지수(F)만큼 밑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제27d도는 스텝판(99)의 캠판(87)이 제27a도의 위치를 지나 더 속으로(도에 향하여 우측)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슬라이드핀(72)은 제27a도의 상태보다 밑으로 이동한다.
즉, 제27c도→제27b도→제27a도의 이동과 제27a도→제27d도의 이동에서는 스텝판(99)의 이동방향과 같으나, 엘리베이터(69)의 이동방향은 역으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카트리지(25)를 턴테이블(62)로 이재할 때, 캠판(87)은 제27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하고, 그후 재생을 하기 전에 제27d도의 위치까지 엘리베이터를 강하시켜서 재생동작을 하면, 제27d도의 위치에서는 충분히 여유가 있으므로, 제32도의 위치에 대응하는 여유치수(E)는 카트리지(25)가 이동할 수 있는 만큼의 틈만 있으면 충분하며 최상단의 삽입구의 위치바로 가까이까지 케이스(33)의 천정에 접근시킬 수 있다.
[실시예 12]
제33a도~제33d도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구동계의 위치관계도이며, 제25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69)가 최하위치로 내려 갔을 때의 위치를 제33a도에 표시하고, 제14의 발명을 제25도~제3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3a도~제33d도는 제25도를 중앙에서 절단하여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33도에서는, 엘리베이터(69)의 위치와 랙·기어(88)의 위치와 구동계(92)의 위치와의 관계를 각각의 이동과 더불어 설명한 것이다.
먼저 엘리베이터(69)는 상하이동하는 궤적의 바깥쪽에 구동계(9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장치전체의 두께가 엘리베이터(69)의 이동높이만으로 결정되고, 여기에 구동계(92)의 높이가 더해지지 않는다.
또, 수평으로 이동하는 랙·기어(88)의 이동과 수직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69)의 이동은 일부 교차되나, 엘리베이터(69)가 상승한 후에 랙·기어(88)가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스의 이용이 유효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13]
제34도는 제28도의 스텝판(99)을 사용하는, 제15의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에서의 엘리베이터구동기구의 정면단면도이다.
도에서, 79는 펠트(felt), 불직포, 데프론테이프, 고무판 등의 진동흡수제 또는 저마찰제이며, 스테판(99)의 외면에 그리고 스텝판(99)과 접촉되고 있는 프레임(59)의 내면에, 또는 스텝판(99)과 접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69)의 외면에 부착하여 스텝판(99)의 진동과 외부진동과의 엘리베이터(69)의 공진을 억제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잡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실시예 14]
이 발명의 제17의 발명의 실시예 14를 제35도에 표시한다.
스텝판(99)의 캠홈의 경사 때문에 또는 수평부분을 설치한다고 하여도 수평부분의 길이를 엘리베이터(69)가 계단식으로 움직이도록 길게 취할 수 없으므로, 정확하게 특정위치에 엘리베이터(69)를 있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는 경사된 캠홈의 수평부분은 스위치(도시않됨)에 의해 검출하고 있으나, 구동계(92)의 관성에 의해 오버·런하여 소정위치에 정지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제35도의 실시예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35도에서, 98은 프레임(59)위에 일단이 고정된 판·스프링, 95는 판·스프링(98)의 선단의 굽은 부분, 96은 스텝판(99)의 캠판의 1단에 설치된 복수의 요부이다.
요부(96)는 각각 엘리베이터(69)가 정지되는 높이에 대응하고 있다.
엘리베이터(69)가 정지하여야 할 위치에 도달하면 판·스프링(98)의 굽은 부분(95)이 대응 요부(96)에 맞물리는 위치로 들어가서 스텝판(99)이 엘리베이터의 소정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실시예 15]
제18의 발명의 실시예 15를 제36도~제37도에 표시하며, 스텝판(99)의 정지위치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
제36도~제37도에서, 91은 캠홈(89)의 슬라이드핀(72)의 정지위치의 캠홈 밑에 설치한 캠홈요부이다.
또, 101은 캠 홈(89)의 스라이드핀(72)의 정지위치에서 설치한 수평부이다.
캠홈의 슬라이드핀(72)의 정지위치의 전후에 짧은 수평부분(101)을 설치해도, 스텝판(99)의 정지위치가 조금 이동하여도, 엘리베이터(69)의 정지높이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 캠홈요부를 설치한 결과 상기 수평부(101)의 양측의 캠형상은 반드시 상승구배로 되어 슬라이드핀(72)의 정지위치는 더욱 안정된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하듯이 이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갖고 있다.
제1~제7의 발명에 의한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카트리지를 장전한 후 연주중이 아닌 미니디스크가, 어느 위치에 들어 있는가를 보아서 확인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를 장전한 후, 연주중이 아닌 미니디스크의 후단면에 기재된 타이틀과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또, 장전한 후, 연주중이 아닌 미니디스크는 다른 디스크가 연주중인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꺼내고 바꿀 수 있다.
또, 1회에 1매의 디스크가 이송되므로 이송수단의 장치전체의 강도가 필요치 않으며, 교환장치의 중량 및 치수를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홀더는 이송시 양측에 지지되므로, 홀더는 기울지 않으며 얇은 구조로 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6의 발명에 의한 미니디스크 교환기구는, 센서의 이동방향이 경사 45°로 되어 있으므로, 교환기구의 설치방향에 종횡의 제약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제8의 발명에 의한 홀더는 카트리지의 상하를 간막이하는 판이 없는 구조이므로, 복수의 카트리지를 겹쳐 쌓을 때, 그의 구조높이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제9 및 제10의 발명에 의한 미니디스크를 교환기구는 상기한 제1~제6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카트리지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제12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카트리지가 프로팅·덱위에 삽입되는 동안, 프로팅·덱을 카트리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보다 높은 위치에서 삽입할 필요가 없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3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의 이송장치는, 쌓아올린 카트리지의 가장 위의 것을 재생할 때 카트리지를 이재한 후에 프로팅·덱을 보다 내측의 위치로 이동시켜서 프로팅·덱을 이탈시키는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을 갖으므로, 가장 위의 카트리지에 여유스페이스가 필요없으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4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상하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궤도의 측부에 엘리베이터의 구동계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장치높이가 엘리베이터의 상하이동 높이만으로 결정되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5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스텝판의 프레임 또는 엘리베이터에 밀착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저마찰재 또는 진동흡수재를 부착하였으므로 진동잡음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6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스텝판에 설치된 요부에 프레임측에 고정된 돌기 또는 스프링판이 맞물려 스텝판의 정지위치를 결정하기 쉽게 하므로 스텝판의 정지위치의 정도가 향상된다.
제17의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이송장치는 제13의 발명에 있는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으로서, 스텝판의 캠의 형상을 3각형으로 바꿈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동방향을 역전시키고 있으므로 장치가 간단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제18의 발명의 스텝판의 캠홈은 엘리베이터의 소정레벨에 대응한 수평부분을 갖고 있고 양측이 위로 경사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핀은 스텝판의 적은 이동과는 관계없이 수평부분을 유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정지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잡는 핀이 구비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내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보존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삽입구 뒤에 있는 홀더에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에 홀더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홀더고정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에 평행인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으로부터 홀더의 핀에 의해 미니디스크 재생장치로 이송하는 카트리지 홀더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2.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잡는 핀이 반대측에 구비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내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삽입구뒤에 있는 홀더에 삽입된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에 홀더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홀더 고정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된 카트리지에 평행인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카트리지 저장유닛으로부터 홀더의 핀에 의해 홀더에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된 방향으로 평행하게 미니디스크 재생장치로 이송하는 직선홀더 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3.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는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잡는 핀이 반대측에 구비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홀더와, 카트리지홀더내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게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삽입구 뒤에 있는 홀더에 삽입된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에 홀더를 고정하는 카트리지 홀더고정수단과, 대응하는 삽입구 뒤에 설치된 홀더가 MD재생장치에 이송될 때, 대응하는 삽입구를 닫으므로써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대응 삽입구를 통하여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는 2중삽입방지판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에 평행인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으로부터 홀더의 핀에 의해 홀더에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미니디스크 재생장치로 이송하는 직선홀더 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4.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잡는 핀이 반대측에 구비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삽입구 뒤에 있는 홀더에 삽입된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에 평행인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카트리지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에서부터 홀더의 핀에 의해 홀더에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방향에서 직각으로 미니디스크 재생장치까지 이송하는 직교홀더 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5.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잡는 핀이 반대측에 구비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내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로부터 볼 수 있게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삽입구 뒤에 있는 홀더에 삽입된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카트리지 홀더에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의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고정수단과, 대응하는 삽입구 뒤에 설치된 홀더가 MD재생장치에 이송될 때, 대응하는 삽입구를 닫으므로써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대응삽입구를 통하여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는 2중삽입방지판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에 평행인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에서부터 홀더에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방향에서 직각으로 미니디스크 재생장치까지 이송하는 직교홀더 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6.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할 때 카트리지의 한 코너에 피보트(Pivot)를, 다른 코너에는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에 보존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그리고 홀더가 피보트를 회전하도록 겹쳐 쌓인 복수의 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의 삽입구 뒤에 보존되고 있는 홀더에 삽입된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의 홀더를 고정하는 홀더고정수단과,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에 평행된 면에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으로부터 홀더의 핀을 잡고 홀더를 피보트상에서 회전시켜 재생장치까지 이송하는 회동홀더 전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7. 복수의 미니디스크 카트리지를 저장하고 카트리지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MD재생장치에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에 있어서, 홀더를 이송할 때 한 코너에는 피보트를 다른 코너에는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홀더와, 홀더내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보이고 홀더가 피보트를 회전하도록 겹쳐 쌓인 복수홀더를 저장하며,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의 삽입구 뒤에 보존된 홀더에 미니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내에 홀더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홀더고정수단과, 카트리지 저장유닛의 홀더에 보존되고 있는 카트리지면에 평행하게 소망의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홀더를 카트리지 저장유닛에서부터 홀더핀으로 홀더를 잡고 저장위치에서 재생위치까지 카트리지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45°, 135°, 225°, 315°의 각도로 피보트상에서 회동시켜 이송하는 홀더경사 회동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각 홀더는 그의 내측에 적어도 2개소의 카트리지에 형성된 홈과 걸어맞추는 러그(lug)를 구비한 U자형 프레임이며, 상하면에서 각 카트리지사이를 간막이하지 않고 보존함으로써, 케이스형으로 되는 동일수의 적층된 홀더보다 낮은 높이로 홀더를 적층할 수 있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저장유닛은, 슬랫(slat)에 의해 분리된 삽입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를 적정위치 및 적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일직선이 되어 있는 상기 삽입구에 접속된 가이트패널을 더 구성시켜, 홀더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저장유닛은, 요부가 설치된 슬랫(slat)에 의해 분리된 삽입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를 적정위치 및 적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카트리지 저장유닛과 일직선이 되어 있는 상기 삽입구에 접속된 가이트패널을 더 구성시켜 홀더에 삽입된 카트리지의 후단면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슬랫의 요부저면과 동일평면으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각 홀더는 그 안에 카트리지를 저장할 수 있고 카트리지 입구가 있는 박스형 케이스이며, 카트리지 후단면이 노출되고, 카트리지의 측면과 그 표면 1부를 덮고 있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카트리지를 일정위치에 보존하여 카트리지에 형성된 요부와 걸어맞추도록 하는 플레이트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로딩훅과, 홀더에서 카트리지를 이젝트하는 이젝트판과, 이젝트판을 작동시키는 이젝트레버와, 카트리지입구를 덮는 도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디스크 교환기구.
  12. 미니디스크(MD)를 수납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수납한 카트리지 홀더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이 상하이동하는 엘리베이터사이에 설치된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갖고 이 댐퍼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부유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프로팅·덱과, 상기 프로팅·덱에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기 미니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카트리지를 이 턴테이블에 관계가 있는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기준핀과, 카트리지 홀더 저장위치와 상기 기준핀에 의해 한정된 상기 정위치사이에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를 이송하는 카트리지 홀더이송수단을 구비한 미니디스크 교환기구의 카트리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한 상기 카트리지 홀더가 그 저장위치로부터 직접 상기 턴테이블 위쪽의 위치까지 이송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프로팅·덱의 상기 고정핀과 걸러맞춰서 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동작위치에서 고정위치까지 상기 프로팅·덱을 끌어들이는 동시에 상기 프로팅·덱을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프로팅·덱 고정수단을 갖는 카트리지 이송장치.
  13. 미니디스크(MD)를 수납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수납한 카트리지 홀더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이 상하이동하는 엘리베이터사이에 설치된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를 갖고 이 댐퍼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부유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프로팅·덱과, 상기 프로팅·덱에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된 상기 미니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카트리지를 이 턴테이블에 관계가 있는 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기준핀과, 카트리지홀더 저장위치와 상기 기준핀에 의해 한정된 상기 정위치사이에서 상기 미니디스크의 면에 평행으로 상기 카트리지홀더를 이송하는 카트리지홀더 이송수단과, 상하이동을 위한 상기 엘리베이터를 상기 카트리지의 미니디스크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카트리지홀더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카트리지홀더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프로팅·덱의 기준핀을 상기 정위치에 대하여 위치시키는 엘리베이터 구동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는 겹쳐 쌓여진 상기 카트리지홀더중 최상부의 것의 높이에 대응한 위치에서 정지되고, 상기 기준편이 상기 카트리지와 걸어맞춰진 후, 상기 최상부의 카트리지홀더의 높이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보다 하층의 카트리지홀더에 대응한 위치로 상기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을 구비한 카트리지 이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하로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수직구동수단은, 수직 가이드 홈을 구비한 대향하는 측벽이 있는 프레임과 캠홈을 구비하고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캠판과, 한쌍의 캠판에 서로 접속된 연결판 및 연결판의 종방향 중앙선과 일직선이 되어 있는 피치션(Pitch line)이 있는 연결판에 부착된 랙으로 구성된 스텝판과, 엘리베이터의 대향하는 측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캠판의 캠홈 및 프레임의 가이드홈을 통해 뻗는 슬라이드핀과, 프레임상에 장착되어 연결판에 부착된 랙이 걸어맞추는 피니온(pinion)과 그 피니온을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가 상하이동하도록 연결판의 종방향 중앙선에 따라 스텝관을 수평으로 구동하고 엘리베이터가 상하이동하는 궤도의 연장선밖에 설치된 구동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스텝판을 프레임 또는 엘리베이터에 밀착하는 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진동흡수재료 또는 저마찰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스텝판은 요부를 구비하고 스텝판의 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대응하는 레벨에 엘리베이터를 위치시킬 때 프레임에 고정된 돌기 또는 판스프링은 각 요부와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이탈수단은 캠판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삼각형 캠홈이며, 캠홈이 엘리베이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역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이송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스텝판의 캠판에 설치된 캠홈은 엘리베이터가 정지되는 소정의 높이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의 슬라이드핀은 수평부분에 위치하고, 이 수평부분의 양단은 반대방향의 위쪽으로 경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KR1019940028114A 1993-11-01 1994-10-29 디스크 재생장치 KR0155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359493 1993-11-01
JP93-273594 1993-11-01
JP6001624A JP2960295B2 (ja) 1993-11-01 1994-01-12 カートリッジ交換機構
JP94-001624 1994-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313A KR950015313A (ko) 1995-06-16
KR0155577B1 true KR0155577B1 (ko) 1998-12-15

Family

ID=2633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114A KR0155577B1 (ko) 1993-11-01 1994-10-29 디스크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5953307A (ko)
JP (1) JP2960295B2 (ko)
KR (1) KR0155577B1 (ko)
DE (1) DE444042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9530C2 (de) * 1994-10-19 1998-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Kassettenauswurfvorrichtung
JP3531294B2 (ja) * 1994-10-19 2004-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JP3274956B2 (ja) * 1995-07-27 2002-04-1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記録媒体再生装置
JP4054133B2 (ja) * 1999-05-25 2008-02-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4140672B2 (ja) * 1999-06-02 2008-08-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ー
JP3786548B2 (ja) * 1999-09-10 2006-06-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CN100453025C (zh) * 2004-02-16 2009-01-21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系统
JP2005302214A (ja) * 2004-04-14 2005-10-27 Tokyo Pigeon Co Ltd ディスク搬送装置
US20060146658A1 (en) * 2004-12-30 2006-07-06 Microboards Technology, Llc Memory storage handling system
JP5532907B2 (ja) * 2009-12-2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
JP2014071909A (ja) * 2012-09-27 2014-04-21 Sony Corp カートリッジドライブ装置
US10818318B2 (en) * 2019-03-19 2020-10-27 Seagate Technology Llc Storage system with actuated media player
US10902879B2 (en) 2019-03-19 2021-01-26 Seagate Technology Llc Storage system with actuated media play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4270A1 (de) * 1981-06-19 1983-01-20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Kleinkassettengeraet
JPS60254450A (ja) * 1984-05-31 1985-12-16 Sony Corp デイスクチエンジヤ用デイスクパツク
JPS6263853A (ja) 1985-09-13 1987-03-20 Shimadzu Corp 水中の有機化合物分析法
JPS62241168A (ja) 1986-04-12 1987-10-21 Sony Corp カセツト移送装置
US5002876A (en) 1986-09-22 1991-03-26 Phillips Petroleum Company Yeast production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
JP2566786B2 (ja) 1987-08-26 1996-12-2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乳酸とεーカプロラクトンとの共重合体からなる医療用成形物の製造方法
JPS6489066A (en) * 1987-09-30 1989-04-03 Pioneer Electronic Corp Autochanger device for digital audio cassette tape player
US5247500A (en) * 1987-12-09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vating and lowering system in a multi-disk player
DE3821199A1 (de) 1988-06-23 1989-12-28 Basf Ag Elektrostatischer toner
US5034935A (en) * 1988-07-15 1991-07-2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magazine disc player
WO1990003031A1 (fr) * 1988-09-05 1990-03-2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reproduction
JPH0322141A (ja) 1989-06-20 1991-01-30 Fujitsu Ltd 異なる言語間における呼出仲介方式
US5123001A (en) * 1989-08-26 1992-06-16 Nakamichi Corporation Disk playback device
JPH03222141A (ja) 1990-01-29 1991-10-01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装置
JPH0739754B2 (ja) 1990-05-15 1995-05-01 株式会社メルス技研 循環浄化式用水のオーバーフロー水処理方法
US5157564A (en) * 1990-05-31 1992-10-20 Archive Corporation Storage module changer for a computer data storage drive
US5210728A (en) * 1990-05-31 1993-05-11 Nakamichi Corporation Elevation mechanism in disk player with disk changer functions including an adjustable drive nut which raises and lowers discs
JP2537697B2 (ja) * 1990-09-29 1996-09-2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多装填カセット記録・再生装置
US5274516A (en) * 1990-09-29 1993-12-2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ulti-cassett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030894B2 (ja) 1991-03-05 2000-04-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4135324A1 (de) * 1991-10-25 1993-04-29 Fischer Artur Werke Gmbh Aufbewahrungseinrichtung fuer aufzeichnungstraeger
DE69410500T2 (de) * 1993-02-16 1999-01-28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Osaka Mehrplattenspie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40429A1 (de) 1995-05-04
US20030174592A1 (en) 2003-09-18
US20020064103A1 (en) 2002-05-30
US6359854B1 (en) 2002-03-19
US6760914B2 (en) 2004-07-06
US6842907B2 (en) 2005-01-11
JPH07176126A (ja) 1995-07-14
US5953307A (en) 1999-09-14
DE4440429C2 (de) 2002-08-08
KR950015313A (ko) 1995-06-16
JP2960295B2 (ja) 199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577B1 (ko) 디스크 재생장치
CA1188795A (en) Magnetic disk cartridge
US5737293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optical discs in a cartridge or without
US495304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EP0216442B1 (en) Disk drive apparatus
JP3384856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US5537378A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controlled insertion of recording media
EP1058260A1 (en)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US5222005A (en) Loading unit for case which houses recording disk
EP0657882A2 (en) Disc cartridge apparatus
US6570841B1 (en)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JPH10172227A (ja) ライトプロテクタ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9990037517A (ko) 기록 매체 카트리지 장착 장치
JP3536721B2 (ja) カートリッジ移送装置
US20030048732A1 (en) Disk drive
EP0266781A1 (en) Sliding shutter mechanism for disk cassette
US6285642B1 (en) Disk device with vibration-insulating mechanism
KR20000029007A (ko) 디스크카트리지 및 디스크 드라이브시스템에 있어서의방진기구
EP0918329B1 (en) Magnetic disk cartridge
US6144630A (en) Pivoting mailbox for optical storage libraries
JPH0333974Y2 (ko)
JPH0732732U (ja) 記録媒体の挿入装置
JP2515598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5334848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ッジ
KR19990045191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