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46B1 -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이용한 살균처리를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이용한 살균처리를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46B1
KR0153246B1 KR1019910700726A KR910700726A KR0153246B1 KR 0153246 B1 KR0153246 B1 KR 0153246B1 KR 1019910700726 A KR1019910700726 A KR 1019910700726A KR 910700726 A KR910700726 A KR 910700726A KR 0153246 B1 KR0153246 B1 KR 015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tc
gas
vapor
liqu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541A (ko
Inventor
지아끼 오오하마
게이스께 가또
Original Assignee
가와노 다께히꼬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쥬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518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546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59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536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522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154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519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5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873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25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45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6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9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73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노 다께히꼬,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쥬우지 filed Critical 가와노 다께히꼬
Publication of KR92070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S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살균 공정을 포함하는 공기, 물 및 식품의 살균 처리 방법, 살균성을 갖는 섬유 및 플라스틱 제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훈증제 및 훈증방법,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살균성 가스,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살균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살균성을 갖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 훈증제, 훈증방법 및 살균성 가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살균공정을 포함하는 각종의 방법,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발생하는 각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훈증제, 훈증방법 및 살균성 가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각종 식품, 렌즈 등의 유리제품, 가죽부츠, 가죽잠바, 모피코트 등의 피혁제품, 전분계 또는 셀룰로우즈계의 도료 및 풀 등의 제품에 있어서는, 곰팡이의 발생을 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품질 가치가 현저하게 손상된다든가, 혹은 폐기처리의 필요를 강요당한다.
또, 곰팡이의 발생은 없다고 해도, 유해 미생물의 증번식으로, 동일하게 귀중품의 가치가 현저하게 손상된다든가, 또는 폐기처리를 강요당하게 된다. 예를들면, 식품 등에 있어서는, 세균증번식으로 발효 및 식품중독의 문제가 생긴다.
종래, 물품에 대한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품을 탈산소제와 함께 포장재료로 미봉포장하고, 포장물 내부의 산소농도를 1%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호기성균인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식중독 및 발효를 생기게하는 혐기성균 등의 증번식의 방지에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없다.
또, 곰팡이의 발생 및 일반세균의 증번식 방지를 위하여, 물품을 에탄올 발생제와 함께 포장재료로 밀봉 포장하고, 포장물 내부에 에탄올 증기를 충만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사용하는 에탄올이 고가임과 동시에, 비교적으로 다량을 사용하지 않으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종래 많은 곰팡이 방지제 및 항균제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 화학제의 대부분은 인체에 대해서 독성을 갖는 것임으로 하여 그 사용에는 엄격한 제약을 받고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항 미생물작용(antmicrobial action)을 갖는 천연물이 수많이 알려져 있고, 특히 고추냉이는 뛰어난 살균작용을 지님이 알려져 있다. 또, 고추냉이의 주성분인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이하, 다만 ISOTC라고도 약기함)을 사용하여 식품의 살균처리를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특개소 57-99182호 공보에는, ISOTC를 기름에 용해한 용액을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수중에 유화분산시킨 수성에멀션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수성에멀션 조성물은, 식품을 살균하기 위하여, 식품중에 혼입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식품에 대애서 이와같은 수성 에멀션을 첨가하는 것은, 식품의 풍미를 저해하는 동시에, ISOTC는 식품중에서는 분해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특개소 58-63348호 공보에는, ISOTC를 약 5중량%의 비율로 흡착된 공경이 5 내지 10Å의 합성 제올라이트를 청과물과 함께 포장 용기내에 봉입함으로서 청과물을 보존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ISOTC를 흡착한 제올라이트는, 대기중에서는 유효량의 ISOTC 증기를 발산하지 않는 것이고, 상대 온도가 90% 이상의 고습도하에 있어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이와동시에 제올라이트가 흡착되어 있는 ISOTC 증기로서 발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공지의 방법에서는, ISOTC의 흡착제로서 사용되는 세공경이 5 내지 10Å의 합성 제올라이트는 매우 고가이고, 더욱이, 그 ISOTC의 흡착량은 약 5중량%으로 매우 낮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공지의 ISOTC를 흡착한 합성 제올라이트는, 고습도하가 아니면 ISOTC의 증기를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도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ISOTC를 흡착시킨 합성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인 ISOTC의 증기 발생제로서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종래 고추냉이의 주성분인 ISOTC를 사용하는 살균처리 기술도 몇가지 알려져 있지만, 실용적 관점에서는 어느것이나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들은, 앞서, 고추냉이의 주성분인 ISOTC가 유성액체임을 착안하고, 이것을 특정의 유성액체에 용해시킴과 동시에, 그 용액중의 ISOTC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서, ISOTC의 자극취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취급이 용이한 액성의 살균제 조성물을 얻는 것에 성공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앞서, 이와같은 액상의 살균제를 각종 고체물질에 함유시킴으로서, ISOTC의 증기를 발생하는 고체상 살균제 조성물을 얻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앞서, 상기 살균제 조성물을 각종 제품에 함유시킴으로서, 살균성을 갖는 각종 제품을 얻는데에 성공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앞서 ISOTC의 증기를 사용하는 물품의 살균처리 방법 및 처리장치의 개발에 성공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한 ISOTC를 사용하는 살균기술의 확대를 도모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균공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균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처리를 수반한 식품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균화 제품을 만드는 곡물의 열로 익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훈증제 및 훈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성을 갖는 각종제품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성을 갖는 가스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정교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공기중에 ISOTC의 증기를 혼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살균한 후, 그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ISOTC를 제거함으로서, 무균공기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수중에 ISOTC를 혼입한 수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살균한 후, 그 수중에 함유되는 ISOTC를 제거함으로서, 무균수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식품을 ISOTC와 접촉시키면서 가공하여, 무균화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곡물류를 ISOTC와 접촉시켜서 살균한 후, 이것을 열로 익혀서 무균화된 곡물의 열로 익힌 물건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식품에 ISOTC의 증기를 접촉시킬때에, 이 ISOTC 증기중에, 방향성분의 향기를 혼입함으로서, 이 ISOTC의 취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ISOTC중의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은, 훈증제로서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각종 제품을 ISOTC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서 살균성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자들은, ISOTC의 액체 또는 ISOTC의 액체와 유기액체와의 혼합액중에 가스를 버블링 함으로서, 살균성을 갖는 가스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중에 ISOTC 증기를 혼입하여 공기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살균한 후, 이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ISOTC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공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에 ISOTC를 혼입하여 수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을 살균한 후, 이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ISOTC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을 ISOTC와 접촉시키면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곡물류에 ISOTC를 접촉시켜서 살균처리를 실시한 후, 가수하여 열로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를 열로 익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에 ISOTC의 증기를 접촉시킬때에, 이 ISOTC의 증기중에, 방향성분의 향기를 혼입하고, 이 ISOTC의 취기를 실질상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방법 및 이를 위한 신선도 유지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훈증제 및 이 훈증제를 사용한 훈증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SOTC를 표면 흡착시킨 살균성을 갖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SOTC의 액체 또는 ISOTC의 액체와 유기액체와의 혼합액중에 가스를 버블링하고,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성을 갖는 가스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장치, 또한,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살균성가스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살균작용이란, 항미생물작용(antimicrobial 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살균작용(germicidal action) 자체외에, 정균작용(germistatic action)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균(germ)에는, 세균(bacteria), 곰팡이(fungi), 포자(spore), 조류(alga) 및 기타 유해 미생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ISOTC)는, 이소티오시안산의 지방족계 및 방향족계의 각종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CH2=CHCH2NCS) 또는 이소티오시안산 알킬에스테르(RNCS, R: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겨자유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ISOTC 증기 발생제는, 액체상, 고체상 및 겔상의 물질로 이루는 것이고, 그 표면으로부터 ISOTC의 증기를 방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상 ISOTC 증기 발생제]
액체상의 ISOTC 증기 발생제는, 유성액체 중에 ISOTC를 용해시킨 용액으로 이룬다. 유성액체로서는, 온도 30℃의 증기압(포화증기압)이 2mmHg 이하, 바람직하게는 1mmHg 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증기압이 낮은 유성액체에 ISOTC를 용해시킨 용액에서는, ISOTC의 증발이 현저하게 억제됨과 동시에, 그 용액에서 발산되는 증기는 유성액체의 증기를 거의 함유하지 않고, ISOTC의 증기로 실질적으로 구성됨으로, 그 증기를 물품에 접촉시켜서, 유성액체의 증기에 의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으로는, 비점이 18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이상의 유성액체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유성액체로서는, 예를들면, 올리브유, 참깨기름, 사플라워유, 대두유, 동백기름, 옥수수유, 유채기름, 피마자(아주까리)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낙화생(땅콩)유, 카카오유, 팜유, 정향유, 야자유, 쇠기름, 어유, 경화유, 자라유, 란황유 등의 유지류; 액상라놀린 등의 밀납류; 유동파라핀, 유동 폴리이소부틸렌, 스쿠아렌 등의 탄화수소유; 올레산, 리놀산, 리시놀산 등의 고급지방산유; 옥틸알콜, 올레일 알콜 등의 고급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 초산 리놀린, 라우린산 헥실 등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유성액체는, 무취 내지 무취에 가까운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유성 액체에 대한 ISOTC의 용해량은, ISOTC의 유성액체 용액중,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중량%이다.
ISOTC는, 소량으로도 강한 자극 취를 내고, 취급이 곤란한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유성액체 용액으로 함으로서, ISOTC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ISOTC를 유성액체에 용해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각종의 보조성분을 첨가 용해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보조성분으로서, 계면 활성제, 고분자물질, 상온에서 고체상을 나타내는 고급알콜, 고급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유지, 착색제, 점도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조성분으로, 에탄올 및 프로필알콜 등의 저급 알콜 및 아세톤, 메틸 에틸케톤, 에테르, 초산에틸, 헥산 등의 저비점용매를 소량첨가하여, 유성액체에서의 ISOTC의 증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ISOTC를 함유하는 유성액체는, ISOTC를 함유하는 종자 또는 세포를 그대로 또는 분쇄한 상태에서 유성액체 중에 분산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유성액체에 대한 종자 또는 세포의 분산량은, 유성액체중, 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이다. 이와같은 ISOTC를 함유하는 유성액체는, 그 종자 또는 세포를 함유하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고체상 또는 겔상 ISOTC 증기 발생제]
고체상의 ISOTC 증기 발생제는, 상기의 ISOTC 유성액체 용액(이하, 다만 ISOTC 용액이라고도 함)을 다공성 물질에 함침 보존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ISOTC를 그 자체로 다공성 물질에 함침 보존시키면 ISOTC의 증발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ISOTC를 다공성 물질에 함침시킬 때에 다량의 ISOTC의 증기가 발생하고, 그 ISOTC의 증기에 의한 작업환경의 악화가 생김과 동시에, 다공성 물질에 함침보존시킨 ISOTC의 증산성도 아직 커서, 다공성 물질에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보존시키기가 곤란하게 된다. 이와같은 곤란은, ISOTC를 상기한 유성액체에 용해한 용액으로서 다공성 물질에 함침보존시킴으로서 극복된다. 또, ISOTC는 수분과 용이하게 반응하고, 저장안정성이 저하하지만, 상기한 유성액체의 용액으로 만들므로서, 이 문제도 해결된다.
다공성 물질로서는, 흡착제 및 충전제 등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것으로서는 규조토, 황토, 점토, 탈크, 제올라이트, 아타펄자이트, 세피올라이트 등의 점토 또는 점토 광물외에, 활성탄, 실리카, 실리카겔,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 마그네시아, 합성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공성 물질로서는, 분말상 외에, 펠릿상, 구상, 원기둥상, 원통상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의 다공성 물질로서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소성물질 및 건조물일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물질에 대해서 용액을 함침보존시키는 데에는, ISOCT 용액을 다공성 물질에 첨가 혼합하는 방법 및 ISOCT 용액을 다공성 물질에 스프레이 하는 방법, ISOCT 용액중에 다공성 물질을 침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공성 물질에 대한 ISOCT 용액의 함침보존비율은, 그 다공성 물질의 포화 흡수량 이하, 통상, 다공성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서 1 내지 100중량부의 비율이지만, 그 바람직한 함유량은, ISOCT 용액의 종류 및 다공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한다.
ISOCT 용액을 함침보존시킨 다공성 물질이 분말상인 경우는, 이것을 관용의 성형법으로 성형하고, 타블렛상, 구상, 원기둥상, 펠릿상 등의 각종 형상의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성형법으로서는, 타정성형법, 압출성형법 등이 사용된다. 이 성형을 실시하는 경우, 성형조제가 사용되지만, 이와 같은 성형조제로서는,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아르긴산나트륨 등의 유기계 바인더 및 벤트나이트, 카올린, 알루미나 히드로겔, 규산히드로겔 등의 무기계 바인더를 들 수 있다. 또한 성형조제로서, 각종 단섬유, 예를들면, 석고 위스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ISOCT 용액을 함유하는 다공성 물질은, 그 ISOCT 증산성을 조절할 목적으로, 그 다공성 물질의 표면을, ISOCT 증기를 투과시키는 수지로 코팅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코팅에 의하여, 다공성 물질로부터의 ISOCT의 증산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다른 고체상 ISOCT의 증기 발생제는, 상기 ISOCT 용액을 캡슐화하므로서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캡슐화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2류체 노즐의 외측노즐에서 고분자 용액 및 내측노즐에서 ISOCT 용액을 동시에 수성 매체중에 분출하는 방법 및 계면 중합법 등이 있다. 또, ISOCT 용액 또는 ISOCT 용액을 함침시킨 분말상 다공성 물질을, 상온에서 고체상을 나타내고, 융점이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열가융성물질의 용액에 첨가 혼합한 후, 냉각 고화하고,분쇄함으로서, 캡슐화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열가융성물질로서는, 고급 알콜 또는 그 에스테르, 고급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유지, 각종 왁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온 또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액상을 나타내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폭시 수지 조성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등)의 용융액중에, ISOCT 용액 또는 ISOCT 용액을 함침시킨 분말상 다공성 물질을 첨가혼합 후, 냉각 고화하고, 분쇄함으로서 캡슐화물로 만들수도 있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 요소 등의 포접화합물 형성제와 ISOCT 용액을 반응시켜서 포접화합물상의 캡슐화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ISOCT 용액, ISOCT 용액을 다공성 물질에 함침 보존시킨 것, ISOCT 용액을 함유하는 다공성 물질의 성형품 및 ISOCT 용액의 캡슐화물은, 포장재료로 밀봉포장하여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 포장 재료로서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ISOCT의 증기에 대해서 투과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포장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ISOCT의 증기에 대해서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필름, 시트,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ISOCT의 증기를 투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포장재료라 할지라도, 이것에 레이저 광선등으로 미세공을 뚫어 설치함으로서 ISOCT의 증기를 투과시키는 포장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외에, 종이, 부직포 혹은 그들의 종이 및 부직포의 표면을 가공한 것, 혹은 ISOCT의 증기에 대해서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레미네이트 한 종이, 부직포, 포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겔상의 ISOCT 증기 발생제는, 상기 ISOCT 용액을 겔상물질에 함유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겔상물질로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것으로서는, 한천, 칼라기난,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풀, 아르긴산, 폴리비닐알콜,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ISOCT 용액을 겔상물질에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사전에 생성된 겔상물질에 ISOCT 용액을 혼합분산시키는 방법외에, 겔상물질의 제조시에, 특히 겔상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에 ISOCT 용액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겔상물질중의 ISOCT의 함유량은, 통상 0.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이다. ISOCT의 구체적 함유량은, 겔상물질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정한다. ISOCT 용액을 겔상물질에 함유시키는 경우, ISOCT 용액을 사전에 마이크로 캡슐화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겔상 ISOCT의 증기 발생제는, 통상, 이것을 발수·발유 가공한 종이대 및 플라스틱 필름의 대 및 용기에 충전 포장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필름의 대 및 용기로서는, ISOCT의 증기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무균공기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의 플로노트를 나타낸다.
제2도는 무균수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의 플로시트를 나타낸다.
제3도는, ISOCT의 증기와 피처리원료를 접촉시키는 프로세스의 플로시트를 나타낸다.
제4도는 ISOCT를 함유하는 살균성 가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의 플로시트를 나타내고, 제5도 내지 제8도는 그 변형예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무균공기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한 무균공기의 제조는 제1도에 나타낸 플로시트를 따라서 실시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블로워(blower), (2)는 ISOCT 증기 발생실, (3)은 흡착장치를 나타낸다. ISOCT 증기 발생실 (2)은, 가열 기구 및 냉각기구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ISOCT 증기 발생제를 수용한다.
ISOCT 흡착장치(3)는, 그 내부에 흡착제를 갖는 것으로, 도입된 공기에서 이에 함유되는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를 흡착 제거하는 것이다. 흡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활성탄 및 세피올라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이 사용되지만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에 흡착작용을 갖는 것이면 아무것이나 사용 가능이다.
무균공기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블로워(1)를 작동시키고, 공기를 라인(4)을 통해서 증기 발생실(2)로 유통시키고,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는 라인(8)을 통해서 뽑아냄과 동시에, 이 공기를 흡착장치(3)로 도입한다. 여기에서,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ISOTC가 흡착제거되고, ISOTC를 함유하지 않는 공기를 라인(13) 및 (17)을 지나서 뽑아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착장치(3)에서 뽑아내지는 공기는, 미생물의 균수가 현저하게 감소된, 실질상 무균의 것이다. 즉, 증기 발생실(2)에 있어서, ISOTC의 증기가 공기중에 혼입됨으로서, 공기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의 살균이 실시된다. 이 경우에, 공기중에 혼입되는 ISOTC 증기의 농도는, 용적기준으로, 10 내지 4,000ppm(v/v),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ppm(v/v)이다. 또 ISOTC 증기와 공기의 접촉시간은, 1 내지 120초라고 하는 단시간으로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8)을 통해서 증기 발생실(2)에서 뽑아내지는 공기의 일부를 라인(9) 및 밸브(10)를 통해서 라인(7)로 재순환함으로서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ISOTC 증기와 공기와의 접촉처리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은 살균된다.
또, 흡착장치(3)에서 방출되는 공기는 ISOTC 증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즉, 흡착장치(3)에서는, 그 중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으로 공기중에 함유되는 ISOTC의 증기가 흡착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의 접촉시간은, 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3)을 지나서 흡착장치(3)에서 방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라인(14) 및 밸브(15)를 지나서 라인(12)으로 재순환됨으로 조절될 수 있다. 흡착장치(3)는, 여기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루를 부설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흡착장치에 있어서, 그 흡착제가 포화흡착에 달한때에는, 여기에 스팀 등의 가열매체를 유통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중에의 ISOTC의 혼입은, 상기한 증기 발생실(2)에 있어서 기화된 ISOTC의 혼입에 의하지 않고, ISOTC를 액상 또는 용액상으로 직접 공기중에 스프레이하고, 공기중에서 기화시킴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 스프레이 개소의 하류측에 미스트 세퍼레이터(Mist Seperator)를 놓고, 미기화의 액 방울상의 ISOTC를 공기중에서 분리제거한다. 또, ISOTC의 공기중에서의 분리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에 대해서 화학 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학반응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균공기를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무균공기 중에 ISOTC가 극히 미량 잔존되어도, 인체에 대해서 하등의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2) 무균수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의 제조는, 제2도에 나타낸 플로시트를 따라서 실시될 수 있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펌프, (2)는 살균처리조, (4)는 흡착장치를 나타낸다.
살균처리조(2)는, ISOTC를 수중에 혼입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이면 좋고, 용기상, 탱크상 등의 각종의 형상일 수 있고, 그 형상은 특히 제약받지 않는다. 수중에 ISOTC를 혼입하는 방법으로서는, ISOTC 증기를 수중에 도입하는 방법 및 ISOTC 액체 또는 그 용액을 수중에 혼입하는 방법, ISOTC 고체물질에 함유 고정화된 것을 수중에 존재시키고, 그 고체물질에서 ISOTC를 서서히 수중에 용출시키는 방법등이 있다.
ISOTC를 고체물질에 고정화하는 방법으로서는, ISOTC의 액체 또는 그 용액을, 분말상 펠릿상, 판체상의 다공성 물질에 함침시키는 방법, ISOTC의 액체 또는 용액을 함침시킨 다공질 분체를 고분자 바인더의 존재하에서 펠릿 및 판상체에 형성하는 방법, ISOTC의 액체 또는 용액을 함침시킨 다공성 물질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등이 있다. 다공성 물질중에 함침시키는 ISOTC의 비율은, 1 내지 25중량% 정도이다. 다공성 물질로서는, 예를들면, 활성탄, 실리카,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ISOTC 흡착장치(4)는, 그 내부에 흡착제를 갖는 것이고, 도입된 물에서 여기에 함유되는 ISOTC를 흡착제거하는 것이다. 흡착제로서는, 일반으로는, 활성탄 및 세피올라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마그네시아, 규조토, 제올라이트 등이 사용되지만, ISOTC에 흡착작용을 갖는 것이면 어느것이나 사용가능히다.
물을 살균하는 데에는, 펌프(1)를 작동시키고, 물을 라인(5)을 통해서 살균처리조(2)에 도입하고, 여기에서 ISOTC를 혼입함과 동시에, 펌프(3)를 작동시켜서 살균처리조(2)에서 ISOTC를 함유하는 물을 라인(8)을 통해서 방출함과 동시에, 이 물을 흡착장치(4)로 도입한다. 여기에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ISOTC가 흡착제거되고, ISOTC를 함유하지 않는 물을 라인(13) 및 라인(17)을 통해서 뽑아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착장치(4)에서 방출되는 물은, 실질상 무균의 것이다. 즉, 살균처리조(2)에 있어서, ISOTC가 수중에 혼입됨으로서, 수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의 살균이 실시된다. 이 경우에, 수중에 혼입하는 ISOTC의 농도는, 중량기준에서, 10 내지 5000pp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0ppm이다. 또, ISOTC와 물과의 접촉시간은, 1 내지 120초라고 하는 단시간으로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8)은 지나서 살균처리조(2)에서 뽑아내지는 물의 일부를 라인(9) 및 밸브(10)를 통해서 라인(7)으로 재순환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은 ISOTC와 물과의 접촉처리에 의하여, 수중에 함유되는 미생물은 살균된다.
또, 흡착장치(4)에서 뽑아내지는 물은 ISOTC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즉, 흡착장치(4)에서는, 그 속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에 의하여 물속에 함유되는 ISOTC가 흡착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 있어서의 물 접촉시간은, 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3)을 통해서 흡착장치(3)에서 뽑아내지는 물의 일부를 라인(14) 및 밸브(15)를 통해서 라인(12)으로 재순환시킴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흡착장치(4)는, 여기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부설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흡착장치에 있어서, 그 흡착제가 포화흡착에 달한 때에는, 여기에 스팀 등의 가열 매체를 유통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에의 ISOTC의 혼입은, 상기한 살균처리조에 의하지 않고, 물이 유통하는 배관에 ISOTC를 직접 주입함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 ISOTC의 수중에서의 분리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ISOTC에 대해서 화학 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해서 화학반응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3) 식품의 가공방법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가공방법은, 제3도에 표시한 플로시트에 따라서 실시될 수 있다. 제3도에 있어서, (1),(4)는 블로워(blower) (2)는 ISOTC 증기 발생실, (3)은 가공장치, (5)는 ISOTC 흡착장치를 나타낸다.
ISOTC 증기 발생실(2)은, 그 내부에 ISOTC 증기 발생제를 수용하는 구조의 것이다.
ISOTC 흡착장치(5)는, 그 내부에 흡착제를 갖는 것이고, 도입된 가스에서 이에 함유되는 ISOTC의 증기를 흡착제거하는 것이다.
식품의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블로워(1)를 작동시키고, 가스는 라인(6)을 통해서 증기 발생실(2)로 유통시키고,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라인(10)을 통해서 뽑아냄과 동시에, 이 가스를 가공해야할 원료식품이 수용되어 있는 식품가공장치(3)내에 도입한다. ISOTC의 증기를 반송하기 위한 가스로서는, 통상, 공기가 사용되지만,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 등이라도 좋다. ISOTC 증기 발생실(2)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일부가 라인(11), 밸브(12)를 통해서 라인(9)으로 재순환함으로서, 라인(10)을 지나는 가스 속의 ISOTC의 증기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공장치(3)내의 가공 분위기 중의 ISOTC의 증기농도는, 용적기준으로, 10 내지 4000ppm(v/v),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ppm(v/v)이다.
가공장치(3)내에 도입된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여기에서 가공되고 있는 원료식품과 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원료식품의 살균처리가 실시된다. 가공장치 내의 가스는, 블로워(4) 및 흡착장치(5)를 통해서 라인(22)로부터 대기로 배출된다. 가공장치(3)에서 라인(14)을 지나 뽑아내지는 가스는, 그 일부를 유량밸브를 통해 가공장치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흡착장치(5)에서는, 그 속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으로 가스중에 함유되는 ISOTC 증기가 흡착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서의 가스의 접촉시간은, 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8)을 통해서 흡착장치(5)에서 뽑아내지는 가스의 일부를 라인(19) 및 밸브(20)를 통해서 라인(17)에 재순환시킴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흡착장치(5)는, 여기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부설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흡착장치에서, 그 흡착제가 포화흡착에 달한 때에는, 여기에 스팀 등의 가열매체를 유통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공장치(3)내의 분위기 중에의 ISOTC의 혼입은, 상기한 증기 발생실(2)에 있어서 기화된 ISOTC의 혼입에 의하지 않고, ISOTC를 액상 또는 용액상에서 직접 분위기 속으로 스프레이하고, 분위기중에서 기화시킴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ISOTC 가스중에서의 분리 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ISOTC에 대해서 화학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해서 화학반응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ISOTC를 함유하는 가스는, 가공장치내에서 연속적으로 유통시킬 필요는 없고, 일단 가공장치내에 도입된 후, 밸브(13)를 닫고, 이 상태에서 식품가공을 실시하고, 그리고 식품가공의 종료휴에 밸브(15)를 열고, 가공장치내에서 ISOTC를 함유하는 가스를 뽑아낼 수도 있다.
식품가공장치(3)로서는, 밀폐성 구조의 것이면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식품가공장치의 많은 것은 밀폐성 구조의 것이다.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장치를 밀폐구조로 유지하는 둘레벽에 가스도입구와 배출구를 부설함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가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개방구조의 가공장치라도, 이것을 밀폐성 하우징내 또는 실내에 각각 설치하고, 그 하우징 또는 방의 둘레벽에 가스도입구와 가스배출구를 각각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공장치는, 배치방식 및 연속방식의 어느것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공장치의 밀폐성은, 완전밀폐성의 것일 필요는 없다. ISOTC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은 매우 높은 것이므로 작업환경이 이의 자격취에 의해 특히 악화되지 않는 한 미량의 ISOTC가 누설되어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은, 수중에서의 분쇄가공과 같은 습식조건하의 가공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환경수중에 ISOTC를 혼입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의 식품가공의 종류로서 각종의 것이 포함된다. 이와같은 가공예로서는, 예를들면, 분쇄(제분, 탈피, 압면, 마쇄, 압착, 절단, 혼합, 여과, 원심분리, 사별(분급), 압연, 성형, 냉각, 저온가열, 증자, 탕자,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식품가공을 원료식품과의 관련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이하와 같다.
(1) 쌀, 보리, 메밀, 대두, 옥수수 등의 곡물류의 정곡, 분쇄, 사별 등의 기계가공.
(2) 곤약 감자, 고구, 감자, 타피오카감자 등의 각종 감자류의 마쇄, 분쇄, 사별 등의 기계가공.
(3) 소맥분으로부터 생면을 제조하는 때의 일련의 가공.
(4) 각종 축육류의 숙성 가공.
(5) 각종 생육류의 절단 및 마쇄, 갈기가공.
(6) 어육에서 수산연제품을 제조할 때의 일련의 가공.
(7) 각종 어류의 배가르기 및 쪄서 익힌 것의 건조가공.
(8) 과일류의 건조가공
본 발명의 식품가공 방법에 의하면, 가공되는 원료식품은, 그 가공과 동시에 ISOTC에 의한 살균작용을 받기 때문에, 얻어지는 가공식품은, 종래의 가공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에 비해서, 그 보존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SOTC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높은 것임으로, 얻어지는 가공식품에 ISOTC가 미량 잔존해도, 인체에 대해서 하등의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4) 곡물의 가열 익힘 방법
본 발명에 의한 곡물을 가열로 익히는 방법은, 제3도에 표시된 플로시트에 따라서 실시되지만, 이 경우, 가공장치(3) 대신에, ISOTC의 증기와 곡물을 접촉시키는 처리실(3)이 사용된다.
곡물류의 ISOTC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블로워(1)를 작동시켜, 가스는 라인(8)을 통해서 증기 발생실(2)로 유통시키고,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라인(10)을 통해서 뽑아냄과 동시에, 이 가스를 곡물류가 수용되어 있는 처리실(3)내에 도입된다. ISOTC의 증기를 반송하기 위한 가스로서는, 통상, 공기가 사용되지만, 질소가스 등도 좋다. 증기 발생실(2)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일부를 라인(11), 배브(12)를 통해서 라인(9)에 재순환시킴으로서, 라인(10)을 지나는 가스중의 ISOTC의 증기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처리실(3)내의 가스중에 소요농도의 ISOTC 증기가 혼입된 때에, 블로워(1)를 정지함과 동시에, 밸브(13)를 닫고 처리실내를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곡물류의 ISOTC 처리를 실시한다. 처리실(3)내에는, 펜을 부설하여, 실내의 공기를 유통시키고, ISOTC 증기의 실내에 있어서의 확산을 촉진시킴이 바람직하다. 처리실내의 ISOTC의 증기농도는, 용적기준으로 500 내지 2000ppm(v/v)이다. 처리시간은, 곡물류의 살균이 충분히 실시되는 시간이며, 처리실내의 ISOTC의 증기농도에 따라 변화하고,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시간이다.
ISOTC 처리의 종료후는, 밸브(15)를 여는 동시에, 블로워(4)를 작동시키고, 처리실내의 가스 흡착장치(5)를 통해서 라인(22)으로부터 대기로 배출한다. 이 경우, 처리실내가 감압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처리실에는 별도밸브를 부서하고, 이 밸브를 대기에 개방하는 것이 좋다. 흡착장치(5)에서는, 그중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에 의하여 가스중에 함유되는 ISOTC의 증가가 흡착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 있어서, 가스의 접촉시간은, 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8)을 통해서 흡착장치(5)에서 뽑아 내지는 공기의 일부를 라인(19) 및 밸브(20)를 통해서 라인(17)으로 재순환시킴으로서 조절할 수가 있다. 처리실(3) 및 흡착장치(5)는, 여기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부설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실내의 공기중에의 ISOTC의 혼입은, 상기한 증기 발생실에서의 기화된 ISOTC의 혼입에 의하지 않고, ISOTC를 액체 또는 용액상으로 직접공기중에 스프레이하고, 공기중에서 기화시킴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ISOTC의 공기중에서의 분리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ISOTC에 대해서 화학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학반응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처리실로서는, 밀폐성 구조의 것이면 임의의 것이 사용된다. 또, 처리실(3)에 대해서는,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상기와 같이 간헐적으로 도입하지 않고, 여속적으로 도입하여, 라인(14)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방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라인(14)에서 방출된 가스는, 그 일부를 유량밸브를 통해서 처리실(3)로 재순환시킬 수도 있다.
처리실(3) 내에서의 곡물류의 처리는, 연속방식 또는 배치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속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곡물류가 처리실(3)내를 일정속도로 통과하면 좋다. 또 처리실내에 있어서의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곡물류를 넣은 처리실은 사전에 감압한 후,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도입할 수도 있고, 또, 곡물류를 넣은 처리실에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의 도입후에, 가압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곡물류의 ISOTC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간편한 방법으로서, 곡물류를 플라스틱제의 대내에 넣고, 이 속에 ISOTC 액체 또는 여기에 함유되는 용액은 스프레이한다든가, 또는 ISOTC의 액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용액이 함침된 흡착제를 넣고, 대를 밀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ISOTC 처리된 곡물류는, 관용의 방법으로 열로 익혀진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곡물류를 열로 익힌 것은, 곡물류에 부착되어 있는 100℃의 가열로도 사멸하지 않는 내열성균이 ISOTC에 의하여 살균됨으로, 매우 보존성이 향상된 것이다. 또, ISOTC는 물의 존재하에서 가열로 분해되어, 열로 익힌 것에는 ISOTC의 강한 취기가 느껴지지 않는다.
(5) 식품의 신선도 보존 방법 및 신선도 보존제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 유지방법에 있어서는, ISOTC의 취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SOTC의 증기중에 방향성분의 향기를 혼입시킨다.
ISOTC를 사용하는 식품의 신선도 보존에 있어서는, ISOTC는 미소가스라도, 소비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특이한 취기가 있고, 식품으로서는, 그 취기의 억제가 필요하다. 특히 방향성분을 함유하는 방향성 식품에 있어서는, 그 향기가 중요시됨으로, ISOTC의 특이한 냄새는 가능한한 억제하는 것이 바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교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ISOTC의 증기중에, 방향성분의 향기를 혼입할 때에 그 방향성분의 향기에 의하여 ISOTC의 특이한 취기가 느껴지지 않게되고, ISOTC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 보존을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 보존재는, ISOTC의 증기 및 방향을 발생하는 것이고, 기재에 대해서 ISOTC와 방향성분을 함유시킨 것이다.
방향성분으로서는, 상온에서 액체 내지 고체의 것이 사용되고, 고체의 것은 액체에 용해하여 사용된다. 방향성분의 구체예로서는, 각종의 정유 및 각종의 식품착향료를 들 수 있다. 기재로서는, 종이, 부직포, 플라스틱필름, 흡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선도 보존재는, 기재에 대해서 ISOTC 및 방향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예를들면, 기재가 종이 및 부직포, 흡착제 등의 액체 흡수성 및 가스 흡착성의 것인 경우, 기재에 대해서, ISOTC와 방향성분을 함유하는 액체를 함침시킴으로서, 혹은, 그 액체로부터의 혼합증기를 흡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 기재가 플라스틱 필름 등의 액체 흡착성 및 가스 흡착성을 갖지 않는 것인 경우에는, ISOTC, 방향성분, 충전제,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코팅액을 만들고, 이 코팅액을 기재에 도포함으로서 본 발명의 신선도 보존재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바인더 수지로서는, 열 및 자외선 경화성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열가소성 수지 및 고무, 천연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제로서는, 미세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펄프분마 등의 무기 또는 유기계 미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선도 보존재의 제조용 원료액으로서 사용되는 방향성분과 ISOTC를 함유하는 액체는, 유동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실질상 무취의 유기 액체에, 방향성분과 ISOTC를 혼합용해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ISOTC의 유기 액체중 농도는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방향 성분의 농도는, ISOTC의 취기를 실질상 느끼지 않게 하는 농도이고, 방향성분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통상, ISOTC에 대해서 1.5중량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배 정도이다. 또, 원료액은, 방향성분을 구성하는 정유 또는 유기액체 중에 ISOTC를 혼합용해함으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ISOTC의 정유 또는 유기 액체중 농도는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정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의 신선도 보존방법은, 포장용기 및 포장대, 포장상자 등의 포장 재료를 사용하고, 방향성 식품을 상기 신선도 보존재와 함께 포장함으로서 실시된다. 이와같이 하여 포장된 식품은, 그 신선도 보존재에서 휘산되는 ISOTC의 증기와 접촉하여 살균처리를 받고, 곰팡이의 발생 및 유해 미생물에 의한 변질이 방지된다. 더욱이, 그 식품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는, 그 포장체 내에 신선도 보존재에서 휘산되는 방향성분의 향기로 ISOTC의 취기가 느껴지지 않고, 소비자가 ISOTC의 취기에 의한 불쾌감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품을 포장하는 경우에, 그 포장체 내에 방향성분과 ISOTC를 함유하는 액체 또는 증기를 스프레이 함으로서도, 상기 신선도 유지재를 식품과 함께 포장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포장체내에 있어서 ISOTC의 증기에 의한 바람직한 식품 살균효과를 얻기에는 포장체내에 있어서의 ISOTC 증기 농도는, 용량 기준으로, 1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ppm 점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특히 향기가 중요시되는 방향성 식품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에, ISOTC와 함께 사용되는 방향성분으로서는, 그 식품 중의 방향성분과 동일한 또는 근사한 향기를 부여하는 것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와같은 방향성분을 선정할 때에는, 그 식품에서는 향기가 가화되어, 제품의 부가가치가 증대된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6) 훈증제 및 훈증방법
종래 훈증제로서는, 취하메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취하메틸은 상온에서 기체상의 것이고, 인화되기 쉬울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해서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이소티오시안산 메틸이 훈증작용을 갖는 것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중,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이하, ISOTCA라고 약기함)가, 높은 안전성을 가질 뿐만아니라 취급도 용이하며, 강한 살충성을 갖는 훈증제로서 뛰어난 것임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훈증방법은, 제3도에 나타낸 플로시트에 따라서 실시된다. 이 경우, 제3도에 있어서, 3은 피처리물과 ISOTC를 접촉시키는 훈증실을 나타낸다.
훈증을 실시하는 데에는, 블로워(1)를 작동시키고, 가스는 라인(6)을 통해서 ISOTCA 증기 발생실(2)로 유통시키고, ISOTCA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라인(10)을 통해서 뽑아냄과 동시에, 이가스를 피훈증물이 수용되어 있는 훈증실(3)내로 도입한다. ISOTCA의 증기를 반송하기 위한 가스로서는, 통상, 공기가 사용되지만,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 등도 좋다. ISOTCA 증기 발생실(2)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일부가 라인(11), 밸브(12)를 통해서 라인(9)로 순환함으로서, 라인(10)을 지나는 가스중의 ISOTCA 증기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훈증실(3)내의 공기중에 소요농도의 ISOTCA의 증기가 혼입된 때에, 블로워(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밸브(13)를 닫고 훈증실내를 밀폐상태로 보존한다. 이 상태를 일정시간 보존하여, 피훈증물의 훈증을 달성한다. 훈증실(3)내에는, 팬을 부설하여, 실내의 공기를 유통시켜서, ISOTCA의 증기의 실내에서의 확산을 촉진시킴이 바람직하다. 훈증실내의 ISOTCA의 증기농도는, 용적기준으로, 10 내지 4000ppm(v/v),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ppm(v/v)이다. 훈증시간은, 피훈증물에 대해서 충분한 훈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간이고, 피훈증물의 종류 및 훈증실내의 ISOTCA의 증기농도에 의하여 변화하고, 일의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6시간 내지 3일간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SOTCA의 증기는, 매우 높은 침투성을 지님과 동시에, 강한 훈증작용을 지니며 종래의 취화메틸에 비하면, 그 훈증시간은 짧아도 된다.
훈증처리의 종료후에는, 밸브(15)를 열자마자, 블로워(4)를 작동시키고, 훈증실내의 공기는 흡착장치(5)를 통해서 라인(22)로 대기로 배출한다. 이 경우에, 훈증실내가 감압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훈증실에는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고, 이 밸브를 대기로 개방하는 것이 좋다. 흡착장치(5)에서는, 그 속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으로 공기중에 함유되는 ISOTCA의 증기가 흡착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 있어서 공기의 접촉시간은,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8)을 통해서 흡착장치(5)에서 뽑아내지는 공기의 일부를 라인(19) 및 밸브(20)를 통해서 라인(17)에 재순환시킴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흡착장치(5)는, 여기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설치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흡착장치에 있어서, 그 흡착제가 포화 흡착제에 달한 때에는, 여기에 스팀 등의 가열매체를 유통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훈증실내의 공기속에의 ISOTCA의 혼입은, 상기한 증기 발생실에 있어서 기화된 ISOTCA의 혼입에 의하지 않고, ISOTCA를 액상 또는 용액상으로 직접 공기속으로 스프레이하고, 공기중에서 기화시킴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 ISOTCA의 공기중에서의 분리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ISOTCA에 대해서 화학 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학반응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및, 증기 발생실, 흡착장치등은, 그 일부 또는 전부를 훈증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훈증실로서는, 밀폐성 구조의 것이면 임의의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건물 창고 및 선내 창고, 밀폐성의 방, 텐트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훈증처리는, 간편하게는, 플라스틱제의 용기 및 대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플라스틱제의 용기 및 대를 사용하여 훈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훈증물을 그 용기 및 대에 넣는 동시에, 그 용기 및 대내에 ISOTCA의 액체 또는 그 용액을 스프레이하거나 또는 ISOTCA의 증기 발생제를 투입하고, 전체를 밀폐하며, 이 상태소요시간을 보존하면 된다.
피 훈증물로서는, 벼, 보리, 옥수수, 메밀, 잠두콩, 대두, 소두 등의 각종의 곡물류 및 종실류 외에, 과일루 및 야채, 목재 증의 유해 미생물 및 해충의 증전식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각종 천연 수확물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곡물류를 공기 수송할 때에, 그 수송 공기중에 ISOTCA의 증기를 혼입함으로서, 곡물류를 훈증할 수 있다. 창고에 저장된 곡물류를 선창고로 이동시키는 때 등에는, 공기를 블로워에 의하여 배관내에 압송시킴과 동시에, 그 압송공기에 곡물류를 흡인부유시켜서 수송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수송용 공기중에 ISOTCA의 증기를 혼입함으로서도, 양호한 훈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송용 공기 속에의 ISOTCA의 증기의 혼입 방버브로서는, 배관을 유통하는 공기중으로 ISOTCA의 증기를 압입하는 방법 및 ISOTCA를 액상 또는 용액상으로 압입하고, 배관중에서 기화시키는 방법, 블로워로 들어가는 공기에 ISOTCA를 증기상 또는 액체상으로 혼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곡물류의 공기 수송에 있어서는 소정의 이송개소에 위치하는 배관의 선단에서 곡물류가 공기와 함께 배출되고, 동시에 곡물류와 수송용 공기와의 분리가 실시된다. 이 분리된 수송용 공기는, ISOTCA의 증기를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블로워에 순환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SOTCA는, 토양 훈증제로서도 유리하게 적용된다. 농업 재배에 있어서는, 토양중의 유해 미생물 및 해충을 살멸 내지 박멸하고, 이로 인해서 작물의 수확량을 높히게 할 수 있다. ISOTCA는, 뛰어난 살균 및 살충 효과를 갖는 동시에, 강한 침투성 및 확산성을 가지며, 또한, 인체에 대한 안정성도 높음으로 하여, 토양 훈증제로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토양에 대한 적용은, ISOTCA의 액체 또는 그 용액(수용액 및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 액체의 용액)을 토양에 스프레이 하는 방법 및 토양중에 주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 ISOTCA는, 수분해성도 있음으로, 다량 적용해도, 장시간 경과하면, 토양중에서 분해되어 버리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ISOTCA로 이루는 훈증제는, 종래 일반으로 사용되고 있는 취화 메틸과는 상이하여, 상온에서 액상을 나타내고, 그 인화성은 극히 낮고 또 인체에 대한 안정성도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미소 농도에 있어서 높은 훈증작용을 나타내는 등의 뛰어난 이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훈증제를 사용함으로서, 유해 미생물 및 해충의 증번식이 문제가 되는 각종 피훈증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훈증하고, 살균 및 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훈증제는, 토양 훈증제(토양 소독제)로서도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7) 살균성을 갖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한 살균성을 갖는 제품은, 그 표면에 ISOTC를 흡착하고, 제품 표면에서 ISOTC의 증기가 방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품의 제조는, 제3도에 나타낸 플로시트에 따라서 실시된다.이 경우에 제3도에서, (3)은 처리실을 나타낸다.
살균성을 갖는 제품(이하, 피처리물이라고도 함)을 제조하는데에는, 블로워(1)를 작동시켜, 가스를 라인(6)을 통해서 ISOTC 증기 발생실(2)로 유통시켜, ISOTC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라인(10)를 통해서 뽑아냄과 동시에, 이 가스를 피처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처리실(3)내로 도입한다. ISOTC의 증기를 반송하기 위한 가스로서는, 통상, 공기가 사용되지만, 질소 가스 등도 좋다. ISOTC 증기 발생실(2)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그 일부를 라인(11), 밸브(12)를 통해서 라인(9)으로 재순환시킴으로서, 라인(10)을 지나는 가스중의 ISOTC 증기 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처리실(3)내의 공기중에 소요농도의 ISOTC 증기가 혼입된 때에는 블로워(1)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밸브(13)를 닫고 처리실내를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피처리물에의 ISOTC의 흡착처리를 실시한다. 처리실(3)내에는, 팬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유동시켜서, ISOTC의 증기의 실내에서의 확산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실내의 ISOTC의 증기 농도는, 용적기준으로, 200 내지 5000ppm(v/v),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ppm(v/v)이다. 처리시간은, 피처리물에 대해서 충분한 흡착량을 얻을 수 있는 시간이며, 피처리물의 종류 및 처리실내의 ISOTC의 증기 농도에 의하여 변화하고, 일의적으로는 정할 수 없지만, 일반으로는, 1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분이라고 하는 짧은 시간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ISOTC의 증기는, 매우 높은 침투성을 갖는 동시에, 피처리물에 대해서 강하게 흡착한다.
흡착처리의 종료후는, 밸브(15)를 여는 동시에, 블로워(4)를 작동시키고, 처리실내의 공기는 흡착장치(5)를 통해서 라인(22)에서 대기로 배출한다. 이 경우에, 처리실내가 감압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처리실에는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고, 이 밸브를 대기로 개방하는 것이 좋다. 흡착장치(5)에서는, 그 속에 함유되는 흡착제의 작용으로 공기중에 함유되는 ISOTC의 증기가 흡착 제거된다. 이 흡착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의 접촉시간은, 그 흡착제거가 충분히 달성되는 시간이면 좋고, 그 접촉시간은, 라인(18)을 지나서 흡착장치(5)에서 뽑아내지는 공기의 일부를 라인(19) 및 밸브(20)을 지나서, 라인(17)으로 재순환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처리실(3) 및 흡착장치(5)는, 이에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부착 설치하고, 그 흡착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흡착장치에 있어서, 그 흡착제가 포화 흡착에 달한 때에는, 여기에 스팀 등의 가열 매체를 유통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실내의 공기중에의 ISOTC의 혼입은, 상기한 증기 발생실에 있어서 기화된 ISOTC의 혼입에 의하지 않고, ISOTC를 액상 또는 용액상으로 직접 공기중으로 스프레이하고, 공기중에서 기화시킴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ISOTC의 공기중에서의 분리제거는, 흡착제에 의하지 않고, 고체상 아민 등의 ISOTC에 대해서 화학 반응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학 반응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처리실로서는, 밀폐성 구조의 것이면,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처리실(3)에 대해서는,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상기와 같이 간헐적으로 도입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도입하여, 라인(14)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뽑아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라인(14)에서 뽑아내지는 가스의 그 일부는 유량 밸브를 통해서 처리실(3)으로 재순환시킬 수도 있다.
처리실(3)내에 있어서의 피처리물의 처리는, 연속방식 또는 배치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속방식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피처리물을 처리실(3)내에 일정속도로 통과시키면 좋다.
피처리물로서는, 섬유제품 및 플라스틱 성형품이 사용된다. 섬유로서는, 각종의 합성섬유 및 반합성섬유, 천연섬유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목면 섬유, 견섬유, 양모섬유, 레이온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섬유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 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단섬유, 복합섬유, 연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섬유 제품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합성, 반합성 또는 천연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된 각종의 제품이 사용된다. 섬유 제품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ISOTC를 함유하는 섬유 또는 섬유 제품은, 그 표면에 수지 코팅을 입히고, 섬유 표면에서의 ISOTC의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코팅법으로서는, 침지법 및 스프레이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코팅용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외, 아미노계, 페놀성,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이소시아나트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코팅에 있어서는, 용액 및 에멀션 등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및 섬유 제품은, 그 표면에서 ISOTC의 증기가 방출되는 것이고, 그 ISOTC에 기인하는 살균성 내지 정균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섬유 및 섬유 제품으로 형성된 대체 및 망상대는, 살균성 및 곰팡이 방지성 포장재료로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피처리물은, 플라스틱 필름 및 플라스틱 용기일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로니트릴계 등의 각종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ISOTC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그 표면에 수지 코팅을 실시하고, 필름 표면에서의 ISOTC의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지 코팅법으로서는 침지법 및 스프레이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코팅용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아크릴계, 비닐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 외에, 아미노계, 페놀성,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이소시아나트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코팅에 있어서는, 용액 및 에멀션 등의 상태에서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로서는, ISOTC에 대해서 흡착성을 나타내는 소재로 적어도 그 일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면 임의의 것이 사용된다. ISOTC에 대해서 흡착성을 나타내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로니트릴계, 초산비닐계 등의 각종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플라스틱은, 발포체 또는 미발포체일 수 있고, ISOTC에 대한 흡착성의 면에서는, 발포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또, ISOTC에 대해서 흡착성을 나타내는 다른 소재로서는, 종이, 단볼, 고무, 부직포,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그 외면에, ISOTC에 대해서 실질적인 흡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소재를 피복하고, 그 용기 외면에서의 ISOTC의 휘산을 방지 내지 억제한 구조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SOTC에 대해서 실질적인 흡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나일론, 폴리염화 비닐리덴 등의 금속 및 특정한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소재를 외면에 피복한 용기를 얻기 위해서는, 용기 또는 그 용기를 얻기 위한 성형재료의 표면에, 이들 소재로 이루는 시트나 필름, 판상체를 적층 접착시키면 좋다.
용기의 형상 및 치수는 임의이고, 트레이상, 상자상, 대상, 단볼상, 사발 모양 등의 각종의 형상이 있고, 뚜껑은 있어도 없어도 좋다.
본 발명의 용기는, 곰팡이의 발생 및 유해 미생물의 증번식이 문제가 되는 각종의 물품을 넣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된다. 이같은 물품으로서는, 야채류, 어패류, 과일류 등의 생선식품 및 각종 가공 식품을 포함하는 식품류외에, 곰팡이의 발생이 문제가 되는 볼베어링 및 패킹재 등의 정밀 기계 부품 및 렌즈 등의 광학 부품을 들 수 있다. 또, 전분 및 젤라틴 등의 천연 고분자를 함유하는 도료 등의 미생물의 증번식에 따라 변질하는 공업제품도 들 수 있다.
발명의 용기를 사용하여 물품을 포장하여 수송할 때에는, 그 용기에서 휘산되는 ISOTC의 뛰어난 살균작용(정균작용도 포함)으로, 그 물품에 부착된 미생물의 살균 내지 정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물품을 미생물의 유해 작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이것을 배달상자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달상자에 식품을 넣어서 배달 수송할 때에는, 그 내부에 넣은 식품을 미생물의 유해작용으로부터 보호하고, 곰팡이의 발생 및 변질을 방지하며, 식품을 고신선도로 보존할 수 있다. 또 배달 종료후, 회수된 배달상자는, 이것을 청정화하고, 다시 상기와 같이 ISOTC 흡착처리를 실시함으로서, 살균 및 신선도 보존효과가 있는 배달상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8) 살균성 가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효과를 갖는 가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Ⅰ) ISOTC의 액체 또는 ISOTC의 액체와 유기 액체와의 혼합액(이하, 다만 ISOTC 함유 액체라고도 함)속에 가스를 버블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Ⅱ) ISOTC 함유 액체를 가스중에 분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Ⅲ) ISOTC 함유 액체를 함침시킨 다공성 물질을 충전한 컬럼에 대해서 가스를 유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Ⅳ) ISOTC 함유 액체중에 가스를 버블링하는 공정과, 이 공정으로 얻어진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ISOTC 함유 액체를 함침시킨 다공성 물질로 충전한 컬럼중을 유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Ⅴ) ISOTC 함유 액체를 가스중에 스프레이하는 공정과, 이 공정에서 얻어진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ISOTC 함유 액체가 함침된 다공성 물질로 충전한 컬럼속을 유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Ⅵ)상기 (Ⅰ) 내지 (Ⅴ)의 방법으로 얻어진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에, 소요량의 가스를 혼입하여 소정농도의 ISOTC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얻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Ⅰ) 내지 (Ⅵ)의 방법에서 얻어진 가스 조성물은, 식품 포장할 때의 포장체 내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포장방법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SOTC 증기를 함유하는 질소가스 또는 탄산가스로 이루어져 살균 효과를 갖는 신규의 가스 조성물에 제공된다.
제4도는, 상기한 방법(1)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계통도를 나타낸다. 제4도에 있어서, (1)은 질소 봄베, (10)은 ISOTC 함유 액체 탱크, (15)는 버블링 탱크, (25)는 미스트 세퍼레이터, PI는 압력 게이지, F는 유량계, LC는 액면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제조하는데는, 우선, ISOTC 함유 액체 탱크(10)에서, 이에 함유되는 RNCS 함유 액체를 펌프(11) 및 라인(12)을 통해서 버블링 탱크(15)에 공급한다. 버블링 탱크(15)내에의 액체 공급량은, 액면 콘트롤러 LC로 조절된다.
다음에, 가스 봄베(1)의 유량 조절 밸브(2)를 열고, 압축 가스를 라인(6)을 통해서 버블링 탱크(15)내에 배치된 가스분산기(18)로 보내고, 여기의 액체중에서 버블링 시킨 후, 라인(20)을 통해서 버블링 탱크에서 뽑아낸다. 이 버블링 탱크 공정에 의하여, 버블링 탱크에서 뽑아내지는 가스 중에 ISOTC의 증기가 혼입된다. 이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미스트 세퍼레이터(25)로 들어가고, 여기에서 가스에 동반되는 ISOTC의 미스트(액방울)가 분리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25)에서 분리된 ISOTC 함유 액체는, 라인(26)을 통해서 버블링 탱크(15)로 순환된다. 그리고, ISOTC의 미스트의 분리된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미스트 세퍼레이터(25)에서, 라인 G-1을 통해서 제조가스로서 뽑아내진다.
또,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라인(20)을 지나 버블링 탱크에서 뽑아내지는 가스의 일부를, 라인(22), 블로워(23) 및 라인(27)을 통해서, 버블링 탱크내에 각각 설치된 가스 분산기(19)에서 액체중에 버블링시킬 수 있다. 이 조작으로, 라인 G-1을 통해서 뽑아내지는 제조가스 중의 ISOTC의 증기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품 가스를 제조하는 경우, 그 제품 가스의 제조와 함께, 버블링 탱크내의 액체량이 점차로 감소하지만, 그 감소분은, 액면 콘트롤러 LC의 신호에 의하여 공급 펌프(11)를 작동시켜서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또, 버블링 탱크내의 액체의 성장이 소정의 범위에서 이탈한 때에는, 버블링 탱크내의 액체를 펌프(16) 및 라인(17)을 통해서 ISOTC 함유 액체 탱크(10)로 회복시켜 재조정하거나, 혹은 라인(18)을 통해서 계외로 배출한다.
제5도는, 상기한 방법(Ⅱ)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계통도를 나타낸다. 제5도에 있어서, (30)은 스프레이 탱크를 나타낸다. 또, 제4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제5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제조하는데는, 가스 봄베(1)에서 라인(6)을 지나서 뽑아내진 가스와, ISOTC 함유 액체 탱크(10)에서 라인(12)을 지나서 뽑아내진 ISOTC 함유 액체를 2유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서 스프레이 탱크(30)내에 스프레이하고,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라인(20)을 통해서 스프레이 탱크(30)에서 뽑아내고, 미스트 세퍼레이터(25)를 거쳐 라인 G-2를 통해서 제품가스로서 뽑아내진다. 스프레이 탱크(30)내의 응축액체는, 그 성상을 체크하고, 펌프(16)에 의하여 라인(17)을 통해서 ISOTC 함유 액체 탱크(10)으로 되돌리거나 또는 라인(18)을 통해서 계외로 배출한다.
스프레이 탱크내에서 가스와, ISOTC 함유 액체를 스프레이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2유체 스프레이 노즐에 의하지 않고, 스프레이 탱크내에 가스노즐을 통해서 가스를 도입하는 동시에, 1류체 스프레이 노즐에 의하여 스프레이 탱크내에 ISOTC 함유 액체를 스프레이하고, 탱크내에서 가스와 혼합할 수도 있다.
제6도는, 상기한 방법(Ⅲ)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계통도를 나타낸다. 제6도에 있어서, (35)는, ISOTC 함유 액체를 함침시킨 다공성 물질(37)를 충전한 컬럼이다. 또, 제6도에 있어서, 제4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부호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
ISOTC 함유 액체를 함침시키는 다공성 물질로서는, 활성탄,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의, 각종의 것을 들 수 있고, 그 형상은, 과립상, 원통상, 구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일 수 있다.
제6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제조하는 데에는, 가스 봄베에서의 가스를 라인(6)을 통해서 컬럼(35)내로 도입하고,그 컬럼내에 충전된 ISOTC 함유 액체를 함치시킨 다공성 물질로 이루는 충전층(37)과 접촉시키면서 컬럼속을 유통시킨다. 이 가스와 다공성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다공성 물질중에 함침시킨 ISOTC가 기화되고, 가스중에 혼입된다.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라인 G-3을 지나서 컬럼(35)에서 제품가스로서 뽑아내진다.
상기와 같이하여 제품가스를 제조하는 경우에, 컬럼내이 충전층 높이가 불충분한 경우와, 가스의 유통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 등에는 G-3을 통해서 뽑아내지는 가스중의 ISOTC 증기 농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충전층을 나온 가스의 일부를 라인(36) 및 순환 블로워(23)를 통해서 컬럼(35)에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순환량을 조절함으로서, G-3을 지나서 뽑아내지는 제품 가스중의 ISOTC의 증기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7도는, 상기 방법(Ⅲ) 또는 (Ⅳ)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계통도를 나타낸다. 제7도에 있어서, G는 상기한 제4도 또는 제5도에 나타낸 장치를 표시한다.
제7도에 표시한 장치를 사용하여 ISOTC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를 제조하는 데에는, 제4도 또는 제5도에 나타내는 장치 G로 얻어진 제품 가스는 라인 F를 지나서 컬럼(35)를 유통시킨다. 커럼(35)은 제6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제품 가스는 라인 G-4를 통해 컬럼(35)에서 뽑아내진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컬럼(35)내에서 가스에 동반된 ISOTC의 미스트가 제거됨으로, 제4도 및 제5도에서 표시한 미스트 세퍼레이터(25)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컬럼(35)은, 상기와 같이, 순환 블로워(23)를 작동시킴으로서, 라인 G-3을 통하는 제품 가스중의 ISOTC의 증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장치 G의 운전이 용이하게 된다. 즉, 장치 G에서 얻어진 가스중의 ISOTC 증기의 농도가 실용 레벨면에서 과대 또는 과소해도, 컬럼(35)을 통과시킴으로서, 그 농도를 실용 레벨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제8도는, 상기 방법(Ⅵ)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계통도를 나타낸다.
제8도에 있어서, (40)은 버퍼 탱크이고, 중공상 용기로 구성된다. (41)은 가스 혼합기, (42)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ISOTC의 증기 농도 검출계를 내포하는 제어장치이다. 버퍼 탱크(40), 가스 혼합기(41), 제어장치(42), 가스 봄베(1)로 이루는 장치는, ISOTC의 증기 농도 조절장치를 구성한다.
제8도에 표시된 장치를 사용하여 ISOTC의 증기 농도가 조절된 제품가스를 얻는 데에는, 상기한 제4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장치 G에서 얻어진 제품 가스는 라인 F를 통해서 가스 혼합기(41)로 인도하는 동시에, 가스 봄베(1)에서의 가스를 라인(6)을 통해서 가스 혼합기(41)로 인도하고, 여기에서 양자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버퍼 탱크(40)로 도입한다. 한편, 버퍼 탱크(40)에는, ISOTC 농도 검출계를 내포하는 제어장치(42)가 접속되고, 그 검출신호는 유동조절 밸브(4)로 보내진다. 이 신호에 의하여 유동조절 밸브를 작동하고, 버퍼 탱크내의 ISOTC의 증기 농도가 소정농도가 되도록, 가스 봄베(1)에서의 가스가 가스 혼합기(41)를 통해서 버퍼 탱크(40)내로 도입된다. 라인 G-5로부터는 소정농도로 조절된 제품 가스가 뽑아내진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제품가스중의 ISOTC의 증기 농도는, 통상, 50 내지 100ppm(용적 기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rppm의 범위로 조절된다. 또, ISOTC의 증기의 캐리어 가스로서는, 통상,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 공기, 기타의 가스가 임의로 사용된다. 제품 가스를 식품의 살균 및 신선도 유지용으로 사용되는 때에는, 식품의 산화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의 사용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ISOTC의 증기를 함유하는 가스는, 그 살균성을 이용하여 각종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 가스의 바람직한 사용양태에 의하면, 식품을 포장할 때, 본 발명의 제품가스를 그 포장체내로 충전하여 포장하는 식품의 포장방법이 제공된다. 식품을 플라스틱 필름 포장 또는 용기 포장을 할 때는,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를 포장체내에 충전하고, 식품의 산화에 의한 변질 및 식품에 대한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품가스는 이와같은 충전용 가스로서 호적한 것이고, 그 충전으로, 식품의 세균에 의한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고도로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가스는, 유해 미생물의 증번식이 문제가 되는 제품의 살균처리용 가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품가스를 수용시킨 처리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품가스를 그 유해 미생물의 문제가 되는 제품과 접촉시킴으로서, 그 제품에 부착하는 유해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품가스는, 이것을 내압용기(압축봄베)에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용기에서 꺼냄으로써, 각종 물품의 살균처리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가스는, 살균성을 가지는 재료 및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가스로서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제품 가스중에 섬유 및 용기, 상자, 종이, 플라스틱 필름 등을 보존하고, 그 제품중에 ISOTC의 증기를 침입 보존시킴으로서, ISOTC의 증기를 서서히 휘산하는 살균성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전갱이의 배를 가른 반건조제품을 얻기 위하여, 생전갱이의 배를 가른 냉동품을 해동하고, 그 한 마리를 나일론대에 넣는 동시에, 그 대내에 흡수 팽윤성 고분자(스미카겔, 스미또모 화학사제) 10g을 건조제로서 작은 종이 봉지에 넣은 것을 넣고, 다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 10중량%를 용해시킨 대두유를 과립상 규조토에 함침시킨 것(함침 비율:30중량%) 8g을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 발생제로서 작은종이 봉지에 봉입한 것을 넣고, 나일론 대를 밀봉했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 발생제를 나일론의 대내에 동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나일론대에 생전갱이의 배를 가른 것과 건조제를 넣고 밀봉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배를 가른 생전갱이의 포장물을, 실온에서 5일간 방치한후, 나일론대를 개봉하고, 내용물을 조사한 바, 비교품에는 강한 부패취기가 생겼지만, 본 발명품의 경우에는 부패취기는 느낄 수 없고, 배를 가른 생전갱이는 건조와 동시에 살균처리를 받은 것임을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남비에 500g의 정미를 넣고, 수세한 후,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 0.5cc를 첨가 혼합하고, 보통 방법으로 밥을 지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얻어 지은밥을, 필름 포장하고, 상온에서 4일간 보존한 후, 필름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조사한 바, 아무런 변질을 느낄 수 없었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을 첨가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하게 밥을 짓고, 얻어진 지은 밥을 필름포장하고, 상온에서 4일간 보존후, 필름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조사한 바, 강한 부패 취기를 느낄 수 있었다.
[실시예 3]
정미 500g을 나이론대에 넣고, 다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을 10중량%를 용해한 대두유를 과립상 규조토에 함침시킨 것(함침비율:30중량%) 15g을 종이대에 봉입하여 상기 나일론대에 동봉하고, 밀봉했다. 이 대를 실온에서 1시간 방치후, 개봉하여 내용물을 꺼내고, 이 정미를 수세하고, 보통 방법으로 밥을 지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지은 밥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필름 포장하고, 4일간의 보존시험을 실시한 바, 이 경우에도, 내용물에는 아무런 변질도 볼 수 없었다.
[실시예 4]
(1) 신선도 보존재의 조제
참깨기름 10중량부에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1중량부를 혼합 용해하여 얻은 원료액 5ml를 여과지(10cm2)에 함침시켜서 신선도 보존재를 얻었다.
여기에서 발산되는 향기는, 참깨의 향기이고,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의 취기는 실질적으로 느낄 수 없었다.
또, 올리브유 10중량부에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1중량부를 혼합 용애하여 얻은 원료액 5ml를 여과지(100cm2)에 함침시켜서 신선도 보존재를 얻었다.
여기에서 발산되는 향기는, 올리브 향이고,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의 취기는 실질적으로 느낄 수 없었다.
(2) 신선도 보존 시험
시판하는 우동을 상기에서 얻은 각 신선도 보존재와 함께 1ℓ 용기에 넣어 밀봉하고, 실온에 방치했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존된 우동은 1주일 후에도 곰팡이의 발생은 볼 수 없고, 또 용기를 개봉한 때에, 참깨 또는 올리브의 향기를 느낄 수 있고,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의 취기는 실질상 느낄 수 없었다.
또, 비교를 위하여, 신선도, 보존재를 동봉하지 않고, 우동을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실온에 방치한 때에는, 4일간에 곰팡이의 발생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5]
피훈증물의 모델 샘플로서, 바구미가 생긴 현미 500g을 나일론 대에 넣고, 다시 이 대에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에스테르를 10중량% 용해시킨 대두유를 함침시킨 과립상 규조토(함침비율:20중량%) 5g을 작은 종이 봉지에 봉입하여 넣고, 나일론 대를 밀봉했다. 이것을 그대로 1주야 방치한 후, 개봉하여 바구미의 생사를 판별한 바, 바구미는 어느 것이나 사멸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5000ml의 용기에 흰개미 20마리를 넣는 동시에,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에스테르 20중량%의 콘오일 80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직경 20mm의 개구부(열린 곳)를 갖는 샤레에 넣고, 이것을 흰개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용기내에 넣은 후, 용기에 뚜껑을 덮고, 흰매기의 상황을 관찰했다.
그 결과, 10분 후에는 흰개미의 보행이 완만해지고, 2시간 후에는 흰개미는 사멸했다.
[실시예 7]
시판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직포를, 나일론 대에 넣고, 다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 10중량%를 용해했다. 대두유를 과립상 규조토에 함침시킨 것(함침비율:30중량%) 10g을 작은 종이 봉지에 봉입하여 상기 나일론대에 동봉하여 밀봉했다. 이 대를 실온에 30분간 방치한 후, 개봉하여 직포를 꺼내서, 24시간 방치했다. 이 직포는, 24시간 방치후에 있어서도 겨자 냄새를 발하고, 직포 표면에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의 증기가 발산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시판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나일론대에 넣고, 다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 10중량%를 용해한 대두유를 과립상 규조토에 함침시킨 것(함침비율:30중량%) 10g을 작은 종이 봉지에 봉입하고 다시 상기 나일론대에 동봉하고, 밀봉했다. 이 대를 실온에 30분간 방치한 후, 개봉하여 필름을 꺼내고, 24시간 방치했다. 이 필름은, 24시간 방치후에도 겨자냄새를 발하고, 필름 표면에서 이소티오시안산 알릴에스테르의 증기가 발산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9]
내용적 10ℓ의 발포스티롤 상자 2개를 준비하고, 그 한편에는,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1000ppm(용적기준) 함유하는 공기를 사용하는 흡착처리를 실시했다.
다음에, 이들의 각 용기에, 찐만두 5개 찐빵 2개를 동시에 넣고, 그 위에 뚜껑을 덮고, 상온으로 보존하고, 그 내용물의 경시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Claims (3)

  1. 식품을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와 접촉시키면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2.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 발생공정과,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를 밀폐성 가공장치내에 도입하여 식품을 가공하는 공정과, 이 가공장치에서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를 배출하는 공정으로 이루는 식품의 가공방법.
  3. 곡물에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의 증기를 접촉시켜서 살균처리를 실시한 후, 가수하고 가열하여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류의 가열익힘 방법.
KR1019910700726A 1989-11-09 1990-11-09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이용한 살균처리를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KR0153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91544 1989-11-09
JP89/291545 1989-11-09
JP1291551A JPH03152273A (ja) 1989-11-09 1989-11-09 殺菌性を有する繊維又は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89/291551 1989-11-09
JP1291546A JPH03151975A (ja) 1989-11-09 1989-11-09 無菌空気の製造方法
JP1291544A JPH03154688A (ja) 1989-11-09 1989-11-09 水の殺菌方法
JP89/291546 1989-11-09
JP1291545A JPH03153607A (ja) 1989-11-09 1989-11-09 くん蒸剤及びくん蒸方法
JP1291552A JP3035936B2 (ja) 1989-11-09 1989-11-09 殺菌性を有する合成樹脂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89/291552 1989-11-09
JP1291547A JPH03151864A (ja) 1989-11-09 1989-11-09 食品の加工方法
JP89/291547 1989-11-09
JP89/325655 1989-12-14
JP1325655A JPH03187370A (ja) 1989-12-14 1989-12-14 殺菌及び鮮度保持効果を有するガス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3025189A JP2864592B2 (ja) 1989-12-20 1989-12-20 殺菌及び鮮度保持効果を有する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容器を用いた物品の輸送方法
JP89/330251 1989-12-20
JP2014659A JPH03219857A (ja) 1990-01-23 1990-01-23 食品の鮮度保持方法及び鮮度保持材
JP2014660A JP2917354B2 (ja) 1990-01-23 1990-01-23 殻物類の熱煮方法
JP90/14660 1990-01-23
JP90/14659 1990-01-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096A Division KR0159753B1 (ko) 1989-11-09 1990-11-09 식품의 신선도 보존방법 및 신선도 보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541A KR920700541A (ko) 1992-08-10
KR0153246B1 true KR0153246B1 (ko) 1998-10-15

Family

ID=2757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726A KR0153246B1 (ko) 1989-11-09 1990-11-09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이용한 살균처리를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52512A4 (ko)
KR (1) KR0153246B1 (ko)
CN (4) CN1046207C (ko)
AU (2) AU6635990A (ko)
CA (1) CA2045486A1 (ko)
HK (1) HK1022248A1 (ko)
MY (1) MY109112A (ko)
NZ (1) NZ236018A (ko)
SG (1) SG59952A1 (ko)
WO (1) WO19910070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961A (ko)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엣지아이앤디 제스처 인식 기반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515A (en) * 1989-12-11 1995-01-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US5043175A (en) * 1990-10-01 1991-08-27 California Pellet Mill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ation of animal feed
JP3626934B2 (ja) * 1999-07-27 2005-03-09 松下冷機株式会社 抗菌装置および抗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0880498B1 (ko) * 2000-08-21 2009-01-28 제드 더블유. 파헤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의한 헬리코박터의 처리
CN104522155A (zh) * 2014-12-10 2015-04-22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杏鲍菇的保鲜方法
CN105401403A (zh) * 2015-12-25 2016-03-16 常熟市格林染整有限公司 毛绒面料的染整工艺
MA45385A (fr) * 2016-06-20 2021-05-19 Xeda International Procédé et ensemble de traitement de l'atmosphère d'un stockage de produits végétaux
CN106720300A (zh) * 2016-11-28 2017-05-31 湖北工业大学 一种玉米粒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45B (zh) * 2016-11-28 2020-09-04 湖北工业大学 一种板栗的物理保鲜方法
CN106720299A (zh) * 2016-11-28 2017-05-31 湖北工业大学 一种花生果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3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松籽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4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杏仁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13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石榴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6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大豆的物理保鲜方法
CN106819086A (zh) * 2016-11-28 2017-06-13 湖北工业大学 一种红枣的物理保鲜方法
CN106720298A (zh) * 2016-11-28 2017-05-31 湖北工业大学 一种核桃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7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莲子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2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小麦或水稻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35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蚕豆的物理保鲜方法
CN106578044A (zh) * 2016-11-28 2017-04-26 湖北工业大学 一种绿豆的物理保鲜方法
FR3064157B1 (fr) * 2017-03-22 2021-06-04 Xeda International Procede de traitement par au moins un produit biocide et/ou phytoprotecteur moyennement volatile, ensemble de traitement et ensemble de stockage correspondants
CN107485971B (zh) * 2017-07-28 2019-06-21 浙江工业大学 一种残留熏蒸剂硫酰氟的回收装置及其回收工艺
CN107983552A (zh) * 2017-12-19 2018-05-04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液压二氧化碳为溶剂的喷涂设备
CN109411603A (zh) 2018-10-17 2019-03-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发光材料蒸镀方法以及装置
CN110200005B (zh) * 2019-07-04 2021-03-30 南京新安中绿生物科技有限公司 杀菌剂组合物及其控释系统与应用
CN117617234A (zh) * 2022-08-12 2024-03-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除菌剂及其制备方法和车辆空调系统及车辆
CN115504030B (zh) * 2022-10-12 2023-09-29 湖南贝恩叮当猫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纸尿裤生产加工用消毒装置
CN116098146B (zh) * 2023-04-11 2023-07-07 云南建投物流有限公司 一种月季切花微环境的气调保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2466A1 (de) * 1964-07-01 1969-12-18 Kroeber Ernst Rudolf Verfahren zum Desinfizieren von mit pathogenen Pilzen oder Bakterien infizierten Gegenstaenden durch Begasung mit einem desinfizierend wirkenden Stoff
US3996386A (en) * 1971-12-15 1976-12-07 Yrjo Malkki Method for preventing microbial surface deterioration of foods and feeds
JPS521023A (en) * 1975-06-23 1977-01-06 Suntory Ltd Method for regulating plant germinitation
US4067896A (en) * 1976-11-15 1978-01-10 The Dow Chemical Company (Isothiocyanato-methoxy) biphenyls
JPS6034542B2 (ja) * 1977-10-04 1985-08-09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新規イソチオシアン酸フエニルエステル類
US4216217A (en) * 1979-05-16 1980-08-05 Janssen Pharmaceutica N.V. Novel (1-arylcycloalkylmethyl) isothiocyanates
JPS582669B2 (ja) 1980-12-11 1983-01-18 植田製油株式会社 抗菌性のある芥子油乳化組成物
JPS5863348A (ja) 1981-10-12 1983-04-15 Toppan Printing Co Ltd 青果物の保存方法
JPS5916810A (ja) * 1982-07-21 1984-01-28 Showa Denko Kk 粉粒状の固体農薬組成物
US4440783A (en) * 1983-02-24 1984-04-03 Bernard Weiss Composition for repelling animals from garbage and the like
JPS61221101A (ja) * 1985-03-26 1986-10-01 Tokyo Organ Chem Ind Ltd 農園芸用施設の環境改善方法
JPS62166838A (ja) * 1986-01-17 1987-07-23 Norin Suisansyo Yasai Chiyagiyou Shikenjo イソチオシアネ−ト類及びその類縁化合物による青果物の鮮度保持法
JP2579755B2 (ja) * 1986-07-17 1997-02-1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新規懸濁性農薬製剤
US4780279A (en) * 1987-04-14 1988-10-25 Tolte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umigation and detoxification of plant seed
GB2206789A (en) * 1987-07-09 1989-01-18 Rentokil Ltd Fumig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2109962A (ja) * 1988-10-18 1990-04-23 Sekisui Jushi Co Ltd 揮発性植物抽出成分を用いた食品の保存方法
KR0153265B1 (ko) * 1989-04-07 1998-10-15 가와노 다께히꼬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발생시키는 재료,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사용하는 살균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961A (ko) 2017-09-11 2019-03-20 주식회사 엣지아이앤디 제스처 인식 기반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3030A (zh) 2001-09-19
EP0452512A1 (en) 1991-10-23
CN1054347A (zh) 1991-09-11
CN1253081C (zh) 2006-04-26
CN1084590C (zh) 2002-05-15
CN1046207C (zh) 1999-11-10
HK1022248A1 (en) 2000-08-04
CN1227714A (zh) 1999-09-08
CA2045486A1 (en) 1991-05-10
WO1991007093A1 (en) 1991-05-30
AU666802B2 (en) 1996-02-22
MY109112A (en) 1996-12-31
CN1127586A (zh) 1996-07-31
KR920700541A (ko) 1992-08-10
SG59952A1 (en) 1999-02-22
AU6635990A (en) 1991-06-13
AU5642294A (en) 1994-05-26
EP0452512A4 (en) 1992-11-04
NZ236018A (en) 199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46B1 (ko)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를 이용한 살균처리를 수반하는 식품의 가공방법
JP6935428B2 (ja) 活性成分の制御放出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207335C (zh) 湿度敏感性组合物
US5246663A (en) Isothiocyanate vapor-generating agent, germ-destroying treatment method using isothiocyanate vapors and apparatus therefor
CN108966639B (zh) 用于保存农产品的膜和方法
KR100840254B1 (ko) 기록물과 유물의 소독장치,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KR0159753B1 (ko) 식품의 신선도 보존방법 및 신선도 보존재
US5436268A (en) Processes including germ-destroying step, germicidal product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fumigant and fumigation method, as well as germicidal gas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03178902A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エステルの蒸気を用いる物品の殺菌処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イソチオシアン酸エステルの蒸気発生剤
KR0153265B1 (ko)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발생시키는 재료, 이소티오시안산 에스테르 증기를 사용하는 살균 방법 및 그 장치
JP3643846B2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エステルの蒸気を用いる殺菌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86446B1 (ko) 신선도 유지 조성물과 신선도 유지 조성물이 코팅된 골판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신선도 유지 조성물이 코팅된 골판지
AU2003237035B2 (en)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packaged agricultural food products
JP2864592B2 (ja) 殺菌及び鮮度保持効果を有する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容器を用いた物品の輸送方法
CN112969586A (zh) 保鲜膜及保鲜容器
CN1053330C (zh) 利用异硫氰酸酯蒸汽进行灭菌处理的方法
JPH03153607A (ja) くん蒸剤及びくん蒸方法
JPH03262453A (ja) オカラ粉末の利用
JPH05304886A (ja) キノコ類の保存方法
JPH03187370A (ja) 殺菌及び鮮度保持効果を有するガス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