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853B1 - 대화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대화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853B1
KR0149853B1 KR1019900003569A KR900003569A KR0149853B1 KR 0149853 B1 KR0149853 B1 KR 0149853B1 KR 1019900003569 A KR1019900003569 A KR 1019900003569A KR 900003569 A KR900003569 A KR 900003569A KR 0149853 B1 KR0149853 B1 KR 014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 beam
electron
deflect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44A (ko
Inventor
사또시 시마다
고지 간바야시
류이찌 가와까미
다께히사 나도리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6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67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73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21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74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2190A/ja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1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2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 H01J31/201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 H01J31/203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with more than one electr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2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the same beam for more than one primary colour information
    • H04N9/24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the same beam for more than one primary colour information using means, integral with, or external to, the tube, for producing signal indicating instantaneous beam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1/00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31/12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 H01J2231/12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 H01J2231/125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two or more neck portions containing one or more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화면표시장치
제1a도는 미합중국 특허출원에 제안된 공지의 표시소자의 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표시소자의 전면도.
제1c도는 제1b도에 도시된 전면의 일부 확대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공지의 대화면표시장치의 일부의 측단면도 및 전면도.
제3도는 제2b도의 대화면표시장치의 일부의 확대 전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면의 두 실시예의 일부의 수평 단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공지의 표시소자를 위한 각 수평 및 수직주사신호의 신호파형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전자빔주사패턴을 표시하는 표시면의 전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CRT 매트릭스형 비디오표시장치를 위한 전체 회로 구성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신호처리회로의 실제 회로구성의 블록회로도.
제9도는 제7도 및 제8도의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표시장치의 전면 개략도.
제10도는 제8도의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수평편향회로용 실제 회로 구성의 블록회로도.
제11a도 내지 제11h도는 제10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될 파형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CRT 매트릭스형 비디오표시장치를 위한 전체 회로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에 블록회로도.
제13도는 제12도의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신호처리회로를 위한 실제 회로구성을 표시하는 블록회로도.
제14도는 제12도 및 제13도의 회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체 표시장치의 전면도.
제15도는 제12도 및 제14도의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집광판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16a도 내지 제16g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될 파형도.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화상관이 X-Y 매트릭스형태로 구성된 대화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신호 등을 대화면표시하는 장치로서, 종래로부터 칼라음극선관 등의 표시장치를 복수개 상하·좌우로 조립하여 화상을 분할 표시하는 것, 또는 단색 또는 삼원색의 표시소자를 다수 매트릭스 배열하여 화소마다 표시를 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자는 음극선관의 조인트(연결부) 등의 비교시부가 흑선(검은선)으로 표시면내에 형성되어서 화상의 감상에 장애가 된다. 또한 후자는 표시소자의 형상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화소가 거칠어져서 가까운 거리에서의 감상이 양호하게 되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상술한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출원 소 63-331505호로 공동 출원중인 대화면표시소자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 앞서 제안된 대화면소자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여기에 설명한다.
제1a도는 대화면표시소자의 측단면도이고, 제1b도는 표시소자의 전면도이고, 제1c도는 제1b도의 표시소자의 일부의 확대 전면도이다. 제1a도에서, (1)은 관체를 표시하며, 이것은 유리로 된 전면파넬(2) 및 넥크부와 일체로 된 깔대기부(3)으로 형성된다.
제1b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전면파넬(2)은 그 내면에 복수조의 화소가 되는 짧은 줄형상의 형광표시부, 즉 도시된 이 예에서는 가로 8조 × 세로 8조의 합계 64조의 소위 형광체트리오(4)가 형성된다. 제1b도에 도시되고, 제1c도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형광체트리오(4)는 길이(L) 및 폭(W)을 가지는 청, 적, 녹의 발광형광체층(B),(R),(G)으로 구성되며, 표시면(5) 위에 소정의 피치(P)로, 또한 그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형광체층(B),(R),(G) 이외의 면에는 광흡수층이 형성된다.
관체의 전면파넬(2) 및 깔대기부(3)는 프리트유리를 사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이 예에서는 평면상 전면파넬(2)의 내면주변에 단차부를 설치하여, 이 단차부에 결합되도록 깔대기부(3)가 접합된다. 깔대기부가 전면파넬과 접합되는 부분의 외주면은 전면파넬의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형광체트리오(4)의 형성으로는 인쇄법 또는 슬러리법중의 어느 것으로도 된다.
또한, 전자총(6)으로서는 단일 전자빔(e)을 조사하는 전자총이 사용된다. 전자빔은 가령 스위칭에 의하여 삼원색의 영상신호로 순차변조되어, 각각 형광체트리오(4)의 각 청형광체층(B), 적형광체층(R) 및 녹형광체층(G)을 때리도록 편향요크(7)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주사된다. 빔형상은 형광체층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횡장빔형상(가령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예에서 전자빔의 주사는 형광체트리오(4)가 그 길이방향을 X 방향에 따르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주사방법, 즉 수평으로 주사시키면서 형광체층(B),(R),(G)을 때리는 방법이 아니고, 수직으로 주사시키면서 형광체층(B),(R),(G)을 때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와 같은 구성의 표시소자(8)를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2차원적으로 다수 배열함으로써,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인접하는 표시소자(8)간에 있어서도 형광체트리오(4)의 피치(P)가 일정한 대화면의 표시장치(9)가 구성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술한 표시소자(8)를 세로방향으로 30개, 가로방향으로 40개, 도합 1200개를 배열하여 대화면표시장치(9)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대화면표시장치(9)가 구성되며, 이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표시소자(8)를 사용함으로써 화소의 형상을 소형화 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의 감상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화소의 피치가 일정하여 비표시소자부에 의한 흑선 등이 형성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표시소자(8)를 사용함으로써, 적시거리에서 양호한 감상을 할 수 있는 범위(각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표시소자(8)에 있어서, 각 형광체층(B),(R),(G)의 앞에는 전면파넬(2)이 존재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각 표시소자(8)의 표시면(5)의 주위에는 파넬(2)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프레임이 설치된 것과 동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표시소자에서 많이 보이듯이 형광체트리오(4)를 그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에 따르도록 배열하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에서 표시면(5)을 보았을 경우에, 이 각도 (θ1)가 소정 이상이 되면 단부의 녹형광체층(G) 또는 청형광체층(B)이 프레임(FR)에 의하여 가려져서, 각각 녹 또는 청의 표시가 감쇠됨으로써, 각 단부에는 마젠타 또는 황색계의 색상이 편이된 줄이 형성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이 형광체트리오(4)의 길이방향이 수평방향에 따르도록 배열되면, 제4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각선 방향에서 보아도 단부의 화소에서 휘도가 다소 감소될 뿐으로, 색상의 변화 등의 현저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수평방향에서 보다 더 광범위(각도 θ2)에서 양호한 감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사용상황에서는 감상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넓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술한 표시소자(8) 및 그것을 사용한 대화면표시장치(9)는 여러가지 유효한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소자(8)에 있어서, 상술한 전자빔의 주사는 한 필드에 한번의 수평(면)주사와 8회의 수직(선)주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주사를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종래와 같은 톱니파로 행하면, 선주사의 회수가 8회로서 작으므로 면주사의 영향으로 주사선이 제6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약7도)하며, 주사선을 모든 형광층(B),(R),(G)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할 수 없으며, 표시의 휘도에 얼룩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도면중 실선은 주사기간이고, 파선은 귀선기간이다.
이에 비하여, 주사를 하기 위한 편향요크를 경사시켜 설치하여서 제6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사선이 모든 형광체층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방향에서 표시면(5)의 형상에 맞는 주사를 하기 위하여서는 주사선마다 주사폭이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하는 극히 복잡한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소자(8)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빔(e)은 가령 횡장의 단일 전자빔이다. 따라서, 상술한 형광체트리오(4)의 각색 형광체층(B),(R),(G)을 각각에 대응하는 각 색의 영상신호로 때리기 위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령 스위칭에 의하여 전자빔을 변조하는 영상신호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에 소위 인덱스 방식의 음극선관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통상의 음극선관에서는 표시면의 주위에 비표시부가 있으며, 그 부분에 소위 라인용 인덱스를 설치하여 표시면의 말단부에서 전환이 안정적으로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상술한 표시소자(8)는 표시면(5)의 주위의 비표시부가 좁고, 형광체트리오(4)의 배열피치(P)의 1/2 이하이기 때문에 라인용 인덱스를 설치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전자빔을 예를들면 3빔으로 하여, 소위 새도우마스크나 애피쳐그릴을 설치하는 것은 복잡한 구성을 요하며, 표시소자(8)의 소형화 등의 면에서 부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결점을 제거한 향상된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의 불규칙성이 없는 우수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간소화 된 구성을 가지는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의하면, X-Y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복수의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색화소소자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작동 가능한 전자총과, 복수의 상기 원색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전자총에 공급하도록 접속된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신호발생기와, 제2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과, 상기 전자빔이 상기 원색화소소자중의 대응하는 것을 때리도록 상기 전자빔의 위치와 동기하여 상기 전자빔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의하면,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 위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상기 복수의 화상관의 전자총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상기 전자빔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관에 의하여 형성된 대화면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광검지장비와,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의하여 기억된 상기 위치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화소소자 위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신호발생기와, 제2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상에 의하면,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의 상기 소정 피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위의 소정 피치로 상기 색화소소자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인덱스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 및 상기 인덱스소자 위에 상기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상기 복수의 화상관의 상기 전자총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한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발생기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과, 대응하는 원색화소소자가 충돌되도록 상기 광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위치데이터와 동기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상기 인덱스소자의 위치데이터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가진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백해질 것이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유사한 부품을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7도는 신호계의 전체의 회로구성을 표시한다. 제7도에 있어서, 안테나(11)로부터의 신호는 튜니(12)에 공급되어 소망하는 텔레비전신호가 수신되며, 이 수신신호는 검파회로(13)에 공급되어 복합영상신호가 복조된다. 이 복조신호는 입력선택스위치(14)의 한쪽 고정접점(14a)에 공급된다. 영상입력단자(15)에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는 스위치의 타고정접점(14b)에 공급되며, 이 스위치(14)에서 선택된 신호는 색복조회로(16)에 공급되어서, 청(B), 적(R), 녹(G)의 삼원색신호가 나온다.
한편, 스위치(14)로부터의 신호는 동기(SYNC)분리회로(17)에 공급되어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가 분리되며, 이들 동기신호는 타이밍제어회로(18)에 공급된다. 이 제어회로(18)에서 먼저 수평의 유효화면기간을 예를들면 320등분한 샘플링신호(Sp)가 형성되며, 이 신호(Sp)는 3계통의 A/D 변환기(19B),(19R),(19G)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신호(Sp)와 제어회로(18)로부터의 유효화면의 상단에 상당하는 스타트신호(Ss)가 기입어드레스발생회로(21)에 공급되며, 이 회로(21)에서 발생된 기입어드레스는 메모리(20B),(20R),(20G)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한필드의 기간에 그 필드를 구성하는 예를들면, 320×240(수평주사선수)=76,800개의 영상신호데이터가 각 원색별로 메모리(20B),(20R),(20G)에 기입된다.
이 데이터가 기입된 메모리(20B),(20R),(20G)에 대하여, 상술한 제어회로(18)로부터의 임의의 클록신호가 독출어드레스발생회로(22)에 공급되며, 이 회로(22)에서 발생된 독출어드레스가 메모리(20B),(20R),(20G)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독출된 신호데이터는 각각 데이터버스(23B),(23R),(23G)에 공급된다. 또한, 발생회로(22)로부터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버스(24)에 공급된다.
또한, 각 버스(23B),(23R),(23G) 및 (24)에 대하여 상술한 1200개의 표시소자(81),(82), ..... , (81200)마다에 설치되는 신호처리회로(251),(252), ..... (251200)가 접속된다.
신호처리회로(25)중의 임의의 하나에 대한 구성이 제8도에 도시된다.
제8도에 있어서, 데이터버스(23B),(23R),(23G)의 데이터 및 버스(24)의 어드레스는 하나의 표시소자(8)에 상당하는 각각 64데이터분의 메모리(51B),(51R),(51G)에 공급되는 동시에, 어드레스의 일부는 디코더(52)에 공급되며, 필요한 데이터의 어드레스시에만 발생되는 신호가 메모리(51B),(51R),(51G)의 이네이블단자(EN)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대응하는 표시소자(8)에 표시되는 64×3 원색의 데이터가 메모리(51B),(51R),(51G)에 기입된다.
상술한 타이밍회로(18)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에 대응하는 동기신호(Sf)가 각 처리회로(25)마다에 설치된 개별 타이밍제어회로(53)에 공급된다.
상술한 데이터가 기입된 메모리(51B),(51R),(51G)에 대하여 제어회로 예를들면 수직동기신호(Sf)의 간격을 64등분한 타이밍신호(St)가 형성되며, 이 신호(St)는 독출어드레스발생회로(54)에 공급되며, 이 회로(54)에서 발생된 독출어드레스는 메모리(51B),(51R),(51G)에 공급된다. 도한 신호(St)는 3계통의 D/A 변환기(55B),(55R),(55G)에 공통으로 공급되며, 이 D/A 변환기(55B),(55R),(55G)에 각각 메모리(51B),(51R),(51G)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공급된다.
따라서, D/A 변환기(55B),(55R),(55G)로부터는 신호(St)의 타이밍마다에 64개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아날로그화되어서 나온다. 또한, 독출의 순서는 표시면(5)에 표시되는 화소의 좌단열로부터 순차로 위로부터 아래로 독출되며, 이 열이 순차적으로 좌로부터 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들의 D/A 변환기로부터의 신호는 각각 선택스위치(56B),(56R),(56G)에 공급된다.
한편, 후술하는 분주회로(100)에서 각 형광층의 색별로 대응하는 선택신호(Sb, Sr, Sg)가 형성되며, 이들 신호(Sb, Sr, Sg)로 스위치(56B),(56R),(56G)가 제어된다. 이들 스위치(56B),(56R),(56G)에서 선택된 신호는 혼합되어, 구동증폭기(58)를 통하여 표시소자(8)의 전자총(6)에 공급된다. 또한, 전압원(101)으로부터의 소정의 전위가 스위치(102)를 통하여 증폭기(58)에 공급되며, 이 증폭기(58)를 통해서 표시소자(8)의 전자총(6)에 공급된다.
또한, 상술한 제어회로(53)로부터의 신호(Sf)와 동등한 신호와, 이 신호(Sf)를 16배 한 신호(Sl)가 형성되며, 이 신호(Sl)가 수직편향회로(59V)에 공급되어서 이 신호(Sl)에 동조한 톱니파(Swl)가 형성된다. 이 톱니파(Swl)는 표시소자(8)의 편향요크(7)의 수직코일에 공급된다. 또한, 신호(Sf) 및 (Sl)이 수평편향회로(59H)에 공급되어서 이들 신호(Sf 및 Sl)에 동조한 스텝편향파형(Stf)이 형성되며, 이 파형(Stf)의 신호는 편향요크(7)의 수평코일에 공급된다.
표시면(5)의 이면(즉, 전자총(6)의 면)에는 예를들면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선으로 표시한 원색소자의 조(형광체트리오(4))사이에 또한, 주사방향으로 실선으로 표시한 인덱스소자(I)가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신호(Sf) 및 이것을 16배 한 신호(Sl)로 형성되는 편향파형에 의하여 단일전자빔(e)이 도면중 실선 및 쇄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주사된다.
즉, 최초에 좌측의 엔덱스소자(I)의 부분이 주사되고 ①,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좌단의 형광체트리오(4)의 부분이 주사 ② 된다. 다시, 최초와 같은 인덱스소자(I)의 부분이 주사 ③되며, 좌로부터 두번째의 형광체트리오(4)의 부분이 주사 ④ 되며, 이하 인덱스소자(I)의 부분과 형광체트리오(4)의 부분이 교호로 주사 ⑤, ⑥ ..... 된다.
이 주사에 의하여 생기는 인덱스소자(I)의 발광이 표시소자(8)의 깔대기부(3)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8도에 도시된 집광판(91)에 집합되며, 집합된 광은 검지기(92)에 공급된다. 이 검지기(92)로부터의 신호는 노이즈제거용 밴드패스필터(93) 및 증폭기(94)를 통하여 레벨검출기(95)에 공급되며, 인덱스소자(I)가 발광된 타이밍의 신호(ID)가 나온다. 이 신호(ID)는 스위치(96)를 통하여 메모리(97)에 공급된다. 또한, 스위치(96) 및 상술한 스위치(102)는 인덱스소자(I)의 주사기간에 대응하는 신호(Sx)로 ON 된다.
한편, 타이밍제어회로(53)로부터의 신호(Sf)가 상폐쇄루프 PLL(98)에 공급되어서, 신호(Sf)에 동기된 예를들면 25 kHz정도의 클록신호가 형성되며, 이 클록신호가 카운터(99)의 계수입력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회로(53)로부터의 신호(Sl)가 카운터(99)의 상위의 계수입력에 공급되며, 또한 신호(Sl)가 카운터(99)의 리셋단자(R)에 공급된다. 이 카운터(99)의 계수출력이 메모리(97)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카운터(99)로부터는 전자빔(e)의 주사에 대응하는 계수치가 나오며, 인덱스소자(I)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ID)에 의하여 위치정보로서 메모리(97)에 기입된다. 또한, 신호(Sx)이외의 기간에 있어서는 똑같이 카운터(99)가 구동되며, 이 계수치에 따라서 상술한 주사정보가 독출되며, 이 주사정보가 3분주회로(100)에 공급되어서, 인덱스소자(I)와 동등한 위치에 설치된 형광체층(B),(R),(G)의 주사위치에 따르는 선택신호(Sb, Sr, Sg)가 형성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장치에 의하면 원색소자의 조(4)의 사이에 또한 주사방향으로 인덱스소자(I)가 배치되며, 적어도 주사개시시에 이 인덱스소자(I)가 주사되어서 그 위치정보가 메모리(97)에 기입되며, 이 메모리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화상신호의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스텝편향파형(STf)을 형성하는 수평편향회로(59H)는 구체적으로 제10도에 도시한 것 같이 구성된다.
제10도에 있어서, 제11a도, 제11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호(Sl, Sf)가 제10도에 도시된 수평편향회로(59H)의 신호발생회로(71)에 공급된다. 또한, 신호(Sl)는 상술한 제8도의 수직편향회로(59V)에도 공급되며, 이 회로(59V)에서는 제11c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톱니파(SWl)가 형성되어서 편향요크(7)의 수직편향코일에 공급된다.
제10도를 다시 보면, 신호발생회로(71)로부터는 제11d도 내지 제11g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신호(Ø0- Ø3)가 발생되며, 이들 신호(Ø0- Ø3)가 멀티플렉서(72) 및 (73)에 공급된다. 이 멀티플렉서(72)에는 16개의 위치조정레벨(74)이 설치되며, 상술한 신호(Ø0- Ø3)에 의하여 선택된 레벨의 전압이 멀티플렉서(72)로부터 나오며, 버퍼회로(75)를 통하여 전치증폭기(76)에 공급된다.
또한, 멀티플렉서(73)에는 16개의 경사조정레벨(77)이 설치되며, 상술한 신호(Ø0- Ø3)에 의하여 선택된 레벨의 전압이 멀티플렉서(73)로부터 도출된다. 이 취출된 전압이 레벨조정회로(78)를 통하여 적분회로(79)에 공급되는 동시에, 신호(Sl)가 버퍼회로(80)를 통하여 적분기(79)의 리셋수단(81)에 공급되며, 이 적분기(79)의 출력이 전치증폭기(76)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전치증폭기(76)로부터는 제11h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레벨(74)로 각 스텝의 시단의 높이가 정해지며, 레벨(77)에서 스텝의 경사가 정해진 스텝편향파형이 출력되며, 출력회로(82)를 통하여 편향요크(7)의 수평편향코일(83)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회로에 의하면 상술한 인덱스소자(I)와 형광체트리오(4)를 교호로 주사하는 편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회로에 의하면, 다른 방향의 편향파형을 스텝편향파형으로 함으로써 주사선의 경사를 제거하며, 주사선을 모든 형광체층의 중심에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휘도의 불균일 등이 없는 양호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레벨(74, 77)의 조정은 각 표시소자(8)마다 실제로 표시하여, 주사선을 눈으로 보면서 조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이때, 주사선의 경사의 조정(보정)도 함으로써 표시소자(8) 마다의 불균일 등에 의한 변동도 제거할 수 있다.
회로구성의 제2예가 제12도에 도시되며, 본 발명의 전체 회로를 표시한다. 제12도에서 제7도에 해당하는 회로 및/또는 블록소자는 당해 특성으로 표시되며, 따라서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제12도의 실시예에서, 대화면의 앞측은 화면셀(81, 82, ..... 81200)에 의하여 형성되며, 광검지장비(90)가 대화면의 앞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광검지장비(90)는 표시셀(8)의 하나의 표시면(5)을 피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집광판(91)으로 설치된다. 집광판(91)에 의한 표시면(5)으로부터의 집광은 검지기(92)에 공급되어서, 노이즈제거용 밴드패스필터(93) 및 증폭기(94)를 통하여 레벨검출기(95)에 공급되는 신호를 형성한다. 레벨검출기(95)는 형광체층(B),(R),(G)의 발광된 타이밍의 신호(ID)를 도출한다. 광검지장비(90)의 슬라이드가능 설치는 후술한다.
화상재생 이전에 타이밍제어회로(18)로부터 임의의 조정모드를 표시하는 신호(Tx)가 출력되면, 이 신호(Tx)가 각 신호처리회로(251),(252), ...., (251200)에 공급되어서 표시소자(81),(82), ....., (81200)에서 전면 백의 표시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서 검지된 신호(ID)가 각 신호처리회로(251),(252), ....., (251200)에 공급된다. 이와 더불어 광검지장비(90)이 슬라이드위치정보가 코드화되어서 버스 라인(24P)을 통하여 어드레스버스(24)에 공급된다.
제12도의 신처리회로(25)의 하나가 제13도의 회로도에 상세히 표시된다. 제13도에 있어서, 제8도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회로 및 블록소자는 대응하는 참조특성을 표시하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제8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의 주된 차이의 초점은 무엇보다도 제12도 및 제13도에 사용된 표시장치가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덱스소자로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 경우의 신호(Sl)가 16 대신에 8에 의한 주파수로 신호(Sf)를 체배시킴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조정모드에서 다음 차이는 최대 휘도 레벨을 표시하는 데이터가 예를들면 메모리(51B),(51R),(51G)의 모든 어드레스에 기입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조정모드를 표시하는 신호(Tx)가 타이밍제어회로(53)에 공급되면, 타이밍제어회로(53)는 슬라이드위치가 대응라는 표시소자(8)의 위치와 일치할 때를 증명하며, 타이밍제어회로(53)는 조정모드를 표시하는 내부신호(Sx)를 발생한다. 신호(Sx)는 OR회로(101B),(101R),(101G)에 의하여 신호(SB),(SR),(SG)와 혼합되며, 결국 스위치(56B),(56R),(56G)는 신호(Sx)에 의하여 동시에 ON 또는 OFF 로 된다.
조정모드기간에는, 스위치(56B),(56R),(56G)가 동시에 ON되며, 표시면(5)의 전체 표면은 메모리(51B),(51R),(51G)에 기입된 최대 휘도데이터에 의하여 주사됨으로써 모든 형광체층(B),(R),(G)은 최대 휘도로 발광되도록 구동된다. 이 결과 모든 화면이 백으로 표시된다.
형광체층(B),(R),(G)로부터의 발광은 광검지장비(90)에 의하여 검지되어서 신호(ID)을 발생한다. 이 신호(ID)는 스위치(96)를)통하여 메모리(97)에 공급되는 동시에, 이 스위치(96)가 신호(Sx)에 의하여 ON 된다.
타이밍회로(53)로부터의 신호(Sf)가 PLL (98)에 공급되어서 신호(Sf)에 동기된 예를들면 25 kHz 정도의 클록신호가 형성되고, 이 클록신호가 카운터(99)의 계수입력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회로(53)로부터의 신호(Sl)가 카운터(99)의 상위의 계수입력에 공급되어서, 다시 신호(Sf)가 카운터(99)의 리셋단자에 공급된다. 이 카운터(99)의 계수출력이 메모리(97)에 공급된다. 또한, 이 신호(Sf)는 카운터(99)의 리셋단자(R)에 공급된다. 카운터(99)는 메모리(97)에 공급되는 계수출력을 발생한다. 카운터(99)로부터의 계수출력신호의 계수치는 전자빔(e)의 주사에 따라서 형광체(B),(R),(G)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ID)에 의하여 대응하며, 위치정보는 주사정보로서 메모리(97)에 기억된다.
조정모드 이외의 기간중에는 조정모드시와 같이 카운터(99)가 구동되며, 이 계수치에 따라서 상술한 주사정보가 독출되고, 이 주사정보가 3분주회로(100)에 공급되어서, 조정모드에서 래치된 형광체층(B),(R),(G)의 주사위치에 따른 선택신호(Sb),(Sr),(Sg)가 형성된다.
제14도에는 제12도 및 제13도의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의 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8)가 복수개 조합된 표시면의 상하 레일(110)이 설치되고, 이들 레일(110)에 지지된 이동체(111)가 설치되며, 이 이동체(111)가 좌우로 이동되는 동시에, 이 이동체(111)에 광검지장치(9)가 설치된 곤돌라(112)가 설치되며, 이 곤돌라(112)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서, 광검지장비(90)에 의하여 각 표시소자(8)마다 신호(ID)가 검출되는 동시에, 이동체(111) 및 곤돌라(112)의 이동수단에 설치된 로터리엔코더 등에 의하여 슬라이드위치정보가 형성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의하면, 위치정보가 광검지장비에서 검지되어 메모리에 래치됨으로써, 이 메모리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화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표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광검지장비(90)의 집광판(91)은 유황시약이 예를들면 아크릴수지에 혼합되어서 판으로서 성형된 시판되는 집광판을 이용한 것이다. 또는, 제1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층(120, 121)은 집광판(91)의 이면 전체가 형광체층(B),(R),(G)을 면하는 곳 이외의 표면부분 위에 형성됨으로써 검출효율이 향상된다. 녹색유황줄로부터의 광선은 집광판(91)으로 들어가서 광검출기(92)로 반사되며,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전면 백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51G)에 기입하는 경우에는 A/D 변환기회로(19B)에 백레벨의 신호를 공급하든가, 데이터버스(23G)에 최고 휘도의 데이터를 공급하여 행할 수 있다. 또는, 구동증폭기(58)의 입력측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신호(Sx)의 기간에 이 스위치를 개재하여 백레벨의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술한 장치는 스텝파 편향파형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편향회로(59H)를 가지며, 수평편향회로(59H)는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16a도 내지 제16g도에 도시된 것과 제11a도 내지 제11g도에 도시된 각 파형의 비교에 의하여, 제13도의 회로와 같이, 16 대신에 8에 의하여 신호(Sf)를 승하므로 이 신호(Sl)가 결과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결국, 제10도의 회로에 있어서, 신호발생회로(71)는 제16d도, 제16e도 및 제16f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파형을 가지는 신호(Ø1내지 Ø3)을 발생한다. 타이밍신호(Ø1내지 Ø3)는 멀티플렉서(72, 73)로부터 형성된다. 멀티플렉서(72)는 8개의 위치조정레벨(74)이 배설되며, 전압레벨은 멀티플렉서(72)로부터 형성된 것과 같은 상술한 신호(Ø1내지 Ø3)을 위하여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72)로부터의 신호는 버퍼회로(75)를 통하여 전치증폭기(76)에 공급된다.
또한, 멀티플렉서(73)는 8개의 경사레벨(77)이 배설되어서 상술한 신호(Ø1내지 Ø3)에 의하여 선택된 전압레벨이 멀티플렉서(73)으로부터 도출된다. 얻어진 전압은 레벨조정회로(78)를 통하여 적분기(79)에 공급되며, 적분기의 출력은 전치증폭기(76)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신호(S)는 버퍼회로(80)를 통하여 리셋수단에 또는 적분기회로(79)의 트랜지스터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전치증폭기(76)는 스텝 편향파형을 도출하여, 각 스텝의 개시단부의 높이가 레벨(74)에 의하여 결정되며, 각 스텝의 경사가 레벨(77)에 의하여 결정된다. 스텝편향파형신호는 출력회로(82)를 통하여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83)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방향을 위한 편향파형이 스텝편향파형으로서 형성됨으로써 주사선의 경사가 제거된다. 따라서, 모든 주사선이 형광체층(B),(R),(G)의 중심을 주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휘도의 불규칙성이 없는 만족스러운 표시를 제공한다.
또한, 인덱스소자(I)가 원색소자(4)의 조들간에 그리고 주사방향으로 위치된 예에서, 적어도 주사가 시작될 때 인덱스(I)가 주사되어 위치정보가 메모리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영상신호는 이 위치정보에 따라서 처리될 수 있으며, 단순한 장치로 만족스러운 표시를 결과한다.
또한, 위치정보가 광검지장비에 의하여 검지되어서 메모리에 기억되는 예에는, 영상신호는 메모리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처리되어서 단순화 된 장치에 의하여 만족스러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0)

  1. X-Y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복수의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색화소소자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작동 가능한 전자총과, 복수의 상기 원색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전자총에 공급하도록 접속된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신호발생기와, 제2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과, 상기 전자빔이 상기 원색화소소자중의 대응하는 것을 때리도록 상기 전자빔의 위치와 동기하여 상기 전자빔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발생기는 상기 줄형상의 색화소소자의 대략 중앙부분을 상기 전자빔이 횡단하도록 하는 스텝파 신호용 파형조정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수직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수평방향에 해당하는 대화면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수단은 상기 전자빔의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광감지수단과, 상기 광감지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의하여 기억된 상기 위치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수단은 상기 전자빔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전자빔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면에 의하여 형성된 대화면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광검출장비와, 상기 광검출장비에 의해 얻어진 상기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기억된 상기 위치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6.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 위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상기 복수의 화상관의 전자총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과, 상기 전자빔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관에 의하여 형성된 대화면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광검지장비와,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의하여 기억된 상기 위치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가진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7.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화소소자 위에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제1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신호발생기와, 제2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소자는 그 경선(經線)이 수평으로 배열된 대화면표시장치.
  9. 대화면을 형성하도록 X-Y 매트릭스로 배열되고, 각각 화면을 가지는 복수의 화상관과, 상기 화면 위에 소정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이한 원색소자를 가지는 복수의 줄형상의 자기발광색화소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의 상기 소정 피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위의 소정 피치로 상기 색화소소자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인덱스소자와, 상기 색화소소자 및 상기 인덱스소자 위에 상기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화상관의 각각에 설치된 전자총과, 상기 복수의 화상관의 상기 전자총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원색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화상관의 각각의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으로서, 한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톱니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1발생기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스텝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된 제2신호발생기를 가진 편향수단과, 대응하는 원색화소소자가 충돌되도록 상기 광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위치데이터와 동기하여 상기 전자총에 상기 원색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상기 인덱스소자의 위치데이터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광검출기를 가진 인덱스수단을 구비한 대화면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소자는 임의의 인접하는 두 화상관사이의 경계 주변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색화소소자간에 배열되고, 상기 제2신호발생기는 상기 다른 방향으로 매주사주기의 개시에 보저오딘 스텝파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보정된 스텝파신호가 1차로 상기 전자빔이 제1라인업 인덱스소자를 주사하도록 하고, 2차로 상기 전자빔을 제1라인업 색화면소자에 되돌아가도록 하고, 3차로 상기 전자빔이 다시 되돌아가서 상기 제1라인업 인덱스소자를 주사하도록 한 대화면표시장치.
KR1019900003569A 1989-03-17 1990-03-17 대화면표시장치 KR0149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6985A JP2926738B2 (ja) 1989-03-17 1989-03-17 大画面表示素子用偏向回路
JP1-66985 1989-03-17
JP89-66985 1989-03-17
JP89-82731 1989-03-31
JP89-82740 1989-03-31
JP8273189A JPH02262189A (ja) 1989-03-31 1989-03-31 大画面表示装置
JP8274089A JPH02262190A (ja) 1989-03-31 1989-03-31 大画面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44A KR900015544A (ko) 1990-10-27
KR0149853B1 true KR0149853B1 (ko) 1999-05-01

Family

ID=2729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69A KR0149853B1 (ko) 1989-03-17 1990-03-17 대화면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8435A (ko)
EP (1) EP0387911B1 (ko)
KR (1) KR0149853B1 (ko)
AU (1) AU626195B2 (ko)
DE (1) DE690292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4839B (en) * 1996-08-08 1998-11-11 Toshiba Co Ltd Cathode ray tube
KR100289159B1 (ko) * 1999-04-06 2001-04-16 김순택 빔 인덱스 칼라음극선관
US6908784B1 (en) * 2002-03-06 2005-06-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abricating encapsulated semiconductor components
FR2838272B1 (fr) * 2002-04-09 2004-07-16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rrection de rotation d'un affichage vide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7836T1 (de) * 1981-02-10 1983-04-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Bildwiedergabegeraet.
US4368485A (en) * 1981-04-13 1983-01-11 Zenith Radio Corporation Billboard large screen TV
JPS5949087A (ja) * 1982-09-13 1984-03-21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761641A (en) * 1983-01-21 1988-08-02 Vidcom Rentservice B.V. Information display system
FR2549671B1 (fr) * 1983-07-22 1987-05-22 Thomson Csf Dispositif d'affichage d'une image de television de grandes dimensions et recepteur de televis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JPS61177078A (ja) * 1985-01-31 1986-08-0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EP0246339B1 (de) * 1986-05-17 1990-08-16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Digitales Schaltungssystem für (Farb)fernsehempfänger mit Kathodenstrahlbildröhren
US4658288A (en) * 1986-08-06 1987-04-1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Beam index system with switchable memories
JPS63129795A (ja) * 1986-11-19 1988-06-02 Sony Corp カラ−デイスプレイ装置
DE3881747T2 (de) * 1987-04-24 1993-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steuerungsverfahren zur Synchronisierung der Abtastung und der Modulation einer flachgestalteten Kathodenstrahlröhre.
DE68921592T2 (de) * 1988-12-29 1995-10-19 Sony Corp Wiedergabevorrichtung.
US5010413A (en) * 1989-10-10 1991-04-23 Imtech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larged image on multiple monitors to form a composit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38435A (en) 1992-08-11
EP0387911A3 (en) 1992-10-14
EP0387911B1 (en) 1996-11-27
AU5143590A (en) 1990-09-20
KR900015544A (ko) 1990-10-27
DE69029213D1 (de) 1997-01-09
AU626195B2 (en) 1992-07-23
EP0387911A2 (en) 1990-09-19
DE69029213T2 (de) 199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962B1 (ko) 표시 장치
EP022642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734583A1 (en) Multi-mode, hybrid-type crt and electron gun therefor
KR0149853B1 (ko) 대화면표시장치
US69064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 beams from field emission cathodes
KR20020021066A (ko) 음극선관 및 휘도 제어 방법
JP2926738B2 (ja) 大画面表示素子用偏向回路
US4794449A (en) Electron multiplier flat CRT display apparatus providing successive color scanning lines for each scanning line of a received color video signal
JPH0537877A (ja) インデツクス管
JPH0537945A (ja) インデツクス管
JPH0453067B2 (ko)
JPH0537878A (ja) 表示装置
JPS5989093A (ja) 薄形カラ−画像表示装置
JPH0135463B2 (ko)
US6377003B1 (en) Multi-beam group electron gun for beam index CRT
JPS59180942A (ja) 扁平ブラウン管
JPH0537879A (ja) 表示装置
JP2518094B2 (ja) コンバ―ゼンス調整回路
JPH02262190A (ja) 大画面表示装置
JPH01276548A (ja) 画像表示装置
JPH02259691A (ja) 大画面表示装置
JPH02262189A (ja) 大画面表示装置
JPH07169420A (ja) インデックス方式カラー受像管
JPH1145066A (ja) フィールド順次式陰極線管
JPS60235334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