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063B1 -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 Google Patents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63B1
KR0149063B1 KR1019940025039A KR19940025039A KR0149063B1 KR 0149063 B1 KR0149063 B1 KR 0149063B1 KR 1019940025039 A KR1019940025039 A KR 1019940025039A KR 19940025039 A KR19940025039 A KR 19940025039A KR 0149063 B1 KR0149063 B1 KR 014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inese character
correction
languag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51A (ko
Inventor
장중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5001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읽기입력을 연속적으로 한자로 변환하는 한자입력시스템의 한자변환정정 처리방식에 관한 것이며, 정정처리 대상의 언어단위를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정처리 나아가서는 한자입력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읽기입력을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를 사용하여 한자로 변환하는 한자변환부(1) 및 변환결과를 격납하는 문서기억부(2), 디스플레이(3)를 갖는 한자입력시스템을 전제로 하고, 한자변환부(1)가 읽기를 분할하여 얻은 개개의 언어단위에 대해서, 각 언어단위를 대표하는 특징, 예를 들면, 언어단위의 선두의 문자의 읽기나 액센트, 한자의 부수명을 제어기호로 하여 생성하는 제어기호부가부(5)와, 생성된 제어기호를 격납하는 제어기호기억수단(6), 한자변환결과와 제어기호를 쌍으로 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7), 이 제어기호와 정정내용을 나타내는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정정대상의 언어단위 및 정정내용을 입력하는 정정입력수단(8), 정정입력을 받아서,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확정하고, 한자변환부(1)에 정정내용에 대응하는 정정처리를 실행시키는 정정처리수단(9)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
제2도는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제3도는 일실시예의 제어기호 부가부의 동작 플로우차트(각 언어기호의 최초의 문자의 읽음을 제어기호로 하는 경우).
제4도는 일실시예의 표시처리부의 동작 플로우차트.
제5도는 중국어 한자입력에 있어서의 처리예.
제6도는 일실시예의 정정처리부의 동작 플로우차트.
제7도는 일본어 입력에 있어서의 처리예의 설명도.
제8도는 종래의 한자입력 정정방법의 설명도.
본 발명은 한자입력처리에 있어서의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에 관한 것이며, 더상세하게는 연문절한자변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입력을 수정처리에 요하는 키의 터치수를 삭감함으로써 능률좋게 행하는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일본어, 중국어등의 2바이트 문자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가 보급되어 이들 정보처리산업의 발전은 현저하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한자 등의 2바이트문자를 효율좋게 입력하는 처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어에서는 종래 읽기를 입력하고, 그 읽기를 한자로 변환하는 가나한자변환이 사용되고 있었다. 즉, 「かんじ」로 키입력하고, 이것을 한자로 변환하는 키를 누름으로서 「漢字」 또는 「幹事」라는 한자를 얻게 된다. 「漢字」「幹事조」라는 동음이의어에 대해서는 변환키를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다음 후보를 얻거나 표시된 복수의 후보중에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입력단위로서는 「ぎじゅつ」와 같은 단어단위의 입력을 한자 「技術」로 변환하는 단어변환, 「ぎじゅつを」라는 문절단위의 입력을 한자 「技術を」로 변환하는 문절변환, 「ぎじゅつをせつめいする」라는 복수의 문절이 연속된 것을 한자 「技術を說明する」로 변환하는 연물절변환등이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문절변환 또는 연문절변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문장의 입력 중에는 빈번하게 수정의 필요가 생긴다. 연문절변환의 처리중에 수정이 필요하게 된 경우의 종래의 조작방법을 다음에 설명하겠다.
제8도는 종래의 한자입력 정정방법의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예로서, 사용자가 먼저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라고 가다가나로 입력한 것을 연문절변환하고, 그 후에 「技術」과 「說明」의 사이에 「の」를 삽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겠다. 동도면 중의 「_」는 커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동도면(a)와 같이 사용자가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로 가다가나로 입력하여 변환키를 누른다. 그 결과 동도면(b)와 같이 「從來の技術說明」이라는 한자와 가나의 혼합글을 얻게 된다. 이때 커서는 「從來の技術說明」이라는 글의 다음에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技術」과 「說明」사이에 「の」를 삽입하고자 생각하였다고 하자. 그를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취소』키를 누르고, 커서를 맨처음으로 되돌린다(동도면(c)). 다음에 탭(tab) 키를 눌러서 커서를 다음 문절단위로 갖고 간다(동도면(d)). 이에 의해서 「從來の」의 부분의 정정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또 『탭』키를 눌러 커서를 다음 문절단위로 가져간다(동도면(e)). 이에 의해서 「技術」의 부분이 정정대상으로 된다.
다음에 『취소』키를 눌러 읽고 「ぎじゅつ」로 되돌린다(동도면(f)). 이때 커서는 「ぎ」의 부분에 있다. 그래서 『커서』키를 눌러서 커서를 『說』의 부분까지 가져간다. 그리고 『삽입』키를 눌러서 「の」를 삽입하고(동도면(g)), 『변환』키를 눌러서, 「ぎじゅつの」의 문절을 한자로 변환한다(동도면(h)). 그리고 『탭』키로 커서를 끝으로 가져가서 (동도면(i)), 이 글의 입력정정을 종료한다.
이상의 종래의 방법에서는 「從來の技術說明」라는 글의 문절 사이에 「の」를 삽입하는 정정처리(동도면(c)∼(i)에 『취소』키, 『탭』키, 『커서』키, 『삽입』키를 합하여 9회 누르게 된다. 그리고 정정대상을 특정하기 위해서 그 중의 4회를 요한다.
한편, 「從來の技術說明」의 「技術」의 부분을 예를들면 「內容」으로 바꾸도록 하는 정정이면, 「ぎじゅつ」와 「ないよう」의 문자수가 똑같으므로, 『삽입』키, 『커서』키를 누를 필요없이 정정에 요하는 기능키 누름회수는 7회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특별히 간단한 정정의 경우이고, 원래의 가나문자수와 수정내용의 가나문자수가 틀린 경우에는 더 기능키를 누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한자로 변환한 후에 정정하기 위해서 기능키나 커서이동키를 다수회 눌러야 하므로, 키의 터치수가 많아져서 입력처리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한자변환 후에 정정할 경우에는 먼저 수정할 개소를 지정하기 위해서 기능키를 복수회 누르고, 수정내용의 입력에도 여러번 기능키나 커서이동키를 누르고, 또 수정후에도 커서를 다음의 입력위치에 가져가기 위해서 기능키를 누르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키의 터치수가 많아져 입력처리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 기능키나 커서이동키는 통상의 문자입력키의 주위에 위치하여 문자키보다도 누르기가 어려워 위치를 확인하면서 눌러야 하므로, 입력처리속도가 더 떨어지게 되는 요인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일본어나 중국어의 입력처리에 있어서, 정정처리등의 처리대상의 지정에 커서이동키 등을 사용하지 않고, 한자입력 정정처리를 행하여 입력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를 제1도에 나타냈다. 본 발명은 읽기를 한자로 변환하는 사전이나 문법을 축적한 사전·문법데이타 베이스(4)와 연속하여 입력되는 읽기 입력을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를 사용하여 한자로 변환하는 한자변환부(1)와 한자로변환된 글을 언어단위마다 기억하는 문서기억부(2), 문서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글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를 전제로 한다.
먼저, 제어기호부가수단(5)은 상기 한자변환부(1)가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를 사용하여 한자로 변환된 언어단위마다 제어기호를 생성한다. 언어단위는 단어 또는 문절등의 글을 분할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제어기호로서는 언어단위의 선두 또는 말미의 읽기나 액센트의 종류, 한자의 부수명, 획수, 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의 한자수를 사용한다.
제어기호기억수단(6)은 상기 제어기호부가수단(5)이 생성한 제어기호를 문서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문서의 언어단위에 대등시켜 제어기호를 격납한다.
또, 표시수단(7)은 문서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문서를 표시하는데 더하여 이 문서의 언어단위마다 상기 제어기호기억수단(6)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기호를 표시한다.
다음에 정정입력수단(8)은 정정하고자 하는 언어단위의 제어기호와 정정의 내용을 나타낸 기능키를 조로 하여 사용자가 입력시킨다. 기능키로 지정하는 정정의 종류에는 언어단위의 분할이나 통합, 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의 다음후보의 제시, 이 언어단위의 재입력이 있다.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정정입력이 있으면, 정정처리수단(9)은 먼저 입력된 제어기호에서 정정하고자 하는 언어단위를 특정하고, 기능키의 종류에 의해서 정정내용을 특정하고, 정정내용에 따른 정정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낸 기능블록도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키보드등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를 입력한다. 한자변환부(1)는 입력된 읽기를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를 사용하여 형태소(形態素)를 해석하고, 구문을 해석하고, 문절등의 언어단위로 분할한 후에 한자로 변환하고, 문서기억부(2)에 언어단위마다 격납한다.
이때, 제어기호부가수단(5)은 한자변환부(1)에서 언어단위의 분할정보를 얻어서 이 언어단위의 제어기호를 생성한다. 예를들면 제어기호를 언어단위의 선두 문자의 읽기로 하면 제어기호부가수단(5)은 한자변환부(1)에서 언어단위의 분할정보와 함께 선두문자의 읽기의 정보를 얻는다. 또, 제어기호로서 액센트를 사용하면 이 언어단위에 대한 액센트정보를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에 의해서 검색한다. 또, 제어기호로서 한자의 부수명 또는 획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자변환부(1)에서 이 언어단위의 선두 또는 말미의 한자정보를 얻고, 이 한자의 부수명 또는 획수의 정보를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4)를 검색하여 얻는다. 제어기호로서 언어단위 내의 한자문자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자변환부(1)에서 이 언어정보에 포함되는 한자정보를 얻어서 한자수를 구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기호를 생성한 후에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생성된 제어기호를 제어기호기억수단(6)에 보낸다.
제어기호기억수단(6)은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에서 언어단위마다 제어기호가 입력되면 문서기억부(2)에 격납된 한자변환 후의 언어단위(제1도 중에는 「從來の」, 「技術」, 「說明」,..)에 대응하여 각각의 언어단위의 제어기호를 격납한다. 동도면 중에는 각 언어단위의 선두 문자의 읽기의 로마자표기의 1문자째를 제어기호로 하여 「j」, 「g」, 「s」,..를 격납하고 있다.
각 언어단위의 한자변환 후의 글과 제어기호가 각각 문서기억부(2)와 제어기호기억수단(6)에 격납되면, 표시수단(7)이 기동되어 변환 후의 글을 언어단위마다 문서기억부(2)에서 독출하고, 또 이 언어단위에 대응한 제어기호를 제어기호 기억수단(6)에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3) 위에 표시한다. 이때, 이 언어단위의 글과 제어기호를 대응하여 표시한다. 예를들면 「j從來のg技術s說明」과 같이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한 글을 정정하려고 한다면 그 경우의 정정입력수단(8)으로서 사용자는 정정하고자 하는 부분이 포함되는 언어단위의 제어기호와 정정의 내용을 나타낸 기능키를 키입력한다. 예를 들면 동도면의 「說明」의 언어단위를 다른 단어로 치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g」로 재입력을 나타낸 기능키를 누른다.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어떤 정정입력이 있으면 정정처리수단(9)이 기동된다. 정정처리수단(9)은 입력된 제어기호에서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특정하고, 입력된 기능키로 정정내용을 특정한다.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분할이면 한자변환부(1)에 대해서 현재의 언어단위에서 분할가능한 언어단위를 구하여 한자변화하도록 요구한다. 한편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통합이면 한자변환부(1)에 대해서 현재의 언어단위와 다음의 언어단위를 통합가능한 언어단위를 구하여 한자변환하도록 요구한다. 또 정정내용이 다른 한자변환후보의 제시를 요구하는 것이면 한자변환부(1)에 대해서 이 언어단위의 다음의 변환후보를 구하도록 요구한다. 또 정정내용이 지정된 언어단위의 재입력이면 한자변환부(1)에 대해서 사용자의 재입력을 이 언어단위로서 한자로 재변환하도록 요구한다.
한자변환부(1)는 정정처리수단(9)의 요구에 의해서 각각의 정정처리를 실행한다. 정정처리가 실행되면 문서기억부(2)의 내용이 재기입되지만 이에 수반되어 제어기호부가수단(5)도 기동되어 정정된 언어단위의 제어기호를 전술과 같이 생성하여 제어기호 기억수단(6)에 보낸다. 제어기호 기억수단(6)은 입력된 제어기호를 정정된 언어단위의 시점에서 격납한다.
[실시예]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등의 컴퓨터·시스템상의 문서처리소프트웨어 또는 문서처리 전용의 워드프로세서의 문서처리 소프트웨어로서 구축할 수 있다.
컴퓨터·시스템 또는 워드프로세서의 하드웨어로는 CPU(10), CPU(10)에 접속된 주기억(20), 이것도 CPU(20)에 접속된 I/O 인터페이스(30), I/O 인터페이스(30)에 접속된 키보드등의 입력장치(40), 이것도 I/O 인터페이스(3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등의 표시장치(50)를 전제로 한다. 주기억(20)에는 일반적으로는 오퍼레이팅·시스템과 같은 기본 소프트웨어(60)가 실려 있고, 이 기본소프트웨어(60)상에서 문서처리소프트웨어등의 응용·소프트웨어가 가동하게 된다.
주기억(20)에는 문서처리 소프트웨어(70)가 격납되어 있다.
종래의 한자입력 가능한 문서처리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는 입력장치(40)에서 입력되는 읽기 입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701), 읽기입력을 한자변환하는 한자변환부(702), 한자변환부(702)의 처리에 사용하는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703), 한자변환 결과의 문서를 격납하는 문서기억부(704), 버퍼(701)에 기억되어 있는 읽기입력의 문자열이나 한자변환 결과의 표시내용을 표시장치(50)에 보내는 표시처리부(705)를 갖는다. 여기서 한자변환부(702)는 복수의 연속된 언어단위(예를들면 문절)를 한꺼번에 한자로 변환하는 연문절 한자변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한자변환 정정처리방식은 이상의 구성에 제어기호부가부(706) 및 제어기호기억부(707), 정정처리부(708)를 가한 구성을 취하여 주기억(20)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된다.
제어기호부가부(706)는 입력장치(40)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 버퍼(701)에 저장되어 있는 읽기입력을 한자변환부(702)가 하나 또는 복수의 언어단위로 분할하고, 각 언어단위를 한자로 변환할 때에 기동되어 각 언어단위에 대해서 제어기호가 생성된다.
제어기호기억부(707)는 제어기호부가부(706)에 생성된 제어기호를 기억하는 기억영역이고, 한자변환부(702)에서 한자로 변환되고, 문서기억부(704)에 기억된 각 언어단위의 글과 대응이 취해지는 형식으로 제어기호를 기억한다. 즉, 예를들면 문서기억부(704)의 선두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제 1 언어단위의 한자변환결과 제 2 언어단위의 한자변환결과, ...와 같이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기호기억부(707)로 선두어드레스로부터 순차로 제 1 언어단위의 제어기호, 제 2 언어단위의 제어기호, ...와 같이 제어기호를 격납한다. 또 제어기호기억부(707)의 다른 구성으로서는 문서기억부(704)의 각 언어단위에 대한 정보의 하나로서 제어기호를 가하여 격납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문서처리 소프트웨어(70)에도 존재하고 있는 표시처리부(70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언어단위의 한자변환 결과와 함께 제어기호기억부(707)에 격납되어 있는 대응하는 제어기호도 표시장치(50)로 송출하여 각 언어단위의 한자변환 결과와 제어기호가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정정처리부(708)는 사용자가 한자변환 결과에 대한 정정입력(S2)을 입력한 경우에 기동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기호로 정정대상으로 되는 언어단위를 확정하고, 또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키로 정정내용을 확정하여 정정내용에 따른 정정처리요구를 한자변환부(702)에 출력한다. 예를들면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분할이나 통합이면 한자변환부(702)에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분할방법의 변경이나 다음의 언어단위와의 통합을 지시한다. 또 정정내용이 재입력이면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부분을 사용자가 재입력하는 읽기와 치환하여 한자변환하도록 지시한다. 또, 정정내용이 동음이의 한자인 다음 후보로의 변경이면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한자를 다음후보로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이상의 시스템 구성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입력장치(40)에서 문장의 읽기를 입력한다(읽기입력S1). 이 읽기입력(S1)은 I/O 인터페이스(30)를 거쳐서 주기억(20)내의 버퍼(701)에 격납된다.
여기서 한자변환부(702)는 격납된 읽기 입력을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703)를 사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언어단위로 분할한 후에 한자로 변환한다. 변환결과는 각 언어단위마다 문서기억부(704)에 격납된다.
이때, 제어기호부가부(706)가 기동되어 한자변환부(702)에 의해서 분할된 각 언어단위에 대해서 제어기호를 생성한다.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생성한 제어기호는 문서기억부(704)에 격납된 언어단위 마다의 한자변환 결과와 대응된 형식으로 제어기호기억부(707)에 기억된다.
표시처리부(705)는 읽기입력(S1)이 버퍼(701)에 격납되면 이 읽기입력 문자열을 표시장치(50)에 보내고, 입력된 읽기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입력문자열에 대응하는 한자변환결과 및 제어기호가 문서기억부(704) 및 제어기호기억부(707)에 격납되면 각 언어단위의 한자변환결과 문자열과 제어기호문자를 쌍으로 하여 표시장치(50)에 보내고, 제어기호와 한자변환결과가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표시장치(50)상에 표시된 한자변환결과와 제어기호를 보고, 그것으로 좋다면 다음 글의 읽기입력을 입력장치(40)에서 행한다. 그러나 얻어진 한자변환결과를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장치(40)에서 정정입력(S2)을 입력한다.
정정입력(S2)은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확정하기 위한 제어기호와 정정내용을 나타낸 기능키를 예를들면 동시에 입력한다.
정정처리부(708)는 이 정정입력(S2)를 받아서 기동된다. 먼저 제어기호에서 정정대상으로 되는 언어단위를 확정하고, 기능키로 정정내용을 확정한다. 그리고 정정내용에 따른 정정처리요구를 한자변환부(702)에 출력한다. 예를들면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분할이나 통합이면 한자변환부(702)에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분할방법의 변경이나 후의 언어단위와의 통합을 지시한다. 또 정정내용이 재입력이면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부분을 사용자가 재입력하는 읽기와 치환하여 한자변환하도록 지시한다. 또 정정내용이 동음이의 한자인 다음후보로의 변경이면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한자를 다음후보로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한자변환부(702)가 정정처리부(708)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 처리를 행하면 처리결과의 한자변환결과가 문서기억부(704)에 격납되지만 이에 수반되어 제어기호부가부(706)가 기동되어 전술과 같이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제어기호기억부(707)에 격납된다. 표시처리부(705)는 정정완료의 언어단위와 이 언어단위의 제어기호를 문서기억부(704) 및 제어기호기억부(707)에서 독출하여 표시장치(50)로 보낸다. 이에 의해서 정정결과가 제어기호와 함께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 구성으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커서 이동키나 취소키를 사용하지 않고, 정정대상 언어단위를 지정하여 정정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도는 일실시예의 제어기호부가부(706)의 동작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기호로서 각 언어단위의 선두 문자의 읽기를 사용하여 알파벳의 하첨자로 표현하도록 한다.
제어기호부가부(706)가 기동되는 것은 버퍼(701)에 축적된 사용자가 입력한 읽기입력(S1)을 한자변환부(702)가 사전·문법데이타베이스(703)를 사용하여 언어단위로 분할한 시점이다. 제어기호부가부(706)는 먼저 한자변환부(702)에 이 읽기입력의 언어단위수를 보내도록 지시하고, 보낸 언어단위수를 m으로 한다(S310). 지금 사용자가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라고 읽고 입력하였다고 하면 한자변환부(702)는 언어단위로 분할하여,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라고 하는 3개의 언어단위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제어기호부가부(706)는 m=3을 얻는다.
다음에 언어단위의 순번을 나타낸 변수 i를 1로 세트하고(S320), 제어기호 생성처리로 들어간다.
먼저, 한자변환부(702)에 읽기입력의 제i 언어단위의 선두문자를 보내도록 지시하고, 그 문자를 X로 한다(S330). 여기서는 제1 언어단위의 선두문자 「じ」를 X로 한다.
다음에 이 선두문자 X에 의해서 제어기호 x를 생성한다(S340).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기호를 알파벳의 하첨자로 표현하므로, 가나「じ」를 로마자로 표기한 「ji」의 최초의 1문자 「j」를 하첨자로 한 「j」를 제어기호 X로 한다.
중국어이면 읽기입력을 알파벳으로 행하므로, 한자변환부(702)로 얻은 언어단위의 선두문자 X를 하첨자로 하는 것만으로 제어기호 x가 얻어진다.
얻어진 제어기호 x는 제어기호기억부(707)에 제i 어드레스 여기서는 제1 어드레스에 격납된다(S350). 제어기호기억부(707)에는 제어기호 x의 문자코드가 격납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하나의 언어단위의 제어기호가 얻어져서 기억된다.
다음의 언어단위의 처리로 옮기기 위해서는 i를 1증분하고(S360), i의 값이 언어단위수 m 이하이면(S370의 yes)S330으로 되돌아와서 제i 언어단위의 제어기호 x를 구하는 처리를 행한다. 전 언어단위의 제어기호 생성이 완료된면(S370의 no)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읽기입력이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이면, 제1 언어단위의 제어기호「j」, 제2 언어단위의 제어기호「g」, 제3 언어단위의 제어기호「s」가 생성되어 제어기호기억부(707)의 각각 제1 ∼ 제3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제4도는 일실시예의 표시처리부(705)의 동작플로우차트이다. 표시처리부(705)는 사용자가 입력한 읽기입력(S1)을 버퍼(701)에 격납하는 시점에 읽기입력의 문자열을 얻어 표시장치(50)에 읽기입력(S1)을 표시하고, 한자변환부(702) 및 제어기호부가부(706)의 처리가 종료되면, 한자변환결과 및 제어기호를 표시한다. 제4도의 동작플로우차트는 읽기입력의 표시처리는 생략되어 있고, 한자변환결과 및 제어기호의 표시처리만을 나타내고 있다.
맨 먼저 한자변환부(702)에서 읽기입력의 언어단위수 m을 얻는다(S410).
그리고 언어단위 번호i를 1로 하고(S420), 표시처리를 개시한다.
먼저, 문서기억부(704)의 제i 어드레스(여기서는 제1 어드레스)로부터 한자변환결과의 문자열을 독출한다(S430). 읽기입력이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이면 제1 언어단위의 한자변환결과 「從來の」의 문자코드열을 얻는다.
다음에 제어기호기억부(707)의 제i 어드레스(여기서는 제1 어드레스)로부터 제어기호 x를 독출한다(S440). 여기에서는 「j」의 문자코드를 얻는다.
그리고 제어기호문자x, 한자변환결과의 순으로 문자코드열을 표시장치(50)로 보낸다(S450). 그 결과 표시장치(50)에 「j從來の」가 표시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1언어단위의 표시처리가 완료된다.
그래서 다음의 언어단위로 처리를 옮기기 위해서는 i를 1증분하고(S460), i 가 언어단위수 m이하이면(S470의 yes) S430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언어단위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최후의 언어단위의 표시처리가 완료되면 (S470의 no)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읽기입력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에 대한 변환결과가 표시장치(50)상에 「j從來のg技術s說明」라고 표시된다.
제5도는 중국어 입력에 본 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입력처리예이다. 4종류의 입력예(a)∼(d)를 나타내고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제어기호부가부(706) 및 표시처리부(705)의 동작플로우차트의 처리에서는 동도면 중의 (a)∼(d)의 각각 읽기입력(a-1, b-1, c-1, d-1) 및 한자변환의 결과와 제어기호(a-2, b-2, c-2, d-2)가 표시장치(50)상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읽기입력「shifeiren」를 입력하면 (동도면(a-1)과 시스템이 언어단위 「shifei ren」으로 분할하고, 한자로 변환한 후에 제어기호를 붙여서, 「s是非r人」을 얻는다(동도면(a-2)). 중국어에서는 읽기입력을 알파벳으로 행하므로, 각 언어단위의 읽기입력의 최초의 알파벳이 제어기호로 된다.
마찬가지로 읽기입력 「yuanlaishi」는 「yuan laishi」의 2개의 언어단위로 분할되어 한자변환·제어기호생성의 결과 「yL來世」를 동도면(b-1, b-2), 읽기입력 「daxuexuesheng」은 「daxue xuesheng」로 분할되어 한자변환·제어기호 생성의 결과 「d大學x學生」을 (동도면(c-1, c-2)), 읽기입력「lianjiezhe」는 「lianjiezhe」로 분할되어 한자변환·제어기호생성의 결과 「L金連接z着」을 얻는다(d-1, d-2).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제어기호와 한자변환결과의 쌍의 표시를 보고, 정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정정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장치(40)로부터 다음의 읽기입력을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변환결과가 확정되고, 표시장치는 제어기호의 표시를 멈추고, 「從來の技術說明」이라고 표시한다.
정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입력장치(40)에서 정정대상의 언어단위의 제어기호와 정정의 내용을 나타낸 기능키를 입력한다. 정정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언어단위의 분할이나 통합, 언어단위의 재입력, 언어단위내의 한자의 다음후보의 요구등이 있다. 한자입력 가능한 키보드에는 통상은 다음후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가 있으나, 분할이나 통합, 재입력등의 정정내용을 직접 나타내는 기능키는 존재하지 않다. 그래서 사전에 그들의 정정을 나타내는 키를 할당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쉬프트키나, CTRL키, ALT키들의 어떤 특정키를 동시타건함으로 하나의 정정내용을 나타낸다.
제6도는 일실시예의 정정치리부(708)의 동작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입력장치(4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기호 및 기능키를 수취하고, 각각 x, k로 한다(S610). 다음에 제어기호기억부(707)에서 제어기호x를 검색하고, 제어기호x가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로부터 언어단위의 순번을 구한다(S620).
즉, 제i어드레스에 제어기호 x가 격납되어 있으면 제i번째의 언어단위가 정정대상인 것을 알게 된다. 또 기능키K에 의해서 정정내용을 특정한다(S630). 기능키의 종류와 정정내용의 종류의 대응은 사전에 정해둔다. 지금 정정내용으로서 언어단위의 분할, 통합, 재입력, 한자의 다음부호를 고려하기로 한다. 그외에 정정내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분할인 경우에는 한자변환부(702)에 제i언어단위를 다른 언어단위로 분할하여 한자변환하도록 요구한다(S640). 이에 의해서 한자변환부(702)는 제i언어단위를 분할하여 처리를 실행하여 새로히 얻어진 언어단위를 한자로 변환한다.
한편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통합인 경우에는 한자변환부(702)에 제i언어단위와 제(i+1)언어단위를 통합하도록 언어단위를 구하여 한자로 변환하도록 요구한다(S650). 한자변환부(702)는 요구된 처리를 실행한다.
정정내용이 재입력인 경우에는 한자변환부(702)에 커서를 제i언어단위의 선두로 가져가서 제i언어단위의 현재의 한자변환결과를 해소시키도록 요구한다(S660). 이에 의해서 표시처리부(705)는 버퍼(701)중의 제i언어단위의 부분의 읽기입력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새로운 읽기입력(S1)을 입력하여 이것이 버퍼(701)의 제i언어단위의 부분에 격납되면 재입력된 읽기입력을 표시한다. 한자변환부(702)는 재입력되어 버퍼(701)의 제i언어단위의 부분에 격납된 읽기입력을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정정내용이 한자의 다음후보인 경우에는 한자변환부(702)에 제i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의 다음후보를 출력하도록 요구한다(S670). 이에 의해서 한자변환처리부(702)는 한자의 다음후보를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정정처리의 요구를 각각 완료하면 정정처리부(708)는 처리를 종료한다.
정정처리가 언어단위의 분할이나 통합인 경우에는 언어단위가 변환하므로 제어기호도 변환된다. 그래서 제어기호부가부(706)는 언어단위가 변환된 경우에는 새로운 제어기호를 생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3도에 나타낸 동작 플로우차트를 재차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제어기호가 생성된다.
제5도(a-3)는 언어단위를 분할하는 경우의 입력예이다. 처음의 한자변환결과 「s是非r人」의 제1언어단위 「是非」의 분할의 방법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제1언어단위를 나타내는 제어기호 s와 분할을 나타내는 기능키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정정처리부(708)가 한자변환부(702)에 제1언어단위의 분할의 방법을 바꾸도록 요구한다. 그 결과 한자변환부(702)가 제1언어단위를 분할하고, 「shi」를 제1언어단위, 「fei ren」을 제2언어단위로서 한자변환을 행하고,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새로운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동도면(a-3)에 나타낸 것같이 「sf廢人」이라는 변환결과를 나타낸다.
제5도(b-3)는 언어단위를 통합하는 경우의 입력예이다. 처음의 한자변환결과 「yf來世」의 제1언어단위 「願」를 다음의 언어단위와 통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제1언어단위를 나타내는 제어기호 y와 통합을 나타내는 기능키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정정처리부(708)가 한자변환부(702)에 제1언어단위와 제2언어단위를 통합하여 재변환하도록 요구한다. 그 결과, 한자변환부(702)는 「yuanlai shi」라는 새로운 언어단위를 얻고, 한자변환을 행하고,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새로운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동도면(b-3)에 나타낸 것과 같은 「y原來s是」라는 변환결과를 나타낸다.
제5도(c-3~c-5)는 언어단위를 재입력하는 경우의 입력예이다. 처음의 한자변환결과 「d大學x學生」의 제1언어단위 「大學」을 재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제1언어단위를 나타내는 제어기호 d와 재입력을 나타내는 기능키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정정처리부(708)가 한자변환부(702)에 제1언어단위의 변환결과를 해소시켜 새로히 입력되는 읽기를 재변환하도록 요구한다. 이에 의해서 먼저 제1언어단위가 처음의 읽기입력 「daxue」로 되돌아간다(동도면(c-3)). 사용자가 새로운 읽기 「da」를 입력하면 이것이 표시된다(동도면(c-4)). 한자변환부(702)는 이 읽기 입력을 받아서 언어단위의 분할을 재차 행하여, 「daxuesheng」을 1언어단위로 하여 한자로 변환하고,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새로운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동도면(c-5)에 나타낸 것 같은 「d大學生」이라는 변환결과를 나타낸다.
최후로 제5도(d-3)는 한자의 다음후보선택인 경우의 입력예이다. 처음의 한자변환결과 「L金連接z着」의 제1언어단위 「金連接」에 대한 다른 한자를 얻고자하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제1언어단위를 나타내는 제어기호 1과 다음후보를 나타낸 키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정정처리부(708)가 한자변환부(702)에 제1언어단위의 한자를 다음후보로 바꾸도록 요구한다. 그 결과 한자변환부(702)는 다음 후보를 구하고,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새로운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동도면(d-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L聯接z着」이라는 변환결과를 나타낸다.
제7도는 종래의 방식에서 설명한 일본어 입력정정예를 본 발명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사용자는 처음에 읽기입력 「じゅうらいのぎじゅつせつめい」를 입력한다(동도면(a)). 한자변환부(702)가 이것을 언어단위로 분할한 후에 한자로 변환하고, 또 제어기호부가부(706)가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변환결과 「j從來のg技術s說明」를 출력한다(동도면(b)).
여기서 제2언어단위의 「技術」를 「技術の」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는 사용자는 제2언어단위를 나타내는 제어기호 g와 재입력을 나타내는 기능키를 입력한다. 정정처리부(706)는 제2언어단위를 재입력하는 요구를 한자변환부(702)에 보낸다. 그 결과, 한자변환부(702)는 제2언어단위의 변환결과를 해소시키고, 처음의 읽기 「ぎじゅつ」로 되돌린다(동도면(c)). 사용자가 그 부분을 「ぎじゅつの」로 바꾸었으므로, 커서이동키로 커서를 「ぎじゅつの」의 다음으로 가져가서 『삽입』키를 눌러서 하나 더 건너서 「の」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제2언어단위의 부분에 그것이 표시된다(동도면(d)). 그리고 한자변환부(702)가 재입력의 읽기의 분할 및 한자로의 변환을 행하여 제어기호 부가부(706)가 제어기호를 생성하여 「j從來のg技術 のs說明」가 출력된다(동도면(e)).
본 방식에서는 정정대상을 특정하는데 「g」와 「재입력」을 나타내는 키의 2터치로 되어 종래 방식의 4터치의 절반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방식에서는 한자입력 정정의 터치수가 종래보다 대폭으로 감소되어 입력속도가 향상된다.
제어기호로서 언어단위의 액센트나 부수명, 한자수, 한자의 획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어기호의 부가방법은 읽기의 경우와 거의 같다. 또 읽기의 경우는 입력을 읽기로 행하고 있으므로, 버퍼(701)를 참조함으로써 즉시 제어기호를 생성할 수 있으나, 액센트나 부수명, 한자수, 한자의 획수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처리를 더 가할 필요가 있다.
즉, 사전·문법데이타 베이스(703)에 액센트의 경우에는 액센트의 종류명을, 부수명의 경우에는 각 한자의 부수명을, 획수의 경우에는 획한자의 획수를 사전에 격납해 두고, 언어단위 또는 한자가 한자변환블록(702)에 의해서 구해진 시점에서, 언어단위 내의 글의 액센트명, 또는 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의 부수명, 획수의 정보를 사전·문법데이타 베이스(703)로부터 독출하여 그것을 기호로 하여 제어기호 기억부(707)에 격납한다. 또, 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수를 제어기호로 하는 경우에는 한자변환부(702)에 의한 한자변환처리가 종료된 시점에 얻어진 한자변환 결과에 포함되는 한자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수를 제어기호로서 제어기호기억부(707)에 격납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기호로 읽고, 또는 액센트, 한자의 부수명, 획수, 한자수의 어떤 것을 사용하였다 하여도 똑같은 제어기호가 부가된 언어단위가 복수로 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제어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들면 액센트나 부수명들을 이용하거나 먼저의 선두문자의 읽기와 조합된 것을 제어기호로 하거나 또 읽기의 2문자째까지를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면 언어단위의 선두문자의 읽기가 똑같은 언어단위가 복수라도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제어기호로 확정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じゅうらいのじゅうようなぎじゅつ」라는 읽기가 입력된 경우, 언어단위의 선두의 문자의 읽기를 사용하면 「j從來のj重要なg技術」로 변환결과가 표시된다. 이렇게 되면 제1, 제2언어단위의 제어신호가 똑같아 j로 구별이 안된다. 그래서 제2언어단위에 대해서는 다른 기호를 사용하여 예를들면 「j從來の¥重要なg技術」과 같이 한다. 이에 의해서 제1 및 제2언어단위는 구별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제어기호로 확정할 수 있으므로, 커서키나 기능키를 몇번씩 누를 필요가 없어 정정에 소요되는 터치수가 감소된다. 이에 의해서 한자입력정정의 입력속도가 향상되고, 한자입력의 작업성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1)

  1. 복수의 언어단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읽기를 사전·문법데이타 베이스(4)를 사용하여 한자로 변환하여 문서기억부(2)에 격납한 후에 디스플레이(3)에 표시하는 한자변환부(1)를 갖는 한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언어단위마다 상기 언어단위를 대표하는 제어기호를 생성하는 제어기호부가 수단(5)과, 상기 제어기호부가수단(5)이 생성한 제어기호를 문서기억부(2)에 한자변환결과를 기억하는 순서와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제어기호 기억수단(6)과, 정정을 가하는 경우에는 정정대상으로 되는 언어단위를 상기 제어기호로 지정하는 정정입력수단(8)과,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지정된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정정하는 정정처리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2. 복수의 언어단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읽기를 사전·문서 데이터베이스(4)를 사용하여 한자로 변환하여 문서기억부(2)에 격납한 후에 디스플레이(3)에 표시하는 한자변환부(1)를 갖는 한자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언어단위마다 상기 언어단위를 대표하는 제어기호를 생성하는 제어기호 부가수단(5)과,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이 생성한 제어기호와 한자변환결과를 쌍으로 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하는 표시수단(7)과,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이 생성한 제어기호를 문서기억부(2)에 한자변환결과를 기억하는 순서와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제어기호 기억수단(6)과, 정정을 가할 경우에 정정대상으로 되는 언어단위를 상기 제어기호로 지정하는 정정입력수단(8)과,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지정된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정정하는 정정처리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각 언어단위의 선두나 끝문자의 읽기를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각 언어단위의 액센트를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각 언어단위의 선두나 끝의 한자의 부수명을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각 언어단위에 포함되는 한자수를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각 언어단위의 선두나 끝의 한자의 획수를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호 부가수단(5)은 생성된 제어기호가 똑같은 언어단위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기호를 더 가하여 상기 언어단위를 대표하는 제어기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입력수단(8)은 정정대상의 언어단위를 지정하는 제어기호와 함께 정정내용을 의미하는 기능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입력수단(8)은 정정내용을 의미하는 기능키로서 언어단위의 분할과 통합, 재입력, 다음후보제시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처리수단(9)은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분할이면 한자변환부(1)에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제어기호로 지정된 언어단위를 더 분할하여 한자변환처리를 재차 행할 것을 요구하고,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통합이면 한자변환부(1)에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제어기호로 지정된 언어단위를 다른 언어단위와 통합하여 한자변환처리를 재차 행할 것을 요구하고,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재입력이면 한자변환부(1)에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제어기호로 지정된 언어단위의 한자변환결과를 해소시키고, 새로히 입력된 읽기를 이 언어단위의 입력으로 하여 재차 한자변환하도록 요구하고, 정정내용이 언어단위의 다음후보의 제시이면 한자변환부(1)에 상기 정정입력수단(8)에 의해서 제어기호로 지정한 언어단위의 현재의 한자변환 결과를 다음후보의 한자로 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변환정정처리방식.
KR1019940025039A 1993-10-19 1994-09-30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KR0149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0613 1993-10-19
JP5260613A JPH07114558A (ja) 1993-10-19 1993-10-19 漢字変換訂正処理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51A KR950012251A (ko) 1995-05-16
KR0149063B1 true KR0149063B1 (ko) 1998-10-15

Family

ID=1735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039A KR0149063B1 (ko) 1993-10-19 1994-09-30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17314A (ko)
JP (1) JPH07114558A (ko)
KR (1) KR0149063B1 (ko)
CN (1) CN109556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652B2 (ja) * 1994-08-04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機械翻訳装置
JP3689954B2 (ja) * 1995-03-13 2005-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異種コード文字列転記装置および電子辞書
JP2817776B2 (ja) * 1995-05-25 1998-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単語変換装置
US5890184A (en) * 1996-05-16 1999-03-30 Fujitsu Limited External character management apparatus
US5952942A (en) * 1996-11-21 1999-09-14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 of text messages from a keypad
JPH10163953A (ja) * 1996-11-29 1998-06-19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カーソル移動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携帯電話装置
US6101461A (en) * 1997-02-28 2000-08-08 Justsystem Corp. Command inputting method
US6054941A (en) * 1997-05-27 2000-04-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deographic characters
KR100322575B1 (ko) 1998-07-15 2002-03-08 윤종용 범용문자오타변환기능을갖는컴퓨터
JP2000066656A (ja) * 1998-08-25 2000-03-03 Fujitsu Ltd 動的文書の特殊文字処理システムおよび特殊文字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51584B1 (ko) * 2000-07-05 2002-09-05 주식회사 팔만시스템 한자의 일자대조에 의한 교정 시스템
JP4650920B2 (ja) * 2002-04-16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0336057C (zh) * 2003-06-02 2007-09-05 富士通株式会社 便携式信息设备的输入数据转换装置、便携式信息设备、输入数据转换装置的控制方法
JP5140997B2 (ja) * 2006-11-15 2013-02-13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グラム、文字入力編集方法及び装置
US8316295B2 (en) * 2007-03-01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language model
CN101667092A (zh) * 2008-05-15 2010-03-10 杭州惠道科技有限公司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CN107992457B (zh) * 2017-12-01 2021-12-03 深圳乐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转换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276A (en) * 1983-03-21 1985-10-01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yping Japanese text using multiple systems
JPS59208637A (ja) * 1983-05-13 1984-11-27 Ricoh Co Ltd 文書作成装置
US4544376A (en) * 1984-11-29 1985-1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Abrasive slurry composition for machining boron carbide
JPS6231467A (ja) * 1985-08-01 1987-02-10 Toshiba Corp 文章作成装置
DE3622500A1 (de) * 1986-07-03 1988-01-07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ungaenzen an zylindrischen rohren und stangen
US5276616A (en) * 1989-10-16 1994-01-04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index
JP2758952B2 (ja) * 1989-12-28 1998-05-28 富士通株式会社 日本語文書読取翻訳システムの修正時における表示方式
JPH0594436A (ja) * 1990-10-10 1993-04-16 Fuji Xerox Co Ltd 文書処理装置
US5384700A (en) * 1992-10-2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ultiple, modifiable Yomi and Kanji strings in a structured doc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51A (ko) 1995-05-16
CN1095560C (zh) 2002-12-04
US5617314A (en) 1997-04-01
CN1117156A (zh) 1996-02-21
JPH07114558A (ja) 1995-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63B1 (ko) 한자변환 정정 처리방식
US5349368A (en) Machine trans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810374B2 (en) Korean romanization system
JPH0630107B2 (ja) 文書処理装置
JPH05233600A (ja) ワードプロセッサ
JP2742786B2 (ja) 文字列変換装置
JPS6246029B2 (ko)
JPH08272780A (ja) 中国語入力処理装置及び中国語入力処理方法及び言語処理装置及び言語処理方法
JP2802369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2584734B2 (ja) 文字処理装置
KR860000681B1 (ko) 한글/한자 워드프로 세서
JPH08335217A (ja) 読み変換方法及び文書作成装置
JP3194529B2 (ja) 機械翻訳装置
JP2761622B2 (ja) 文字変換装置
JPH07129573A (ja)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27173A (ja) 人名変換装置
JPH01213747A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H1011433A (ja) 仮名漢字変換方式における同音異義語選択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314913A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S63167956A (ja) 敬語表現への変換装置
JPH0991278A (ja) 文書作成装置
JPH04369707A (ja) 日本語処理装置の入力装置
JPS6278673A (ja) 仮名漢字変換装置
JPS63214872A (ja) かな漢字変換方式
JPH03160555A (ja) 日本語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