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841B1 -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841B1
KR0148841B1 KR1019940006875A KR19940006875A KR0148841B1 KR 0148841 B1 KR0148841 B1 KR 0148841B1 KR 1019940006875 A KR1019940006875 A KR 1019940006875A KR 19940006875 A KR19940006875 A KR 19940006875A KR 0148841 B1 KR0148841 B1 KR 014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etection means
signal
heater
deod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오오타
타카히로 우에노
후미히로 이토
마사미 마츠나가
카즈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타카키 히로오
마쯔시다레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766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85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08713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14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290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36460A/ja
Application filed by 타카키 히로오, 마쯔시다레이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키 히로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의 악취를 완전히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히터(2)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방열부(3)를 가진 휘(4)을 형성하고, 상기 휜(4)의 바깥쪽의 면에, 유리질피막(5)을 개재해서 공기중의 악취성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가열되면 흡착한 악취성분을 탈착하는 흡착체와 가열되면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키는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층(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휜에 사용하는 금속관을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휜을 히터에 고정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장착한 유닛을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구비한 벽걸이형공기조화기의 개략내부 구성도.
제7도는 제 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제9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
제12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휜에 사용하는 금속관에 히터를 삽입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13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장착한 유닛을 표시한 사시도.
제14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구비한 벽걸이형공기조화기의 개략 내부구성도.
제15도는 제14도의 B-B선 단면도.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고익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19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
제20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휜을 표시한 사시도.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구비한 덕트형공기조화기의 개략구성도.
제22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제23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어회로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63,63a,63b : 탈취장치 2 : 금속관히터
3,42,42a,42b,65 : 방열부 4,43,66 : 휜
5,44,67 : 유리질피막 6,45,68 : 보호층
7,46,69 : 촉매층 8 : 금속관
9,47 : 전기저항선 10 : 산화마그네슘
11,49 : 알루미늄증착강관 15,50 : 절연캡
16 : 방열판 17 : 장착부재
18 : 나사 19,51 : 바이메탈더이모
20,22,52 : 리드선 21 : 온도퓨즈
23,53 : 앞면패널 24,54,72 : 실내기본체
25,53a : 흡입구 26,77 : 열교환기
27 : 필터 28,76 : 송풍기
29 : 구동모터 30 : 불어내기출구
31,78 : 드레인팬 32 : 배면패널
33,55,83 : 전송상자 34,56,91 : 제어회로
35 : 냄새센서 36 : 팬모터제어수단
37,57,84 : 운전검출수단 38,61 : 제1타이머
39,62 : 제2타이머 41 : 유리관 히터
48 : 유리관 58,85 : 운전모드검출수단
59,88 :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 64 : 세라믹히터
73 : 칸막이판 79 : 흡입덕트
81 : 불어내기덕트 82a,82b : 댐퍼
87 : 제습운전검출수단 89 : 타이머
90 : 통전수단
본 발명은, 실내에 존재하는 악취성분을 제거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활성탄을 실내에 배치해서, 가스형상의 악취성분을 흡착해서 탈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 최근, 오존발생기능을 가지게 한 기기를 실내에 배치해서 악취성분을 오존가스에 의해서 산화분해하는 방법도 취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69247호 공보).
이들 악취물질은, 주로 암모니아, 지방산, 불포화탄화수소류, 메르캅탄 등의 유황함유 유기화합물, 질소함유 유기화합물 등으로서, 생활하는 인간의 땀 등의 생리작용이나 식품류의 분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종래의 활성탄에 의한 흡착에서는, 악취성분종류에 따라서 흡착능력에 불균일이 있는 점, 및 흡착능력에 한계가 있고, 또 분위기 속의 수분이 악취가스흡착의 방해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활성탄을 교환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오존에 의한 악취분해방법은, 분해탈취에 가장 적합한 오존발생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특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점이나, 오존에 의해서 분해가 곤란한 악취성분종류가 있는 점, 오존발생기에 수명이 있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의 악취를 완전히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제거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방열부를 가진 휜과, 상기 휜의 바깥쪽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유리질피막과, 공기중의 악취성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가열되면 흡착한 악취성분을 탈착하는 흡착제와 가열되면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키는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질피막의 위에 형성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지고, 방열부를 가진 휜의 박깥쪽면에 촉매층을 형성함으로써, 히터를 크게 하지않고, 촉매층의 표면적을 넓게하고, 비가열시의 흡착체에 의한 악취성분의 흡착과, 가열시의 흡착체의 가열재생 및 악취성분의 촉매분해를 교호로 반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악취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는, 금속관히터(2)와 금속관히터(2)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동시에 금속관히터(2)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방열부(3)를 가진 알루미늄증착강으로 이루어진 휜(4)과, 휜(4)의 바깥쪽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조직이 비교적 치밀한 유리질피막하층(5a)과 비교적 세라믹질을 많이 함유한 조직이 비교적 성긴 유리질피막상층(5b)의 2층으로 이루어진 유리질피막(5)과, 휜(4)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피복하는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6)과, 유리질피막(5)의 위에 형성된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제올라이트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7)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금속관(8)내에 전기저항선(9)을 삽입하고, 금속관(8)과 전기저항선(9)이 접촉하지 않도록 금속관(8)내에 전기절연체로서 산화마그네슘(10)을 충전하여 금속관히터(2)를 제조한다.
다음에,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알루미늄증착강을 구부러 서로 마주보는 2변을 용접해서 알루미늄증착강관(11)을 만든다. 다음에, 알루미늄증착강관(11)의 속에 금속관히터(2)를 삽입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증착강관(11)의 주위의 2개소를 프레스형에 의해 코킹해서, 알루미늄증착강관(11)을 가공해서 이루어진 휜(4)을 금속관히터(2)에 고정하는 동시에 방열부(3)를 형성한다. 이때 휜(4)의 내면에 있어서의 금속관히터(2)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과, 금속관 히터(2)의 표면에 의해 공간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알루미늄증착강관(11)의 용접부분(13)이 금속관히터(2)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알루미늄 증착강관(11)을 코킹하여 금속관히터(2)에 고정하면, 알루미늄증착강관(11)의 용접부분(13)에서 금속관히터(2)의 금속관(8)의 표면을 상처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휜(4)의 외주표면에, 조직이 비교적 치밀한 유리질피막하층(5a)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고, 또 유리질피막하층(5a)의 표면에 비교적 세라믹질을 많이 함유한 조직이 비교적 성긴 유리질피막상층(5b)을 도포·소성에 의해 형성하고, 휜(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6)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고, 유리질피막(5)이 형성되기 어려운 휜(4)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7)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제올라이트 기타를 볼밀에 의해서 충분히 혼합해서 슬러리를 조정하고, 이 슬러리를 유리질피막(5)의 표면에 도포·소성해서 흡착층(7a)을 형성하고, 다음에 백금족금속으로서 백금과 팔라듐을 흡착층(7a)의 표면에 도포·소성해서 금속총매층(7b)을 형성하고, 2층구조의 촉매층(7)을 형성한다.
또한, 유리질피막(5)과 흡착층(7a)과 금속촉매층(7b)의 도포에는, 스프레이법, 디프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금속관(8)의 단부를 유리밀봉재(14)에 의해 밀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부속부품에 대해서, 제5도에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5)는, 금속관(8)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실리콘고무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캡이다. (16)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휜(4)표면의 촉매층(7)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거리를 두고 탈취장치(1)에 장착되는 방열판이고, 강판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절연캡(15)과 대향하는 개소에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쪽에 돌출한 볼록부(16a),(16b)가 형성되고, 대략Ω자 형상의 장착부재(17)의 원호부의 속에 절연캡(15)을 넣고, 장착부재(17)의 평면부를 나사(18)에 의해서 블록부(16a),(16b)에 고정하고 있다. 이때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리 금속관(8)의 휜(4)에 덮이지 않는 일단부를 예를들면 30。 구부려두고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를 방열판(16)에 장착하면,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가 금속관(8)을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일이 없고, 휜(4)과 방열판(16)과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방열판(16)을 이상 가열하는 일이 없어진다.
(19)는 바이메탈더어모이고 리드선(20)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전기 저항선(9)의 타단부와 직렬로 접속된다. (21)은 온도퓨즈이고, 리드선(22)에 의해 바이메탈더어모(19)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바이메탈더어모(19)와 온도퓨즈(21)는 방열판(16)위에 나사고정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통전시에 이상전압등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가 이상가열된 경우,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로부터의 발열온도를 감지하고, 촉매층이 이상온도가 되기전에 바이메탈더어모(19)에 의해 인가전압을 차단하고, 촉매성능의 열화를 방지한다. 또, 바이메탈더어모(19)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도퓨즈(21)에 의해 인가전압을 차단하고, 촉매성능의 열화를 방지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를 구비한 벽걸형공기조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를 구비한 벽걸이형공기조화기의 개략내부구성도,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6도, 제7도에 있어서, (23)은 앞면패널이고, 실내기본체(24)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25)는 공기의 흡입구이고, 실내기본체(2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26)은 열교환기이고, 실내기본체(24)내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다. (27)을 필터이고,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나 티끌을 열교환기(26)의 앞면에서 제거한다.
(28)은 실내기본체(24)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이고, 구동모터(29)에 의해 구동하고,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필터(27) 및 열교환기(26)를 통과시키고, 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기본체(24)하부에 형성된 불어내기출구(30)로부터 불어낸다. (31)은 드레인팬이고, 냉방 및 제습운전시에 열교환기(26)에 발생하는 배수를 받는 것으로서 열교환기(26)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는, 열교환기(26)와 송풍기(28)의 사이의 실내공기의 순환풍로속에서, 방열부(3)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르도록 방열부(3)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양방으로 돌출시키고 배면패널(32)에 나사고정등에 의해 배설되고, 배면패널(32)쪽에 방열판(16)을 가진다. (33)은 실내기본체(24)내부에 형성된 전송상자이고,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회로(34)를 가진다. (35)는 흡입구(25)의 근처에 설치되고, 실내의 냄새를 검출하면 신호를 내는 냄새센서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제어회로(34)에 대해서 제8도,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8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제어회로(34)의 블록도, 제9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제어회로(34)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36)은 구동모터(29)를 제어하는 팬모터제어수단이고, 운전검출수단(37)이 실내기의 정지를 표시하는 신호S11을 출력하고 있을 때에 냄새센서(35)가 신호S12를 출력하면, 구동모터(29)를 운전하는 신호S13을 출력한다. 운전검출수단(37)은 송풍운전을 포함한 실내기의 운전·정지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송풍운전중인지 어떤지는 팬모터제어수단(36)의출력신호S13에 의해서 판정하고, 실내기가 운전중이면 신호S14를 출력한다. (38)은 운전검출수단(37)의 출력신호S14를 입력해서 실내기의 운전중에 계시동작을 행하고, 실내기의 통산운전시간ta가 소정시간Ta를 경과하면, 통산운전시간ta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S15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이다. (39)는 제1타이머(38)의 출력신호S15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Tb금속관히터(2)에 통전을 하는 신호S16을 출력하는 제2타이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에 대해서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투입하면, 제1타이머(38)의 계시시간ta를 리세트한다(스텝 101).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냉방 또는 난방 또는 제습운전되면, 운전검출수단(37)이 신호S14를 제1타이머(38)에 출력하고, 제1타이머(38)가 계시동작을 개시한다(스텝 102를 Yes쪽으로 분기, 스텝 103을 No)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10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시에는, 송풍기(28)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되고, 필터(27), 열교환기(26)로 흘러서 불어내기 출구(30)로부터 실내에 불어나온다.
이때, 열교환기(26)를 통화한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촉매층(7)에 접촉하고, 실내의 악취성분이 촉매층(7)의 흡착층(7a)속의 활성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에 의해 흡착탈취된다. 활성알루미나는 흡착층(7a)을 다공질로 형성시키기 위한 담체이고, 염기성물질을 담지시킴으로써 산성물질을 흡착한다. 또, 제올라이트는 특히 염기성물질의 흡착을 행한다.
그리고, 제1타이머(38)의 계시시간ta가 소정시간Ta에 달할때까지의 동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중이면, 스텝 105, 스텝 106을 반복하고, 도중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을 정지했을 때에는, 스텝 106을 No쪽으로 분기하고, 스텝107에서 제1타이머(38)의 계시동작을 정지하고, 스텝 102로 복귀한다.
그리고, 제1타이머(38)의 계시시간ta가 소정시간Ta에 달하면, 스텝 105를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108에서 제1타이머(38)가 계시시간ta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S15를 제 2타이머(39)에 출력하고, 다음의 스텝 109에서 제2타이머(39)가 계시(計時)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금속관히터(2)에 통전을 하는 신호S16을 출력하고, 다음의 스텝 110에서 금속관히터(2)에의 통전이 행해진다.
이때, 금속관히터(2)의 전기저항선(9)이 발열하여 금속관(8)과 휜(4)이 가열되고, 촉매층(7)의 금속촉매층(7b)속의 백금족금속이 활성화하고, 흡착층(7a)속의 활성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에 흡착한 악취성분은, 백금족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해서 무취성분으로 한다. 휜(4)에 의해 가열된 활성아루미나와 제올라이트는, 흡착한 악취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다시 흡착능력을 회복한다.
그리고, 제2타이머(39)의 계시시간tb가 소정시간Tb에 달하면, 스텝 111을 Yes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112에서 제2타이머(39)는 금속관히터(2)에의 통전을 종료시키고, 다음의 스텝 113에서 제 2타이머(39)가 계시시간 tb를 리세트하고 스텝102로 복귀한다.
또, 스텝 102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중이 아니면, 스텝 102를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114에서 냄새센서(35)가 신호 S12를 출력하고 있으면, 스텝 114를 Yes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115에서 팬모터제어수단(36)이 구동모터(29)를 운전하는 신호 S13을 출력하고, 송풍운전이 행해지고, 스텝 104로 진행한다. 또, 스텝 114에서 냄새센서(35)가 신호 S12를 출력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114를 No쪽으로 분기하고 스텝 102로 복귀한다.
또, 스텝 103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송풍운전중이면, 스텝 103을 Yes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116에서 냄새센서(35)가 신호 S12를 출력하고 있으면, 스텝 116을 Yes쪽으로 분기하고 스텝 104로 진행한다. 또, 스텝 116에서 냄새센서(35)가 신호 S12를 출력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 116을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117에서 팬모터제어수단(36)이 구동모터(29)를 정지하는 신호 S13을 출력하고, 송풍운전이 종료하고 스텝 102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질피막(5)을 바깥쪽면에 형성한 휜(4)을 개재해서 금속관히터(2)에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제올라이트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7)을 형성했으므로, 비가열시의 활성아루미나에 의한 악취성분의 특히 산성물질의 흡착과 제올라이트의 악취성분의 특히 염기성물질의 흡착과, 가열시의 활성알루미나와 제올라이트의 가열재생 및 악취성분의 촉매분해를, 교호로 반복함으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악취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있다.
또, 촉매층(7)을 안쪽의 흡착층(7a)과 바깥쪽의 금속촉매층(7b)의 2층으로 구했기 때문에, 금속관히터(2)의 통전시에 촉매층(7)의 주위의 공기의 악취성분의 산화분해가 촉매층(7)의 표면에서 효율좋게 행해지고, 또, 가열에 의해 흡착제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성분은 반드시 금속촉매층(7b)을 통과하므로, 흡착체로부터 방출되는 악취성분이 미분해된 그대로 방출시키는 일이 없다. 또 촉매층(7)을 1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고가의 백금족금속의 사용량을 적게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를 억제 할 수 있다.
또, 촉매층(7)의 무기바인더로서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활성알루미나에 대한 담지물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촉매활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촉매층(7)의 밀착성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휜(4)의 표면에 피복하하는 유리질피막(5)을, 조직이 비교적 치밀한 유리질피막하층(5a)과 비교적 성긴 유리질피막층(5b) 의 2층으로 했으므로, 조직이 비교적 치밀한 유리질피막하층(5a)에 의해 유리질피막(5)의 핀홀을 감소시키고, 촉매층(7)에 의한 휜(4)의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고, 조직이 비교적 성긴 유리질피막상층(5b)에 의해 유리질피막(5)의 표면거칠기를 거칠게해서 유리질피막(5)과 촉매층(7)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있다.
또 방열부(3)를 가진 휜(4)의 바깥쪽의 면에 촉매층(7)을 형성하므로서, 금속관히터(2)를 크게하는 일없이, 촉매층(7)의 표면적을 넓게할 수 있다.
또, 금속관히터(2)는 충격에 강하고, 또 전기저항선(9)의 열을 휜(4)에 전하기 쉽다.
또, 알루미늄증착강은 고온시에서의 열팽창이 작고, 알루미늄증착강으로 휜(4)을 구성하면, 금속관히터(2)의 열에 의한 휜(4)의 열팽창으로부터 발생하는 유리질피막(5)의 균열이나 촉매층(7)의 균열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촉매층(7)이 보호층(6)을 휜(4)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유리질피막(5)이 형성된기 어려운 휜(4)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7)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또, 휜(4)을 알루미늄증착강관(11)으로 구성했으므로, 간단히 휜(4)을 금속관히터(2)의 금속관(8)에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방열부(3)를 형성할 수 있고, 또 휜(4)의 내면과 금속관히터(2)의 표면을 밀착할 수 있고, 금속관히터(2)의 열을 방열부(3)를 포함하는 휜(4)전체에 효율좋게 전할 수 있다.
또, 휜(4)의 방열부(3)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양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방열부(3)를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어느 한쪽에 형성한 경우보다, 더욱 풍로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공기와 촉매층(7)의 접촉시간을 길게해서 양호하게 악취성분을 흡착할 수있다.
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이 정지하고 있을때에, 냄새센서(35)가 냄새를 검출했을 때 송풍운전하는 동시에, 정기적으로 금속관히터(2)에 통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운전시키고 있지않을때에도, 실내의 탈취를 행할 수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찰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는, 유리관히터(41)와, 유리관히터(41)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동시에 유리관히터(41)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방열부(42)를 가진 알루미늄증착강으로 이루어진 휜(43)과, 휜(43)의 바깥쪽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유리질피막(44)과, 휜(43)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피복하는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45)과, 유리질피막(44)의 위에 형성된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46)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기저항선(47)을 유리관(48)에 의해서 포위한 유리관히터(41)를 준비하고,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알루미늄증착강관(49)의 속에 유리관히터(41)를 삽입하고 알루미늄증착강관(49)의 주위의 서로정반대가 아닌 2개소를 프레스형에 의해 코킹해서, 알루미늄증착강관(49)을 가공해서 이루어진 휜(43)을 유리관히터(41)의 유리관(48)에 고정하는 동시에 방열부(42)를 형성한다.
다음에 휜(43)의 외주표면에 유리질피막(44)을 도포·소성에 의해 형성하고, 휜(4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45)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고, 유리질피막(44)이 형성되기 어려운 휜(43)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46)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과 팔라듐 기타를 볼밀에 의해서 충분히 혼합해서 슬러리를 조정하고, 이 슬러리를 유리질피막(44)의 표면에 도포·소성해서 촉매층(46)을 형성한다.
또한, 유리질피막(44)과 촉매층(46)의 도포에는, 스프레이법, 디프법등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부속부품에 대해서,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제1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1)의 부속부품과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0)은, 유리관히터(4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실리콘고무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캡이다. (51)은 바이메탈더어모이고, 리드선(52)에 의해 공기지화기의 탈취장치(40)의 전기저항선(47)의 타단부와 직렬로 접속된다. 바이메탈더어모(51)는 방열판(16)위에 나사고정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통전시에 이상전압등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가 이상 가열된 경우,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로부터의 발열온도를 감지하고, 촉매층이 이상온도가 되기전에 바이메탈더어모(451)에 의해 인가전압을 차단하고, 촉매성능의 열화를 방지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를 구비한 벽걸이형공기조화기에 대해서 설명하나, 종래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4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차(40)를 구비한 벽걸이형공기조화기의 개략 내부구성도, 제15도는 제14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14도, 제15도에 있어서, (53)은 공기의 흡입구(53a)가 형성된 앞면패널이고, 실내기본체(54)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는, 열교환기(26)와 송풍기(28)의 사이의 실내공기의 순환풍로속에서, 방열부(42)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르도록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방열부(42a)를 흡입구(53a)를 향해서 돌출시키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방열부(42b)를 송풍기(28)를 향해서 돌출시키고 배면패널(32)에 나사고정 등에 의해 배설되고, 배면패널(32)쪽에 방열판(16)을 가진다. (55)는 실내기본체(54)내부에 형성된 전송상자이고,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를 운전, 제어하는 제어회로(56)를 가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제어회로(56)에 대해서 제16도, 제1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제어회로(56)의 블록도,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제어회로(56)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제16도에 있어서, (57)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정지를 검출해서 신호 S21을 출력하는 운전검출수단이다. (58)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모드를 검출해서 신호 S22를 출력하는 운전모드 검출수단이다. (59)는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이고, 운전검출수단(5)으로부터의 신호S21과 운전모드검출수단(58)으로부터의 신호S22를 토대로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해서 신호S23을 출력한다. (60)은 난방운전검출수단이고, 운전검출수단(5)으로부터의 신호S21과 운전모드검출수단(58)으로부터의 신호S22를 토대로 난방운전중인지 아닌지 검출해서 신호S24를 출력한다. (61)은 제1타이머이고, 난방운전검출수단(60)의 출력신호S24를 입력해서 실내기의 난방운전중에 계시동작을 행하고, 실내기의 통산난방운전시간ta가 소정시간Ta를 경과하면, 통산운전시간ta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S25를 출력한다. (62)는 제2타이머이고,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59)의 출력신호S23의 입력 또는 제1타이머(61)의 출력신호S25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Tb 유리관히터(61)에 통전을 하는 신호S26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에 대해서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투입하면, 제1타이머(61)의 계시시간ta를 리세트한다(스텝 201).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난방운전되면, 운전검출수단이(57)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58)이 난방운전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2를 출력하고, 난방운전검출수단(60)이 난방운전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4를 제1타이머(61)에 출력하고, 제1타이머(61)가 계시동작을 개시한다(스텝 202를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20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시에는, 송풍기(28)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흡입구(53a)로부터 흡입되고, 필커(27), 열교환기(26)로 흘러서 불어내기출구(30)로부터 실내에 불어나온다.
이때, 열교환기(26)를 통과한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40)의 촉매층(46)에 접촉하고, 실내의 악취성분이 촉매층(46)속의 활성알루미나에 의해 흡착 탈취된다. 활성알루미나는 촉매층(46)을 다공질로 형성기키기 위한 담체이고, 염기성물질을 담지시킴으로써 산성물질을 흡착한다.
그리고, 제1타이머(61)의 계시시간ta가 소정시간Ta에 달할때가지의 동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난방운전중이면, 스텝 204, 스텝 205를 반복하고, 도중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난방운전을 정지했을때에는, 스텝 205를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206에서 제1타이머(61)의 계시동작을 정지하고, 스텝 202로 복귀한다.
그리고, 제1타이머(61)의 계시시간ta가 소정시간Ta에 달하면, 스텝 204를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207에서 제1타이머(61)가 계시시산ta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S25를 제2타이머(62)에 출력하고, 다음의 스텝 208에서 제2타이머(62)가 계시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유리관히터(41)에 통전을 하는 신호S26을 출력하고, 다음의 스텝 209에서 유리관히터(41)에의 통전이 행해진다.
이때, 유리관히터(41)의 전기저항선(47)이 발열하여 휜(43)이 가열되고, 촉매층(46) 속의 빅금족금속이 활성화하고 촉매층(46) 속의 활성알루미나에 흡착한 악취성분을, 백금족금 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해서 무취성분으로 한다. 휜(43)에 의해 가열된 활성알루미나는 흡착한 악취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다시 흡착능력을 회복한다.
그리고, 제2타이머(62)의 계시시간tb가 소정시간Tb에 달하면 스텝 210을 Yes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211에서 제2타이머(62)는 유리관히터(41)에의 통전을 종료시키고, 다음의 스탭 212에서 제2타이머(62)가 계시시간tb를 리세트하고 스텝 202로 복귀한다.
또, 스텝 202에서 실내기가 난방운전중이 아니고, 냉방운전중이면, 운전검출수단(57)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58)이, 냉방운전모드이것을 나타내는 신호S22를 출력하고, 난방운전검출수단(60)으로부터의 신호S24에 의해 제1타이머(61)는 계시시간ta를 리세트한다(스텝 202를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213을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214). 그리고 냉방운전이 끝나면, 운전검출수단(57)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정지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58)이 냉방운전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22를 출력하고,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59)은 운전검출수단(57)의 출력신호S21의 변화와 운전모드검출수단(58)의 출력신호S22에 의해,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해서, 냉방운전종료를 나타내는 신호S23을 제2타이머(62)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2타이머(62)는 신호S23에 의해 계시동작을 개시한다(스텝 215를 No쪽으로 분기하고, 스텝 216으로부터 스텝 209로 진행한다).
또, 스텝 213에서 실내기가 냉방운전중이 아니면, 스텝 213을 No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202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질피막(44)을 바깥쪽면에 형성한 휜(43)을 개재해서 유리관히터(41)에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46)을 형성했으므로, 비가열시의 활성알루미나에 의한 악취성분의 특히 산성물질의 흡착과, 가열시의 활성알루미나의 가열재생 및 악취성분의 촉매분해를, 교호로 반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악취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촉매층(46)의 무기바인더로서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활성알루미나에 대한 담지물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촉매활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촉매층(46)의 밀착성을 강고하게할 수 있다.
또, 방열부(42)를 가진 휜(43)의 바같족의 면에 촉매층(46)을 형성함으로써, 유리관히터(41)를 크게하는 일없이, 촉매층(46)의 표면적을 넓게할 수있고, 휜(43)에 의해 유리관히터(41)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알루미늄증착강은 고온시에서의 열팽창이 작고, 알루미늄증착강으로 휜(43)을 구성하면, 유리관히터(41)의 열에 의한 휜(43)의 열팽창으로부터 발행하는 유리질피막(44)의 균열이나 촉매층(46)의 균열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호층(45)을 휜(43)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유리질피막(44)의 형성되기 어려운 휜(43)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46)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또, 휜(43)을 알루미늄증착강관(49)으로 구성했으므로, 간단히 휜(43)을 유리관히터(41)의 유리관(48)에 고정할 수 있는 동서에 방열부(42)를 형성할 수있고 또 휜(43)의 내면과 유리관히터(41)의 표면을 밀착할 수있고, 유리관히터(41)의 열을 방열부(42)를 포함하는 휜(43)전체에 효율좋게 전할 수 있다.
또, 방열부(42)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르도록 바람이 불어오는족의 방열부(42a)를 흡입구(53a)를 향해서 돌출시키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방열부(42b)를 송풍기(28)를 향해서 돌출시켰으므로,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방열부(42a)와 바람이 불어가는 족의 방열부(42b)가 동일평면상에 위치시킨 것보다, 풍로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공기와 촉매층(46)의 접촉시간을 길게해서 양호하게 악취성분을 흡착할 수있다.
또, 냉방모드일때에는 냉방운전종료시에 유리관히터(41)에 통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냉방시의 온풍불어내기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19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는, 막대형상의 세라믹히터(64)와, 세라믹히터(64)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는 동시에 세라믹히터(64)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방열부(65)를 가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휜(66)과 휜(66)의 바깥쪽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유리질피막(67)과 휜(66)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피복하는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68)과, 유리질피막(67)의 위에 형성된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69)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기저항선을 세라믹에 의해서 포위한 막대형상의 세라믹히터(64)를 준비한다. 다음에 압출성형에 의해 제2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방열부(65)와, 세라믹히터(64)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70)을 가진 알루미늄제의 휜(66)을 제조하고, 휜(66)의 구멍(70)속에 세라믹히터(64)를 삽입한다.
다음에 휜(66)의 외주표면에 유리질피막(67)을 도포·소성에 의해 형성하고, 휜(66)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내열방청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68)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고, 유리질피막(67)이 형성되기 어려운 휜(66)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69)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과 팔라듐기타를 볼필에 의해서 충분히 혼합해서 슬러리를 조정하고, 이 슬러리를 유리질피막(67)의 표면에 도포·소성해서 촉매층(69)을 형성한다.
또한, 유리질피막(67)과 촉매층(69)의 도포에는, 스프레이법, 디프법등이 있다.
(71)은 세리믹히터(64)의 단자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를 구비한 덕트형공기조화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를 구비한 덕트형공기조화기의 개략구성도이다.
제21도에 있어서, (72)는 덕토형공기조화기의 실내기본체이고, 내부공간이 칸막이판(73)에 의해 흡입쪽공간(74)과 불어내기쪽공간(75)으로 칸막이되어 있고, 흡입쪽공간(74)에는 송풍기(76)가 그 불어내기부를 불어내기쪽공간(75)에 돌출해서 설치되고 불어내기쪽공간(75)에는 열교환기(77)와 열교환기(77)의 아래쪽에 드레인팬(78)이 설치되어 있다.
(79)는 흡입덕트이고, 일단부가 흡입쪽공간(74)에 연통하고, 타단부가 실내(80a),(80b)에 각각 분기흡입덕트(79a),(79b)를 개재해서 연통하고 있다. (81)은 불어내기덕트이고, 일단부가 불어내기쪽공간(75)에 연통하고, 타단부가 실내(80a),(80b)에 각각 분기불어내기덕트(81a),(81b)를 개재해서 연통하고 있다. (82a),(82b)는 분기불어내기덕트(81a),(81b)에 설치되는 댐퍼이고, 각각 도시하지 않은 풍량제어장치에 의해 실내(80a),(80b)에 불어내는 풍량을 조절한다. (63a),(63b)는 분기흡입덕트(79a),(79b)에 도시하지 않은 장착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이고, 부호(63)에 첨자 a,b를 붙여서 실내(80a)용과 실내(80b)용을 구별하고 있다. (83)은 실내기본체(72)내부에 설치된 전송상자이고,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a),(63b)를 운전제어하는 제어회를 가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의 제어회로에 대해서 제22도, 제2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2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의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23도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의 제어회로의 제어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제22도에 있어서, (84)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정지를 검출해서 신호 S31을 출력하는 운전검출수단이다. (8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모드를 검출해서 신호 S32를 출력하는 운전모드검출수단이다. (86)은 난방운전모드검출수단, 운전모드검출수단(84)으로부터의 신호 S31과 운전모드검출수단(85)으로부터의 신호 S32를 토대로 난방운전중인지 어떤지 검출하고, 난방운전중에는 신호 S33을 계속 출력한다. (87)은 제습운전모드검출수단, 운전검출수단(84)으로부터의 신호 S31과 운전모드검출수단(85)으로부터의 신호 S32를 토대로 제습운전중인지 어떤지 검출하고, 제습운전중에는 신호 S34를 계속 출력한다. (88)은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이고, 운전검출수단(84)으로부터의 신호 S31과 운전모드검출수단(85)으로부터의 신호 S32를 토대로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해서 신호 S35를 출력한다. (89)는 타이머이고,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88)의 출력신호 S35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 TC신호 S36을 계속 출력한다. (90)은 통전수단이고, 난방운전검출수단(86)의 신호 S33또는 제습운전모드검출수단(87)의 신호 S34 또는 타이머(89)의 신호 S36의 어느하나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만 신호 S37을 출력해서 세라믹히터(64)에 통전을 행한다. (91)은 제어회로이고, 운전검출수단(84)과 운전모드검출수단(85)과 난방운전검출수단(86)과 제습운전검출수단(87)과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88)과 타이머(89)와 통전수단(90)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에 대해서 이하에 그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전원을 투입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난방운전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85)이 난방운전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S32를 출력하고, 난방운전검출수단(86)이 신호S33을 통전수단(90)에 출력하고, 통전수단(90)이 신호S37을 출력해서 세라믹히터(64)에 통전을 행한다(스텝 301을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30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시에는 송풍기(76)에 의해 실내(80a),(80b)의 공기는 분기흡입덕트(79a),(79b)와 흡입덕트(79)를 통과하고, 열교환기(77)에 의해서 열교환되고 불어내기덕트(81)와 분기불어내기덕트(81a),(81b)를 통과하고, 댐퍼(82a),(82b)에 의해서 풍량조정되고, 실내(80a),(80b)에 불어나온다.
난방운전시에는, 세라믹(64)의 전기저항선이 발열하여 휜(66)이 가열되고, 촉매층(69)속의 백금족금속이 활성화하고, 촉매층(69) 속의 활성알루미나에 흡착한 악취성분을, 백금족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해서 무취성분으로 한다. 휜(66)에의해 가열된 활성알루미나는, 흡착한 악취성분이 제거된다. 또, 분기흡입덕트(79a),(79b)를 통과하는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가열된 촉매층(69)에 접촉하여 백금족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된다.
그리고, 난방운전이 종료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정지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난방운전검출수단(86)이 신호S33의 출력을 정지하고, 통전수단(90)이 신호S37의 출력을 정지해서 세라믹히터(64)에의 통전을 종료하고(스텝 303을 No족으로 분기하여 스텝 304), 스텝 301로 복귀한다.
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제습운전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85)이, 제습운전모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2를 출력하고, 제습운전검출수단(87)이 신호34를 통전수단(90)에 출력하고, 통전수단(90)이 신호S37을 출력해서 세라믹히터(64)에 통전을 행한다(스텝 301을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305를 Yes쪽으로 분기해서 스텝 302).
제습운전시에는, 세라믹(64)의 전기저항선이 발열하여 휜(66)이 가열되고, 촉매층(69)속의 백금족금속이 활성화하고, 촉매층(69) 속의 활성알루미나에 흡착한 악취성분을, 백금족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해서 무취성분으로 휜(66)에 의해 가열된 활성알루미나는, 흡착한 악취성분이 제거된다. 또, 분기흡입덕트(79a),(79b)를 통과하는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가열된 촉매층(69)에 접촉하여 백금족금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된다.
그리고, 제습운전이 종료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정지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제습운전검출수단(87)이 신호S34의 출력을 정지하고, 통전수단(90)이 신호S37의 출력을 정지해서 세라믹히터(64)에의 통전을 종료하고(스텝 303을 No쪽으로 분기하여 스텝 304), 스텝 301로 복귀한다.
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냉방운전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운전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운전모드검출수단(85)이 냉방운전모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2를 출력한다(스텝 301을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305을 No쪽으로 분기하고 다음의 스텝 306을 Yes쪽으로 분기).
냉방운전시에는 분기흡입덕트(79a),(79b)를 통과하는 악취성분을 함유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63a),(63b)의 촉매층(69)에 접촉하고, 실내의 악취성분이 촉매층(69) 속의 활성알루미나에 의해 흡착탈취된다. 활성알루미나는 촉매층(69)을 다공질로 형성기키기 위한 담체이고, 염기성물질을 담지시킴으로써 산성물질을 흡착한다.
그리고, 냉방운전이 종료하면, 운전검출수단(84)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정지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S31을 출력하고,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88)이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해서 신호S35을 타이머(89)에 출력하고, 타이머(89)는 신호S35의 입력에 의해 계시시간tc를 리세트한후, 계시동작을 계시하는 동시에 신호S36을 출력한다(스텝 307을 No쪽으로 분기하여 스텝 308). 다음에,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88)의 신호S36에 의해 통전수단(90)이 신호S37을 출력해서 세라믹히터(64)에 통전을 행한다(스텝 309).
이때, 세라믹히터(64)의 전기저항선이 발열하여 휜(66)이 가열되고, 촉매층(69) 속의 백금족금속이 활성화하고, 촉매층(69) 속의 활성알루미나에 흡착한 악취성분을, 백금족금 속의 촉매작용에 의해, 산화분해해서 무취성분으로 한다. 휜(66)에 의해 가열된 활성알루미나는 흡착한 악취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다시 흡착능력을 회복한다.
그리고, 타이머(89)의 계시시간tc가 소정시간Tc에 달하면 타이머(89)는 신호S36의 출력을 정지하고, 통전수단(90)이 신호 S37의 출력을 정지해서 세라믹히터(64)에의 통전을 종료하고(스텝 310을 Yes쪽으로 분기하고 스텝 311), 스텝 301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질피막(67)을 바깥쪽면에 형성한 휜(66)을 개재해서 세라믹히터(64)에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층(69)을 형성했으므로, 비가열시의 활성알루미나에 의한 악취성분의 특히 산성물질의 흡착과 가역시의 활성알루미나의 가열재생 및 악취성분의 촉매분해를, 교호로 반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악취를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촉매층(69)의 무기바인더로서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활성알루미나에 대한 담지물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촉매활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촉매층(69)의 밀착성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방열부(65)를 가진 휜(66)의 바깥쪽의 면에 촉매층(69)을 형성함으로써, 세라믹히터(64)를 크게하는 일없이, 촉매층(69)의 표면적을 넓게할 수 있고, 또 휜(66)에 의해 세라믹히터(64)를 보호할 수있다.
또,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매우 좋기 때문에, 촉매층(69)을 가열하는데 유리하고, 압출성형이 가능하므로 알루미늄으로 휜(66)을 구성하면, 휜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보호층(68)을 휜(66)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유리질피막(67)이 형성되기 어려운 휜(66)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촉매층(69)에 의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냉방모드일때에는 냉방운전종료시에 세라믹히터(64)에 통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냉방시의 온풍불어내기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 난방운전시와 제급운전시에는 제라믹히터(64)를 연속통전하므로, 난방운전시 난방불어내기온도를 올릴수 있고, 제습운전시에는 실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흡입덕트(79a),(79b)에 탈취장치(63a),(63b)를 설치했으므로, 흡입덕트(79)와 공기조화기본체(72)의 흡입쪽공간(74)과 불어내기쪽공간(75)과 불어내기덕트(81)와 분기불어내기덕트(81a),(81b)에 악취성분이 흐르거나, 악취성분이 배어들거나 하지 않고, 실내(80a)의 악취성분과 실내(80b)의 악취성분의 혼합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없다.
또, 세라믹히터는 여러 가지형상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자유도가 높은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를 얻을 수있다.

Claims (27)

  1. 히터와 상기 히터의 표면의 유효발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히터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방열부를 가진 휜과, 상기 휜의 바깥쪽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유리질피막과, 공기중의 악취성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가열되면 흡착한 악취성분을 탈착하는 흡착체와, 가열되면 악취성분을 산화분해시키는 촉매를 함유하여 상기 유리질피막의 위에 형성된 촉매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전기저항체를 내장한 금속관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전기저항체를 내장한 유리관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터는 전기저항체를 내장한 세라믹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휜은 알루미늄증착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휜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휜은 금속제의 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휜은 금속판의 서로 마주보는 변을 용접시킨 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휜과 상기 허터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를 상기 휜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상기 휜의 용접한 부분을 상기 공간부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휜은 코킹에 의해 상기 히터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휜의 긴쪽방향을 따른 방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2개소 형성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양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휜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과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바람방향의 차이에 맞추어서 상기 휜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방열부와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방열부의 돌출방향을 바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질피막이, 조직이 비교적 치밀한 하층과 비교적 성긴 상층의 2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이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백금족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이 적어도 활성알루미나와 실리카와 제올라이트와 백금족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이,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의 층은 안쪽의 층보다 백금족금속을 함유하는 비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촉매층이 직접 상기 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을 휜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또, 상기 허터의 양단부에 서치한 절연캡과, 상기 히터의 발열부 근처에 설치한 방열판고, 상기 절연캡을 개재해서 상기 히터와 상기 발열판을 고정하는 장착부재와, 방열판위에 위치하고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배설된 온도차단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단기는 바이메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단기는 바이메탈과 퓨즈의 직렬회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일단부가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또, 실내기의 운전,정지를 검출하는 운전검출수단과, 상기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실내기의 운전중에 계시동작을 행하고, 상기 실내기의 통산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통산운전시간을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와, 상기 제1타이머의 출력신호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 상기 히터에 통전을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또, 실내기의 운전,정지를 검출하는 운전검출수단과, 난방운전과 냉방운전을 검출하는 운전모드검출수단과,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모드검출수단의 난방운전신호를 입력하고, 난방운전의 개시·정지를 검출하는 난방운전검출수단과, 상기 난방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실내기의 난방운전중에 개시동작을 행하고, 상기 실내기의 통산난방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통산운전시간을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와,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모드검출수단의 냉방운전신호를 입력하고,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하는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과, 상기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제1타이머의 출력신호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 상기 히터에 통전을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또, 실내기의 운전, 정지를 검출하는 운전검출수단과, 난방운전과 냉방운전 및 제습운전을 검출하는 운전모드검출수단과,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모드검출수단의 난방운전신호를 입력하고, 난방운전의 개시·정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난방운전중에 신호를 출력하는 난방운전검출수단과,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모드검출수단의 냉방운전신호를 입력하고, 냉방운전의 종료를 검출하는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과,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모드검출수단의 제습운전신호를 입력하고, 제습운전의 개시·정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제습운전중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습운전검출수단과, 상기 냉방운전종료검출수단의 출력신호의 입력에 의해 소정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난방운전검출수단, 상기 제습운전검출수단 및 상기 타이머의 출력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허터에 통전을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통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또, 실내의 냄새를 검출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실내기내에 설치되고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단독운전을 포함한 상기 실내기의 운전, 정지를 검출하는 운전검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정지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실내기의 정지중에 상기 센서수단이 실내의 냄새를 검출했을때에 상기 팬모터를 운전하는 팬모터제어수단과 상기 운전검출수단의 운전신호를 입력해서 상기 실내기의 운전중에 개시동작을 행하고, 상기 실내기의 통산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통산운전시간을 리세트하는 동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와, 상기 제1타이머의 출력신호의입력에 의해 소정시간 상기 히터에 통전을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KR1019940006875A 1993-04-02 1994-04-01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KR0148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76639A JPH06288568A (ja) 1993-04-02 1993-04-02 脱臭ヒータユニット
JP93-76639 1993-04-02
JP93-87138 1993-04-14
JP08713893A JP3231464B2 (ja) 1993-04-14 1993-04-14 脱臭ヒータ
JP93-290817 1993-11-19
JP5290817A JPH07136460A (ja) 1993-11-19 1993-11-19 脱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841B1 true KR0148841B1 (ko) 1998-11-02

Family

ID=2730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875A KR0148841B1 (ko) 1993-04-02 1994-04-01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47693A (ko)
KR (1) KR0148841B1 (ko)
TW (1) TW228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899B1 (en) 1995-01-20 2003-02-11 Engelhard Corporation Catalyst and adsorption compositions having adhesion characteristics
US20030166466A1 (en) * 1995-01-20 2003-09-04 Hoke Jeffrey B. Catalyst and adsorp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dhesion characteristics
EP0804274B1 (en) 1995-01-20 2002-04-17 Engelhard Corporation Pollutant treating device located in vehicle compartment for cleaning ambient air
US6200542B1 (en) 1995-01-20 2001-03-13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he atmosphere
US6818254B1 (en) 1995-01-20 2004-11-16 Engelhard Corporation Stable slurries of catalytically active materials
US6214303B1 (en) 1995-01-20 2001-04-10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he atmosphere
DE19546061C5 (de) * 1995-12-09 2008-02-28 Schröder, Werner Verfahren zur Abluftreinigung
US5997831A (en) 1996-07-12 1999-12-07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of catalytically treating the atmosphere and heat exchange devices produced thereby
US5765751A (en) * 1996-07-26 1998-06-16 Ceramatec, Inc. Controlled release of volatile substances
US5932204A (en) * 1996-07-26 1999-08-03 Ceramatec, Inc. Controlled release of substances
US6280691B1 (en) 1997-03-31 2001-08-28 Alliedsignal Inc.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6156283A (en) 1998-03-23 2000-12-05 Engelhard Corporation Hydrophobic catalytic material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IT1313122B1 (it) * 1999-08-26 2002-06-17 Beghelli Spa Impianto di condizionamento auto igienizzante e procedimento diigienizzazione ad esso relativo
US6804458B2 (en) * 2001-12-06 2004-10-12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heater arranged to vaporize fluid in fluid passage between bonded layers of laminate
JP4531571B2 (ja) * 2005-01-04 2010-08-25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抗菌剤を封入した容器の固定機構及びその容器
US20100111755A1 (en) * 2007-04-13 2010-05-06 The Dial Corporation Air treatment device utilizing a sensor for activation and operation
US8278363B2 (en) * 2009-03-23 2012-10-02 Thomas Charles Holcombe Fischer-tropsch reactions using heat transfer tubes with a catalyst layer on the outside surfaces
JP5434614B2 (ja) * 2010-01-14 2014-03-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5453490B2 (ja) 2011-12-21 2014-03-26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除湿と離脱装置及びシステム
US9539356B2 (en) 2014-06-12 2017-01-10 Mason Edward Eike Inline air treatment device
WO2016049326A1 (en) 2014-09-24 2016-03-31 Intellergy, Inc. Compact and maintainable waste reformation apparatus
DE102015224660A1 (de) * 2015-12-09 2017-06-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 dessen Verwendung
WO2021076596A1 (en) * 2019-10-14 2021-04-22 Bluezone Ip Hold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treatment employing catalys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8432A (en) * 1957-10-21 1961-06-13 Gen Motors Corp Odor destroyer
CH521131A (de) * 1969-07-03 1972-04-15 Danfoss As Luftbehandlungsvorrichtung
US3779710A (en) * 1971-03-22 1973-12-18 Smokontrol Corp Air cleaning apparatus
JPH01169247A (ja) * 1987-12-24 1989-07-04 Sharp Corp オゾン発生装置付空気調和機
CN1013426B (zh) * 1988-02-22 1991-08-07 东芝株式会社 冰箱的脱臭装置
US5278113A (en) * 1991-03-08 1994-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talytic bod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291742A (en) * 1991-03-11 1994-03-08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Deodoriz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2545668B2 (ja) * 1991-05-23 1996-10-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冷蔵庫用殺菌及び脱臭装置
US5347820A (en) * 1993-08-10 1994-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deodo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7693A (en) 1995-09-05
TW228566B (en) 199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841B1 (ko) 공기조화기의 탈취장치
DK2033664T3 (en) sterilization process
AU2001280189B2 (en)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EP1450112B1 (en) A humidifying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humidifying unit
JP2012229840A (ja) 空気処理装置
JP5928229B2 (ja) 脱臭機
JP2012037170A (ja) 加湿機能付脱臭装置
JPH07136460A (ja) 脱臭装置
JP3141659B2 (ja) 脱臭ユニットおよび脱臭機能付空気調和機
JP5555202B2 (ja) 空気処理装置
JP3231464B2 (ja) 脱臭ヒータ
JP3263547B2 (ja) 空気調和機
JPH10246512A (ja) 脱臭機能付温風暖房機
JP2555661Y2 (ja) 除霜用管状ヒータ装置
AU2006200626B2 (en) Air refining device and ion generator used for the device
JP3141658B2 (ja) 脱臭機能付空気調和機
JP3024477B2 (ja) 温風脱臭装置
JPH07147185A (ja) 脱臭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8568A (ja) 脱臭ヒータユニット
JPH07313842A (ja) 脱臭装置
JPH05280763A (ja) 脱臭装置付空気調和機
JP2639196B2 (ja) 靴乾燥機
JPH1043280A (ja) 脱臭装置
JPH09159198A (ja) 脱臭機能付空気調和機
JP2000254433A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