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421B1 - 영구적인 수습윤성 가황고무를 얻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구적인 수습윤성 가황고무를 얻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421B1
KR0147421B1 KR1019940700470A KR19940700470A KR0147421B1 KR 0147421 B1 KR0147421 B1 KR 0147421B1 KR 1019940700470 A KR1019940700470 A KR 1019940700470A KR 19940700470 A KR19940700470 A KR 19940700470A KR 0147421 B1 KR0147421 B1 KR 014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s
component
radical
general formula
hydrophilic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테프 미카엘
헤프너 하인즈
후버 페테르
무엘러 요한
쉬미들코페르 리차드
가르함메르 아르놀드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랑크
와커 헤미 게엠베하
칼-하인즈 림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랑크, 와커 헤미 게엠베하, 칼-하인즈 림뵉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랑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90Compositions for taking dental impres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alkoxy or aryl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hal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폴리실록산 조성물과 귀금속촉매로 구성하는 성분(A)과,
Si-H 기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지방족 2중결합을 부가하는 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B)와,
귀금속 촉매를 포함하지 않으며(폴리)실록산 매트릭스에 결합하는 일킬렌 에테르 단위와, 성분(A)에 포함하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i) 또는 성분(B)에 포함되는 지방족 2중결합을 매트릭스로 구성하는 친수성 변성제로 구성한다.
그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치과용 치형(齒型) 조성물(dental impression composition)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영구적인 수 습윤성(water-wettable)가황고무를 얻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이 발명은 가황후 영구적인 수 습윤성 엘라스토머(permanently water-wettable elastomers)를 얻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그 폴리실록산 조성물에 쓰이는 친수성 변성제(modifier)의 제조방법 및 치과용치형(齒型)조성물(dental impre ssion composition)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가황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치과용 치형조성물로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대 부가-가교계(addition-crosslinking systems)가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신속하게 결합되어 축합-가교계와는 달리 문제가 있는 촉매를 다량으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수성 폴리실록산을 기재로한 실리콘치형조성물(silicone impression preparations)의 가장 중요한 결점은 구강(oral cavity)내에서 조직, 치아 또는 의치(dental prosthesis)등 수분표면상에서 정밀한 치형의 가능성이 희박한 점에 있다.
그 이유는 물의 표면장력이 높기 때문이다.
그 수분함량은 포면적이 최저인 형상을 갖고저한다.
따라서, 그 수분은 치형형성면과 치형조성물 사이에 액적(drop)형상으로 된다.
표면활성치형조성물에 의해 그 수분함량이 치형형성면상에 분산되어 수분박층필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그 치형내의 간극(hollow cavities)을 방지하며 그 표면구조를 정밀하게 재생시킨다.
폴리실록산조성물과 비교적 분자량이 낮은 계면활성제를 혼합시켜 얻어진 수 습윤성실리콘치형조성물의 제조는 공지되어 있다.
노닐폐녹시폴리(에틸렌옥시)에타놀의 사용은 참고문헌(K.B.Norling, M.H.Reisbick;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42, 342-347, 1979)에 기재되어 있으며, 단백질, 친수성실리콘 오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특허문헌 DE-A-3721784(S.Futami and S.Terauchi, 1988. 1. 21 공개, G-C Dental Industrial Corp, Tokyo, JP)에 기재되어 있고, 폴리실록산조성물에 알킬렌에테르기를 가진 실록산 성분의 사용은 특허문헌 EP-A-231 420(H. Gribi; 1987, 8, 12 공개, Dentsply GmbH, Konstanz, DE)에 기재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치형조성물은 그 계면활성제가 때때로 그 치형조성물에서 분리되어 그 표면으로 침출(migrate)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 그 치형조성물에서 결합이 빈약하여 수용성매체과 접촉할때 추출되는 결점이 있다.
위에서 최종의 경우, 그 수분표면에서 제거한 후 실리콘치형조성물의 재생할 수 있는 수 습윤성(wetting properties)등의 바람직한 처리목적을 달성되기에 앞서, 수 습윤성(water-wettability)은 예로서 수세정, 소독, 멸균, 수분을 함유한 치형조제물, 예로서 석고에 의한 복제물의 제조에 의해 상실된다.
물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에 용해한 오르가노실록산/알킬렌 에테르 코폴리머는 특허문헌 DE-A 1519412(E.L. Morehouse; 1970. 5. 21 공개; Union Carbide CorP. Newyok가, USA)에서 흐름방지제(anti-fogging agents)로서 알려져 있다.
이 코폴리머는 지방족 2중결합 또는 Si-H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해, 알릴말단기함유 알킬렌에테르기를 백금촉매의 존재하에 히드로실릴화반응(hydrosilylation)에서 디클로로메틸실란과 반응시킨다.
그 다음 그 생성물을 비닐기, Si-H기, 클로린 및 메틸기를 포함한 실란과 가수 분해시켜 그 코폴리머를 얻는다.
특허문헌 EP-A 231 420의 실리콘 치형조성물에서는 폴리에테르 단위와 폴리실록산조성물 중 1성분의 결합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영구적인 수 습윤성가황고무(permanently water-wettable vulcanizates)는 가교시키는 폴리에테르단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EP-A 231 42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습윤성(wettability)를 향상하며 폴리실록산조성물과 혼합할 수 있는 알킬렌에테르기를 가진 실록산성분과 특허문헌 DE-A-15194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친수성변성제로서 폴리실록산에서 가교시킬 수 있는 알킬렌에테르단위를 가진 폴리실록산은 그 제조결과 일정함량의 귀금속촉매를 가진다.
또, 종래에 제조가 가능하였던 2중결합 함유친수성 변성제는 소량의 Si-H 기를 포함하며, 종래에제조가 가능하였던 Si-H 기 포함 친수성변성제는 소량의 2중결합을 포함한다.
위 공지의 코폴리머를 친수성 변성제로 사용할때 위에서 설명한 여러가지의 결점때문에, 그 코폴리머는 지방족 2중결합과 귀금속촉매를 가진 폴리실록산 조성물을 가진 2성분러버 구성요소(A) 또는 Si-H 기를 가진 폴리실록산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B)를 가진 저장안정성 혼합물을 얻지 못한다.
모든 경우, 가황고무의 함유량은 저장중에 생성된다.
3성분 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실제로 사용할때 처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 친수성 변성제의 분리저장은 만족스러운 용액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발명은 영구적인 수 습윤성 탄성가황고무를 얻는 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조성물의 2성분은 저장시에 조기가황(premature vulcanization)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다.
이 발명은 영구적인 수 습윤성 탄성가황고무를 얻으며,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폴리실록산 조성물과 귀금속촉매로 구성되는 성분(A)와, Si-H 기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추가로 지방족 2중 결합을 가진 폴리실록산 조성물로 구성되는 성분(B)와, 귀금속촉매를 포함하지 않으며(폴리)실록산매트릭스에 화학결합한 알킬렌에테르단위와 성분(A)에 포함되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 (i) 및/또는 성분(B)에 포함되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 및/또는 Si-H 기(ii)를 가진 (폴리)실리콘매트릭스로 구성되는 친수성 변성제로 이루어지는 저장안정성폴리실록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2성분계에서, 그 가황에 필요한 귀금속촉매를 성분(A)의 폴리실록산 조성물에 혼합한다.
성분(B)와 그 촉매조성물에 지방족 2중결합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도, 성분(B)가 그 촉매를 구성할때 만족할만한 저장안정상이 있는 폴리실록산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Si-H 기 함유 친수성 변성제는 또 저장시에 성분(B)에만 혼합할 수 있다.
Si-H 기를 포함하며 이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친수성 변성제는 저장안정성성분(B)를 얻는다.
이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지방족 2중결합을 포함하는 친수성 변성제는 또 귀금속 촉매를 포함하지 않기때문에 성분(B)에 혼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성분(B)에서의 지방족 2중결합의 함량에 의해 장해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친수성 변성제는 Si-H 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성분(A)에 혼합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성분은 지방족 2중결합을 포함하는 친수성변성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은 가황전후에 수 습윤성이 극히 양호하다.
그 가황고무(vulcanizates)의 습윤성은 수액계(aqueous ststem)와 비교적 장기간 접촉한 후, 예로서 멸균후에도 실제로 변화가 없다.
그 친수성 변성제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 단독을 포함하며 성분(B)와 성분(A)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에서 친수성 변성제의 전량 및 이것에 의한 그 친수성의 성질은 분리현상의 발생없이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성분에 있어서 친수성 변성제를 균일하게 하며 동일 농도에서 있도록 할 수 있는 또 다른 잇점이 있다.
이것은 부착식 고정믹서를 장치한 2중-체임버 카트리지(cartridges)등 최신식 처리장치타입을 사용할때 혼합시간이 극히 짧기때문에 대단히 우수하다.
이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폴리실록산 조성물에 있어서 그 친수성 변성제는 다음 일반식(I)를 가진다.
위 식에서, 래디컬 R 은 수소원자 또는 같거나 다르며 SiC 로 결합한 1가의 선팩적으로 할로겐치환시킨 C₁-C12수소래디컬로, 그 래디컬 R 중 최소한 하나는 지방족 2중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소원자이고;
R1은 다음 일반식(II)를 나타낸다.
여기서 E 는 단결합 또는 C₁-C16킬래디컬이며, Y 는 같거나 다른 C₁-C₄-알킬렌래디컬이고, R2는 히드록시기 또는 C₁-C6-알콕시래디컬 또는 C₁-C6-옥시카르보닐알킬래디컬이며 x 는 1-20이고;
Z는 R2의 정의를 갖거나 할로겐원자이다.
단, a, b, c 및 d 는 각각의 경우 서로 각각 0-8이며, a+b+c+d 의 합은 2-8이고, a+b+c+d+e+f+g+h+i 의 합은 10-400이며, a+b+f+g+h : b+d+e+i 의 합의 비는 10 0:1-1:1 이다.
래디컬 R 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및 t-펜틸래디컬, n-헥실래디컬등 헥실래디컬, n-헵틸래디컬 등 헵틸래디컬, n-옥틸래디컬 및 2,2,4-트리메틸펜틸래디컬등의 이소-옥틸래디컬등 옥틸래디컬, n-노닐래디컬등 노닐래디컬, n-데실래디컬 등 데실래디컬, n-도데실래디컬등의 도데샐래디컬등 알킬래디컬: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래디컬 및 메틸시클로헥실래디컬 등 시클로알킬래디컬; 페닐 및 나프틸래디컬등 아릴래디컬;
o-, m- 및 p-톨릴래디컬, 키실릴래디컬 및 에틸페닐래디컬 등 알카릴래디컬; 벤질래디컬 및 α- 및 β-페닐에틸래디컬등 아랄킬래디컬이 있다.
적합할 경우, 위 래디컬 R 에는 지방족 2중결합이 포함되어 있다.
예로는 비닐, 알릴, 5-헥센-1-일, E-4-헥센-1-일, Z-4-헥센-1-일, 2-(3-시클로헥세닐)-에틸 및 시클로도데카 4,8-디에닐래디컬 등 알케닐 래디컬이 있다.
할로겐 치환 C₁-C12탄화수소래디컬의 예로는 3,3,3-트리플로루오로-n-프로필래디컬, 2,2,2,2'2,'2'-헥사플루오로 이소프로필 래디컬 및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 래디컬등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및 요오드원자에 의해 치환된 알킬래디컬 및 o-, m-및 p-클로로페닐래디컬 등 할로게노아릴래디컬이 있다.
지방족 2중결합이 없는 바람직한 래디컬 R 에는 메틸 및 페닐래디컬이 있다.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바람직한 래디컬 R 에는 비닐, 알릴 및 5-헥센-1-일 래디컬이 있다.
알킬렌래디컬에는 알킬래디컬의 탄소원자의 2개 결합에 의해 친수성변성제에 결합된 2가의 직쇄 또는 분가-사슬알킬래디컬이 있다.
알콕시래디컬에는 산소원자에 의해 결합된 직쇄-또는 분기-사슬알킬래디컬이 있다.
옥시카르보닐알킬래디컬에는 직쇄-또는 분기-사슬알킬래디컬을 가진 카르복실산 래디컬이 있다.
알킬래디컬의 위 예에는 위에서 설명한 알킬렌, 알콕시 및 옥시카르보닐알킬래디컬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한 알킬렌, 알콕시 및 옥시카르보닐알킬래디컬은 탄소원자 1-3 개를 가진다.
큰값 f 와 작은 값 e 및 x 는 폴리실록산조성물과 친수성 변성제의 혼합성(miscibility)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친수성 변성제는 성분(A) 및 성부(B)와 잘 혼합되어 a+c+f+g+h: x(b+d+e+i)의 비가 60:40~90:10 (x 는 3~10 이 바람직함)일 경우 폴리실록산조성물에 양호한 수 습윤성(water-wettability)을 준다.
그 변성제의 실록산매트릭스의 분기도(degree of branching)를 비교적 낮게 유지시킬 경우, 즉, f0.8(f+g+h+i) 및 e?0.6(d+e+i), b,c,d,g,h 및
i0.2(a+b+c+d+e+f+g+h+i), 특히 0.1(a+b+c+d+e+f+g+h+i), 바람직하게는 실록산 매트릭스에서 말단기의 반이상 래디컬 R 단독을 가질 경우, 즉
a0.5(a+b+c+d), 특히 a0.6(a+b+c+d)일때 친수성변성제와 폴리실록산조성물의 혼합성은 특히 양호하다.
그 친수성변성제는 처리특성이 양호하다. 즉,
a+b+c+d+e+f+g+h+i 의 합이 10~400, 바람직하게는 10~220, 특히 20-160 일 경우 그 친수성변성제는 폴리실록산조성물과 신속하게 균질하게 혼합할 수 있다.
제조결과, 그 친수성변성제는 종종 소량의 래디컬 Z(히드록시기를 나타냄)를 포함한다.
그 친수성변성제가 Si-H 기를 포함하거나, Si-H 기 함유성분(B)에 혼합될 경우, c+d 는 그 저장안정성을 주는 수소의 방출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0.2(a+b+c+d+e+f+g+h+i)로 된다.
가수분해할 수 있는 기 Z 는 실록산단위 10% 이하, 즉 c+d0.2(a+b+c+d+e
+f+g+h+i)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는 SiC-결합 C₁-C6-알킬래디컬, 특히 메틸래디컬 및/또는 페닐래디컬을 포함하며, 분자당 지방족 2중결합을 포함하는 최소한 2개의 C₁-C6-알케닐래디컬을 가진 폴리실록산의 조성물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케닐래디컬은 비닐래디컬 및 알릴래디컬이다.
한 분자에는 10개 이하의 알케닐래디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의 폴리실록산의 사슬길이는 분자당 2000 개의 Si 단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 말단의 말단비닐기와 사슬길이 40-1200Si 단위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25℃의 점도는 35~100,000mm²/s 가 바람직하고 특히 500-10,000mm²/s 가 바람직하다.
성분(A)는 거의 Si-H 기를 포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귀금속촉매가 포함하여도 저장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가황고무를 생성하지 않는다.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조성물의 성분(A)은 가황에 쓰이는 귀금속촉매로서 백금금속류 및/또는 그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백금 및/또는 그 화합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H 기를 지방족불포화합물에 부가시켜 종래에 사용되었던 모든 촉매를 여기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촉매의 예에는 실리콘디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또는 활성탄(active charcoal)등 담체로 할 수 있는 금속 또는 미분상 백금; Ptcl4, H2PtCl6·6H2O 및 Na2PtVCl4·4H2O의 백금할라이드, 백금-올레핀착체, 백금-알코올착체, 백금-알코올레이트착체, 백금-에테르착체, 백금-알데히드 착체, H2PtCl6·6H2O 및 시클로헥사논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백금-케톤착제, 백금-비닐실록산착체, 특히 일정함량의 검출할 수 있는 무기결합할로겐을 갖거나 갖지 않은 백금-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착제, 비스(감마-피클린)-백금디클로리드, 트리메틸렌디피리딘-백금디클로리드, 디시클로펜타디엔백금디클로리드, 디메틸설폭시디에틸렌백금(II) 디클로리드, 올레핀과 제1아만 또는 제2아만 또는 제1아민 및 제2아민과 백금테트라클로리드의 반응생성물(예로서, sec-부틸아민과 1-옥텐에 용해시킨 백금테트라클로리드의 반응생성물), 또는 특허문헌 EP-B 110 370 에 의한 암모늄-백금착체등 백금의 화합물 또는 착체가 있다.
그 백금촉매는 각각의 경우 원소백금으로 계산하고 성분(A)와 성분(B)가 존재한 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0.5~500Wtppm, 특히 2-400wtppm 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위 백금촉매는 사전가교를 방지하여 엘라스토머를 얻는 억제제(금지제)를 성분(A) 및/또는 성분(B)에 첨가시켜야 하는 범위내에서 활성이다.
이와같은 억제제는 예로서 특허문헌 EP-B 110 370 에 의한 암모늄-백금착체를 사용할 경우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얼제제는 공지되어 있고, 예로서 특허문헌 미국특허제 3,993,88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촉매의 예로는 3-메틸-1-부틴-3-올, 1-에티닐시클로헥산-1-올, 3,5-디메틸-1-헥신-3-올 및 3-메틸-1-펜틴-3-올 등 아세틸불포화 알코올이 있다.
비닐실록산기재 억제제의 예로는 1,1,3,3--테트라메틸-1,-디비닐실록산, 비닐기 함유 폴리-, 올리고 및 디실록산이 있다.
성분(B)는 SiC-결합 C₁-C6-알킬래디컬, 특히 메틸래디컬 및/또는 페닐래디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당 최소한 3개의 Si-H 기를 가진 폴리실록산의 조성물을 구성한다.
한 분자에는 5개 이하의 Si-H 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B)의 Si-H 기를 가진 폴리실록산의 사슬길이는 분자당 1000개의 Si단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25℃의 점도는 20~50,000mm²/s, 특히 100~5000mm²/s이 바람직하다.
성분(B)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폴리실록산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분(A)의 폴리실록산과 동일한 성질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와 성분(B)는 위 성분이외에 석영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 규조토, 칼슘실리케이트, 지르코늄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등 몬트모릴로나이트, 소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 몰리큐러시브(moleular sieves)를 포함하는 제오라이트, 알루미늄 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또는 그 혼합산화물 등 금속산화물분말, 바륨설페이트, 칼슘카르보네이트, 석고, 글라스파우더 및 분말플라스틱 등 비보강필러의 필러, 즉 BET 표면적 50m²/g 까지를 가진 필러와; 소성규산, 침전규산 및 BET 표면적이 높은 실리콘/알루미늄 혼합산화물 등 보강필러, 즉 BET 표면적 50m²/g을 가진 필러를 구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필러는 예로서 오르가노 실란 또는 오르가노실록산과의 처리에 의해 또는 히드록시기와 알콕시기의 에테르화에 의해 소수성으로 할 수 있다.
한 타입의 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최소한 2개의 필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개 성분에서 필러의 총함량은 10~80wt%가 바람직하다.
성분(A)와 성분(B)에는 티타늄 디옥사이드등 안료 또는 코발트/알루미늄스피넬(spinel)등의 알루미늄스피넬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두개 성분에서 바람직한 총함량은 10wt% 미만이다.
두개의 성분(A) 및 성분(B)는 위 성분이외에 특정목적에서 첨가제를 구성시킬 수 있다.
적당한 첨가제에는 살균제, 살조제(algicides), 살미생물제, 향료(odoriferous subs tances), 미각제(flavoring substances), 부식억제제(corrosion inhibitors) 및 바람직하지 않으나 유기용매가 있다.
성분(A) 및 (B)는 각각의 경우 첨가제 0.001~1wt%, 특히 0.01~0.1wt%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변성제의 함량은 성분(A) 및 (B)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15wt%, 특히 1~10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 및 (B)의 양의 비는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배합하고 혼합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그 양의 비 1:5~5:1 이 가장 유리하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되고 귀금속촉매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식(I)의 친수성 변성제의 제조에 있어서,
그 출발물질은 다음 일반식(III)의 실란이 바람직하다.
위 식에서,
R1, R 및 Z 는 일반식 (I)의 경우에 나타낸 정의와 같다.
이것은 실란제조에 필요한 귀금속촉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반응전에 증류한다.
일반식(III)의 실란은 이 목적을 위하여 충분히 휘발성으로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x는 3~10을 가지며, R은 메틸 또는 에틸래디컬이 바람직하다.
Si-H 기 또는 2중결합을 포함하는 출발화합물 및 실란(III)의 부생물은 역시 증류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 일반식(III), (IV), (V) 및 (VI)에서, R1, R 및 Z 는 일반식(I)의 경우에 나타낸 정의를 가지며, j 는 2-2000 의 정수, K 는 3-6 의 정수이다.
이 발명에 의해 사용된 친수성 변성제는 특허문헌 DE-A-1519 412에 기재되 바와같이 실란공가수분해(silane cohydrolysis)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여기서, 참고문헌 W.Noll, Chemic und Tochnologie der silicone, Verlag chemie, weinheim, 2nd edition, 1968, page 163)과 대비됨].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실리콘-결합래디컬을 포함하는 친수성 변성제는 일반식(III)의 모노머 증류실란과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실리콘-결합래디컬을 함유한 다른 가수분해할 수 있는 실란 및 다음일반식(IV)의 실란 및/또는 다음일반식(V)의 실란 및/또는 다음일반식(VI)의 환상실란의 공기가수분해 또는 공축합에 의해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H 기를 함유한 친수성 변성제는 일반식(III)의 모노머 증류실란과
Si-결합수소를 포함하는 다른 가수분해할 수 있는 실란, 일반식(IV)의 실란과 적합할 경우 일반식(V) 및 (VI)의 공가수분해 또는 공축합에 의해 그 자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친수성변성제를 제조하는 공축합 또는 공가수분해는 산축합촉매의 존재하에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phosphorus nitride chlorides)는 바람직한 산축합촉매이다.
반응생성물등으로 사용되는 이들화합물은 인, 질소 및 염소원자로부터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에는 또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디클로리드,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 및 포스포러스니트릴 클로리드가 있다.
이들 화합물은, 그 중에서 식(PNCl2)x, Cl3PNPCl2NPCl3·PCl6및 Cl3PNPCl3·PCl6에 속한다.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와, 특히 포스포러스펜타클로리드와 암모늄클로리드의 반응에 의해 접촉할 수 있는 이들의 화합물은 친수성 변성제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은 특히 포스포러스펜타클로리드 400중량부와 암모늄 클로리드 130중량부의 반응에 의해 (Berichte der deutschen Shemischen gesellschaft, volume 57, 1924, page 1345)및/또는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리드 2몰과 암모늄클로리드 1몰의 반응에 의해(미국 특허제 3,839 388 호에 의해)얻을 수 있는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이다.
최종적으로 설명한 타입의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가 바람직하다.
산축합촉매는 다음에 열거한 용제중 하나에서 용액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친수성변성제의 제조는 용제없이 또는 용제의 존재하에 실시할 수 있다.
용제를 사용할때, 용제 또는 용제 혼합물은 비점 또는 비등범위가 0.1MPa 에서 온도 120℃ 이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용제의 예로는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등 에테르; 메틸렌 클로리드, 클로로포름, 카르본 테트라클로리드, 1,2-디클로로에탄, 1,2,3-트리클로로프로판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등 클로린화탄화수소; 펜탄, n-헥산, 헥산아이소머 혼합물, 헵탄, 옥탄, 워시 벤진(wash benzine), 석유에테르, 벤젠, 톨루엔 및 키실렌 등 탄화수소; 또는 이들 용제의 혼합물이 있다.
위 용어, 용제는 모든 반응성분이 용매에 용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반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응성분이 현탁액 또는 에멀죤상태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그 반응은 또 혼화성치이(miscibility gap)를 가진 용제 혼합물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최소한 하나의 반응성분이 그 혼합상(mixed phases)각각에 용해할 수 있어야 한다.
포스포러스 니트리드 클로리드,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s)로서 계면활성제 및 특허문헌 DE-A-3 903 137(J. Schuster 등; 1990. 8. 16 공개, Wacher Chemie GmbH)에 기재되어 있는 할로겐 없는 용제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한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조성물은 구강(oral cavity)의 표면의 정밀 복제 및 치과용치형복제에 쓰이는 치과용치형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또 이도(耳道: auditory canal)등 신체(body) 부분의 몰드와 친수성 있는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예로서 콘택트렌즈, 의치(prosthesis) 또는 이식(implants)에 효과적인 모든 목적 및 비의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 특별히 설명이 없으면,
a) 모두 표시한 양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b) 모든 압력은 0.1OMPa(절대)이다;
c) 모든 온도는 25℃ 이다;
d) Me 는 메틸래디컬을 나타낸다.
e) 비닐폴리머 1은 25℃ 에서 브루크필드방법(Brook field method)에 의해 측정한 점도 약 7000mm²/s 와 α,ω-비닐기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나타낸다.
f) 가교제는 디메틸실록산단위와, 말단단위로서 디메틸히드로실록산단위를 포함하는 메틸히드로실록산단위의 무수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나타내며, 여기서 메틸히드로실록산단위당 10개의 디메틸실록산단위가 존재하며, 점도 150MPas(25℃)를 가진다.
g) 촉매는 P6-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실록사닐착체를 나타내며,
h) 억제제는 평균 5-10개의 디메틸실록산단위와 α,ω-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이다.
[실시예 1] : 이 발명에 의한 친수성변성제의 제조(변성제 1)
(a) 실란합성:
평균식 H2C=CHCH2(OC2H4)4OMe 의 폴리글리콜에테르(Polyglycol AM 250, Hoechst AG 사제품)1000g과, 헥센이 비스(1,1,3,3-테트라메틸-1,3-디비닐실록산)백금착체를 용해한 1% 농도 용액 14.6g의 혼합물을 70℃ 에서 디클로로메틸실록산 460g과 반응시켰다.
그 휘발성분을 50℃/4mbar 에서 증류제거시킨다음 황색오일 1326g 을 잔류물로서 잔류되어 이소프로파놀 1440g 과 반응시켰다.
200℃/2mbar 까지 증류시켜 다음 평균식의 황색액 646g 을 얻었다.
H3C((CH3)2(HO)2Si(CH2)3(OC2H4)4OMe
(실란 1)
(b) 평형화(공축합) :
포스포러스 니트릴클로리드(PNCl2)를 1,2,3-트리클로로프로판에 용해한 25% 농도 용액 0.54g 을, 비닐디메틸말단기를 포함하며 사슬길이 약 220개의 Me2SiO 단위를 가진 폴리디메틸록산(점도 1000mPas; Wacker-Chemie GmgH 사제품)153g과 디메틸비닐클로로실란 2.6g 에 실온에서 첨가시켜, 그 얻어진 혼합액 100℃ 이내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위 (a) 항에 의해 제조한 실란 1 116g 을 1.5 시간에 걸쳐 100℃에서 혼합시키면서 비교하였다.
그 다음 이 혼합액을 100℃ 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물 63g 으로 가수분해시킨 후 그 휘발성분을 증류제거하였다.
원소분석(X-선 형광분석)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백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점도 100mm²/s의 적갈색 청정오일 201g 이 잔류물로서 잔류되었다.
29Si-및1H-NMR 스펙트럼에 의해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친수성변성제 1의 평균식은 [H2C=CH=SiMe2O2/2]1.88[SiMe2OiPr]0.12[SiMe2O2/2]44[SiR1MeO2/2]7.5(여기서 R1=(CH2)3(OC2H4)4OMe 임)이었다.
[실시예 2] : 이 발명에 의한 친수성변성제(변성제 2)의 제조
(a) 실란합성:
다음 평균식 H2C=CHCH2(OC2H4)6OMe 의 폴리에테르 [ArlyponAL6(메틸화), Hoechst AG 사제품] 2,688g 을 70℃ 에서 백금테트라클로리드 0.67g(=100ppm
Pt)의 존재하에 디에톡시메틸실란 1072g 과 반응시켰다.
200℃/2mbar 이내에서 증류에 의해 다음평균식의 실란 2624g 을 얻었다.
H3C((CH3CH2O)2Si(CH2)3(OC2H4)6OMe
(실란 2)
(b) 평형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341g, 클로로디메틸비닐실란 12.3g, 실란 2 262g을, 1,2,3-트리클로로프로판에 PNCl2를 용해산 25% 농도용액 2.2ml 의 존재하에 80℃에서 평형화시켰다.
물 139g 을 첨가시킨 다음, 모든 휘발성분을 120℃ 까지 통상의 압력하에 증류제거시켰다.
점도 200mm²/s를 가진 오일 476g 을 잔류물로 얻었다.
29Si-및1H-NMR 스펙트럼에 의해, 이와같이 하여 얻은 친수성 변성제 2의 평균식은 다음과 같다.
[H2C=CH-SiMe2O1/2]2[SiMe2O2/2]39[SiR1MeO2/2]12
(여기서 R1= (CH2)3(OC2H4)4OMe 임)
[실시예 3] : 이 발명에 의하지 않은 친수성변성제(변성제 3)의 제조
다음 평균식 H2C=CHCH2(OC2H4)6OMe 의 폴리에테르[ArlyponAL6(메틸화), Hoechst AG] 336g 을 톨루엔 50ml 에 용해한 용액을 헥사클로로백금산 145mg 의 존재하에 80℃ 에서 다음평균실 [Me3SiO2/2]2[SiMe2O2/2]51[SiHMeO2/2]9의 폴리실록산 1115g 과 반응시켰다.
휘발성이 높은 성분을 진공상태에서 제거(stripping)시키고 잔류물을 활성탄 30g과 실리카겔 40g에 여과시킨후29Si-NMR 스펙트럼에 의해 다음평균식을 가진 적갈색 오일 1414g 을 얻었다.
[Me3SiO2/2]2[SiMeO2/2]51[SiR1MeO2/2]9
(여기서 R1=(CH2)3(OC2H4)6OMe 임)
점도은 210mm²/s 이었다.
Si-H 기 잔류함량 0.35mol% 가1H-NMR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측정되었다.
원소분석에 의해 그 오일은 백금 65ppm 이 포함되었다.
[실시예 4] : 이 발명에 의한 치과용 조성물 라이트보디(light body)의 제조성분(A)
감압배기할 수 있고, 용량 6ℓ, 평균교반속도 150rpm 을 가진 스테인레스강제유성형믹서내에서, 비닐폴리머 1 1890g 과, 친수성 변성제 2 30g(1wt% 에 상당)을, 입자크기 1-30㎛의 석영분말 840g(Quargwerke Frenchen 사제품), 상품 Aerosil R 972(Degussa AG 사제품) 60g, 다공성구조를 가지며 입자크기 1-20㎛의 소정규조토(Ceca S.A. 사제품)120g, 크롬산화물 녹색안료(green pigment)10g, TiO2안료 6g 과 혼합시켜, 그 얻어진 혼합액을 60분간에 걸쳐 균질의 셀프-레벨링(Self-leveling) 조성물에 처리하였다.
그 다음 촉매 36g 과 억제제 3g을 또 첨가하였다.
전체혼합액을 50~100mbar 의 감압하에 15분간 더 교반하였다.
[성분 B]
감압배기할 수 있고 용량 6ℓ와 평균교반속도 150rpm 을 가진 스테인레스강제 유성형믹서에서, 비닐폴리머 1 1250g 과, 친수성변성제 2 150g(4.91wt%에 상당)과 가교제 450g 을, 입자크기 1-30㎛ 의 석영분말(Quargwerke Frechen 사제품)960g, Aerosil R 972(Deguasa AG 사제품)120g, 다공성구조를 가지며 입자크기 1-20㎛ 을 가진 소성규조토(CeCa S.A 사제품)90g 및 크롬산화물 녹색안료(Chromium oxide green pigment)36g과 혼합시켜, 그 얻어진 혼합액을 60분간에 걸쳐 균질의 셀프-레벨링 조성물(Self-levelling composition)에 처리하였다. 그 다음, 이 혼합액을 50-100mbar 의 감압하에 15분간 더 교반하였다.
[실시예 5] : 이 발명에 의한 치과용조성물매듐보디(medium body) 의 제조
성분(A)
감압배기할 수 있고, 용량 6ℓ와 평균교반속도 150rpm 을 가진 스테인레스강제 유성형믹서에서, 비닐폴리머 1 1530g, 친수성변성제 2 30g, 입자크기 1-30㎛의 석영분말 (Quarzwerke Frenchen 사제품)1260g, Aerosil R 972(Degussa AG 사제품) 60g, 다공성구조를 가지며 입자크기 1-20㎛의 소수성규조토(Ceca S.A. 제품)108g 및 Co/Al 스피넬안료 0.15g을 혼합시켜, 그 얻어진 혼합액을 60분간에 걸쳐 균질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에 처리하였다.
그 다음 촉매 36g 과 억제제 3g을 또 첨가하였다.
[성분 (B)]
감압배기할 수 있고 용량 6ℓ와 평균교반속도 150rpm를 가진 스테인레스강제 유성형믹서에서, 비닐폴리머 1 1200g, 친수성 변성제 2 150g, 가교제 360g, 입자크기 1-30㎛ 의 석영분말(Quarzwerke Frechen 사제품)1020g, Aerosil R 972(Deguasa AG 사제품)150g, 다공성구조를 가지며 입자크기 1-20㎛ 의 소성규조토(CeCa S.A 사제품)90g 및 TiO2안료 6g 및 Co/Al 스페넬안료 40g을 혼합시켜, 그 얻어진 혼합액을 60분간에 걸쳐 균질의 페이스트상 조성물 처리하였다.
그 다음, 이것을 감압 50-100mbar 의 감압하에 15분간 더 교반하였다.
[실시예 6]
성분(A) 및 (B)를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제조하였으나, 이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친수성변성제 2 대신, 이 발명에 의해 제조되지 않은 친수성 변성제 3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성분(A) 및 (B)를 실시예 5 에서와 같이 제조하였으나, 이 발명에 의해 제조한 친수성변성제2 대신, 이 발명에 의해 제조하지 않은 친수성변성제 3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5 에서 헥사클로로-백금산형태로(=H2PtCl60.05g) Pt 5ppm 을 성분 B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9]
아래에 나타낸 조사결과는 수액계(aqueous systems)와 접촉한 치형조성물의 수습윤성변화에 대하여(살균)종래의 조성물(치형조성물 III 및 IV)과 비교할때 이 발명에 의한 치형조성물 I 및 II 의 우수성을 실험에 의해 입증한 것이다.
실리콘 치형조성물 I, II, III 및 IV 는 성분(A):(B)=1:1 의 소정의 혼합비로 서로 균질, 혼합시킨 다음, 원통형 스테링레스강제 몰드(높이: 6mm, 직경: 35mm)내에 넣어 실온에서 수분후에 원통형상의 가황고무로서 그 몰드에서 탈형할 수 있었다. 그 조성물 I, II, III 및 IV의 가황고무샘플을 이들샘플의 직경에 따라 그 원형면에 수직으로 양분시켜(halve) 증류수 1적(one drop)을 그 원형표면상에 놓고, 그 수접촉각(water contact angle)을, 수적을 놓은후 30초와 3분후의 시간간격에서 현미경각도계(goniometer)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다음 수적(drops of water)을 약간의 셀룰로오스로 처리한 가황고무 표면에서 흡수시켜, 그 가황고무샘플 I, II, III 및 IV 를 대비할 수 있는 멸균조건(6시간 동안 1.37% 농도의 KCIO3수용액중에서 실온으로 저장)에 처리하였다.
멸균처리후 그 가황고무샘플을 다시 셀룰로오스로 처리하여 건조하고 증류수1적을 이들 표면상에 각각 놓고 현미경각도계를 사용하여 수접촉각의 대비측정을 하였다.
각각의 경우 다음표 1에서 양분한 6개의 테스트견본의 평균치로서 이 조사성적을 요약하며, 이 발명에 의한 실시예 4 와 5 의 저장안정성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조성물 I 및 II 는 이 발명에 의하지 않은 조성물 III 및 IV 와 대비할때 멸균처리한 후에도 수용성매체에 의한 추출현상이 전혀 없음을 나타내었다.
그 현미경각도계는 지정제품 NRL CA 각도계로서 모델 NO. 100~230(Rame
-Hart Inc.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4~8의 치과용치형조성물에 대한 저장안정성시험
그 결과를 각각의 경우 표 II 에 나타낸다.
(a) ADA19 에 의한 점조도(consistency) 측정
성분(A) 및 (B)와 성분(A) 및 (B)의 1:1 혼합액을 7일간 70℃ 또는 1일간 실온(RT)에서 저장한 다음, ADA 19에 의해 시험하였다.
폴리에틸렌 또는 셀로판으로 커버한 유리판상에 혼합액 0.50ml 를 놓았다.
1 ½분후에 그 혼합액 0.5㎖ 를 폴리에틸렌 또는 셀로판소판(platelet)과 75±5g의 글라스판과 중량 500g 에 의해 커버하였다.
혼합개시 12분후에 하중(글라스판과 중량 500g)을 제거시켜 최대 및 최소직경을 측정하였다.
그 점조도값은 3회 측정의 평균치로 산출하여 가장 가까운 밀리미터(mm)의 수로 정하였다.
(b) 가사시간(Pot life)의 측정
스패튜라(spatula)를 사용하여 원추형 풋라이프컵(conical pot life cup)(PL cup)에서 그 성분을 1:1 의 비로 혼합하였다.
시간측정은 혼합개시와 동시에 행하였다.
그 혼합조작은 균일하게 실시하여 45초간 계속하였다.
혼합후 그 혼합에 의한 이동은 서서히 계속되었다.
제품의 가공처리가 더이상 불가능하게될때 가사시간(pot life)에 도달되었다.
(c) 물의 접촉각의 측정
성분(A) 및 (B)를 실시예 9에 의해 1:1 의 비로 가황시켜 실험하였다.
(d) 가황한 치형조성물의 쇼어경도(shore hardness)
1:1 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간 충분히 가황시킨 다음, DIN53505 에 실험하였다.
(e) 치과용치형조성물의 육안평가
성분(A) 및 (B)를 45초간 1:1 의 비로 혼삽시켜 육안평가하였다.

Claims (8)

  1. 영구적인 수 습윤성(Permanently water-wettable)탄성가황고무를 얻으며, SiC-결합 C₁-C6-알킬래디컬 및 페닐래디컬을 가지며 분자당 최소한 2개의 C1-C6-알케닐 래디컬을 가진 폴리실록산 조성물과 귀금속촉매로 이루어지고 Si-H 기를 포함하지 않은 저장성분(A)와, 귀금속 촉매를 포함하지 않고 SiC-결합 C₁-C6-알킬래디컬과 페닐래디컬을 가지며 분자당 최소한 3개의 Si-H 기를 가진 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SiC-결합 C₁-C6-알킬래디컬과 페닐래디컬을 가지며 분자당 최소한 2개의 C₁-C6-알킬래디컬을 가진 폴리실록산을 추가로 구성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저장성분(B)를 각각 구성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I)의 친수성 변성제(hydrophillic modifier)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지며 성분(A) 및 (B)를 포함하는 래디컬(i)과, Si-H 또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지며 성분(B)를 포함하는 래디컬(ii)을 가지며(단, 그 친수성 변성제가 Si-H 기를 갖거나 Si-H 기 함유성분(B)에서 혼합할 경우 c+d0.02(a+b+c+d+e+f+g+h+i)임). 그 친수성 변성제가 귀금속 촉매를 포함하지 아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위식에서, 래디컬 R 은 수소원자이며, 또는 같거나 다른 SiC 에 의해 결합한 1가의 선택적으로 할로겐 치환된 C₁-C12-탄화수소래디컬이고, 여기서 래디컬 R 중 최소한 하나에는 지방족 2중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소원자이다. R1은 다음 일반식(II)이다.
    위식에서 E 는 단결합 또는 C₁-C6-알킬렌 래디컬이고, Y 는 같거나 다른 C₁-C₄-알킬래디컬이며, R2는 히드록시기 또는 C₁-C6-알콕시 또는 C₁-C6-옥시카르보닐 알킬래디컬이고, x 는 1-20 의 값을 가지며, Z 는 R2의 정의를 갖거나 수소원자이다. 단, a,b,c,d 는 각각의 경우 각각 0-8 의 값을 가지며, a+b+c+d+e+f+g+h+i 의 합은 10~400이고 a+c+f+g+h 의 합 : b+d+e+c 의 합의 비는 100:1 ~ 1:1 임.
  2. 제 1항에 있어서, 그 친수성 변성제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을 포함하며, (i)성분(A)와 (ii)성분(B)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a+c+f+g+h : x(b+d+e+i)의 비는 60:40~90: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x 는 3-1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f0/8(f+g+h+i), e0/6(d+e+i) 및 b,c,d,g,h 및 102(a+b+c+d+e+f+g+h+i)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a0.5(a+b+c+d)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7. 제 1항 저장안정송 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공정에서는 귀금속촉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일반식(III)의 실란을 증류시키며, 제 2 공정에서는 일반식(III)의 실란을, 실리콘-결합 수소원자를 함유한 다른 가수분해할 수 있는 실란 또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실리콘-결합래디컬을 함유한 다른 가수분해할 수 있는 실란 및 일반식(IV)의 실록산 또는 일반식(V)의 실록산, 또는 일반식(VI)의 환상실록산과 그 자체공지방법으로 가수분해 또는 축합시켜, 친수성변성제를 얻으며, 제3공정에서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I)을 구비한 친수성 변성제를 성분(A)와 (B)중에서 혼합시키며, Si-H 기 또는 지방족 2중결합을 가진 래디컬(ii)을 구비한 친수성 변성제를 성분(B)에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위 식에서, R 은 수소원자 또는 SiC 에 결합되는 갖거나 다른 1가의 선택적으로 할로겐 치환되는 C₁-C12-탄화수소래디컬이며, R1은 다음 일반식(II)이다. E[OY]xR2 (II) 여기서, E 는 단결합이거나 C₁-C6-알킬렌래디컬이고, Y 는 같거나 다른 C₁-C₄-알킬렌래디컬이며, R2는 히드록시기 또는 C₁-C6-알콕시 또는 C₁-C6-옥시카르보닐 알킬래디컬이고, x 는 1-20 의 값을 가진다. Z 는 R2의 정의를 같거나 할로겐원자이다. j 는 2-2000의 정수, k 는 3-6의 정수이다.
  8. 제 1항의 저장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로 구성되는 치과용 치형(齒型) 조성물(dental impression composition).
KR1019940700470A 1991-09-06 1992-09-03 영구적인 수습윤성 가황고무를 얻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KR0147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29613A DE4129613A1 (de) 1991-09-06 1991-09-06 Lagerstabile, permanent wasserbenetzbare vulkanisate ergebende polysiloxanmasse
DEP4129613.3 1991-09-06
PCT/EP1992/002036 WO1993004659A1 (de) 1991-09-06 1992-09-03 Lagerstabile, permanent wasserbenetzbare vulkanisate ergebende polysiloxanmas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7421B1 true KR0147421B1 (ko) 1998-08-17

Family

ID=643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470A KR0147421B1 (ko) 1991-09-06 1992-09-03 영구적인 수습윤성 가황고무를 얻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580921A (ko)
EP (1) EP0602128B1 (ko)
JP (1) JP2558060B2 (ko)
KR (1) KR0147421B1 (ko)
CN (1) CN1035952C (ko)
AT (1) ATE131029T1 (ko)
BR (1) BR9206465A (ko)
CA (1) CA2115663C (ko)
DE (2) DE4129613A1 (ko)
ES (1) ES2080515T3 (ko)
MX (1) MX9205076A (ko)
WO (1) WO19930046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9164B1 (en) 1993-05-26 2002-04-09 Dentsply G.M.B.H. Polymerizable compounds and compositions
JP3454980B2 (ja) * 1994-07-29 2003-10-06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印象用シリコーン組成物
DE19505496A1 (de) * 1995-02-17 1996-08-22 Roeko Gmbh & Co Stoffgemisch, Kofferdam-Werkstoff, Verwendung und Herstellung
US5661222A (en) * 1995-04-13 1997-08-26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US6552104B1 (en) 1995-04-13 2003-04-22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Method of making hydrophilic non-sweating polymerizable dental impression material
US5830951A (en) * 1995-04-13 1998-11-03 Dentsply Detrey G.M.B.H.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US5955513A (en) * 1995-04-13 1999-09-21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Very high viscosity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DE19719438C5 (de) * 1996-05-09 2014-05-08 3M Deutschland Gmbh Verwendung von additionsvernetzendem Polyether-Abformmaterial zur Herstellung von dimensionsstabilen Kieferabdrücken
DE19629063A1 (de) * 1996-07-17 1998-01-22 Wacker Chemie Gmbh Flüssigsiliconkautschuk mit niedrigem Druckverformungsrest
DE19711314A1 (de) * 1997-03-18 1998-09-24 Wacker Chemie Gmbh Lagerstabile, permanent wasserbenetzbare Vulkanisate ergebende Polysiloxanmasse
US6103847A (en) * 1997-05-27 2000-08-15 Witco Corporation Siloxane-polyether copolymers with unsaturated functionali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US6013711A (en) * 1997-06-18 2000-01-11 Ck Witco Corporation Hydrophilic polysiloxane compositions
DE19730515A1 (de) * 1997-07-16 1999-01-21 Espe Dental Ag Abformmaterial auf Silikonbasis
EP0934966B1 (en) * 1998-02-06 2005-12-07 Seiwa Kasei Company, Limited Silane copolym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561807B2 (en) 1998-05-27 2003-05-13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
US6201038B1 (en) * 1999-02-18 2001-03-13 Kerr Corporation Hydrophilically modified curable silicone impression material
US6365670B1 (en) 2000-03-10 2002-04-02 Wacker Silicones Corporation Organopolysiloxane gels for use in cosmetics
EP1164171A3 (en) * 2000-06-12 2002-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compositions
US6332708B1 (en) * 2000-08-31 2001-12-25 Cametox 2000 Inc. Method of shipping manganese dioxide
US6841647B2 (en) * 2001-11-06 2005-01-1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Fluid resistant silicone encapsulant
US7771922B2 (en) 2002-05-03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molecule diagnostic device
US7214530B2 (en) 2002-05-03 2007-05-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molecule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 for producing biomolecule diagnostic devices
JP4154576B2 (ja) * 2002-12-02 2008-09-24 株式会社ジーシー 親水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並びに歯科印象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1324A1 (en) * 2004-02-13 2005-08-18 Hare Robert V. Polyorganosiloxane dental impression materials with improved wetting and stability
ES2247506T5 (es) * 2003-05-16 2010-03-22 Zhermack S.P.A. Material aseptico y radioopaco de toma de impresion para usar en implantodoncia.
US20050027032A1 (en) * 2003-07-18 2005-02-03 Hare Robert V. Polyorganosiloxane dental impression materials
US20060281856A1 (en) * 2005-06-10 2006-12-14 Ralf Kollefrath Quick set silicone based dental impression materials
US10835351B2 (en) 2005-06-15 2020-11-17 Alan Ara BOGHOSIAN Method of preparing dentition for the taking of a dental impression
US10231805B2 (en) 2005-06-15 2019-03-19 Alan Ara BOGHOSIAN Method of preparing dentition for the taking of a dental impression
EP1741420A1 (en) * 2005-07-07 2007-01-10 Coltène AG Quick set silicone based dental impression materials
DE102005057460A1 (de) * 2005-12-01 2007-06-06 Wacker Chemie Ag Zu hochfesten Elastomeren vernetzbare ionisch und/oder organometallisch funktionalisierte Siliconpolymere
DE102006001126A1 (de) * 2006-01-09 2007-07-12 Kettenbach Gmbh & Co. Kg Dentalabformmassen, daraus hergestellte gehärtete Produkte und Verwendung von Tensiden zur Herstellung von Dentalabformmassen
DE202006011547U1 (de) 2006-07-25 2007-12-06 Mann + Hummel Gmbh Abgasanlage eines Dieselmotors
EP1882469A1 (en) 2006-07-28 2008-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ether-based preparations and use thereof
JP2008247812A (ja) * 2007-03-30 2008-10-16 Gc Corp シリコーン組成物
US7824641B2 (en) * 2007-05-25 2010-11-02 Lehigh University Periodic mesoporous phosphorus-nitrogen compounds
DE102011088146A1 (de) 2011-12-09 2013-07-25 Wacker Chemie Ag Zu Elastomeren vernetzbare Siliconmasse mit einvernetzbaren Polyglykolethern
DE102014200106B4 (de) 2013-02-13 2018-04-26 Evonik Degussa Gmbh Härtbare organomodifizierte Siloxane hergestellt durch Kondensation
DE102013002955B4 (de) * 2013-02-21 2017-03-02 Andreas Hub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ilikonabformungen und Spray
JP2014189536A (ja) * 2013-03-28 2014-10-06 Gc Corp 歯科用石こう粉末
CN105683275B (zh) * 2013-08-30 2018-10-02 莫门蒂夫性能材料股份有限公司 具有氨基酸的可湿固化的组合物
EP3718577A1 (en) * 2019-04-04 2020-10-07 TripleMed B.V. Kit of parts for preparing a biocompatible polymer
JP2022545792A (ja) * 2019-08-19 2022-10-31 ワッカー ケミ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複合成形品を製造するためのシリコーン組成物及び方法
BR112022015373A2 (pt) * 2020-02-14 2022-09-27 Evonik Operations Gmbh Processo para aplicar uma formulação de adesivo ou de selante, composição de silano, processo de produção e uso da dita composiçã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7351A (en) * 1962-01-24 1967-08-22 Union Carbide Corp Organosilicon anti-fogging agents
DE2229514C3 (de) * 1972-06-16 1979-01-04 Wacker-Chemie Gmbh, 8000 Muenchen Verfahren zur Förderung von Kondensations- und/oder Äquilibrierungsreaktionen von Organosiliciumverbindungen
US3933880A (en) * 1974-12-02 1976-01-20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 platinum catalyst inhibitor
DE2736421A1 (de) * 1977-08-12 1979-02-22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m erzeugen von abdruecken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zum herstellen von abdruckloeffeln
JPS553460A (en) * 1978-06-26 1980-01-11 Toray Silicone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release film
AU1910783A (en) * 1982-11-29 1984-06-07 Sws Silicones Corp.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JPS61127733A (ja) * 1984-11-27 1986-06-16 Toray Silicone Co Ltd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
JPH0641562B2 (ja) * 1985-05-16 1994-06-01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CS251890B1 (en) * 1985-05-20 1987-08-13 Jiri Sulc Hydrophilic silicon composition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4752633A (en) * 1985-11-15 1988-06-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Ethoxylated siloxane surfactants and hydrophilic silicones prepared therewith
US4691039A (en) * 1985-11-15 1987-09-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thoxylated siloxane surfactants and hydrophilic silicones prepared therewith
US4657959A (en) * 1985-11-15 1987-04-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ydrophilic silicones
DE3681274D1 (en) * 1986-02-06 1991-10-10 Dentsply Gmbh, 7750 Konstanz, De Improved wettability silicone dental impression material
JPS63146805A (ja) * 1986-07-07 1988-06-18 G C Dental Ind Corp 歯科用シリコ−ン精密印象材
US4877854A (en) * 1986-12-08 1989-10-31 Tokuyama Soda Kabushiki Kaisha Curable composition
DE3838587A1 (de) * 1988-11-14 1990-05-17 Espe Stiftung Polyether-abform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DE3903137A1 (de) * 1989-02-02 1990-08-16 Wacker Chemie Gmbh Phosphornitridchlorid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JPH0672084B2 (ja) * 1989-03-31 1994-09-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印象材組成物
EP0398745B1 (en) * 1989-05-19 1996-09-04 Shin-Etsu Chemical Co., Ltd. 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JPH02305857A (ja) * 1989-05-19 1990-12-19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H02305858A (ja) * 1989-05-19 1990-12-19 Shin Etsu Chem Co Ltd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2835529B2 (ja) * 1989-11-21 1998-12-14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DE4009889C1 (ko) * 1990-03-28 1991-06-13 Th. Goldschmidt Ag, 4300 Essen, De
US5235017A (en) * 1992-02-19 1993-08-10 Siltech Corporation Fluorine containing silicone polyester compounds
US5260401A (en) * 1992-02-19 1993-11-09 Siltech Inc. Terminal fluorine containing silicone polyester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02128B1 (de) 1995-12-06
JPH06506017A (ja) 1994-07-07
CA2115663A1 (en) 1993-03-18
EP0602128A1 (de) 1994-06-22
ES2080515T3 (es) 1996-02-01
MX9205076A (es) 1993-03-01
CN1035952C (zh) 1997-09-24
CN1070206A (zh) 1993-03-24
US5852068A (en) 1998-12-22
CA2115663C (en) 1999-04-06
ATE131029T1 (de) 1995-12-15
BR9206465A (pt) 1995-10-31
DE4129613A1 (de) 1993-03-11
US5580921A (en) 1996-12-03
JP2558060B2 (ja) 1996-11-27
DE59204623D1 (de) 1996-01-18
WO1993004659A1 (de) 199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421B1 (ko) 영구적인 수습윤성 가황고무를 얻는 저장 안정성 폴리실록산 조성물
CA2240924C (en) Storage-stable curable hydrophilic polysiloxane compositions
US6239244B1 (en) Polysiloxane compound which is stable during storage and produces vulcanisates which can be permanently wetted with water
US5367001A (en) Impression composition
US5064891A (en) 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US8563625B2 (en) Hydrophilized curable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with improved storage behavior
JP3523098B2 (ja)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組成物
US6335413B1 (en) Hardenable mass with silane dendrimers
US6677393B1 (en) Silicon-based impression compounds with improved non-sag properties
EP3388488A1 (en) Addition-curable silicone rubber composition and silicone rubber
EP1426413B1 (en) Hydrophilic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
JP2002522361A (ja) 殺生物剤特性を有し特に印象例えば歯の印象の獲得において用いることのできる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システム
EP2626059A2 (en) Silicone impression material having high hydrophilicity
KR20190119117A (ko) 플루오르화된 측기를 갖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EP0455385B1 (en) Process of curing methylhydrosiloxanes
EP16528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unsaturated silicone compounds, dental materials containing them and use thereof
JPH0536458B2 (ko)
JP2003040723A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H05271545A (ja) 室温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
WO2022249858A1 (ja) ミラブル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ゴム硬化物
KR100488138B1 (ko) 치과용 연질이장재, 의치 및 의치의 수리방법
JPH10259110A (ja) 歯科用印象材
JPH053645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