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457B1 - 집단어학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집단어학 학습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457B1
KR0144457B1 KR1019900007820A KR900007820A KR0144457B1 KR 0144457 B1 KR0144457 B1 KR 0144457B1 KR 1019900007820 A KR1019900007820 A KR 1019900007820A KR 900007820 A KR900007820 A KR 900007820A KR 0144457 B1 KR0144457 B1 KR 014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voice
data
address data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621A (ko
Inventor
다미헤이 히라마쯔
요시꼬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0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differ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different information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단어학학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집단어학 학습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 4 구성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되는 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 B2....Bm:학습자용기기
C1, C2....Cm:A/D; D/A 변환부
10: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
20:제어 유니트
22 및 23:음성 메모리
24 및 25:어드레스 메모리
본 발명은 각각이 음성입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며, 음성에 의한 교재 제공이 이뤄지는 복수의 학습자용기기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집단어학 학습장치에 관한다.
본 발명은 각각이 음성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음성부호 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집단어학 학습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의 음성입력부호 부터의 음성신호에 기준해서 얻어지는 음성 정보 데이타를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어드레스데이타에 의해 특정되는 기록 영역에 기록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에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음성정보 데이타가 기록된 기록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데이타와의 짝을 기록하고,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하나로 부터 송출되는 재생요구 신호에 따라서, 어드레스메모리로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을 차례로 판독하고 판독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의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음성정보 데이타에 기준하는 재생 음성신호를 해당 하나의 학습자용기기에 있어서의 음성신호출력부에 공급토록 이루므로서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의 각각에 있어서, 그 학습자용 기기로부터 입력되어 기록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음성 출력뿐 아니라 다른 학습자용기기로부터 입력되어 기록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 음성출력까지도 선택적으로 얻을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광기지, 라보라트리 시스템 등으로 칭해지는 집단어학학습시스템은 각각이 예컨대, 헤드폰과 마이크로폰이 조합되어 이루는 헤드폰 마이크세트로 형성되는 음성 입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와, 각 학습자용 기기에 대해서 공통으로, 또는 개별로 음성에 의한 교재의 제공을 행하는 교재 제공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각각은 데이프레코더 등의 음성기록재생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교재음성의 기록 및 재생, 및 헤드폰, 마이크세트 및 음성기록재생장치를 작동시키고 그것들을 조작하면서 어학학습을 행한다.
상술과 같이 종래 제한되고 있는 집단어학학습시스템에 있어서의 그것을 이용하는 학습자는 학습자용 기기에 구비된 헤드폰 마이크 세트를 통해서 교재음성을 알아들으면서 연습음을 내고, 그것을 헤드폰 마이크 세트를 거쳐서 학습용기기에 구비된 음성기록재생장치에 공급해서 기록하며, 그후, 기록된 자기의 연습음을 재생해서 학습결과를 확인토록 하는 것을 전형적 학습동작으로서 행하도록 된다. 이 같을 때, 학습사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은 교재음성과 자기의 연습음만이며, 집단으로 학습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습자가 다른 학습용기기를 사용해서 학습할 때 내는 연습음을 청취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각 학습자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교재음성에 대해서 자기의 연습음을 다른 학습자의 연습음과 비교해서 평가할 수 없으며, 또, 학습자 상호간에서의 연습음의 선택청취를 행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으며, 각 학습자는 학습성과를 효과적으로 높히는 관점으로는 불충분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각각이 음성입출력부를 구성화는 음성신호 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용 기기의 각각에 있어서, 그 학습자용기기로 부터 입력되어서 기억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유성출력 뿐 아니라 다른 학습자용 기기로부터 입력되어서 기록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음성 출력도 얻을 수 있게된 집단어학 학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게 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집단어학 학습장치는 각각이 음성신호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와,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음성신호 입력부로부터의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음성정보 데이타를 얻어지는 음성정보 데이타가 어드레스 테이타에 의해 특정되는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음성정보 메모리와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음성 데이타 형성부로부터 얻어지는 음성정보 데이타가 기록된 기록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가 기록되는 어드레스메모리다. 메모리 제어수단과,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으로부터 판독된 음성데이타에 기준하는 재생음성신호 출력부에 공급하는 음성신호공급수단을 구비하며, 메모리 제어수단이 복수의 학습자용기기 중의 하나로부터 송출되는 재생요구신호에 따라서 어드레스 메모리로 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을 차례로 판독하고 판독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의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음성정보 데이타를 차례로 판독되는 것으로 되어서 구성된다.
상술과 같은 구성이 취해짐으로서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의 각각에 있어서 그 학습자용 기기로부터 입력되어 기록된 음성 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음성 출력과 다른 학습자용 기기로부터 입력되어서 기록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유성출력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집단어학학습장치의 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선 개개의 학습자용 기기 B1, B2,...Bm가 설치되어 있으며, 학습자용 기기 B1, B2,...Bm을 각각 음성신호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며, 학습자에 사용되는 헤드폰 마이크세트 W1, W2,...Wm와 학습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녹음 재생조작부 X1,X2,...Xm가 구비된 것으로 되어 있다.
학습자용 기기 B1, B2,...Bm에 있어서의 헤드폰, 마이크세트 W1, W2,...Wm은 각각 A/D:D/A 변환부 C1, C2,...Cm에 접속되어 있으며 입력 음성신호 A1,A2,....Am을 A/D:D/A 변환부 C1, C2,...Cm에 각각 공급됨과 더불어 A/D:D/A 변환부 C1, C2,...Cm의 각각은 음성정보데이타 처리부(10)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것을 A/D:D/A 변환부 C1, C2,...Cm은 입력음성 신호 A1,A2,....Am을 각각 받으며, 그것들을 디지틀화함으로서 출력음성신호 H1, H2,...Hm을 형성한다. 음성정보 데이타처리부(10)은 A/D:D/A 변환부 C1, C2,...Cm의 각각 부터의 음성정보 데이타에 다중화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해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을 얻고, 그것을 음성 메모리(22)에 공급하고 또, 음성메모리(22)로부터 판독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 및 음성메모리(23)으로 부터 판독된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가 공급된다. 음성메모리(22)는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 (10)으로부터 얻어지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메모리 구분 S1, S2,....Sm중의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기록되는 것으로 되며, 또, 음성메모리(23)은 미리 설정된 교재음성에 기준해서 얻어진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가 메모리 구분 T1, T2,....Tm의 각각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1, S2,....Sm은 각각 학습자용 기기 B1, B2,....Bm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설정된다.
학습자용 기기 X1, X2,....Xm은 학습자의 조작에 따라서 각기 기록 요구신호 CR1, CR2,....CRm을 제어 유니트(20)에 공급함과 더불어 재생요구신호 CL1, CL2,...CLm을 제어 유니트(20)에 공급한다.
제어 유니트(20)은 기록요구신호 CR1, CR2,....CRm중의 어느 것이 소정의 레벨, 예컨대 「1」의 레벨을 가지고 공급되면,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부분 S1, S2,....Sm중의 어느 것에, 그때 음성정보 데이타처리부(10)으로 부터 얻어지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를 기록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에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기록된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1, S2,....Sm중의 어느 것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SS2,...SSm중의 어느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SE2,...S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을 기록하는 동작을 행하고, 또, 재생요구신호 CL1,CL2,...CLm중의 어느것이 소정의 레벨, 예컨대 「1」의 레벨을 가지고 공급되면, 어드레스, 메모리(24)로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SE2,....S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을 판독함과 더불어 판독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SE2,....S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으로 특정되는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1, S2,....Sm중의 어느 것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으로부터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를 판독하는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그것이 종료되면,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다음 메모리 구분으로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을 마찬가지로 해서 행하며, 이같은 동작을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m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까지 반복한다. 또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은 각각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1, S2,....Sm시단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어 유니트(20)에는 교재선택부(21)로 부터의 교재지정신호 CT가 공급되며, 교재지정신호 CT를 받은 제어 유니트(20)은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가 기록된 음성 메모리(23)의 메모리 구분 T1, T2,....Tm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1, TS2,....TSm의 각각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1, TE2,....TEm의 각각과의 짝이 기록되고 있는 것으로 된 어드레스 메모리(22)로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1, TS2,....TS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1, TE2,....TE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1, TE2,....T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에 의해서 특정되는 음성 메모리(23)의 메모리 구분 T1, T2,....Tm중의 어느 것에 있어서의 기록영역으로부터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를 판독하는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선 A/D:D/A 변환부 C1, C2,...Cm와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이 복수의 헤드폰, 마이크 세트 W1, W2,....Wm부터의 입력음성신호 A1, A2,...Am중의 기준하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을 얻는 음성 데이타 형성수단과, 음성 메모리(22)로 부터 판독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에 기준하여, 재생음성신호인 출력음성신호 H1, H2,...Hm을 얻고 학습자용 기기 B1, B2,...Bm에 공급하는 음성신호 공급수단과의 양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제어 유니트(20)이 레벨「1」을 가진 기록요구신호 CR1, CR2,...CRm중의 어느 것에 응답해서 음성 메모리(22)에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으로부터 얻어지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을 기록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 SE2,...S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을 기록하는 동작을 행함에 있어선, 우선 학습자용 기기 B1, B2,...Bm중의 어느 것인 학습자용 기기 Bi로 부터 기록요구신호 CR1, CR2,...CRm중의 어느 것인 기록요구신호 CRi의 레벨「1」을 가지고 공급되면, 제어 유니트(20)은 음성 메모리(22)에 기록지령신호 CWS를 공급함과 더불어 학습자용 기기 Bi에 대응하는 것으로된 메모리 구분 S1, S2,...Sm중의 어느 것인 메모리 구분 Si에 있어서의 시단부를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1, SS2,...SSm중의 어느 것인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로부터 차례로 나아가는 것으로 되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를 공급한다. 그리고,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제어신호 CC를 공급하며,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A/D:D/A 변환부 Ci부터의 음성정보 데이타에 기준해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을 얻는 동작상태로 된다.
이때, 학습자용 기기 Bi부터는 입력음성신호 A1, A2,...Am중의 어느 것인 입력음성신호 Ai가 송출되며, 그것에 의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부터 입력음성신호 Ai에 기준하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얻어져서 음성 메모리(22)에 공급되며,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부터 공급되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에 그 시단부로 부터 차례로 기록되는 상태로 되어진다.
학습자용 기기 Bi부터의 레벨「1」을 가진 기록요구신호 CRi의 송출은 입력음성신호 Ai의 송출 종료에 따라서 종료되며, 레벨 「1」을 가진 기록요구신호 CRi의 송출종료시에는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에, 송출된 입력 음성신호 Ai의 모두가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로서 기록된 상태로 되어진다.
그리고 제어 유니트(20)은 레벨「1」을 가진 기록요구신호 CRi의 공급이 종료되면,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최종내용을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 SE2,...SEm중의 어느 하나인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로서 기억해둔다.
이어서, 제어 유니트(20)은 어드레스 메모리(24)에 기록지령신호 CWS'을 공급함과 더불어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1에 대응하는 메모리 구분 S'1, S'2,...S'm중의 어느 것인 메모리 구분 S'을 나타내는 것으로된 어드레스 데이타 RS를 공급하며, 또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 및 기억된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을 내용으로 하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을 써넣기 데이타로서 공급하고,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에 시단 에드레스 데이타 SSi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와의 짝이 기록되는 상태로 하고,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와의 짝의 기록이 이뤄진 다음, 어드레스 메모리(24)에 대한 기록지령신호 CWS', 어드레스 데이타 RS 및 기록데이타 DRS'의 공급을 정지하고, 또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기록지령신호 CWS 및 어드레스 데이타 CRS 및 공급, 및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 제어 유니트(20)이 레벨「1」을 가진 재생요구신호 CL1, CL2,...CLm중의 어느 것에 응답해서 어드레스 메모리(24)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중의 어느 것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1, SE2,...S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을 판독함과 더불어 판독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 SS2,...SSm중의 어느 것과의 짝에 따라서 음성 메모리(22)로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을 판독하는 동작을 행함에 있어선 우선, 학습용 기기 Bi부터, 재생요구신호 CL1, CL2,...CLm중의 어느 것인 재생요구신호 CLi가 레벨 「1」을 가지고 공급되면, 제어 유니트(20)은 어드레스 메모리(24)에 판독지령신호 CRS'을 공급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을 나타내는 것으로된 어드레스 데이타 RS를 공급하고,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로 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과의 짝을 판독해서 그것들을 어드레스 데이타 DRS'로서 들인다.
이어서, 제어 유니트(20)은 음성 메모리(22)에 판독지령신호 CRS를 공급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로 부터 들여진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과의 짝을 내용으로 하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에 기준하여,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부터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까지 차례로 나아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를 형성해서 음성 메모리(22)에 공급해서 음성 메모리 구분 Si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로 나타내어지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영역부터, 메모리용 음성 정보데이타 DAi에 기준하는 음성 정보데이타를 A/D:D/A 교환부 Ci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취하게 한다.
다음에 제어 유니트(20)는 메모리구분 Si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으로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이 종료되면, 어드레스 메모리(24)에 판독지령신호 CRS'을 공급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1'를 나타내는 것으로된 어드레스 데이타 RS를 공급하며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1'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1과의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1과의 짝을 판독해서 그것들을 어드레스 데이타 DRS'로서 들인다.
이어서, 제어 유니트(20)은 음성 메모리(22)에 판독지령신호 CRS를 공급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4)로 부터 들여진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1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1과의 짝을 내용으로 하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에 기준하여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1로 부터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1까지 차례로 나아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를 형성해서 공급하고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1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1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1로 나타내어지는 사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 영역으로 부터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판독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같은 동작을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구분 Si+2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2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2로 나타내어지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 영역으로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하며,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구분 Si+3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3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3으로 나타내어지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영역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 이라는 듯이 차례로 진행해가고, 음성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m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m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m으로 나타내어지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 영역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을 행하고, 음성 메모리(22)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을 종료한다. 그리고, 그후 어드레스 메모리(24)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S' 및 어드레스 데이타 RS의 공급을 정지하고, 또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S 및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공급을 정지하고, 또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S 및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공급을 정지함과 더불어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을 정지한다.
한편, 제어 유니트(20)이 교재지정신호 CT에 응답해서 어드레스 메모리(25)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E1, TE2,...TEm중의 어느 것과의 짝을 판독함과 더불어 판독된 시단 에드레스 데이타 TS1, TS2,...TSm중의 어느 것과의 짝에 따라서 음성 메모리(23)부터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를 판독하는 동작을 행함에 있어선 우선, 교재선택부(21)로부터 교재지정신호 CT가 공급되면,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제어신호 CC를 공급하고,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음성 메모리(23)부터 판독된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 기준하는 음성정보 데이타 A/D:D/A 변환부 Ci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 상태를 취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 유니트(20)은 어드레스 메모리(25)에 판독지령신호 CRT'를 공급함과 더불어 음성 메모리(23)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T1, T2,...Tm중의 어느 것인 메모리 구분 Ti에 대응하는 메모리 구분 Ti'1, T2',...Tm'중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된 어드레스 데이타 RT를 공급하며, 어드레스 메모리(25)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Ti'로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i과의 짝을 판독해서, 그것들을 어드레스 데이타 DRT'로서 들이며, 그후 어드레스 메모리(25)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T' 및 어드레스 데이타 RT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어서, 제어 유니트(20)은 음성 메모리(23)에 판독지령신호 CRT를 공급함과 더불어 어드레스 메모리(25)로부터 들여진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1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i과의 짝을 내용으로 하는 어드레스 데이타 DRT'에 기준하고,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i로 부터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i까지 차례로 나아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T를 형성해서 공급하고, 음성 메모리(23)에서의 메모리 구분 Ti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TSi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TEi로 나타내어지는 시단부와 종단부를 가지는 기록 영역으로부터 교재음성정보 데이타 DTi가 판독되는 상태로 하고, 그후,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 및 음성 메모리(23)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T 및 어드레스 데이타 DRT의 공급을 정지한다.
제어 유니트(20)은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가 쓰여서 구성되는데 이같은 마이크로컴퓨터가 상술과 같이 제어 유니트(20)에 의한 레벨「1」을 가진 기록요구신호 CRi에 응답해서의 제어가 행해짐에 있어서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1예는 제2도에 도시된 흐름도로 나타내어지는 것같은 것이다.
상술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제2도의 흐름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선 스타트후, 단계(31)에 있어서 학습자용 기기 B1∼Bm로 부터 각각 얻어지는 기록요구신호 CR1∼CRm을 들이며, 계속하는 단계(32)에 있어서 플래그 Fc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플래그 Fc가 1이 아닌 정수에는 단계(33)에 있어서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1」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1」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단계(31)로 되돌아간다.
단계(33)에 있어서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1」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엔 단계(34)에 있어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을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35)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SSi로부터 차차로 증대해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가 어드레스 카운터로 얻어지도록 한다.
다음에, 단계(37)에 있어서, 플래그 Fe를 1로 설정하고, 계속하는 단계(38)에 있어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기록지령신호 CWS 및 어드레스 카운터로 부터 얻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송출을 개시함과 더불어 단계(39)에 있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을 개시하고,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A/D:D/A 변환부 Ci부터의 음성정보 데이타에 기준해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를 얻는 동작상태를 취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으로 부터 음성 메모리(22)에 공급된다.
학습자용 기기 Bi부터의 입력 음성정보 데이타 DAi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i에 차례로 기록되어 가는 상태로 하고, 단계(31)로 되돌아 간다.
또, 단계(32)에 있어서, 플래그 Fc가 1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엔 단계(40)에 있어서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0」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 「0」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레벨 「1」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단계(31)로 되돌아 간다. 또, 단계(40)에 있어서 기록요구신호 CRi가 레벨「0」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41)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얻어지는 어드레스데이타 DRS의 최종내용을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42)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24)에 있어서 메모리 구분 Si'에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을 덧붙여서 단계(41)에서 기억된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최종내용을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를 단계(41)에서 기억된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최종내용을 가지고 갱신한다. 그후, 단계(43)에 있어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기록 지령신호 CRW 및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얻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송출을 정지함과 더불어 단계(44)에 있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을 정지하고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으로부터 얻어지는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음성 메모리(22)에 있어서의 메모리구분 Si로의 기록상태를 해제하고, 단계(45)에 있어서 플래그 Fc를 0으로 설정한 다음, 단계(3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 유니트(20)을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제어 유니트(20)에 의한 레벨「1」을 가진 재생요구신호 CLi에 응답해서의 제어가 행해짐에 있어서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1예는 제3도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된다.
상술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제3도의 흐름도로 나타내어지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선 스타트후, 단계(51)에 있어서 학습자용 기기 B1∼Bm로 부터 각각 얻어지는 재생요구신호 CL1∼CLm을 들이며, 계속하는 단계(52)에 있어서 플래그 Fc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플래그 Fc가 1이 아닌 경우엔 단계(54)에 있어서 어드레스 메모리(24)에 있어서의 메모리 구분 Si'로 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1과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을 판독해서 기억한다. 그리고, 계속하는 단계(55)에 있어서, 내장된 어드레스 카운터에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을 로드한 후, 단계(56)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SSi로부터 차차 증대해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가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다음에 단계(57)에 있어서 플래그 Fc를 (1)에 설정하고, 계속하는 단계 (58)에 있어서 플래그 Fs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플래그 Fs가 1인 경우엔 단계(59)에 있어서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판독지령신호 CRS 및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얻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송출을 개시함과 더불어, 단계(60)에 있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의 공급을 개시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음성 메모리(22)로부터 판독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에 기준하는 음성정보 데이타를 A/D:D/A 변환부 Ci에 공급하는 동작상태를 취하게 하고, 그것으로 음성 메모리(22)의 메모리 구분 S1에 있어서의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 SSi에 대응하는 시단부로부터 그곳에 기록된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가 차례로 판독되어가는 상태로 한다. 그후, 단계(61)에 있어서 플래그 FS를 1에 설정해서 단계(51)로 되돌아 간다.
또, 단계(53)에 있어서 플래그 FC가 1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62)에 있어서 음성 메모리(22)에 공급되어 있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내용이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 SEi에 이르렀을 경우엔 단계(63)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더불어 단계(64)에 있어서 i를 1만큼 증가시킨 후, 스텝(66)로 나아간다.
단계(66)에 있어선 i이 m+1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i이 m+1로 되어있지 않으며, m+1보다 작은 경우엔, 단계(54)로 나아가 단계(54)이후의 각 단계를 상술과 같이 차례로 실행한다.
또, 단계(66)에 있어서 i이 m+1로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선, 단계(67)로 나아간다.
단계(67)에 있어선 음성 메모리(22)에 대한 판독 지령신호 CRS 및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얻어지는 어드레스 데이타 DRS의 송출을 정지함과 더불어 단계(68)에 있어서 음성정보 데이타 처리부(10)에 대한 제어신호 CC의 공급을 정지하고, 음성 메모리(22)부터의 메모리용 음성정보 데이타 DAi의 판독상태를 해제하고 단계(69)에 있어서 플래그 Fs를 0에 설정한 후, 단계(51)로 되돌아 간다.
또한, 단계(52)에 있어서, 재생요구신호 CLi이 레벨「i」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엔 단계(70)에 있어서 플래그 Fs가 1인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플래그 Fs가 1이 아닌 경우엔 단계(51)로 되돌아가며, 또, 클래그 Fs가 1인 경우에는 단계(71)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더불어 단계(72)에 있어서 플래그 FC를 0에 설정하고, 단계(67)로 나아가며 단계(67)이후의 각 단계를 상술과 같이 차례로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관계하는 집단어학학습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음성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음성신호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를 포함하고 구성되어서, 예켠대, 음성에 의한 교제제공이 복수의 학습용기기의 각각에 이뤄지는 것으로 되어짐에 있어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음성신호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음성신호에 기준해서 형성된 음성정보 데이타가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데이타로 특정되는 기록 영역에 기록됨과 더불어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음성 데이타 형성부로 부터 얻어지는 기록 영역에 기록됨과 더불어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음성 데이타 형성부로부터 얻어지는 음성정보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 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이 어드레스 메모리에 기록되며,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하나에서 송촐되는 재생요구신호에 따라서, 어드레스 메모리로부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이 차례로 판독됨과 더불어 판독된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의 각각에 대응하는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음성정보 데이타가 차례로 판독되며, 판독된 음성정보 데이타에 기준해서 형성된 출력 음성신호가 학습자용기기의 음성신호출력부에 공급되게 되어짐으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각각에 있어서 그 학습자용기기로부터 입력되어서 기억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음성출력 뿐 아니라. 다른 학습자용기기로부터 입력되어서 기록된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재생음성출력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각 학습자용기기를 사용하는 학습자에 있어서의 학습성과를 효과적으로 높힐 수 있는 것으로 된다.

Claims (1)

  1. 각각의 음성신호입력부 및 음성신호출력부를 구비한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와; 상기 복수의 학습자용기기의 음성신호입력부로부터 음성신호에 기준하는 음성정보데이타를 얻는 음성 데이타 형성수단과; 상기 음성 데이타 형성부로부터 얻어지는 음성정보 데이타가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해 특정되는 기록영역에 기록되는 음성정보 메모리와; 상기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상기 음성 데이타 형성부로부터 얻어지는 음성정보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영역의 시단부 및 종단부를 각각 나타내는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이 기억되는 어드레스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학습자용 기기의 하나에서 송출되어지는 재생요구신호에 따라서, 상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을 차례로 판독하고, 판독된 상기 시단 어드레스 데이타와 종단 어드레스 데이타와의 짝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진 음성정보 데이타를 차례로 판독하는 메모리 제어수단과; 상기 음성정보 메모리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으로 부터 판독된 음성정보 데이타에 기준하는 재생음성신호를 얻고 상기 학습자용 기기의 하나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출력부에 공급하는 음성신호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집단어학학습장치.
KR1019900007820A 1989-06-02 1990-05-30 집단어학 학습장치 KR0144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0703 1989-06-02
JP1140703A JP2797438B2 (ja) 1989-06-02 1989-06-02 集団語学学習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21A KR910001621A (ko) 1991-01-31
KR0144457B1 true KR0144457B1 (ko) 1998-07-15

Family

ID=1527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820A KR0144457B1 (ko) 1989-06-02 1990-05-30 집단어학 학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65317A (ko)
EP (1) EP0400682B1 (ko)
JP (1) JP2797438B2 (ko)
KR (1) KR0144457B1 (ko)
CA (1) CA2018041C (ko)
DE (1) DE690268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0703B2 (ja) * 1989-08-22 1999-12-13 ソニー株式会社 学習装置
FR2672412B1 (fr) * 1991-01-31 1994-06-17 Tomatis Int Procede et appareil pour l'enseignement des langues.
US5393236A (en) * 1992-09-25 1995-02-28 Northeastern University Interactive speech pronunci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186794B1 (en) 1993-04-02 2001-02-13 Breakthrough To Literacy, Inc. Apparatus for interactive adaptive learning by an individual through at least one of a stimuli presentation device and a user perceivable display
US5557706A (en) * 1993-07-06 1996-09-17 Geist; Jon Flexible pronunciation-practice interface for recorder/player
US5810599A (en) * 1994-01-26 1998-09-22 E-Systems, Inc. Interactive audio-visual foreign language skills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US5415313A (en) * 1994-02-14 1995-05-16 Sang-Seo; Hong Can
USH2098H1 (en) * 1994-02-22 2004-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ultilingual communications device
US5644693A (en) * 1994-11-29 1997-07-01 The Butcher Polish Company Instructional method involving talk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
WO2002071258A2 (en) * 2001-03-02 2002-09-12 Breakthrough To Literacy, Inc. Adaptive instructional process and system to facilitate oral and written language comprehension
FI114881B (fi) * 2001-06-01 2005-01-14 Sanako Oy Kielenoppimisjärjestelmä ja digitaalinen tallennusyksikkö
US7286993B2 (en) 2002-01-31 2007-10-23 Product Discovery, Inc. Holographic speech translation system and method
US7455522B2 (en) * 2002-10-04 2008-11-25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ding fluency instruction and improvement
US7524191B2 (en) 2003-09-02 2009-04-28 Rosetta Stone Ltd.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instruction
US8033831B2 (en) * 2004-11-22 2011-10-11 Bravobrav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tically evaluating and aiding a person learning a new language
WO2006057896A2 (en) * 2004-11-22 2006-06-01 Bravobrava, L.L.C.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language learning
US8221126B2 (en) * 2004-11-22 2012-07-17 Bravobrava L.L.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grammatic language learning tests and evaluations
US8272874B2 (en) * 2004-11-22 2012-09-25 Bravobrava L.L.C.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language learning
US20060286527A1 (en) * 2005-06-16 2006-12-21 Charles Morel Interactive teaching web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120A (en) * 1968-04-05 1971-07-27 Baldwin Co D H Music laboratory
JPS5848289Y2 (ja) * 1977-06-16 1983-11-04 大和紡績株式会社 ワインダにおけるチ−ズの糸端解舒装置
JPS5468337A (en) * 1977-11-08 1979-06-01 Sony Corp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teaching machine
US4310317A (en) * 1978-09-27 1982-01-12 Sony Corporation Educational apparatus with automatic terminal identification
US4371752A (en) * 1979-11-26 1983-02-01 Ecs Tele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audio communication system
US4831653A (en) * 1980-11-12 1989-05-16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registering speech information to make a voice dictionary
US4609358A (en) * 1981-06-26 1986-09-02 Sangster Bruce F Video training system for simulataneously training a plurality of students
US4573140A (en) * 1983-03-30 1986-02-25 Voicetek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storage and forwarding with simultaneous access to multiple users
US4698776A (en) * 1983-05-30 1987-10-06 Kabushiki Kaisha Kenwoo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591929A (en) * 1984-07-13 1986-05-27 Newsom Harley M Interactive learning programming and like control circuitry
US4747126A (en) * 1985-02-20 1988-05-24 A T & E Corporation Voice mail system on magnetic tape
JPS62175791A (ja) * 1986-01-29 1987-08-01 ソニー株式会社 語学練習機器のモニタ装置
JPS6324272A (ja) * 1986-07-16 1988-02-01 ソニー株式会社 学習装置
JPH07113810B2 (ja) * 1986-07-17 1995-12-06 ソニー株式会社 学習装置
US4885763A (en) * 1987-12-01 1989-12-05 At&E Corporation Voice mail system with improved detection and cancellation
US4916726A (en) * 1988-09-29 1990-04-10 American Tel-A-System, Inc. Telephone answering service with integrated voice and textual message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65317A (en) 1991-11-12
EP0400682A3 (en) 1992-03-11
DE69026864T2 (de) 1997-01-02
JP2797438B2 (ja) 1998-09-17
KR910001621A (ko) 1991-01-31
CA2018041C (en) 2003-12-30
EP0400682A2 (en) 1990-12-05
CA2018041A1 (en) 1990-12-02
JPH036587A (ja) 1991-01-14
EP0400682B1 (en) 1996-05-08
DE69026864D1 (de) 199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457B1 (ko) 집단어학 학습장치
DE3590157C2 (ko)
ATE176540T1 (de) Kommunikationsverfahren für numerisches, intelligentes, audiovisuelles reproduktionssystem
EP0253655B1 (en) Group education system
US20030097253A1 (en) Device to edit a text in predefined windows
Barrutia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language laboratories
Webster Information in simple multidimensional speech messages
JP2004527802A (ja) 言語学習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記憶装置
KR100912118B1 (ko) 콘텐츠에 연동된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JPS6248828B2 (ko)
KR100421970B1 (ko) 통신을 이용한 교육시스템
JPS6350882A (ja) 視聴覚学習機能を有するクラスタ方式cbe装置
JP3397353B2 (ja) 学習装置
JPH07113809B2 (ja) 学習装置
JP2789607B2 (ja) 集団学習装置
JPS6159512B2 (ko)
JPS63148288A (ja) 発音訓練装置
Richmond The virtual language lab: Remote foreignlanguage learning through digitized speech technology
JPS6324275A (ja) 学習装置
JPH0944188A (ja) 音声編集出力方法
JPH01118884A (ja) 訓練用シミユレータ
US20050255436A1 (en) Learning methods employing multiple sensory pathways
JPH0642697B2 (ja) 集団通信装置
JPH0568715B2 (ko)
DE3918752A1 (de) Verfahren zum unterstuetzen des erlernens eines in einen computer eingegebenen anwendungsprogram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