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564B1 -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 Google Patents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564B1
KR0142564B1 KR1019900014061A KR900014061A KR0142564B1 KR 0142564 B1 KR0142564 B1 KR 0142564B1 KR 1019900014061 A KR1019900014061 A KR 1019900014061A KR 900014061 A KR900014061 A KR 900014061A KR 0142564 B1 KR0142564 B1 KR 014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capsule
paddy
par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758A (ko
Inventor
야스오 오가와
후미오 기무라
아끼라 기무라
가즈유끼 마에다
미끼오 미야지
노보루 요시까와
아끼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아끼자와 다까시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자와 다까시,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자와 다까시
Publication of KR91000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에 시용한 약량의 전량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되는 술포닐우레아계 제초 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제1도는 콘크리트 제품의 운형풀을 표시하고, 원심 반경 0.5m는 수면상에 돌기한 원주이고, W-1지점은 정제의 투입점이며, W-1 내지 W-3, X-1 내지 X-3, Y-1 내지 Y-3 및 Z-1 내지 Z-3의 지점은 물의 채취점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논을 표시하고, W-1 내지 W-3은 정제의 투입점이며, W-1, X 및 Y는 논물의 채취점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논을 표시하고, W-1, W-2 및 W-3은 정제의 투입점이며, X 지점은 너도방동산이를 심은 지점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세로 1m, 가로 4m, 높이 20㎝의 나무를 시험 구역을 표시하고, W 지점은 정제의 투입점이며, X 및 Y 지점은 논물의 채취점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논 제초에 있어서 제초제 사용시의 간편한 투입용 정제 또는 캡슐을 제공하고, 또 그로 인해 간단한 제초제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종래, 논의 제초방법 특히 수도작 초기-중기의 제초방법으로서는 제초성분을 미분말 고형 담체, 다른 보조제와 함께 제제한 미립제, 입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수화제를 다량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열거되지만, 그밖에 미분말 고형 담체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 제초성분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유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미분쇄한 제초성분을 물에 분산ㆍ현탁한 농축 현탁액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이 열거된다.
그렇지만 미립제, 입제, 수화제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제초제를 넣은 무거운 시용기 또는 산림기를 운반하면서,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10 아르당 3-4㎏의 입제를 시용하기 위해 논을 걸어서 돌아다니거나, 또는 논두렁에서 대형 나이아가라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제초제를 철저히 구석까지 균일하게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제초제의 운반, 시용작업은 가혹한 노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못자리논도 종종 손상하기 때문에 그 생육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제, 농축 현탁액제의 사용시에 있어서도, 대형 시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제초제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일정한 약량을 분무할 수 있는 용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또한 균일한 제초제 사용을 위해서는 논을 걸어서 돌아다녀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방법의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고, 특별한 제초제 시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제초제를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논에 사용한 약량의 전체 양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하는 술포닐 우레아계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로 조성되며, 또한, 논에 시용한 약랑의 전체 양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하는 기타 제초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이다. 또 당해 정제 또는 캡슐을 10 아르당 10개~ 200개, 또한 이 정제 또는 캡슐의 총 중량이 200-1,500g이 되도록, 물을 가득 채운 논에 시용하고, 실질적으로 제초성분의 전량을 논물 중에 용해,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방법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논에 시용한 약량의 전량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하는 술포닐 우레아계 제초성분 또는 기타 제초성분이란 실질적으로 못자리논에 약해를 주지 않으나 제초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약량, 즉, 실용 약량(practical amount)의 제초성분을 논에 시용하고, 그 전량이 논물에 용해한다고 가정했을 때, 당해 제초성분의 논물중 농도가 제초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25 ℃) 이하인 제초성분을 의미한다.
당해 술포닐 우레아계 제초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N-[(4, 6-디메록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메틸-5-(2-클로로-2, 2-디플루오로에톡시-4-이소티아졸술폰아미드 (이하 A-1로 기재함), 메틸-α-(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o-톨루일레이트 (이하 A-2로 기재함), N-[(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4-에톡시 카르보닐-1-메틸-2-피라졸술폰아미드 (이하 A-3으로 기재함), N-(2-클로로이미다조[1, 2-a]피리딘-3-3-일술포닐)-N'-(4, 6-디메톡시-2-피리디닐) 우레아 (이하 A-4로 기재) 및 3-(4, 6-디메톡시-1, 3, 5-트리아진-2-일)-1-[2-(2-메톡시에톡시)페닐술포닐]우레아 (이하 A-5로 기재) 등이 열거된다.
기타 제초 성분으로서는 2-메틸티오-4, 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이하B-1로 기재), 2-메틸티오-4-에틸아미노-6-(1, 2-디메틸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이하 B-2로 기재) 등의 트리아진류, 3, 7-디클로로-8-퀴놀린카르복실산 (이하 B-3로 기재)과 같은 퀴놀린 카르복실산류, 2-클로로-2', 6'-디에틸-N-(2-프로폭시에틸)아세트아닐리드 (이하 B-4로 기재), N-[2'-(3'-메톡시)티에닐메틸]-N-클로로아세토-2, 6-디메틸아닐리드 (이하 B-5로 기재), 및 2', 6'-디에틸-N-[(2-시스-부테녹시) 메틸]-2-클로로아세트아닐리드 (이하 B-6으로 기재) 등의 아닐리드류, S, S-디메틸-2-디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3, 5-피리딘디카르보티오에이트 (이하 B-7로 기재) 등이 열거되지만, 물에서의 용해도, 모, 잡초에의 작용 효과 등을 고려하면, 트리아진류, 퀴놀리카르복실산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 성분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제초성분 A-2는 수도작 초기-중기 제초제의 실용 약량으로서 보통 10아르당 5-7.5g이 사용되나, 그 경우 담수 깊이 5㎝로 가정했을 때 논물 중의 농도는 0.1-0.15ppm (실용 약량)이 되고, 한편 A-2의 용해도(25℃)는 8ppm이므로, A-2는 본 발명의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에 해당한다. 그렇지만, 최근 논용 제초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제초성분의 일례로서 4-(2,4-디클로로벤조일)-1, 3-디메틸-5-페나실옥시피라졸 (이하 피라족시펜이라 기재)은 수도작 초기-중기 제초제의 실용 약량으로서 보통 10아르당 180-300g 시용되고, 담수 깊이 5㎝의 논물 중의 농도는 3.6-6ppm(실용 약량)으로 되나, 피라족시펜의 용해도(25℃)는 0.9ppm이므로 피라족시펜은 본 발명의 제초성분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초성분 A-2는 피라족시펜에 비해 정제 또는 캡슐에 함유되는 양이 적기 때문에 제제하기 쉬울 뿐 아니라, 제제품을 논에 시용한 경우라도, A-2는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논물 중에 신속하게 용해해서 널리 확산하여 균일하게 분산함에 비해서, 피라족시펜은 그다지 잘 용해하지 않고 분산하기 어렵게 때문에 고형물의 상태로 물 밑으로 침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면 활성제는 제초성분, 결합제 등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도데실벤젠술폰나트륨,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디알칼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황산 나트륨, 고급 알코올 황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술페이트, β-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포르말린 축합물, 디나프탈렌메탄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폰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아세틸렌글리콜, 디글리세롤보레이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비 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열거된다. 계면 활성제는 1종만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의 제제에 있어서, 특정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주된 제초성분인 술포닐우레아계 화합물의 분해가 촉진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특정한 계면 활성제로서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등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 옥시알킬렌기의 수가 1 이상 수십 정도의 것이고, 예를 들면 전술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이다. 또한,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계면 활성제라도,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의 분해를 촉진하지 않는 정도이면, 그 양적 범위 내에서 기타 계면 활성제와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포제는 산성 물질 및 알칼리성 물질을 혼합한 것이며, 이 호합물은 물 존재하에서 반응해서 기체를 발생한다. 산성 물질로서는, 그것 자체가 산성을 나타내는 것 또는 물에 용해해서 산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면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숙신산, 말레인산, 프탈산, 푸마르산, 아디핀산 등의 유기산, 인산 이수소나트륨, 인산 이수소칼륨, 인산 이수소암모늄, 황산수소칼륨 등의 수소염, 칼륨 명반, 암모늄 명반 등의 명반류가 열거되고, 알칼리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탄산 마그네슘, 탄산 암모늄 등의 탄산염, 중탄산 나트륨, 중탄산 칼륨 등의 중탄산염, 과탄산나트륨과 같은 과탄산염 등이 열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합제는 각 구성성분 입자를 결합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수용성의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그의 염, 덱스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알킬렌글리콜, 리그닌술폰산염, 아라비아고무, 전분풀, 기타 전분류 또는 자당 등이 열거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제로서, 그 자체가 일반적인 결합제가 아니라도, 각 구성 성분 입자를 결합하는 역할을 달성하는 것이면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숙신산, 아디핀산, 인산 등의 산성 물질 및 그들 염, 탄산 나트륨, 중탄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물질 등이 열거된다.
또, 결합제에 있어서도, 전술한 계면 활성제와 같이 술포닐우레아계 화합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옥시 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열거된다. 그렇지만 전술한 것과 같은 결합제라도, 술포닐우레아계 화합물의 분해를 촉진하지 않는 정도라면, 그 양적 범위 내에서 사용해도 좋다.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의 선택에 있어서는 제초성분의 종류, 제제 전체의 배합 비율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는 시행착오적인 실험에 의해서 적당한 것을 선발해야 한다.
본 발명의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은 상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 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로 조성되며, 또한, 상기 기타 제초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옐를 들면 상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 1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계면 활성제를 0.1-2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중량부, 발포제를 1-80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5-1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25중량부 및 결합제를 0.1-2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2-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4-1.5중량부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다. 또, 기타 제초 성분은 상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 1중량부에 대해서, 0.5-100중량부 배합해도 좋고, 이 경우 전체 제초성분에 대한 상기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의 배합 비율은 전술한 범위와 같아도 좋고, 물론 전술한 범위 외의 것이라도 초기의 효과를 표시하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고형 담체, 다른 농약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초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도, 분산성을 크게 손상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상기 제초성분 이외의 제초성분, 살균성분, 살충성분, 식물 생육 조절성분, 비료성분 등도 함유할 수도 있다.
고형 담체로는 가올린, 활석, 점토, 벤토나이트, 미분말 실리카 등의 광물성 미분말, 무수 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 염류, 요소 등의 유기 물질 등이 열거되고, 다른 농약 보조제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용제, 분해 방지제, 약해 경감제, 분산 안정제, 붕괴제, 건조제 등이 열거된다. 그들 사용량은 한마디로 규정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정제 또는 캡슐 전체를 기준으로하는 비율로서 고형 담체는 0.1-50중량부 및 다른 농약 보조제는 0.1-2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은 통상, 하기의 방법 혹은 그에 준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초성분이 고체인 경우, 물에의 용해도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분쇄함으로써, 입자 지름이 1-200㎛, 바람직하기로는 1-100㎛의 미세입자로서 사용한다. 정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를 동시에 혼합하거나 또는 미리 혼합한 임의의 성분에 기타 나머지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전체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입자 지름 1-200㎛로 분쇄하여, 이것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통상 방법에 따라 압축 성형함으로써 정제화한다. 여기에서 고형담체 또는 다른 농약 보조제를 사용할 경우, 이를 미리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쇄해서 수화제를 형성한 후 발포제 및 결합제와 혼합하는 방법 등이 열거된다. 물론, 전술한 정제의 제조 방법은 약효, 제제성 등을 고려해서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정제는 그 제조 방법, 타정기 등의 상이함에 의해, 원형판상, 타원형 판상, 각형 판상, 봉상 등 여러 가지 형상, 크기의 것으로서 제조된다. 정제의 형상에 의해서 약효가 크게 영향받는 것이 아니므로, 어떤 형상, 크기, 무게의 것이라도 좋으나, 형상이 원형 판상으로 크기가 직경 1-5㎝, 두께 0.2-3㎝, 무기 1-150g의 것이 제제상, 제초제 시용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슐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필요하다면 고형 담체 또는 다른 농약 보조제를 가해서 그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한 분쇄물을 입자 지름 1㎛-1.5㎛로 조립하여, 이 과립을 수용성 셀룰로스, 젤라틴 등으로 제조한 캡슐에 충전하거나 또는 조립하지 않고 상기 분쇄물, 수화제를 그대로 캡슐에 충전한다. 이 캡슐도 정제의 경우와 동일한 형상, 또는 구상, 타원구상, 크기, 무게가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형상이 타원구상으로 크기가 직경 1-5㎝, 길이 1-10㎝, 무게 1-150g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캡슐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제한 것 외에, 상기 분쇄물 또는 수화제를 캡슐 용기에 충전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성 셀룰로스, 젤라틴 등의 수용성 필름에 의해 포장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은 담수한 논에 시용하면 물과의 접촉에 의해 기체를 발생하고, 제초성분이 논물 중에 신속하게 용출하고, 또한 계면 활성제도 사용해서, 제초성분이 물 속을 확산해서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을 논에 시용하면 신속하게 실질적으로 제초성분의 전량을 논물 중에 용해, 분산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시간-20시간 후에 논물 중에 제초성분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논모에 약해를 부여하지 않고 잡초를 철저하게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을 사용해서 논에 있어서의 제초를 행할 경우, 10아르당 10개-200개, 또한 정제 또는 캡슐의 총 중량이 200-1,500g이 되도록 사용하나, 이 범위를 크게 일탈하면 약효, 약해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는 시용 작업에 상당한 노력을 요한다. 바람직한 시용 방법에 관해서는 정제 또는 캡슐의 제조방법, 크기, 제초 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결합제 및 기타 첨가물의 종류, 배합 비율 등에 좌우되어 한마디로 규정할 수 없으나, 10 아르당 시용되는 제초성분 5-150g은 정제 또는 캡슐 1개에 0.05-15g당 분할하고, 이것을 10개-100개 시용한다. 이리하여 정제 또는 캡슐은 10-100㎡에 1개씩 시용하면 좋고, 따라서 논에 들어가지 않고 논두렁에서 당해 면적의 논에 투입하면 좋으므로, 시용 작업은 간단하고, 종래의 제초제 시용방법에 비해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을 사용해서 논에 있어서의 제초를 행할 경우에는, 대체로 모 이식의 경우 어린모 이식 5일-15일 후, 직파종 모의 경우 파종 10일-20일 후의 수도작 초기-중기에 시용했을 때 제일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지나, 상기 정제 또는 캡슐을 시용해도 약효, 약해상 특히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한 그밖의 시기에 시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정제 또는 캡슐은 일단 적당량의 물에 용해 내지 분산시키고, 이것을 논에 국부적으로 시용해도 약효, 약해면에서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이 기재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잇어서 부는 중량부로 나타낸다.
실시예
(발포성 배합물의 조제)
[조제예1]
숙신산 42.4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상품명: 세로겐(Cellogen) PR, 다이이찌코교세이야꾸(주) 제품) 5.2부, 중탄산나트륨 31.4부 및 탄산나트륨 21.0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마이크로샘플 밀(AP-S형, 호소기와 코교(주) 제품)으로 미분화하여, 발포성 배합물 A를 얻었다.
[조제예2]
상기 조제예 1에 있어서, 미분화 전의 혼합물에 다시금 색소(상품명: 식용 청색 1호, 브릴리앤트블루(Brilliant Blue)-FCF, 토꾜카세이(주) 제품) 0.5부를 균일하게 혼합해서, 상기 조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성 배합물 B를 얻었다.
정제 A-P 및 비교 정제(a)-(g)의 조제
[제제예1]
유발(乳鉢)로 입자 지름 5-10㎛ 정도로 미리 갈아 부순 제초성분 A-1, 0.46부 및 기타 제초성분 B-3 3.34부, 폴리옥시에틸렌토닐페닐에테르 50% 및 미분말 실리카 50%의 혼합물(상품명: 딕스 졸(Dikssol) W-92, 다이이찌쿄꼬세이야꾸(주) 제품) 3.8부 및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92.4부를 혼합하고, 마이크로샘플밀(상기와 같음)로 미분화하여 분쇄물을 얻었다. 이 분쇄물 48.2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압력 150-160㎏/㎠로 2분간 압축 성형해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A(48.0g)을 얻었다.
[제제예2]
상기 제제예 1의 분쇄 전의 혼합물에 색소(식용 청색 1호, 상기한 바와 같음)을 전체 중량의 2% 정도 가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제에 의해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물 38.6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직경 5㎝, 두께 1.3㎝의 정제 B (38.4g)을 얻었다.
[제제예3]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타정기를 사용하여 분쇄물 10.7g을 압축 성형해서 직경 2.5㎝, 두께 0.8㎝의 정제 C (10.5g)을 얻었다.
[제제예4]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 제초 성분 A-1 1.2부, 기타 제초 성분 B-3 8.8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술페이트 (상품명: 소르폴(Sorpol) 5039, 토호 카가꾸쿄교(주) 제품) 3.0부, 나트탈렌술폰산 나트륨-포르말린 축합물 (상품명: 라베린(Lavelin) FAN, 다이이찌쿄교세이야꾸(주) 제품) 2.0부, 미분말 실리카 (상품명: 카플렉스(Carplex), 시오노기 세이야꾸(주) 제품) 6부 및 카올리나이트 및 세리사이트의 혼합 분쇄물 (상품명: 지크라이트(Zieclite), 지크라이트 (주) 제품) 79.0부로 조성되는 수화제 37.9부와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62.1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한 것 10.7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압축 성형하며 직경 2.5㎝, 두께 0.8㎝의 정제 D(10.5g)을 얻었다.
[제제예5]
상기 제제예 4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한 것 48.2g에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E(48.0g)을 얻었다.
[제제예6]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 제초성분 A-2 0.52부, 기타 제초성분 B-3 3.33부, 딕스졸 W-92(상기한 바와 같음) 3.85부 및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92.3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물 48.2g에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F(48.0g)을 얻었다.
[제제예7]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 제초성분 A-2 1.35부, 기타 제초성분 B-3 8.65부, 소르폴 5039(상기한 바와 같음) 3.0부, 라베린 FAN (상기한 바와 같음) 2.0부, 카플렉스(상기한 바와 같음) 6.0부 및 지클라이트(상기한 바와 같음) 79.0부로 조성되는 수화제 38.53부와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61.47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물 48.2g에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G(48.0g)을 얻었다.
[제제예8]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 제초성분 A-1 0.455부, 기타 제초성분 B-3 3.34부, 기타 제초성분 B-1 1.53부, 딕스졸 W-92(상기한 바와 같음) 5.33부 및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89.36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물 48.2g에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H(48.0g)을 얻었다.
[제제예9]
상기 제제예 1에 있어서 제초성분 A-1 0.85부, 기타 제초성분 B-3 6.27부, 기타 제초성분 B-1 2.87부, 소르폴 5039(상기한 바와 같음) 3.0부, 라베린 FAN(상기한 바와 같음) 2.0부, 카플렉스(상기한 바와 같음) 6.0부 및 지크라이트(상기한 바와 같음) 79.0부로 조성되는 수화제 53.19부와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46.81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분쇄물 48.2g에서 직경 5㎝, 두께 1.6㎝의 정제 I(48.0g)을 얻었다.
[비교 제제예1]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38.08부, 피라족시펜 30.96부 및 딕스졸 W-92(상기한 바와 같음) 30.96부를 혼합하여 분쇄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제예 2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타정기를 사용하여 분쇄물 38.6g을 압축 성형해서 직경 5㎝, 두께 1.6㎝의 비교 정제 (a) (38.4g)을 얻었다.
[제제예 10-14 및 비교 제제예 2-4]
유발에서 미리 갈아 부순 제초성분 A-3 0.2부, 기타 제초성분 B-3 3.3부, 하기 표1에 표시한 계면 활성제 3.5부, 상기 발포성 배합물 B 88.0부 및 산화 마그네슘 5부를 혼합하여, 재차 갈아 부수어 분쇄물을 얻었다. 이 분새물 4.05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압력 150-160㎏/㎠로 2분간 압축 성형해서 각각 직경 2㎝, 두께 0.8㎝인 정제(4.0g)을 얻었다.
Figure kpo00001
[제제예 15]
제초 성분 A-3 0.21부, 기타 제초성분 B-3 3.32부, 소르겐 90(상기한 바와 같음) 3.54부, 산화 마그네슘 5.00부, 색소(식용 청색 1호, 상기한 바와 같음) 0.44부 및 상기 발포성 배합물 A 87.49부를 혼합해서, 마이크로샘플 밀 (상기한 바와 같음)로 미분화해서 분쇄물을 얻었다. 이 분쇄물 4.05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압력 150-160㎏/㎠로 2분간 압축 성형해서 직경 2㎝, 두께 0.8㎝의 정제 O(4.0g)을 얻었다.
[제제예16]
상기 제제예 15에 있어서, 소르겐 90(상기한 바와 같음)을 소르겐 50(상기한 바와 같음)에 대체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제예 15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직경 2㎝, 두께 0.8㎝의 정제 P(4.0g)을 얻었다.
[제제예17]
유발에서 미리 갈아 부순 제초성분 A-3 0.22부, 기타 제초성분 B-3 3.43부, B-7 1.01부, 소르겐 50(상기한 바와 같음) 4.66부, 산화 마그네슘 5.00부 및 상기 발포성 배합물 B 85.68부를 혼합해서 재차 유발에서 갈아 부수어 분쇄물을 얻었다.
이 분쇄물 4.05g을 타정기를 사용해서 압력 150-160㎏/㎠로 2분간 압축 성형해서 직경 2㎝, 두께 0.8㎝의 정제 Q(4.0g)을 얻었다.
[제제예18]
상기 제제예 17에 있어서, 기타 제초 성분 B-7 2.90부로, 소르겐 50(상기한 바와 같음) 4.66부를 6.55부로, 상기 발포성 배합물 B 85.68부를 81.90부로 대체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제예 17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직경 2㎝, 두께 0.8㎝의 정제 R(4.0g)을 얻는다.
[제제예19]
상기 제제예 17에 있어서, 기타 제초성분 B-7을 B-6 5.21부로, 소르겐 50(상기한 바와 같음) 4.66부를 8.86부로, 상기 발포성 배합물 B 85.68부를 77.28부로 대체하는 것 이외는 상기 제제예 17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직경 2㎝, 두께 0.8㎝의 정제 S(4.0g)을 얻었다.
[시험예1 (분산성 시험 - I)]
장해물로서 원심부에 반경 0.5㎝의 원주를 갖은 반경 3.5m 콘크리트제 원형풀(제1도)에 수심 약 5㎝로 물을 넣었다. 제1도에 표시한 대로, 원심에서 0.75㎝ 떨어진 W-1 점에 상기 제제예에서 제조한 정제를 사용하고, 그 시용 후 4시간 경과 후에 원심에서 0.75m, 1.75m 또는 2.75m 떨어진 각 점에서 물을 채취하여 제초성분의 분산 상황을 조사했다. 결과를 하기 표2에 표시한다.
Figure kpo00002
(주의) 시용 4시간 후, W-1의 점에 있어서 본 발명 시험 구역에서는 정제의 침전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 구역에서는 물밑에 다량의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상기 시험 결과에서 판명되듯이, 대비 구역에서는 제초성분 피라족시펜의 균일 분산이 어려움에 비해, 본 발명 구역에서는 제초성분 A-1 및 B-3 모두 균일하게 분산하고 있다.
[시험예2 (분산성 시험 II)]
써레질한 논에 각 구획의 크기가 가로 8m 세로 6m인 시험구역을 설치하고, 수심 3-6㎝로 물얼 넣었다. 써레질한 9일 후에 상기 제제예에서 제조한 정제를 1시험구획당 1개(제2도의 W-1 지점)투입했다. 24시간 후에 W-1, X 및 Y의 각 지점에서, 논물을 채취하여 제초성분의 분산 사황을 조사했다. 또한 논에서 짚부스러기, 잡초 조각 등의 많은 장해물이 관찰되었다.
Figure kpo00003
(주의) 시험구획 제5 및 제6에서는 제초성분 B-1은 분석되지 않았고, 또 입제 A 및 B는 시험구획 제1 및 제2 및 제5 및 제6의 정제에 각각 대응해서, 종래 방법에 의하여 제제한 것이다.
상기 시험 결과에서 판명되듯이, 본 발명의 시험 구획 제1, 2, 5 및 6에 있어서의 제초성분 A-1 및 B-3의 분산성은 비교구획의 시험구획 제7 및 8에 비해서 우수하거나 최소한 동일함으로, 단지 투입함으로 제초성분의 충분한 균일 분산의 결과가 얻어진다.
[시험예3 (제초시험-I)]
6월 7일에 트랙터로 논을 갈아엎은 후, 밑거름으로서 입상 화성비료(N-PO-K : 14-10-13)을 10아르 당 20㎏ 시용하였다. 6월 12일에 물을 넣어, 2일 후에 트랙터로 써레질을 행하여 6월 16일에 상자에서 재배한 제2엽의 모 (품종: 니혼바레(Nihonbare))를 기계 이식했다.
6월 20일에 플라스틱 논두렁 시트를 사용해서 3.5m × 3m의 시험구역을 2연제로 설치했다. 다음날 시험구역 끝에 싹이 튼 너도방동산이(Cyperus serotinus Rottb.)의 괴경을 1구역당 3개 심었다. 다른 잡초는 자발적으로 모두 발생했다.
담수 깊이를 5-7㎝로 저정하고, 6월 26일에 상기 제제예에서 제조한 정제 1개를 시험구역 중앙에 던져 넣었다. 비교 구역에는 상기 정제에 대응해서, 종래의 제제법에 의한 입제를 균일하게 시용했다. 제초제는 제초성분 A-1이 0.45g/아르, B-3이 3g/아르이다. 제초제 처리시 각 잡초의 엽령은 반야드 그라스(에쉬노클로아 오리지콜라 바싱)(barnyardgrass) (Echinochloa oryzicola vasing)가 1.5-1.8엽기, 올챙이 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Burn. fil.) Presl), 밭뚝외풀(Lindernia pyxidaria Linn) 및 너도방동산이(Cyperus Serotinus Rottb.)가 1.5-2엽기엿다. 제초제 처리 후 45일째에 모 및 잡초의 생육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해서, 생육 억제정도를 하기 기준으로 나타내어 표4의 결과를 얻었다.
5: 100%
t: 96-99%
5-4: 91-95%
5-4: 85-90%
4-5: 81-84%
--4: 70-80%
Figure kpo00004
(주의) *는 잡초가 완전히 제거된 다음 재차 약간 발생한 것을 표시하였다.
본 시험 결과에서 판명되었드시, 단지 던져 넣음만으로 모에 약을 부여함이 없이 비교구역과 동등한 제초 효과가 얻어진다.
[시험예4 (제초시험-II)]
7월 17일에 트랙터로 논을 갈아엎어 7월 21일에 물을 넣었다. 다음날 트랙터로 써레질한 다음 플라스틱 논두렁 시트를 사용하여 8m × 6m의 시험구역을 설치하였다. 7월 24일에 싹이 튼 너도방동산이의 괴경을 1구역당 24개 제3도의 X지점에 심었다. 반야드그라스 및 물달개비는 자연히 발생시켰다. 7월 31일에 담수 깊이를 3-6㎝로 조정하고, 상기 제제예에서 제조한 정제를 1구역당 1개 또는 2개를 제3도의 W-1 또는 W-2, W-3의 각 위치에 던져 넣었다. 제초제 처리시의 잡초는 반야드그라스나 물달개비가 1.5-2엽기, 너도방동산이가 2엽기였다. 제초제 처리 후 30일째에 상기 시험예 3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생육 억제정도를 관찰하여 표5에 나타난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5
(주의) 입제 A 및 B (표-3의 주의에 기재한 것)은 반야드그라스, 물달개비 및 너도방동산이 모두에 대해서 100%의 생육 억제정도를 표시하였다.
[시험예5 (제초 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율 시험)]
상기 제제 방법에서 조제된 정제 J-N 및 비교 정제(b)-(d) 각각의 샘플을 2개식 사용해서, 하나를 표준 샘플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라미네이트 봉지에 봉입하여, 54℃의 항온기 내에 넣고, 7일간 보존해서, 학대 시험(severe environment test)을 행하였다.
상기 표준 샘플 및 학대 시험의 샘플 일부를 취하여, 샘플 중의 활성 성분의 함량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내부 표준법에 의해 정량해서 하기 식에 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율(분해율)을 산출하였다.
Figure kpo00006
R: 표준 샘플 중의 활성성분의 함량
S: 학대 시험 후의 샘플 중의 활성성분의 함량
이들 결과를 표6에 표시한다.
Figure kpo00007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옥시 에틸렌기를 함유하는 계면 활성제에 비해서, 폴리옥시 에틸렌기를 함유하지 않는 계면 활성제가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험예6 (분산성 시험)]
세로 1m, 가로 4m, 높이 20㎝의 나무들이 있는 시험구역을 설치하여, 그 저부에는 논흙을 균일하게 깔고, 물을 넣고, 써레질 후 수심을 5㎝로 했다. 제5도에 표시하듯이, 짧은 변의 한쪽 끝(W 지점)에 상기 정제 O 또는 P를 각각의 시험구역에 투입하여, 중앙부(X 지점, 짧은 변 한쪽 끝에서 2m의 위치) 및 짧은 변 다른쪽 끝(Y 지점)에서, 예정시간(3.5시간, 1일, 2일, 4일 및 6일)경과 후, 논물을 채취하여 제초성분의 분산상황(농도 : ppm)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7에 표시했다.
Figure kpo00008

Claims (13)

  1. 논에 시용한 약량의 전량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되는 양의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논에 시용한 약량  전량이 실질적으로 논물에 용해되는 양의 기타 제초성분을 더 함유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술포닐 우레아계 제초성분이 N-[(4,6-디메톡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3-메틸-5-(2-클로로-2,2-디플루오로에톡시-4-이소티아졸술폰아미드, 메틸-α-(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o-톨루일레이트,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르보닐]-4에톡시카르보닐-1-메틸-2-피라졸술폰아미드, N-(2-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3-일술포닐)-N'- (4,6-디메톡시-2-피리디닐)우레아 및 3-(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1-[2-(2-메톡시에톡시)페닐술포닐]우레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4. 제2항에 있어서, 기타 제초성분이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2-메틸티오-4-에틸아미노-6-(1,2-디메틸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3,7-디클로로-8-퀴놀린카르복실산, 2-클로로-2',6'-디에틸-N-(2-프로폭시에틸)아세트아닐라드, N-[2'-(3'-메톡시)-티에닐메틸]-N-클로로아세토-2,6-디메틸아닐라드, 2',6'-디에틸-N-[(2-시스-부테녹시)메틸]-2-클로로아세토아닐리드 및 S,S-디메틸-2-디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3,5-피리딘디카르보티오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5.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가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지응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엇, 상기 발포제가 물 존재하에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하는 산성 물질 및 알칼리성 물질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수용성이며, 또한 각 구성 성분 입자를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의 배합 비율(중량)이 1 : 0.1-20 : 1-800 : 0.1-20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또는 캡슐의 형상이 원형판상, 타원형 판상, 각형판상, 봉상, 구상 또는 타원형 구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형상이 원형판상으로, 크기가 직경 1-5㎝, 두께 0.2-3㎝, 무게 1-150g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정제
  11.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형상이 타원구상으로, 크기가 직경 1-5㎝, 길이 1-10㎝, 무게 1-150g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용 캡슐.
  12. 제1항 또는 2항에 기재한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을 10아르당 10-200개, 또한 이 정제 또는 캡슐의 총 중량이 200-1500g이 되도록, 담수한 논에 시용하여, 실질적으로 제초성분의 전량을 논물 중에 용해 및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제초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i)수용성 필름 및 제초성분, 계면 활성제, 발포제 및 결합제의 분쇄 혼합물 또는 (ii)수용성 필름 및 분쇄 혼합물의 과립을 포함하며, 분쇄 혼합물 또는 분쇄 혼합물의 과립이 수용성 필름에 충전되어 있는 것인 캡슐.
KR1019900014061A 1989-09-07 1990-09-06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KR014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254989 1989-09-07
JP1-232549 1989-12-28
JP34037589 1989-12-28
JP1-340375 198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758A KR910005758A (ko) 1991-04-27
KR0142564B1 true KR0142564B1 (ko) 1998-07-01

Family

ID=2653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061A KR0142564B1 (ko) 1989-09-07 1990-09-06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980959B2 (ko)
KR (1) KR0142564B1 (ko)
CN (1) CN1043402C (ko)
ES (1) ES2033181B1 (ko)
IT (1) IT12437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00A1 (ko) *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960B2 (ja) * 1989-09-07 1999-11-22 石原産業株式会社 水田除草投込み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H05163102A (ja) * 1991-12-12 1993-06-29 Mikasa Kagaku Kogyo Kk 水田用農薬およびその製法
AU6469996A (en) * 1995-07-21 1997-02-1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Solid preparation for paddy field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thereof
US6218336B1 (en) 1999-10-26 2001-04-17 Applied Carbochemicals Enhanced herbicides
KR100404302B1 (ko) * 2000-11-07 2003-11-01 (주)화신파우워 록크아웃 스위치 구동장치 및 구동제어회로
JP2007238386A (ja) * 2006-03-09 2007-09-20 Phyto Chrome:Kk 発泡性肥料製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6816B1 (ko) * 1966-02-23 1976-12-11
JPS5248181B2 (ko) * 1972-05-08 1977-12-08
JPS61134301A (ja) * 1984-12-04 1986-06-21 Mitsubishi Chem Ind Ltd 除草剤組成物
JPH0688997B2 (ja) * 1986-02-07 1994-11-09 石原産業株式会社 スルホンアミド系化合物及びその塩、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H0784366B2 (ja) * 1987-04-20 1995-09-13 石原産業株式会社 除草組成物
ES2011844A6 (es) * 1987-08-07 1990-02-16 Du Pont Metodo de control del crecimiento de la vegetacion indeseable en los arrozales.
JP2924071B2 (ja) * 1989-04-18 1999-07-2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水田用除草剤
GB9016783D0 (en) * 1989-09-01 1990-09-12 Ici Plc Agrochemical compositions
JP2980960B2 (ja) * 1989-09-07 1999-11-22 石原産業株式会社 水田除草投込み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00A1 (ko) *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농사직설 속방형 농약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80959B2 (ja) 1999-11-22
CN1049951A (zh) 1991-03-20
IT9021382A1 (it) 1992-03-05
ES2033181B1 (es) 1994-04-01
IT1243717B (it) 1994-06-21
IT9021382A0 (it) 1990-09-05
ES2033181A1 (es) 1993-03-01
JPH03223203A (ja) 1991-10-02
CN1043402C (zh) 1999-05-19
KR910005758A (ko) 199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564B1 (ko) 논 제초용 정제 또는 캡슐
JPS62212303A (ja) 顆粒状殺生剤組成物
JPH01197402A (ja) 低毒性水懸乳濁状農薬組成物
FI93416C (fi) Menetelmä rae- tai tablettimuotoisen herbisidituotteen valmistamiseksi
KR100220267B1 (ko) 수전제초용 입제 조성물
JP3598228B2 (ja) 粒状農薬水和剤
CN100581359C (zh) 粒状农药制剂
JPH07233002A (ja) 農薬製剤
EP1157612B1 (en) Granular water-dispersible ag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980960B2 (ja) 水田除草投込み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S63107901A (ja) 湛水下水田の除草剤組成物
JPH01211504A (ja) 固状農薬組成物
JPH09118602A (ja) 水面浮上性農薬製剤
JP3215683B2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KR100730590B1 (ko) 수중 유화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S6366101A (ja) 殺生用粒剤組成物
JP3263690B2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2002370903A (ja) 顆粒状水和剤
JP2004168784A (ja) 湛水下水田用農薬固形製剤の使用方法
JP3245588B2 (ja) 水田除草方法
JPH04297404A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H08268805A (ja) 空中散布用の農薬粒状水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中散布方法
JPH08188507A (ja) 移植水稲田の除草方法
JPH04356402A (ja) 発泡性農薬組成物
CN110178847A (zh) 组合物、制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