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95B1 -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 Google Patents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95B1
KR0140495B1 KR1019940013076A KR19940013076A KR0140495B1 KR 0140495 B1 KR0140495 B1 KR 0140495B1 KR 1019940013076 A KR1019940013076 A KR 1019940013076A KR 19940013076 A KR19940013076 A KR 19940013076A KR 0140495 B1 KR0140495 B1 KR 014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al
circle
center point
distanc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다시로
Original Assignee
하야시 도라히꼬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610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99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172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9898B2/ja
Application filed by 하야시 도라히꼬,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시 도라히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3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cutter being a so-called "iris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29Particular nature of work or product
    • Y10S83/932Ed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372Rotatable type
    • Y10T83/9394Helical t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샘 번과 같은 외피로 덮여싸인 충진물로 구성된 음식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절단 부재내의 고장 또는 충돌을 발생시키는 반죽의 어떤 문제없이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절단 및 성형부재는 그 사이에 두께(T)를 한정하는 평행한 상부 및 하부 평면을 포함하고, 봉형반죽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한 두개의 인접 측면의 각각은 반경이 각 조립부재가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반경(R)을 갖는 원(a)상에 동일하게 배치된 어떤 두 인접축(B)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호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측면에서 두 팁은 서로 인접하며, 블록면은 상하부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각 측면의 한 팁부분상에 형성되고 볼록면에 대해 보상적인 오목면은 상기 측면의 다른 팁 부분상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제1a도는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polyhedral member)의 제1 실시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면체 부재의 사시도.
제1c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된 다면체 부재의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의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조립체의 절단 및 성형 공정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5a도 및 제5b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사용하는 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의 제2 실시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면체 부재의 사시도.
제7도 내지 제14도는 제2 실시예를 사용하는 조립체의 절단 및 성형 공정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
제15a도 내지 16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면체 부재2 : 팁
3 : 중심 개구5 : 하우징
6 : 회전축7 : 타이밍 벨트
8 : 타이밍 풀리9 : 모터
10 : 봉형 반죽물13 : 볼록면
14 : 오목면17 : 상하부면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빈-잼 번(bean-jam bun)과 같은 외퍼(cover)로 덮여싸인 충진물(filling)로 구성된 음식물(food product)을 절단 및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면체 부재(polyhedral member)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각 다면체 부재는 이 부재가 반죽물로 둘러싸인 개구를 형성하고 폐쇄하도록 가상원(imaginary circle)상에 배치된 각각의 회전축에 피봇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개구를 통과하는 반죽물(dough body)을 절단하고 성형한다.
[종래기술]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 특허 제35602호와 제60783호에는 충진물과 반죽 피복물(dough coating)로 구성된 반죽의 연속 봉형(continuous bar)으로부터 빈-잼 번과 같은 봉입물(enveloped body)을 전달하고 성형하기 위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해결할 문제점]
이러한 장치가 준비된 제품을 절단하고 성형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장치는 몇몇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치가 장기간 동안 반죽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때, 이들 기구로 인해 상기 부재는 서로상에서 미끄러지거나 또는 중심 개구를 폐쇄하고 개방하기 위해 이들 축 주위에서 회전하면, 상기 장치는 과열되어 고장을 일으키며, 그에 따라 작동이 차단된다.
더욱이 반죽 재료 또는 접착 예방 분말의 소량(bit)은 절단 공정중에 상기 부재의 팁 부분에 잔류하거나 뭉쳐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불필요한 잔류재료 또는 분말은 외피로부터 충진물의 돌출 뿐만 아니라 상기 부재와 절단 반죽물에 접착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그 상부에 나타나는 만개형(flower-like) 패턴 또는 주름(fold) 염려가 없는 유연한 외피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고, 그 결과 팁이 장치의 중심점에 뭉쳐질 때 절단부재 사이에 형성된 작은 갭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부재의 고장없이 장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봉형 반죽물을 전달하고 성형하기 위해 간단하고 내구성이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 부근의 상기 부재 부분에서 작동후에 잔류하는 재료로 인해 또는 작동중에 뭉쳐지는 재료로 인해 반죽 접착 또는 충진물 돌출을 제거하는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해 개량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외피상에 형성된 어떤 불규칙성을 발생시킴 없는 구형 반죽 제품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고 소정 두께를 갖는 부재를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평면을 포함하며, 두 길이방향 측면 각각은 반경이 가상원(imaginary circle)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두개의 인접 샤프트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호(arc)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두 길이방향 측면에서 두개의 팁은 서로 인접하여 절단 엣지를 형성한다. 사용시 다면체 부재의 팁이 상기 원의 중심점에 위치 설정될 때, 상기 다면체 부재의 두 측면에 대응하는 원호의 각 중심점은 상기 원의 반경과 동일한 부재의 샤프트로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두개의 인접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재는 상기 부재의 회전운동에 의해 폐쇄되거나 다시 개방되는 개구를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측면은 일 팁상의 측면이 샤프트와 직교하는 축에 관해 볼록하고 다른 팁상의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부재의 볼록 및 오목면의 곡률은 상기 팁을 향해 더욱더 날카롭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적어도 세개의 동일 형상의 다면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면체 부재는 상기 부재가 상기 원과 동심적인 개구를 방사방향으로 공동적으로 형성하거나 패쇄 하도록 연합되고, 하나의 다면체 부재의 팁 부분이 인접한 다면체 부재의 측면을 통과하고, 상기 개구는 그 회전 운동에 의해 다면체 부재의 측면에 의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를 통과하는 봉형 반죽물은 절단되고 성형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팁이 상기 원의 중심점에 위치 설정될 때,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의 측면에 대응하는 원호의 각 중심점은 상기 원의 반경과 동일한 부재의 샤프트로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두개의 인접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상기 원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부재의 일 팁 부분이 절단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세개의 동일 형상의 다면체 부재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상기 부재가 상기 원과 동심적인 개구를 방사방향으로 공동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가상 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세개의 각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부재는 세 측면을 갖는다. 이들은 두개의 인접한 측면 사이에 팁을 형성한다. 각 측면은 반경이 두 인접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호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팁중 하나가 상기 원의 중심점에 위치 설정될 때, 상기 원의 중심점에서 서로 인접한 두 측면과 대응하는 원호의 각 중심점은 상기 원의 반경과 동일한 부재의 샤프트로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두 인접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호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측면에 대응하는 원호의 중심점은 상기 원의 중심점에 배치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개구가 상기 부재의 회전에 의해 폐쇄되도록 연합되어 있으므로, 개구를 통과하는 봉형 반죽물은 절단되고 성형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제1a도, 제1b도 및 제1c도는 제1실시예의 다면체부재(polyhedral member)의 특정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제1a도에서 샤프트(6; 제5a 및 제5b도 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축(axes; B)은 중심점(A) 둘레에서 반경(R)으로 도시된 가상원(imaginary circle;a)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면체 부재(polyheral member; 1)는 상기 축의 일지점에 위치 설정된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다.
인접한 두 축(B)사이의 거리는 a'로 도시되어 있다. 다면체 부재(1)의 제1 측면(11)과 제2 측면(12)은 각각 원호(arc; y1, y2)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 원호(y1, y2) 의 반경은 거리(a')와 동일하다. 원호(y1)의 중심점(x1)과 원호(y2)의 중심점(x2)은 각각 반경(R)과 동일한 축(B)으로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거리(a')와 동일한 중심점(A)으로부터의 거리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면체 부재(1)의 상하부면(17)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편평하다. 이들은 소정 두께(T)를 갖는 다면체 부재(1)를 제공한다. 이들은 팁(2)에 서로 인접하고 있다.
상기 측면(11, 12)과 팁(2)은 재료를 절단하고 성형하며 접촉하는 부재의 블레이드부(blade part)를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의 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그 중 한 정면에서 본 측면(11 또는 12)의 죄측부가 블레이드로서 작용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이들 다면체 부재(1)는 이 부재의 각각이 샤프트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연합되어 있으므로, 중심 개구(3)는 이들이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할 때 형성되고 폐쇄되며, 이들 모든 팁은 개구가 폐쇄될 때 봉형 반죽(bar-shaped dough)을 분할하기 위해 중심점(A)에서 서로 인접되어 있다.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은 임의적으로 선택된다.
팁(2)의 초점(locus)은 다면체 부재(1)가 회전할 때 각 부재의 팁들중 2개의 팁이 그 사이에서 간섭함 없이 인접 부재의 제1 또는 제2 측면(11, 12)을 통과하도록 한정된다.
제5a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특정 절단 및 성형 장치의 일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특정 다면체 부재(1)를 포함하는 절단 및 성형 장치는 이중층 봉형 반죽(double-layered bar-shaped dough; 10)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4) 아래에 위치 설정되어 있다. 상기 수단(4)은 어떤 공지된 장치일 수 있다.
가상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회전축(6)은 하우징(5)내에 설치되어 있다. 다면체 부재(1)는 이들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각 샤프트(6)에 고정된다. 각 샤프트(6)의 일단부는 다면체 부재(1)가 하우징(5)상에 장착된 모터(9)에 의해 동시적으로 구동되도록 타이밍 벨트(7)와 맞물리는 타이밍 풀리(8)에 연결된다.
하우징(5)은 다면체 부재(1)의 회전과 동기(synchronism)하여 구동 수단(도시 않음)을 통해 상하고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의 상하 이동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가 폐쇄되는 한 하우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도록 개구(3)의 이동과 동기한다. 이는 개구가 완전히 개방되어 반죽과 간섭하지 않을 때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용과 효과가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2도에는 반죽 피복물(dough coating)로 덮어싸는 충진물(filling)로 구성된 봉형 반죽물(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개구(3)가 폐쇄될 때, 다면체 부재의 측면(11, 12)중 하나는 중심점을 향해 피복물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동시에, 감소된 표면적을 갖는 네크(neck)는 봉형 반죽이 얇은 외부 외피를 제조함 없이 그리고 충진물 돌출없이 절단할 수 있도록 다면체 부재의 상하부 사이에서 피복상에 형성된다.
측면(11, 12)에 의해 중심점을 향해 동시에 이동되는 반죽량은 반죽을 가압하는 다면체 부재(1)의 부분중 두께(T)를 변경하기 위해 조정된다.
따라서,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께가 그 팁(2')을 향해 감소하는 부분을 갖는 다면체 부재를 제공하고 또한, 일정한 두께(T; 제1b도 참조)를 갖는 다면체 부재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단 및 성형 공정은 빵 및 케이크 반죽과 같은 반죽 재료의 특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참조로 하기에 더 설명된다. 제6a도 및 제6b도에는 본 발명의 다면체 부재의 제2 실시예의 특정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다면체 부재의 상하부면(17)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형성된다. 이들 각 표면의 두 측면은 두 지점(21')에서 만난다.
각 측면(11, 12)은 볼록면(13)과 오목면(14)을 갖는다. 이들 양자는 상하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볼록면(13)은 두 팁 사이에의 거리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팁(2)중 한 팁까지 연장되고, 오목면은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대향 팁까지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2)은 볼록면과 오목면이 서로 인접한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볼록면과 오목면은 각각 두께(T)의 중심점 부분을 향해 돌출하고 감소된다. 가장 많이 돌출하는 볼록면의 부분과 가장 많이 감소하는 오목면의 부분 사이에 형성된 릿지(ridge)는 수직선(21)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볼록면과 오목면의 일단부를 형성한다. 볼록면은 상부 또는 하부면의 엣지로부터 일팁을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한다. 오목면은 상부 또는 하부면의 옛지로부터 다른 팁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팁 부분은 다면체 부재의 선(21)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도시된 덮개(envelope)를 도시한다. 상기 덮개는 부재가 샤프트(6) 또는 축(B)에 관해서 회전할 때 본 발명의 부재의 단일 위치를 형성한다.
제5b도의 다면체 부재(1)의 해칭된 단면은 제9도에 화살표로 지시된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는 다음과 같이 폐쇄된다. 즉, 1) 다면체 부재(1)가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구(3)는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2) 팁(2)의 볼록면(21, 제6b도 참조)의 도입 단부는 개구가 사라지도록(제9도 참조) 중심점(A)에 집중되며, 3) 동시에 볼록면(13)의 경사면(slope; 15, 16)으로 에워싸인 리세스(22, 제5b도 및 제9도 참조)는 부재의 각 상하부 면상에서 중심점(A) 둘레에 나타난다.
제10도 및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가 회전을 계속할 때, 리세스(22)는 사라지고 모든 다면체 부재의 상하부면은 지점(21'; 제6b도 참조)과 만난다.
리세스(22)가 나타나는 상(phase)과 상하부면(17)이 리세스로 대체되는 상을 포함하는 연속 폐쇄 공정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매우 탄성적인 반죽이 효과적으로 가공되도록 절단될 제품의 상하부로 이동되는 피복 재료를 가압적으로 도입한다.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의 돌출 정도와 오목면의 리세스 정도는 경사면(15, 16)이 수평 평면을 향해 증가적으로 경사지도록 팁(2)을 향해 증가한다.
볼록면(13)이 봉형 반죽물을 관통할 때, 경사면(15, 16)은 중심점 부분으로 이동하는 반죽 피복물을 효과적으로 도입하는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5, 16)이 볼록면(13)의 관통부와 함께 수평 방향을 향해 경사질 때, 경사면과 접촉하는 영역에 있는 반죽은 중심점 부분을 향해 이동하고, 그에 의해 절단될 제품의 상하부분은 반죽 피복물이 중심점부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부드럽게 된다.
결국, 제14도에 도시된 폐쇄 상태는 본 발명의 절단 및 성형 작동을 완성한다.
측면(11 또는 12)에 의해 중심점을 향해 동시에 이동되는 반죽 피복량은 볼록면과 오목면(13, 14)의 돌출 또는 리세스 정도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모든 두께(T)나 각 다면체 부재의 팁 부분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과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각 다면체 부재(1)의 두께(T)는 가공될 반죽의 특성에 의존한다. 상기 부재의 두께는 절단될 반죽의 직경보다 더 적거나 또는 동일한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반죽은 너무 얇은 외피를 제조하지 않거나 또는 파괴되는 반죽없이 절단되고 성형된다.
다면체 부재(1)의 팁(2)이 인접한 부재의 측면(11, 12)을 통과하여 이에 충돌하는 재료를 끌어 모으므로, 연한 재료는 어떤 접착제 없이 절단되고 성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4개의 다면체 부재는 회전당 2번 반죽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다면체 부재의 수와 형상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15a도 및 제15b도에는 본 발명의 조립된 다면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다른게 성형되는 4개의 다면체 부재가 사용된다. 각각의 다면체 부재의 팁 부분중 하나가 생략되므로, 상기 조립체는 회전당 한번 반죽을 절단한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는 조립된 다면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또 다르게 성형되는 3개의 부재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조립체는 회전당 3번 반죽을 절단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 부재는 두 인접 측면 사이에 팁을 형성하는 세측면을 가지며, 측면의 각 덮개는 두개의 인접한 측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다.
또한, 다섯개 이상의 다면체 부재는 반죽의 특성 또는 필요한 작동 조건에 따라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해 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죽 제품의 수는 회전에 따라 절단되고 성형되며, 절단되고 성형될 제품의 치수는 다른 갯수의 측면을 갖는 다른 갯수의 다면체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를 설치하므로써 변경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일정한 두께의 외피를 가지며 충진물 돌출 없이 완전히 덮어싸인 제품을 절단하고 성형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조로 인해 본 발명의 효과는 다면체 부재의 팁이 인접한 부재의 측면을 통과하는 동안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돌출율이 상기 팁을 향해 증가하는 측면상에 형성된 볼록면은 매우 탄성적인 재료의 피복물이 중심부분까지 이동하기 위해 충분히 도입되도록 두 가지의 절단 형상을 함유하는 구형 반죽물을 연속 작동으로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해 봉형 반죽을 관통한다.
이러한 단일 기구로 인해, 잔류 반죽 부분 또는 접착 예방 분말은 수집된 다면체 부재의 중심점 부분 둘레에 남아 있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에 의해 발생된 스티킹(sticking) 또는 코오깅(clogging)과 같은 어떤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매우 끈적끈적한 재료는 접착제로 인해 어떤 방해없이 절단되고 성형된다.
생산된 제품의 성질은 다면체 부재의 수와 이들 측면의 수를 변경시키므로써 자유롭게 변경된다.
또한, 종래 장치의 구조와 다른 본 발명의 회전식 구조는 절단 및 성형부재의 어떤 고장을 발생시킴없이 장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부재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조립체가 가상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샤프트(6)를 통해서 피봇적으로 지지된 적어도 세개의 다면체 부재(1)를 구비하며,
    상기 다면체 부재(1)는 두개의 인접 샤프트(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의 원호를 따라 각각 형성된 두개의 길이방향 측면(11, 12)과 상기 두 길이방향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절단 엣지를 형성하는 두개의 팁(2)을 포함하고,
    사용시 상기 다면체 부재(1)의 팁(2)이 가상원의 중심점에 위치 설정될 때, 다면체 부재(1)의 두 측면(11, 12)에 대응하는 원호의 각 중심점은 상기 원의 반경과 동일한 부재의 샤프트(6)로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두개의 인접 샤프트(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상기 원의 중심점으로 부터의 거리에 동시에 배치되며,
    상기 부재는 상기 부재(1)의 회전 운동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다시 개방되는 개구(3)들 사이에 형성되어서 조립체내에서 사용되는 봉형 반죽물(10)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한 다면체 부재(1)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는 그 축(B)의 양 측면상에 대칭적으로 구성되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다면체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은 상기 한 팁의 측면이 샤프트와 직교하는 축에 관해 볼록하고 다른 팁의 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다면체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의 돌출부 또는 오목면의 리세스의 각도는 상기 팁을 향해 더욱더 날카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다면체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적어도 세개의 동일 형상의 다면체 부재를 포함하는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부재는 상기 부재가 가상 원과 동심적인 개구를 방사방향으로 공동적으로 형성하거나 폐쇄하므로 하나의 다면체 부재의 팁 부분의 인접한 다면체 부재의 측면을 통과하도록 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그 회전 운동에 의해 다면체 부재의 측면을 통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를 통과하는 봉형 반죽물이 절단되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부재의 한 팁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다면체 부재.
  6. 다면체 부재가 가상원과 동심적인 개구를 방사방향으로 공동적으로 형성하거나 폐쇄하도록 가상원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세개의 샤프트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세개의 동일 형상의 다면체 부재를 구비하는 봉형 반죽물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는 두 인접 측면 사이에 팁을 형성하는 세 측면을 갖고, 각 측면은 반경이 두개의 인접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팁중 하나가 상기 원의 중심점에 위치 설정될 때, 상기 원의 중심점에서 서로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하는 원호의 각 중심점은 상기 원의 반경과 동일한 부재의 샤프트로 부터의 거리에 그리고 두개의 인접한 샤프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상기 원의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동시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측면에 대응하는 원호의 중심점은 상기 원의 중심점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는 개구가 상기 부재의 회전에 의해 폐쇄되도록 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봉형 반죽물이 절단되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은 서로 보상적인 볼록면과 오목면을 가지며, 상기 볼록면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부재의 두 팁사이의 중간부로 부터 상기 팁중 한 팁까지 연장하며, 상기 오목면은 상기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 내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부재의 두 팁 사이의 중간부로 부터 상기 팁중 다른 팁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형 반죽물 절단 장치.
KR1019940013076A 1993-06-11 1994-06-10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KR0140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6105 1993-06-11
JP16610593A JP2799941B2 (ja) 1993-06-11 1993-06-11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JP93-172737 1993-06-18
JP5172737A JP2729898B2 (ja) 1993-06-18 1993-06-18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0495B1 true KR0140495B1 (ko) 1998-06-01

Family

ID=2649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076A KR0140495B1 (ko) 1993-06-11 1994-06-10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518391A (ko)
EP (1) EP0628250B1 (ko)
KR (1) KR0140495B1 (ko)
CN (1) CN1073807C (ko)
AT (1) ATE170712T1 (ko)
DE (1) DE69413124T2 (ko)
ES (1) ES2119966T3 (ko)
MY (1) MY112242A (ko)
PH (1) PH30869A (ko)
SG (1) SG54112A1 (ko)
TW (1) TW253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9262B (en) * 1993-08-26 1998-09-01 Kenbart Kk Method of cutting strip-shaped food and the device
JP2860937B2 (ja) * 1996-08-08 1999-02-2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フチ付き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934206B2 (ja) * 1997-05-19 1999-08-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接合吐出装置、及び食品成形機
US6234779B1 (en) * 2000-02-18 2001-05-22 Robert Ou-Young Method of shaping a spherical body and apparatus therefor
US6817850B2 (en) * 2001-04-09 2004-11-16 Kobird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food
US6892630B1 (en) * 2004-01-22 2005-05-17 Lien-Fu Huang Device for molding spheroidal food products
JP5002231B2 (ja) * 2005-12-21 2012-08-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成形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シャッタ片
DE102008000730B4 (de) 2008-03-18 2020-03-19 Fritsch Bakery Technologies GmbH & Co. KG Teigportioniervorrichtung in einem Trichter zur Aufnahme einer Teigmasse und zugehöriges Verfahren
US9277753B2 (en) * 2010-08-20 2016-03-08 Frito-Lay North America, Inc. Synchronized cutting and injection system and method
JP5984892B2 (ja) * 2014-01-29 2016-09-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片及び食品成形装置
CN107613793B (zh) * 2015-06-08 2020-08-28 雷恩自动机株式会社 闸门片、闸门组件、闸门装置以及成型装置
CN112568255B (zh) * 2020-12-08 2022-04-12 唐山四远香食品有限公司 用于食品加工的饼胚成型分切机械及其成型分切方法
CN112936366B (zh) * 2021-03-02 2023-06-23 创业黑马(江苏)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长度的蜜桔粗粮直条米粉截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9824A (en) * 1979-10-23 1981-05-23 Mitsubishi Gas Chem Co Inc Continuous polymerization of trioxane
US4589833A (en) * 1984-02-27 1986-05-2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Device for forming balls of plastic material
US4734024A (en) * 1986-01-16 1988-03-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a spherical body
JPS62278933A (ja) * 1986-05-26 1987-12-03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
GB8804313D0 (en) * 1988-02-24 1988-03-23 Apv Plc Improvements in/relating to mixers
JPH02227062A (ja) * 1988-08-12 1990-09-10 Masao Kobayashi 団塊状包被食品成形装置
MX171785B (es) * 1988-11-18 1993-11-15 Buehler Ag Geb Dispositivo amasador-mezclador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pastas
JP2916515B2 (ja) * 1990-05-01 1999-07-05 レオン自動機 株式会社 包被球断装置
US5223277A (en) * 1990-09-12 1993-06-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AU643818B2 (en) * 1990-09-12 1993-11-25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US5572917A (en) * 1992-02-05 1996-11-12 Truemner; Dale Apparatus for perforating corrugated tubing at high speeds and method of using same
TW213852B (ko) * 1992-03-30 1993-10-01 Reon Zidoki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3831B (ko) 1995-08-11
MY112242A (en) 2001-05-31
CN1100595A (zh) 1995-03-29
PH30869A (en) 1997-12-23
DE69413124D1 (de) 1998-10-15
US5518391A (en) 1996-05-21
CN1073807C (zh) 2001-10-31
DE69413124T2 (de) 1999-02-11
ATE170712T1 (de) 1998-09-15
EP0628250B1 (en) 1998-09-09
SG54112A1 (en) 1998-11-16
EP0628250A1 (en) 1994-12-14
ES2119966T3 (es) 199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495B1 (ko) 봉형 반죽물 절단 및 성형용 장치 및 다면체 부재
KR930010373B1 (ko) 구형체 절단 및 성형 장치
KR930010374B1 (ko) 구형체 절단 및 성형 장치
EP0178878B1 (en) Apparatus for cutting filled cylindrical dough body
CA2216393C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US5223277A (en)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EP01781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filled dough pieces
US5190770A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KR920010631B1 (ko) 구상체의 절단 및 성형 장치
JP2729898B2 (ja)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KR19980018474A (ko) 양각-브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EP0478135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JPH11266848A (ja) 包被球断方法および装置
JP2799941B2 (ja) 棒状生地の分割成形用多面体および分割成形装置
JPH0880154A (ja) 連続棒状生地の成形切断方法および装置
AU689412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JPH05317019A (ja) 棒状食品体の連続分割用ブロック片及び連続分割装置
JP3247102B2 (ja) 包被球断装置における多面体
JPH04144630A (ja) 包被切断装置
JP3264915B2 (ja) 包被球断方法
JPH02268713A (ja) 食品スライサー
JPS58146239A (ja) 食品材料絞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