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63B1 -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63B1
KR0139963B1 KR1019930026633A KR930026633A KR0139963B1 KR 0139963 B1 KR0139963 B1 KR 0139963B1 KR 1019930026633 A KR1019930026633 A KR 1019930026633A KR 930026633 A KR930026633 A KR 930026633A KR 0139963 B1 KR0139963 B1 KR 013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packet
state
activ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457A (ko
Inventor
박순준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3002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63B1/ko
Publication of KR95002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6Reserving resources in multiple paths to be used simultaneously
    • H04L47/728Reserving resources in multiple paths to be used simultaneously for backup p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킷 버스에 구비된 중앙 중재장치와 국부 중재장치의 이중화 정보를 신호선의 신호상태를 변환함에 의한 전달하게 함으로써 이중화 정보전달에 따른 시간지연을 감소시켜 신속한 이중화 절체가 가능하도록 한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화 상태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없이 엑티브 신호선 및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환함으로써 이중화 상태를 알리므로 시간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중앙중재장치가 다수의 국부중재장치들에게 동시에 이중화 상태를 알려주므로 이중화 절체를 신속히 수행하게 되어 이중화 절체시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제1도는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2도는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패킷 호제어장치의 이중화 절차흐름도.
제3도는 중앙중재장치의 이중화 절차 흐름도.
제4도는 국부 중재장치의 이중화 절차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40:패킷버스
31a~31n,33a~33m,41a~41n,43a~43m:국부중재장치
32,42:중앙 중재장치
본 발명의 패킷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버스에 구비된 중앙중기장치와 국부 중재장치의 이중화 정보를 신호선의 신호상태를 변환함에 의해 전달하게 함으로써 이중화 정보전달에 따른 시간지연을 감소시켜 신속한 이중화 절치가 가능하도록 한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1도에 있어서 패킷 버스(30)는 다수의 국부 중재장치(31a~31n),중앙중재장치(32) 및 다수의 국부중재장치(41a~41n),중앙중재장치(42) 및 다수의 국부중재장치(43a~43m)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각각에는 다수의 패킷호 제어장치가 연결되며, 국부중재장치(31a~31n)와(41a~41n)은 상호독립되어 이중화되어 있다. 국부중재장치(33a~33m,43a~43m)각각에는 다수의 패킷 처리장치가 연결되며, 국부중재장치(33a~33m)와(43a~43m)는 상호독립되어 이중화되어 있다. 각각의 패킷호 제어장치는 패킷호를 제어하고, 각각의 패킷처리장치는 데이터 패킷처리를 한다. 국부주재장치(31a~31n,41a~41n)의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된 패킷호 제어장치와 중앙 중재장치(32,42)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며, 국부 중재장치(33a~33m,43a~43m)의 각각의 자신에게 접속된 패킷처리장치의 중앙중재장치(32,42)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중앙 중재장치(32,42)는 자신에게 연결된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와 국부중재장치(33a~33m,43a~43m)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중앙 중재장치(32,42)는 다수의 호제어장치중에서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하나로부터 공급된 이중화 데이터에 따라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제1도에서 중앙중재장치(32,42)는 패킷호 제어장치(10)로부터 SIO(Serial Input-Output Interface)를 통해 공급된 이중화 데이터에 따라 이중화 동작을 수행한다. 중앙중재장치(32)와 국부중재장치(31a~31n,33a~33m)는 상호간에 이중화 상태 데이터를 SIO를 통해 송수신하여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며, 중앙중재장치(42)와 국부 중재장치(41a~41n,43a~43m)는 상호간에 이중화 상태데이터를 SIO를 통해 송수신하여 이중화동작을 수행한다. 중앙중재장치(32,42)와 국부중재장치(32.42)와 국부 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의 각각은 이중화 상태관리를 위해 자신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엑티브 플레그와 스탠바이 플레그를 설정하여 사용하는데, 전원이 입력되면 초기에 엑티브 플레그와 스탠바이 플레그를 0으로 설정하고 패킷호 제어장치(10)로부터 엑티브 또는 스탠바이 상태 데이터를 기다린다. 중앙중재장치(32,42)는 패킷호 제어장치 (10)로부터 제어버스를 통해 엑티브 상태 데이터를받으면 제어버스를 통해 자신에게 연결된 국부 중재장치(31a~31n,41a~41n,33a~ 33m,43a~43m)에게 일대일로 엑티브 상태 데이터를 보내주고 난후 자신의 엑티브 플레그를 1로 설정한 다음 엑티브 상태로 된다.
국부 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는 중앙중재장치(32,42)로부터 제어버스를 통해 엑티브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면 자신의 엑티브 플레그를 1로 설정한 다음 엑티브 상태로 된다. 또한, 중앙 중재장치(32,42)와 국부 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가 스탠바이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전술
한 과정을 거쳐 스탠바이 상태 데이터를 주고 받아 스탠바이 플레그를 1로 설정함으로써 스탠바이 상태에 있게 된다.
중앙 중재장치(32,42)중에서 하나는 엑티브 상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데, 엑티브 상태인 중앙중재장치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인 중앙중재장치가 엑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동작한다. 엑티브 상태인 중앙중재장치 또는 국부중재장치에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모든 에러는 중앙중재장치에 취합되며, 이때 중앙중재장치는 장애신호를 발생시킨후 엑티브 플레그를 0으로 설정한후 디엑티브 상태로 된다 이때, 스탠바이 상태인 중앙중재장치는 엑티브 상태인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국부중재장치에게 일대일로 엑티브 상태 데이터를 보내주고 난후 자신의 엑티브 플레그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플레그를 0으로 설정하고 엑티브 상태로 된다. 그리고 엑티브 상태로 전환된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엑티브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 국부중재장치들은 자신의 엑티브 플레그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플레그를 0으로 설정한후 엑티브 상태로 된다. 또한, 장애발생으로 인하여 디엑티브 상태로된 중앙중재장치는 패킷호 제어장치(10)로부터 스탠바이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면 전술한 과정을 거쳐 스탠바이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패킷버스 이중화 운용방식에 있어서, 이중화 싱태설정 및 전환을 하는 경우 중앙중재장치 및 국부중재장치는 항상 제어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하여 엑티브 및 스탠바이 상태로 운용되므로 데이터 통신절차에 기인한 시간 지연이 발생되고, 중앙중재장치가 다수의 국부중재장치에게 이중화 상태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도 각기 다르므로 각 국부중재장치들의 동시에 이중화 전환시킬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신속한 이중화 절체를 할수없게 되어 데이터 손실이 유발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화 상태 설정 및 전환하는 경우 제어버스를 통한 데이터 통신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시간지연을 최소화 시키고 중앙중재장치가 다수의 국부중재장치들에게 동시에 이중화 상태정보를 전달함으로서 국부 중재장치들의 이중화 상태 설정 및 전환을 동시에 행할수 있게하여 이중화 절체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이중화 절체시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도록한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패킷호 제어장치가 두개의 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장애신호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중재장치 측에 연결된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중앙중재장치을 이중화 동작을 제어하는 제1과정, 상기 중앙중재장치가 상기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다수의 국부중재장치 측에 연결된 제2 엑티브 신호선 및 제2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국부중재장치를 동작시키는 도중에 상기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 측으로 장애신호를 출력한후 상기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중지하여 패킷 버스를 폐쇄시키는 제2과정, 상기 국부중재장치가 상기 제2 엑티브 신호선 및 제2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패킷호 제어장치와 패킷 처리장치에 연결된 제3 엑티브 신호선 및 제3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와 패킷 처리장치를 동작시키는도중에 상기 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3엑티브 신호선과 제3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 및 패킷 처리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에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패킷호 제어장치(10)와 중앙중재장치(32,42)간에 엑티브 상태 및 스탠바이 상태를 알리기 위한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구비함과 동시에 장애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애신호선을 구비하고, 중앙중재장치(32,42)와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간에 엑티브 및 스탠바이 상태임을 알리기 위한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구비함과 동시에 장애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애신호선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0상태(로우레벨상태)와 1상태(하이레벨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엑티브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를 알려주는데, 특히 중앙중재장치(32,42)가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측으로 엑티브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를 알려주는 경우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상태를 알려주는 경우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동시에 바꾸어 주므로 신속한 이중화 절체가 가능하다.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패킷호 제어장치(10)는 제2도에 도시된 순서로 이중화 절차를 수행한다. 패킷호 제어장치(10)는 전원이 입력되면 A측 중앙중재장치(두개의 중앙중재장치(32,42)중 하나를 A측 이라 칭함)와 B측 중앙중재장치(두개의중앙중재장치(32,42)중 하나를 B측 이라 칭함)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고(스텝S50)A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1) A측 중앙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B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52). 스텝S52에서 B측 중앙재어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1상태로 함고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고(스텝S53)B측 중앙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1상태로 만들어 주고(스텝S54) 스텝S51로 진입하며,B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된경우에는 A측 중앙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1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고(스텝S60) 스텝S51로 진입한다. 그리고, 스텝S51에서 A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A측 중앙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고 (스텝S55), B측 중앙중재자이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스텝S56), B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B측 중앙중재장치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0상태로 만든후(스텝S58)스텝S51로 진입하며, B측 중앙중재장치로부터 장애신호가 발생되지않을 경우에는 B측 중앙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1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텐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든후 (스텝S57) 스텝S51로 진입한다.
중앙중재장치(32,42)는 제3도에 도시된 순서로 이중화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중앙중재장치는 전원이 입력되면 국부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어 데이터 버스를 폐쇄시키고(스텝S70).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71),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 장애신호를 발생한다.(스텝S80). 스텝S71에서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패킷호 제어장치(10)로 부터의 엑티브 신호선이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72),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스텝S81로 진입하고,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이중화 패킷호 제어장치(10)로 부터의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3). 이 스텝S73에서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 국부중재장치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1상태로 만든후(스텝S74)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5). 이 스텝S75에서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 장애신호를 발생하고 국부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고(스텝S76), 패킷호 제어장치(10)로 부터의 스탠바이 신호선이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7). 이스텝S77에서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국부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어 데이터 버스를 폐쇄 시킨후(스텝S79) 스텝S72로 진입하며, 스탠바이 신호선이1상태인 경우에는 상대측 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8). 이 스텝S78에서 상대측 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국부중재장치 측우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1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든후(스텝S81)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2). 이스텝S82에서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장애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국부중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든후 패킷호 제어장치(10)로 부터의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스텝S84),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으 경우에는 스텝S84로 진입한다. 스텝S84에서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S79로 진입하고,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스텝S82로 진입한다. 또한, 스텝S73에서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S72로 진입하며, 스텝S75에서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77로 진입한다.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는 제4도에 도시된 순서로 이중화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국부중재장치는 전원이 입력되면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어 데이터 버스를 폐쇄시키고(스텝S90),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1), 이 스텝S91에서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스텝S99로 진입하며, 엑티브 신호건이 1상태가 아닌경우에는 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2). 스텝S92에서 스텝바이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S91로 진입하고,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0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1상태로 만든다.(스텝S93). 스텝S93 이후 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4),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든후(스텝S95) 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스텝S96),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스텝S96으로 진입한다. 스텝S96에서 스텝바이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들어 데이터 버스를 폐쇄시킨후
(스텝S98) 스텝S91로 진입하여 스탠바이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상대측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7). 스텝S97에서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94로 진입하고, 장애신호가 발생된 경우에는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호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을 1상태로 함과 동시에 스탠바이 신호선을 0상태로 만든후(스텝S99)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0). 스텝S100에서 장애신호가 발생된경우에는 패킷호 제어장치 또는 패킷호 처리장치 측으로의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신호선의 상태를 0으로 만든후(스텝S101) 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엑티브 신호선이 0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다하며(스텝S102), 장애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스텝S102로 진입한다. 스텝S102에서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인 경우에는 스텝S100으로 진입하며, 엑티브 신호선이 1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S98로 진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엑티브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를 알리게 되며 이때 국부중재장치(31a~31n,41a~41n,33a~33m,43a~43m)와 중앙중재장치(32,42)들은 엑티브 신호선과 스탠바이 신호선을 통해 인가된 신호를 래치하고 해당 신호에 따라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 상태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없이 엑티브 신호선 및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환함으로써 이중화 상태를 알리므로 시간지연을 최소화 시킬수 있으며, 중앙중재장치가 다수의 국부중재장치들에게 동시에 이중화 상태를 알려주므로 이중화 절체를 신속히 수행하게 되어 이중화 절체시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에 있어서 이중화 마스터로 지정된 패킷호 제어장치가 다수의 중앙중재장치로 부터의 장애신호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중재장치 측에 연결된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중앙중재장치의 이중화 동작을 제어하는 제1과정, 상기 중앙중재장치가 상기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다수의 국부중재장치 측에 연결된 제2 엑티브 신호선 및 제2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국부중재장치를 동작시키는 도중에 상기 국부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 측으로 장애신호를 출력한후 상기 제1 엑티브 신호선 및 제1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중지하여 패킷 버스를 폐쇄시키는 제2과정, 상기 국부중재장치가 상기 제2 엑티브 신호선 및 제2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패킷호 제어장치와 패킷오 처리장치에 연결된 제3 엑티브 신호선 및 제3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와 패킷 처리장치를 동작시기는 도중에 상기 중앙중재장치에 장애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3 엑티브 신호선과 제3 스탠바이 신호선의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패킷호 제어장치 및 패킷 처리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KR1019930026633A 1993-12-06 1993-12-06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KR013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633A KR0139963B1 (ko) 1993-12-06 1993-12-06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633A KR0139963B1 (ko) 1993-12-06 1993-12-06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57A KR950022457A (ko) 1995-07-28
KR0139963B1 true KR0139963B1 (ko) 1998-07-01

Family

ID=1937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633A KR0139963B1 (ko) 1993-12-06 1993-12-06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457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3522A1 (en) Redundancy coupler for industrial communications networks
JP2019134417A (ja) Plcバックプレーンのホットスワップ装置
US5182554A (en) Third party evavesdropping for bus control
JPH04290349A (ja) 交換機のインサービス立ち上げ処理方式
US4958271A (en) Transfer control equipment
KR960002469B1 (ko) 현용 및 예비 isdn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장해발생시에 동작을 유지시키는 isdn 통신 시스템 장치 및 그의 방법
KR0139963B1 (ko) 패킷 교환장치의 패킷 버스 이중화 운용방법
KR100195065B1 (ko) 데이타 통신망 정합장치
JP5176914B2 (ja) 伝送装置及び冗長構成部の系切替え方法
JPH01137845A (ja) Lan制御装置のlan構成方式
JPH05260079A (ja) データ交換装置
KR20040020727A (ko) 통신처리 시스템의 이더넷 스위칭 보드의 이중화 장치
JP3111523B2 (ja) 二重化遠方監視制御装置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KR100439149B1 (ko) 컴팩트 피씨아이 버스 기반 시스템의 시스템 보드 이중화구조 및 방법
JP2737480B2 (ja) 二重化通信制御装置の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JP2023004453A (ja) 冗長化モジュール
JPH04235656A (ja) チャネル装置制御方式
JPH04157896A (ja) 交換機用マルチリングバスシステム
JPH05165667A (ja) 二重化制御装置
JPH01151338A (ja) ディジタル回線終端制御装置の系切替方式
JP2002366452A (ja) 入出力制御装置
KR19990017861U (ko) 에이티엠 랜용 스위치 시스템의 스위치 컨트롤 프로세서보드
JPH09181793A (ja) 二重化機器の制御方法
KR19990030149U (ko)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포트 이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