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033B1 -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033B1
KR100291033B1 KR1019980029403A KR19980029403A KR100291033B1 KR 100291033 B1 KR100291033 B1 KR 100291033B1 KR 1019980029403 A KR1019980029403 A KR 1019980029403A KR 19980029403 A KR19980029403 A KR 19980029403A KR 100291033 B1 KR100291033 B1 KR 10029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lock
board
processing unit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164A (ko
Inventor
김규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0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04L7/0083Receiver details taking measures against momentary loss of synchronisation, e.g. inhibiting the synchronisation, using idle words or using redundant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방법은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와, 포트 입력부의 클락 신호를 받아 장애 발생시 포트의 이중화 신호를 처리하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장애가 발생된 포트를 절체하는 클락 제어 및 처리부 및 장애가 보드 장애시에 이중화 보드의 모듈로 절체하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포트 입력부가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시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포트 장애를 감지하는 단계,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장애가 발생한 포트에서 입력된 클락 신호가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 입력부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정상일 경우에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의 입력을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도 장애상태일 경우,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보드로 절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네트웍 통신 장비(Network Communication Element)에서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클락 제어(Clock Control) 및 관리 모듈의 오류(Fail) 종류에 따라 포트 절체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웍 시스템에서는 각 보드간에 클락이 일치하여야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클락 모듈(Clock Module)은 통상적으로 이중화(Duplication)되어 있는 두 개의 모듈이 항상 연동하여 수행된다. 종래의 이중화 방법은 장애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애 발생시에는 무조건 이중화 모듈을 절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웍 통신 장비에서 클락 이중화 관리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호를 입력받는 포트 입력부(101)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클락 제어 및 처리부(103)에서는 포트 입력부(101)의 장애를 인식하고, 입력 신호의 처리를 중단한다. 그리고 보드 이중화 처리부(105)는 대기중인 보드 모듈의 상태를 감지한 후, 정상이면 대기중인 보드 모듈로 절체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화 모듈의 절체를 수행하면 모듈 전체가 절체됨으로써, 짧은 시간이나마 클락의 전송이 중단될 가능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 이중화 방법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자 부가하는 기능이지만, 포트에 연결된 선(Line)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운용중 이중화 모듈이 수시로 절체되는 경우, 오히려 신뢰성 저하 및 시스템 전체 모듈의 불안정한 동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화를 위해서 자주 발생하는 포트 장애인 경우에, 별도의 절체를 수행하는 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체 조건이 발생하더라도 보드 오류와 포트 오류를 구분하여 포트 오류인 경우에는 포트만을 절체하도록 하여, 이중화 보드의 모듈이 수시로 절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네트웍 통신 장비에서 클락 이중화 관리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웍 통신 장비에서 클락 이중화 관리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의 단계를 나타낸 블록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포트 입력부
103: 클락 제어 및 처리부
105: 보드 이중화 처리부
201: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
203: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205: 클락 제어 및 처리부
207: 보드 이중화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네트웍 통신 장비의 이중화 방식에 있어서,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
상기 포트 입력부의 클락 신호를 받아 장애 발생시 포트의 이중화 신호를 처리하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상기 장애가 발생된 포트를 절체하는 클락 제어 및 처리부; 및
상기 장애가 보드 장애시에 이중화 보드의 모듈로 절체하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와, 상기 포트 입력부의 클락 신호를 받아 장애 발생시 포트의 이중화 신호를 처리하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상기 장애가 발생된 포트를 절체하는 클락 제어 및 처리부 및 상기 장애가 보드 장애시에 이중화 보드의 모듈로 절체하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 입력부가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시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포트 장애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장애가 발생한 포트에서 입력된 클락 신호가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 입력부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정상일 경우에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의 입력을 상기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도 장애상태일 경우, 상기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보드로 절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드 장애가 발생시에만 상기 보드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다른 보드로 절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만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그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웍 통신 장비에서 클락 이중화 관리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모듈 각각에 입력 포트(201)를 하나씩 더 장착하고,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장애인 포트 장애일 경우에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203)에서 이중화된 다른 포트로 절체한다.
포트 입력부는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회선을 통하여 같은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203)에서는 동작(Active)으로 지정된 포트의 입력을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 전달하여 클락 신호가 동작하게 한다.
동작중인 포트에서 장애가 발생시에 포트 장애를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203)에서 감지한다. 포트 장애를 감지한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203)에서는 장애가 발생한 포트에서 입력된 클락 신호의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의 전달을 중지하고, 대기 상태(Standby)인 포트 입력부의 정상 여부를 검사한다. 정상일 경우에는 대기 상태인 포트의 입력을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 전달하여 정상적으로 클락을 공급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대기 상태인 포트도 장애 상태일 경우에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207)에 의해서 이중화된 모듈로 절체가 수행된다.
또한 보드 이중화 처리부(207)는 보드 장애가 발생시에 이중화된 모듈로 절체를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의 단계를 나타낸 블록 선도이다.
현재 동작중인 동작 포트의 입력 신호를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 전달한다(301). 그리고 포트 입력부(201)가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하면(303), 포트 장애를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203)에서 감지한다.
상기 포트 장애를 감지한 입력 신호 제어부(203)는 장애가 발생한 포트에서 입력된 클락 신호의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의 전달을 중지시킨 후, 대기중인 포트 입력부(201)의 정상여부를 검사한다(305).
상기 대기중인 포트 입력부(201)가 정상일 경우, 대기중인 포트의 입력을 상기 클락 제어 및 처리부(205)로 전달하고(309), 대기중인 포트도 장애 상태일 경우, 상기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보드로 절체를 수행한다(307).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처리 모듈에서 포트를 이중화하고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에서 정상적인 입력 클락을 선택하여 클락을 공급함으로서, 시스템 전체의 클락 공급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얻었다.
또한 네트웍 시스템에서 포트에 연결된 선이 불안정할 경우에 이중화된 포트로 절체를 수행하므로서, 보드 레벨의 이중화 모듈이 수시로 절체되는 경우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클락의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안정된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3)

  1. 네트웍 통신 장비의 이중화 방식에 있어서,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
    상기 포트 입력부의 클락 신호를 받아 장애 발생시 포트의 이중화 신호를 처리하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상기 장애가 발생된 포트를 절체하는 클락 제어 및 처리부; 및
    상기 장애가 보드 장애시에 이중화 보드의 모듈로 절체하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2. 클락 신호를 입력받는 이중화된 포트 입력부와, 상기 포트 입력부의 클락 신호를 받아 장애 발생시 포트의 이중화 신호를 처리하는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 상기 장애가 발생된 포트를 절체하는 클락 제어 및 처리부 및 상기 장애가 보드 장애시에 이중화 보드의 모듈로 절체하는 보드 이중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 입력부가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시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포트 장애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포트 입력 신호 제어부가 장애가 발생한 포트에서 입력된 클락 신호가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 입력부의 정상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정상일 경우에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의 입력을 상기 클락 제어 및 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대기 상태 중이던 포트도 장애상태일 경우, 상기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보드로 절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보드 장애가 발생시에만 상기 보드 이중화 처리부에 의해서 이중화된 다른 보드로 절체하는,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방법.
KR1019980029403A 1998-07-22 1998-07-22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KR10029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403A KR100291033B1 (ko) 1998-07-22 1998-07-22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403A KR100291033B1 (ko) 1998-07-22 1998-07-22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64A KR20000009164A (ko) 2000-02-15
KR100291033B1 true KR100291033B1 (ko) 2001-06-01

Family

ID=1954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403A KR100291033B1 (ko) 1998-07-22 1998-07-22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780B1 (ko) * 2000-05-03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정상회로 선택 장치
KR100775425B1 (ko) * 2001-08-06 2007-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단말통신장치의 포트 경로 이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64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KR100532779B1 (ko) 이더넷 정합 장비에서의 링크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418964B1 (ko) 피시아이 시스템 이중화 장치
KR100460115B1 (ko) 아이피씨 링크 이중화 제어 장치
KR100205030B1 (ko) 고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에이티엠 스위치
JP2000224079A (ja) 光伝送路一重化ノード装置の故障救済方式
KR100296403B1 (ko) 통신시스템에서이중화구현방법
KR100260895B1 (ko) 비동기전송모드근거리통신망시스템의고속이중화방법
JP2606107B2 (ja) プロセッサ冗長化方式
KR19990059294A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스위칭 시스템
KR20000059718A (ko) 피엘씨 이중화 시스템의 논스톱 운전방법 및 회로
JPH11168502A (ja) 通信障害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228306B1 (ko)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KR100825458B1 (ko) 기지국 제어장치 망동기 보드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 보드장치
KR20010028123A (ko) 광전송 시스템의 이중화 감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7351A (ko) 버스 스위치를 이용한 관리포트의 이중화 방법
JP2606144B2 (ja) 二重化装置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KR20050003684A (ko) 통신시스템의 이중화 보드 및 그 운용 방법
KR100318850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메시지 전송장치
KR20010028126A (ko) 교환기의 프로세서 보드별 크로스 이중화 장치
JPH0514323A (ja) 回線制御装置
KR19990020337A (ko) 교환기에 있어서 트랜스퍼 데이타버스 이중화방법
JPH0697988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5268647A (ja) 通信路増設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