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43B1 -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43B1
KR0137443B1 KR1019930014587A KR930014587A KR0137443B1 KR 0137443 B1 KR0137443 B1 KR 0137443B1 KR 1019930014587 A KR1019930014587 A KR 1019930014587A KR 930014587 A KR930014587 A KR 930014587A KR 0137443 B1 KR0137443 B1 KR 013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utting
cutting edge
hold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343A (ko
Inventor
도시하루 나카지마
다다시 고토
신지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470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84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4699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84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0226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02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030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38465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4000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6Profile cutting tools, i.e. forming-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23B5/166Devices for work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63Electrode maintenance, e.g. cleaning,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752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42Means to remove scale or raised surface imperfection
    • Y10T409/304256Means to remove flash or bur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216Randomly manipulated, work supported, or work following device
    • Y10T409/306552Randomly manip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의 어느 한 쪽 혹은 양쪽을 절삭하는 날구를 복수 조합하여 홀더에 부착하고, 홀더에 용접팁의 측면을 절삭하는 날면과 동일 각도의 1단째 테이퍼부와, 그 1단째 테이퍼부와 다른 각도의 2단째 테이퍼부를 설치하며, 또한 팁의 절삭날 부스러기가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홀더에 세팅된 절삭날이 용접팁과 접촉하는 부분의 절삭날의 측방이 완전히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며 날끝에 연마가공에 의한 극히 작은 둥글림이나 모따기 가공을 행하여 팁의 마무리를 깨끗이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팁 드레서의 일부파단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II-II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절삭공구의 확대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도의 V-V선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절삭공구의 평면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제8(a)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절삭공구의 측면도,
제8(b)도는 (a)의 평면도이다.
제9(a)도는 제8(a)도의 측면단면도이다. 제9(b)도는 제9(a)도의 평면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용접팁의 선단면을 거의 평면상으로 절삭 정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1도는 팁 드레서의 날구의 일례인 삼각구멍붙이 인서트 팁에 관한 것으로, (a)는 절삭날에 약간 둥글린 삼가구멍붙이 인서트 팁의 사시도이고, (b)는 절삭날의 단면도이며, (c)는 커트 가공을 행한 절삭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원 1a... 구동축 2... 베이스판
3... 케이스 본체 6... 반월 키 7... 전달축
8... 웜, 9... 키
10,11... 베어링 12... 케이스 커버 14... 기어 본체
15... 웜휠 17... 피니언 기어 16... 베어링
19... 홀더 191,192... 오목부 193... 홈부
본 발명은 전기용접기의 용접팁의 절삭 정형을 행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접팁의 절삭 정형에는 종래로부터 여러 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며, 압축공기, 유압, 전기를 구동원으로 한 모터로부터 기어 혹은 벨트, 체인을 개재시켜 날구( 具)를 회전시키며, 그 날구에 의해 용접팁을 절삭 정형하는 팁드레서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날구는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의 양방을 절삭하기 위해 대향하는 좌우의 측면 절삭날과 단면 절삭날에 형성된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팁 드레서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2930289,4578005,4966506호에 대표적인 구성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날구는 측면 및 단면의 절삭날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절삭날의 일부가 손상되면 절삭날 전체를 다시 연마하거나 혹은 블레이드를 교환해야 하여 품이 드는데다 각도붙이 용접팁의 경우에는 절삭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각도붙이 용접팁에도 대응할 수 있고, 절삭날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상되어도 절삭날을 저렴하게 연마 및 교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대량생산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작업 효율이 우수한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하여 정형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에 있어서, 상하부에 오목부를 가지며 그 오목부들을 관통하는 홈부를 가지는 원반형의 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홈부는 홀더의 직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절삭하는 복수의 Y형팁을 홀더에 부착하거나, 혹은 상기 용접팁의 측면을 절삭하는 삼각팁과 그 용접팁의 단면을 절삭하는 것의 사각봉상으로 형성된 단면바이트를 홀더에 부착한다. 홀더에 세팅된 절삭날이 용접팁과 접촉하는 부분의 절삭날의 측방이 완전히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홀더에 용접팁의 측면을 절삭하는 날면과 동일 각도의 1단째 테이퍼부와, 그 1단째 테이퍼부와 다른 각도의 2단째 테이퍼부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1단째 테이퍼부는 날구의 날면과 동일 각도이면서 그 날면으로부터 리세스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2단째 테이퍼부는 용접팁의 직경보다 약간 큰 위치로부터 1단째 테이퍼부와 연속하여 이루어져 1단째 테이퍼부보다 약간 작은 각도로 형성한다.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은 Y형팁 혹은 삼각팁에 의해 절삭되며 단면은 사각봉상의 절삭날에 의해 절삭된다. 이와 같이 Y형팁, 삼각팁, 사각봉상의 절삭날 등을 조합하여 용접팁을 절삭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좌우의 날구는 종래으 팁드레서와 달리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손상된 날구를 개별적으로 다시 연마하거나 교환하면 되며, 모든 날을 일체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홀더에 세팅된 절삭날이 용접팁과 접촉하는 부분의 절삭날의 측방이 완전히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접팁의 절삭 부스러기가 항상 부드럽게 배출되어 날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커다란 이점을 발견했다. 또한, 1단째 테이퍼부와 2단째 테이퍼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팁의 가압력을 약화시키면 용접팁의 측면과 절삭날과의 절삭 저항이나 좌우 날구 형상의 비대칭에 의해 용접팁을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용접팁의 중앙에 생기기 쉬운 절삭 찌꺼기(옹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도붙이 용접팁의 절삭도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부착방법은, 중앙부에 형성된 홈부 및 외측으로부터 상기 홈부로 통하도록 절삭가공된 측공들을 가지는 홀더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하 양변에 날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홈부 내로 삽입하고 그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측공들 중 일측 측공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홈부의 단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용접팁의 단면절삭을 위해 상하로 날을 가지는 사각봉상의 단면용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홈부 내로 삽입하고 그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타측 측공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용접팁의 측면은 삼각형상의 절삭날에 의해 절삭되며 단면은 사각봉상의 절삭날에 의해 절삭된다. 이와 같이 삼각형상의 절삭날과, 사각봉상의 절삭날을 조합하여 용접팁을 절삭함과 동시에, 대향하는 좌우의 날구는 종래와 달리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손상된 날구를 개별적으로 다시 연마하거나 교환하면 되며, 모든 날을 일체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팁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팁드러세의 일부파단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회전절삭공구의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드레서(A)는 베이스판(2)을 개재시켜 케이스본체(3)에 고착한 구동원(1)과, 구동원(1)의 구동축(1a)에 반월키(6)를 개재시켜 부착한 전달축(7)과, 전달축(7)의 거의 중앙부에 키(9)로 고착한 웜(8)과, 웜(8)과 맞물리는 웜훨(15)을 압입한 기어본체(14)와, 기어 본체(14)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7)의 중앙부에 넉핀(20)에 의해 고착한 홀더(19)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3)는 지지부재(26)에 고착되어 있으며, 케이스본체(3)의 상부에는 케이스 커버(12)를 볼트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또한, 홀더(19)의 상방에는 홀더(19)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버(13)를 케이스커버(12)에 볼트로 체결하고 있다. 전달축(7)의 양단은 베어링(10),(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웜휠(15) 및 기어본체(14)의 양단은 베어링(16), (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7)는 베어링(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원(1)의 구동력을 전달축(7), 웜(8), 웜휠(15), 기어본체(14)를 개재시켜 피니언기어(17)에 전달되며, 피니언기어(17)의 회전에 의해 홀더(19)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홀더(19)는 원반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홀더(19)의 중앙부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원추면 형태로 테이퍼진 내벽면을 가지는 원추대상의 오목부(191,192)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19)에는 또한, 그 홀더(19)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즉 오목부들(191,192) 사이를 관통하는 홈부(19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93)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9)의 직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93)의 단면에는 용접팁(W1),(W2)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하는 날구(50)가 나사(5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날구(50)로서 Y형팁의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나사(51)의 머리부는 용접팁의 절삭 부스러기의 배출 및 기타 사용상의 경험으로부터 날구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조이는 것이 필요하다. 홈부(19)의 폭은 각 날구(5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각 날구(50)의 측방에는 그 날구와 상기 홈부(193)에 의해 홀더(19)의 상하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중공부(19a)가 마련된다.
한편, 홀더(19)에는 1단째 테이퍼부(19b)와 그 1단째 테이퍼부(19b)와는 다른 각도의 2단째 테이퍼부(19c)가 형성되어 있다. 1단째 테이퍼부(19b)는 용접팁(W1),(W2)의 측면을 절삭하는 날구(50)의 날면과 동일 각도(a。)(120。)로, 그리고 그 날면으로부터 여유도(c)(오목면부의 날의 돌출량)를 형성하고 있다. 2단째 테이퍼부(19c)는 용접팁(W1), (W2)의 직경(D1)보다 약간 큰 위치(D2)로부터 1단째 테이퍼부(19b)와 연속하여 이루어지며, 1단째 테이퍼부(19b)보다 작은 각도(b。)(90。)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의 값은 0.1 내지 0.4mm로 실시하였으나,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은 것은 0.15-0.2mm였다.
이러한 구성의 회전절삭공구에 의해 용접팁들(W1), (W2) 중 예를들어 용접팁(W1)의 선단을 절삭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팁 (W1)을 홀더(19)의 상방으로부터 오목부(191) 내로 삽입하여 그 용접팁(W1)의 선단부를 날구(50)에 소정크기의 압력을 가해 접촉시키고 구동원(1; 제1도참조)을 작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전달폭(7)과, 웜(8)과, 웜휠(15)과, 기어본체(14)와, 피니언기어(17)를 통해 홀더(19)로 전달되어 홀더(19)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홀더(19)가 회전되며, 홀더(19)에 고정된 날구(50)가 그 홀더(19)와 함께 회전되며, 날구(50)에 접촉되어 있던 용접팁(W1)의 선단부는 그 측면과 단면이 상기 회전되는 날구(50)에 의해 절삭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용접팁(W1)으로부터 깎여 나오는 절삭부스러기는 상기 중공부(19a; 제4도 참조)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팁(W1)의 절삭가공을 행하고 절삭이 완료되기 바로 전에 용접팁(W1)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면, 홀더(19)에 1단째 테이퍼부(19b)와 2단째의 테이퍼부(19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접팁(W1)의 측면과 절삭날과의 절삭 저항 때문에 그리고 테이퍼부 외에 고정가이드가 없기 때문에 용접팁(W1), (W2)이 요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장치라면 용접팁의 중앙에 생기기 쉬운 절삭찌꺼기(옹이)가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성과이다. 또한, 이러한 테이퍼부에 의해 각도붙이 용접팁도 절삭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용접팁(W1)을 절삭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용접팁(W1), (W2)을 홀더(19)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목부(191)(192) 내로 각각 삽입하여 그 용접팁(W1)(W2)의 선단부를 날구(50)에 소정크기의 압력을 가해 접촉시키고 구동원(1; 제1도 참조)을 통해 홀더(19)를 회전시키면 두 개의 용접팁(W1(W2)의 절삭가공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용접팁(W1), (W2)의 측면이나 단면을 절삭하는데 Y형팁 혹은 삼각팁, 또는 거의 사각봉상으로 형성한 팁을 별개로 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향하는 좌우 날구 중 파손이나 열화 및 절삭날의 수명이 짧은 날구를 교환하면 된다. 또한, Y형팁의 한 각을 돌출시켜 형성한 단면 절삭을 위한 날구부의 경우, 여유각은 1도부터 5도까지가 좋다. 5도를 넘는 여유각을 형성하면 드레싱시 날구가 용접팁에 파고드는 등 부적합하며, 1도 이하로 여유각을 형성하면 절삭이 곤란해지는 점이 확인된 결과 절삭 날구의 여유각은 1도부터 5도로 설정된다.
홀더(19)에 중공부(19a)를 형성하여 용접팁(W1), (W2)의 절삭 부스러기가 그 중공부(19a)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날구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구의 교환을 자주 행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2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절삭공구의 평면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도 상술한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와 마찬가지로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팁 드레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원반형상의 홀더(19) 중앙부에 상하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들을 관통하는 홈부(193')가 형성된 점은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동일하므로 그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더(19)의 홈부(193') 단면에는 용접팁(W1), (W2)의 측면을 절삭하는 삼각형상의 절삭날 즉 삼각팁(51')이 홈부(193') 내로 삽입되어서, 홀더(19)의 일측에 형성된 측공(195)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5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나사(52')의 머리부는 날구, 즉 삼각팁(51')의 날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조여야 한다. 삼각팁(51')은 그 배면이 홀더(19)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결정되는데, 홀더(19)에 나사(62'), (63')를 체결하여 삼각팁(51')의 배면을 눌러 위치결정할 수 있다. 홀더(19)에는 또한, 용접팁(W1), (W2)의 단면을 절삭하는 사각봉상으로 형성한 절삭날 즉 단면바이트(53')가 홈부(193') 내로 삽입되어서, 상기 나사(52')의 삽입을 위한 측공(195)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된 측공(196)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54')(55')(57') 및 압압볼트(5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단면바이트(53')는 그 여유각을 1도부터 5도로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용접팁(W1), (W2)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할 때 삼각팁(51')과 단면바이트(53')로 분할함으로써 파손이나 열화 및 절삭날의 수명이 짧은 쪽을 교환하면 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째 테이퍼부(19b')는 용접팁(W1), (W2)의 측면을 절삭하는 삼각팁(51')의 날면과 동일 각도로 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에 있어서도, 상술한 홀더(19)의 홈부(193')와 삼각팁(51') 및 단면바이트(53')에 의해서 중공부(19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에 의해 용접팁(W1) (W2)이 절삭되는 과정은 전체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에 있어서와 전체적으로 유산한데, 본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에 의해 예를 들어 용접팁(W1)을 절삭하는 과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팁(W1)에 수직 하방으로의 외력을 가하여 그 선단 모서리부가 삼각팁(51')에 접촉되도록 하고 구동원(1; 제1도참조)을 작동시켜서 전달축(7), 웜(8), 웜휠(15), 기어본체(14) 및 피니언기어(17)를 통해 홀더(19)를 회전시키면, 홀더(19)에 고정된 삼각팁(51')과 단면바이트(53')가 그 홀더(19)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같이 삼각팁(51')과 단면바이트(53')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팁(W1)의 선단 모서리부가 삼각팁(51')에 의해 측면절삭되고, 그 측면절삭이 계속 진행되는 중에 용접팁(W1)의 단면이 단면바이트(53')에 접촉되면서 절삭되게 된다. 이처럼 용접팁(W1)의 단면이 절삭될 때 발생되는 절삭부스러기는 상기 중공부(19a'; 도 6참조)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팁드레서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회전절삭공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부재나 부위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된 것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서 그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에 있어서도, 피니언기어(17)가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며 설명한 구동원에 의해 전달축, 웜, 웜휠, 기어본체를 개재시켜 회전될 때 그 피니언기어(17)와 고정된 홀더(19)가 회전한다. 부착나사의 머리부는 날구의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한다. 이 회전절삭공구의 전체적인 구성과 기능 및 각 구성요소의 전체적인 기능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절삭 공구에 있어서와 유사한데, 본 회전절삭공구의 특징은 삼각팁(51')과 절삭바이트(53')로 구성된 부분이 상하좌우 양측면에서 보아도 서로 반드시 공간을 구성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며, 팁의 절삭부스러기가 결코 쌓이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회전절삭공구를 채용한 팁드레서에 있어서는 절삭부스러기의 배제가 가장 잘 행해지며, 절삭날의 수명이 종래의 절삭날보다 훨씬 길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회전절삭공구의 주요부위를 도시한 것으로서, 용접팁(W1), (W2)의 선단면을 거의 평면상으로 절삭 정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팁 드레서의 날구(101)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해 가늘어진 앞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구(101)의 양측에 설치된 절삭날(102)은 날구(101)의 기단부측에서부터 선단부측을 향해 날구(101)의 회전 중심(c)에 직교하는 축선에 대해 미소 각도(α)만큼 경사져 있다. 따라서 이 날구(101)를 사용하여 용접팁(W1), (W2)의 선단면(103)을 절삭하면 용접팁(W1)의 선단면(103)은 회전중심(c) 상에 첨두부(尖頭部)를 가지는 원추상으로 형성된다. 선단면(103)의 테이퍼각도는 상기 절삭날(102)의 경사각도(α)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 경사각도가 극히 작으면 용접 마무리면에 미치는 영향도 적다. 즉, 절삭날(102)의 경사각도(α)는 0.1도부터 2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날구(101)를 사용하여 선단면(103), (103)의 절삭 정형을 행할 때, 날구(101)를 용접팁(W1), (W2) 사이에 삽입하고, 한쪽 용접팁(W1)을 회전축선(c)과 평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절삭날(102)에 선단면(103), (103)을 당접시킨다. 다음에, 팁 드레서의 구동원을 구동시켜 날구(101)를 회전중심(c)의 주위로 회전시키면 용접팁(W1),(W2)의 중심을 넘는 위치에서는 작은 각도(α)가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절삭날(102)이 선단면(103)으로부터 떠올라, 이로써 절삭날(102), (102)로 선단면(103)을 역절삭하는 일 없으며, 뜯김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11도는 팁 드레서의 날구의 다른 일례인 삼각구멍붙이 인서트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절삭날에 적은 둥글림을 행한 삼각구멍붙이 인서트팁의 사시도, (b),(c)는 절삭날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201)은 삼각구멍붙이 인서트팁, (202)는 경사면, (203)은 여유면, (204)는 절삭날, (205)는 팁 브레이커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날(204)에는 경사면(202) 측으로부터 여유면(203) 측에 걸쳐 절삭날(204)의 전장(全長)에 걸친 연마 가공에 의해 극히 작은 둥글림이 행해지고 있다. 용접팁은 부드럽기 때문에 절삭날의 연마 가공은 필요하지 않지만, 만약 필요하다면 공지의 호닝(honing)가공을 행하면 된다. 또한 제11도에서는 날구의 일례인 삼각구멍붙이 인서트립(201)의 절삭날(204)에 극히 작은 둥글림을 행한 것을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날구는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바이트 등 기타 날구라도 무방하다. 또한 (b)와 같이 절삭날에는 상기 작은 둥글림을 행하거나, (c)와 같이 작은 모따기를 행하거나, 또한 작은 둥글림과 작은 모따기를 복합적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용접팁은 외경 12mm의 크롬동제의 것을 사용하며, 그 선단 직경을 6.5mm로 절삭 정형하는 것으로 하였다. (c)에 도시한 인서트팁의 절삭날에 행하는 작은 모따기의 각 치수는 테이퍼폭(L)을 0.1mm-0.2mm, 테이퍼각(β)을 수평면에 대해 약20도로 하였다. 이 테이퍼폭에 의해 몇번이나 절삭 시험을 반복한 결과, 테이퍼폭 0.15mm의 것이 최적의 효과를 박휘함이 판명되었다.
팁 드레서는 상당량의 기대(機 t2)가 동시에 조업하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당연한 바와 같이 로보트에 의한 소재의 부착이나 기소(磯素)의 교환이 행해짐을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향하는 좌우 날구를 별개로 한 Y형팁, 삼각팁, 및 거의 사각봉 형상으로 형성한 날구를 사용하고 있어서 마모 혹은 손상된 쪽의 팁을 다시 연마하거나 교환하면 되며, 팁 전체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연마나 교환이 단시간에 가능하여 품이 들지 않음과 동시에, 날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홀더에 중공부를 설치하므로 절삭부스러기의 배출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절삭 부스러기가 막힘에 따른 날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에 1단째 테이퍼부와 2단째 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용접팁은 요동하여 용접팁의 중앙에 생기기 쉬운 절삭찌꺼기(옹이)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용접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도붙이 용접팁의 절삭이 가능해지며, 날구에 드는 비용이나 교환등에 의한 품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전기용접기의 용접팁을 절삭에 의해 정형하는 팁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에 있어서,
    회전 구동하기 위한 기어를 외주에 구비하는 원반상의 절삭날 홀더와,
    이 원반상 홀더의 중앙에 상하로 형성된 원추대상의 오목부와,
    이 원반 상 홀더의 반경방향으로 상하 관통하여 설치된 홈부와,
    이 홈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팁의 측면을 절삭하는 절삭날과, 오목부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팁 단면을 절삭하는 절삭날을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하는 날구를 부착하는 홀더의 중앙 원추대상의 오목부는 용접팁의 측면을 절삭하는 날면과 동일 각도의 1단째 테이퍼부와, 그 1단째 테이퍼부와는 다른 각도를 가지는 2단째 테이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절삭날의 돌출량은 0.1내지 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 정형하는 절삭날은 각각 별개로 홀더에 부착되며, 단면 절삭을 위한 날구부의 여유각이 1도부터 5도까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용접팁의 선단면을 절삭 정형하는 절삭날은 날구의 절삭날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 경사시키고, 상기 절삭날에 의해 절삭 정형되는 상기 용접팁의 선단면이 원추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하는 절삭날은 선단이 연마 가공에 의한 둥글림을 행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용접팁의 측면과 단면을 절삭하는 절삭날에 행해지고 있는 모따기 치수의 테이퍼폭이 0.1mm 내지 0.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홈부는 절삭날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짐과 동시에, 절삭날이 팁과 접촉하는 부분의 절삭날의 측방이 완전히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팁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9. 중앙부에 형성된 홈부 및 외측으로부터 상기 홈부로 통하도록 절삭가공된 측공들을 가지는 홀더를 마련하는 단계;
    상하 양변에 날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홈부내로 삽입하고, 그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측공들 중 일측 측공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홈부의 단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용접팁의 단면절삭을 위해 상하로 날을 가지는 사각봉상의 단면용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홈부 내로 삽입하고, 그 절삭날을 상기 홀더의 타측 측공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의 부착방법.
KR1019930014587A 1992-07-31 1993-07-29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KR0137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70092A JP2588462B2 (ja) 1992-07-31 1992-07-31 チップドレッサー
JP92-204700 1992-07-31
JP20469992A JP2588461B2 (ja) 1992-07-31 1992-07-31 チップドレッサー
JP92-204699 1992-07-31
JP5022603A JP2640206B2 (ja) 1993-02-10 1993-02-10 チップドレッサの刃具
JP93-022603 1993-02-10
JP93-030226 1993-02-19
JP5030226A JPH06238465A (ja) 1993-02-19 1993-02-19 チップドレッサの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343A KR940005343A (ko) 1994-03-21
KR0137443B1 true KR0137443B1 (ko) 1998-05-15

Family

ID=2745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587A KR0137443B1 (ko) 1992-07-31 1993-07-29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01127A (ko)
EP (1) EP0581316B1 (ko)
KR (1) KR0137443B1 (ko)
DE (1) DE69323666T2 (ko)
TW (1) TW2319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70B1 (ko) * 2001-12-18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건의 팁 연마용 바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1977A1 (en) * 1994-04-22 1995-10-23 Laurent Voilmy Self-cleaning rotary tool for dressing welding electrodes
JP2673787B2 (ja) * 1994-11-22 1997-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ップドレッサー
FR2738518B1 (fr) * 1995-09-08 1997-10-24 Amdp Tete de rodage amovible pour le rodage d'electrodes d'appareils de soudage
EP0958092B1 (de) * 1996-05-21 2003-07-02 Peter-Stephan Lutz Frä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räsen des schweissbereichs von punkt-schweiss-elektroden
US5993125A (en) * 1997-06-27 1999-11-30 Shimada; Toshiaki Electrode tip dresser
US6024521A (en) * 1997-10-23 2000-02-15 Csi Technology, Inc Electrode dress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E19750312B4 (de) * 1997-11-13 2008-06-12 Peter-Stephan Lutz Schneidwerkzeug zur Bearbeitung des Schweißbereichs von Punkt-Schweiß-Elektroden
US5860774A (en) * 1997-12-22 1999-01-19 Neway Manufacturing, Inc. Valve resurfacing device
US6106203A (en) * 1998-03-18 2000-08-22 Semtorq, Inc. Electrode tip dresser with vacuum
JP3650928B2 (ja) 2000-05-26 2005-05-25 株式会社キョクトー ドレッサー装置
ITMI20011867A1 (it) * 2001-09-06 2003-03-06 Advanced Technologies S R L Dispositivo automatico per la riformatura di elettrodi in pinze di saldatura
US6499921B1 (en) * 2001-09-19 2002-12-31 Robert A Frasher Spot welder tip sharpening and dressing tool
DE20315288U1 (de) * 2003-10-04 2005-02-17 AEG SVS Schweißtechnik GmbH 20 Grad Fräskopf
DE20315287U1 (de) * 2003-10-04 2005-02-17 AEG SVS Schweißtechnik GmbH Fräsbalken
SE529067C2 (sv) 2004-08-25 2007-04-24 Seco Tools Ab Vändskär med skärhålsarrangemang med två axlar
SE528770C2 (sv) * 2004-08-25 2007-02-13 Seco Tools Ab Skärverktyg för vässning av elektrodspetsar med utbytbara skär
SE529065C2 (sv) 2004-10-20 2007-04-24 Seco Tools Ab Skärverktyg där skäret har en spånkanal som skär släppningsytan
JP2007038256A (ja) * 2005-08-02 2007-02-15 Honda Motor Co Ltd チップドレッサ
US20070062016A1 (en) * 2005-09-20 2007-03-22 Kevin Veenstra Lower electrode dressing tool for projection welding
KR100725616B1 (ko) * 2005-12-01 2007-06-08 주식회사 한국교꾸도 칩 성형기
US7458139B2 (en) * 2006-09-22 2008-12-02 Kyokutoh Co., Ltd Tip dresser
DE102008006703A1 (de) * 2008-01-30 2009-08-06 Cnc Precision S.R.O. Schneide für die Bearbeitung von Punktschweißelektroden, Fräswerkzeug und Kappenfräser
DE102009006585A1 (de) * 2009-01-29 2010-08-05 Lutz Precision, K.S. Führungsvorrichtung für Punktschweißelektrodenhandfräser
US8920218B2 (en) 2012-07-11 2014-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istance spot weld electrode dresser
US10081080B2 (en) 2014-08-25 2018-09-25 Honda Motor Co., Ltd. Welding assemblies for dressing electrode tips and methods of dressing electrode tips
JP6231961B2 (ja) * 2014-09-16 2017-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熱圧着用電極研磨装置および熱圧着用電極の再生利用方法
CN105598750B (zh) * 2015-11-09 2018-11-06 贝恩德·里曼 一种延长碳钢点焊电极头寿命的方法
DE102016201961A1 (de) * 2016-02-10 2017-08-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neidplat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4590A (en) * 1947-03-26 1949-06-13 Edgar Williams Improvements in metal cutting and working machines
GB1189104A (en) * 1966-05-05 1970-04-22 Lucas Industries Ltd Welding Electrode Re-Shaping Device
FR2450142A1 (fr) * 1979-02-27 1980-09-26 Steelweld France Installation automatique de rodage des electrodes pour appareils de soudure par resistance
GB2134429B (en) * 1982-12-24 1986-04-30 Honda Motor Co Ltd Apparatus for reforming electrodes of resistance welding machines
JPS6438072A (en) * 1987-07-31 1989-02-08 Kyowa Hakko Kogyo Kk Production of 4-aminopyrid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70B1 (ko) * 2001-12-18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건의 팁 연마용 바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343A (ko) 1994-03-21
DE69323666T2 (de) 1999-07-22
EP0581316B1 (en) 1999-03-03
DE69323666D1 (de) 1999-04-08
TW231986B (ko) 1994-10-11
US5401127A (en) 1995-03-28
EP0581316A1 (en) 199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443B1 (ko) 팁 드레서의 회전절삭공구 및 그 부착방법
KR20000068207A (ko) 폭이 가변인 랜드를 갖는 삽입체
JP2006297940A (ja) 螺旋状カッターヘッド用着脱式切削ブレード
KR20110093713A (ko) 칩-절삭 금속 기계가공을 위한 선삭 인서트, 공구 부품, 방법 및 공작 기계
KR100259549B1 (ko) 인덱스가능한 쐐기형 지지부재 및 인서트를 갖는 다중 배향 밀링 커터
JPH05253730A (ja) 切削植刃
JP6139192B2 (ja) 電極チップドレッサ用の研磨刃具
JP2588461B2 (ja) チップドレッサー
JPH10193214A (ja) ダイヤモンドエンドミル
US4625467A (en) Gear shaper having replaceable tip
JPH0417983A (ja) 電極チップのドレッシング工具
JP2588462B2 (ja) チップドレッサー
JPS6110886Y2 (ko)
JP3016975U (ja) 電極チップの研削用砥石
JP3115420U (ja) 立軸平面研削用セグメント形砥石
JPH0241809A (ja) 回転式孔あけ工具の面取り刃
KR200257465Y1 (ko) 절삭공구
JP2023119516A (ja) 複合加工機用旋削工具
RU2163859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нятия фасок и заусенцев на кромках отверстий
JPH09239562A (ja) 電極チップドレッサ用のカッター
JPH0318069Y2 (ko)
JP2000061728A (ja) 穴出入り口の面取りをする切削工具
JP3826372B2 (ja) スロ−アウエイチップ方式ドリル
JPS60201812A (ja) 自動電極整形装置における切削工具
JPH0732211A (ja) 組立式リー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