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39B1 -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 Google Patents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39B1
KR0133539B1 KR1019880013327A KR880013327A KR0133539B1 KR 0133539 B1 KR0133539 B1 KR 0133539B1 KR 1019880013327 A KR1019880013327 A KR 1019880013327A KR 880013327 A KR880013327 A KR 880013327A KR 0133539 B1 KR0133539 B1 KR 013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workpiece
board
ja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496A (ko
Inventor
벤게르 하르트뮤트
마르틴 페터
로찡게르 한스
덴쯔 마르틴
Original Assignee
로트 베른하르트엠., 발덱베르너
노바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트 베른하르트엠., 발덱베르너, 노바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로트 베른하르트엠., 발덱베르너
Publication of KR89000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 B65H29/0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chanical grippers engaging the leading edge only of the articles the grippers being carried by endless chains or b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27Drying of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장치의 전반적인 도면.
제 2 도는 운송 장치에서 여러 콘베이어 수단에 의한 전체적인 전진을 하는 동안 엣지부에서 그리퍼로 보드를 파지하고 보드와 접속 관계로 남는 지지부재의 평면도.
제 3 도는 그리퍼의 도움으로 보드의 세로방향 엣지를 파괴하는 두 지지부재를 통한 단면도.
제 4 도 및 제5도는 공급된 프린트된 회로보드 및 그것들의 치수가 전자·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탐지되고 회로보드가 탐지를 위해 정렬되는 곳에서 운송장치의 제1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제 6 도는 길이방향 엣지가 파괴되도록 회로 보드 단부면의 전진방향의 역에서 본 폭 탐지용 회로 보드의 배열된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7 도는 제6도에 따른 회로 보드의 폭 탐지의 평면도.
제 8 도는 지지부재가 정렬 보드에 접속되고, 그리퍼가 개방되는 곳에서 운송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9 도는 그리퍼를 닫고 보드 엣지를 파지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제8도와 유사한 도면.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와 유사하나 지지부재의 급송의 기능적인 연속을 도시한 지지부재의 급송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각각의 지지부재용 핸들링 유니트의 그리퍼 헤드와 급송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파지되는 보드의 지지부재 급송 상태와 보드의 탐지되는 폭에 따라 상승을 하는 제11도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와 유사하나 지지부재가 운송 캐리어에 놓이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하나 회귀력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그리퍼 개방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3도와 유사하나 두 지지부재 사이 거리의 최종 셋팅과 동시에 지지부재의 하부 고정 클램핑 조오에 의해 파지되는 지지보드의 하부를 파지하는 도면.
제16도는 제14도와 유사하나 지지부재의 그리퍼 닫힘과 보드 엣지에 연속적인 접속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제11도와 유사하나 프린트된 회로보드가 캐리지의 지지부재에 정지한 후 그리퍼 헤드가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제12도와 유사하나 지지부재와 그리퍼 헤드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건조 챔버와 같은 콘베이어 상·하로 통하는 지지부재의 급송과, 콘베이어로 상·하로 통하는 이것이 각 경우에 지지부재용의 한 용기 거리에 의해 차례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제20도는 지지부재의 접속단부와 상·하 리딩 콘베이어의 용기 사이의 접속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송장치,3 : 그리퍼,
5 : 지지부재,8 : 스프링,
11 : 돌출부,14 : 접속단부
본 발명은 코팅전에 예비가열된 후 코팅, 건조 되는 초 바이오릿 빛에 의한 예를 들면 내구성 래커와 같은 내구성 플라스틱 주조 혼합물로 코팅되는 프린트된 회로보드와 같은 민감한 표면의 보드 또는 형태의 워크 피스용 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드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운송 장치가 공지되었다. 이것은 습식 코팅 회로 보드가 코팅 단계에서 건조 단계로 운송될때 특히 필요하다. 이러한 프린트된 회로보드는 보호 래커로 코팅되는데, 먼저 건조시킨 후 빛에 노출시키며, 그후 노출점에서 현상함으로써 제거된다. 그 결과, 전도 트랙이 전기 접촉으로 미리 선정된 지점에 구비된다. 이러한 보드가 코팅되기 전, 예비가열되고 코팅되어 고익에 노출되어 최종적으로 건조된다. 이 경우 다른 문제점은 보드의 양 표면이 코팅되어야 하는데, 코팅된 제1표면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표면을 코팅해야 하므로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신문, 정기 간행물과 같은 프린트물이 가요성이나 보드 형태 물질의 운반시스템이 DE-A-25 25 496에서 공지되었는데, 그곳에서 전진 또는 운송방향을 가로지르는 캐리어가, 순환 콘베이어 체인의 이음매 없는 운반 라인에 배열된 스프링 부하 파지 장치에 의해 접속되고 파지 장치는 중간 영역이 지지되는 반면 프린트물의 엣지를 파지한다. 이것은 금방 코팅된 보드의 운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리퍼에 의해 넓은 엣지 영역이 파지되기 때문이 아니라 지지장치가 보드 한쪽의 아직 경화되지 않은 코팅부를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더우기, 한 공정단계에서 다른 공정단계로의 전환이 어렵고 제1운송장치의 그리퍼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다른 점에서 파지되는 보드를 필요로 하지만 그러한 장치는 어떤 운반 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체인 구동의 이음매 없는 콘베이어를 갖는 프린트된 회로의 회로 보드용 운송 장치는 FR-A-2 439 734에 공지되었는데, 보드는 이 운반 부재의 상부측 영역에서 상방향 개방 슬롯에 고정되어 그들의 수직적으로 정향된다. 이 배열에서 하나의 가로 방향 보드 엣지가 파지된다. 그러나, 그러한 운반 부재는 금방 코팅된 보드에 적절치 않는데, 코팅 표면의 액체가 떨어져 나가 자국이나 틈새가 생길 수 있다. 더우기, 설비가 콘베이어 부재와 보드 사이의 이동에 따라 이 콘베이어의 운송점에서 콘베이어 또는 작업단계에서 보드를 가져오기 위해 다시 만들어져 추가 그리퍼가 보드와 접촉해야만 한다.
두 평행하게 작동하는 운반수단 장치로 대향 V자형 홀더를 갖는 것이 EP-A-0,224,440에 공지되었다. 이 홀더들은 엣지에서 수평으로 놓인 보드를 지지하고 공정 단계를 거쳐 보드를 운송한다. 특히 하중 및 무하중 단계에서 한 공정에서의 다른 공정으로의 전환할 때에 공지된 종래 기술은 모드 수용 장치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DE-G-83 27 161.9에 수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의 경우에 보드는 두개의 그리퍼로 엣지에서 지지된다. 다수의 스페이서가 보드의 측방향 기울기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측방향 스페이서는 종종 금방 코팅된 보드에 손상을 주기 쉽다. 또한, 이 장치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소형 보드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프린트된 회로보드 두께(8mm)와 크기에서 그리퍼로부터 슬립이 일어난다. 더욱 어려운 문제는 상이한 치수의 보드가 운송되어야할 경우 종래 기술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를 완만히 파지하여 운송하고 보드 엣지에 추가적인 부하 없이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보드를 운송하는 장치를 만드는 것에 있다. 동시에, 장치는 필요하면 상이한 방향으로의 운송이 가능하고, 수평이 운송 방향에서 상향의 운송 방향으로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어 여러 공정 단계에 필요한 공간이, 여러 운송 단계 및 방향의 변화동안 추가되는 그리퍼, 접촉 장치등에 의해 민감한 보드 표면을 손상시키는 위험 없이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놀라운 해결은, 그리퍼 또는 클램프가 장치의 운송 또는 전진 수단에 방출이 가능하도록 접속된 지지부재에 부착되고, 이 지지부재는 보드의 완전한 운송동안 그리퍼를 통해 보드에 부착된 상태로 있고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에의 전환에 있어서, 보드와 함께 운송되고 무부하가 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면 보드 형태의 워크 피스를 처리하고 워크 피스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다수의 공정을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즉 공정간 워크 피스를 전진시키는 전진 수단을 구비하는 운송 시스템, 워크피스용 지지부재, 각 지지부재에 합체되고 워크 피스를 파지하여 지지부재에 대하여 지지시키는 그리핑 수단, 전진 수단에 대하여 지지부재를 방출가능하도록 접속시키는 수단, 그리핑 수단에 의해 워크 피스를 하는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동안 장치를 통하여 워크 피스를 전진시키고 따라서 워크 피스를 전진 수단과 직접 접촉함이 없이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운송시킬 수 있는 전진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구성부분으로서 전진 수단 및 운송 부재에 더이상 부착되지 않고 각각 분리되어 취급되어지도록 설계된 보드 엣지 파지용 그리퍼 또는 클램프를 구비하는데, 보드 엣지를 파지한 후 다양한 운송 라인을 거치는 운송중에 보드에 접속된채로 남게 되어 필요한 운송 작용의 변화와 취급작동, 특히 새로운 전진수단의 접촉이 항상 이 지지부재에서 일어날 수 있고, 즉 보드 및 민감한 표면이 이 모든 것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운송중에, 특히 보드의 운송중에, 보드 자체가 더이상 새롭게 파지되거나 운송되지 않으며 대신에 이것의 각 경우 각각의 운송 및 전진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그리퍼 및 클램프가 더이상 운송 및 전진 수단의 고정부분이 아니고 필요할때 파지되고 운송되면서 형성되나, 그렇지 않으면 통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탈되고 상·하로 전진하는 수단의 다양한 형태의 접속은 각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고, 한 전진수단에서 다른 것으로의 전환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만일 각 경우에 하나의 그리퍼를 갖는 두 평행 지지부재가 전진방향으로 정향된 보드의 두 가로방향 엣지를 위해 구비된다면, 전 폭을 통해 보드의 파지를 하는 동안 조정될 수 있고, 위치에 일치하는 전진 및 운송 수단에의 접속에 있어서 매우 능률적이다. 전진 수단에서의 지지부재의 분리는 상이한 보드 치수에의 적용을 매우 용이하고 단순화 시킨다. 각각의 전진 수단이 보드 엣지의 각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두 평행 전진수단의 거리가 서로를 원·근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보드치수에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두 보드 엣지에 클램프가 합체된 공지된 종전의 이음매 없는 콘베이어에서는 불가능하거나 또는 복잡한 수단으로서만 가능하다.
만일 운송 장치내에서 하나의 보드 엣지의 지지부재용 전진수단이 고정 통로와 고정 방향을 갖고 지지부재용 제2전진수단이 제1수단에 대하여 옆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경우에 통과되는 판의 폭을 수용할 수 있다면 구조에서 매우 단순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보드 치수의 적용에서 전진의 한 통로만이 적용된다.
지지부재의 지지공정 중에 각 보드의 한정 및 고정 위치를 위해서는, 지지부재의 클램프 또는 그리퍼가 각각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회복력에 대하여 각각 확산될 수 있으며, 다른 조오가 선회적으로 개폐되는 반면 하나의 조오가 지지부재의 하우징에 이동가능하도록 접속되고 하우징에 합체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다. 결과적으로 실제에 있어서는, 고정 지지 평면이 클램프내에서 만들어지는데, 이는 두 선회 클램프 또는 조오가 원주에서 상이한 선회 높이로 각각의 닫힘 위치에 미칠 수 있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이다.
보드를 파지하는동안, 가능한한 이 보드의 표면과 적게 접촉을 해야 하나, 견고하게 지지해야 하며, 그리퍼의 조오 또는 지지부재의 그리퍼가 각 경우에 두개 이상의, 보드 엣지의 가로방향에서 각각 공간적으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보드 표면에 대하여 팁(tip)에 대하여 각각 대향으로 놓인 두개의 조오 돌출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다면, 큰 특성을 갖는다. 가로방향 보드 엣지와 접촉하는 조오 부품으로서의 지정된 돌출부는 부하되는 영역이 매우 작기 때문에, 가로방향 보드 엣지와 매우 인접하게 접촉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지지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지지부재는 보드 영역 외측에 멀리 떨어져 있는 래커 또는 플라스틱으로 코팅 또는 영역의 안전한 부분이 존재하고, 그리퍼나 클램프가 래커나 플라스틱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을 단순하게 보호하는 추가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상이한 길이의 지지부재, 특히 통상의 보드 사이즈에 사용되는 상이한 치수의 그리퍼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두개 이상과 같은 다수의 그리퍼가 전진방향 및 지지부재의 세로 연장 방향에서 지지부재에 겹쳐서 배열되고 큰 보드 또는 작은 보드에 접촉된다면 또한 더욱 특성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지지부재는 크고 작은 보드용으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균일한 치수의 지지부재가 다양한 운송 및 전진 수단에 접속될 수 있다.
수평 운송에서 상하방향 운송으로의 용이한 전환의 가능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배열은 특히 지지부재가, 운송수단에 상하로 통하는 포켓형 용기내로 돌진 또는 삽입되는 접속단부에 의해 연장되는 세로 방향에 있는 그리퍼의 영역을 지나 돌출하는데 있다. 염주형과 같은 수평 콘베이어의 적절한 배열로, 콘베이어는, 지지부재가 수평방향의 운송수단에서 자동적으로 전진 운동에 의해 이 새로운 전진수단의 용기에 접속되게 되어 그결과 일치되어 종동한다. 이 경우에 수평 운송수단내로의 연속 전환후에, 상방향 운송수단과 같은 것을 다시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만일 지지부재의 양단부가 그리퍼에 고정된 영역을 지나 접속단부로서 돌출하면 큰 효과를 갖는다.
보드 운송중에 보드 엣지 파지용의 운송가능한 지지부재의 사용은 이 지지부재용의 매우 단순한 구조 형태를 가능하게 하는데, 복잡한 추가 수용체 및 운송그리퍼 없이 이 지지부재를 매우 용이하게 한 운송수단에서 다른 것으로 수평 운송 및 수직 운송에 구비된 대응 접속 영역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하로 위치된 콘베이어의 포켓형 용기에 대응하는 플러그 접속부로서 그리핑 영역에 대해 연장된 지지부품의 단부 사용의 개발이 그 단순성과 큰 효과로 인해 중요성을 갖는다.
각각의 파지된 세로 보드 엣지와 접하는 그리퍼 조오의 측부에 대한 장치의 개발, 이동가능한 클램핑 조오의 배열, 보드뿐 아니라 센서의 급송 영역에서 운송 장치의 초기에 지지부재의 배열 및 그곳에 배열된 자동공정이, 보드의 측면 배열 및 위치가 필요한 후속 작동에 대해 치수의 정확성을 가지고 클램핑 조오의 단부면에서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가와 각 콘베이어와 전진 수단과 별개로 취급되는 지지부재가 각각의 운송 작동의 초기에 파지되는 보드와 함께 동반되는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지지부재가 방출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캐리지가 지지부재용 전진수단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콘베이어 벨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독립 운동의 발생 가능성 없이 정확한 전진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보드의 한 세로 방향을 위한 지지부재용 캐리지가 전진 방향을 횡단하는 전진구동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고, 조정 구동력은 전 장치의 급속 영역에서 보드 크기를 감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각 전자 센서에 의해 구동된다. 이미 언급했듯이, 각 보드치수에 대한 전진수단의 적용은, 이 경우 캐리지 백이 옆으로 정확하게 밀릴 수 있도록 적절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전진 수단으로서 캐리지의 사용에 의해 단순히 가능하다.
지지부재의 하단측부 및 상단측부, 그리고 전진 캐리지의 조화 상단측부와 이 영역에 구비된 접속 수단이 임시적으로 지지부재를 캐리지에 방출 가능하도록 접속시키는데 적용된다. 특히, 캐리지의 인덱스 전압과 지지 부재의 조화 접속 개구는 한편으로 캐리지와 지지부재 사이에 표면에서 쪼개짐 없이 취급에 과도한 방해없이 또한 예를 들면 매거진에서 저장 및 스톡킹 없이 정확하고 적정한 방출가능한 접속을 이룰 수 있다.
이미 언급했듯이, 캐리지를 지지부재용 접속 단부를 위한 용기를 갖는 염주형 콘베이어로의 용이한 전환은, 만일 전진 방향에서 예리한 지지부재의 접속 단부가 예열 챔버내에서 상하로 정향된 콘베이어에 방출 가능한 접속을 위해 플러그 접속으로서의 전진 방향에서 캐리지를 넘어 돌출한다면 효과적이다. 결과적으로, 캐리지는 상방향으로 정향된 전진 수단에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정지되지만, 지지부재를 용이하게 문제 없이 운송시킨다. 동시에, 상하로 정향된 콘베이어가 예열챔버 내부에 배열되며, 충분한 휴지기간이 각 지지부재의 특히, 그곳에 지지된 보드를 완속적으로 되는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에로의 완전한 자동 운송 유동의 전달없이 이루어지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체에 걸쳐 세로 방향에서 아무 공간도 예열챔버에서 사용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한 전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상·하 방향의 운송에 의한 제한된 공간에서의 예열 가능성은, 이 경우 한편으로 하단측부 및 다른한편 상단측부에서 접속 가능성을 갖는 지지부재의 특징적인 설계에 의해 가능하다.
이 경우 상하로 정향된 콘베이어에서 복잡한 클램프, 그리퍼를 피하고 동시에 지지부재에서 접속단부를 가능한한 단순하고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다면, 이미 언급했듯이, 지지부재의 접속단부를 콘베이어의 용기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캐리지의 최종 전진 운동에 의해 캐리지에서 이 콘베이어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보드나 캐리지에 수평으로 통하는 보드를 갖는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콘베이어는, 상방향 통과 노선 및 회귀 롤러에 대한 하방향 통과 노선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노선들에 의해 운반되는 포켓형 또는 U자형 용기는 이 경우 서로 이웃하여 통상적인 간격으로 지지부재의 접속부재가 고정되는 용기내로 배열되고, 깊게 삽입되어 상방향 운동, 상부 회귀 영역의 선회 운동과 연속 하향 운동에서, 그리핑 영역 및 보드를 갖는 용기로부터 돌출되는 두 평행한 지지부재를 방해 모멘트에 의해 발생한 마찰력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실제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이 용기에 접속시키는 것은 큰 삽입 깊이를 통해 적당히 고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특수한 클램프, 확산부재 또는 작동되고 이동되는 다른 접속수단 효과적인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것은 지주재를 포켓형 용기내로 접속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다른 한편 이 용기에서 반대로 약 수평 전환 수단 특히 캐리지까지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보호 가치가 있는 장치 전반의 한 배열은 이 경우, 상방향 통과 노선 및 상하 콘베이어 또는 장치 콘베이어의 하향 하중 노선이 예각에서 수직적으로 경사지어 두 노선이 하단영역보다 콘베이어의 상단 영역에서 서로 각각 작게 거리를 갖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노선은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진행하지 않지만 약간 비스듬히 경사진다. 이것은 어떤 역할을, 지지부재와 용기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정향된 운동동안 각 경우에 자유단부에 비스듬히 걸린 노선의 한 측면에 돌출하는 지지부재 없이 플러그 접속에서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삽입이 용이해지고, 공차의 큰 가능성에 의해 접속이 보다 쉬워짐에도 이 단순 플러그 접속의 양호한 고정이 전 운송동안 이루어진다. 노선의 이 경사배열은 하단 회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콘베이어의 롤 또는 상단 회귀롤러와 두 공정이 축을 통한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두 노선에 의해 단순히 이루어진다. 그 결과, 지지부재가, 두 노선에서 수평면에 대해 접속 단부의 대칭 구조로 인해 상단 리턴 전후의 양 경우에 거의 수평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U자형 또는 포켓형 용기의 배열은, 전진방향에서 보드를 정확한 높이에 위치시켜 유지하는데 특히 효과적일뿐 아니라 보드의 상이한 치수에의 용이한 적용에 효과적이다. 상하 운송동안 가능한 지지부재의 정확한 수평 배열을 얻기 위한 이 한도들은 수직에 대한 노선의 경사에 관계된다. 콘베이어의 상방통과 노선의 하단 영역에서, 보드의 지지부재 수용을 위해 캐리지를 갖는 수평 안내 트랙을 구비할 수 있고, 이 트랙은 보호 또는 납땜 저항 래커 또는 플라스틱용 적용장치에 통하고 그 내에서 보드의 상향 접촉 사이드가 이 래커 또는 플래스틱으로 코팅된다. 동시에, 이 적용장치에서 사각 전자 센서로 구동되는 래커 리미터가 구비될 수 있고, 양호하게는 장치내로 입구가 구비되며, 그것에 있는 지지부재 및 그리퍼에의 래커 적용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 안내 트랙은 래커 적용 장치를 통해 건조 챔버내로 통하고, 그곳에서 예열 챔버의 상하 콘베이어에 대응하는 상하 콘베이어가 배열될 수 있고, 전진 속도와 콘베이어 높이의 선택은, 보드의 상단 사이드의 래커층이 회전 및 하향 운반동안 더 이상 작동되지 않을 정도로 건조된다.
한 운반주재 및 전진수단에서 다음으로 보드를 운송하는 지지부재의 도움을 받는 효과적인 운반 원리는, 캐리지를 갖는 수평 안내 트랙이 건조 챔버의 콘베이어 노선의 하방으로 통하는 하단 운송 영역에서 인접하고 하방으로 운반된 지지부재가 그곳에 배열된 캐리지에 접속될 수 있고 래커 적용 장치내로 운송될 수 있고, 그것은 양호하게는 제1래커 적용 장치에 대응한다. 상하 노선을 갖는 건조챔버의 공간 절약 콘베이어는 이 운반 통로에서 코스 문제로 보드를 회전시키어, 아직 코팅되지 않은 보드의 표면이 이 콘베이어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정향되어 래커 적용 단계로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으며 여러 작업 단계가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2래커 적용 장치가 상하방 콘베이어와 하나 이상의 건조 챔버에 의해 인접할 수 있고, 그것은 이미 언급한 형태의 콘베이어와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시 일치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접속, 수용, 인도의 관점에서 공급 트랙이 이 건조 챔버 뒤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인 결과는 보드용 운반 통로이며 주된 특성은 보드가 한 운반수단에서 다음으로 운송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운송이 보드에 고정적으로 접속된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 경우에 두 종류의 운반 및 전진수단이 필요한데 즉 전제 장치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수평 운동에 필요한 것과 상하 운동에 필요한 것이며, 그것은 각 경우에 필요한 접속점이 지지부재에서 서로 각각 분리하여 배열될 수 있고 수평 운송 수단의 각 운동이 상하향 콘베이어의 접속과 차단을 보증하는 방법으로 전진방향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하는데 특성이 있다.
더우기, 공정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장치의 개발은 더이상 보드를 다시 한번 운송할 수 있는 초기 위치로 지지부재를 되돌릴 필요가 없는데 있다. 전반적인 결과는 중요한 구성 부품으로서 보드를 운송시키는 지지 부재가 파지되고 다양한 운송 수단과 다양한 작업 공정으로의 운송중에 접속된채 유지되어 보드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보드에 위험을 제공하는 접속부와 홀더가 지지 부재에 대신하여 정향되는 운송장치인 것이다. 이것은 상이한 작업 공정의 공간 절약 배열을 통해 효율성을 가져와 예를 들면 프린트된 회로보드에 플라스틱 또는 래커가 자동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 1 도에 따르면, 보드 또는 보드 형태의 워크 피스(2)와 같은 운송장치가 있고, 이 경우의 보드는 프린트된 회로보드(2)이며, 자외선 방사물질과 같은 내구적인 플라스틱으로 표면이 코팅된다. 각 보드는 코팅 전에 예열되고 코팅된 양측은 코팅 작용 사이에 예비가열되어 코팅이 된후 최종 건조 작용을 한다. 운송 장치(1)는 각 경우에 기술된 개개의 때로는 방향을 바꾸고 때로는 전진 수단을 바꾸는 전진수단 및 콘베이어로 통한다.
제 1 도에 따른 다양한 콘베이어 수단 및 공정 스테이션의 배열 대신에, 운송 장치(1)가 특별한 경우의 연속 조합에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통하고 보드 형태의 워크 피스의 공정 작용 및 다른 핸들링을 위해 전진 수단을 바꾸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요한 것은 운송 장치(1)가, 공정 스테이션을 통해 보드(2)의 운송 및 전진을 하는 동안 보드 엣지(4)를 파지하기 위한 그리퍼(3)를 갖게 되어 잔류보드 영역이 자유롭게 되고 지지부재의 다양한 접촉으로 손상되지가 않는다.
민감한 보드의 위험 부담 없다면, 한 이송 또는 전진수단에서 다른것 및 작업 스테이션으로의 변화동안 보드(2)의 운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운송장치(1)의 중요한 구성 부품은 지지부재 또는 운송 장치(1)의 운송 또는 전진 수단에 방출되도록 접속되고 보드 엣지(4) 파지용의 그리퍼 또는 클램프가 구비되는 래크이다.
이 지지부재(5) 또는 래크가 운송 및 전진수단에 방출되도록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운송 및 전체 공정 즉 전진수단에서 다른 것으로의 변화중에 보드(2)에 접속된채로 잔류하여 보드 엣지(4)의 그리퍼(3)는 개방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이 모든 운송 작용이 보드(2)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신에, 완전한 운송동안 보드(2)에 접속된 지지부재(5)는 전진수단에서 다른 것으로 또는 작업 스테이션에서 다른 것으로 변환되는 경우에 그것으로 지지된 상기 보드(2)와 함께 운송되고 재장전된다.
따라서 실제로 전진수단에 구비된 보드용 지지 장치는 이 전진 수단과 더이상 합체되지 않으나 전진 수단에 부착되고 전진 수단에서 전진 수단으로 통과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지지부재(5)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3도의 경우는 보드(2)의 전진방향으로 정향된 보드 엣지(4)용의 세개의 그리퍼(3)가 구비되며, 그리퍼는 전폭을 통해 보드(2)의 파지동안 대응 위치로 셋트될 수 있다. 이점에서, 운송장치내의 한 보드 엣지의 지지부재(5)용 수단, 즉 전진방향에서 대체가능한 전진수단(6)은 장치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통로와 방향을 갖고, 제2지지 부재(5)용 전진 수단, 즉 캐리지(7)는 전진 수단(6)에 대하여 옆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공정 보드 폭을 수용 하도록 장치가 가능하다.
제3도에 따른 두 평행 지지부재(5)의 사용이 보드(2)의 치수뿐 아니라 상기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전진수단이 옆방향 조정이 만족된다면 어떤 보드폭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이정도의 특성은, 실제에 있어서 두 상호 독립적이나 동시에 구동이 가능한 전진 수단이 구비되어 상호 공간 조정이 가능한데 있다. 따라서 전진 수단은 종래의 전진 수단에서 그들의 폭이 고정되고 상이한 폭의 워크 피스에 대한 적용이 매우 복잡한 반면, 두 보드 엣지(4)를 위한 지지부재(5)가 각각 분리되고 독립적으로 되도록 하는데 적용된다.
지지부재(5)에서의 클램프나 그리퍼(3)는, 각각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8)의 회귀력에 대하여 서로 각각 떨어질 수 있는 두개의 조오(9,10)를 갖는다. 이 배열에서, 제3도의 하단 조오(10)는 지지부재(5)의 하우징(10a)에 이동되지 못하도록 접속되고, 제3도 정상의 다른 조오(9)는 제13도 내지 제16도 아래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개폐되면서 선회한다. 지지부재(4)의 그리퍼(3)의 조오(9,10)는 보드(2) 엣지(4)를 파지하기 위해 각 경우에 두개, 제2도의 경우는 네개의 돌출부(11)를 갖는데, 그것은 보드 엣지(4)의 세로방향에서 각각 공간을 따라 배열되고 보드 표면에 대하여 정향되며, 각 경우에 두 조오(9,10)의 대응 돌출부는 클램핑력을 도입하기 위해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팀(12)에 대하여 거의 대향에 놓이게 된다. 이 날카로운 돌출부(11)는 따라서 보드 표면에서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제2도 도시와 같이 세로방향 엣지(4)에 근접하게 접촉하며, 따라서 보드 표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것은 특히 프린트된 회로보드에 적용되는데, 그것은 코팅되지 않는 외측 자유 엣지를 늘 갖는다. 이 경우 돌출부(11)는 핀으로서 홀(11a)에 안치된다. 제3도에서, 고정 조오(10)에 대해 선회가능한 카운터 조오(9)는 둥근 단부면(9a)을 갖는데, 이 클램핑 조오(9)의 선회축(9b) 주위에서 이 단부면의 선회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갖는다. 이 곡률 단부면(9a)은 여기에서 고정 조오(10)의 유사한 곡률 단부면(9a)과 중첩된다. 동시에, 또한 단부면(9a)은 돌출부(11) 사이에서 돌출되어 개방위치에서 클램핑 조오(9)로 단부면(9a)은 회로보드(2)를 위해 사이드 스톱을 형성하는데, 그것은 커브표면 때문에, 옆방향 돌출에 대하여 조오의 닫힘동안 변하지 않는다. 이미 언급했듯이, 세개 또는 두개의 그리퍼(3), 다른 한편 네개 또는 다섯개의 그리퍼가 전진방향과 지지부재(5)의 세로 연장 방향에서 지지부재(5)에 배열될 수 있고, 제2도의 도시와 같이, 그리퍼는 함께 큰 보드(2) 또는 각각의 작은 보드와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큰 보드의 경우 존재할 수 있는 왜곡되거나 또는 균일하지 못한 것이 보상될 수 있고, 원하는 지지력이 전체적인 세로 방향 엣지를 따라 적용된다.
제2도, 특히 제19도 및 제20도에 지지부재(5)가 운송수단(16)에 상하로 통하는 포켓형 용기(15)내로 밀리거나 삽입될 수 있는 접속단부(14)에 의해 세로연장방향에 있는 그리퍼의 영역을 지나 돌출한다. 상기에 언급한 특징은 지지부재(5)의 양단부가 그리퍼(3)에 고정된 영역을 지나 접속단부(14)로서 돌출하는데 있다. 결과적으로, 수평 작용 전진 수단에서 상하로 통하는 운송수단(16)으로 파지되는 보드(2)의 이 지지부재(5)의 운송이 매우 단순하게 가능해진다.
제3도로부터, 가장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어떻게 이동가능한 클램핑 조오(9)가 로커처럼 장착되고, 지지부재(5)의 세로방향의 연장 선회축(9b)이 작동부재(18)와의 상호 작용 영역으로서 구비된 돌출부(11)의 조오 파트의 대향에 있는 오버행(overhang)(17)을 갖고 스프링(8)의 회귀력에 대하여 조오(9)의 선호를 위한 작용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노치(17a)를 오버행(17)의 표면에서 볼 수 있는데, 이 노치는, 만일 어떤 선회운동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작동부재(18)의 고정접촉을 확실하게 해준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따르면, 그리퍼(3)를 갖는 지지부재(5)가 제1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보드(27)의 전진방향에 정향된 급송 트랙(20, 제4도 내지 제7도) 사이드로 보드(2)의 급송 영역(19, 제1도)에서 장치내로 배열된 리프트(21)에 의해 적용된다. 리프트(21) 아래에서 보드(2)의 전진방향을 가로질러 운송 수단이 배열되는데, 제10도와 같이 그것은 차례로 이동되는 콘베이어 벨트(22)이고, 각각 지지부재(5)가 전진 수단(6, 7)의 사이드에서 각 케이스로 급송된다. 이것은 옆방향 보드 엣지를 잘 파지하여 상이한 치수의 보드(2)를 고려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제4도 내지 제7도의 롤러 통로에 따르면, 급송 트랙(20) 영역에서 운송장치(1)로 들어가는 각 보드(2)를 감지하는 예를 들면 시각 전자 센서, 가벼운 장벽 등이 구비되는데, 그것들은 보드의 치수 및 지지부재(5)의 급송 구동 즉 톱니벨트로 설계된 콘베이어 벨트(22)와 그리퍼(3) 개방을 위한 가동장치의 구동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제4도 및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각 회로보드(2)의 정렬과 전진 탐지를 위해 스크린(23)과 낮출 수 있는 스톱부(24)가 사용된다. 옆방향 배열을 위한 스크린(23)과 스핀들(25)의 도움으로 인한 그 구동 및 구동 모터(26)가 특히 제6도에 도시되었다. 다른 보드 엣지 감지용 가벼운 장벽 또한 공지되었다.
지지부재(5)의 전진 수단으로서 캐리지(7)가 제공되며, 상기 캐리지상에서 지지부재(5)는 지금까지 설명된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고 이미 언급하였다. 그와 동시에, 보드(2)의 한쪽 종방향 엣지(4)를 위한 캐리지(7)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전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그 전진 구동장치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한 조절 구동 장치는 다시 한두개의 시각 전자 센서에 의해 구동되며, 각기 다른 보드의 규격에 자동적으로 맞추어지도록 하기 위해 정지한다.
제3도 및 제20도에 의한 실시예의 설계를 가지며 또한 평평한 지주재(5)의 하부는 전진 수단(6)의 상부에 결합하며, 이들 상호 접촉 표면은 캐리지와 지지부재 사이를 신뢰성 있게 결합해주는 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다. 도면을 좀더 명료하게 하기 위해 세부적 도시를 생략한 방법에 의해, 한쪽으로는 천공을 갖게 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돌출부 또는 핀을 갖게 하므로써 특히 단순한 결합수단을 만들 수 있다. 한 전진수단에서 다른 전진수단으로 전달되어 여러가지 방법으로 움직여지며 다루어지는 지지부재(5)를 가능하면 어려움 없이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공 천공 또는 다수의 결합용 천공(5a)(제11도 및 제17도 참조)을 지지부재(5)상에 만들고, 결합용 핀 또는 돌출부(6a)(제12도 참조)를 전진 수단(6)의 상부에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결합용 돌출부는 결합공 천공에 쉽게 맞아 들어가며, 양호하게는 결합용 천공으로의 도입시 센터링을 하기 위한 테이퍼 자유단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결합과 동시에 전진수단(6)상에서의 지지부재(5)의 정확한 위치가 이루어진다.
지지부재(5)의 결합 단부, 즉 각각 전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결합 단부(14)가 전진수단(6)상에서 전진 방향으로 돌출하여, 예열챔버(28)내에서 상하 운동을 하는 운송수단(1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러그 커플링이 된다는 점을 제19도 및 제20도에서 알 수 있는 이것은 전진수단(6)이 지지부재(5) 또는 래크가 전진 운동시에 상기 운송수단(16)의 이미 설명한 포켓용 용기(15)로 바로 집어넣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지지부재(5)를 상하 운동의 운송수단(16)과 그 용기(15)로 전달한 후에, 전진수단(6)이 다시 그 최초 위치로 귀환하여 그 다음의 한쌍의 지지부재와 한두개의 보드를 받아서 다시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진수단(6)은 전진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동시에 함께 움직인다.
이러한 상하 운동의 운송수단(16)은 이미 언급한 예열챔버(28)에만 있게 되는 것이 아니라 제1도에 따라서 다른 세 위치에도 있게 되며, 실시예의 경우 전체의 운송장치(1)내에서 총 네번을 다른 세위치에 있게 된다. 이후 설명한 이와같은 특징은 이 경우의 이들 모든 운송수단(16)은 적용된다.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진 전진수단(6)으로부터의 보드(2)와 함께 지지부재(5)를 받아들이는 이 운송수단(16)은 상향 노선(29)과 회귀 롤러(30)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하향 노선(31)을 가지며, 이 노선으로 운반되는 포켓형 또는 U자형 용기(15)들은 일정 간격으로 상호 나란히 배열되고, 제20도에 따르면 지지부재(5)의 결합 단부(14)는 이 용기들 속으로 깊이 맞추어 들어가므로써 상향 이동과 상부 회귀 롤러(30)의 선회 운동 및 그에 따른 하향 이동시 용기(15) 밖으로 돌출된 평행한 두 지지 부재(5)와 그리핑 부분 또는 보드(2)가 마찰력에 의해서만 견고히 자리잡도록 한다. 그와 같이, 운송수단(16)상에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특별한 클램프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전진수단(6)으로부터 상향 노선(29)으로의 지지부재(5)의 이동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외측의 결합 단부(14)를 원추형으로 하여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횡방향으로는 조절되지 않는 고정 전진 트랙에서 전진되는 지지부재(5)용 U자형 용기(15)는 U자형 레그(15b)거의 직각이면서 결합 단부(14)의 폭에 거의 일치되는 폭을 갖는 측벽(15a)을 가지고 있어서 이 부분에서 상향 및 하향 운송수단(16)의 용기(15)는 지지부재(5)의 결합 단부(14)를 사방의 모든 측면에서 감싸는 결합용 포켓으로 설계되어 있다. 용기(15)는 측면이 막힌 이 결합용 포켓으로 시작되어 그 전체 측면에 따라 U자형이며 일정한 단면을 갖도록 설계되어, 제2의 지지부재(5)가 포켓에 결합된 지지부재(5)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 상부 및 하부면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두 지지부재(5)가 하나는 항상 동일한 고정 콘베이어 트랙에 전달되고 다른 하나는 보드의 여러가지 다른 치수로 인하여 여러가지 다른 평행한 거리를 두고 그것에 인접된다는 사실에 따라 운송수단(16)의 이들 용기(15)에 있어서 여유가 또한 만들어진다. 따라서, 용기(15)들은 그 단면에 있어서 지지부재(5)의 결합 단부에만 알맞게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지지부재(5)가 다양한 폭을 갖는 보드(2)를 전진시켜 운송수단(16)상으로 이탈시키는 동안 그 보드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는 사실에도 알맞게 되어 있다.
제19도를 참조하면, 운송수단(16)의 상향 노선(29)과 하향 노선(31)은 상호간의 거리가 하부보다 상부에서 더 작도록 배열되므로써 각각의 경우에서 수직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관계는 운송수단(16)의 상부 회귀 롤러(30)의 직경을 하부 회귀 롤러보다 작게 하고, 두 롤러를 그 축들을 통과하는 수직한 평면에서 대칭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노선(29, 31)들이 배열되는 수직에 대한 각은 지지부재(5)가 중력 작용하에 선회 회전하는 선회각과 거의 일치하는데, 이 선회각은 생 래커층이 부분적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운송수단(16)상에서 거의 수평이 되게 하기 위한 상향 노선(29)과 하향 노선(31) 각각에 관련한 지지부재들의 일측면 제한부에서의 결합 작용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생 래커 혹은 생 플라스틱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운송수단(16)상의 각각의 케이스에서 정확이 수평으로 놓인 지지부재(5)를 잡기 위해 복잡한 클램프 장치 또는 지지장치를 마련한다거나 매우 정밀한 끼움새나 빡빡한 틈새를 갖도록 하지 않고 비교적 큰 끼움 틈새를 사용한다. 그리하여 지지부재(5)를 한 전달 수단에서 다른 전달 수단으로 이동시키기가 용이해지지만, 이러한 작용을 보충하기 위해서 두 노선이 경사지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매우 특히 중요한데, 왜냐하면 처음에는 사양 이송하고 다음에는 하향 이송하는 운송수단(16)으로 인하여 운송 장치(1)의 운송 노선중 일부가 주 전진운동에 대해 다소 수직으로 달리므로 그 결과 전체 운송 장치(1)의 공간적 크기가 소형으로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충분히 긴 전체의 운송 노선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러한 상하향 운송중에 생 래커층의 예비 건조가 이루어지고 그 다음에 1차 건조가 되고 마침내 충분히 오랜동안의 건조가 이루어져서 보드(2)는 지지부재에 잡힌채 있고, 지지부재(5)는 계속 전진한다.
운송수단(16)의 하향 노선(31)의 하단부에는 전진수단(6) 따위를 가지고 있는 수평 안내 트랙이 보드(2)를 포함한 지지부재(5)를 받아들이기 위해 마련되며, 이 안내 트랙은 제1도에서처럼 보호 래커 혹은 플라스틱 또는 납땜 저항성 래커 혹은 플라스틱을 도포하는 제1도포장치(33)로 전달되며, 이 도포장치에서 각각의 보드(2)의 상부면은 그러한 래커 혹은 플라스틱으로 코우팅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용 장치(33)는 시각 전자 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래커 리미터를 제공하게 되며 운송장치(1) 안으로 입구(19)에 그것이 적절하다면 그들 위로 그리퍼(3) 및 지지부재(5) 위로 래커의 작용을 방지한다.
제1도에 따르면, 건조실 안으로 적용 장치(33)를 통하여 유도한 수평 안내 트랙은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예열챔버(28)에 상응한 상하 운송수단(16)이 배열되게 되며 사익 운송수단(16)의 진행속도 및 높이는 보드(2)상의 표면상의 래커 또는 플라스틱층이 상승 운반동안 전복 그리고 하향으로 이동될때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정도로 건조하게 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건조실(34)의 운송수단(16)의 하향 안내 노선(31)의 하부 전달 영역에서 그들은 전진수단(6)과 수평 안내 트랙을 결합하고 하향 전달 지지부재(5)는 캐리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적용 장치(33)에 편리하게 상응한 적용 장치(33) 안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잇점있는 방법으로 제1건조실(34)의 운송수단(16)에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전환된 보드의 측을 피복할 수 있다. 상기 배열에서, 상기 운송수단(16)은 상승 및 하강으로 전달되고 작은 공간을 요구하며 보드(2)의 회전을 위해 동시에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추가적으로 잇점이 됨을 알 수 있다.
제6적용 장치(33)는 2개의 상승 및 하강 운송수단(16)과 최소 한개의 건조실(34)에 의해 결합하게 되며, 이것 뒤에 공급 트랙(35)은 배열하게 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보드는 입구(19)로부터 공급 트랙(35)으로 총 4배로 연속적으로 전환되며 즉 그들은 다시 초기 위치를 가지지만 그들을 붙잡기 위한 지지부재(5)를 떠나도록 하는 일 없이 공정에서 다양한 취급 작동을 갖고 피복되며 건조하게 된다. 이것을 대신하여 상기 지지부재(5)는 재부하 작동과 같이 민감하며 이동, 전달, 전환, 진행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장 높으면 특성의 피복된 보드는 생산할 수 있으며 잇점있는 방법에서 실질적으로 더이상 거부하지 않는다.
공급 트랙(35)에서, 그리퍼(3)를 개구하기 위한 작동 부재(18)는 입구 트랙상의 것과 유사하며 붙잡기 위한 가로 운송수단과 지지부재와 떨어져 있는 측면 이송이 제공된다. 추가해서, 공급 영역의 측에서 리포트(21)로 지지부재를 귀환 및 붙잡기 위한 콘베이어 수단(35a)이 운송장치(1)안으로 입구(19)에 배열하게 된다.
출발 영역과 운송 장치(1)의 단부 영역에 위치한 작동 부재(18)와 그들 함수 연속은 제8도 내지 제18도에서 단계적으로 도시되며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한번 회로 보드(2)가 위치하게 되고 제4도 내지 제7도에 따라 회로 보드 진행 감지상의 폭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감지하면 리프트로부터 나온 2부 또는 지지부재(5)는 정지부(36)(제10도)에 대항하여 그들로부터 이송되며 톱니 벨트 콘베이어(22)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1도에서 상부 표시에 따르고 제11도에서 특히 볼 수 있는 그리퍼 헤드(37)는 초기 개방이고 화살표 pf1을 따라 폐쇄하게 되고 지지부재(5)를 붙잡으며 중심맞추게 된다. 제12도에 따라 상기 그리퍼 헤드(37)는 지지부재(5)를 들어 올리며 상대 보드(2)의 진행에서 감지된 폭만큼 제12도에서 화살표 pf2에 따라 서로 움직인다.
그리퍼 헤드(37)는 제13도에 따라 화살표 pf3의 방향에서 하부에 있으며 캐리지 위에 지지부재(5)를 놓는다.
제14도에서 곡선된 화살표 pf4에 따라 그리퍼 헤드(37)사에 있는 작동 부재(18)의 상응한 하향 운동에 의해 지지부재(5)의 그리퍼(3)의 로커형 피봇 상부 클램핑 조오(9)는 그때 개구된다.
그때 제15도에 따르면 한개의 그리퍼 헤드(37)를 이송한 가로 캐리지(39)는 2개의 지지부재(5)와 그들 그리퍼(3) 사이의 거리가 최종 회로 보드 폭에 상응할때까지 화살표 pf5의 방향에서 스핀들 구동(38)의 수단에 의해 더 진행하게 된다.
그때, 제16도에 따라 작동 부재(18)는 화살표에 따라 그리퍼(3)로부터 다시 들어올려지므로 그리퍼는 스프링(8)에 기인하여 폐쇄되고 보드(2)의 세로 엣지를 클램프한다.
제17도에 따라서 그리퍼 헤드(37)는 개방하게 되고 제18도에 따라서 화살표 pf7에 따른 지지부재(5)의 영역을 벗어나 뒤를 현수하고 누르게 된다.
그후 캐리지(6)의 추가와 제19도에 따라서 회로 보드(2)를 붙잡기 위한 한쌍의 지지부재(5)는 운송수단(16)을 운반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를 위로 향해 운반된 컨베이어는 지지부재(5)의 출발과 때를 맞춰 각 경우에 붙잡게 된다. 상기 페이터 노스터형 운송수단(16)내에 지지부재(5)와 회로 보드(2)의 규칙적으로 순환하는 운반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보호 래커나 플라스틱용 제1적용 장치(33)를 안내하는 결합 수평 콘베이어 위에 운반될때까지 유지하게 된다.
적용 장치(33) 뒤의 운송수단(16)은 회로 보드를 위로 운반시키며 열처리를 종속하는동안 그것은 회전하고 그때 위쪽으로 전환된 보드의 측이 피복되고 제2적용 장치 또는 캐스팅 기계를 통하여 안내된 다음 수평 콘베이어를 가져온다. 결합 페이터 노스터형에서, 회로 보드는 다시 규칙적으로 순환하여 운반하게 되며 열처리에 종속하게 된다.
건조실 뒤의 처리 유니트는 처리 요소의 개구 동안 작동하게 되며, 그를 이동부와 역전 연속에서 마무리된 보드(2)의 이동은 제8도 내지 제18도에 따라 설명하게 된다.
단부에서 다시 자유로운 지지부재(5)는 보드(2)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즉시 후방으로 운반하게 된다. 전반적인 결과는 회로 보드가 보드의 민감한 면에 대한 위험없이 형성된 간격에 피복하게 되며 붙잡을 수 있는 결과적으로 운송장치(1)이므로 보드(2)에 대한 지지부재(5)는 상대 진행 수단과 진행의 방향이 운송 장치(1)내에서 변화하게 될 때 보드로 일정하게 접속하게 된다.
재부하될 수 있으며 콘베이어 수단에 의존하지 않는 보드에 대한 지지부재를 만드는 것과 운반 수단과 지지부재상에 접촉 돌출부와 접속 수단에 상응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의 원리는 보드 형태로 작업면의 취급과 처리를 위한 다른 장치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보드(2)의 취급은 실제로 지지부재(5) 대신 조작하게 되고 상기 취급에서의 결과적인 위험은 보드(2)로부터 떨어져 유지된다.

Claims (25)

  1. 워크피스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공정을 포함하는,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의 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워크피스를 전진시키는 전진 수단, 각 공정을 통해 워크피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각 지지부재와 합체되고 워크피스를 그립하여 지지부재에 대하여 지지하는 그리핑 수단과 전진수단에 지지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 그리핑 수단에 의해 워크피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장치를 통해 워크피스를 전진시키고, 그것에 의해 워크피스가 장치를 통해 전진될 수 있고 전진될 수 있고 전진수단과 직접적인 접촉 없이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워크피스의 대향 엣지와 결합되는 하나의 그리퍼와 각각 합체되는 두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세트 전진수단과 제2세트 전진수단을 구비하며, 제1세트는 장치에 대하여 고정 통로를 따르고 전진수단의 제2세트는 제1세트에 대하여 옆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시스템이 상이한 폭의 워크피스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각 그리핑 수단이 하나 이상의 그리퍼 형태이고, 각 그리퍼는 두개의 조오를 가지며, 제1조오는 지지부재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제2조오는 제1조오에 대한 회귀력 작용에 대하여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각 조오는 워크피스의 표면의 결합을 위해 워크피스의 세로방향에서 이격된 두 돌출부를 구비하고, 한 조오의 돌출부가 다른 것의 대향 단부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오는 둥근 단부면을 갖고, 그 곡률의 중앙이 조오가 선회하는 축이며, 상기 단부면은 제1조오의 커브 단부면과 중첩하고 돌출부 사이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오가 그 중간 단부에서 선회하고 그리핑부에서 선회축의 다른 시이트의 조오는 작동 부품에 의한 결합 작동 영역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가 공정에서 지지부재를 전진수단에 결합시키는 결합 영역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시스템.
  9.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워크 피스용 지지부재, 각 지지부재에 합체된 하나 이상의 제1조오, 지지부재에 선회하도록 합체된 하나 이상의 제2조오, 워크피스의 각 세로방향 사이드에 구비된 지지부재 및 워크피스의 대향표면에 결합하도록 배열된 대응되는 제2조오와 제1조오, 전진수단의 제1세트, 전진 수단의 제2세트, 상기 전진수단의 각각에 지지부재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수단, 급송 공정에 처리되는 워크피스 급송수단, 전진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수준까지 지지부재를 공급하는 급송 공정에서의 리프트 수단, 상기 전진수단과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도록 워크피스의 운동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수준에서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수단, 그것에 의해 워크피스의 각 사이드가 결합되도록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오를 개방하여 지지부재가 워크피스의 각각과 결합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워크피스의 치수를 감지하고 상기 콘베이어 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급송 공정에서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시각 전자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전진수단의 제1및 2세트가 캐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워크피스의 이동방향을 가로질러 캐리지중의 하나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부재의 기저부와 전진수단의 상단 표면에 구비된 돌출부와 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의 운동 방향에서의 리딩 단부가 플러그 결합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처리공정을 구비하고, 그 처리공정은, 상하 콘베이어, 상기 콘베이어에 구비된 복수의 U-형 포켓, 지지부재의 플러그 결합 단부를 콘베어 포켓에 급송시키도록 배열된 전진수단, 지지부재의 폭만큼 이격된 측벽을 갖는 전진수단의 제1세트에 의해 전진되는 지지부재의 플러그 결합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U형 포켓과 장치에 대하여 고정된 통로를 따르고 그것에 의해 지지부재가 포켓서 지지되는 전진수단의 제1세트, 그리고 상이한 폭의 워크피스를 수용하기 위해 제1세트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따르는 전진 수단의 제2세트, 개방단부 U-형의 모양을 한 전진 수단의 제2세트에 의해 전진되는 지지부재의 플러그 결합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U-형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하 노선이 수직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져서 노선간의 거리가 콘베이어의 하단보다 상단 영역에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장치가 네 거리 공정과 두 코팅 공정을 구비하고, 제1처리 공정은 워크피스의 예비가열 공정을 포함하고, 제1처리 공정의 워크피스의 한 사이드 코팅을 위한 제1코팅 공정에 이어 수행되고, 제2처리 공정이 건조 공정과 워크피스의 다른 사이드 코팅을 위한 제2코팅 공정에 이어 수행되며, 제3및 제4처리 공정은 예비 및 최종 건조 공정을 포함하고 지지 부재와 파지된 워크피스를 한 공정에서 다른 공정으로 전진시키는 전진수단의 제1및 제2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각 코팅 공정은 코팅물이 상기 지지부재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진 수단이 급송 공정에 구비된 워크피스의 폭을 감지하는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처리된 워크피스와 그 지지부재 수용을 위한 공급트랙, 워크피스 분리를 위한 상기 지지부재의 조오 개방을 위한 수단, 상기 급송 공정에서 리프트 수단으로 지지부재를 운송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전진수단에 의해 처리 장치를 통하여 통과될때 워크피스 형태의 보드의 한 사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와 합체된 하나 이상의 제1조오 부재, 제2조오 부재, 대향방향에 장착된 제1및 제2의 조오 부재, 제2조오 부재를 지지하는 피봇수단, 제1조오 부재와 제2조오 부재를 결합시키는 스프링 수단, 각 제2조오 부재에의 신장부, 상기 스프링 수단의 작용으로 조오 부재를 개방하는 수단에 의한 결합, 및 지지부재를 전진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베이스 부재에 구비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부재를 따라 차례로 이격된 날카로운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23. 제21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서의 상기 수단이 상기 조건수단에서 돌출부 또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가 세쌍의 제1및 제2조오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나 이상의 단부가 플러그 결합을 위한 플러그 부재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
KR1019880013327A 1987-10-13 1988-10-13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KR0133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99587 1987-10-13
CH03995/87-0 1987-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496A KR890006496A (ko) 1989-06-14
KR0133539B1 true KR0133539B1 (ko) 1998-04-24

Family

ID=426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327A KR0133539B1 (ko) 1987-10-13 1988-10-13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26789A (ko)
EP (1) EP0312498B1 (ko)
JP (1) JP2719798B2 (ko)
KR (1) KR0133539B1 (ko)
AT (1) ATE79511T1 (ko)
CA (1) CA1330771C (ko)
DE (1) DE3873679D1 (ko)
FR (1) FR2621568B1 (ko)
GB (1) GB22108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1931A1 (de) * 1989-10-06 1991-04-10 Ciba-Geigy Ag Transportvorrichtung für Platten, insbesondere mit empfindlicher Oberfläche
EP0441743A1 (de) * 1990-02-05 1991-08-14 Ciba-Geigy Ag Transportvorrichtung für Platten mit empfindlicher Oberfläche, insbesondere für nassbeschichtete Leiterplatten
DE4019611A1 (de) * 1990-06-20 1992-01-02 Schaefer Franz W Transporteinheit fuer leiterplatten
DE4029905C2 (de) * 1990-09-21 1993-10-28 Leybold Ag Vorrichtung für den Transport von Substraten
JP2760189B2 (ja) * 1991-11-08 1998-05-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電極形成装置
US5228553A (en) * 1992-02-24 1993-07-20 Circuit Chemistry Equipment, Inc. Drive mechanism for a conveyor of a printer circuit board processor
TW220028B (en) * 1992-08-24 1994-02-01 Ciba Geigy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board-shaped articles, especially printed circuit boards
ATE133024T1 (de) * 1992-09-09 1996-01-15 Ciba Geigy Ag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plattenförmigem gut, insbesondere von leiterplatten
ES2082432T3 (es) * 1992-09-28 1996-03-16 Ciba Geigy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recubrimiento a ambos lados de articulos en forma de placa.
JP3049981B2 (ja) * 1992-12-04 2000-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電極形成システム
US5443150A (en) * 1993-09-23 1995-08-22 Rapidpak, Inc. Apparatus for advancing preformed containers
TW416261B (en) * 1997-04-24 2000-12-21 Ciba Sc Holding A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coated printed circuit boards
DE19847922A1 (de) * 1998-10-19 2000-04-20 Systronic Systemloesungen Fuer Anlage zum Beschichten von dünnen Platten
DE19925819A1 (de) * 1999-03-15 2000-10-05 Systronic Systemloesungen Fuer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Leiterplatten
DE102006060240A1 (de) * 2006-12-20 2008-06-26 Schmidt & Heinzmann Gmbh & Co. Kg Vorrichtung mit einer Hebevorrichtung
US20160110859A1 (en) * 2014-10-17 2016-04-2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nspection method for contact by die to database
CN106423710B (zh) * 2016-07-28 2022-08-05 李荣根 一种涂布装置和自动涂布设备及其方法
FR3082511B1 (fr) * 2018-06-14 2020-07-03 Mecatherm Dispositif de transport de type noria de plaques supports de produits de boulangerie ou similair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485A (en) * 1964-03-10 Apparatus for handling plates to be
CA542608A (en) * 1957-06-25 J. Sykokis George Combined conveyors of continuous motion
DE8327161U1 (de) * 1984-03-29 Riba-Prüftechnik GmbH, 7801 Schallstadt Zuführ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plattenförmigen Teilen
US2342032A (en) * 1941-07-03 1944-02-15 Anthony R Wanezek Spiral cutter
US2695595A (en) * 1951-11-23 1954-11-30 Robbins & Myers Article holder
BE626629A (ko) * 1962-01-02
US3204756A (en) * 1962-12-11 1965-09-07 Otto Hansel G M B H Apparatus for the intermittent transport of workpieces, especially for the feeding of wrappers, labels, or the like in wrapping machines
NL7511915A (nl) * 1975-06-07 1976-12-09 Lager & Foerdertechnik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plaatvormige buigzame voorwerpen, in het bijzonder drukkerij- produkten.
US4178079A (en) * 1978-05-23 1979-12-1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ub-picosecond optical gating by degenerate four-wave mixing
FR2439734A1 (fr) * 1978-10-26 1980-05-23 Rives Gerard Chargeur-dechargeur a stockage vertical pour plaques de circuits imprimes
JPS5833697B2 (ja) * 1979-12-17 1983-07-21 ヱム・セテツク株式会社 フオトレジストの両面塗布装置
US4421800A (en) * 1982-02-02 1983-12-20 Digitronics Inventionering Corp. Spraying apparatus
JPS59132965A (ja) * 1983-01-20 1984-07-31 Sumitomo Rubber Ind Ltd 接着剤塗布装置
JPS6128238A (ja) * 1984-07-19 1986-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ド分配雑音軽減化光信号受信識別器
JPS6153969A (ja) * 1984-08-20 1986-03-18 西沢 今朝夷 組立塀
JPS61248851A (ja) * 1985-04-26 1986-11-06 Nikka Densoku Kk シ−ト状物体の連続処理装置
US4672914A (en) * 1985-09-13 1987-06-16 Ets Energy Technology Systems Inc. System for the treatment of edge supported substrates
EP0224440B1 (de) * 1985-11-08 1989-08-16 Ciba-Geigy Ag Transportvorrichtung für Platten
US4695482A (en) * 1986-01-21 1987-09-22 Weiswurm Klaus D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of circuit boards
DE3617346A1 (de) * 1986-05-23 1987-11-26 Holger Dipl Ing Scheler Transportrahmen und vorrichtung zur verstellung der kufenele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19798B2 (ja) 1998-02-25
DE3873679D1 (de) 1992-09-17
GB2210843A (en) 1989-06-21
ATE79511T1 (de) 1992-08-15
FR2621568B1 (fr) 1991-12-20
KR890006496A (ko) 1989-06-14
EP0312498B1 (de) 1992-08-12
GB8824079D0 (en) 1988-11-23
EP0312498A1 (de) 1989-04-19
FR2621568A1 (fr) 1989-04-14
US4926789A (en) 1990-05-22
JPH01139462A (ja) 1989-05-31
CA1330771C (en) 1994-07-19
GB2210843B (en) 1992-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39B1 (ko) 보드 형태의 워크피스 처리용 장치
KR100275232B1 (ko) 판형 부품 특히, 인쇄회로판의 코팅 방법 및 장치
JPH0469506B2 (ko)
JP2893222B2 (ja) 包装機への物品の自動整列供給方法と装置
DE5930655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Öffnen von gefalteten Druckereiprodukten
US5113701A (en) Transport device for boards having a sensitive surface, especially for wet-coated circuit boards
JPS63300015A (ja) 印刷回路基板の取扱装置
US5613346A (en) Apparatus for removing packing material from packed article
JPS5922815A (ja) 板状ワ−ク搬送装置
US6016903A (en) Conveyor track for pallets
GB2150098A (en) Machine for placing electronic components on a substrate
JP2000327171A (ja) シート状物品を処理装置へ給送するための装置
US5899138A (en) Sheet-bundle conveying device with low disturbance conveyance and stacking features
JPH02198922A (ja) 折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JPS60248560A (ja) 集積束受渡し方法
CN217822671U (zh) 一种进出检料仓
EP0304545A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lithographic plate
JPH032374Y2 (ko)
JPH06510960A (ja) 印刷物のための入紙機に紙差しを行うための装置
US5761562A (en) Apparatus of storing and feeding film leaders for use in a photographic process
JPH0718668Y2 (ja) 刷版脱荷装置
JPH0133533Y2 (ko)
JP3615853B2 (ja) 枚葉紙の搬送装置
JPH0717260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投入機
JP3186396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