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91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91B1
KR0133391B1 KR1019950009206A KR19950009206A KR0133391B1 KR 0133391 B1 KR0133391 B1 KR 0133391B1 KR 1019950009206 A KR1019950009206 A KR 1019950009206A KR 19950009206 A KR19950009206 A KR 19950009206A KR 0133391 B1 KR0133391 B1 KR 0133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sture
frame
rice transplante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830A (ko
Inventor
무네유키 가와세
야스히데 미나가와
유타카 요네다
신이치로 이노우에
고오야 나카오
다케오 구보시타
Original Assignee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444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04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68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0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55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343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고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츠이 고헤이
Publication of KR96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좌우방향의 중간위치에서 분할가능한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로 구성되고, 상기 기체후부에는 세로방향자세의 기체후단축심(X2, X2) 둘레로 요동이 가능한 프레임 부재(20, 20)가 피봇팅되어 있고,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는 상기 프레임 부재(20, 20)에 대하여 세로방향자세의 프레임끝 축심(X1, X1)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있고,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상기 격납자세로 변환조작할때에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를 상기 프레임끝 축심(X1, X1) 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이들 가로방향의 외단부를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20, 20)를 상기 기체후단축심(X2, X2) 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를 상기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측으로 이동시켜 실시가능하게 구성하여 있는 이앙기이다.

Description

이앙기
제1도는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의 전동계의 평면도.
제3도는 격납자세의 모종 모내기 장치의 전동계의 평면도.
제4도는 (a)는 로프에 의한 조작계의 평면도.
(b)는 격납자세에서의 로프에 의한 조작계의 평면도.
(c)는 링크부재에 의한 조작계의 평면도.
(d)는 격납자세에서의 링크부재에 의한 조작계의 평면도.
제5도는 주 프레임, 프레임부재의 일부 절결 후면도.
제6도는 제 1 축심, 제 2 축심의 자세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스위치의 배치 등을 도시하는 슬라이딩 레일 끝부의 평면도.
제8도 (a)는 록기구의 전체 측면도.
(b)는 록기구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
제9도는 로프중간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10도는 로드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후면도.
제11도는 주 프레임과 링크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 (a)는 롤링 지지계의 종단 측면도.
(b)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상승시킨 상태의 롤링지지계의 종단 측면도.
제13도는 제어계의 블록 회로도.
제14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작업자세로 설정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15도는 모종 얹음대를 분할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16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분할하여 선회시킨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17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선회를 종료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18도는 분할 모종 얹음대의 끝부 위치를 가지런하게 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19도는 격납상태의 모종 모내기 장치의 후면도.
제20도는 격납상태의 모종 모내기 장치의 측면도.
제21도는 별도 실시예에 있어서 모종 모내기 장치를 작업자세로 설정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22도는 별도 실시예에 있어서 모종 얹음대를 분할한 상태의 이앙기의 평면도.
제23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작업자세로 설정하였을때의 정지(整地) 플로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이앙기의 평면도.
제24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분할하여 선회시켰을때의 정지 플로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이앙기의 평면도.
제25도는 모종 모내기 장치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선회를 종료하였을때의 정치 플로트 상태를 도시하는 이앙기의 평면도.
제26도는 별도 실시예의 정지 플로트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7도는 별도 실시예의 센서 플로트의 분할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가로가 긴 자세의 슬라이딩 레일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왕복운동하는 복수조(複數條)용의 모종 얹음대에 얹어 놓여진 매트상 모종의 모종을 모내기 기구로 잘라내어 논밭에 모내기 작동을 행하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주행기체의 후단에 승강이 자유로이 연결한 이앙기에 관한 것이고, 상세히는 비작업시에 모종 모내기 장치의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작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와 같이 모종 모내기 장치의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작게하는 기술로서 일본국 실개평 4-113523호 공보에 표시되는 것이 존재하고, 이 종래예에서는 모종 얹음대의 양단부를 접기 자유로이 구성함으로서 비작업시에는 모종 얹음대의 양단부의 접기조작으로 모종 얹기대의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승용형 이앙기의 모종 모내기 장치는 가로방향으로의 치수가 크기 때문에 노상주행시에 장애물(障碍物)과의 접촉을 회피하는 목적 혹은 트럭에 이앙기를 적재하여 운반할때에 하물대의 가로폭내에 수용하는 목적에서 8 조심기 등의 다조심기의 모종 모내기 장치에서는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작게 하도록 종래예와 같은 이앙기도 고려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예의 구성에서는 모종 얹음대의 양측부만을 접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면, 10조심기 이상의 다조심기용의 모종 모내기 장치를 격납할때에는 가로방향으로의 치수를 그다지 작게 할 수 없고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조심기용의 모종 모내기 장치일지라도 될 수 있는대로 작게 격납할 수 있는 이앙기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종 얹음대와, 해당 모종 얹음대에 얹어놓여진 모종을 꺼내어 논밭에 모내기 조작하는 모종 모내기 기구를 구비한 모종 모내기 장치를 주행기체의 후부에 승강이 자유로이 연결한 이앙기이고,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는 좌우방향의 중간위치에서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로 분할 가능으로, 상기 모종 얹음대의 상단이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정렬하는 작업자세와 분할된 상기 모종 얹음대의 상단이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격납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환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기체후부에는 세로방향자세의 기체후단 축심둘레로 요동가능한 프레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세로방향자세의 프레임끝 축심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의 상기 작업자세로부터 상기 격납자세로의 변환조작을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의 가로방향의 외단부가 상기 프레임끝 축심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측으로 행하게 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기체후단부 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를 상기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측으로 이동시켜 실시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모종 모내기 장치를 격납하는 경우에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분할한 상태에서 그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프레임끝 축심둘레로 회전운동시킴과 동시에, 이 프레임 부재를 기체후단 축심둘레로 회전운동시킴으로서 그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외단부를 주행기체의 전방측으로 행하게 하고, 동시에 각각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측으로 향하게 하여 분할 모종 얹음대 각각의 상단가장자리 끼리가 근접상태에서 평행하는 자세로 격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끝 축심이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가 상기 작업자세상태에 있을 때,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으로 경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끝 축심을 배치함으로서 모종 모내기 장치는 격납자세에서는 프레임 부재의 회전운동끝이 주행기체의 후방측으로 향하므로 해당 프레임끝 축심은 그 상단이 주행 기체의 좌우외방으로 향하는 자세로 되고 격납자세에 있어서 분할 모종 얹음대는 그 하단끼리가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의 내방으로 향하는 자세로 변환되는 결과,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 각각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후단 축심둘레로 상기 프레임 부재와 일체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를 설치하고, 이들 회전운동부재의 각각은 링크부재에 의하여 서로 한쌍의 회전운동부재가 링크부재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동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크부재를 설치함으로서 모종 모내기 장치를 격납자세로 변환조작할때에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개별조작으로 격납자세로 하는 것과 비교하며,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선회시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회전운동부재와 프레임부재를 매어달기 로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서 프레임 부재를 매어달기 로드가 상방에서 매어달기 상태로 지지함으로 해당 프레임 부재의 강도를 특별히 높일 필요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사용함으로서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밸런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격납작업이 실시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술의 이앙기에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를 상기 작업자세로부터 상기 격납자세로 변환조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의 어느 한쪽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외방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허용기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허용기구를 설치함으로서, 모종 모내기 장치를 작업자세로부터 격납자세로 변환할때에 한쪽의 분할 모종 얹음대를 슬라이딩 레일상에서 외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회전운동시킴으로서 분할 모종 얹음대의 내단끼리 사이에 일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선회할때에 분할대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종 모내기 장치를 분할하여 2개의 축심둘레에서의 회전운동으로 격납 자유로이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모내기 장치의 좌우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하는 격납자세로의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축심의 자세의 설정에 의하여 이 격납자세에 있어서 분할 모종 얹음대를 보다 기립자세로 변경하여 각각의 분할 모종 모내기장치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격납상태의 모종 모내기 장치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1쌍의 회전운동부재를 상기 기체후부축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또한 프레임 부재와 연동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밸런스가 잡힌 선회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한쪽을 기체 좌우방향의 외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허용기구를 구비함으로서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서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조작되는 구동형의 전차륜(1), 및 구동형의 후차륜(2)을 구비한 주행기체(3)의 앞부분에 엔진(4)을 탑재함과 동시에, 이 주행기체(3)의 앞부분에 엔진(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무단변속장치(5), 및 변속케이스(6)를 배치하고, 주행기체(3)의 중앙부에 운전좌석(7)을 배치하고, 주행기체(3)의 후단부에 대하여 유압실린더(8)로 구동승강하는 링크기구(9)를 통해서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연결하여 승용형의 이앙기를 구성한다.
상기 운전좌석(7)의 우측부에 모종 모내기 장치(A)의 승강제어와 모내기 클러치(C)의 입력 및 절단 조작을 행하는 승강레버(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운전좌석(7)의 좌측부에는 상기 무단변속장치(5)를 조작하는 변속레버(11)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모내기 클러치(C)는 상기 변속케이스(6)에 내장되고, 이 변속케이스(6)로부터 모종 모내기장치(A)에 대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12)이 정해진 회전위상에 있는 경우에만 모종의 잘라내기 조작을 허용하여, 모종 모내기 장치(A)의 모내기아암(후술한다)이 논밭과의 접촉을 회피한 자세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종 모내기 장치(A)는 매트상 모종(W)을 얹어놓고, 동시에 그 상단(13T) 측이 주행기체(3)의 전방측에 경사하는 자세의 모종 얹음대(13), 상기 전동축(12)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좌우 1쌍의 전동케이스(14, 14), 이 전동케이스(14)로부터 체인케이스(15)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케이스(16), 이 로터리 케이스(16)에 1쌍씩 구비된 모내기 아암(17), 복수의 정지 플로트(float)(18) 각각을 구비하여 8조심기용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호퍼, 조출기구, 홈만드는 기구 등을 갖는 시비장치(19)를 구비하여 작업시에는 모종 얹음대(13)에 얹어놓여진 매트상 모종(W)의 하단에서 모종을 모내기 아암(17)이 1그루씩 잘라내어 논밭면에 모내기하는 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모내기한 모종의 근방의 논밭면에 시비장치(19)로 비료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더욱이, 로터리 케이스(16), 모내기 아암(17), 및 이들을 구동하는 계(또는 기구)로 모내기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제 2도, 제 3도 및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이앙기에서는 모종 모내기 장치(A)의 좌우방향에서이 중앙위치에서 4 조씩 분할 모종 모내기장치(AL, AR)로 2 분할 가능하다. 각각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는 프레임부재(20)에 지지되고 또한 세로방향자세의 제 1축심(또는 프레임끝 축심)(X1) 둘레로 이 프레임 부재(20)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링크기구(9)의 후단에 구비한 주 프레임(21)에 대하여 1쌍의 프레임 부재(20)를 제 2축심(또는 기체후단축심)(X2) 둘레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제 1축심(또는 프레임끝 축심)(X1) 둘레에서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회전운동으로 그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가로방향의 외단부를 주행기체(3)의 전방측으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제 2축심(기체후단축심)(X2) 둘레로의 프레임 부재(20)의 회전운동으로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를 주행기체(3)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측으로 이동시켜 좌우 각각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의 상단가장자리(13T) 끼리가 근접상태에서 평행하는 격납자세로 변환하여 모종 모내기 장치(A)의 가로방향으로의 치수의 축소를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제12도(a), (b)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기구(9)의 톱링크(top links)(9T), 및 좌우 1쌍의 로워링크(lower link)(9L, 9L)의 후단을 지지하는 세로 프레임(9A)의 하단부에 연결하는 롤링보스(rolling boss)(22)에 대하여 전후향자세의 롤링축심(Y) 둘레에서 롤링 자유로이 연결 플레이트(23)를 지지하고 있다.
이 연결 플레이트(23)에 대하여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1A)와 하부 파이프(21B)로 이루어지는 상기 주 프레임(21)을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이 주 프레임(21)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제 2 축심(또는 기체후단축심)(X2)과 동축심으로 배치한 제 2 축(24)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로이 둥근 파이프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20)를 해당 제 2 축심(X2) 둘레로 회전운동 자유로이 지지하고 있다.
또, 각각의 프레임 부재(20, 20)의 외단부에 상기 제 1축심(프레임끝 축심)(X1)과 동축심에 배치한 제 1축(25)에 대하여 브래킷(26)을 통해 각진 파이프형상의 지지 프레임(27)을 이 제 1축심(X1) 둘레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이 지지 프레임(27)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전동 케이스(14), 및 상기 체인 케이스(15)를 고정설치하고, 더욱이, 분할 모종모내기 장치(AL, AR) 각각의 1 쌍의 체인 케이스(15, 15)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모종 얹음대(13)를 지지하는 좌우의 슬라이딩 레일(28, 28)를 설치하고 있다.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는 나사축(29)을 이 전동 케이스(14)와, 이 측의 지지 프레임(27)의 단부의 축받이 부재(20)와의 사이에 걸쳐서 구비하여 있고, 이 나사축(29)의 나선홈에 걸어넣는 팁(도시하지 않음)의 이동력을 좌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에 전달하는 이동부재(31)를 구비하여 모종 얹음대(13)의 가로이송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 모종 얹음대(13)는 좌우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 각각이 연결부재(D)(제14도, 제15도 참조)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 가로이송기구로부터의 동력으로 슬라이딩 레일(28, 28)상을 일체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롤링보스(22)에 대하여 상기 전동축(12)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출력축(32)을 상기 롤링축심(Y)과 동축심에 유전(遊轉) 지지하고 있고, 이 출력축(32)의 동력을 클러치 기구(33), 베벨 케이스(34), 중간축(35) 각각을 통해 좌우의 전동 케이스(14, 14)에 전달하는 전동계를 형성하고 있다. 또 클러치 기구(33)는 특정의 회전위상에서만 맞물림하는 2부재(33A, 33B)(제 3도)를 롤링축심(Y)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분리 및 연결 자유로이 구성하여 있고, 베벨 케이스(34)는 출력축(32)으로부터의 동력을 2계통으로 분기하여 출력하도록 베벨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전동계를 내장하고 중간축(35)은 양단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여 굴절이 자유로이 구성됨과 동시에 스플라인 끼워맞춤형의 신축부를 구비하여 신축이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 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작업자세로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축심(X1), 제 2축심(X2) 각각의 상단측을 주행기체(3)의 전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축심을 경사함으로서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납자세에 있어서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주행기체(3)의 후방측을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것으로 격납시에 평면에서보다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의 전후 길이를 작게 함과 동시에, 운반시에 트럭의 짐싣는 곳 또는 트랙터의 짐싣는 곳에 이앙기를 얹을때에 후단부가 지면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더욱이, 격납자세로 제 1축심(X1)의 상단이 주행기체(3)의 좌우방향에서의 외방으로 향하는 자세로 되므로(제2도 및 제3도 참조), 격납상태에서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를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된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하단부(특히 플로트(18)의 부분) 끼리의 틈새가 나타나고 격납자세에 있는 모종 모내기 장치(A)의 가로방향의 치수의 더 한층의 축소를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4도(a), (b),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축(24)을 주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불능하게 설치하고, 제 1축(25)을 프레임 부재(20)에 회전불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제 2축(24)의 상부위치에 제 2축심(X2)과 동축심에 주 스프로킷(36)을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 2축(24)의 상단위치에 제 2축심(X2) 둘레로 회전운동 자유로이 플레이트상의 회전운동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축(25)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로이 상기 브래킷(26)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 브래킷(26)과 일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주 스프로킷(36)이 톱니수의 1/2의 톱니수의 종동 스프로킷(38)을 제 1 축심(X1)과 동축심으로 배치하고, 주 스프로킷(36)과 종동 스프로킷(38)에 걸쳐서 체인(39)을 두루감고 있다.
좌우의 회전운동부재(37, 37) 각각을 좌우의 프레임 부재(20, 20)보다 높은 레벨로 배치함과 동시에, 이 프레임 부재(20, 20)의 회전운동력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도록 매어달린 자세의 로드(40, 40)를 통해 연결 고정하고 있다. 또, 좌우의 회전운동부재(37, 37)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각각의 사이에 한쌍의 로프(S, S)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있다.
더욱, 로프(S, S) 대신에 제4도(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부재(37, 37)를 단일의 링크부재(L)로 연결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좌측의 제 2 축심(X2)과 동축심에 배치한 섹터기어(41)를 프레임 부재(20)측에 고정설치하고, 이 섹터기어(41)에 맞물리는 피니온기어(42)를 주 프레임(21)측에 구비함과 동시에, 이 피니온 기어(42)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40, 40)는 한쪽의 끝부가 회전운동부재(37)에 용접고정되고, 다른편의 끝부가 프레임 부재(20)에 고정설치된 부착부재(44)에 끼워통하는 상태에서 이 로드(40)에 나사맞춤하는 2개의 너트(45, 45)로 부착부재(44)를 끼워넣어 이 프레임 부재(20)와 연결되어 있다. 또 로드(40)는 그 중간부에 턴버클(turn buckle)(40A)을 개장하여 길이를 조정 자유로이 구성하고 있고, 더욱 이 로드(40)를 직선상으로 성형하여 회전운동부재(37)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에 경사자세로 연결함으로서 회전운동부재(37)에 대하여 프레임부재(20) 매어달기 형태로서 프레임(2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프(S)는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자세로 배치하여 한쪽의 회전운동부재(37)의 회전운동력을 해당 로프(S)의 장력으로 다른편의 회전운동부재(37)에 전달하여 각각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프(S)는 유연한 와이어(46)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양단부의 부착편(47, 47)을 회전운동부재(37)의 세로방향지축(48)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로이 연결하고, 그 중간부에 서로 나사맞춤하는 나사체(49, 49)와 록너트(50)로 이루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 프레임(21)을 구성하는 상부 플레이트(21A)의 전면에서 좌우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 링크기구(9)의 후단을 지지하는 상기 세로 프레임(9A)의 끼워넣기를 허용하는 위치의 노치부에 좌우 1쌍의 맞닿음편(51A, 51A)을 구비한 맞닿음부재(51)를 형성하여 모종 모내기 장치(A)가 낮은 레벨에 있는 경우에는 맞닿음편(51, 51)과 세로 프레임(9A)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롤링의 규제를 행함과 동시에 이 맞닿음부재(51)에 의하여 주 프레임(21)의 강도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연결 플레이트(23)의 양측위치에서 이 주 프레임(21)의 하부 파이프(21B)에 연결 고정되는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기 로워링크(9L, 9L)와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맞닿음용 고무편(52, 52)을 갖는 규제부재(53, 53)를 구비하여 각각의 규제부재(53, 53)를 가로가 긴자세의 연결부재(54)로 용접연결하고 동시에 이 연결부재(54)를 연결 플레이트(23)에 일체 형성한 측벽부(23A, 23A)의 하면에 용접고정하는 것으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모종 모내기 장치(A)의 상승시에는 제12도(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재(53)의 고무편과 로워링크(9L, 9L)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모종 모내기 장치(A)의 롤링을 규제한다.
제7도 및 제8도(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28)의 상면에 형성한 구멍부(28A)와, 이 구멍부(28A)에 걸거나 벗김하는 록편(56)과, 이 록편(56)이 하단에 형성되고 동시에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 측에 상하조작이 자유로이 구비괸 로드(57)와, 이 로드(57)를 상하로 조작하는 레버(58)로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의 가로이동을 저지하는 록기구(R)를 구성하고 있다.
이 록기구(R)는 모종 얹음대(13)(좌우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가 일체화한 것)가 좌우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와,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가 우측의 이동 끝에 위치하는 경우와의 각각의 위치에서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가 이들의 위치에 있는 것을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의 돌편(또는 돌출부)(59)과의 접촉으로 검출하는 센터스위치(60), 사이드스위치(61) 각각을 슬라이딩 레일(28)측에 구비하고 있다.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제어장치(62)에 대하여 격납스위치(63), 복원스위치(64), 상기 센터스위치(60), 상기 사이드스위치(61) 각각의 신호가 입력하는 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동모터(43)를 제어하는 드라이버(65), 센터램프(66), 사이드램프(67), 버저(68) 각각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어계에서는 전동모터(43)의 구동으로 작업자세의 모종 모내기 장치(A)를 격납자세로 변환하는 제어와, 격납자세의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작업자세로 복원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고 또, 센터스위치(60)가 모종 얹음대(13R)를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센터램프(66)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단시간 버저(68)를 작동시켜 사이드스위치(61)로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사이드램프(67)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단시간 버저(68)를 작동시키는 제어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인하여, 모종 모내기 장치(A)를 격납자세로 하는 경우에는 지면에서 이간하는 레벨까지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우선 가로이송기구의 구동력에 의하여 모종 얹음대(13)를 좌우방향의 중앙위치측으로 보내고, 상기 센터스위치(60)가 모종 얹음대(13)를 검출하여 센터램프(66)가 점등하여 버저(68)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가로이송을 정지한다(이 상태에서 제14도의 자세에 도달한다).
그후, 좌우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를 연결하는 연결부재(D)의 연결을 해제하고,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인위적으로 우측의 이동끝의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사이드 스위치(61)가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검출하여 사이드램프(67)가 점등하고, 버저(68)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정지시켜 더욱, 상기 록기구(R)에서 그 9측의 분할 모종얹음대(13R)를 고정하는 조작을 행한다(이 상태에서 제15도의 자세에 도달하고, 분할 모종 얹음대(13R)는 우측으로 약 15센티미터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클러치기구(33)를 인위적으로 분리하고, 소정의 연결을 해제하여 모종모내기 장치(A)를 분할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격납스위치(63)를 조작하는 것으로 전동모터(43)가 구동되고 이 구동력으로 좌측의 프레임 부재(20)의 자세변경을 행하고, 이 자세변경에 따라 회전운동부재(37, 37), 한쌍의 로프(S, S)로부터의 힘에 의하여 각각의 프레임 부재(20, 20)가 연동한 상태에서 제 2축심(X2, X2) 둘레로 그의 외단측이 후방측으로 향하는 측으로 회전운동한다(제4도 참조). 더욱 이 회전운동과 동시에 제 1축심(X1, X1) 둘레로 브래킷(26, 26)에 지지된 계(또는 기구)가 주 스프로킷(36), 종동 스크로킷(38), 체인(39)으로부터의 힘에 의하여 프레임 부재(20, 20)의 회전운동속도의 2배의 속도로 프레임 부재(20, 20)의 회전운동방향과는 역방향, 즉 그의 좌우 외단부가 주행기체(3)의 전방으로 향하는 측으로 회전운동한다.
이 사실로 인하여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는 제 1축심(X1) 둘레에서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해당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가로방향의 외단부를 주행기체(3)의 전방측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자세변경을 행함과 동시에, 프레임 부재(20)의 제 2축심(X2) 둘레에서 회전운동으로 주행기체(3)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측으로의 위치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격납방향으로의 회전운동시에는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분할모종 얹음대(13L, 13R)의 내단상부의 각부(13E, 13E)가 접근하기는 하지만, 평면에서 보아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가 서로 오프세트하는 상태에서 회전운동하므로 각각의 각부(13E, 13E)의 접촉을 회피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클러치기구(33)의 분리와, 중간축(35)의 신축에 의하여 이 회전운동이 허용되고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제17도에 도시하는 격납자세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전동모터(43)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 후, 록기구(R)의 록을 해제하여 인위적으로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제18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므로서 격납이 완료하는 것이다. 더욱, 이 격납자세로 전동계는 제 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벨케이스(34), 중간축(35), 전동케이스(12)의 전동계는 분리되는 일은 없고 클러치기구(33)만이 분리되는 상태로 되고 주행기체(3)의 후방에서의 방향에서 보아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 각각이 선자세로 가까이 간 상태에서 그 상단가장자리 끼리가 극히 접근하므로 좌우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납자세의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작업자세로 복원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제17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록기구(R)로 록하고 사이드스위치(61)로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검출하는 상태에서 제어장치(62)의 복원작동이 허용되고, 그 상태에서 복원스위치(64)를 조작하면 전동모터(43)가 역회전하여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가 상술과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결과, 상기 기술과는 역의 동작에 의하여 격납자세의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작업자세로 향하는 자세변경을 행하고, 이 자세변경에서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제15도에 도시하는 자세에 도달하면 전동모터(43)의 작동이 정지하여(제어동작은 상술하지 않음) 복원이 완료하고, 이 상태에서 클러치기구(33)의 연결을 행하고, 우측의 분할 모종 얹음대(13R)를 중앙측으로 가까이한 후,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 끼리를 연결부재(D)로 연결하는 것으로 작업가능한 상태에 도달한다.
별도 실시예
(Ⅰ)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종 얹음대(A)가 주행기체(3)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터스위치(60)를 이해하기 쉽도록 좌우의 중앙위치에 배치하여 있는데 더하여, 모종 얹음대(A)가 좌우의 양단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2개의 사이드스위치(61, 61)를 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왕복구동기구의 구동력을 모종 얹음대(13)에 전달하는 상기 전동연결부(31)와 모종얹음대를 분리가 자유로 하는 등, 어느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도 가로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허용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격납시에는 한쪽의 분할 모종 얹음대를 중앙위치에 세트하고, 다른쪽의 분할 모종 얹음대를 그 측의 사이드스위치(61)가 검출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격납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과 꼭같이, 어느 분할 모종 얹음대도 자유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허용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격납시에는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분할 모종 얹음대(13L, 13R)를 양단위치까지 이동시켜 각각 미리 크게 이간한 상태에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한층 무리가 없는 선회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Ⅱ) 더욱,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지(整地)용의 플로트(18)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중앙위치의 센터플로트(18C)와 이 좌우에 배치되는 2개의 사이드 플로트(18S)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터플로트(18C)는 상기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 중, 우측의 우모종 모내기 장치측에 지지되어 있다. 이 센터플로트(18C)를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중앙위치에서 분할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종 모내기 장치(A)의 격납시에는 이 센터플로트(18C)를 분할하여 좌우의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로부터의 센터플로트(18C)의 돌출을 없이 하고, 중량의 밸런스를 균형시키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Ⅲ) 또, 본 발명에서는 격납시에 있어서 인위적인 조작력으로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를 선회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격납시에 한쪽의 분할 모종 얹음대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전동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Ⅳ)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예를 들면, 제 1 축심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수동으로 모종 모내기 장치를 격납자세로 변환하는 것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10조심기 이상의 모종 모내기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특허청구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로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록하지만, 해당 기업에 의하여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슬라이딩 레일(28)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복수조용의 모종 얹음대(13)와, 이 모종 얹음대(13)에 얹어놓여진 모종을 꺼내어 논밭에 모내기 조작하는 모종 모내기 기구를 구비한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주행기체(3)의 후부에 승강이 자유로이 연결한 이앙기이고,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는 좌우방향의 중간위치에서 좌우의 분할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로 분할가능하고, 상기 모종 얹음대(13)의 상단(13T)이 기체의 자우방향으로 정렬하는 작업자세와 분할된 상기 모종 얹음대의 상단이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격납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변환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기체후부에는 세로방향자세의 기체후단축심(X2, X2) 둘레로 요동가능한 프레임 부재(20, 2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는 상기 프레임 부재(20, 20)에 지지되고 또한 세로방향자세의 프레임끝 축심(X1, X1) 둘레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의 상기 작업자세에서 상기 격납자세로의 변환조작의 경우에,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가로방향의 외단부가 상기 프레임끝 축심(X1, X1) 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측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20, 20)를 상기 기체후단축심(X2, X2) 둘레로 회전운동시켜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를 상기 주행기체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끝 축심(X1, X1)이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상기 작업자세상태에 있을때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에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후단축심(X1, X1)은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가 상기 격납상테에 있을때, 상기 주행기체의 좌우 바깥쪽으로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모내기 장치(A)를 상기 작업자세로부터 상기 격납자세로 변환조작을 실시할때에 상기 좌우 모종 모내기 장치(AL, AR)의 어느 한쪽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28)상에서 바깥쪽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허용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후단 축심둘레로 상기 프레임 부재(20, 20)와 일체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37, 37)를 설치하고, 이들 회전운동부재(37, 37)의 각각은 링크 부재(L)에 의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연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재(37, 37)는 상기 프레임 부재(20, 20) 보다도 높은 레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운동부재(37, 37)와 상기 프레임 부재(20, 20)는 매어달린 로드(40, 40)에 의하여 일체 회전운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19950009206A 1994-09-08 1995-04-19 이앙기 KR0133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44994A JP3310473B2 (ja) 1994-09-08 1994-09-08 田植機
JP94-214449 1994-09-08
JP94-232688 1994-09-28
JP23268894A JP3310478B2 (ja) 1994-09-28 1994-09-28 田植機
JP94-243558 1994-10-07
JP24355894A JP3423438B2 (ja) 1994-10-07 1994-10-07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830A KR960009830A (ko) 1996-04-20
KR0133391B1 true KR0133391B1 (ko) 1998-04-20

Family

ID=2732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206A KR0133391B1 (ko) 1994-09-08 1995-04-19 이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3391B1 (ko)
CN (1) CN10615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13B1 (ko) * 1999-09-28 2010-02-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승용형 수전작업기
JP4810992B2 (ja) * 2005-11-24 2011-11-09 井関農機株式会社 複数条植えの苗植機
FR2992144B1 (fr) * 2012-06-22 2014-06-27 Kuhn Sa Machine agricole avec un chassis perfectio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509C (zh) 2001-02-07
CN1126022A (zh) 1996-07-10
KR960009830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391B1 (ko) 이앙기
JP3310472B2 (ja) 田植機
JP3310473B2 (ja) 田植機
JP3423438B2 (ja) 田植機
JP3423451B2 (ja) 田植機
JP3321506B2 (ja) 田植機
JPH08228528A (ja) 田植機
JP3321505B2 (ja) 田植機
JP3310477B2 (ja) 田植機
JPH0870650A (ja) 田植機
JP3423437B2 (ja) 田植機
JP3499310B2 (ja) 田植機
JPH0870653A (ja) 田植機
JP3401358B2 (ja) 田植機
JP3499308B2 (ja) 田植機
JP3423448B2 (ja) 田植機
JP3423442B2 (ja) 田植機
JP3310478B2 (ja) 田植機
JPH08103113A (ja) 田植機
JPH08140431A (ja) 田植機
JPH08266117A (ja) 田植機
JPH08275633A (ja) 田植機
JPH08242635A (ja) 田植機
JPH10178831A (ja) 田植機
JPH08228540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