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84Y1 -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84Y1
KR0132584Y1 KR2019940039133U KR19940039133U KR0132584Y1 KR 0132584 Y1 KR0132584 Y1 KR 0132584Y1 KR 2019940039133 U KR2019940039133 U KR 2019940039133U KR 19940039133 U KR19940039133 U KR 19940039133U KR 0132584 Y1 KR0132584 Y1 KR 0132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t
carpet
fixing device
hook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487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9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584Y1/ko
Publication of KR960021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페트 상에 놓여지는 보조 매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 매트가 카페트 상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 매트의 청소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구성은 보조 매트(10)의 일단이 위치하는 카페트(11)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장착공(22)(23)을 각각 구비한 수직, 수평부(14)(15)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12)와, 보조 매트(1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착공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된 걸림턱(26)(27)이 끝단에 각각 형성된 수직,수평부(24)(25)로 이루어지는 후크(1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보조 매트 설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 고장장치의 단면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조 매트 11 : 카페트
12 : 베이스플레이트 13 : 후크
14, 15 : 수직, 수평부 22, 23 : 장착공
24, 25 : 수직, 수평부 26, 27 : 걸림턱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 매트(Mat)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보조 매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바닥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판넬(1)상에 카페트(Carpet)(2)가 씌워져 있고, 바닥판넬(1)과 카페트(2) 사이에는 펠트(Felt)(도시안됨) 등의 완충재질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내 바닥은 쉽게 더러워 질수 있는 상태에 있고, 더러워진 카페트(2)는 청소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 매트(3)를 사용하여 카페트(2)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였던 것으로, 카페트(2)상의 보조 매트(3)에 의해 카페트(2)의 더러움이 방지되는 것이고, 더러워진 보조 매트(3)는 카페트(2) 상에 아무런 고정수단 없이 놓여진 것이므로 쉽게 분리되어 청소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 매트(3)는 아무런 고정수단 없이 카페트(2) 상에 놓여진 것이므로 유동가능하여 쉽게 밀리게 됨으로써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카페트 상에 놓여지는 보조 매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조 매트가 카페트 상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보조 매트의 청소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보조 매트의 일단이 위치하는 카페트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장착공을 각각 구비한 수직,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보조 매트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착공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된 걸림턱이 끝단에 각각 형성된 수직,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를 포함하여 되는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직, 수평부에 형성된 장착공은 후크의 걸림턱이 통과하는 확장공과 걸림턱이 통과하지 못하는 협소공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보조 매트 고정 장치는 보조 매트(10)의 일단이 위치하는 카페트(11)상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되고 보조 매트(10)의 일단을 고정하는 후크(13)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는 판부재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대략 ㄴ자 형상의 수직부(14)와 수평부(15)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부(14)에는 앞,뒤좌석 사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판넬(16)과 스크류(17)로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8)을 상부에 형성하고, 수평부(15)에는 카페트(11) 및 펠트(19)에 형성한 구멍(20)에 삽입되는 돌기부(21)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직, 수평부(14)(15)에는 후크(13)를 분리,결합가능하게 하는 장착공(22)(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공(22)(23)은 도시된 바와같이 직경이 큰 확장공과 이보다는 직경이 작은 협소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공(22)(23)이 설치되는 부위는 프레스절곡 성형하여 표면으로 부터 돌출되게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의 장착공(22)(23)에 분리,결합가능하게 된 후크가지 (13)는 봉상부재를 직각으로 절곡한 대략 ㄱ자 형상의 수직부(24)와 수평부(25)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부(24)와 수평부(25)의 끝단에 걸림턱(26)(27)을 형성하며, 이 걸림턱(26)(27)의 직경은 장착공(22)(23)의 확장공 보다는 작고 협소공 보다는 크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크(13)의 수평부(25)측 걸림턱(27)을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직부(14)측 장착공(22)의 확장공에 삽입시킨후 협소공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후크(13)의 수평부(25)측 걸림턱(27)이 장착공(22)의 협소공에 걸림유지 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후크(13)의 수직부(24)측 걸림턱(26)을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평부(15)측 장착공(23)의 확장공에 삽입시킨후 협소공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후크(13)의 수직부(24)측 걸림턱(26)이 장착공(23)의 협소공에 걸림유지 되어 후크(13)가 베이스플레이트(12)에 결합된 상태(제4도의 가상선 a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매트(10)를 고정시키고자할 경우에 제4도에와 같이 후크(13)의 수직부(24)측 걸림턱(26)을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평부(15)측 장착공(23)의 확장공을 통해 빼내게 되면, 도면의 가상선 b 상태와 같이 분리된다. 이때 보조 매트(10)를 카페트(11)상에 올려놓고 보조매트(10)의 일단에 형성한 구멍(11a)을 후크(13)의 수직부(24)에 끼운다음, 다시 수직부(24)의 걸림턱(26)을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평부(15)측 장착공(23)의 확장공으로 삽입한후 협소공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보조 매트(10)는 후크(13)에 걸림유지된 상태가 되어 유동됨이 없이 제자리에 위치하여 제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보조 매트(10)의 청소를 위해 분리하고자할 경우에는 전술한바와 마찬가지로 후크(13)의 수직부(24)측 걸림턱(26)을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평부(15)측 장착공(23)의 확장공을 통해 빼내게 되면, 도면의 가상선 b 상태와 같이 분리된다. 이상태에서 보조 매트(10)의 구멍(11a)을 상기 수직부(24)로 부터 빼내게 되면, 보조 매트(10)를 후크(13)로 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카페트 상에 놓여지는 보조 매트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보조 매트가 카페트 상에서 밀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보조 매트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며, 보조 매트의 청소시 분리가 용이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보조 매트(10)의 일단이 위치하는 카페트(11)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장착공(22)(23)을 각각 구비한 수직, 수평부(14)(15)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12)와, 보조 매트(1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장착공(22)(23)에 분리, 결합가능하게 된 걸림턱(26)(27)이 끝단에 각각 형성된 수직, 수평부(24)(25)로 이루어지는 후크(13)를 포함하여 되는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의 수직, 수평부(14)(15)에 형성된 장착공(22)(23)은 후크(13)의 걸림턱(26)(27)이 통과 가능한 확장공과 통과하지 못하는 협소공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KR2019940039133U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KR0132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133U KR0132584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133U KR0132584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87U KR960021487U (ko) 1996-07-18
KR0132584Y1 true KR0132584Y1 (ko) 1998-12-15

Family

ID=1940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133U KR0132584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5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87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584Y1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장치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JPH06183287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おける装置取付け構造
KR970008540B1 (ko) 트렁크 뚜껑의 스톱 램프 부착 구조
KR100559554B1 (ko) 자동차용 카 매트와 카 매트 고정구
JPH09324927A (ja) 空気調和機の据付装置
KR100399123B1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고정구
JP2003265341A (ja) クリップ及び浴槽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H065266Y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JPH0966810A (ja) ウオッシャタンクの取付構造
KR200147452Y1 (ko) 보조 매트의 고정수단
KR200206477Y1 (ko) 자동차의보조용매트고정장치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19980035467U (ko)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장치
KR100201097B1 (ko) 자동차의 좌석 고정장치
JPS633195Y2 (ko)
JPS607234Y2 (ja) 自動車用シ−トクツシヨンの取付装置
KR0138781Y1 (ko) 승용차의 리어시트쿠션 고정장치
JPH0750439Y2 (ja) シャワーホース用水受タンク
KR100258811B1 (ko) 보조매트 고정장치
KR100273792B1 (ko) 차량의 리어 시트 장착 구조
KR200147387Y1 (ko) 리어시트백의 상부 장착장치
KR200149216Y1 (ko) 차량의 보조매트 고정구조
JPH0722815Y2 (ja) 車両用スイッチのスイッチカバーの取付構造
JPH0743291Y2 (ja) 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