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47Y1 -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 Google Patents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47Y1
KR0131647Y1 KR2019940033131U KR19940033131U KR0131647Y1 KR 0131647 Y1 KR0131647 Y1 KR 0131647Y1 KR 2019940033131 U KR2019940033131 U KR 2019940033131U KR 19940033131 U KR19940033131 U KR 19940033131U KR 0131647 Y1 KR0131647 Y1 KR 013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trim
pillar trim
center pillar
pin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223U (ko
Inventor
이판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47Y1/ko
Publication of KR960022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센터 필러 트림의 상부 및 하부의 원활한 매칭이 이루어지게 하고 안전띠의 띠가 소음발생 없이 원활히 인출 및 권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필러 트림(1) 하부 양쪽에 핀삽입홀(6,6')과, 패널면에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체결편(7,7')을 형성시키고 그 중간에 띠 안내편(8)을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상부 필러 트림(2) 내면에 상기 핀삽입홀(6,6')에 삽입될 수 있는 핀(9,9')과, 띠를 삽입시킬 수 있는 절개홈(10)을 갖고 띠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띠 안내편(11)을 형성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제1도는 차량 실내에 장착된 센터 필러 트림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하부 필러 트림의 일부 배면도.
제5도는 센터 필러 트림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센터 필러 트림 장착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터 필러 트림 2 : 하부 필러 트림
3 : 띠 6,6' : 핀삽입홀
7,7' : 스크류체결편 8 : 띠 안내면
9,9' : 핀 10 : 절개홈
11 : 띠 안내편
본 고안은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에 관한 것이다.
센터 필러 트림은 제6도와 같이 프론트 도어(61)와 리어 도어(62) 사이에 기둥을 이루는 차체내벽(센터 필러 인너 패널)에 상부 필러 트림(63)과 하부 필러 트림(64)으로 분할되어 부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리트렉터(65)로부터 풀려나오는 안전띠의 띠(66)가 지나가도록 끼워지게 된다.
종래의 센터 필러 트림은 상부 필러 트림(63)의 하단 양쪽이 패널면에 스크류로 고정되고 띠(66)가 안내될 수 있는 공간(띠의 출구)이 형성되도록 하부 필러 트림(64)의 상단이 상부 필러 트림(63) 하부에서 돌출되는데 이러한 상부 필러 트림(63)의 하부와 하부 필러 트림(64) 상단간의 공간을 지나는 띠(66)는 하부 필러 트림(64) 상부 내측의 패널면에 고정되는 안내브래킷(67) 사이로 끼워져 그 상하유동시 일정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할 경우 상부 필러 트림(63)과 하부 필러 트림(64)이 서로 매칭되지 않아 띠가 상부 필러 트림(63)과 하부 필러 트림(64) 사이로 인출 및 권입시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지 못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센터 필러 트림의 상부 및 하부의 원활한 매칭이 이루어지게 하고 안전띠의 띠가 소음발생 없이 원활히 인출 및 권입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필러 트림 하부 양쪽에 핀삽입홀과, 패널면에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체결편을 형성시키고 그 중간에 띠 안내편을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상부 필러 트림 상부 내면에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핀과, 띠를 삽입시킬 수 있는 절개홈을 갖고 띠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띠 안내편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필러 트림(1)하부와 하부 필러 트림(2)상부배면에 서로 매칭되고 안전띠의 띠(3)를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상부 필러 트림(1)은 그 하단이 프론트 도어(4)와 리어 도어(5) 중간의 패널면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도 및 제5도와 같이 양쪽에 핀삽입홀(6,6')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스크류체결편(7,7')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체결편(7,7') 상측으로 상기 핀삽입홀(6,6') 중간에는 띠(3)가 미끄럼접촉하면서 안내될 수 있는 띠 안내면(8)을 오목하게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한 하부 필러 트림(2)은 상부 필러 트림(1)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도어(4)와 리어 도어(5) 중간의 패널면에 고정되고, 특히 그 상단이 상부 필러 트림(1) 외면을 싸고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 하부 필러 트림(2)의 상부 배면에는 상기 상부 필러 트림(1)의 핀삽입홀(6,6')에 삽입될 수 있는 핀(9,9')이 양쪽에 돌출형성되고 그 하부 중간에는 띠(3)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10)이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띠(3)의 상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띠 안내편(11)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프론트 도어(4)와 리어 도어(5) 사이의 패널면에 상부 필러 트림(1)의 스크류체결편(7,7')을 스크류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절개홈(10)을 통해 띠(3)를 띠 안내편(11)내로 끼운 상태에서 하부 필러 트림(2)의 핀(9,9')이 핀삽입홀(6,6')에 끼워지게 하여 하부 필러 트림(2)을 상부 필러 트림(1)상에 고정한 후 리트렉터(12)내에 감겨있던 띠(3)를 인출 또는 권입시키면 띠(3)가 띠 안내편(11)을 따라 띠 안내면(8)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하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띠가 부드럽게 안내되기 때문에 띠의 인출 및 권입시 소음이 감소되고 상부 및 하부 필러 트림의 매칭성이 증대되며 종래와 같은 별도의 안내브래킷이 필요없어 원가절감이 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 필러 트림 하부 양쪽에 핀삽입홀과, 패널면에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체결편을 형성시키고 그 중간에 띠 안내편을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상부 필러 트림 상부 내면에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핀과, 띠를 삽입시킬 수 있는 절개홈을 갖고 띠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띠 안내편을 형성시킨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KR2019940033131U 1994-12-07 1994-12-07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KR0131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131U KR0131647Y1 (ko) 1994-12-07 1994-12-07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131U KR0131647Y1 (ko) 1994-12-07 1994-12-07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23U KR960022223U (ko) 1996-07-20
KR0131647Y1 true KR0131647Y1 (ko) 1999-02-18

Family

ID=1940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131U KR0131647Y1 (ko) 1994-12-07 1994-12-07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223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647Y1 (ko) 승용차 실내의 센터 필러 트림구조
US8919888B2 (en) Seat belt guiding construction
JPH11170925A (ja) 自動車のテールエンドメンバートリム構造
KR0142349B1 (ko) 리어시트 벨트의 리트렉터(Retractor) 고정 구조
JP3723098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0166174B1 (ko) 리어시트 벨트의 리트렉터 고정 구조
KR970003104Y1 (ko) 자동차시트벨트에서 취출구의 슬리트 메움용 커버클립 결합구조
JPH1044930A (ja) シートベルトの案内装置
KR20020082602A (ko) 자동차의 러기지 룸 스크린
KR0132313Y1 (ko) 시트 벨트의 베셀 구조
KR200150558Y1 (ko) 시트벨트의 앵커 플레이트 유동장치
JP2001088658A (ja) シートベルトのガイド構造
KR200162206Y1 (ko) 트렁크 매트의 고정 클립
JPH0986310A (ja) ランプの取付構造
KR200180013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A seat belt for automobile)
KR200192382Y1 (ko) 자동차용 쿼터 인너 어퍼 센터 필러 트림의 보강구조
KR95000434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풀리용 캡
KR0130821Y1 (ko) 자동차용 재떨이
JPS5820440Y2 (ja) シヨルダ−ウエビング案内構造
KR100323433B1 (ko) 자동차의 트림부재 고정장치
JP200312782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シートベルト取出し構造
KR970006041Y1 (ko) 자동차용 도어 안전 록 구조
JPH03231045A (ja) 自動車用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200229117Y1 (ko) 시트백어시스트글립및시트백패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