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65B1 - 종이웨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웨브 이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65B1
KR0130065B1 KR1019890006951A KR890006951A KR0130065B1 KR 0130065 B1 KR0130065 B1 KR 0130065B1 KR 1019890006951 A KR1019890006951 A KR 1019890006951A KR 890006951 A KR890006951 A KR 890006951A KR 0130065 B1 KR0130065 B1 KR 013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oll
felt
blanke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472A (ko
Inventor
라인 웨델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더크 제이.베네만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크 제이.베네만,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더크 제이.베네만
Publication of KR90001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Other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2/00Transferring continuous webs from wet ends to press sec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Other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9/0063Devices for threading a web tail through a paper-making machine

Landscapes

  • Pap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이웨브 이송장치
제1도는 트리-벤트(Tri-vent)프레스와 압축된 웨브를 건조부까지 개방 당김 상태로 이송시키는 종래의 이송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벨트로부터 건조부까지 웨브를 개방당김없이 이송하는 종래의 이송기구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기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4도는 안내롤이 건조 펠트(felt)쪽으로 근접된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5도는 안내롤이 건조펠트로부터 멀리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제14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8도는 흡입롤이 비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9도는 흡입롤이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18도와 유사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압축부 14 : 건조부
16 : 건조펠트 20 : 압축롤
22 : 개방 당김부 24 : 블랭킷
32 : 지지롤 34 : 압축부재
본 발명은 웨브롤을 프레스닙으로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브를 개방당김 없이 압축 브랭킷(blamket)으로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량급의 종이를 생산하는 경우, 특히 그러한 종이를 고속으로 생산해 내야하는 경우에는 젖은 웨브를 압축부로 부터 건조부까지 어떠한 상태로 이송시켜야 하느냐가 중요하다.
정형적으로 웨브를 개방당김상태로 하여 압축부로 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개방당김상태라 함은 웨브를 압축부와 건조부 사이의 유한 길이만큼을 비지지 상태로 유지시킨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웨브를 개방당김상태로 하여 이송시키게 되면 그 이송중에 웨브의 비지지 부분들이 늘어져 처지게 되고, 그 때문에 처진 웨브가 건조 펠트상에서 필럭여 주름이 잡히거나 기포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당김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당김력은 압축부를 통과하는 웨브와 건조부를 통과하는 웨브간의 속도차로서 정의되고, 따라서 그러한 속도차 때문에 웨브가 신장 및 긴장되게 될뿐만 아니라 웨브의 인장 파열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당김력에 의해 웨브의 결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변화될 수 있고, 생산된 시이트의 폭이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개방당김을 없애는 것에 의해 그에 의해 발생되던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종전에도, 개방당김을 없애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제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킨 것은 전혀 없었다.
일례로, 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최종 프레스닙을 이중펠트로 구성한 상태에서 젖은 웨브를 무당김 이송 지점에서 건조 펠트까지 이송시키는 동안 상기 압축용 펠트들중 하나와 계속 접촉시키게 하여 개방당김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저 하고 있고, 이에 의하면 물론 그러한 문제점은 해소시킬 수 있으나, 웨브가 압축펠트와 접촉하는 동안 압축 펠트에 흡수된 물이 웨브에 재흡수되어 웨브의 습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시도가 Fourth Valmet Papermachibne Days란 명칭의 책자에 기재된바 있는데, 이 기술에 의하면 특정의 이송 펠트를 프레스닙을 통해 건조부까지 주행시켜 개방인발을 없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펠트가 납부하를 견딜수 있게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이 웨브로 재흡수되지 않게 해야하고, 또한 건조펠트까지의 웨브의 이송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펠트가 제조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다른 종래의 발명이 벨로이트 코오포레이숀에 양도된 윅스의 미합중국 특허 제4,483,745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제2,3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를 개방인발하지 않고도 가압하여 건조부까지 이송시키는 불침투성 벨트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제2도를 보면 웨브를 매끈한 벨트표면에서 거치른 직물로 만들어진 펠트표면으로 이송하여야만 한다. 이같은 이송은 웨브가 매끈한 벨트표면을 따라가야 하는 특성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 특허에는 벨트에서 건조부까지 이송시키는 보조장치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 특허의 제3도를 보면 이같이 이송하는 것을 돕는 진공롤이 이용되지만 상기 진공롤은 피봇되어야만 하고 건조펠트를 다공성 벨트로 눌러내리는데 접촉점을 필요로 한다. 상기 특허의 제4도를 보면 이송점에서 진공롤은 필요로 하지 않지만 시이트가 가압벨트와 유입(lead-in)를 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벨트와 유입롤이 매끈한 표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웨브는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양표면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브를 더욱 확실하게 이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이같은 확실한 이송방법은 베이비 건조기(baby dryer) 또는 유입 건조기(lead-in dryer) 또는 가열되지 않은 롤이 될 수 있는 지지드럼위로 가압벨트 또는 블랭킷을 연장시킴에 의해 제공된다. 상술한 지지드럼은 건조펠트에 의하여 감기므로 웨브 압축벨트와 건조벨트 사이에 끼워진다. 상술한 구조에서 웨브는 개방당김없이 압축부에서 건조부로 통과한다. 또한 웨브는 벨트의 매끈한 표면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웨브는 압축 펠트로부터 빨리 분리되고 최소로 습윤화 될것 이다. 압축 벨트와 함께 유지되는 웨브는 종래의 긁개를 가지는 벨트로부터 긁어질 수 있다. 웨브가 긁개에 설치되었을 때 웨브는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건조 펠트에 이송될 수 있다.
1.말단부는 건조부를 통하여 말단부를 운반하는 로프속으로 송풍될 수 있다.
2. 펠트위에 말단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건조펠트가 작은 진공박스로 지지될 수 있다. 제2의 구조에서 꼬여진 로프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3. 진공장치는 꼬여진 로프 또는 공기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 보다 지지드럼의 출부에서 웨브를 압축펠트에서 건조펠트까지 직접 당기는데 직접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고 제지기술에 공헌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닙에 대하여 하류에 배치된 지지드럼과 지지드럼 둘레의 압축닙을 통하여 뻗는 압축블랭킷을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건조펠트는 지지드럼과 협동하여 블랭킷과 벨트 사이에 배치되므로 압축 펠트에 의하여 웨부가 최소로 습윤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브를 블랭킷으로부터 건조벨트로 이송하여 건조부를 통하여 웨브가 건조펠트를 따라오도록 지지드럼에 인접배치된 이송수단을 갖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수단이 지지드럼에 대하여 하류에 배치된 진공 이송롤이며 웨브가 지지롤로부터 진공이송롤까지 블랭킷과 건조펠트 사이에 배치되므로 웨브가 진공이송롤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블랭킷에 대하여 펠트가 갈라질 때 건조펠트를 따라 가도록 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송수단을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설치한 진공 박스로 구성하고, 그 진공박스를 건조펠트와 웨브간의 접합주행부에 인접시켜 건조펠트를 웨브와 진공박스사이에 배치되게 하여서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송수단을 지지드럼에 대하여 반경 방향쪽으로 설치한 진공박스로 구성하여, 그 진공 박스를 부분 진공원에 연결했을 때 지지드럼에 인접한 진공박스를 통해 공기가 흐르는 것에 의해 건조펠트가 블랭킷에 대해 벌어짐에 따라 웨브를 건조펠트까지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블랭킷을 안내하도록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조정가능한 안내롤을 설치하여서 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롤은 건조펠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리 또는 근접되게 이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안내롤이 건조펠트에 근접되게 위치될시 웨브는 먼저 블랭킷으로부터 건조펠트까지 이송되게 된다. 반면에, 안내롤이 진공롤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웨브는 건조펠트와 접촉한 상태로 지지드럼으로부터 진공롤까지 계속 주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송수단을 다수의 공기 흐름 통로를 형성하는 회전쉘을 가지는 진공롤로 구성하여서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건조펠트에 인접한 위치에는 진공실이 위치하고, 이에따라 공기가 통로를 통해 진공실로 유입됨에 따라 웨브가 건조펠트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당겨지게 된다. 진공실의 직경 방향 반대쪽에는 압축실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공기가 진공실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해 진공롤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통로를 세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웨브를 프레스닙으로 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도록, 지지드럼의 하류측에서 건조펠트에 진공을 부여하여, 건조 펠트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서 블랭킷으로부터 벌어지게될 때 웨브를 건조펠트를 따라 건조부를 통과시키게 할 수 있는 웨브 이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이후에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웨브를 프레스닙으로 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웨브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웨브 이송장치는 지지롤과 그 지지롤과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프레스닙을 형성하는 압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스닙을 통해서는 압축 블랭킷이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웨브는 프레스닙을 통과하는 중에 블랭킷과 지지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스닙의 하류측에는 지지드럼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블랭킷과 웨브는 프레스닙과 지지드럼 사이에서 서로 접촉을 이루게 되어 있다. 또한, 건조 펠트가 지지드럼과 협력하는 것에 의해, 블랭킷, 웨브, 그리고 펠트가 지지드럼 주위를 통과하는 중에 웨브는 블랭킷과 펠트 사이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지지드럼에 인접한 위치에는 이송 수단이 설치되어, 웨브를 개방 당김없이 블랭킷으로부터 펠트까지 이송시켜, 웨브가 펠트를 따라 건조부를 통과하게 하고 있다.
특히, 지지드럼은 배수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드럼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웨브가 프레스닙을 통과하는 중에 그 웨브로 부터 제거된 물이 상기 홈을 통해 흘러 프레스닙으로부터 배출되게 되어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압축부재는 지지롤과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긴 닙을 형성하는 압축 슈우(shoe)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축부재는 압축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압축 블랭킷은 웨브쪽으로 면하고 매끈한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불침투성 벨트로 구성되고, 건조펠트가 지지드럼의 둘레의 일부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펠트, 웨브, 그리고 블랭킷들은 함께 지지드럼의 둘레의 상기한 일부 지역주위에 감기게 되고, 이때 블랭킷과 웨브는 지지드럼과 펠트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수단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한 진공 이송롤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웨브는 지지드럼과 진공 이송롤 사이에서 블랭킷과 펠트 사이에 배치되며, 펠트가 진공 이송롤의 하류측에서 블랭킷으로부터 벌어지게 될때 개방당김없어 펠트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수단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배치된 진공박스로 구성되고, 이 경우 상기 진공박스는 건조펠트와 웨브의 접합주행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이에 따라 건조펠트는 웨브와 진공 박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수단은 지지드럼에 대하여 반경 방향쪽으로 설치된 진공박스로 구성되고,이 경우 그 진공 박스를 부분 진공원에 연결했을 때 지지드럼에 인접한 진공박스를 통해 공기가 흐르는 것에 의해 건조펠트가 블랭킷에 대해 벌어짐에 따라 웨브를 건조펠트의 형상과 거의 일치시키면서 당기 웨브를 건조 펠트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는 이송 수단의 하류측에 위치한 건조드럼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건조펠트 및 웨브는 지지드럼과 건조 드럼 사이에서 서로 형상이 일치되어 연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는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한 홈진롤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건조펠트와 블랭킷은 지지드럼과 건조드럼 사이에서 서로 형상이 일치되어 연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는 또한 블랭킷을 안내하도록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건조펠트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가능한 안내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송 수단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한 진공롤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건조펠트와 웨브는 안내롤이 제1위치에 위치하여 진공롤쪽으로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게 하도록 지지드럼과 진공롤 사이에서 서로 형상이 일치되게 연장되며, 이에 따라 블랭킷, 웨브, 건조 펠트들은 먼저 웨브를 블랭킷으로부터 건조 펠트까지 이송시키도록 지지드럼과 진공롤 사이에서 접촉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안내롤이 제2위치에 위치하여 진공롤로 부터 멀어지게 되면, 웨브는 건조 펠트와 계속 접촉을 유지하면서 그에 지지 되어 지지드럼으로부터 진공롤로 이송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롤은 또한 다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된 회전쉘을 구비하여 있고, 건조펠트에 인접해서는 진공실이 설치되어, 본 장치의 작동시 공기가 상기 통로들을 통해 진공실내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웨브가 건조펠트의 형상과 일치되게끔 당겨지게 된다. 또한, 진공롤은 압축실을 형성하는데, 이 압축실은 진공실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공기가 압축실로 부터 통로를 통해 진공로로 부터 멀리 외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통로를 세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는 웨브를 블랭킷으로부터 끌어내도록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한 끌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장치는 지지롤과, 그 지지롤과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프레스닙을 형성하는 압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스닙을 통해서는 압축 블랭킷이 연장되고, 이에 따라 웨브가 프레스닙을 통과하는 중에 블랭킷과 지지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프레스닙의 하류측에서는 압축 부재가 건조 펠트와 협력하고, 이에 따라 웨브는 프레스닙의 하류측에서 블랭킷과 펠트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프레스닙의 하류측에서 압축 부재에 인접하여서는, 웨브를 개방당김 없이 블랭킷으로 부터 펠트까지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웨브는 펠트를 따라 건조부를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수단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 위치한 흡입롤로 구성되고, 이 경우 흡입롤은 제1위치인 비작동 위치에 있게 될때 블랭킷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게되고, 이에 따라 웨브는 블랭킷의 형상과 일치하면서 이송되고, 건조펠트로는 이송되지 않는다. 한편, 흡입롤이 제2위치에 위치하여 블랭킷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블랭킷, 웨브, 건조펠트는 서로 형상이 일치된 상태에서 지지드럼으로 부터 흡입롤까지 이동하고, 그 뒤에 웨브는 흡입롤의 하류측에서 건조펠트로 이송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웨브를 프레스닙으로 부터 건조부까지 이송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지지롤과 그 지지롤과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프레스닙을 형성하는 압축 부재 사이에서 웨브를 압축시키는 단계와, 압축 블랭킷에 의해 지지되어 압축된 웨브를 프레스닙으로부터 지지드럼쪽으로 그리고 그 주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지지 드럼의 둘레 일부 주위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웨브를 블랭킷과 건조펠트 사이에 끼이게하는 단계와 지지드럼의 하류측에서 건조펠트를 통해 진공을 부여하여 웨브를 개방당김없이 건조펠트를 따라 건조부를 통과시키게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후에는 본 발명을 특정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그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그러한 변경예로는 매끈한 압축 블랭킷 대신에 홈이 형성된 블랭킷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박스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 대신에 공기노즐 또는 송풍박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수의 노즐을 통해 송풍되어 코안다(Coanda)효과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웨브는 건조펠트의 형상과 일치되게 당겨지게 된다.
이하의 설명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사 부품에 대해서는 유사한 단면부호를 첨가하였다.
제1도에는 웨브(W)를 트리-벤드압축부(12)로부터 건조부(14)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의 웨브 이송기구(1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롤(20)에 인접하게 위치된 유입롤(18)의 주위에는 건조펠트(16)가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웨브(W)는 개방당김부(22)를 통해 프레스롤(20)으로부터 유입롤(18)까지 이송되게 된다.
제2도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83,745호에 게재된 종래의 웨브 이송 기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길게 연장된 닙(N1), 그 닙을 통해 연장된 벨트 또는 블랭킷(24)이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구성에 따라 웨브(WA)에 접착되어 그에 유입롤(18A)와 지지드럼(26)쪽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벨트(24)로부터 건조부로 이송된다.
제3도에는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 4,483,745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또한 길게 연장된 닙(N1B)와, 그 닙을 통해 연장된 벨트(24B)와, 조정 가능한 유입롤(18B)의 주위로 안내되는 건조벨트(16B)가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구성에 따라 웨브(WB)는 벨트(24B)의 매끈한 표면으로부터 건조벨트(16B)까지 이송되게 된다.
제4도는 미합중국 특허 제 4,483,745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에는 길게 연장된 닙(N1B)와, 그를 통해 연장되어 웨브(WC)를 유입드럼(18C)쪽으로 안내 하도록 작용하는 매끈한 불침투성 벨트(24)가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웨브(WC)는 벨트(24C)로부터 드럼(18C)까지 개방당김없이 이송되게 된다. 그러나, 벨트(24C)가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고, 드럼(18C)의 표면도 매끈하기 때문에 웨브(WC)는 항상 예상한 대로 드럼(18C)의 매끈한 표면(30)을 따라 건조펠트(16C)까지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웨브(WD)를 프레스닙(N1D)으로 부터 건조부(14D)까지 이송시키는 웨브 이송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상기 이송장치(10D)는 지지롤(32)과, 그 지지롤(32)과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프레스닙(N1D)을 형성하는 압축 부재(34)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스닙(N1D)을 통해서는 압축 블랭킷(24D)이 연장되고, 이에 따라 웨브(WD)는 프레스닙(N1D)를 통과하는 중에 블랭킷(24D) 와 지지롤(3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프레스닙(N1D)의 하류측에는 지지드럼(26D)가 위치하고, 이에 따라 블랭킷(24D)와 웨브(WD)는 프레스닙(N1D)과 지지드럼(26D)는 건조펠트(16D)와 협력하고, 이에 따라 웨브(WD)는 블랭킷(24D), 웨브(WD), 그리고 펠트(16D)가 지지드럼 (26D)의 주위를 통과하는 중에 블랭킷(24D)과 펠트(16D)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드럼(26D)에 인접해서는 웨브(WD)를 블랭킷(24D)로 부터 펠트(16D)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기구(36)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웨브(WD)는 펠트(16D)를 따라 건조부(14D)를 통과하게 된다.
제5도는 또한 지지드럼(26D)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블랭킷(24D)로 부터 웨브(WD)를 끌어내는 끌개(25)를 구비하는 이송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롤(32E)는 배수기능을 갖고 있다.
제7도는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롤(32E) 다수의 홈(38)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웨브(WF)가 프레스닙(N1F)을 통과하는 중에 웨브(WF)로 부터 제거된 물이 홈(38)을 통해 프레스닙(N1F)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제8도는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압축부재(34G)는 오목면(40)을 가진 압축슈우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면(40)은 지지롤(32G)와 협력하여 그와의 사이에 긴닙(N1G)를 형성한다.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압축부재(34G)는 압축롤로 구성된다.
제5도내지 제8도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 블랭킷은 웨브쪽으로 면하여 매끈한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불침투성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5도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여러 이송 장치들은 지지 드럼의 둘레의 일부 주위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웨브와 블랭킷은 함께 지지드럼의 둘레의 일부 주위에 감긴 상태에서 지지드럼과 펠트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인 제9도를 보면 이송수단(26H)은 지지드럼(26H)에 대해 아래쪽에 배치된 진공 이송롤(42)을 구비하고 있어서 펠트(16H)가 진공 이송롤(42)에 대해 아래쪽에 있는 블랭킷(24H)에 대해 분기할 때 웨브(WH)가 펠트(16H)을 따르도록 웨브(WH)는 지지드럼(26H)에서 진공 이송롤(42)까지 블랭킷(24H)과 건조펠트(16H)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101)을 도시하는 제6실시예의 측면도인 제10도를 보면 이송수단(36I)는 지지드럼(26I)에 대해 아래쪽에 배치된 진공박스(44)를 갖고 있다. 이 진공박스(44)는 건조펠트(16I)와 웨브(WI)와 진공 박스(44)사이에 배치되고 웨브(WI)는 통기성을 주위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인 제11도를 보면 이송수단(36J)은 지지드럼(26J)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진공 박스(46)를 구비하므로 진공박스(46)가 부분 진공부(48)의 소스와 연결될 때 건조펠트(16J)가 블랭킷(24J)에 대해 분기됨에 따라 웨브(WJ)를 건조펠트(16J)와 형상이 일치하도록 당기기 위해 지지드럼(26J)에 인접한 진공박스(46)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며 그로 인해 웨브(WJ)를 건조펠트(16J)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인 제12도를 보면 건조드럼(50)은 이송수단(36K)에 대해 아래쪽으로 배치되므로 건조펠트(16K)와 웨브(WK)는 지지드럼(26K)에서 건조드럼(50)까지 서로에 대해 접촉하여 연장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인 제14 및 제15도를 보면 조절 가능한 안내롤(54)이 블랭킷(24M)을 안내하기 위해 지지드럼(26M)에 대해 아래쪽에 배치되며, 안내롤(54)은 건조펠트(16M)와 가까워지고 또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제14도는 안내롤(54)에 진공롤(42M)쪽으로 이동된 제위치에 있는 안내롤(54)을 도시하며 제15도는 진공롤(42M)과 떨어져 있는 안내롤(54)를 도시한다.
특히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36M)은 지지드럼(26M)에 대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진공롤(42M)를 구비하므로 건조벨트(16M)와 웨브(WM)이 지지드럼(26M)에서 진공롤(42M)까지 접촉하여 연장되게 되고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롤(54)이 제1위치에 있을 때 안내롤(54)은 블랭킷(24M)에서 건조펠트(16M)까지 웨브(WM)를 초기 이송시키기 위해 블랭킷(5M), 웨브(WM) 및 건조펠트(16M)이 지지드럼(2M)에서 진공롤(42M)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진공(42M)쪽으로 이동한다. 안내롤(54)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있을때 웨브(WM)는 건조펠트(16M)와 함께 또 이 에지지되어 지지드럼(26M)에서 진공롤(42M)까지 연속적으로 주행한다.
본 발명은 제11실시예의 확대 측면도인 제16도를 보면 진공롤(42M)은 다수의 공기 유동통로(57,58,59)를 형성하는 회전 가능한 셀(56)을 포함한다. 진공 체임버(60)는 건조펠트(16N)에 인접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중에 화살표(62)로 표시된 공기는 웨브(WN)를 건조펠트(16N)와 일치시키도록 당기기 위해 통로(57 내지 59)를 통해 진공 체임버(60)로 유동한다. 압력 체임버(64)는 진공롤(42N)에 의해 형성되고 진공 체임버(60)와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셀(56)이 회전함에 따라 통로(57 내지 59)를 세척하기 위해 공기는 화살표(66)으로 도시된 대로 압력 체임버(64)에서 통로(57 내지 59)를 통해 진공롤(42N)에서 떨어진 외부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측면도인 제17도를 보면 지지롤(320)와 압력부재(340)에 의해 형성된 프레스닙(N1O)가 도시되어 있다. 웨브(WO)는 프레스 펠트로 부터 분리되어, 프레스 부재(340)와 형상이 일치되도록 연속 이동하며 닥터(250)는 웨브(WO)를 블랭킷(240)에서 제거한다. 건조 펠트(160)는 이송수단(360)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닙(N1O)에 대해 아래쪽에 있는 프레스 부재(340)와 함께 작동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송수단(360)은 웨브(WO)를 블랭킷(240)에서 건조 펠트(160)까지 이송시키는 진공 박스(440)를 구비하므로 프레스 부재(340)는 프레스 부재와 지지드럼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측면도인 제18도를 보면 지지드럼(26P)이 도시되어 있으며 블랭킷(24P)과 웨브(WP)는 블랭킷(24P)과 일치되도록 지지드럼(26P)에서 롤(54P)까지 주행된다. 이동 가능한 흡입롤(42P)은 지지드럼(26P)에 대해 아래쪽에 배치되며 건조 펠트(16P)는 흡입롤(42P)과 웨브(WP)사이에 배치된다. 제18도에 도시한 대로 흡입롤(42P)은 안내롤(54P)로 근접되게 배치되므로 웨브는 펠트(16P)를 따라 가고 지지드럼(26P)에 대해 아래쪽에 있는 블랭킷(24P)을 따라 가지 않는다.
그러나 웨브가 건조부로 이송된 후에 흡입롤(42P)은 제19도에 도시된 대로 블랭킷(24P)에서 떨어지게 된다. 웨브(WP)는 건조 펠트(16P)와 접촉된 채 있고 건조부로 계속 연장된다. 흡입롤(42P)로 웨브(WP)를 흡입함으로 인해 웨브(WP)는 흡입롤(42P)에 대해 하류에 있는 건조펠트(16)를 따르게 되어 웨브(WP)는 이송수단(36P)에 의해 건조부로 이송된다. 또한, 웨브(WP)가 프레스 블랭킷(24P)상에 있게 되면 흡입롤(42P)은 제18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하여 웨브(WP)로 건조부는 이송될 것이다.
제5-16도,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여러 실시예의 작동시 웨브(WP)는 개방 당김하지 않고도 프레스닙에서 건조부로 이송된다. 웨브는 지지롤과 프레스 부재 사이에서 가압되는데 이 프레스 부재는 그 사이에 프레스 닙을 형성하도록 지지롤과 함께 작동한다. 프레스 블랭킷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된 웨브는 프레스 닙에서 지지드럼쪽 및 지지드럼 주위로 이송된다. 웨브는 블랭킷과 지지 드럼의 원주일부분 주위를 연장하는 건조 펠트 사이에서 샌드위치식으로 배치된다. 지지드럼에 대해 후류에 있는 건조 펠트에 진공압이 가해지면 건조펠트가 지지드럼에 대해 분기할때 웨브는 건조부를 통해 건조 펠트를 따라가게 된다.
제17도의 실시예 작동시 웨브(WO)는 닙(N1O)에 대해 후류에 있는 프레스 부재(340)주위의 블랭킷(240)과 형상이 일치하도록 따라가 진공 박스(440)에 의해 건조 펠트(160)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은 웨브를 프레스 펠트와 접촉으로 인해 웨브를 재습윤시키지 않고 또 개방 당김시키지 않고 가압부에서 건조부까지 이송시키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웨브가 개방 당김되지 않고도 이송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 펠트를 따라가도록 가압된 웨브를 압축 블랭킷의 매끈한 표면으로 부터 이송시키는 간단한 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18)

  1.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과 협력하여 상기 지지롤과의 사이에 프레스 닙을 형성하게 되는 프레스 부재와, 무한 루우프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도중에 상기 웨브가 상기 지지롤과 프레스 블랭킷 사이에 배설되도록 하는 프레스 블랭킷과 상기 무한 루우프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스 닙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블랭킷과 웨브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프레스 닙으로 부터 지지드럼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지지 드럼과, 상기 지지 드럼의 외주의 상기 일부분 둘레에 걸쳐서 상기 블랭킷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위주의 일부분과 협력하여, 상기 블랭킷과 상기 웨브와 상기 지지 드럼의 외주의 상기 일부분 둘레를 통과할 때 상기 웨브가 상기 블랭킷과 펠트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하는 건조 펠트와 건조부를 통하여 웨브가 상기 펠트를 따라가도록, 공 당김이 없이 웨브를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펠트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에 근접하여 배설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웨브가 통과하는 동안에 웨브로 부터 제거되는 특정의 물이 프레스 닙을 통기시키기 위한 상기 홈을 관통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가 압축 슈우이며, 상기 압축 슈우는 상기 지지 롤과 협력하여 상기 지지롤과의 사이에 연장된 닙을 마련하게 되는 오목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가 프레스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블랭킷이 웨브를 향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는 불투과성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진공이송 롤을 포함하며, 상기 진공이송 롤은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이송 롤을 향하여 상기 블랭킷과 상기 펠트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함으로써 웨브가 상기 펠트를 따라가도록 하고, 상기 펠트는 상기 진공이송 롤에 관하여 하류에서 상기 블랭킷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확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는 진공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 박스는 건조 펠트와 웨브의 접합 주행부에 근접하여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가 상기 웨브와 상기 진공 박스 사이에 배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진공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박스는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설되어, 상기 진공 박스가 부분 진공원에 연결될 때 공기가 상기 지지 드럼에 근접하여 상기 진공 박스를 관통하여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조 펠트가 상기 블랭킷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확계됨에 따라 웨브를 상기 건조 펠트와 동시에 당겨서 공당김이 없이 웨브를 상기 건조 펠트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건조 드럼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건조 드럼은 상기 이송수단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 및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건조 드럼을 향하여 서로 인접한 상태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홈진 롤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홈진 롤은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 및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홈진 롤을 향하여 서로 인접한 상태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킷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고 상기 건조 펠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건조 펠트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조절가능한 안내 롤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진공 롤은 구비하며, 상기 진공 롤은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 및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롤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안내 롤이 상기 진공 롤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블랭킷과 상기 웨브와 상기 건조 펠트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함에 의해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건조 펠트로 웨브를 초기에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안내 롤이 상기 진공 롤로 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있게될 때에는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상기 건조 펠트와 접촉적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건조 펠트에 의해 지지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롤이, 다수의 공기 유동 통로를 마련하는 회전 셀과 상기 건조 펠트에 근접하여 배설되어 장치의 사용시 공기가 웨브를 건조 펠프와 일체적으로 당기기 위해 상기 통로들을 관통하여 진공 체임버로 유동되도록 하는 진공 체임버와, 상기 진공롤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 체임버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설되어 공기가 압축 체임버로 부터 상기 통로들을 관통하여 상기 진공 롤의 외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통로들을 세척하도록 하는 압축 체임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웨브를 블랭킷으로 부터 끌어내기 위해 상기 지지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는 끌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블랭킷을 향하여 그리고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진공 롤을 구비하고, 상기 진공 롤은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 및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진공 롤의 제1위치에서 상기 진공 롤이 상기 블랭킷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블랭킷과 상기 웨브와 상기 건조 펠트가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건조 펠트로 웨브를 초기에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롤이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설되는 때에는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진공 롤을 향하여 상기 건조 펠트와 일체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건조 펠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16.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지지롤과 상기 지지 롤과 협력하여 지지 롤과의 사이에 프레스 닙을 형성하게 되는 프레스 부재와, 무한 루우프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웨브가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동안 하는 웨브가 프레스 블랭킷과 상기 지지 롤 사이에 배설되도록하는 프레스 블랭킷과, 상기 무한 루우트내에서 상기 프레스 닙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블랭킷 및 상기 웨브가 프레스 닙으로 부터 상기 지지 드럼을 향하여 서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지지 드럼과, 상기 블랭킷과 함께, 상기 지지 드럼의 외주의 일부분 둘레로 이동되면서 상기 일부분과 협력하여 상기 지지 드럼의 외주의 상기 일부분 둘레에 걸쳐서 상기 블랭킷과 상기 웨브와 상기 건조 펠트가 통과하는 동안에 웨브가 상기 블랭킷과 상기 펠트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하는 건조 펠트와, 상기 블랭킷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에 배설되고 상기 건조 펠트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건조 펠트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조절 가능한 안내 롤과,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펠트로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웨브가 건조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펠트에 수반되도록 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 배설되어, 상기 건조 펠트 및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이송수단을 향하여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내 롤의 제1위치에서 상기 안내 롤이 상기 이송수단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블랭킷과 상기 웨브와 상기 건조 펠트가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건조 펠트로 웨브를 초기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이송 수단으로 접촉적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 롤이 상기 이송 수단으로 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설되는 때에는 웨브가 상기 지지 드럼으로 부터 상기 이송수단을 향하여 상기 건조 펠트와 일체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건조 펠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17.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지지롤과,상기 지지 롤과 협력하여 상기 지지 롤과의 사이에 프레스 닙을 형성하게 되는 프레스 부재와,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웨브가 프레스 닙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동안 하는 웨브가 프레스 블랭킷과 상기 지지 롤 사이에 배설되도록 하는 프레스 블랭킷과, 상기 블랭킷과 함께 상기 프레스 부재의 원주 표면의 일부분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면서 상기 프레스 닙에 관하여 하류에서 상기 프레스 부재와 협력하여 웨브가 프레스 닙에 관하여 하류에서 상기 블랭킷과 건조 펠트 사이에 배설되도록 하는 건조 펠트와, 공 당김이 없이 상기 블랭킷으로 부터 상기 펠트로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스 닙에 관하여 하류에서 상기 프레스 부재에 근접하여 배설되어 건조부를 통과하는 동안 웨브가 상기 펠트에 수반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18.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방법에 있어서, 웨브가 프레스 블랭킷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프레스 닙을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게 되는 지지 롤과 프레스 부재의 사이에서 웨브를 압축시키는 단계와, 무한 루우프를 형성하여 지지 드럼이 상기 루우프내에 배설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블랭킷에 의해 상기 압축된 웨브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압축된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원주방향 지지 드럼의 일부분을 향하여 상기 일부분에 걸쳐서 이송시키는 단계와, 지지 드럼의 상기 원주방향 일부분에 걸쳐서 연장되는 블랭킷과 건조 펠트 사이에서 웨브를 샌드위치시키는 단계와, 지지 드럼에 관하여 하류에서 블랭킷에 관하여 학계되는 건조 펠트를 관통하여 진공을 인간하여 건조부를 통과하는 동안 웨브가 건조 펠트에 수반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를 프레스 닙으로 부터 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방법.
KR1019890006951A 1988-05-23 1989-05-23 종이웨브 이송장치 KR0130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7,537 1988-05-23
US07/197,537 US4943351A (en) 1988-05-23 1988-05-23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72A KR900018472A (ko) 1990-12-21
KR0130065B1 true KR0130065B1 (ko) 1998-04-07

Family

ID=2272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951A KR0130065B1 (ko) 1988-05-23 1989-05-23 종이웨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43351A (ko)
EP (1) EP0344088B1 (ko)
JP (1) JPH0219589A (ko)
KR (1) KR0130065B1 (ko)
BR (1) BR8902368A (ko)
CA (1) CA1313788C (ko)
DE (1) DE68914328T2 (ko)
ES (1) ES2050838T3 (ko)
FI (1) FI93130C (ko)
MX (1) MX166419B (ko)
PH (1) PH25939A (ko)
PL (1) PL162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653A (en) 1987-02-13 1995-04-11 Beloi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rying a web
US6049999A (en) * 1987-02-13 2000-04-18 Beloit Technologies, Inc. Machine and process for the restrained drying of a paper web
US5507104A (en) * 1987-02-13 1996-04-16 Beloit Technologies, Inc. Web drying apparatus
DE3914761A1 (de) * 1989-03-08 1990-11-15 Voith Gmbh J M Leitwalze fuer ein poroeses band, beispielsweise fuer ein trockensieb einer papiermaschine
FR2656012A1 (fr) * 1989-12-15 1991-06-21 Cofpa Presse pour la fabrication de feuilles de papier avec feutres et cylindres, humides et secheurs.
FR2656011A1 (fr) * 1989-12-15 1991-06-21 Cofpa Presse pour la fabrication de feuilles de papier avec feutres et cylindres, humides et secheurs.
JP2549869Y2 (ja) * 1990-08-28 1997-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抄紙機プレスパートの通紙装置
US5389205A (en) * 1990-11-23 1995-02-14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thod for dewatering of a paper web by pressing using an extended nip shoe pre-press zone on the forming wire
DE4116222A1 (de) * 1991-05-17 1992-11-19 Voith Gmbh J M Bahnabnahme-vorrichtung
DE4119068C2 (de) * 1991-06-10 1999-04-01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Ein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Trockengruppen einer Papiermaschine
US5393383A (en) * 1991-12-19 1995-02-28 Valmet Paper Machinery Inc. Compact press section with closed draw of the web in a paper machine
US5611892A (en) * 1991-12-19 1997-03-18 Valmet Corporation Compact press section in a paper machine
DE4222034A1 (de) * 1992-07-04 1994-01-05 Voith Gmbh J M Trennung des Randstreifens einer Papierbahn in der Pressenpartie vom wasserundurchlässigen Band
FI108054B (fi) * 1994-05-31 2001-11-15 Metso Paper Inc Menetelmä paperirainan kulun stabiloimiseksi paperinjohtotelan yhteydessä erityisesti puristinosan ja kuivatusosan välillä ja lait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DE4427281A1 (de) * 1994-08-02 1996-02-08 Voith Gmbh J M Verfahren zum Einfädeln einer Faserstoff-Bahn, insbesondere in eine Papierherstellungsmaschine
FI95610C (fi) * 1994-10-06 1996-02-26 Valmet Paper Machinery Inc Tasauspuristimella varustettu paperikoneen puristinosa
US5876565A (en) * 1994-10-06 1999-03-02 Valmet Corporation Press section with an equalizing nip for compensating for elongation of a paper web
FI109477B (fi) * 1995-02-02 2002-08-15 Metso Paper Inc Tasauspuristimella varustettu paperikoneen puristinosa
FI110440B (fi) * 1996-04-04 2003-01-31 Metso Paper Inc Rainan siirto paperikoneen kaksihuopaisesta viimeisestä puristinnipistä seuraavalle kuivatusosalle
DK172260B1 (da) * 1996-12-20 1998-02-09 M & J Fibretech Anlæg til fremstilling af nonwoven fiberprodukt .
DE19713645A1 (de) * 1997-04-02 1998-10-08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Faserstoffbah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744341A1 (de) * 1997-10-07 1999-04-15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Papiermaschine
SE514973C2 (sv) * 1999-09-07 2001-05-21 Valmet Karlstad Ab Metod och pappersmaskin för framställning av en liner
EP1158092B1 (de) * 2000-05-24 2006-09-06 Voith Paper Patent GmbH Trockenpartie
FR2830263B1 (fr) * 2001-10-03 2004-08-06 Thibeau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production d'un non-tisse condense, et dispositif de condensation d'un non-tisse
US7001487B2 (en) * 2001-12-19 2006-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sheet from a dryer to a reel
US7070406B2 (en) * 2003-04-29 2006-07-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for embossing a flexible substrate with a pattern carried by an optically transparent compliant media
JP3978211B2 (ja) * 2003-05-13 2007-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抄紙機のスムージングプレス及びスムージングプレス付き抄紙機用プレ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0019A (en) * 1962-09-10 1966-05-10 Edward D Beachler Dryer felt
FI81854C (fi) * 1982-09-15 1990-12-10 Valmet Oy Pressparti med separata pressnyp i en pappersmaskin.
US4483745A (en) * 1982-09-29 1984-11-20 Beloi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heet transfer using a nonporous smooth surfaced belt
US4551203A (en) * 1984-04-02 1985-11-05 Valmet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guiding a paper web from the press section to the drying section
DE3425077A1 (de) * 1984-05-25 1985-11-28 Sulzer-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Doppelsieb-papier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5156B2 (ko) 1991-07-10
EP0344088A2 (en) 1989-11-29
FI93130B (fi) 1994-11-15
US4943351A (en) 1990-07-24
KR900018472A (ko) 1990-12-21
DE68914328T2 (de) 1995-01-05
FI892479A (fi) 1989-11-24
PL279587A1 (en) 1989-12-27
PH25939A (en) 1991-12-19
BR8902368A (pt) 1990-01-16
FI892479A0 (fi) 1989-05-22
EP0344088B1 (en) 1994-04-06
MX166419B (es) 1993-01-07
JPH0219589A (ja) 1990-01-23
DE68914328D1 (de) 1994-05-11
EP0344088A3 (en) 1990-11-22
PL162950B1 (pl) 1994-01-31
CA1313788C (en) 1993-02-23
FI93130C (fi) 1996-04-29
ES2050838T3 (es) 199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065B1 (ko) 종이웨브 이송장치
KR960014916B1 (ko) 웹 건조장치
US6146499A (en) Method for increasing cross machine direction stretchability
US8083897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fibrous web
KR960003186B1 (ko) 건조펠트에 따라 웹의 에지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의 방법
KR880001890A (ko) 웨브의 이송을 돕는 장치
JP2002524669A (ja) 抄紙機及び構造化ソフ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
KR20040061020A (ko) 건조기로부터 릴까지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863776B2 (en) Press section
SE8703507L (sv) Slutet och kompakt pressparti i pappersmaskin
FI108466B (fi) Paperikoneen puristinosan paperin põõnvientijõrjestelmõ
US2443352A (en) Suction press section for paper machines
US5873180A (en) Papermaking dryer section with partitioned vacuum box for threading
JP2612942B2 (ja) フレキシブルウェブの搬送装置と方法
US6361658B2 (en) Press section
WO2004101885A1 (ja) 抄紙機のスムージングプレス及びスムージングプレス付き抄紙機用プレス並びに紙の製造方法
JPH07196234A (ja) 走行中の湿紙を二つのワイヤーベルトから剥離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FI13043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ING A TAPE SLIP OVER
US20050016703A1 (en) Smoothing device
JPH10118398A (ja) ロールアイロナ
JP2960999B2 (ja) 湿紙移送装置
US20040050520A1 (en) Paper machine
JPS6035476B2 (ja) プレス機構
JP2000256985A (ja) 紙ウェブの脱水装置及び方法
US202202051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Strip of a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