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03Y1 -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03Y1
KR0127703Y1 KR2019940024460U KR19940024460U KR0127703Y1 KR 0127703 Y1 KR0127703 Y1 KR 0127703Y1 KR 2019940024460 U KR2019940024460 U KR 2019940024460U KR 19940024460 U KR19940024460 U KR 19940024460U KR 0127703 Y1 KR0127703 Y1 KR 0127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ixed
rod
panel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84U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4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703Y1/ko
Publication of KR960010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헤드레스트에 의해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뒷좌석 공간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고, 뒷좌석 착석자의 시계를 넓힐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고, 그 구성은 시트의 등받이(10) 상단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후두부를 받쳐지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내의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3)과, 상기 패널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16)과, 상기 회전봉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내에 고정되는 고정봉(17)과, 상기 패널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한 록커(18)와, 상기 록커가 고정봉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된 스프링(20)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커를 고정봉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21)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제1도는 종래의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시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차량의 내부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절첩장치가 설치된 시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차량의 내부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등받이의 요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등받이 11 : 헤드레스트
12 : 프레임 13 : 패널
16 : 회전봉 17 : 고정봉
18 : 록커 20 : 스프링
21 : 노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Head Res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가 앞좌석의 헤드레스트에 의해 가려져 느끼게 되는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착석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착석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제1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시트의 등받이(1)상단부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시트의 등받이(1)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고, 헤드레스트(2)를 상·하 조절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드레스트(2)는 사용시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즉, 대부분의 고급 차량은 전문 운전기사를 고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때 고용주의 착석 위치는 거의 뒷좌석의 오른쪽이 된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는 앞좌석의 헤드레스트에 의해 가려져 매우 답답한 감을 느끼게 되었던 것이고, 보통이의 해소를 위해서 앞좌석의 헤드레스트를 등받이(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뒷좌석 착석자의 시계를 넓혀 답답함을 해소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 헤드레스트를 등받이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분리된 헤드레스트의 보관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번 헤드레스트를 등받이로부터 분리하고 조립해야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등받이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헤드레스트에 의해 뒤좌석 착석자의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뒷좌석 공간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고, 뒷좌석 착석자의 시계를 넓힐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절첩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시트의 등받이 상단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후두부를 받쳐지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내의 프레임에 고정된 패널과, 상기 패널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내에 고정되는 고정봉과, 상기 패널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한 록커와, 상기 록커가 고정봉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커를 고정봉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절첩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시트의 등받이(10) 상단부에 착석자의 후두부를 받쳐지지하는 헤드레스트(11)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1)는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첩가능하게 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받이(10)내에 구비된 프레임(12)상에 패널(13)이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패널(13)상에는 회전봉(16)이 양측의 브라켓(14)(1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16)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고정봉(17)의 자유단부측을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고정봉(17)의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11)내에 삽입고정하여 헤드레스트(11)가 회전봉(1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패널(13)상에는 브라켓(19)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9)에 록커(18)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록커(18)는 일단이 고리형상을 하고 있어 고정봉(17)의 일측과 걸림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고, 타단에는 록커(18)의 고리부가 고정봉(17)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패널(13)과의 사이에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록커(18)의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커를 고정봉(17)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21)를 설치하되, 노브(21)의 연장부를 록커(18)의 타단에 연결하고, 노브(21)의 머리부는 등받이(10)의 상단부로 노출시켜 외부에서의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4도에서와 같이 고정봉(17)이 관통되는 등받이(10)의 상단부에는 슬롯(22)을 형성하여 헤드레스트(11)의 회동시 고정봉(17)이 슬롯(22)에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등받이(10)상단부에 헤드레스트(11)가 위치하여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를 가린 상태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헤드레스트(11)를 절첩키고자 할 경우, 등받이(10)상단부로 노출된 노브(21)를 잡아당기게 되면, 스프링(20)이 인장되면서 록커(18)는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록커(18)의 고리부는 고정봉(17)에 걸림유지된 상태에서 걸림해제되게 된다. 이로써 고정봉(17)은 회전봉(16)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이 고정봉(17)과 고정된 헤드레스트(11)를 제5도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앞으로 회동시켜 절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잡아 당기고 있던 노브(21)를 놓게되면,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커(21)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위치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11)가 절첩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뒷자석 착석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므로 시계를 넓힐 수 있어 답답한 감을 해소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11)를 다시 원위치 시키고자 할 경우는, 절첩된 헤드레스트(11)를 후방측으로 회동시켜 등받이(10)의 상단부에 위치시키면, 록커(18)는 고리부가 고정부(17)에 눌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20)은 다시 인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록커(18)는 스프링(20)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을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탄성력을 받게 되고, 이로써 록커(18)의 고리부가 고정봉(17)에 걸림유지 되어 다시 헤드레스트(11)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노브조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전방측으로 회동되어 절첩됨으로써 뒷좌석 착석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뒷좌석 착석자의 시계를 넓힐 수 있어 종전의 답답한 감이 해소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시트의 등받이(10)상단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후두부를 받쳐지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내의 프레임(12)에 고정된 패널(13)과, 상기 패널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16)과, 상기 회전봉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내에 고정되는 고정봉(17)과, 상기 패널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한 록커(18)와, 상기 록커가 고정봉에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스프링(20)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커를 고정봉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21)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KR2019940024460U 1994-09-23 1994-09-23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KR0127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460U KR0127703Y1 (ko) 1994-09-23 1994-09-23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460U KR0127703Y1 (ko) 1994-09-23 1994-09-23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84U KR960010584U (ko) 1996-04-12
KR0127703Y1 true KR0127703Y1 (ko) 1998-10-15

Family

ID=1939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460U KR0127703Y1 (ko) 1994-09-23 1994-09-23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7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300A (ko) * 2001-06-20 2002-12-31 도미영 마늘파종기의 씨마늘 정립 낙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84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13867A (ja)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JP2005001575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012770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JPH0247872Y2 (ko)
JP3087483B2 (ja) シートベルト案内装置
JP2534540Y2 (ja) 座席のヘッドレスト
JPH1120528A (ja) ヘッドレスト可倒機構付きシート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JP2000025498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212785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회동구조
KR970036583A (ko) 차량용 폴딩 시트의 로킹장치(folding seat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0138202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2000190768A (ja) 航空機のア―ムレスト
KR100287375B1 (ko) 차량의 리어시트용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0132602Y1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젖힘 장치
KR0135112Y1 (ko) 시트후방으로 접혀지는 헤드레스트의 구조
JP2596792Y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H0227806Y2 (ko)
JPS6220045B2 (ko)
JP2541913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2001517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0166526B1 (ko) 자동차용 시트
JP2661464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1246975A (ja) 車両用テーブル機構
KR200156943Y1 (ko)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