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943Y1 -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 Google Patents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943Y1
KR200156943Y1 KR2019960021125U KR19960021125U KR200156943Y1 KR 200156943 Y1 KR200156943 Y1 KR 200156943Y1 KR 2019960021125 U KR2019960021125 U KR 2019960021125U KR 19960021125 U KR19960021125 U KR 19960021125U KR 200156943 Y1 KR200156943 Y1 KR 200156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haft
lumbar
protruding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377U (ko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상은
대부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은, 대부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은
Priority to KR2019960021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943Y1/ko
Publication of KR980007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추받침장치의 작동축을 연장시켜 별도의 추가장치없이도 암레스트를 더 장착하여 상호 간섭을 배제하여 작동되게 함으로서 승차자의 편익을 증대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가지도록 한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10)의 등받이프레임(11)의 측방으로 돌출시킨 작동축(12)에 결합된 노브(13)의 회동에 의하여 등받이프레임(11)의 내측에서 작동축(12)과 연결된 작동자(14)가 회동하여 등받이쿠션을 출몰토록하여 승차자의 요추를 받쳐주도록 한 통상적인 요추받침장치(15)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축(12)을 등받이프레임(11)의 측방으로 연장돌출을 시켜 래칫장치나 스토퍼에 의하여 각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암레스트(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2)에는 암레스트프레임(20')에 지지관(21')을 삽입한 고정판(21)과 볼팅결합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2)은 지지관(21')과 암레스트(20)에 형성된 작동축공(23)을 경유하여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된 작동축(12)의 단부에는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자(14)를 작동시킬 수 있는 노브(13)를 결합하여 암레스트(20)와 요추받침장치(15)가 독립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서 취하고 내부의 래칫장치를 생략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작동축 13 : 노브
15 : 요추받침장치 20 : 암레스트
21 : 고정판 22 : 고정브라켓
23 : 작동축공
본 고안은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등받이에 승차자의 허리등뼈(腰椎)부위를 받쳐주는 요추받침장치의 작동축에 암레스트를 동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시트의 등받이에는 요추받침장치와 암레스트가 동시에 장착되는 경우는 없었고, 요추받침장치 혹은 암레스트단일의 장치만이 장착되어 사용이 되고있는 실정이다.
이는 시트의 등받이에 요추받침장치나 암레스트가 장착되는 위치가 동일한 관계로 요추받침장치나 암레스트중 하나가 장착되면 상대적으로 암레스트나 요추받침장치는 장착할 수 없게 됨으로서 두 편의장치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요추받침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경우에는 암레스트가 없어 승차자들이 대부분이 도어트림에 팔을 재치하거나, 센터콘솔박스에 소형의 구션을 안치하여 팔을 재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암레스트가 장착된 자동차일 경우에는 시트의 등받이에 별도로 제작된 요추받침대를 재치시켜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정으로 인하여 일반 사용자들은 별도의 장비(쿠션, 요추받침대)를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가져야 하고, 승차후 편의장비부족으로 쾌적한 승차감을 기대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요추받침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축상에 암레스트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하여 두 기능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들의 편익을 증진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서 취하고 내부의 래칫장치를 생략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자동차의 요추받침장치(15)는 자동차 시트(10)의 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2)의 측방(외측)으로 돌출시킨 작동축(12)에 노브(13)를 결합시키고, 상기 노브(13)의 회동에 의하여 등받이프레임(11)의 내측에 작동축(12)과 연결된 작동자(14)가 회동하여 등받이 쿠션을 출몰시켜줌으로서 승차자의 요추를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축(12)과 작동자(14)의 연결은 고정브라켓(2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2)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다각형상의 캠(15')에 작동자(14)를 유지하는 축(14')의 단부가 캠(15')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 안치되고, 축(14')의 끝단부는 고정브라켓(22)의 상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함으로서 노브(13)에 의하여 회전하는 작동축(12)와 캠(15')에 의하여 작동자(14)가 등받이의 전,후방향으로 출몰하여 승차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축(12)을 등받이프레임(11)의 측방으로 연장돌출을 시켜 통상적인 래칫수단이나 스토퍼를 가지고 각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암레스트(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2)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12)을 암레스트(20)를 삽입시켜 작동축(12)의 끝단부가 암레스트(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암레스트(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판(21)을 고정브라켓(22)에 밀착시킨 후 볼팅결합 한다.
상기 암레스트(20)에 형성된 작동축공(23)을 경유하여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된 작동축(12)의 단부에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자(14)를 작동시킬 수 있는 노브(13)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암레스트(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판(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관(21')을 암레스트(20)내부에 구비되는 암레스트프레임(20')에 삽입하여 암레스트(20)가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관(21')에는 고정브라켓(22)에 구비되는 작동축(12)을 삽입하여 그 단부가 암레스트(20)에 형성한 작동축공(23)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작동축(12)이 단순하게 장입된 상태에서 암레스트(20)가 회동시 회동중심점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암레스트(20)를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축(12)에 장착하였으므로 두 가지의 편의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암레스트(2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20)의 선단부를 잡고서 전방으로 회동시켜 암레스트(20)를 펼쳐 사용을 하면된다.
이는, 상기 암레스트(20)가 요추받침장치(15)를 작동시키는 작동축(12)상에 고정이 되지 않고 암레스트(20)에 형성된 작동축공(23)을 통하여 작동축(12)을 단순히 삽입한 상태에 있고; 상기 등받이프레임(11)의 고정브라켓(22)과 볼팅결합된 암레스트(20)의 고정판(21)역시 암레스트(20)의 내부에 있는 암레스트프레임(20')에 이탈방지되도록 삽입된 상태에 있으므로 암레스트(20)를 작동시키더라도 작동축(12)은 암레스트(20)가 작동할 수 있는 중심점 역할만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요추받침장치(15)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요추받침장치(15)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20)의 작동축공(23)을 경유하여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된 작동축(12)의 단부에 결합된 노브(13)를 회동시키면, 등받이프레임(11)의 내부에 위치한 작동자(14)가 움직여 등받이의 시트쿠션을 출몰시키므로 승차자의 요추를 받쳐주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요추받침장치의 작동축을 연장시켜 별도의 추가장치없이도 암레스트를 더 장착하여 상호 간섭을 배제하여 작동되게 함으로서 승차자의 편익을 증대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가지도록 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 시트(10)의 등받이프레임(11)의 측방으로 돌출시킨 작동축(12)에 결합된 노브(13)의 회동에 의하여 등받이프레임(11)의 내측에서 작동축(12)과 연결된 작동자(14)가 회동하여 등받이쿠션을 출몰토록하여 승차자의 요추를 받쳐주도록 한 통상적인 요추받침장치(15)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축(12)을 등받이프레임(11)의 측방으로 연장돌출을 시켜 래칫장치나 스토퍼에 의하여 각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암레스트(2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2)에는 암레스트프레임(20')에 지지관(21')을 삽입한 고정판(21)과 볼팅결합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2)은 지지관(21')과 암레스트(20)에 형성된 작동축공(23)을 경유하여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암레스트(20)의 측방으로 돌출된 작동축(12)의 단부에는 요추받침장치(15)의 작동자(14)를 작동시킬 수 있는 노브(13)를 결합하여 암레스트(20)와 요추받침장치(15)가 독립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KR2019960021125U 1996-07-11 1996-07-11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KR200156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125U KR200156943Y1 (ko) 1996-07-11 1996-07-11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125U KR200156943Y1 (ko) 1996-07-11 1996-07-11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377U KR980007377U (ko) 1998-04-30
KR200156943Y1 true KR200156943Y1 (ko) 1999-09-15

Family

ID=1946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125U KR200156943Y1 (ko) 1996-07-11 1996-07-11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9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377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638B2 (en) Dual action seat release mechanism
KR200156943Y1 (ko) 암레스트장착이 가능한 요추받침작동축의 구조
JPH06135298A (ja) 車両用シート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US4390207A (en) Bucket seat
JPH09207637A (ja) 車両用シートの収納構造
KR200171905Y1 (ko)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KR100287375B1 (ko) 차량의 리어시트용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200152225Y1 (ko) 차량의 조수석 발받침대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KR200156231Y1 (ko)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장치
KR0148656B1 (ko) 자동차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
KR2001517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JPH038513Y2 (ko)
KR0140760Y1 (ko) 승용차의 리어시이트 등받이 허리받침 조절장치
KR20030003480A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장치
KR012770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절첩장치
KR200142781Y1 (ko)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헤드레스트구조
KR19980017004U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JPH0211219Y2 (ko)
JPH0228097Y2 (ko)
KR19980055179U (ko) 자동차의 수납식 암레스트
KR0140770B1 (ko) 암레스트 위치 가변장치
JPH01416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